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3654A -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3654A
KR20100113654A KR1020090032037A KR20090032037A KR20100113654A KR 20100113654 A KR20100113654 A KR 20100113654A KR 1020090032037 A KR1020090032037 A KR 1020090032037A KR 20090032037 A KR20090032037 A KR 20090032037A KR 20100113654 A KR20100113654 A KR 20100113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case
transparent film
base cas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0996B1 (ko
Inventor
이상호
서성기
Original Assignee
(주)쉘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쉘라인 filed Critical (주)쉘라인
Priority to KR1020090032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996B1/ko
Publication of KR20100113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43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for decorative purpo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구조 및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불량률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전자기기용 케이스 제조방법은 바탕케이스 및 내면에 부분적으로 표시부가 형성된 투명필름을 각각 제공하는 단계, 투명필름 및 바탕케이스를 금형 내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하는 단계, 및 투명필름 및 바탕케이스의 사이 이격 공간에 투명한 수지를 주입하여 소정 두께를 갖는 투명사출층을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투명필름은 표시부가 형성된 부위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투명하게 제공되며, 투명필름의 외부로 표시되는 바탕색은 바탕케이스에 의해 결정된다.
투명필름, 투명사출층, 바탕케이스, 표시부, 바탕색

Description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CASE OF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구조 및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불량률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의 케이스는 외형을 형성함과 동시에 외부 충격으로부터 내부 부품을 보호하고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됨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전자기기 케이스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인 전자기기 케이스는 통상의 사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아이엠엘(InMould Labelling; IML) 또는 아이엠디(InMould Decoration; IMD) 기술을 이용하여 필름부재를 인서트 사출하여 형성된 케이스에 대한 여러가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은 종래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사이도이고, 도 1은 종래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케이스는 투명필름 및 필름부재의 내면에 형성되는 케이스 몸체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케이스는 투명필름(30) 및 필름부재(30)의 내면에 형성되는 케이스 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투명필름(30)은 투명한 박판필름으로 제공되며, 상기 투명필름(30)의 내면에는 상표, 로고(40) 및 기호 등과 함께 바탕색 등을 표시하기 위한 인쇄층(2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인쇄층(20)은 투명필름(30)의 내면에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케이스의 바탕색을 이루도록 제공된다.
상기 케이스 몸체(10)는 투명필름(30)을 금형 내부에 배치시킨 상태로 투명필름(30)과 함께 인서트 사출됨으로써 투명필름(30)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바탕색을 표시하기 위한 인쇄층이 투명필름의 내면에 인쇄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제조 공정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불량률이 높고 수율이 낮아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에는 바탕색을 표시하기 위한 인쇄층의 인쇄공정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인쇄층의 인쇄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제조원가가 상승되고 수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바탕색을 표시하기 위한 인쇄층이 매우 얇은 두께를 갖는 투명필름의 내면에 인쇄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인쇄층이 깊이감(Spatial Depth)을 가지기 어렵고, 결과적으로 디자인의 한계성을 가지게 되어 급변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에는 투명필름의 내면에 형성되는 인쇄층에 의해 바탕색이 결정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인쇄층의 둘레 끝단부가 케이스 몸체의 파팅라인(parting line)에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경우 케이스의 측벽 끝단부에 해당하는 파팅라인(parting line) 부위에서 케이스 몸체가 외부로 노출되며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인쇄층의 둘레 끝단부와 케이스 몸체의 파팅라인을 정확하게 일치시키기가 매우 까다롭고 어려워 수율을 일정 이상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탕색을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인쇄공정을 배제할 수 있으며, 불량률을 저감시키고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탕색을 표시하는 바탕케이스가 깊이감(Spatial Depth)을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며, 디자인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측벽 끝단부분에 해당하는 파팅라인(parting line)에서의 불량을 최소화하고, 파팅라인을 보다 깔끔하게 구현할 수 있는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의 디자인 특성을 향상시키고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의 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만족감을 제고시킬 수 있는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기기용 케이스 제조방법은 바탕케이스 및 내면에 부분적으로 표시부가 형성된 투명필름을 각각 제공하는 단계, 투명필름 및 바탕케이스를 금형 내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하는 단계, 및 투명필름 및 바탕케이스의 사이 이격 공간에 투명한 수지를 주입하여 소정 두께를 갖는 투명사출층을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투명필름은 표시부가 형성된 부위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투명하게 제공되며, 투명필름의 외부로 표시되는 바탕색은 바탕케이스에 의해 결정된다.
참고로, 본발명에서는 바탕케이스를 먼저 성형한 후 투명필름과 바탕케이스의 사이에 투명사출층이 성형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투명필름의 내면에 투명사출층을 먼저 사출 성형한 후 투명사출층의 내면에 불투명사출을 사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는 로고, 상표, 기호, 문자, 무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 및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표시부는 통상의 인쇄방법에 의해 투명필름의 내면에 인쇄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표시부가 통상의 접착용 바인더를 이용하여 투명필름의 내면에 접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바탕케이스는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실질적으로 제품의 바탕색을 결정하게 된다. 또한, 투명필름을 마주하는 바탕케이스의 표면에는 반사면이 제공될 수 있다.
