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3693A - 진동모터 - Google Patents

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3693A
KR20100113693A KR1020090032123A KR20090032123A KR20100113693A KR 20100113693 A KR20100113693 A KR 20100113693A KR 1020090032123 A KR1020090032123 A KR 1020090032123A KR 20090032123 A KR20090032123 A KR 20090032123A KR 20100113693 A KR20100113693 A KR 20100113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detent
vibration motor
hub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5493B1 (ko
Inventor
김상원
김용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2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493B1/ko
Priority to US12/538,793 priority patent/US8106552B2/en
Priority to CN2009101737423A priority patent/CN101867277B/zh
Publication of KR20100113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02K7/063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integrally combined with motor parts, e.g. motors with eccentric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75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crankshafts or eccentr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3/00DC commutator motors or generators having mechanical commutator; Universal AC/DC commutator motors
    • H02K23/02DC commutator motors or generators having mechanical commutator; Universal AC/DC commutator motor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for exciting
    • H02K23/04DC commutator motors or generators having mechanical commutator; Universal AC/DC commutator motor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for exciting having permanent magnet exci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3/00DC commutator motors or generators having mechanical commutator; Universal AC/DC commutator motors
    • H02K23/54Disc armature motors or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K29/03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a magnetic circuit specially adapted for avoiding torque ripples or self-starting pro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진동모터는 베이스에 직교하게 삽입설치된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베어링과, 베어링이 결합되며 테두리부에 편심부재를 구비하는 허브와, 허브에 장착되어 전기장이 형성되는 코일과, 베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코일 사이의 전자기력으로 상기 허브를 회전시키는 2n개의 극을 가지는 자석과, 허브에 장착되고 상기 자석의 극과 극의 중심에 상기 코일을 정지시킬 수 있는 디텐트자석을 구비한다.
진동모터, 자석, 디텐트자석, 코일

Description

진동모터{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석의 극과 극의 중심에 코일을 정지시킬 수 있는 디텐트자석을 구비함으로써, 항상 최대의 기동토크를 발생시키는 위치에 코일을 배치할 수 있어 기동토크를 최대로 확보할 수 있으며 불기동점을 완벽히 제거할 수 있는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단말기 또는 휴대전화 등의 개인정보통신기기의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대부분 착신신호를 사용자에게 무음으로 전달하여 타인에게 불편함을 주지않는 진동모터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전자기기에서 사용되는 진동모터는 보다 나은 성능과 가격대비 훌륭한 품질을 위해 많은 업체에서 경쟁적으로 생산해내고 있다.
현재의 진동모터는 성능 및 안정된 품질을 위해 2상으로 생산되는바, 단상으로 생산하면 기동이 안되는 불기동점(dead point)이 필연적으로 발생하여 불량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상모터는 부품의 수가 줄어들 뿐 아니라 공정수도 줄어들어 모터 생산자 측면에서나 사용자 측면에서나 단가 및 품질부분에서 많은 이로운 점이 있다. 따라서, 불기동점을 극복하고 디텐드력을 이용하여 자석을 사용하는 편평형 단상모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도 9는 종래기술에 따른 불기동점을 없애기 위한 방법으로 회전자의 멈춤위치를 정확하게 제한하기 위한 종래기술에 따른 진동모터의 디텐트력 발생을 위한 기구배치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토크 구간에서 다소 벗어난 지점에 기동위치를 설계하는 방법은 최대의 기동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위치인 N극과 S극 사이에 코일을 멈추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불기동점을 극복하고 성능저하없이 최대의 토크를 발생할 수 있는 편평형 단상 모터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자석의 극과 극의 중심에 코일을 정지시킬 수 있는 디텐트자석을 구비함으로써, 항상 최대의 기동토크를 발생시키는 위치에 코일을 배치할 수 있어 기동토크를 최대로 확보할 수 있으며 불기동점을 완벽히 제거할 수 있는 진동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진동모터는 베이스에 직교하게 삽입설치된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베어링과, 베어링이 결합되며 테두리부에 편심부재를 구비하는 허브와, 허브에 장착되어 전기장이 형성되는 코일과, 베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코일 사이의 전자기력으로 상기 허브를 회전시키는 2n개의 극을 가지는 자석 및 허브에 장착되고 상기 자석의 극과 극의 중심에 상기 코일을 정지시킬 수 있는 디텐트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허브는 하부에 회전자 전류의 교번을 발생시키는 정류자가 형성된 PCB 기판과 그에 대응되는 브러시를 베이스측에 더 구비한다.
