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034B1 - 스타일러스 펜 - Google Patents

스타일러스 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034B1
KR102355034B1 KR1020170072415A KR20170072415A KR102355034B1 KR 102355034 B1 KR102355034 B1 KR 102355034B1 KR 1020170072415 A KR1020170072415 A KR 1020170072415A KR 20170072415 A KR20170072415 A KR 20170072415A KR 102355034 B1 KR102355034 B1 KR 102355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wire
stylus
stylus pen
conductive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4555A (ko
Inventor
김세엽
우형욱
고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딥
Priority to KR1020170072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034B1/ko
Priority to US15/984,504 priority patent/US10877576B2/en
Priority to JP2018108931A priority patent/JP7029802B2/ja
Priority to CN201810587595.3A priority patent/CN109032385B/zh
Publication of KR20180134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되며 끝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 상기 홀더의 개구부에 전부 또는 일부가 도출되어 형성되며 전체 또는 일부가 도전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구 또는 감지표면에 접촉되는 일부 영역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형태의 스타일러스 팁, 및 상기 스타일러스 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홀더 및 상기 몸체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도전성 와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펜의 틸트 효과를 개선할 수 있으며, 스타일러스 팁의 터치 감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스타일러스 펜 {Stylus Pen}
본 개시는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용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장치, PDA 단말기, MP3 플레이어, 피엠피(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전자책 등의 휴대 단말기나 태블릿 PC 등에는 터치스크린('터치패널'이라고도 함)이 구비되고,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자판이나 아이콘 등을 접촉함으로써 입력이 실행된다.
이러한 각종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의 입력은 사용자의 손을 이용해 주로 행해진다. 최근 스마트폰이 과거 대비 5~6인치 정도로 커짐에 따라,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 등의 터치스크린에 단순한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 것 이외에 직접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등의 정교한 터치 입력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정교한 터치 입력을 위해 스타일러스 펜이 사용된다. 스타일러스 펜은 터치스크린 상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자판 등을 작동시키는 정압식과, 터치스크린의 원하는 위치에 접촉해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일으키고 이를 측정하는 정전식으로 나뉠 수 있다. 정압식 스타일러스 펜의 경우에는 터치스크린에 접촉할 때마다 일정한 압력이 계속 작용하기 때문에, 터치스크린이 손상될 수 있어 터치인식이 잘 안되거나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최근에는 좀더 안정적인 정전식 스타일러스 펜의 사용이 늘고 있다.
한편, 스타일러스 펜은 내부에 전자부품이 구비되는지 여부에 따라 액티브 스타일러스(active stylus) 펜과 패시브 스타일러스(passive stylus) 펜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액티브 스타일러스 펜은 패시브 스터일러스 펜보다 정교한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스타일러스 펜에 배터리와 전자 부품이 포함되어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하고 무거워지는 단점이 있다. 패시브 스타일러스 펜은 액티브 스타일러스 펜에 비해 저렴하고 가볍게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감도가 낮고 정교한 입력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패시브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타일러스 펜(10)은 총알 모양의 스타일러스 팁(11)과 스타일러스 몸체(12)를 포함한다. 스타일러스 팁(11)의 전체 또는 일부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실제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1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감지 표면(20)에 수직하게 사용하기보다는 감지 표면(20)으로 10도에서 45도 사이로 기울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스타일러스 펜(10)을 기울여 사용하는 경우, 스타일러스 팁(11)과 감지 표면(20) 사이의 접촉 위치(21)에서 커패시턴스의 변화량이 가장 큰 것이 아니라, 스타일러스 팁(11)의 접촉위치(21)에서 스타일러스 펜(10)이 기울어지는 방향쪽에 있는 위치(22)에서 커패시턴스의 변화량이 가장 크게 된다. 따라서, 스타일러스 팁(11)이 감지 표면(20)에 실제 접촉되는 접촉위치(21)가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접촉위치(21)에 근접한 다른 위치(22)가 접촉된 것으로 인식된다. 이때, 접촉위치(21)와 실제 인식되는 위치(22) 사이의 옵셋(즉, 틸트 옵셋) 값(23)은 수백 μm 이상이 될 수도 있다.
