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207B1 - Bldc 진동모터 - Google Patents

Bldc 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207B1
KR100739207B1 KR1020060065094A KR20060065094A KR100739207B1 KR 100739207 B1 KR100739207 B1 KR 100739207B1 KR 1020060065094 A KR1020060065094 A KR 1020060065094A KR 20060065094 A KR20060065094 A KR 20060065094A KR 100739207 B1 KR100739207 B1 KR 100739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gging torque
vibration motor
rotor
bldc vibration
bld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8426A (ko
Inventor
백명호
김동욱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5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207B1/ko
Publication of KR20070008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15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effect or magneto-resis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K29/06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 H02K29/08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using 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plates, magneto-resis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75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crankshafts or eccentr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rushless Motors (AREA)
  •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상 구동방식의 BLDC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발명은, 불기동점이 존재하는 단상 구동방식의 BLDC진동모터의 브라켓을 연자성체로 구성하는 한편, 연자성체로 이루어진 브라켓상에 절개부를 통해 소정의 등간격이 유지되는 코깅토크 발생부를 구성함으로써, 회전자의 마그네트 자극이 밸런스를 유지하는 위치에서 회전자의 회전을 정지시켜 회전자의 회전토크와 초기 기동시의 성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BLDC진동모터에서 초래되는 불기동점을 해결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구축하고, 종래 BLDC진동모터에서와 동일 외경 및 두께에서 높은 진동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소형 및 박형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BLDC 진동모터를 제공한다.
BLDC진동모터, 코깅토크, 코일토크, 커버플레이트, 마그네트, 백요크

Description

BLDC 진동모터{Vibrator motor for Brushless Direct Curr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BLDC진동모터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도 1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회전자에 대한 정지위치의 최적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비자성체인 브라켓에 연자성체인 절편이 결합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도 4의 결합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나타난 연자성체인 절편의 제 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 연자성체인 브라켓에 비자성체인 커버절편이 삽입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 도 7의 결합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로 비자성체인 브라켓과 연자성체인 코깅토크 절편이 삽입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로 도 9의 결합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로 하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코깅토크 절편과 결합되는 브라켓에 하나의 절개부를 구성한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 20,20'; 브라켓
21,21'; 절개부 30; 고정자
31; 회로기판 32; 코일
33; 제어부 40; 회전자
41; 회전자몸체 42; 마그네트
43; 웨이트 44; 백요크
50; 고정축 51; 와셔
52; 메탈베어링 60; 코깅토크 발생부
61,61'; 돌기부 62,63; 코깅토크 절편
63a; 축관통홀 64; 금속테이프
70; 커버플레이트 80; 커버절편
본 발명은 단상 구동방식의 BLDC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불기동점이 존재하는 단상 구동방식의 편평형 진동모터에서 코깅토크(cogging torque)를 발생시켜 회전자의 회전토크는 물론, 초기 기동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BLDC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통신기술 발달과 함께 대중들에게 가장 널리 보급된것 중에 하나가 이동통신단말기이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는 그 크기가 갈수록 작아져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음성 및 데이타(Data)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 유선통신기기의 영역을 상당부분 대체하면서 새로운 통신장비로서 자리를 굳혀가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는 일반 유선전화기와는 달리 공공장소에서도 통 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벨(Bell)소리 등과 같은 소리신호 외에 사용자만 알 수 있도록 하는 진동모드와 같은 별도의 착신신호가 필요하다.
근래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진동모드의 사용 빈도 증가에 따른 고수명화, 고신뢰성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브러시레스 DC(BLDC) 진동모터는 크게 상부의 케이스(Case)와 하부의 브라켓(Bracket)으로 구성되는 본체와,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와의 상호 자기작용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자 및 상기 회전자의 중앙에 형성되는 고정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자는 다시 PCB(Printed Circuit Board;이하 회로기판으로 약칭)와 코일, 홀소자 구동IC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자는 금형틀에 백요크(Back Yoke)와 마그네트(Magnet) 및 웨이트(Weight)를 인써트(Insert)시키고, 합성수지재를 압입하여 일체로 형성된 회전자몸체를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회전자의 회전을 필요에 따라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멈춤 토크(detent torque)용 즉, 코깅토크 발생수단의 하나인 스토퍼(Stopper)를 회로기판을 관통시켜 형성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코깅토크 발생수단인 스토퍼는 마그네트의 자극 중심을 끌어당겨 회전자를 정지시키는 구조인 바, 이는 회전자의 정지 위치가 산포되는 문제를 야기하였으며, 이는 곧 구동IC의 데드 포인트(dead point)에 따른 불기동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못하였다.