또한, 자석은 2n개의 극을 가지는 고리형상이며, 외경과 내경을 구비한다.
또한, 디텐트자석은 상기 자석의 극성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가 구비된다.
또한, 코일은 모터의 비구동시 상기 디텐트자석에 의한 디텐트력으로 인해 상기 자석의 극과 극의 중심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로써 베이스에 직교하게 삽입설치된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베어링과, 베어링에 결합되며 테두리부에 편심부재를 구비하는 허브와, 베이스에 장착되어 전기장이 형성되는 코일과, 허브에 장착되며 상기 코일 사이의 전자기력으로 상기 허브를 회전시키는 2n개의 극을 가지는 자석과,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자석의 극과 극의 중심에 상기 코일을 정지시킬 수 있는 디텐트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석은 2n개의 극을 가지는 고리형상이며, 외경과 내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디텐트자석은 상기 자석의 극성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가 구비된다.
또한, 베이스는 상부에 상기 허브의 위치를 감지하는 홀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코일로 인가되는 전원의 인가방향을 조정하는 구동IC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코일은 상기 디텐트자석에 의한 디텐트력으로 인해 상기 자석의 극과 극의 중심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디텐트자석은 상기 자석과 대면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디텐트자석은 상기 자석의 내경쪽으로 치우쳐서 배치된다.
또한, 디텐트자석은 상기 자석의 내경에 인접하며, 상기 자석의 폭의 1/3 지점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또한, 디텐트자석은 상기 자석의 외경쪽으로 치우쳐서 배치된다.
또한, 디텐트자석은 상기 자석의 외경에 인접하며, 상기 자석의 폭의 1/3 지 점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또한, 디텐트자석은 상기 자석의 가운데에 배치된다.
또한, 디텐트자석은 상기 자석과 비대면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디텐트자석은 상기 자석의 내경의 축중심에 근접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또한, 디텐트자석은 상기 자석의 외경을 벗어난 바깥쪽에 배치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자석의 극과 극의 중심에 코일을 정지시킬 수 있는 디텐트자석을 구비함으로써, 항상 최대의 기동토크를 발생시키는 위치에 코일을 배치할 수 있어 기동토크를 최대로 확보할 수 있으며 불기동점을 완벽히 제거할 수 있는 진동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진동모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100)는 베이스(110)에 직교하게 삽입설치된 고정축(12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베어링(130)과, 베어링(130)에 결합되며 테두리부에 편심부재(141)를 구비하는 허브(140)와, 허브(140)에 장착되어 전기장이 형성되는 코일(150)과, 베이스(110)에 장착되며 코일(150) 사이의 전자기력으로 허브(140)를 회전시키는 2n개의 극을 가지는 자석(160)과, 허브(140)에 장착되고 자석(160)의 극과 극의 중심에 코일(150)을 정지시킬 수 있는 디텐트력을 발생시키는 디텐트자석(170)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100)는 허브(140)의 하부에 회전자 전류의 교번을 발생시키는 정류자가 형성된 PCB 기판(142)과 베이스(110) 측에 형성된 브러시(143)를 더 구비한다.
