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311A -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소변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소변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311A
KR20100114311A KR1020090032781A KR20090032781A KR20100114311A KR 20100114311 A KR20100114311 A KR 20100114311A KR 1020090032781 A KR1020090032781 A KR 1020090032781A KR 20090032781 A KR20090032781 A KR 20090032781A KR 20100114311 A KR20100114311 A KR 20100114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al
pattern
urine
microwave
wave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현
김홍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텍
Priority to KR1020090032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4311A/ko
Publication of KR20100114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3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2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c wav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소변기 제어방법은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부가 물체의 움직임에 따른 파장의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로부터 검출된 파장에 따라 상기 유량 밸브 조절부로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소변기에 물을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실제로 소변을 볼 경우에만 소변기의 물 내림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소변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변기 세척에 따른 물 소비를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소변기 및 그 제어방법{URINAL AND CONTROL METHOD FOR USING MICROWAVE}
본 발명은 자동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소변기는 소변기 앞에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음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소변을 보기 위해 위치함을 감지하며, 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소변기에 물을 내려 자동으로 세척한다.
그러나 종래 자동 소변기는 소변기 앞에 물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소변기의 세적을 제어함으로써 소변기 앞을 사람이나 물체가 지나가거나 서있을 경우에도 물을 내려 소변기를 세척하는 오동작이 일어날 뿐만 아니라 소변기 세척을 위한 물의 사용량이 늘어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1) 소변기 앞을 사람이 지나가거나 서있을 경우 오동작을 일으킨다.
2) 소변기 센서 앞에 물체가 막고 있을 경우 동작을 하지 않는다.
3) 소변기 센서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파손될 위험이 높다.
4) 센서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어린이는 인식하지 못한다.
5) 센서가 외부에 노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디자인에 제약이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체의 움직임에 따른 파장을 감지하여 소변기의 물 내림을 제어함으로써 소변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소변기 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소변기 시스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변 줄기를 타고 내려오는 소변기의 하단에 위치하여, 물체의 움직임에 따른 파장의 상태를 검출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부; 제어신호에 따라 소변기에 물을 배출하는 유량 밸브 조절부; 및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부로부터 검출된 파장의 패턴을 검출하는 패턴 검출부와, 상기 패턴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파장의 패턴을 잡음패턴과 소변패턴을 분류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를 통해 분류된 소변패턴으로 판단하여 소변기에 물을 배출시키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소변기 시스템 제어방법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부가 물체의 움직임에 따른 파장의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로부터 검출된 파장에 따라 상기 유량 밸브 조절부로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소변기에 물을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소변기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실제로 소변을 볼 경우에만 소변기의 물 내림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소변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변기 세척에 따른 물 소비를 절약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소변기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 때, 아래에서 설명하는 시스템 구성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인용한 시스템으로써 아래 시스템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음을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소변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소변기 시스템은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부(100), 유량 밸브 조절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한 다.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부(100)는 물체의 움직임에 따른 파장의 상태를 검출하여 제어부(30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부는 소변 줄기를 타고 내려오는 소변기의 중단 또는 하단에 위치한다.
이러한,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부(100)는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이 이동할 때 생기는 제 1 파장(a), 사람이 소변기 앞에 서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 2 파장(b), 사람이 소변을 볼 때 생기는 제 3 파장(c), 사람이 소변을 마친 후 소변기에서 멀어질 때 생기는 제 4 파장(d) 및 소변기 앞에 아무도 없을 때 생기는 제 5 파장(e)을 검출할 수 있다. 주의환경, 조건에 의해 각 파장 단계가 생략되기도 한다.
유량 밸브 조절부(200)는 제어부(30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소변기에 물을 배출하거나 차단한다.
제어부(300)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부(100)로부터 검출된 파장의 패턴을 분석하여 잡음패턴과 소변패턴을 구분하여 유량 밸브 조절부(200)로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물 배출량을 조절하며, 제어부(300)는 패턴 검출부(310), 판단부(320), 신호 처리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의 패턴 검출부(310)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부(100)로부터 검출된 파장의 패턴을 검출한다. 즉,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부(100)를 통해 제공되는 파장을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300)의 판단부(320)는 패턴 검출부(310)를 통해 검출된 파장의 패턴을 소변패턴과 다른 패턴으로 분류한다.
또한 제어부(300)의 신호 처리부(330)는 판단부(320)를 통해 분류된 소변패턴의 파장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되면 소변패턴1로 판단하여 소변기에 물을 배출시킨다. 즉,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패턴(a)과 제 2 패턴(b)에서는 소변기에 물을 배출시키지 않고, 제 3 패턴(c)에서와 같은 패턴이 검출됐을 경우 소변기에 물을 배출시킨다. 여기서, 소변패턴은 검출된 파장의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파장이 기설정된 크기 이상 유지되는 제1패턴과 일정주파수로 일정시간 나오는 패턴2이다.
즉, 신호 처리부(330)는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소변패턴1, 소변패턴2가 제공되면, 유량 벨브 조절부로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소변기에 물을 배출하여 선물내림 기능을 제공하고, 이후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소변패턴이 작아지고 연속적이지 않는 제 4 패턴(d)와 같을 경우 소변감지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소변기에 물을 배출하여 후물내림 기능을 제공한다.
이하,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소변기 시스템 제어방법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부(100)는 물체의 움직임에 따른 파장의 상태를 검출한다. 검출된 파형의 형태는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전달이 되는데 도 3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사람이 소변기에 접근하는 상태(a), 사람이 소변기에 서 있는 상태(b), 소변을 보고 있는 상태(c), 소변기에서 멀어지는 상태(d), 물체가 감지기에서 감지가 안되는 상태(e)등이 있다.
이어서, 제어부(300)에 패턴 검출부(310)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로부터 검출된 파장을 크기와 주파수로 나누고, 판단부(320)는 파형이 일정크기 이상인 경우 (소변패턴1) 또는 동일한 주파수의 파형이 일정시간 유지되는 (소변패턴2)를 판단하여, 소변이 감지된 것을 인지한다.
소변이 감지된 것으로 인지가 되면, 신호처리부(330)를 통해 유량 밸브 조절부(200)로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소변기에 물을 배출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소변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소변기 시스템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소변기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서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부를 통해 검출되는 파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부 200 : 유량 밸브 조절부
300 : 제어부 310 : 패턴 검출부
320 : 판단부 330 : 신호 처리부