즉, 상기의 불기동점은 단상 진동모터에서 마그네트의 극중심이 코일의 자기 중심과 일치되는 시점에서 코일토크가 제로상태로 되어 기동이 일어나지 않게 되는 위치를 말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불기동점 해소를 위해 코깅토크 발생수단으로서 스토퍼를 사용하였지만, 상기 스토퍼는 회전자의 정지위치가 산포되는 현상으로 인해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는 못하였던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스토퍼를 제외한 브라켓 바닥면과 마그네트의 상호 흡입력으로 인해 회전자가 정위치에서 정지하는 동작이 간섭을 받게 됨으로써, 회전자의 회전 토크가 약하거나 또는 초기 기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불기동점이 존재하는 단상 구동방식의 BLDC진동모터의 브라켓을 연자성체로 구성하는 한편, 연자성체로 이루어진 브라켓상에 절개부를 통해 소정의 등간격이 유지되는 코깅토크 발생부를 구성함으로써, 회전자의 마그네트 자극이 밸런스를 유지하는 위치에서 회전자의 회전을 정지시켜 회전자의 회전토크와 초기 기동시의 성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BLDC진동모터에서 초래되는 불기동점을 해결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구축하고, 종래 BLDC진동모터에서와 동일 외경 및 두께에서 높은 진동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소형 및 박형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BLDC 진동모터를 제공하려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BLDC 진동모터는,
상부의 케이스와 하부의 브라켓 사이에 고정자 및 회전자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자의 중앙에 고정축을 형성한 BLDC 진동모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회로기판의 상면에 사다리꼴 형상을 가진 하나 이상의 코일과, 홀소자와 구동IC의 기능을 하는 칩(Chip)형태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회전자는 수지재의 회전자몸체에 마그네트(Magnet)와 웨이트(Weight) 및, 자기누설의 차폐와 자기평형을 위한 연자성체의 백요크(Back Yoke)를 인서트 구성하며,
상기 브라켓은 연자성체로서 회전자를 필요에 따라 정위치에 정지시키도록 절개부를 통해 소정의 등간격이 유지되는 개수의 코깅토크 발생부를 일체화되게 형성하고,
상기 코깅토크 발생부가 형성된 브라켓의 일면에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원판형의 커버플레이트를 설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코깅토크 발생부는, 코깅 토크의 세기를 강화하기 위한 돌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코깅토크 발생부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면서 절개부가 마련되지 않은 환형 판상체의 브라켓에 연자성체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코깅토크 절편을 소정의 등간격이 유지되도록 결합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중심부에 축관통홀이 마련되고, 상기 축관통홀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는 하나의 구조물로서 코깅토크 절편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코깅토크 절편은 비자성체인 브라켓의 일면에 금속테이프를 통해 그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코깅토크 절편은 회로기판의 일면에 금속테이프를 통해 그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코깅토크 발생부는,
Figure 112006049615139-pat00001
의 개수로 등간격이 유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코깅토크 발생부의 중심부분은 권선된 코일의 중심부분에서 소정각도 벗어나도록 그 설치위치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BLDC진동모터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도 1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회전자에 대한 정지위치의 최적화 상태도 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BLDC진동모터는 케이 스(10), 브라켓(20), 고정자(30), 회전자(40), 고정축(50) 그리고, 코깅토크 발생부(60)와 커버플레이트(7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는 캡 형태로서 상기 브라켓(20)과 고정축(50)을 덮도록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20)은 연자성체로 그 중앙에 상기 고정축(50)이 삽입되는 축지지대(22)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축지지대(22)를 중심으로
Figure 112006049615139-pat00002
의 개수로 등간격을 유지하는 코깅토크 발생부(60)를 마련시키는 절개부(21)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자(30)는 브라켓(20)의 상면에 고정되는 구조로, 이는 회로기판(31)의 상면에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면서 소정의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코일(32)과, 홀소자와 구동IC의 기능을 하는 칩 형태의 제어부(3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3)는 후술하는 마그네트(42)의 극성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마그네트(42)의 극성에 따라 상기 코일(32)의 전류방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자(40)는 수지재의 회전자몸체(41)에 소정의 극수를 가진 마그네트(42)와 웨이트(43)가 인서트 방식으로 구성됨은 물론, 자기누설의 차폐와 자기평형을 위한 연자성체의 백요크(44)를 인서트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자(30)와의 상호 자기작용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케이스(10)내에 마련된다.
