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042B1 - 스타일러스 팁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 Google Patents

스타일러스 팁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042B1
KR101328042B1 KR1020110069381A KR20110069381A KR101328042B1 KR 101328042 B1 KR101328042 B1 KR 101328042B1 KR 1020110069381 A KR1020110069381 A KR 1020110069381A KR 20110069381 A KR20110069381 A KR 20110069381A KR 101328042 B1 KR101328042 B1 KR 101328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transfer
base coating
stylus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8795A (ko
Inventor
이호선
전복집
Original Assignee
전복집
이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복집, 이호선 filed Critical 전복집
Priority to KR1020110069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042B1/ko
Publication of KR20130008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Abstract

정전용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터치패널을 통해 입력 데이터를 인가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팁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이 개시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전기를 통하는 전도성 도료를 베이스 코팅층에 고온 고압의 전사 방식에 의해 코팅함으로써 전사 코팅층과 더불어 베이스 코팅층까지도 전도성을 갖을 수 있도록 하여 전도성 코팅층의 두께를 종래의 스타일러스 팁 보다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도성 기능이 보다 탁월할 뿐만 아니라 스타일러스 펜의 슬라이딩 작동이 더욱 부드럽게 이루어져 보다 좋은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스타일러스 팁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몸체에 부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프라이머 코팅층을 형성한 후,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에 상도 코팅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상도 코팅층에 전사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전사 코팅층의 부착력을 향상시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타일러스 팁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TIP,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AND STYLUS PEN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 팁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터치패널을 통해 입력 데이터를 인가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팁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touch)를 통해 입력 데이터를 인가받을 수 있는 터치패널은 터치된 위치를 인식하는 방식에 따라 저항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 등이 있다. 이 중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은 터치된 위치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입력 데이터를 인가받을 수 있는 표시장치로, 입력도구로써 사람의 손이나 스타일러스 터치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타일러스 터치펜은 펜의 몸체에 해당하는 펜 몸체부, 상기 펜 몸체부의 일단과 연결된 스타일러스 팁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스타일러스 팁은 터치패널과 접촉하여 상기 터치패널로 입력 데이터를 인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타일러드 팁은 일반적으로 뾰족한 형상을 갖고 있어 상기 터치패널과의 접촉 면적이 다소 협소하므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의 입력도구로서 사용되는 데에 다소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2010.07.01.자에 출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0-000756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감응식 스타일러스 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0-0007569호에 개시된 감응식 스타일러스 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감응식 스타일러스 펜은, 캡(40)은 바(20)로부터 결합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바(20)의 통공(21)에 삽입 결합되는 탄성부재(41)와, 상기 탄성부재(41)의 상부 외주면에 씌워지는 천(42)과, 상기 천(42)에 함유되어 터치패널 및 터치스크린과 도전성 감응 동작을 하는 도전성 물질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감응식 스타일러스 펜은 도전성 물질부(43)가 천(42)에만 함유될 뿐만 아니라, 오랜 사용으로 인하여 상기 천(42)으로부터 도전성 물질부(43)가 떨어져 나가 제거되는 경우에는 전도성이 저하되어 터치 감도가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로 입력 데이터를 용이하게 인가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팁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팁은, 스타일러스 터치펜의 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터치패널과 접촉 시 접촉 면적이 증가되도록 탄성을 갖는 탄성몸체; 상기 탄성몸체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베이스 코팅층; 및 상기 베이스 코팅층의 외표면에 전사 방식에 의해 형성되며 전기를 통하는 도전성을 갖는 전사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코팅층은, 상기 탄성몸체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프라이머 코팅층; 및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상도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전사 코팅층은, 전도성 