Claims (4)

  1.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부가 물체의 움직임에 따른 파장의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로부터 검출된 파장에 따라 상기 유량 밸브 조절부로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소변기에 물을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소변기 시스템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로부터 검출된 파장에 따라 상기 유량 밸브 조절부로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소변기에 물을 배출시키는 단계는,
    패턴 검출부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부로부터 검출된 파장을 크기와 주파수로 나누는 단계;
    판단부는 파장이 일정크기 이상일 경우(소변패턴1) 또는 동일한 주파수가 일정시간 유지(소변패턴2)되면 소변으로 인식하는 단계; 및
    소변패턴으로 판단하여 소변기에 물을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소변기 시스템 제어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부는,
    소변 줄기를 타고 내려오는 소변기의 중단 또는 하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소변기 시스템 제어방법.
  4. 소변 줄기를 타고 내려오는 소변기의 중간 또는 하단에 위치하여, 물체의 움직임에 따른 파장의 상태를 검출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부;
    제어신호에 따라 소변기에 물을 배출하는 유량 밸브 조절부; 및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부로부터 검출된 파장의 패턴을 검출하여 크기와 주파수를 측정하는 패턴 검출부와, 파장이 일정크기 이상(소변패턴1)이거나 일정주파수가 일정시간 유지되면(소변패턴2) 소변패턴으로 인식하는 판단부 및 소변패턴을 판단하여 소변기에 물을 배출시키도록 유량 밸브 조절부로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물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소변기 시스템.
KR1020090032781A 2009-04-15 2009-04-15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소변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143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781A KR20100114311A (ko) 2009-04-15 2009-04-15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소변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781A KR20100114311A (ko) 2009-04-15 2009-04-15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소변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311A true KR20100114311A (ko) 2010-10-25

Family

ID=43133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781A KR20100114311A (ko) 2009-04-15 2009-04-15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소변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43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7447A (zh) * 2018-11-07 2019-04-05 深圳市博电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坐便器控制方法、装置、坐便器及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7447A (zh) * 2018-11-07 2019-04-05 深圳市博电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坐便器控制方法、装置、坐便器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6531B2 (ja) 人体検知センサ及び自動水栓
US10478027B2 (en) Toilet seat device and toilet device equipped therewith
JP3379617B2 (ja) 人体検知装置
JP7478962B2 (ja) 手洗い器付き水洗便器装置
CN112213963B (zh) 一种马桶自动冲水的控制方法、系统及智能马桶
CN107761879B (zh) 冲厕装置
JP2011102783A (ja) 人体検知装置
JP2006214156A (ja) 小便器洗浄装置
KR20100114311A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소변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91927B1 (ko) 자동개폐시트를 갖는 양변기
JP6124197B2 (ja) 便器装置
JP2009079446A (ja) 吐水装置
JP5125359B2 (ja) 便器洗浄装置
CN205296333U (zh) 坐便器及其坐便圈
JP6804040B2 (ja) 給水装置
CN110206114B (zh) 一种小便斗及堵塞判定方法、报警方法和冲洗控制方法
KR101974383B1 (ko) 마이크로파센서를 사용한 소변감지장치
JP7158651B2 (ja) 小便器装置
CN113585411A (zh) 一种便器的冲洗方法、系统和小便器
JP6621047B2 (ja) 対象物検出装置
KR20130064524A (ko) 소변기
JP2010185229A (ja) 小便器洗浄装置
KR20110109615A (ko) 자동감지장치가 구비된 양변기
JP2010236229A (ja) 小便器洗浄装置
JP2006183400A (ja) 自動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