상기 마그네트(42)는 코일(32)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과 상호 작용하여 인력 및 척력 등의 힘을 발생시키고 이 힘에 의해 소정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고정축(50)은 상기 브라켓(20)에 마련된 축지지대(22)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은 케이스(10)의 축홈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자(4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와셔(51)에 의해 미끄럼이 지지된다.
더불어, 상기 축지지대(22)에 끼워진 고정축(50)에는 메탈베어링(52)이 결합되는데, 상기 메탈베어링(52)은 회전자몸체(41)의 중앙과 고정축(50) 사이에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축(50)에 압입 고정된다.
상기 코깅토크 발생부(60)는 상기 회전자(40)와 고정자(30)의 위치변화에 따른 공극에서의 자기저항 변화에 따라 코깅토크를 발생시키면서 상기 마그네트(42)의 자극이 밸런스를 유지하는 위치에서 회전자(40)의 회전이 정지하도록 코깅토크를 발생하는 것으로, 상기 브라켓(20)과 일체화된 구조이며, 이는 상기 브라켓(20)에 마련된 절개부(21)에 의해 소정의 등간격을 유지하는 개수로서 설계되고, 그 등간격을 유지하는 개수는 회전자(40)에 포함된 마그네트(42)의 극수/2에 대응된다.
일예로, 마그네트(42)가 4극일 경우 상기 코깅토크 발생부(60)는 180°의 등간격을 유지하는 개수(2개)로 설계되고, 상기 마그네트(42)가 6극일 경우에는 상기 코깅토크 발생부(60)는 120°의 등간격을 유지하는 개수(3개)로 설계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소정의 등간격을 유지하는 각각의 코깅토크 발생부(60)에는 코깅 토크의 세기를 강화하기 위한 돌기부(61)가 구성되는 한편, 그 중심부분은 권선된 코일(32)의 중심부분에서 소정각도 벗어나도록 그 설치위치가 설정되도 록 구성하였다.
상기 커버플레이트(70)는 상기 코깅토크 발생부(60)가 형성된 브라켓(20)의 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비자성체로서 외부로부터 BLDC진동모터의 내부 부품을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코일(32)의 위상각도와 배치각도를 각각 도 3에서와 같이 α, β로 배치한 상태에서, 제어부(33)도 소정의 각도로 설치한 후, 상기 코일(32)의 중심에서 중심부분이 벗어나도록 연자성체로 이루어진 브라켓(20)에 절개부(21)를 만들면서 소정의 등간격을 유지하는 개수의 코깅토크 발생부(60)를 일체화시킨다.
이후, BLDC진동모터에 전류를 인가하면, 상기의 전류는 회로기판(31)을 통해, 상기 회로기판(31)에 형성된 제어부(33)와 권선된 2개의 코일(32)에 인가된다.
