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680B1 - 정전기식 스타일러스 - Google Patents
정전기식 스타일러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5680B1 KR101045680B1 KR1020100133495A KR20100133495A KR101045680B1 KR 101045680 B1 KR101045680 B1 KR 101045680B1 KR 1020100133495 A KR1020100133495 A KR 1020100133495A KR 20100133495 A KR20100133495 A KR 20100133495A KR 101045680 B1 KR101045680 B1 KR 1010456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ductive
- tip
- contact
- stylus
- tip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기를 이용한 스크린 입력장치에 사용되는 스타일러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정전기식 터치 스크린에 사용되는 스타일러스에 있어서, 전도성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에 접촉되는 팁부, 그리고 상기 팁부의 내부를 이루는 면과 상기 바디부에 접촉되는 전도성 전도부를 포함하는 정전기식 스타일러스를 제시한다. 이로써, 스타일러스의 내부에 무게를 증가시키거나 조립의 불편성을 크게 증가시키지 아니하면서도, 인식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전기를 이용한 스크린 입력장치에 사용되는 스타일러스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스크린을 직접 터치하여 입력하는 방식은 매우 직관적이기 때문에 휴대용 전자기기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터치 방식의 입력은 크게 감압식과 정전기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중 정전기식 터치 방식은 스크린에 접촉 및 이동만으로 터치가 인식되므로 사용상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정전기를 이용하는 터치 방식은 신체의 전도성을 이용하므로 가죽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스크린을 터치하거나 부도체로 이루어진 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터치를 인식할 수 없거나 낮은 성공률로 인식되는 단점을 갖는다.
이를 극복하는 방안으로 정전기식 스타일러스가 개발되었다.
정전기식 스타일러스는 스크린에 접촉되는 끝단부와 몸체에 정전기가 유도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하여 스크린 상의 전류를 가변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종래의 정전기식 스타일러스는 스크린에 접촉되는 끝단에 원활한 정전기를 유도하기 위하여 내부에 미세 전류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수단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 도선, 저항체 등이 요구되고, 결국 스타일러스의 무게와 부피를 증가시키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스타일러스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잡기 쉽도록 필기구의 형태를 가지며, 휴대용 전자기기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거나, 휴대용 전자기기에 스트랩으로 연결되는 액세서리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다단으로 접혀 길이를 줄이도록 제작되는 추세에 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타일러스가 가벼우면서도 터치 입력의 확실성이 개선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 과제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정전기식 터치 스크린에 사용되는 스타일러스에 있어서, 전도성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에 접촉되는 팁부, 그리고 상기 팁부의 내부를 이루는 면과 상기 바디부에 접촉되는 전도성 전도부를 포함하는 정전기식 스타일러스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전도부는 상기 스크린에 접촉하는 상기 팁부의 접촉면에 대응되는 내부면에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부는 상기 바디부의 기울기에 따라 중력에 의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부는 상기 바디부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팁부의 내부면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상기 팁부에는 상기 팁부의 돌출된 외관에 따른 형상의 빈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전도부는 상기 팁부의 상기 바디부에 접촉되는 면에서 상기 내부공간을 이루는 면에 걸쳐 코팅되는 전도성 코팅층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정전기식 터치 스크린에 사용되는 스타일러스에 있어서, 관체와, 상기 관체의 끝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관체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의 중공홀이 형성되어 있는 단턱을 가지는 바디부; 상기 관체의 끝단부에서 돌출되게 결합되어 상기 스크린에 접촉되고, 내부에는 빈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팁부; 그리고 상기 중공홀에 접촉하며 관통하고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면과 접촉하는 전도성 전극봉과, 상기 전극봉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단턱에 걸리는 지지핀을 구비하는 전도부;를 포함하는 정전기식 스타일러스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팁부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고, 상기 지지핀은 상기 단턱부와 이격될 수 있다.
더하여,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전극봉을 상기 팁부를 향하여 가압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관체에 고정되며, 상기 전극봉의 일단을 탄성있게 누르는 스프링인 정전기식 스타일러스를 제시한다.