허브(140)는 PCB 기판(142)의 상부에 코일(150)과 디텐트자석(170)과 편심부재(141)을 장착하고 플라스틱과 같은 주조물로 주조된다. 코일(150)의 중앙부 아래의 PCB 기판(142)에는 홀이 형성되어 코일(150)과 자석(160) 사이의 원활한 전자기력 형성에 기여한다. 편심부재(141)는 철과 같은 중량체를 사용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100)의 자석(160)은 2n개의 극을 가지는 고리형상이며, 외경(161)과 내경(162)을 구비한다.
디텐트자석(170)은 자석(160)의 극성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를 구비하며, 코일(150)은 디텐트자석(170)에 의한 디텐트력으로 인해 자석(160)의 극과 극의 중심에 위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없는 BLDC 진동모터(200)를 도시한 것으로, BLDC 진동모터(200)는 베이스(210)에 직교하게 삽입설치된 고정축(22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베어링(230)과, 베어링(230)에 결합되며 테두리부에 편심부재(241)를 구비하는 허브(240)와, 베이스(210)에 장착되어 전기장이 형성되는 코일(250)과, 허브(240)에 장착되며 코일(250) 사이의 전자기력으로 허브(240)를 회전시키는 2n개의 극을 가지는 자석(260)과, 베이스(210)에 장착되고 자석(260)의 극과 극의 중심에 코일(250)을 정지시킬 수 있는 디텐트력을 발생시키는 디텐트자석(270)을 구비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200)의 자석(260)은 2n개의 극을 가지는 고리형상이며, 외경(261)과 내경(262)을 구비한다.
디텐트자석(270)은 자석(260)의 극성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를 구비한다.
베이스(210)는 상부에 허브(240)의 위치를 감지하는 홀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코일(250)로 인가되는 전원의 인가방향을 조정하는 구동IC(211)를 더 구비한다. 홀센서가 매립된 구동IC(211)는 브러쉬가 있는 진동모터의 브러쉬의 역할을 한다.
코일(250)은 디텐트자석(270)에 의한 디텐트력으로 인해 자석(260)의 극과 극의 중심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100,200)의 디텐트자석(170, 270)은 자석(160, 260)과 대면되는 위치에 배치되거나, 자석(160,260)의 가운데에 배치되거나, 비대면위치에 배치된다.
디텐트자석(170,270)이 자석(160,260)과 대면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디텐트자석(170,270)은 자석(160,270)의 내경(162, 262)쪽으로 치우쳐서 배치되거나 외경(161,261)쪽으로 치우쳐서 배치된다.
디텐트자석(170,270)이 자석(160,270)의 내경(162,262)쪽으로 치우칠 경우 자석(160,260)의 폭의 1/3 지점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디텐트자석(170,270)이 자석(160,270)의 외경(161,261)쪽으로 치우칠 경우 자석(160,260)의 폭의 1/3 지점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또한, 디텐트자석(170,270)이 자석(160,260)과 비대면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디텐트자석(170,270)은 자석(160,260)의 내경(162,262)의 축중심에 근접하게 배치되거나, 자석(160,260)의 외경(161,261)을 벗어난 바깥쪽에 배치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100,200)의 디텐트자석(170,270)의 배치와 코일(150,250)의 배치를 나타낸 위치관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텐트자석(170,270)이 2n극의 극성을 가지면 코일(150,250)이 멈추는 위치는 항상 극과 각의 중심이다.