이때, 전원이 인가된 상기 제어부(33)는 마그네트(42)의 극성(N,S)을 감지하여 코일(32)의 전류 방향을 결정한 후, 상기 코일(32)에 전류를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코일(32)은 여자되어 상기 마그네트(42)와의 상호 자기작용에 의해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마그네트(42), 웨이트(43), 백요크(44), 메탈베어링(52)으로 일체화된 회전자몸체(41)가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자몸체(41)는 웨이트(43)의 하중이 언밸런스(Unbalance)함에 따라 편심 회전함으로써 무음 착신신호인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코일(32)에서의 자기중심과 마그네트(42)의 자기중심이 일치되면 자기중심 위치인 불기동점에서 토크가 약화되어 정지되거나 초기 기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20)에 절개부(21)를 형성한 후, 상기 절개부(21)를 통해 소정의 등간격을 유지하면서 돌기부(61)가 형성된 코깅토크 발생부(60)를 상기 마그네트(42)의 극성에 반비례하는 개수 즉,
Figure 112006049615139-pat00003
의 개수로 등간격을 유지하는 코깅토크 발생부(60)를 마련하면서, 상기 코깅토크 발생부(60)의 중심부분이 코일(32)의 중심부분이 서로 벗어나는 각도로 그 위치를 설정한다.
그러면, 상기 마그네트(42)의 자극과 대향되는 위치의 코일(32)측의 토크에 의한 자속과 돌기부(61)에 의해 코깅토크의 세기가 보완된 코깅토크 발생부(60)측의 코깅토크에 의한 자속이 합성되어 마그네트(42)의 자기중심과 상호 어긋나게 되고, 이는 곧 전자기력의 특성으로 인해 회전자(40)의 초기 불기동이 없어지면서 자기기동을 통한 회전을 계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자기중심의 상호 어긋남에 따라 코깅토크 발생부(60)는 회전자(40)가 회전시 코일(32)의 토크가 최하로 떨어지는 지점인 모터의 불기동점에서 코깅토크를 발생시키게 되는 바,
상기 코깅토크가 코일토크에 합쳐지면서 BLDC진동모터의 전체 토크는 불기동점에서 제로가 되지 않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회전자(40)의 마그네트(42)가 상기 코일(32) 및 코깅토크 발생부(60)와 상호 전자기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자(40)의 백요크(44)의 일측에 설치되는 웨이트(43)로 인하여, 상기 회전자(40)는 편심을 일으키면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이는 환형 판상체의 브라켓(20')을 절개부가 마련되지 않은 비자성체로 구성한 후, 상기 브라켓(20')의 평면상에 연자성체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코깅토크 절편(62)을 소정의 등간격이 유지되도록 결합 구성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이는 하나의 구조물로서 코깅토크 절편(63)을 구성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6의 코깅토크 절편(63)은 중심부에 축관통홀(63a)이 마련된 상태에서, 상기 축관통홀(63a)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의 구조를 가진 것이며,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와 그 작용효과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더불어, 상기 도 6의 코깅토크 절편(63)은 축관통홀(63a)을 중심으로 120°의 각도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절편이 배치되는 하나의 구조물로 설계할 수 있으며, 이는 이는
Figure 112006049615139-pat00004
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이때,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코깅토크 절편(62)(63)은 비자성체인 브라켓(20')의 일면에 양면성을 가진 금속테이프(64)로 접착되거나, 또는 회로기판(31)의 일면에 상기 금속테이프(64)로 그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한편, 도 7,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 도 1과 같이 연자성체로 이루어진 브라켓(20)의 저면에 비자성체로서 원판형의 커버플레이트(70)를 결합시키는 것이 아니라, 연자성체인 브라켓(20)에 마련된 복수의 절개부(21)에 비자성체인 복수의 커버절편(80)을 삽입 구성한 것이다.
즉, 도 7,8의 실시예에서는 연자성체로 이루어진 브라켓(20)에 마련된 소정형상의 절개부(21)에 각각 비자성체인 커버절편(80)을 삽입방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커버절편(80)으로부터 코깅토크 발생부(60)의 등간격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커버절편(80)은 브라켓(20)에 마련되는 절개부(21)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이고,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 1 내지 도 3과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였다.