이처럼, 종래 기술에 따른 패시브 스타일러스 펜을 기울여 사용하면, 스타일러스 펜의 기울기에 따라 직진성 오차(linearity error)가 발생해 정교한 터치 입력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미국특허 제9,298,285호는 패시브 스타일러스 펜(10)을 기울여 사용하는 경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스타일러스 펜을 개시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은 미국특허 제9,298,285호에서 개시된 스타일러스 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스타일러스 펜(30)은 구 모양의 스타일러스 팁(31)과 스타일러스 팁(31)에 연결된 도전성 와이어(32)를 포함한다. 스타일러스 팁(31)의 일부 영역 및 도전성 와이어(32)는 비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홀더(33)에 의해 둘러싸여 고정된다. 홀더(33)는 스타일러스 몸체(34)에 연결된다. 도 2에 도시한 스타일러스 펜(30)의 구조에 의하면, 구 모양의 스타일러스 팁(31)을 사용하기 때문에 틸트(기울임)의 정도에 관계없이 접촉 지점에서의 커패시턴스의 변화랑이 최대가 되고, 도전성 와이어(32)가 가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전성 와이어(32)에 의한 커패시턴스의 변화량을 최소화할 수 있어, 틸트에 의한 옵셋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및 도 3에 도시한 스타일러스 펜의 구조에 따르면, 도전성 와이어가 플로팅된 상태이고 사용자가 쥐는 부분과 도전성 와이어(32)의 거리가 길어, 사용자의 손과 도전성 와이어 사이의 커패시턴스(C1)가 작기 때문에, 스타일러스 팁(31)의 터치 감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속 스타일러스 팁(31)에 의한 충격으로 터치 스크린의 커버 글래스가 파손되거나 스타일러스 팁(31)과 감지 표면(20) 사이에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틸트 옵셋 개선과 터치 감도를 높이기 위한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타일러스 팁에 의한 충격으로 터치 스크린의 커버 글래스가 파손되거나 스타일러스 팁과 감지 표면 사이에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되며 끝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 상기 홀더의 개구부에 전부 또는 일부가 도출되어 형성되며 전체 또는 일부가 도전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구 또는 감지표면에 접촉되는 일부 영역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형태의 스타일러스 팁, 및 상기 스타일러스 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홀더 및 상기 몸체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도전성 와이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와 홀더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의 일부의 일부가 노출되어 상기 도전성 와이어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직접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타일러스 팁의 직경이 0.5mm 내지 3mm이며, 상기 도전성 와이어의 직경이 1mm 이내일 수 있다.
상기 스타일러스 팁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중심체와 상기 중심체의 외측에 형성된 도금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심체의 일부 영역에 상기 도전성 와이어가 삽입되는 삽입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끝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에 연결되는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개구부에 전부 또는 일부가 도출되어 형성되며 전체 또는 일부가 도전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구 또는 감지표면에 접촉되는 일부 영역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형태의 스타일러스 팁, 상기 스타일러스 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몸체 내부까지 연장되는 도전성 와이어, 및 상기 도전성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몸체 내부까지 연장되는 도전성 매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몸체의 내부에 상기 스타일러스 팁을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몸체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영역에 하나 이상의 접촉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 홀 내에 도전성 재질이 충진되어 상기 도전성 매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타일러스 팁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중심체와 상기 중심체의 외측에 형성된 도금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심체의 일부 영역에 상기 도전성 와이어가 삽입되는 삽입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전체 또는 일부가 도전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구 또는 감지표면에 접촉되는 일부 영역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형태의 스타일러스 팁, 상기 스타일러스 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스타일러스 팁은 비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중심체와, 상기 중심체의 외측에 형성된 도금 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중심체의 일부 영역에 상기 도전성 와이어가 삽입되는 삽입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전성 와이어는 접착제가 충진된 상기 삽입 홀에 삽입되어 상기 중심체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전성 와이어가 삽입된 상기 삽입 홀에 도전성 페이스트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체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각각 제1 삽입 홀과 제2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전성 와이어의 단부가 꺾여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전성 와이어의 단부는 탄성력 있게 'V'자 모양으로 꺾여 있으며, 상기 도전성 와이어는 제1 삽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도전성 와이어 단부는 제2 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체의 일부 영역에 상기 도전성 와이어가 삽입되어 관통되는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 홀에 관통된 상기 도전성 와이어의 끝 부분의 영역에 도선성 와이어 풀림방지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전성 와이어 풀림방지부분을 밀착해서 감싸는 풀림방지 커버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펜의 틸트 옵셋을 개선할 수 있으며, 스타일러스 팁의 터치 감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팁에 의한 충격으로 터치 스크린의 커버 글래스가 파손되거나 스타일러스 팁과 감지 표면 사이에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및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팁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팁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상세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팁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팁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00)은 몸체(140), 홀더(150), 스타일러스 팁(110), 도전성 와이어(120)를 포함한다.