한편, 정전기식 터치 스크린에 사용되는 스타일러스에 있어서, 전도성이며 원통형상인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며, 일단에는 중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홀의 주연부가 돌출되어 있는 삽입부, 상기 주연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린에 접촉되고, 내부에는 빈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팁부, 일단부는 상기 중공홀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홀의 내주면과 접촉되고, 타단부은 상기 팁부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면에 접하는 전도성 전극봉 그리고 상기 주연부에 결합되는 팁부의 후단부를 감싸며 삽입부에 결합되는 캡부를 포함하는 정전기식 스타일러스를 제시한다.
더하여, 상기 전극봉의 타단부는 상기 팁부의 내부공간을 항하여 반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구의 반지름은 상기 내부공간의 곡률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타일러스의 내부에 무게를 증가시키거나 조립의 불편성을 크게 증가시키지 아니하면서도, 인식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소재의 팁부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는 정전기 형성 성능을 보완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 및 인식 성능 향상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전기식 스타일러스를 분해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도시된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전기식 스타일러스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정전기식 스타일러스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정전기식 스타일러스를 분해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정전기식 스타일러스를 분해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5실시예의 조립된 일부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도시된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전기식 스타일러스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정전기식 스타일러스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정전기식 스타일러스를 분해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정전기식 스타일러스를 분해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5실시예의 조립된 일부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에는 바디부, 팁부 및 전도부가 구비된다. 바디부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것으로,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바디부의 끝단에 구비되는 팁부는 실제 스크린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스크린에 스크래치를 발생시키지 아니하도록 바디부에 비하여 탄성을 가질 수 있다. 팁부와 바디부는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필기구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
전도부는 바디부와 팁부에 동시에 접촉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서 생성된 정전기가 바디부, 전도부, 팁부로 이동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특히, 팁부가 바디부보다 전도성이 낮은 고무나 실리콘의 재질로 이루어진 때에, 팁부보다 전도성이 큰 전도부가 실제 스크린에 접촉되는 팁부의 접촉면과 가까운 팁부에 접촉함으로써, 바디부에 형성된 전정기가 상기 접촉면에 원만하게 전이되게 돕는 것이다. 또한, 팁부는 전기가 통하는 실리콘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팁부에 의한 정전기 유도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팁부의 크기와 상관없이 스크린에 접촉되는 팁부의 끝단부에 정전기가 보다 확실하게 형성되며 스타일러스에 의한 터치 인식률이 상승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전도부는 전도성 봉 부재와 전도성 코팅층으로 제시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전기식 스타일러스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각 실시예에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전기식 스타일러스에 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전기식 스타일러스(10)는 정전기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에 터치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대략 필기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잡고 스크린의 어느 한 부분을 터치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기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전기식 스타일러스(10)에는 바디부(1), 팁부(2) 및 전도부(3)가 포함된다.
바디부(1)는 알루미늄 등 전기가 통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바디부(1)는 중공된 관체(11)나 속이 찬 봉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파지하기 용이하기 위한 지름으로 형성되거나, 스크린을 갖는 기기에 삽입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소정의 지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관체는 다단으로 이루어져 길이조절이 가능하거나, 관체의 타단에는 포켓에 물림고정 되기위한 클립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부(1)에는 관체(11)와, 상기 관체(11)의 끝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관체(11)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의 중공홀(121)이 형성되어 있는 단턱(12)이 구비된다. 더하여, 중공홀(121)의 주연부(13)는 관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그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팁부(2)는 바디부(1)의 끝단부에 결합되며, 스크린에 접촉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팁부(2)는 반구형 또는 원뿔형 등 바디부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팁부는 널리 알려진 실리콘 재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팁부(2)에는 빈 내부공간(22)이 형성된다. 이 내부공간(22)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반구형 막의 내부에 형성되고, 이 막은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주연부에 결합되기 위하여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홀(21)을 이루고 있다. 결합홀(21)과 상기 주연부(13)에 의하여 팁부(2)는 바디부(1)의 끝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에 의하여 마모된 팁부는 교체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바디부의 끝단과 팁부의 고정방식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방식이나 접착제를 통한 본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팁부(2)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팁부(2)는 사용자가 스타일러스를 스크린에 댈 때에 탄성 변형되며 스크린에 가해지는 충격을 저감시키게 된다.