한편, 도 9,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로, 이는 비자성체인 환형 판상체의 브라켓(20')에 소정 개수의 절개부(21')를 구성하고, 상기 절개부(21')에 연자성체로 이루어진 코깅토크 절편(62)을 삽입 결합시킨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인 도 9,10은 비자성체인 환형 판상체의 브라켓(20')에 마련된 절개부(21')에 각각 연자성체인 코깅토크 절편(62)을 삽입방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코깅토크 절편(62)이 브라켓(20')에서 절개되지 않은 부분에 의해 항상 일정한 등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 4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20')에 마련되는 절개부(21')는 그 형상이 도 9에서와 같이 코깅토크 절편(62)의 형상에 따라 소정개수로 구성되거나,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인 도 11에서와 같이 하나의 구조물을 이루는 코깅토크 절편(63)에 대응되는 형상의 절개부(21")로 구성되는 등, 상기 코깅토크 절편(62)(63)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첨부된 도 4 내지 도 6과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불기동점이 존재하는 단상 구동방식의 BLDC진동모터의 브라켓을 연자성체로 구성하는 한편, 연자성체로 이루어진 브라켓상에 절개부를 통해 소정의 등간격이 유지되는 코깅토크 발생부를 구성함으로써, 회전자의 마그네트 자극이 밸런스를 유지하는 위치에서 회전자의 회전을 정지시켜 회전자의 회전토크와 초기 기동시의 성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BLDC진동모터에서 초래되는 불기동점을 해결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구축하고, 종래 BLDC진동모터에서와 동일 외경 및 두께에서 높은 진동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소형 및 박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24)

  1. 상부의 케이스와 하부의 브라켓 사이에 고정자 및 회전자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자의 중앙에 고정축을 형성한 BLDC 진동모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회로기판의 상면에 사다리꼴 형상을 가진 하나 이상의 코일과, 홀소자와 구동IC의 기능을 하는 칩형태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회전자는 수지재의 회전자몸체에 마그네트와 웨이트 및, 자기누설의 차폐와 자기평형을 위한 연자성체의 백요크를 인서트 구성하며,
    상기 브라켓은 연자성체로서 회전자를 필요에 따라 정위치에 정지시키도록 절개부를 통해 소정의 등간격이 유지되는 개수의 코깅토크 발생부를 일체화되게 형성하고,
    상기 코깅토크 발생부가 형성된 브라켓의 일면에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원판형의 커버플레이트를 설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BLDC 진동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깅토크 발생부는 코깅 토크의 세기를 강화하기 위한 돌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BLDC 진동모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깅토크 발생부의 중심부분은 권선된 코일의 중심부분에서 소정각도 벗어나도록 그 설치위치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BLDC 진동모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깅토크 발생부는
    Figure 112006049615139-pat00005
    의 개수로 등간격이 유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BLDC 진동모터.
  5. 상부의 케이스와 하부의 브라켓 사이에 고정자 및 회전자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자의 중앙에 고정축을 형성한 BLDC 진동모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회로기판의 상면에 사다리꼴 형상을 가진 하나 이상의 코일과, 홀소자와 구동IC의 기능을 하는 칩 형태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회전자는 수지재의 회전자몸체에 마그네트와 웨이트 및, 자기누설의 차폐와 자기평형을 위한 연자성체의 백요크를 인서트 구성하며,
    상기 브라켓은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환형 판상체로 구성하되, 상기 브라켓의 내측 평면상에는 코깅토크를 발생시키도록 연자성체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코깅토크 절편을 소정의 등간격이 유지되도록 결합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BLDC 진동모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깅토크 절편은 중심부에 축관통홀이 마련되고, 상기 축관통홀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는 하나의 구조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BLDC 진동모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깅토크 절편은 코깅 토크의 세기를 강화하기 위한 돌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BLDC 진동모터.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깅토크 절편의 중심부분은 권선된 코일의 중심부분에서 소정각도 벗어나도록 그 설치위치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BLDC 진동모터.
  9.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깅토크 절편은 비자성체인 브라켓의 일면에 금속테이프를 통해 그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BLDC 진동모터.