금형 내부에 배치되는 투명필름 및 바탕케이스 사이의 이격 간격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투명필름 및 바탕케이스 사이의 이격 간격에 의해 후술할 투명사출층의 두께가 결정될 수 있다. 아울러, 전체적인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1차 사출을 통해 금형 내부에 바탕케이스를 성형한 후, 성형된 바탕케이스를 금형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금형을 반전시킨 다음, 2차 사출에 필요한 상부 금형만 교환함으로써 금형 내부에 투명필름 및 바탕케이스가 배치되도록 한 이중사출공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내면에 부분적으로 표시부가 형성되며 표시부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투명하게 제공되는 투명필름, 투명필름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제공되는 바탕케이스, 및 투명필름 및 바탕케이스를 금형 내부에 배치하고 투명필름 및 바탕케이스의 사이 이격 공간에 투명한 수지를 주입하여 투명필름 및 바탕케이스 사이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투명사출층을 포함하고, 투명필름의 외부로 표시되는 바탕색은 바탕케이스에 의해 결정된다.
투명필름은 필름평면부 및 필름평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필름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고, 투명사출층은 투명평면부 및 투명평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투명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탕케이스는 불투명평면부 및 불투명평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불투명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필름측벽부는 투명측벽부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측벽부의 파팅라인(Parting line)에 인접한 구간에서 투명측벽부의 끝단부는 외부로 직접 노출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투명필름의 필름측벽부가 투명측벽부의 파팅라인에 정확하게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투명필름을 마주하는 바탕케이스의 표면에는 반사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반사면에 의해 상표 또는 로고와 같은 표시부는 미러(mirror) 방식으로 입체감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전자기기라 함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통상의 모든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라 함은 각종 정보를 영상 정보로 출력할 수 있는 통상의 디스플레이수단을 의미한다. 일 예로, 전자기기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 팩시밀리, 프린터, 유/무선전화기 등과 같은 전자기기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필름을 이용하여 로고나 문자, 기호의 손상 및 벗겨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인쇄층이 아닌 바탕케이스의 자체 색상에 의해 케이스의 바탕색이 결정될 수 있게 함으로써, 투명필름에 바탕색을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인쇄공정을 배제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의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인쇄공정에 따른 불량률을 저감시키고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필름과 바탕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투명사출층에 의해 바탕케이스가 소정 깊이감(Spatial Depth)을 가질 수 있게 함으로써, 고 급스런 분위기를 연출해낼 수 있으며, 다양한 디자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바탕케이스의 표면에 반사면을 제공하여 투명필름에 형성된 상표 또는 로고가 미러(mirror) 방식으로 입체감을 가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의 측벽 끝단부분에 해당하는 파팅라인(parting line)에서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파팅라인을 보다 깔끔하게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파팅라인의 불량에 따른 수율 저하를 방지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의 외관을 깔끔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만족감을 제고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케이스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케이스 제조에 사용되는 금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I-I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케이스(100)는 박판필름을 인서트한 상태로 초고속 이중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인 사출 방법(수지의 주입속도가 500㎜/s 내외인 경우)에 의해서는 매우 얇은 두께의 박막을 성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용융된 수지가 금형 내를 흐르게 되면 급속하게 유동성을 잃게 되므로, 수지의 주입속도가 느리면 용융점도가 단시간에 급속히 저하되며 금형의 캐비티(cavity)를 완전히 채우지 못하는 미성형(short shot), 플로우마크(flow mark), 웰드라인(weld line), 표면광택 불량 등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매우 얇은 두께의 박막을 사출 성형을 통해 성형하기 위해서는 특별히 높은 사출속도와 균일한 금형의 온도 관리가 요구된다.