한편, 전도부(3)는 팁부(2)의 내부를 이루는 면과 상기 바디부(1)에 접촉되어, 바디부의 정전기가 팁부(2)로 확실히 전이되게 하는 것이다. 즉, 스타일러스(10)의 사용 중에 전도부(3)는 팁부(2)의 내면과 바디부(1)에 모두 접촉함으로써 팁부(2)에 정전기가 쉽게 발생되게 돕는 기능을 갖는다.
전도부(3)는 팁부(2)의 내부공간(22) 중 어느 한 부분에 접촉되면서 동시에 바디부(1)에도 접촉된다. 구체적으로 전도부(3)는 팁부(2)의 내부공간(22)을 이루는 면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스크린에 주로 접촉되는 팁부(2)의 하단부에 보다 확실하게 정전기 형성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만일, 전도부가 구비되지 아니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스크린과 주로 접촉되는 팁부의 하단부의 정전기는 바디부, 바디부에 결합되는 팁부의 상단부를 거쳐 형성된다. 그런데 팁부는 바디부에 비하여 전도성이 낮은 재질이 사용됨에 따라 팁부가 길어질수록 실제 스크린과 접촉되는 하단부의 정전기 전압은 약화되고, 그에 따라 전도부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스타일러스가 스크린에서 빠르게 이동될 때에 인식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을 갖는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전도부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전도성을 가지는 전도부(3)가 바디부(1)와, 팁부(2)의 하단부 내면 또는 적어도 상기 내면의 주변부분에 접촉함으로써 팁부(2)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정전기의 약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크린 상에서 스타일러스가 빠르게 이동됨에도 불구하고, 인식 성공률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전도부(3)는 단턱(12)이 형성하는 중공홀(121)의 내주면에 접촉하며 이를 관통하고, 팁부(2)의 내부공간(22)을 형성하는 면과 접촉하는 전도성 전극봉(31)일 수 있다. 더하여 전도부(3)에는 전극봉(31)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단턱(12)에 걸리는 지지핀(3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전극봉(31)은 중공홀(121)을 관통하고 있는 봉 부재로, 적어도 팁부보다 전도성이 큰 것이다. 전극봉의 재질은 알루미늄일 수 있다.
또한, 전극봉(31)의 직경은 중공홀(121)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그 보다 작을 수 있다. 만일, 팁부가 탄성이 거의 없는 경우에는 전극봉의 지름은 중공홀의 지름과 동일하여, 전극봉이 중공홀에 끼워질 수 있다. 반면에, 팁부에 탄성이 있다면 전극봉의 지름은 중공홀보다 작은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극봉이 중공홀 보다 작은 직경이라도 전극봉이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적어도 중공홀의 내주면 일부와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도 4 참고).
또한, 전극봉(31)의 하단은 팁부(2)의 내부공간(22)을 형성하는 면과 접촉한다. 결국, 전극봉(31)은 바디부(1) 및 팁부(2)의 내부공간(22)을 형성하는 면에 모두 접촉할 수 있다.
지지핀(32)은 전극봉(31)의 외측면에서 내부공간(22)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 단턱(12)에 걸림으로써, 전극봉(31)이 중공홀(121)을 이탈되지 않게 하다. 이 지지핀을 대신하여 전극봉의 외주면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중공홀의 내경보다 지름이 큰 와셔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핀(32)은 상기 단턱(12)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팁부(2)가 탄성 변형 없는 평상시의 형상을 유지하는 상태(도 2 참고)에서, 전극봉(31)은 중공홀(121)에서 미끄러져 하부로 이동되어, 전극봉(31)의 하단이 내부공간(22)을 형성하는 면에 지지된다. 이때, 지지핀(32)이 단턱(12)의 하면과 이격되는 것이다.
