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5054A - 터치패드용 터치펜 - Google Patents

터치패드용 터치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5054A
KR20140035054A KR1020120101351A KR20120101351A KR20140035054A KR 20140035054 A KR20140035054 A KR 20140035054A KR 1020120101351 A KR1020120101351 A KR 1020120101351A KR 20120101351 A KR20120101351 A KR 20120101351A KR 20140035054 A KR20140035054 A KR 20140035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en
touch pen
mobile terminal
ear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청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1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5054A/ko
Publication of KR20140035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0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상기 몸체의 일단에 구비된 펜팁, 상기 몸체의 타단에 연결된 접속부, 상기 접속부에 형성되며 이동 단말기의 이어잭 홀에 삽설되어 전기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는 이어잭 및 상기 몸체 또는 상기 접속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어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는 이어잭 홀을 포함하는 터치패드용 터치펜은 휴대성과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분실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패드용 터치펜 {A TOUCH SCREEN OPERATING PEN}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와 결합될 수 있는 터치패드용 터치펜에 관한 것으로, 이동 단말기에 내장되지 않고도 이동 단말기에 고정되어 보관될 수 있는 터치패드용 터치펜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조작되거나 기능들이 작동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에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별도의 터치펜을 접촉시켜 이동 단말기를 조작한다. 별도의 터치펜을 이용하면 손가락을 이용할 때 보다 더 섬세한 조작을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터치펜은 별도의 액세서리로써 제공되거나 이동 단말기에 내장형으로 장착되어 제공된다.
그러나, 터치펜이 별도의 액세서리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휴대가 불편하며, 분실의 위험이 크다. 또한, 터치펜이 이동 단말기의 내장형으로 장착되는 경우에는 터치펜을 위한 공간때문에 다른 부품의 실장공간이 줄어들고 이동 단말기가 두꺼워진다. 터치펜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기 위해 터치펜의 지름을 작게 하는 경우에는 손으로 잡기가 불편하여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이동 단말기의 외부에서 이동 단말기와 결합시켜 함께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는 터치패드용 터치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로드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구비된 펜팁, 상기 몸체의 타단에 연결된 접속부, 상기 접속부에 형성되며 이동 단말기의 이어잭 홀에 삽설되어 전기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는 이어잭 및 상기 몸체 또는 상기 접속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어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는 이어잭 홀을 포함하는 터치패드용 터치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드용 터치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터치패드용 터치펜을 이동 단말기에 내장하지 않고도 이동 단말기와 결합시켜 보관할 수 있다. 그 결과, 터치펜을 따로 보관하지 않아도 되며, 분실 위험을 줄이면서도 이동 단말기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 있다. 더불어, 터치펜에 형성된 별도의 이어잭 홀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에 터치펜을 결합시킨 상태에서도 이어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어폰을 사용하기 위해 터치펜을 이동 단말기로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없어 사용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터치패드용 터치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터치패드용 터치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터치패드용 터치펜의 사용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터치패드용 터치펜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터치패드용 터치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동 단말기에 대해서만 설명되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발명과 관련된 터치패드용 터치펜의 여러 실시예와 이동 단말기(100)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용 터치펜의 사용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치패드용 터치펜은 몸체(210), 펜팁(220), 접속부(310), 이어잭(3102) 및 이어잭 홀(410)을 포함한다.
몸체(210)는 사용자가 손에 편리하게 쥐고 사용할 수 있도록 로드(rod) 형상을 갖는다. 로드 형의 몸체(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과 같은 전도성 재질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210)의 일단에는 펜팁(220)이 연결되며, 펜팁(220)은 이동 단말기(100)의 터치패드와 접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터치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펜의 펜팁(220)은 이동 단말기의 터치스크린과 접촉할 수도 있다. 펜팁(220) 또한, 몸체(210)와 마찬가지로 전도성 재질 또는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210)의 타단에는 접속부(310)가 연결되고, 접속부(310)에는 이어잭(3102)이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310)에 형성된 이어잭(3102)은 이동 단말기(100)의 이어잭 홀(110)에 삽설되어 전기 신호를 전달받는다. 이동 단말기(100)의 이어잭 홀(110)은 이동 단말기(100)의 양(+) 전류 및 음(-) 전류가 모두 통전되도록 구성되어, 이어잭(3102)이 삽입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는 음향 정보 및 음성 정보 등에 관한 전기 신호를 이어잭(3102)으로 전달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는 이동 단말기(100)가 휴대폰 단말기로 도시되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에는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 PMP 및 네비게이션 등이 모두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접속부(31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와 분.리되게 구성되어 별도의 부재를 통해 몸체(2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접속부(310)와 몸체(210)를 연결하는 부재는 단순한 끈 부재(10)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접속부(31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속부(310)는 몸체(210)로부터 몸체(210)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돌출될 수 있다.