도료가 도포된 전사 필름을 상기 베이스 코팅층의 외표면에 고온 고압으로 증착시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코팅층에는 고온 고압으로 증착되는 전도성 도료의 일부가 침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팁의 제조방법은, 터치패널과 접촉 시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도록 탄성재질을 사용하여 탄성몸체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탄성몸체의 외표면에 베이스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코팅층의 외표면에 전사 방식에 의해 전도성 도료를 코팅하여 도전성을 갖는 전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탄성몸체와의 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탄성몸체의 외표면에 프라이머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의 외표면에 상도 페인트를 도포하여 상도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전사 코팅층은, 상기 전도성 도료는 전사 필름에 코팅하는 단계; 상기 전도성 도료가 코팅된 전사 필름을 고온으로 가공하는 단계; 상기 고온으로 가공된 전사 필름을 상기 베이스 코팅층에 증착하여 상기 전사 필름에 코팅된 전도성 도료를 상기 베이스 코팅층에 전사 방식으로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코팅층에 증착된 전사 필름을 상기 베이스 코팅층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코팅층에는, 상기 고온의 전사 필름을 상기 베이스 코팅층에 증착하는 과정에서 전도성 도료의 일부가 침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은, 펜 몸체부; 및 터치패널에 접촉하여 입력 데이터를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펜 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타일러스 팁을 포함하되, 상기 스타일러스 팁은, 스타일러스 터치펜의 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터치패널과 접촉 시 접촉 면적이 증가되도록 탄성을 갖는 탄성몸체; 상기 탄성몸체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베이스 코팅층; 및 상기 베이스 코팅층의 외표면에 전사 방식에 의해 형성되며 전기를 통하는 도전성을 갖는 전사 코팅층;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코팅층은, 상기 탄성몸체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프라이머 코팅층; 및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상도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전사 코팅층은, 전도성 도료가 도포된 전사 필름을 상기 베이스 코팅층의 외표면에 고온 고압으로 증착시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코팅층에는 고온 고압으로 증착되는 전도성 도료의 일부가 침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타일러스 팁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에 따르면, 전기를 통하는 도전성을 갖는 전사 코팅층을 전사 방식에 의해 베이스 코팅층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사 코팅층은 고온 고압으로 증착되어 전사 방식으로 베이스 코팅층에 형성될 시에 상기 전사 코팅층을 형성하는 전도성 도료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 코팅층에 침투된다.
그리하여, 상기 전사 코팅층 뿐만 아니라 베이스 코팅층의 상도 코팅층까지도 상기 전사 코팅층과 더불어 전도성을 갖을 수 있으므로 전도성 코팅층의 두께를 종래의 스타일러스 팁 보다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도성 기능이 보다 탁월할 뿐만 아니라 스타일러스 펜의 슬라이딩 작동이 더욱 부드럽게 이루어져 보다 좋은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스타일러스 팁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몸체에 부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프라이머 코팅층을 형성한 후,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에 상도 코팅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상도 코팅층에 전사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전사 코팅층의 부착력을 향상시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0-0007569호에 개시된 감응식 스타일러스 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터치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팁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터치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터치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0)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에 접촉하여 입력 데이터를 인가할 수 있는 입력도구로서, 펜 몸체부(100)와 스타일러스 팁(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펜 몸체부(10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부 끝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펜 몸체부(1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펜 몸체부(100)의 타측에 결합되는 지지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부(120)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중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20)는 다단으로 분리되는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타일러스 팁(110)은 상기 펜 몸체부(100)에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스타일러스 팁은 탄성몸체(111), 베이스 코팅층(112), 전사 코팅층(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스타일러스 팁(110)의 탄성몸체(111)는 스타일러스 터치펜(10)의 펜 몸체부(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터치패널과 접촉 시 접촉 면적이 증가되도록 탄성을 갖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몸체(110)의 일측단 외주면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펜 몸체부(100)의 