이 지지핀(32)과 단턱(12)의 하면과의 여유 길이로 인하여, 팁부(2)가, 도 3과 같이 탄성 변형되면, 전극봉(31)이 중공홀(121)을 타고 위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 상태에 따라 팁부가 복원되거나 더욱 탄성 변형되는 경우에 중력에 의하여 전극봉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면에 접한 상태에서 중공홀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도부(3)는 상기 바디부(1)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팁부(2)의 내부면과 접촉될 수 있다. 도 2에서 팁부(2)의 내부공간(22)은 하부를 향하여 볼록한 반구 형상이다. 내부공간(22)을 형성하는 내부면 중 최하단 부분(221)은 바디부(1)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부분이다. 이 최하단 부분(221)은, 사용자가 스타일러스를 사용할 때에 스크린의 터치가 주로 끝단부(23)와 가깝다. 전도부(3)가 내부면의 최하단 부분(221)에 접촉되어, 상기 팁부(2)의 돌출된 끝단부(23)에서 확실한 정전기가 형성되고 스타일러스의 인식률이 상승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식 스타일러스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바디부(1), 팁부(2) 및 전도부(3)가 구비된다. 이때, 바디부(1), 팁부(2) 및 전도부(3)는 하기에 설명되는 바를 제외하고는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도부(3)에는 전극봉(31) 및 지지핀(32)이 구비된다. 이때, 전극봉(31)의 지름은 중공홀(121)의 지름보다 작다. 따라서 전극봉(31)은 중공홀(121)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질 수 있다.
스타일러스(10)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질 때에 전극봉은 중력에 의하여 내려가 스크린에 접촉하는 팁부의 접촉면에 대응되는 내부면에서 접촉된다. 또한, 스타일러스(1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면 전극봉(31)도 중공홀(121)과 전극봉(31)의 지름 차이에 의한 유격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지면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된다. 이 경우, 팁부(2)가 수평한 스크린에 대어지는 접촉면(24)은 중앙이 아니라 그 주변의 일측이 된다. 이때, 전극봉(31)은 중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기울어져 이 접촉면(34)에 대응되는 내측면(222)에 접촉된다.
따라서 스타일러스가 수직된 상태 또는 경사진 상태에서 사용되는 경우 모두에서 스크린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팁부의 접촉면과 가까운 내부면에 전극봉이 접촉하여 정전기의 형성이 확실시되며 인식 성공률이 상승된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식 스타일러스(10)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식 스타일러스(10)에는 바디부(1), 팁부(2), 전도부(3) 그리고 탄성부(4)가 구비된다. 여기서 바디부(1), 팁부(2) 및 전도부(3)는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식 스타일러스(10)에는 전극봉(31)을 팁부(2)를 향하여 가압하는 탄성부(4)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탄성부(4)는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11)에 고정되며, 상기 전극봉(31)의 일단을 탄성있게 누르는 스프링(41)일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41)은 전도성 금속일 수 있다. 스프링(41)은 관체의 내부로 돌출된 턱(111)에 걸려 고정되거나 접착제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41)에는 탄성을 가지며, 전극봉(31)의 상단부를 가압하는 탄지편(411)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를 대체하여 탄성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 탄성 스펀지 등이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 경우, 탄성부가 전극봉을 가압함으로써 팁부가 상부를 향하는 경우에도 전극봉에 의한 팁부의 내측면과 바디부의 접촉이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각도에서 일정한 인식효과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식 스타일러스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식 스타일러스(10)에는 바디부(1), 팁부(2) 및 전도부(3)가 구비되며, 하기에 설명되는 바를 제외하고는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하여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식 스타일러스(10)의 팁부(2)에는 내부공간(22)이 형성된다. 이때, 내부공간(22)의 형상은 팁부의 돌출된 외관의 형상과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하되 체적은 작은 것이다. 따라서 바디부(1)에 고정된 팁부(2)의 돌출부분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게 된다.