터치패드용 터치펜의 몸체(210) 또는 접속부(310)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어잭 홀(110)과는 구별되는 별개의 이어잭 홀(410)이 형성된다. 터치펜의 이어잭 홀(410)은 접속부(310)에 형성된 이어잭(310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어잭(3102)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은 전기 신호를 전달받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20) 등의 이어잭(3102)이 삽설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은 전기 신호를 삽설된 이어잭(3102)으로 전달하여 이어폰(20) 등이 이동 단말기(100)의 음향 정보, 음성 정보 등을 재생하게 한다. 터치펜의 이어잭 홀(4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310)에 형성되거나,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몸체(2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용 터치펜은, 접속부(310)에 형성된 이어잭(3102)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펜의 이어잭(3102)을 이동 단말기(100)의 이어잭 홀(110)에 꽃아 터치펜을 이동 단말기(100)와 함께 보관 또는 휴대할 수 있다. 터치펜을 따로 들고 다니지 않아도 되는 바 터치펜의 휴대성이 향상되며, 이동 단말기(100)에 결합시켜 보관이 가능한 바 분실 위험성이 감소한다.
뿐만 아니라, 터치펜의 몸체(210) 또는 접속부(310)에 이어잭 홀(410)이 형성되는 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펜이 이동 단말기(10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이어폰(20)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음향 및 음성을 청취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이어폰(20) 등을 사용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터치펜을 분리할 필요가 없어 사용성이 향상된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터치패드용 터치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드용 터치펜의 몸체(210)와 접속부(310)는 도전성 케이블(510)로 연결될 수 있다. 도전성 케이블(510)은 일단이 터치펜의 몸체(2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속부(310)에 연결되며, 접속부(310)에 형성된 이어잭(310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510)은 이어잭(3102)이 이동 단말기(100)의 이어잭 홀(110)에 삽설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이어잭(3102)에 전달된 전기 신호를 몸체(21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전기 신호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100)의 자체 전압 및 자체 전류도 몸체(21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와 몸체(210)로부터 분리된 접속부(310)가 도전성 케이블(510)로 연결된 경우, 터치펜의 이어잭 홀(410)이 터치펜의 몸체(210)에 형성될 수 있다. 터치펜의 이어잭 홀(410)은 케이블(510)을 통해 이어잭(3102)에 전달된 전기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전달 받은 전기 신호를 통해 터치펜의 이어잭 홀(410)을 통해 결합된 이어폰(20) 등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210)의 일단에 연결된 펜팁(220)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본 발며의 터치펜이 정전식으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펜팁(220)은 도전성 케이블(5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자체 전압 및 자체 전류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도전성 케이블(510)은 터치펜의 이어잭(3102)이 이동 단말기(100)의 이어잭 홀(110)에 삽설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펜을 불편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전식 터치펜은 압력식 터치펜과 달리 펜팁(220)으로부터 일정 용량 이상의 정전기를 발생시켜 터치패드의 자기장이 변화되면 터치패드가 접촉을 인식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터치펜을 정전식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 배터리 등을 통해 터치펜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사용자가 터치펜을 손에 쥘 때 터치펜으로 전달되는 인체의 정전기를 이용한다. 터치패드가 터치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정전기 용량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펜팁(220)의 일정 면적 이상이 터치패드에 접촉되어야 하고, 그 결과 펜팁(220)은 일반적으로 일정한 크기 이상의 지름을 갖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펜을 정전식으로 동작하게 하기 위해 도전성 케이블(510)을 통해 터치펜의 몸체(210)에 전달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자체 전압 및 자체 전류를 이용할 수 있다. 그 결과, 터치펜이 이어잭(3102)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결합되기만 한다면 펜팁(220)으로부터 정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터치펜이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하거나 터치펜의 몸체(210)가 인체와 직접 접촉할 필요가 없으며, 터치펜은 외부 전원이나 인체의 정전기 없이도 정전식 터치펜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이어잭(3102)을 통해 터치펜이 이동 단말기(100)에 결합되기 때문에 휴대성과 보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정전식 터치펜의 접촉이 터치패드에 터치 입력으로 인식되기 위해서는 펜팁(220)이 일정량 이상의 정전기를 터치패드에 전달해야 한다. 인체의 정전기를 이용하는 경우, 미약한 인체의 정전기로 상기 정전 용량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펜팁(220)과 터치패드의 접촉면의 지름이 3mm 이상이어야 하며, 그에 따라 상기 접촉면의 크기를 형성하는 펜팁(220)의 지름이 3mm 이상이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터치펜이 이어잭(3102)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자체 전압 및 전류를 전달받아 정전식으로 동작하는 경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펜팁(220)의 지름은 3mm 미만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펜이 정전식으로 작동 시 이동 단말기(100)의 배터리로부터 발생하는 전압 및 전류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펜팁(220)의 지름이 3mm 미만인 경우에도 상기 정전 용량을 만족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정전식으로 동작하면서 작은 지름의 펜팁(220)을 갖는 터치펜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터치펜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약한 접촉으로도 이동 단말기(100)가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게 하여 터치패드를 보호하면서도 가느다란 펜팁(220)을 이용하여 섬세한 입력을 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터치펜이 이어잭(3102)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자체 전압 및 전류를 전달받아 정전식으로 동작하는 경우, 터치펜의 몸체(210)는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펜이 인체의 정전기가 아닌 이동 단말기(100)의 배터리로부터 발생하는 전압 및 전류를 이용하여 정전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인체의 정전기를 수집하게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쥐게 되는 몸체(210)가 도전체이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정전식 터치펜의 몸체(210)가 금속과 같은 도전체가 아닌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어 터치펜의 무게가 가벼워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휴대성과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 단말기 110: 이동 단말기의 이어잭 홀
141: 디스플레이부 310: 접속부
3102: 이어잭 210: 몸체
220: 펜팁 410: 터치펜의 이어잭 홀
510: 케이블 20: 이어폰