몸체(140)는 중공된 관체나 속이 꽉 찬 봉지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몸체(14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파지하기 용이하기 위한 지름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몸체(140)의 일부분은 노출되어 도전성 와이어(120)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손에 직접 접촉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전성 와이어(120)가 직접 접지될 수도 있다.
홀더(150)는 몸체(140)의 끝 단에 연결되며, 홀더(150)의 끝단에는 개구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서는 스타일러스 몸체(140)와 홀더(150)가 분리 및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지만, 스타일러스 몸체(140)와 홀더(150)를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홀더(150)는 반구형 또는 원뿔형 등 몸체(140)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홀더는 비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스타일러스 팁(110)은 구 또는 감지표면에 접촉되는 일부 영역이 일정 한곡률을 갖는 형태(예를들어, 반구 형태)로서, 홀더의 개구부(151)에 일부 또는 전부 도출되어 형성된다. 스타일러스 팁(110)은 감지 표면(200)에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팁 전체 또는 팁의 일부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스타일러스 팁(110)은 10Ω 이하의 저항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타일러스 팁의 직경이 클수록 틸트 옵셋에 의한 문제는 개선되지만, 직경이 커지면 정확한 위치에 접촉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직경이 0.5mm 내지 3mm인 것이 좋으며, 특히 2mm 이내의 직경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와이어(120)는 스타일러스 팁(110)에 연결되어, 홀더(150) 및 몸체(140)의 내부까지 길게 연장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와이어(12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몸체(140)의 영역까지 연장되며, 20mm 이상의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전성 와이어(120)는 틸트에 의한 감도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직경이 1mm 이하로 가늘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와이어(120)가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몸체(140)의 영역까지 연장되므로, 사용자의 손가락과 도전성 와이어 사이의 커패시턴스(C2)가 도 3에 도시한 종래기술보다 커진다. 따라서, 종래 기술보다 접지 상태인 사용자의 손가락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아 스타일러스 팁(110)으로부터 접지로 전달되는 전하량이 많아지므로, 스타일러스 팁(110)의 터치 감도를 높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구 또는 감지표면에 접촉되는 일부 영역이 일정한곡률을 갖는 형태의 스타일러스 팁(110)을 사용해 스타일러스 펜의 틸트 옵셋을 개선할 수 있으며, 도전성 와이어(120)가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몸체(140)의 영역까지 연장되므로 스타일러스 팁의 터치 감도를 높일 수 있다
도 5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00)은 스타일러스 팁(110), 도전성 와이어(120), 도전성 매스(130), 제1 몸체(140a) 및 제2 몸체(140b)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에서, 스타일러스 팁(110)은 구 또는 감지표면에 접촉되는 일부 영역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형태로서, 제1 몸체(140a)의 개구부(141)에 일부 또는 전부 도출되어 형성된다. 스타일러스 팁(110)의 직경은 0.5mm 내지 3mm로 형성된다.
도전성 와이어(120)는 스타일러스 팁(110)에 연결되어, 제1 몸체(140a)의 내부까지 연장된다. 도전성 와이어(120)는 틸트에 의한 감도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직경이 1mm 이하로 가늘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몸체(140a)의 내부는 중공된 관체나 속이 꽉 찬 봉지채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손가락 접촉에 의한 영향을 최소하기 위해서는 유전율이 가장 낮은 공기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몸체(140a)의 내부는 스타일러스 팁(11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된다.
도전성 매스(130)는 도전성 와이어(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몸체(140b)의 내부에 형성된다. 도전성 매스(130)와 도전성 와이어(120)의 연결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전성 매스(130)의 일 측에 판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 후, 판스프링에 도전성 와이어(120)를 끼워 넣음으로써 연결할 수 있다.
