KR20100115461A -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 - Google Patents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5461A
KR20100115461A KR1020090034046A KR20090034046A KR20100115461A KR 20100115461 A KR20100115461 A KR 20100115461A KR 1020090034046 A KR1020090034046 A KR 1020090034046A KR 20090034046 A KR20090034046 A KR 20090034046A KR 20100115461 A KR20100115461 A KR 20100115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tylus pen
pen
constant voltag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주
Original Assignee
김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주 filed Critical 김동주
Priority to KR1020090034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5461A/ko
Publication of KR20100115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의 편리함을 도모함과 동시에 펜촉과 로드간의 고정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한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접촉되어 인체의 정전기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에 있어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과 타측이 관통된 로드와, 상기 로드의 일측에 삽입 및 고정되고 금속재질이 삽입된 도전성 고무로 이루어져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펜촉과, 상기 로드의 타측에 삽입 및 고정되는 펜 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전압, 휴대 단말기, 터치스크린, 스타일러스펜, 도전성 고무, 로드

Description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styles pen of capacitive overlay}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의 편리함을 도모함과 동시에 펜촉과 로드간의 고정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한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이동하면서 통화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기기를 의미한다.
최근 휴대 단말기에는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의 시대에 맞추어 여러 가지 다양하고 유용한 기능들이 구현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휴대단말기를 사용하여 AOD(Audio On Demand)와 VOD(Video ON Demand)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통화 당사자들이 상대방의 얼굴을 직접 보며 화상통화를 하거나, 게임을 다운로드하여 플레이한다. 즉, 휴대단말기는 더 이상 음성통화 기기의 영역에 한정되어 사용되고 있지 않다.
이렇게 휴대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기능들이 다양해짐에 따라, 사용자들은 휴대 단말기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어할 필요를 느끼게 되었고,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 제조사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기능이 구현되는 표시부를 사용자에 게 제공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터치스크린의 종류로는 정전압방식(capacitive overlay),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표면 초음파 방식(surface acoustic wave), 트랜스미터(transmitter) 방식 및 적외선 방식(infrared beam) 등이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의 여러 방식 중에서 정전압 방식이 주로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되는데, 이때 상기 터치스크린을 위해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을 사용하고 있다.
즉,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은 압력방식의 스타일러스펜과 달리 스타일러스펜 자체에서 전류가 발생되지 않으면 인체의 정전기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상기 정전압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인체의 정전기가 일정한 면적이상 접촉해야 작동을 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하우징(10)과, 상기 단말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20)와, 상기 디스플레이(20)의 표면에 부착되어 정전압방식으로 신호를 입력하는 터치패드(30)로 구성된다.
상기 터치패드(30)는 정전압 방식으로 터치패드(30)의 표면에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을 접촉하여 정전기가 가해져야만 정보가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 하우징(10)에는 터치패드(30)가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 될 수 있도록 개구부(40)가 형성된다.
상기 터치패드(3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접착 테이프가 부착되어 개구부(40)의 가장자리 내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패드(30)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접착 테이프가 부착되어 디스플레이(20)의 상면 가장자리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는 터치패드(30)에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을 직접 터치하여 상기 터치패드(30)에 정전기가 가해지면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패드(30)는 투명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20)에 표시되는 정보가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을 나타낸 조립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 사용시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도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성 고무로 이루어진 펜촉(110),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로드(120) 및 펜 헤드(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펜촉(110)은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일측이 상기 로드(120)의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된다.
즉, 상기 펜촉(110)은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헤드부(111)와 상기 로드(120)의 일측에 삽입되는 삽입부(112)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부(111)는 상기 삽입 부(112)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다. 상기 헤드부(111)는 끝 부분이 라운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상기 로드(120)는 일측과 타측이 관통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측에는 상기 펜촉(110)의 삽입부(112)가 삽입되고, 타측에는 펜 헤드(130)가 삽입된다.
상기 펜 헤드(130)는 상기 로드(120)의 타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데, 걸이구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펜 헤드(130)는 상기 로드(120)의 타측에 삽입되는 삽입부(131)와 외부에 걸어지는 걸이부(13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의한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은 인체의 정전기를 이용하므로 터치스크린에 인체의 정전기를 전달하기 위해 펜촉(110)과 로드(120)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일정한 면적이상이 접촉해야만 작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일정한 면적을 접촉하기 위해서 상기 펜촉(110)의 크기는 그 만큼 커져야한다. 이 때문에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의 펜촉은 일반적으로 도전성 고무로 이루지는데, 그 이유는 유연성이 없는 재질을 사용할 경우에 터치스크린에 일정한 면적이상이 접촉하기란 여간 힘든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전성 고무로 이루어진 펜촉을 도전성 재질의 로드에 삽입하여 고정하는데, 펜촉과 로드가 손쉽게 분리되고 또 유연성의 도전성 고무는 단단히 체결 고정된 것이 아니라 단순 끼운 것이 지나지 않아 사용시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이, 휘어져 불편함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의 편리함을 도모함과 동시에 펜촉과 로드간의 고정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한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은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접촉되어 인체의 정전기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에 있어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과 타측이 관통된 로드와, 상기 로드의 일측에 삽입 및 고정되고 금속재질이 삽입된 도전성 고무로 이루어져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펜촉과, 상기 로드의 타측에 삽입 및 고정되는 펜 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도전성 고무에 금속 재질을 삽입하여 로드에 삽입함으로써 사용시 도전성 고무의 휘어지는 것을 개선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도모함과 동시에 펜촉과 로드간의 고정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 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을 나타낸 조립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재질이 삽입된 도전성 고무로 이루어진 펜촉(210),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로드(220) 및 펜 헤드(2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펜촉(210)은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일측이 상기 로드(220)의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된다.