Claims (7)

  1. 로드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구비된 펜팁;
    상기 몸체의 타단에 연결된 접속부;
    상기 접속부에 형성되며, 이동 단말기의 이어잭 홀에 삽설되어 전기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는 이어잭; 및
    상기 몸체 또는 상기 접속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어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는 이어잭 홀을 포함하는 터치패드용 터치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몸체의 상기 타단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터치패드용 터치펜.
  3.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접속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어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터치패드용 터치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펜의 이어잭 홀은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기 신호를 전달받는 터치패드용 터치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펜팁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체 전압 및 전류를 전달받는 터치패드용 터치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펜팁의 지름은 3mm 미만인 터치패드용 터치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터치패드용 터치펜.
KR1020120101351A 2012-09-13 2012-09-13 터치패드용 터치펜 KR201400350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351A KR20140035054A (ko) 2012-09-13 2012-09-13 터치패드용 터치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351A KR20140035054A (ko) 2012-09-13 2012-09-13 터치패드용 터치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054A true KR20140035054A (ko) 2014-03-21

Family

ID=50645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351A KR20140035054A (ko) 2012-09-13 2012-09-13 터치패드용 터치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50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563A (ko) 2014-06-27 2016-01-06 이청명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케이스
US9288567B1 (en) 2015-10-07 2016-03-15 Abduljalil K. H. Habash Audio phone connection mount for touch p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563A (ko) 2014-06-27 2016-01-06 이청명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케이스
US9288567B1 (en) 2015-10-07 2016-03-15 Abduljalil K. H. Habash Audio phone connection mount for touch p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90340B2 (ja) イヤホンケーブルで端末を制御する方法、イヤホンケーブルで端末を制御する装置、デバイス、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NL1038411C2 (en) Multifunctional connector plug and metho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8073172B2 (en) Speaker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same
JP5931297B2 (ja) イヤホンプラグ用の連結部品、イヤホンソケット及び端末
EP2846216A1 (en) Electronic pen attachment/separation mechanism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30043841A (ko) 스타일러스 펜 겸용 전자 장치
US20190278389A1 (en) Capacitive Touch Pen
TW201839559A (zh) 手寫筆及手寫筆裝置
US20150015547A1 (en) Passive stylus
KR20140035054A (ko) 터치패드용 터치펜
EP2544430A2 (en) Wireless headset with touch pen
KR20140028266A (ko) 터치펜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장치
TWI488077B (zh) 觸控筆
KR20140113853A (ko) 단말기 케이스
TW201715345A (zh) 符合人體工學之電容筆
WO2012155399A1 (zh) 多媒体播放设备及通过其充电的无线耳机
US7479760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dual charging ports
US20210286451A1 (en) Multifunctional stylus and touch device
US20160261138A1 (en) Wireless charging receiver
US20100259489A1 (en) Touch control display apparatus and position indicator thereof
US20150091880A1 (en) Touch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N218825479U (zh) 具有拓展坞的鼠标垫
CN217692751U (zh) 一种充电装置
CN210244312U (zh) 一种主动式电容触控笔
KR20160126656A (ko)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