도 6에서, 도전성 매스(130)는 스타일러스 팁의 반경(r1)과 도전성 와이어의 반경(r2)보다 큰 반경(r3)을 갖는 원통형으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매스(130)의 저항 값이 도전성 와이어(120)의 저항 값보다 낮다. 이에 따라, 도전성 매스(130)의 대응되는 부분에 손가락을 파지한 경우 제1 실시예에 비해 스타일러스 팁(110)으로부터 접지로 전달되는 전하량이 많아져 스타일러스 팁(110)의 터치 감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6에서, 도전성 매스(130)는 원통형으로 구현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전성 와이어보다 표면적이 큰 다양한 형태(예를 들면, 원추형, 직육면체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몸체(140a)와 제2 몸체(140b)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분리 가능한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몸체(140a)와 제2 몸체(140b)는 터치 스크린에 있는 센서와의 커플링을 줄이기 위해 최대한 유전율이 낮은 플라스틱 재질로 구현하는 것이 바랍직하다.
제 2 몸체(140b)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접촉 홀(142)이 형성되며, 접촉 홀(142) 내에는 도전성 재질(160)이 충진되어 도전성 매스(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홀(142)에 충진된 도전성 재질(160)을 통해 도전성 매스(130), 도전성 와이어(120) 및 스타일러스 팁(110)이 사용자 손가락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스타일러스 팁(110)의 터치 감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전성 매스(130)는 직접 접지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팁(110)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서, 스타일러스 팁(110)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중심체(111)와 중심체(111)의 외측에 형성된 도금 층(112)을 포함한다. 중심체(111)의 일부 영역에는 도전성 와이어(120)가 삽입되는 삽입 홀(113)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팁(110)은 금속보다 경도가 높지 않은 플라스틱 재질의 중심체(111)의 외부에 금속 재질의 도금 층(110)을 형성하기 때문에, 스타일러스 팁(110)에 의한 충격으로 터치 스크린의 커버 글래스가 파손되거나 스타일러스 팁(110)과 감지 표면 사이에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에는 도 7내지 도 9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팁(110)의 형성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삽입 홀(113)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중심체(111)를 사출한다. (S10) 이때, 삽입 홀(113)의 직경은 도전성 와이어(120)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나서, 크롬, 알루미늄, 니켈, 은 등의 금속 재질을 이용해 도금 층(112)을 형성한다. (S2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금 층으로 경도가 높고 내마모성이 뛰어난 크롬 도금 층을 사용하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금 층(112)이 너무 두꺼우면 유리 글래스에 파손을 가할 수 있고, 너무 얇으면 도전성 측면에서 좋지 않기 때문에, 10~50㎛의 범위에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후,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접착제를 삽입 홀(113)에 충진 한 후(S30), 접작체가 충진된 삽입 홀(113)에 도전성 와이어(120)을 삽입하고 접착제를 경화시킨다. (S40) 그리고 나서, 도전성 와이어(120)가 삽입된 삽입 홀(113)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한다. (S50)
다음에는 도 10, 11a 및 도 11b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팁(110)의 구조를 설명한다. .
도 10을 참조하면, 도전성 와이어 단부(121)가 도전성 와이어(120)에 탄성력 있게 'V'자 모양으로 꺾여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서, 플라스틱 재질의 중심구(111)는 도전성 와이어(120)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홀(113a)과 도전성 와이어 단부(121)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홀(113b)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전성 와이어 단부(121)와 도전성 와이어(120) 사이의 거리(d1)는 제1 삽입 홀(113a)의 직경(d2) 보다 크다.