따라서 코일(150,250)을 항상 정확한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으며 오차 또한 자성체 절편 또는 돌기에 비해 월등하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진동모터(100,200)는 항상 최대의 기동토크를 발생시키는 위치에 코일(150,250)을 배치함으로써 기동토크를 최대로 확보할 수 있으며 불기동점을 완벽히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를 나타낸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의 자석을 나타낸 상세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의 자석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를 나타낸 전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의 자석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진동모터에 대한 자석배치를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종래기술의 진동모터에 대한 자석배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200: 진동모터 110,210: 베이스
120,220: 고정축 130,230: 베어링
140,240: 허브 150,250: 코일
160,260: 자석 170,270: 디텐트자석

Claims (19)

  1. 베이스에 직교하게 삽입설치된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베어링;
    상기 베어링이 결합되며 테두리부에 편심부재를 구비하는 허브;
    상기 허브에 장착되어 전기장이 형성되는 코일;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코일 사이의 전자기력으로 상기 허브를 회전시키는 2n개의 극을 가지는 자석; 및
    상기 허브에 장착되고 상기 자석의 극과 극의 중심에 상기 코일을 정지시킬 수 있는 디텐트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하부에 회전자 전류의 교번을 발생시키는 정류자가 형성된 PCB 기판과 상기 베이스측에 장착된 브러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2n개의 극을 가지는 고리형상이며, 외경과 내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자석은 상기 자석의 극성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모터의 비구동시 상기 디텐트자석에 의한 디텐트력으로 인해 상기 자석의 극과 극의 중심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6. 베이스에 직교하게 삽입설치된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베어링;
    상기 베어링에 결합되며 테두리부에 편심부재를 구비하는 허브;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어 전기장이 형성되는 코일;
    상기 허브에 장착되며 상기 코일 사이의 전자기력으로 상기 허브를 회전시키는 2n개의 극을 가지는 자석; 및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자석의 극과 극의 중심에 상기 코일을 정지시킬 수 있는 디텐트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2n개의 극을 가지는 고리형상이며, 외경과 내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자석은 상기 자석의 극성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부에 상기 허브의 위치를 감지하는 홀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코일로 인가되는 전원의 인가방향을 조정하는 구동IC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디텐트자석에 의한 디텐트력으로 인해 상기 자석의 극과 극의 중심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11. 청구항 1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자석은 상기 자석과 대면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자석은 상기 자석의 내경쪽으로 치우쳐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자석은 상기 자석의 내경에 인접하며, 상기 자석의 폭의 1/3 지점에 근접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자석은 상기 자석의 외경쪽으로 치우쳐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자석은 상기 자석의 외경에 인접하며, 상기 자석의 폭의 1/3 지점에 근접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자석은 상기 자석의 가운데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17. 청구항 1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자석은 상기 자석과 비대면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자석은 상기 자석의 내경의 축중심에 근접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자석은 상기 자석의 외경을 벗어난 바깥쪽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KR1020090032123A 2009-04-14 2009-04-14 진동모터 KR101055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123A KR101055493B1 (ko) 2009-04-14 2009-04-14 진동모터
US12/538,793 US8106552B2 (en) 2009-04-14 2009-08-10 Vibration motor
CN2009101737423A CN101867277B (zh) 2009-04-14 2009-09-11 振动电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123A KR101055493B1 (ko) 2009-04-14 2009-04-14 진동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693A true KR20100113693A (ko) 2010-10-22
KR101055493B1 KR101055493B1 (ko) 2011-08-08

Family

ID=4293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123A KR101055493B1 (ko) 2009-04-14 2009-04-14 진동모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06552B2 (ko)
KR (1) KR101055493B1 (ko)