  10.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깅토크 절편은 회로기판의 일면에 금속테이프를 통해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BLDC 진동모터.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깅토크 절편은
    Figure 112006049615139-pat00006
    의 개수로 등간격이 유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BLDC 진동모터.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깅토크 절편은
    Figure 112006049615139-pat00007
    에 의해 축관통홀을 중심으로 120°의 각도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배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DC 진동모터.
  13. 상부의 케이스와 하부의 브라켓 사이에 고정자 및 회전자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자의 중앙에 고정축을 형성한 BLDC 진동모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회로기판의 상면에 사다리꼴 형상을 가진 하나 이상의 코일과, 홀소자와 구동IC의 기능을 하는 칩형태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회전자는 수지재의 회전자몸체에 마그네트와 웨이트 및, 자기누설의 차폐와 자기평형을 위한 연자성체의 백요크를 인서트 구성하며,
    상기 브라켓은 연자성체로서 회전자를 필요에 따라 정위치에 정지시키도록 절개부를 통해 소정의 등간격이 유지되는 개수의 코깅토크 발생부를 일체화되게 형성하고,
    상기 코깅토크 발생부가 형성된 브라켓의 절개부에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커버절편을 결합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BLDC 진동모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코깅토크 발생부는 코깅 토크의 세기를 강화하기 위한 돌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BLDC 진동모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코깅토크 발생부의 중심부분은 권선된 코일의 중심 부분에서 소정각도 벗어나도록 그 설치위치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BLDC 진동모터.
  16. 제 13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깅토크 발생부는
    Figure 112006049615139-pat00008
    의 개수로 등간격이 유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BLDC 진동모터.
  17. 상부의 케이스와 하부의 브라켓 사이에 고정자 및 회전자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자의 중앙에 고정축을 형성한 BLDC 진동모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회로기판의 상면에 사다리꼴 형상을 가진 하나 이상의 코일과, 홀소자와 구동IC의 기능을 하는 칩 형태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회전자는 수지재의 회전자몸체에 마그네트와 웨이트 및, 자기누설의 차폐와 자기평형을 위한 연자성체의 백요크를 인서트 구성하며,
    상기 브라켓은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환형 판상체로 구성하되, 상기 환형 판상체에는 절개부를 구성하며,
    상기 절개부에는 소정의 등간격을 유지하면서 코깅토크를 발생시키는 연자성체의 코깅토크 절편을 결합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BLDC 진동모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코깅토크 절편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BLDC 진동모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코깅토크 절편은 중심부에 축관통홀이 마련되고, 상기 축관통홀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는 하나의 구조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BLDC 진동모터.
  20. 제 17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코깅토크 절편은 코깅 토크의 세기를 강화하기 위한 돌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BLDC 진동모터.
  21. 제 17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코깅토크 절편의 중심부분은 권선된 코일의 중심부분에서 소정각도 벗어나도록 그 설치위치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BLDC 진동모터.
  22. 제 17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하나의 구조물인 코깅토크 절편의 삽입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나의 구조물인 코깅토크 절편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BLDC 진동모터.
  23.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코깅토크 절편은
    Figure 112006049615139-pat00009
    의 개수로 등간격이 유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BLDC 진동모터.
  24. 제 17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코깅토크 절편은
    Figure 112006049615139-pat00010
    에 의해 축관통홀을 중심으로 120°의 각도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배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DC 진동모터.