다음에는 11a 및 도 11b및 도 12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팁(110)의 형성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제1 삽입 홀(113a) 및 제2 삽입홀 (113b)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중심체(111)를 사출한 후(S60), 크롬, 알루미늄, 니켈, 은 등의 금속 재질을 이용해 중심체(111) 외측에 도금 층(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다. (S70)
그리고 나서, 도전성 와이어 단부(121)를 제1 삽입 홀(113a)에 삽입한다. (S80).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삽입 홀(113a)에 삽입되기 전의 도전성 와이어 단부(121)와 도전성 와이어(120) 사이의 거리(d1)가 제1 삽입 홀(113a)의 직경(d2)보다 크기 때문에, 도전성 와이어 단부(121)가 제1 삽입홀(113a)에 삽입되기 시작하면 도전성 와이어 단부(121)는 도전성 와이어(120) 방향(A 방향)으로 수축된다. 도전성 와이어 단부(121)가 제2 삽입 홀(113b)가 형성된 지점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도전성 와이어(120) 방향으로 수축된 도전성 와이어 단부(112)가 탄성력에 의해 반대 방향(B방향)으로 확장되어,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삽입 홀(113b)에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도전성 와이어(120)를 중심체(111)의 외측 방향으로 들어올리더라도 제2 삽입 홀(113b)에 걸린 도전성 와이어 단부(112)에 의해 외부로 빠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나서, 제1 삽입 홀(113a) 및 제2 삽입홀 (113b)에 접착제로 본딩한 후, 실버 페이스트로 도포한다. (S90)
다음에는 도 13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팁(11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중심체(111)의 일부 영역에 도전성 와이어(120)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관통 홀(113c)이 형성된다.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중심체(111)의 외측에는 도금 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관통 홀(113c)에 삽입 및 관통된 도전성 와이어의 끝 부분의 영역인 도전성 와이어의 풀림방지부분(122)이 도전성 와이어를 밀착해서 감고 있다. 도전성 와이어 풀림방지부분(122)에 의해 도전성 와이어가 관통 홀(113C)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풀림방지 커버(123)는 도전성 와이어 풀림방지부분(122)이 도전성 와이어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도전성 와이어 풀림방지부분을 밀착해서 감싸고 있다. 도 13에서 도전성 와이어 풀림방지부분(122)가 도전성 와이어를 감싸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3에서, 도전성 와이어가 관통 홀(113C)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관통 홀(113c)에는 접착제(도시하지 않음)가 충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스타일러스 팁(113)에 따르면, 도전성 와이어의 풀림방지부분(122) 및/또는 풀림방지 커버(123)에 의해 도전성 와이어가 스타일러스 팁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도전성 와이어가 스타일러스 팁으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1a 및 도 11b는 중심체와 도전성 와이어의 결합과 관련해서 V자 꺽임 형태의 결합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L 자 꺽임 형태의 결합방법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중심체(111)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어느 정도의 경도를 갖는 다양한 형태의 비전도체 물질이나 흑연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10,30; 스타일러스 펜 11,31; 스타일러스 팁 20; 감지 표면 32; 도전성 와이어 33; 홀더 34; 몸체 100; 스타일러스 펜 120; 도전성 와이어 130; 도전성 매스 111; 중심체 112; 도금 층 113; 삽입 홀 113a; 제1 삽입 홀 113b; 제2 삽입 홀 140; 몸체 141; 개구부 150; 홀더 140a; 제1 몸체 140b; 제2 몸체 142; 접촉 홀 160; 도전성 재질 122; 풀림방지부분 123; 풀림방지 커버

Claims (25)

  1.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되며 끝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
    상기 홀더의 개구부에 전부 또는 일부가 도출되어 형성되며, 전체 또는 일부가 도전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구 또는 감지표면에 접촉되는 일부 영역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형태의 스타일러스 팁; 및
    상기 스타일러스 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홀더 및 상기 몸체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도전성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팁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중심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체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각각 제1 삽입 홀과 제2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전성 와이어의 단부가 꺾여 있는, 스타일러스 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홀더는 일체로 형성되는 스타일러스 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 팁의 직경이 0.5mm 내지 3mm인 스타일러스 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와이어의 직경이 1mm 이내인 스타일러스 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부가 노출되어 상기 도전성 와이어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직접 접촉되는 스타일러스 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 팁은
    상기 중심체의 외측에 형성된 도금 층을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7. 삭제
  8. 끝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에 연결되는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개구부에 전부 또는 일부가 도출되어 형성되며, 전체 또는 일부가 도전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구 또는 감지표면에 접촉되는 일부 영역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형태의 스타일러스 팁;
    상기 스타일러스 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몸체 내부까지 연장되는 도전성 와이어; 및
    상기 도전성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몸체 내부까지 연장되는 도전성 매스를 포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팁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중심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체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각각 제1 삽입 홀과 제2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전성 와이어의 단부가 꺾여 있는 스타일러스 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는 일체로 형성되는 스타일러스 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 팁의 직경이 0.5mm 내지 3mm인 스타일러스 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매스는 상기 도전성 와이어보다 표면적이 큰 스타일러스 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의 내부에 상기 스타일러스 팁을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스타일러스 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영역에 하나 이상의 접촉 홀이 형성되는 스타일러스 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홀 내에 도전성 재질이 충진되어 상기 도전성 매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타일러스 펜.