즉, 상기 펜촉(210)은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헤드부(211)와 상기 로드(220)의 일측에 삽입되는 삽입부(212) 및 상기 삽입부(212)내에 일측에 삽입되면서 타측이 상기 로드(220)에 삽입 및 고정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고정부(213)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부(211)는 상기 삽입부(212)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다.
상기 헤드부(211)는 일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진 형태를 가지고 있다.
상기 헤드부(211)는 상기 고정부(213)가 삽입되도록 삽입홀(2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헤드부(211)의 삽입홀(214)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부(213)의 일측은 적어도 하나의 단턱(215)을 가지고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213)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단턱(215)에 대응되도록 상기 삽입홀(214)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21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단턱(215)이 형성된 고정부(213)에 도전성 고무로 이루어진 헤드 부(211)를 압축 성형하게 되면 상기 삽입홀(214)과 걸림턱(216)이 상기 단턱(215)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로드(220)는 일측과 타측이 관통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측에는 상기 펜촉(210)의 삽입부(212)가 삽입되고, 타측에는 펜 헤드(230)가 삽입된다.
상기 펜 헤드(230)는 상기 로드(220)의 타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데, 걸이구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펜 헤드(230)는 상기 로드(220)의 타측에 삽입되는 삽입부(231)와 외부에 걸어지는 걸이부(232)로 이루어져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을 사용하는 사용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펜촉(210)의 헤드부(211)가 일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진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과 접촉할 때는 그 접촉면적으로 더 크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과 접촉면적을 늘리더라도 도전성 고무에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고정부(213)를 삽입함으로써 사용시 휘어지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펜촉(210)과 로드(220)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의한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에서 펜촉(고정부)과 로드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8a에서와 같이, 도전성 고무로 이루어진 헤드부(211)와 삽입홀(214)과 걸림턱(도 6의 216)을 갖는 삽입부(212) 및 금속재료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단턱(215)을 갖는 고정부(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펜촉(210)이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로드(220)의 일측에 삽입된 후 상기 펜촉(210)이 삽입된 로드(220)의 일측을 로링결합(221)으로 눌러 상기 펜촉(210)과 로드(220) 간의 결합 능력을 한층 더 높일 수가 있다.
즉, 도 8a는 도전성 고무와 도전성 고무에 금속재질이 삽입된 펜촉(210)이 로드(220)의 일측에 삽입된 후 로링결합(221)을 통해 펜촉(210)과 로드(220)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8b에서와 같이, 도전성 고무로 이루어진 헤드부(211)와 삽입홀(214)과 걸림턱(도 6의 216)을 갖는 삽입부(212) 및 금속재료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단턱(215)을 갖는 고정부(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펜촉(210)이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로드(220)의 일측에 나사결합(222)을 통해 고정되어 상기 펜촉(210)과 로드(220) 간의 결합 능력을 한층 더 높일 수가 있다.
즉, 도 8b는 도전성 고무와 도전성 고무에 금속재질이 삽입된 펜촉(210)이 로드(220)의 일측에 나사결합(222)을 통해 펜촉(210)과 로드(220)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8c에서와 같이, 도전성 고무로 이루어진 헤드부(211)와 삽입홀(214)과 걸림턱(도 6의 216)을 갖는 삽입부(212) 및 금속재료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단턱(215)을 갖는 고정부(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펜촉(210)이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로드(220)의 일측에 강제끼우기(223)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펜촉(210)과 로드(220) 간의 결합 능력을 한층 더 높일 수가 있다.
즉, 도 8c는 도전성 고무와 도전성 고무에 금속재질이 삽입된 펜촉(210)이 로드(220)의 일측에 강제끼우기(223)를 통해 펜촉(210)과 로드(220)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펜촉(210)이 상기 로드(220)의 일측에 강제끼우기(223)를 위해 상기 로드(220)에 삽입되는 부분부터 시작하여 외부로 점점 두꺼워진 형태 즉 일정한 각도의 경사를 갖고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8d에서와 같이, 도전성 고무로 이루어진 헤드부(211)와 삽입홀(214)과 걸림턱(도 6의 216)을 갖는 삽입부(212) 및 금속재료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단턱(215)을 갖는 고정부(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펜촉(210)이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로드(220)의 일측에 삽입 및 고정될 때 상기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고정부(213)에 탄력을 주기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절개(213a)하고, 삽입 및 고정하여 상기 펜촉(210)과 로드(220) 간의 결합 능력을 한층 더 높일 수가 있다.
즉, 도 8d는 도전성 고무와 도전성 고무에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고정부(213)에 길이방향으로 절개(213a)한 상태에서 상기 펜촉(210)이 로드(220)의 일측에 삽입 및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은 인체의 정전기를 이용하므로 터치스크린에 인체의 정전기를 전달하기 위해 펜촉(210)과 로드(220)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드(220)와 펜촉(210)의 고정을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도전성 고무로 이루어진 펜촉(210)에 금속재질을 삽입하고 있다.
또한, 도전성 고무에 금속재질을 삽입하여 펜촉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펜 촉(210)이 로드(220)의 일측에 삽입될 때 로링작업(도 8a의 221), 나사결합(도 8b의 222), 강제끼우기(도 8c의 223) 및 절개(도 8d의 213a)를 통해 펜촉(210)과 로드(220)의 체결 고정을 보다 단단하게 할 수가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을 나타낸 조립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 사용시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을 나타낸 조립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을 사용하는 사용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의한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에서 펜촉(고정부)과 로드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펜촉 211 : 헤드부
212 : 삽입부 213 : 고정부
220 : 로드 230 : 펜 헤드