KR1020060065094A 2005-07-13 2006-07-11 Bldc 진동모터 KR100739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094A KR100739207B1 (ko) 2005-07-13 2006-07-11 Bldc 진동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454 2005-07-13
KR20050063454 2005-07-13
KR1020060065094A KR100739207B1 (ko) 2005-07-13 2006-07-11 Bldc 진동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426A KR20070008426A (ko) 2007-01-17
KR100739207B1 true KR100739207B1 (ko) 2007-07-13

Family

ID=38010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094A KR100739207B1 (ko) 2005-07-13 2006-07-11 Bldc 진동모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125496U (ko)
KR (1) KR100739207B1 (ko)
CN (1) CN200962548Y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444B1 (ko) * 2008-05-30 2011-01-28 백명호 진동모터의 브라켓
KR101055493B1 (ko) * 2009-04-14 2011-08-08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모터
KR101267785B1 (ko) * 2013-01-25 2013-06-05 주식회사 영진하이텍 편심요크를 갖춘 2상 bldc 진동모터
KR101416971B1 (ko) * 2013-11-26 2014-08-07 주식회사 영진하이텍 편심요크가 브라켓에 장착된 고정자 및 bldc 진동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8874A (ja) * 2007-07-31 2009-02-19 Oki Micro Giken Kk ロータリーアクチュエータ
JP5368695B2 (ja) * 2007-11-20 2013-12-18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扁平形ブラシレスモータ
CN105490476B (zh) * 2016-01-21 2018-10-09 峰岹科技(深圳)有限公司 用于p个轴向磁场电机的单相绕组绕制方法、绕组结构、印刷电路板、电机
US10862368B2 (en) 2016-07-19 2020-12-08 Sang-eui LEE Brushless direct current vibration motor having cogging plates for optimized vibrations
KR101768988B1 (ko) * 2016-07-19 2017-08-17 이상의 브러시리스 직류 진동 모터
KR101707112B1 (ko) * 2016-07-19 2017-02-27 이상의 브러시리스 직류 진동 모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3041A (ja) * 1994-01-18 1995-08-11 Shicoh Eng Co Ltd 単相ブラシレスモ−タ
KR20000007641A (ko) * 1998-07-06 2000-02-07 이형도 편편형 진동모터
KR20040060154A (ko) * 2002-12-30 2004-07-06 삼성전기주식회사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3041A (ja) * 1994-01-18 1995-08-11 Shicoh Eng Co Ltd 単相ブラシレスモ−タ
KR20000007641A (ko) * 1998-07-06 2000-02-07 이형도 편편형 진동모터
KR20040060154A (ko) * 2002-12-30 2004-07-06 삼성전기주식회사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444B1 (ko) * 2008-05-30 2011-01-28 백명호 진동모터의 브라켓
KR101055493B1 (ko) * 2009-04-14 2011-08-08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모터
KR101267785B1 (ko) * 2013-01-25 2013-06-05 주식회사 영진하이텍 편심요크를 갖춘 2상 bldc 진동모터
KR101416971B1 (ko) * 2013-11-26 2014-08-07 주식회사 영진하이텍 편심요크가 브라켓에 장착된 고정자 및 bldc 진동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426A (ko) 2007-01-17
JP3125496U (ja) 2006-09-21
CN200962548Y (zh) 200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207B1 (ko) Bldc 진동모터
JP5368695B2 (ja) 扁平形ブラシレスモータ
US6636007B2 (en) DC brushless vibration motor
JP2002064949A (ja) 電動機
JP4964496B2 (ja) 振動装置
US7605501B2 (en) Stepping motor and fan having the same
EP1619775B1 (en) Vibration-genera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JP4822214B2 (ja) インナーロータ型振動モータ
KR101416971B1 (ko) 편심요크가 브라켓에 장착된 고정자 및 bldc 진동모터
KR200381707Y1 (ko) 브러쉬 레스 편평형 진동모터 구조
KR101011444B1 (ko) 진동모터의 브라켓
JP3830149B2 (ja) 多機能ステップモータ
KR100458558B1 (ko) 원판형 단상 브러시리스 진동 모터
JP4565133B2 (ja) インナーロータ型振動モータ
JPH0370447A (ja) 単相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KR200367224Y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0797279B1 (ko) Dc 무브러시 진동 모터
GB2385210A (en) Structure for a DC brushless motor
KR100979720B1 (ko) 진동모터의 스테이터
JP2000032707A (ja) 振動モータ
JP2003180067A (ja) Dcブラシレスモータとそれを使用するシールレスポンプ
JP2004336909A (ja) 多機能ステップモータ
KR20090124363A (ko) 진동모터의 로터
JP2001070884A (ja) 小型整流子モータ
JP2004336900A (ja) ブラシレスモーター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