한편, 전도부(3)는 상기 팁부(2)의 상기 바디부(1)에 접촉되는 면에서 상기 내부공간(22)을 이루는 면에 걸쳐 코팅되는 전도성 코팅층(33)으로 이루어진다. 즉, 전도성 코팅층(33)은 도 6에서 결합홀(21)의 나사산과 내부공간(22)을 형성하는 면에 걸쳐 형성된다. 이러한 전도성 코팅층(33)은 알루미늄 등의 전도성 금속분말이 증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코팅층(33)이 바디부(1)와 통전되어, 바디부(1)와 멀리 떨어진 팁부(2)의 하단부에까지 정전기의 형성이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스크린에 대어진 스타일러스의 인식 성공률을 증대시킨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식 스타일러스에 대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식 스타일러스(10)에는 정전기식 터치 스크린에 사용되는 스타일러스에 있어서, 전도성이며 원통형상인 바디부(1),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며, 일단에는 중공홀(121)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홀(121)의 주연부(13)가 돌출되어 있는 삽입부(1A), 상기 주연부(13)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린에 접촉되고, 내부에는 빈 내부공간(22)이 형성되어 있는 팁부(2), 일단부는 상기 중공홀(121)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홀(121)의 내주면과 접촉되고, 타단부은 상기 팁부(2)의 내부공간(22)을 형성하는 면에 접하는 전도성 전극봉(31) 그리고 상기 주연부에 결합되는 팁부의 후단부를 감싸며 삽입부에 결합되는 캡부(5)를 포함한다.
바디부(1)는 전도성 재질이며, 대략 원통형상을 가진다. 삽입부(1A)는 바디부(1)에 일부분이 나사결합되는 전도성 부재이다. 또한, 삽입부(1A)의 일단에는 중공홀(121)이 형성되고, 그 주연부(13)는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주연부(13)의 외주면 둘레에는 홈(13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팁부(2)는 탄성재질로 내부에는 총알 형상의 내부공간(22)이 형성되어 있다. 팁부(2)의 개방된 입구 안쪽에는 상기 주연부(13)의 홈(131)에 삽입되는 단턱(25)이 돌출된다. 전극봉(31)의 일단부는 중공홀(13)에 삽입되는 봉체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팁부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면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전극봉(31)의 타단부는 상기 팁부(2)의 내부공간(22)을 항하여 볼록한 반구(311)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구(311)의 반지름은 상기 내부공간(22) 중 곡면의 곡률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전극봉(31)의 타단부가 반구(311)로 형성됨에 따라 전극봉 타단부의 체적이 크게 증가되어, 중력에 의한 전극봉의 이동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을 갖는다. 더하여 반구형상을 가짐에 따라 대략 구의 곡면을 가지는 팁부의 내부공간과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정전기의 유도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장점도 갖는다. 또한, 반구의 절단면 가장자리는 삽입부의 중공홀 주연부에서 돌출된 면에 지지됨으로써 전극봉이 중공홀을 통과하여 바디부의 중심방향으로 빠지지 아니하게 하는 효과도 갖는다.
한편, 반구(311)의 반지름이 내부공간(22) 중 최하단부의 곡률반경보다 작게 구성함으로써, 전술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의 각도에 따라 기울어지는 전극봉의 타단부가 실제 스크린과 접촉되는 팁부의 특정면과 가깝게 위치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는 반구(311)의 반지름은 내부공간(22) 중 최하단부의 곡률반경을 동일하게 하고, 전극봉(31)의 일단부는 중공홀(121)과 사실상 동일한 직경을 가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만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타일러스가 기울어져 사용되는 경우에 전극봉(31)은 바디부(1)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팁부(2)를 향하여 돌출된다. 또한, 전극봉(31)의 타단부를 형성하는 반구(311)는 팁부(2)의 내부공간(22)과 같은 곡률반경을 가지므로 반구의 곡면 표면 전체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면에 접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캡부(5)는 팁부(2)의 주연부를 가압하여 사용 중에 팁부(2)가 삽입부(1A)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외관미를 증진한다.