Claims (8)

  1.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접촉되어 인체의 정전기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에 있어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과 타측이 관통된 로드와,
    상기 로드의 일측에 삽입 및 고정되고 금속재질이 삽입된 도전성 고무로 이루어져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펜촉과,
    상기 로드의 타측에 삽입 및 고정되는 펜 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펜촉은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헤드부와, 상기 로드의 일측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내에 일측에 삽입되면서 타측이 상기 로드에 삽입 및 고정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고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일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진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홀과, 상기 헤드부의 삽입홀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단턱 및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단턱에 대응되도록 상기 삽입홀의 내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로드의 일측에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로드의 일측에 로링 결합을 통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로드의 일측에 강제끼우기 형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로드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있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
KR1020090034046A 2009-04-20 2009-04-20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 KR201001154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046A KR20100115461A (ko) 2009-04-20 2009-04-20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046A KR20100115461A (ko) 2009-04-20 2009-04-20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461A true KR20100115461A (ko) 2010-10-28

Family

ID=43134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046A KR20100115461A (ko) 2009-04-20 2009-04-20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546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680B1 (ko) * 2010-11-26 2011-07-01 최창수 정전기식 스타일러스
KR101149005B1 (ko) * 2011-08-22 2012-05-24 주식회사 송현디엔씨 터치펜
KR101372074B1 (ko) * 2012-04-17 2014-03-07 최상효 터치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680B1 (ko) * 2010-11-26 2011-07-01 최창수 정전기식 스타일러스
KR101149005B1 (ko) * 2011-08-22 2012-05-24 주식회사 송현디엔씨 터치펜
KR101372074B1 (ko) * 2012-04-17 2014-03-07 최상효 터치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558B1 (ko) 휴대 단말기용 스타일러스 펜
US8260382B2 (en) Portable sliding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8773847B2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JP4567006B2 (ja) データ通信装置
EP2894875B1 (en) Headphone
US20120050165A1 (en) Keyboard pad for touch screen
US20110115340A1 (en) Touch panel device
KR20130025979A (ko) 광학식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US20120231855A1 (en) Connecting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00115461A (ko)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
KR20160001563A (ko)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케이스
KR20140113853A (ko) 단말기 케이스
KR101491978B1 (ko) 펜을 수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US6263544B1 (en) Knob for a stick switch included in a mobile terminal
TW201528068A (zh) 多功能觸摸指套
CN201018554Y (zh) 手机的触摸屏按动装置
JP2001052570A (ja) スティックスイッチ用のツマミ
KR20140035054A (ko) 터치패드용 터치펜
KR100456752B1 (ko) 덮개를 갖는 정보 단말기 케이스 시스템
KR100383616B1 (ko) 가변성 및 착탈성 기능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180121306A (ko) 전도성 섬유 손목 키보드
KR200413201Y1 (ko) 스타일러스 겸용 이어폰
CN213465928U (zh) 一种挂脖式颈部按摩器
KR20110062967A (ko) 정전용량 방식의 스타일러스펜
JP2972695B2 (ja) スティックスイッチ用のツマ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