결합돌기에 탈착 가능하게 요철 결합되는 결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몸체(111)는 우레탄,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몸체(111)는 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도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코팅층(112)은 상기 탄성몸체(111)의 외표면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베이스 코팅층(112)은 프라이머 코팅층(112a)과 상도 코팅층(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112a)은 상기 탄성몸체(111)의 외표면에 코팅되어 상기 상도 코팅층(112b)과 탄성몸체(111)와의 부착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112a)은 상기 탄성몸체(111)의 외표면에 5㎛ 이하의 두께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상도 코팅층(112b)은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112a)의 외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상도 코팅층(112b)은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112a)의 외표면에 10㎛ 내지 15㎛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사 코팅층(113)은 상기 베이스 코팅층(112), 즉 상기 상도 코팅층(112b)의 외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사 코팅층(113)은 전사 방식에 의해 상기 상도 코팅층(112b)의 외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사 코팅층(113)은 상기 상도 코팅층(112b)의 외표면에 5㎛ 내지 1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사 코팅층(113)은 전도성 도료가 도포된 전사 필름(130: 도 3 참조)을 상기 베이스 코팅층(112)의 외표면에 고온 고압으로 증착시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코팅층(112), 즉 상도 코팅층(112b)에는 고온 고압으로 증착되는 전도성 도료의 일부가 침투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팁(110)은 전사 코팅층(113)을 형성하기 위하여 전사 필름(130)을 베이스 코팅층(112)에 고온 고압으로 증착시키는 전사 가공 시에 상기 전사 코팅층(113)을 형성하는 전도성 도료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 코팅층(112)에 침투되어 상기 베이스 코팅층(112)의 상도 코팅층(112b)까지도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하여 전도 성능을 보다 뛰어나며 매우 원활한 슬라이딩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팁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팁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팁(110)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우레탄, 고무, 실리콘 등이나 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상단부가 반구 형태가 되도록 탄성몸체(111)를 제작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몸체(111)는 탄성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함과 동시에 터치패널과 접촉되는 상단부가 반구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터치패널과 접촉 시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탄성몸체(111)를 제작한 다음에는, 상기 탄성몸체의 외표면에 베이스 코팅층(112)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 코팅층(112)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탄성몸체(111)의 외표면 5㎛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프라이머 코팅층(112a)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112a)의 외표면에 10㎛ 내지 15㎛의 두께를 가지는 상도 코팅층(112b)을 형성함으로써 베이스 코팅층(112)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112a)은 상기 상도 코팅층(112b)과 탄성몸체(111)의 부착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도 코팅층(112b)은 상기 전사 코팅층(113)을 형성하는 전도성 도료가 침투되어 전도성을 가지게 되어 전도성 층 구조를 더욱 두껍게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 코팅층(112)을 형성한 다음에는, 상기 베이스 코팅층(112), 즉 상기 상도 코팅층(112b)의 외표면에 전사 방식으로 전사 코팅층(113)을 형성한다.
상기 전사 코팅층(113)을 전사 방식으로 상도 코팅층(112b)의 외표면에 형성하는 과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사 코팅층(113)을 상도 코팅층(112b)의 외표면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사 필름(130)에 전도성 도료(113a)를 코팅한다. 여기서 상기 전도성 도료(113a)는 전사 필름(130)에 잉크젯 프린터기를 5㎛ 내지 10㎛의 두께로 복사하여 코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사 필름(130)으로는 PET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사 필름(130)에 전도성 도료(113a)를 코팅한 다음에는, 상기 전도성 도료(113a)가 코팅된 전사 필름(130)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가공한다.
상기와 같이 전도성 도료(113a)가 코팅된 전사 필름(130)을 고온으로 가열한 다음에는, 상기 전도성 도료(113a)가 상도 코팅층(112b)과 접촉되도록 상기 전사 필름(130)을 상기 상도 코팅층(112b)에 올려놓은 후 에어 홀(140)을 통해 상기 전사 필름(130)과 상도 코팅층(112b) 사이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전사 필름(130)이 상기 상도 코팅층(112b)에 증착되도록 하여 상기 전사 필름(130)에 코팅된 전도성 도료(113a)가 상기 상도 코팅층(112b)의 외표면에 전사 방식에 의해 코팅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전사 필름(130)이 상기 상도 코팅층(112b)에 증착되면, 상기 고온으로 가열된 전사 필름(130)에 코팅된 전도성 도료(113b)가 상기 상도 코팅층(112b) 외표면에 전사 방식으로 코팅되어 전사 코팅층(113)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전사 코팅층(113)을 형성하는 전도성 도료(113a)의 일부는 상기 상도 코팅층(112b)에 침투된다.