CN (1) CN10186727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2363A (ko) * 2015-04-14 2016-10-24 신성호 충격진동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4161B2 (en) * 2009-12-23 2012-04-10 Sunonwealth Electric Machine Industry Co., Ltd. Miniature motor
KR101240676B1 (ko) * 2011-12-26 2013-03-11 삼성전기주식회사 단상 진동 모터
KR101240701B1 (ko) * 2012-01-20 2013-03-11 삼성전기주식회사 단상 진동 모터
KR101516056B1 (ko) * 2012-12-06 2015-05-04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진동모터
US9024506B2 (en) * 2013-01-25 2015-05-05 Yen Sun Technology Corp. Motor with rotor positioning component
US9024497B2 (en) * 2013-01-25 2015-05-05 Yen Sun Technology Corp. Motor with rotor positioning component
DE102014108923B4 (de) * 2014-06-25 2024-02-15 Bürkert Werke GmbH Ventilantrieb, Ventil sowie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Ventilantriebs
US10862368B2 (en) * 2016-07-19 2020-12-08 Sang-eui LEE Brushless direct current vibration motor having cogging plates for optimized vibrations
CN206341118U (zh) * 2016-10-25 2017-07-18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振动电机
DE102019207070A1 (de) * 2019-05-15 2020-11-19 Thyssenkrupp Ag Rotorpositionssensor und Lenk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m Rotorpositionssenso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8690A (en) * 1973-11-21 1974-06-25 Timex Corp Stepping motor for watch movement
US4367049A (en) * 1977-09-02 1983-01-04 Ebauches S.A. Driving device especially for a timepiece
DE3207101C1 (de) * 1982-02-27 1983-10-06 Dornier System Gmbh Schrittmotor
US5126605A (en) * 1991-04-25 1992-06-30 Tri-Tech, Inc. Oscillating stepper motor
KR100284879B1 (ko) * 1998-09-28 2001-03-15 이형도 단상의 진동모터
JP3615117B2 (ja) * 2000-04-12 2005-01-26 株式会社昴 扁平型振動モータ
US6573627B2 (en) * 2001-06-21 2003-06-03 Risun Expanse Corp. DC brushless voice-coil vibration motor
KR100431061B1 (ko) * 2002-03-22 2004-05-10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모터
US20040104631A1 (en) * 2002-12-03 2004-06-03 Tokyo Parts Industrial Co., Ltd. Brushless vibration motor
KR100512301B1 (ko) * 2002-12-30 2005-09-02 삼성전기주식회사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KR100731322B1 (ko) * 2004-08-30 2007-06-21 자화전자 주식회사 편심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를 이용한 편평형 브러시리스진동모터
JP3125496U (ja) * 2005-07-13 2006-09-21 大星電機工業株式會社 Bldc振動モーター
CN201018384Y (zh) * 2007-03-16 2008-02-06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无刷振动电机
US8154161B2 (en) * 2009-12-23 2012-04-10 Sunonwealth Electric Machine Industry Co., Ltd. Miniature mo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2363A (ko) * 2015-04-14 2016-10-24 신성호 충격진동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67277A (zh) 2010-10-20
US8106552B2 (en) 2012-01-31
KR101055493B1 (ko) 2011-08-08
US20100259114A1 (en) 2010-10-14
CN101867277B (zh)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493B1 (ko) 진동모터
US8115354B2 (en) Brushless vibration motor
JP5395050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US6573627B2 (en) DC brushless voice-coil vibration motor
KR100739207B1 (ko) Bldc 진동모터
US20130069495A1 (en) Switched reluctance motor
US20080143210A1 (en) Three-phase motor stator
JP2005137036A (ja) 軸方向空隙型単相ブラシレスモータ
JP2000050604A (ja) 軸方向空隙型ブラシレス軸流ファンモータ
TW200945735A (en) Fan and motor thereof
JP2007104740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KR20030048581A (ko)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 모터
JP4538290B2 (ja) 振動モータ
JP2004343876A (ja) モータとそれを用いた送風機
JP4563127B2 (ja) 振動モータ
KR101267785B1 (ko) 편심요크를 갖춘 2상 bldc 진동모터
JPH0370447A (ja) 単相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KR100403974B1 (ko) 휴대용 통신기기의 진동모터
JP2000050605A (ja) 軸方向空隙型ブラシレスファンモータ
JP2002186902A (ja) 直流モータ及びその電機子構造
JP3985964B2 (ja) ディテントトルク発生手段を有するステータと同ステータ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ブラシレスモータ
JP2010119279A (ja) 振動モーター
KR101802315B1 (ko) 분동내장 회전 진동모터
JP2006341207A (ja) 振動モータ
KR101671159B1 (ko) Bldc 진동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