10 : 스타일러스
1 : 바디부 1A : 삽입부
11 : 관체 111 : 턱 12 : 단턱
121 : 중공홀 13 : 주연부 131 : 홀
2 : 팁부
21 : 결합홀 22 : 내부공간 221 : 최하단부분
23 : 끝단부 24 : 접촉면 222 : 내측면 25 : 단턱
3 : 전도부
31 : 전극봉 311 : 반구 32 : 지지핀 33 : 코팅층
4 : 탄성부
41 : 스피링 411 : 탄지편
5 : 캡부
1 : 바디부 1A : 삽입부
11 : 관체 111 : 턱 12 : 단턱
121 : 중공홀 13 : 주연부 131 : 홀
2 : 팁부
21 : 결합홀 22 : 내부공간 221 : 최하단부분
23 : 끝단부 24 : 접촉면 222 : 내측면 25 : 단턱
3 : 전도부
31 : 전극봉 311 : 반구 32 : 지지핀 33 : 코팅층
4 : 탄성부
41 : 스피링 411 : 탄지편
5 : 캡부
Claims (10)
- 정전기식 터치 스크린에 사용되는 스타일러스에 있어서,
전도성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에 접촉되는 팁부 그리고
상기 팁부의 내부를 이루는 면과 상기 바디부에 접촉되는 전도성 전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부는 상기 바디부의 기울기에 따라 중력에 의하여 기울어지는 정전기식 스타일러스. - 제1항에서,
상기 전도부는
상기 스크린에 접촉하는 상기 팁부의 접촉면에 대응되는 상기 팁부의 내부를 이루는 면에서 접촉되는 정전기식 스타일러스. - 삭제
- 제1항에서,
상기 전도부는
상기 바디부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팁부의 내부면과 접촉되는 정전기식 스타일러스. - 제1항에서,
상기 팁부에는
상기 팁부의 돌출된 외관에 따른 형상의 빈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전도부는
상기 팁부의 상기 바디부에 접촉되는 면에서 상기 내부공간을 이루는 면에 걸쳐 코팅되는 전도성 코팅층인 정전기식 스타일러스. - 정전기식 터치 스크린에 사용되는 스타일러스에 있어서,
관체와, 상기 관체의 끝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관체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의 중공홀이 형성되어 있는 단턱을 가지는 바디부;
상기 관체의 끝단부에서 돌출되게 결합되어 상기 스크린에 접촉되고, 내부에는 빈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팁부; 그리고
상기 중공홀에 접촉하며 관통하고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면과 접촉하는 전도성 전극봉과, 상기 전극봉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단턱에 걸리는 지지핀을 구비하는 전도부;를 포함하는 정전기식 스타일러스. - 제6항에서,
상기 팁부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고,
상기 지지핀은 상기 단턱부와 이격되어 있는 정전기식 스타일러스. - 제7항에서,
상기 전극봉을 상기 팁부를 향하여 가압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관체에 고정되며, 상기 전극봉의 일단을 탄성있게 누르는 스프링인 정전기식 스타일러스. - 정전기식 터치 스크린에 사용되는 스타일러스에 있어서,
전도성의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며, 일단에는 중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홀의 주연부가 돌출되어 있는 삽입부;
돌출된 상기 주연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에 접촉되며, 내부에는 빈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팁부;
일단부는 상기 중공홀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홀의 내주면과 접촉되고, 타단부은 상기 팁부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면에 접하는 전도성 전극봉; 그리고
상기 주연부에 결합되는 팁부의 후단부를 감싸며 삽입부에 결합되는 캡부;를 포함하는 정전기식 스타일러스. - 제9항에서,
상기 전극봉의 타단부는 상기 팁부의 내부공간을 항하여 볼록한 반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구의 반지름은 상기 내부공간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정전기식 스타일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9160 | 2010-11-26 | ||
KR20100119160 | 2010-11-2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45680B1 true KR101045680B1 (ko) | 2011-07-01 |
Family