상기와 같이 전사 방식에 의해 상기 상도 코팅층(112b)의 외표면에 전사 코팅층(113)을 형성한 다음에는, 상기 상도 코팅층(112b)의 외표면에 증착된 전사 필름(113)을 상기 상도 코팅층(112b)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팁(110)의 제조를 완료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팁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은 전기를 통하는 전도성을 갖는 전사 코팅층(113)을 전사 방식에 의해 베이스 코팅층(112)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사 코팅층(113)은 고온 고압으로 증착되어 전사 방식으로 베이스 코팅층(112)에 형성될 시에 상기 전사 코팅층(113)을 형성하는 전도성 도료(113a)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 코팅층에 침투된다.
그리하여, 상기 전사 코팅층(113) 뿐만 아니라 베이스 코팅층(112)의 상도 코팅층(112b)까지도 상기 전사 코팅층(113)과 더불어 전도성을 갖을 수 있으므로 전도성 코팅층의 두께를 종래의 스타일러스 팁 보다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도성 기능이 보다 탁월할 뿐만 아니라 스타일러스 펜(10)의 슬라이딩 작동이 더욱 부드럽게 이루어져 보다 좋은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스타일러스 팁(110)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탄성몸체(111)에 부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프라이머 코팅층(112a)을 형성한 후,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112a)에 상도 코팅층(112b)을 형성한 다음, 상기 상도 코팅층(112b)에 전사 코팅층(113)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전사 코팅층(113)의 부착력을 향상시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펜 몸체부 (110) : 스타일러스 팁
(111) : 탄성몸체 (112) : 베이스 코팅층
(112a) : 프라이머 코팅층 (112b) : 상도 코팅층
(113) : 전사 코팅층

Claims (12)

  1. 스타일러스 터치펜의 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터치패널과 접촉 시 접촉 면적이 증가되도록 탄성을 갖는 탄성몸체;
    상기 탄성몸체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베이스 코팅층; 및
    상기 베이스 코팅층의 외표면에 전사 방식에 의해 형성되며 전기를 통하는 도전성을 갖는 전사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사 코팅층은,
    전도성 도료가 도포된 전사 필름을 상기 베이스 코팅층의 외표면에 고온 고압으로 증착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코팅층은,
    상기 탄성몸체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프라이머 코팅층; 및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상도 코팅층;을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팁.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코팅층에는 고온 고압으로 증착되는 전도성 도료의 일부가 침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팁.
  5. 터치패널과 접촉 시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도록 탄성재질을 사용하여 탄성몸체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탄성몸체의 외표면에 베이스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코팅층의 외표면에 전사 방식에 의해 전도성 도료를 코팅하여 도전성을 갖는 전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 코팅층은,
    상기 전도성 도료를 전사 필름에 코팅하는 단계;
    상기 전도성 도료가 코팅된 전사 필름을 고온으로 가공하는 단계;
    상기 고온으로 가공된 전사 필름을 상기 베이스 코팅층에 증착하여 상기 전사 필름에 코팅된 전도성 도료를 상기 베이스 코팅층에 전사 방식으로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코팅층에 증착된 전사 필름을 상기 베이스 코팅층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팁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탄성몸체와의 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탄성몸체의 외표면에 프라이머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의 외표면에 상도 페인트를 도포하여 상도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팁의 제조방법.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코팅층에는,
    상기 고온의 전사 필름을 상기 베이스 코팅층에 증착하는 과정에서 전도성 도료의 일부가 침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팁의 제조방법.
  9. 펜 몸체부; 및
    터치패널에 접촉하여 입력 데이터를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펜 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타일러스 팁을 포함하되,
    상기 스타일러스 팁은,
    스타일러스 터치펜의 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터치패널과 접촉 시 접촉 면적이 증가되도록 탄성을 갖는 탄성몸체;
    상기 탄성몸체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베이스 코팅층; 및
    상기 베이스 코팅층의 외표면에 전사 방식에 의해 형성되며 전기를 통하는 도전성을 갖는 전사 코팅층;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 코팅층은,
    전도성 도료가 도포된 전사 필름을 상기 베이스 코팅층의 외표면에 고온 고압으로 증착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터치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코팅층은,
    상기 탄성몸체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프라이머 코팅층; 및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상도 코팅층;을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터치펜.