  15.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 팁은
    상기 중심체의 외측에 형성된 도금 층을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16. 삭제
  17. 전체 또는 일부가 도전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구 또는 감지표면에 접촉되는 일부 영역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형태의 스타일러스 팁;
    상기 스타일러스 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스타일러스 팁은
    비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중심체와,
    상기 중심체의 외측에 형성된 도금 층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체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각각 제1 삽입 홀과 제2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전성 와이어의 단부가 꺾여 있는, 스타일러스 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체의 일부 영역에 상기 도전성 와이어가 삽입되는 삽입 홀이 형성되는 스타일러스 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와이어는 접착제가 충진된 상기 삽입 홀에 삽입되어 상기 중심체와 결합되는 스타일러스 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와이어가 삽입된 상기 삽입 홀에 도전성 페이스트가 형성되는 스타일러스 펜.
  21. 삭제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와이어의 단부는 탄성력 있게 'V'자 모양으로 꺾여 있으며,
    상기 도전성 와이어는 제1 삽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도전성 와이어 단부는 제2 삽입홀에 삽입되는 스타일러스 펜.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체의 일부 영역에 상기 도전성 와이어가 삽입되어 관통되는 관통 홀이 형성되는 스타일러스 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홀에 관통된 상기 도전성 와이어의 끝 부분의 영역에 도선성 와이어 풀림방지부분이 형성되어, 상기 도전성 와이어가 상기 관통 홀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되는 스타일러스 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와이어 풀림방지부분을 밀착해서 감싸는 풀림방지 커버가 추가로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KR1020170072415A 2017-06-09 2017-06-09 스타일러스 펜 KR102355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415A KR102355034B1 (ko) 2017-06-09 2017-06-09 스타일러스 펜
US15/984,504 US10877576B2 (en) 2017-06-09 2018-05-21 Stylus pen
JP2018108931A JP7029802B2 (ja) 2017-06-09 2018-06-06 スタイラスペン
CN201810587595.3A CN109032385B (zh) 2017-06-09 2018-06-08 触控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415A KR102355034B1 (ko) 2017-06-09 2017-06-09 스타일러스 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555A KR20180134555A (ko) 2018-12-19
KR102355034B1 true KR102355034B1 (ko) 2022-01-24

Family

ID=65009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415A KR102355034B1 (ko) 2017-06-09 2017-06-09 스타일러스 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0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5409B2 (ja) * 1992-04-16 2001-02-13 アジレント・テクノロジーズ・インク 被ディザリング・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回路
JP2012252525A (ja) * 2011-06-03 2012-12-20 Mitsubishi Pencil Co Ltd 情報入力用ペン
US20140267192A1 (en) * 2011-10-20 2014-09-18 Sharp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inputting p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5409U (ja) * 2007-07-04 2007-09-13 有限会社関根精機工業所 タッチペン
KR102032281B1 (ko) * 2012-10-23 2019-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펜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KR20170002838A (ko) * 2015-06-30 2017-01-09 주식회사 에스 씨디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5409B2 (ja) * 1992-04-16 2001-02-13 アジレント・テクノロジーズ・インク 被ディザリング・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回路
JP2012252525A (ja) * 2011-06-03 2012-12-20 Mitsubishi Pencil Co Ltd 情報入力用ペン
US20140267192A1 (en) * 2011-10-20 2014-09-18 Sharp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inputting p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555A (ko) 2018-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927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ctive capacitive stylus thereof
EP2515207B1 (en) Cordless type position pointer
KR102058183B1 (ko) 스타일러스 펜 및 그 제조 방법
KR102355034B1 (ko) 스타일러스 펜
KR102054960B1 (ko) 스타일러스 펜 및 그 제조 방법
KR102355035B1 (ko) 스타일러스 펜
JP7029802B2 (ja) スタイラスペン
KR101200971B1 (ko) 터치스크린용 터치부재
KR101087271B1 (ko) 휴대폰 거치대 겸용 터치 펜
KR101232250B1 (ko)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을 위한 터치 기구
JP5944289B2 (ja) スタイラスペンおよび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
US20150049048A1 (en) Assembly of the precision stylus for the capacitance touch screens
US20160070369A1 (en) Stylus structure
KR102161248B1 (ko) 스타일러스 펜
KR101045680B1 (ko) 정전기식 스타일러스
KR101180828B1 (ko) 정전식 터치펜
TWM493095U (zh) 觸控筆結構
KR102386276B1 (ko) 세필용 터치펜의 펜촉
JP6793679B2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2023072855A (ja) タッチペン
KR200455691Y1 (ko) 일체형 스타일러스펜
KR101218762B1 (ko) 공기압력 정전식 터치펜
KR20160059235A (ko) 터치 펜
KR20140059582A (ko) 디지털 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