ID=44922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33495A KR101045680B1 (ko) | 2010-11-26 | 2010-12-23 | 정전기식 스타일러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568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8042B1 (ko) | 2011-07-13 | 2013-11-13 | 전복집 | 스타일러스 팁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
WO2022211176A1 (ko) * | 2021-03-31 | 2022-10-06 | 주식회사 가솔릭 | 간접 접촉을 통한 바이러스 감염을 차단할 수 있는 다목적 기구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99384A (ja) | 2001-07-10 | 2002-04-05 | Dowa Mining Co Ltd | 超音波式検出装置 |
US20090008162A1 (en) | 2007-07-03 | 2009-01-08 | Wei-Wen Yang | Input Device of Capacitive Touchpad |
KR100984666B1 (ko) * | 2010-02-04 | 2010-10-01 | (주)삼원에스티 | 터치스크린 패널을 위한 터치 펜 |
KR20100115461A (ko) * | 2009-04-20 | 2010-10-28 | 김동주 |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 |
-
2010
- 2010-12-23 KR KR1020100133495A patent/KR10104568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99384A (ja) | 2001-07-10 | 2002-04-05 | Dowa Mining Co Ltd | 超音波式検出装置 |
US20090008162A1 (en) | 2007-07-03 | 2009-01-08 | Wei-Wen Yang | Input Device of Capacitive Touchpad |
KR20100115461A (ko) * | 2009-04-20 | 2010-10-28 | 김동주 | 정전압 방식의 스타일러스펜 |
KR100984666B1 (ko) * | 2010-02-04 | 2010-10-01 | (주)삼원에스티 | 터치스크린 패널을 위한 터치 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8042B1 (ko) | 2011-07-13 | 2013-11-13 | 전복집 | 스타일러스 팁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
WO2022211176A1 (ko) * | 2021-03-31 | 2022-10-06 | 주식회사 가솔릭 | 간접 접촉을 통한 바이러스 감염을 차단할 수 있는 다목적 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40891B1 (ja) | コードレス型の位置指示器 | |
US20120327043A1 (en) | Stylus capable of being applied in various touch panels | |
US20150286310A1 (en) | Passive touch pen | |
EP2662221A1 (en) | Writing instrument | |
US20150286311A1 (en) | Passive touch pen | |
US20150286309A1 (en) | Passive touch pen | |
KR101045680B1 (ko) | 정전기식 스타일러스 | |
US9606642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iniaturization rechargeable capacitive stylus thereof | |
KR20110110686A (ko) | 정전식 터치펜 구조 | |
US20170108955A1 (en) | Ergonomic capacitance pen | |
US9146649B1 (en) | Passive touch pen | |
CN113176832A (zh) | 主动式触控笔、触控系统及交互方法 | |
KR101313767B1 (ko) | 스마트기기 터치헤드를 구비한 필기구 | |
KR101054861B1 (ko) | 휴대단말기용 스타일러스 펜 | |
KR101925091B1 (ko) | 범용 정전압 터치펜 | |
KR101087271B1 (ko) | 휴대폰 거치대 겸용 터치 펜 | |
KR101200971B1 (ko) | 터치스크린용 터치부재 | |
KR101229988B1 (ko) | 터치 펜 | |
JP2013077105A (ja) | タッチペン | |
US9471157B2 (en) | Computer mouse having variable size | |
TWI446226B (zh) | 接觸式數位筆及其轉動筆頭 | |
KR101260904B1 (ko) | 터치 스크린용 스타일러스 펜의 기능을 갖는 필기구 | |
US20160070369A1 (en) | Stylus structure | |
KR101347743B1 (ko) | 터치스크린용 스타일러스 펜 | |
KR101218760B1 (ko) | 연필심을 이용한 정전식 터치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