  11. 삭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코팅층에는 고온 고압으로 증착되는 전도성 도료의 일부가 침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터치펜.
KR1020110069381A 2011-07-13 2011-07-13 스타일러스 팁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KR101328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381A KR101328042B1 (ko) 2011-07-13 2011-07-13 스타일러스 팁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381A KR101328042B1 (ko) 2011-07-13 2011-07-13 스타일러스 팁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795A KR20130008795A (ko) 2013-01-23
KR101328042B1 true KR101328042B1 (ko) 2013-11-13

Family

ID=47838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381A KR101328042B1 (ko) 2011-07-13 2011-07-13 스타일러스 팁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0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7576B2 (en) 2017-06-09 2020-12-29 Hideep Inc. Stylus pen
KR20230018859A (ko) 2021-07-30 2023-02-07 이주화 전자펜 바디용 열전사 유광 코팅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3236A (ko) * 2021-10-14 2023-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666B1 (ko) 2010-02-04 2010-10-01 (주)삼원에스티 터치스크린 패널을 위한 터치 펜
KR100990755B1 (ko) 2010-02-26 2010-10-29 (주)삼원에스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인식이 가능한 필기구
KR20110020667A (ko) * 2009-08-24 2011-03-03 (주)삼원에스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위한 소프트 터치펜
KR101045680B1 (ko) 2010-11-26 2011-07-01 최창수 정전기식 스타일러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0667A (ko) * 2009-08-24 2011-03-03 (주)삼원에스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위한 소프트 터치펜
KR100984666B1 (ko) 2010-02-04 2010-10-01 (주)삼원에스티 터치스크린 패널을 위한 터치 펜
KR100990755B1 (ko) 2010-02-26 2010-10-29 (주)삼원에스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인식이 가능한 필기구
KR101045680B1 (ko) 2010-11-26 2011-07-01 최창수 정전기식 스타일러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7576B2 (en) 2017-06-09 2020-12-29 Hideep Inc. Stylus pen
KR20230018859A (ko) 2021-07-30 2023-02-07 이주화 전자펜 바디용 열전사 유광 코팅방법 및 장치
KR20230088325A (ko) 2021-07-30 2023-06-19 이주화 전자펜 바디용 열전사 유광 코팅방법 및 장치
KR102641688B1 (ko) 2021-07-30 2024-03-04 주식회사 건웅 전자펜 바디용 열전사 유광 코팅방법 및 장치
KR102641687B1 (ko) 2021-07-30 2024-03-04 주식회사 건웅 전자펜 바디용 열전사 유광 코팅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795A (ko)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2077B2 (en) Writing device having writing tip and stylus tip
US9395830B2 (en) Wired electrode of touch screen panel
KR101275240B1 (ko) 스타일러스 펜 및 그 제조방법
US8994699B2 (en) Touch input device
TW201706813A (zh) 整合壓力感測功能的觸控裝置
KR101328042B1 (ko) 스타일러스 팁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WO2017166813A1 (en) Pressure sensor, haptic feedback device and related devices
US20120001870A1 (en) Piezoresistive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iezoresistive-type touch panel having the same
KR101047589B1 (ko)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인식이 가능한 필기구
CN103677332B (zh) 触摸笔及具有该触摸笔的移动终端
US20140168172A1 (en) Capacitive disk unit
JP5152771B1 (ja)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対応のタッチペン
KR101359023B1 (ko) 터치펜 기능을 갖는 인조손톱
KR101328682B1 (ko) 감응부가 구비된 도전성 터치펜
US20130176284A1 (en) Portable capacitive touch control accessory
JP2013214273A (ja)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対応のタッチペン
KR101290860B1 (ko) 스타일러스 팁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US20150306899A1 (en) Stylus pen
US20130147754A1 (en) Portable touch control accessory
KR101347743B1 (ko) 터치스크린용 스타일러스 펜
TW201142665A (en) Stylus
KR20160073752A (ko) 정전 용량 기반의 터치 오인식 완화 및 압력 인식 스타일러스 펜
KR101064314B1 (ko) 스타일러스 펜
KR20120119352A (ko) 정전식 터치 펜
US20130301183A1 (en) Capacitive touch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