또한, 사출 공정에 있어서 사출 성형되는 제품의 두께는 생산효율 측면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즉, 사출되는 제품의 두께가 얇으면 얇을수록 냉각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싸이클 타임(cycle time)이 단축될 수 있게 하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사출 성형되는 제품의 두께 감소는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제품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박판필름 인서트 초고속 이중 사출 성형에 의해 전자기기용 케이스(100)가 성형되도록 구성되는 바,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공법에 의해 개인휴대단말기용 케이스가 제작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케이스(100)는, 내면에 부분적으로 표시부(112)가 형성된 투명필름(110)을 제공하는 단계(S10), 바탕케이스(130)을 제공하는 단계(S20), 상기 투명필름(110) 및 바탕케이스(130)을 금형 내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하는 단계(S30), 및 상기 투명필름(110) 및 바탕케이스(130)의 사이 이격 공간에 투명한 수지를 주입하여 소정 두께를 갖는 투명사출층(120)을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단계(S40)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바탕케이스를 먼저 성형한 후 투명필름과 바탕케이스의 사이에 투명사출층이 성형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투명필름의 내면에 투명사출층을 먼저 사출 성형한 후 투명사출층의 내면에 불투명사출을 사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투명한 투명필름(110)을 제공한다. 상기 투명필름(110)은 매우 얇은 두께를 갖는 박판 형태로 제공되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투명필름(110)은 실질적으로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기 때문에 스크래치에 강하며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명필름(110)의 내면에는 표시부(112)가 부분적으로 형성되며, 투명필름(110)은 표시부(112)가 형성된 부위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투명하게 제공된다. 상기 표시부(112)는 로고, 상표, 기호, 문자, 무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 및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2)는 통상의 인쇄방법에 의해 투명필름(110)의 내면에 인쇄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표시부가 통상의 접착용 바인더를 이용하여 투명필름의 내면에 접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투명필름(110)은 최초 평평한 박판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후술할 투명사출층(120)이 사출 성형될 시 필름평면부와 필름측벽부를 갖는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다음, 불투명한 바탕케이스(130)을 제공한다. 상기 바탕케이스(130)은 불투명한 통상의 플라스틱 수지를 일반적인 사출 방법을 통해 성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탕케이스(130)은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실질적으로 제품의 바탕색을 결정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바탕케이스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타 다른 재질로도 형성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바탕케이스(130)에는 디스플레이부에 대응되는 윈도우 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홀(131)은 디스플레이부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 윈도우 홀을 통해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라 함은 예를 들어 엘씨디(LCD)와 같이 각종 정보를 영상 정보로 출력할 수 있는 통상의 디스플레이수단을 의미하며, 디스플레이부의 종류 및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투명필름(110)을 마주하는 바탕케이스(130)의 표면에는 반사면(도 8의 135 참조)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반사면을 통해 표시부(112)는 미러(mirror) 방식으로 입체감을 가질 수 있다.
다음, 상기 투명필름(110) 및 바탕케이스(130)을 금형 내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시킨다. 상기 금형 내부에 배치되는 투명필름(110) 및 바탕케이스(130) 사이의 이격 간격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투명필름(110) 및 바탕케이스(130) 사이의 이격 간격에 의해 후술할 투명사출층(120)의 두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투명필름(110) 및 바탕케이스(130)을 금형 내부에 배치하는 방법으로는 통상의 인서트공법이 활용될 수 있다. 인서트공법이 이용될 경우 투명필름(110) 및 바탕케이스(130)은 별도로 미리 제작된 후 금형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인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1차 사출을 통해 금형 내부에 바탕케이스(130)을 성형한 후, 성형된 바탕케이스(130)을 금형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금형을 반전시킨 다음, 2차 사출에 필요한 상부 금형만 교환함으로써 금형 내부에 투명필름(110) 및 바탕케이스(130)이 배치되도록 한 이중사출공법이 적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투명필름(110)의 내면 및 상기 투명필름(110)을 마주하는 바탕케이스(130)의 표면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용융된 투명한 수지를 고속으로 주입한다. 여기서 투명한 수지를 고속으로 주입한다 함은 투명한 수지가 1000㎜/s 이상의 주입속도로 주입됨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1000 ~ 1500㎜/s의 주입속도로 투명한 수지가 주입된다. 상기와 같은, 고속 주입속도는 투명사출층(120)을 얇게 형성하기 위한 것이지만, 만약 투명사출층이 1mm 정도로 그다지 얇지 않다면 일반적인 사출 방법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투명한 수지로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제품 사양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투명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투명한 수지로서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과 같은 투명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투명한 수지로서 반투명한 수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투명필름(110) 및 바탕케이스(130) 사이 이격 공간에 수지를 주입한 후, 주입된 상기 투명한 수지를 고화시켜 투명필름(110) 및 바탕케이스(130)와 일체를 이루도록 투명필름(110) 및 바탕케이스(130) 사이에 투명사출층(120)을 이중 사출로 성형할 수 있으며, 이로써 케이스(100)의 제작이 완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사출층(120)이 성형되는 단계에서 상기 윈도우 홀(131)에 대응하는 윈도우부(미도시)가 함께 성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투명필름(110)의 표면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공정과 같은 각종 후처리 공정이 추가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작된 케이스는 도 5 내지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0)는 투명필름(110), 투명사출층(120) 및 바탕케이스(130)을 포함하되, 투명필름(110)의 내면에는 투명사출층(120) 및 바탕케이스(130)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사출 성형된다. 아울러, 첨부된 도 6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투명필름(110), 투명사출층(120) 및 바탕케이스(130)이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투명필름(110), 투명사출층(120) 및 바탕케이스(130)은 도 5와 같이 일체를 이루며 하나의 형태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성형되는 케이스(10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 양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투명필름(110), 투명사출층(120) 및 바탕케이스(130)을 포함하는 케이스(100)가 1㎜의 두께를 가지도록 성형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투명필름(110) 및 투명사출층(120)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투명사출층(120)의 내면에 형성되는 바탕케이스(130)이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투명필름(110)의 외부로 표시되는 바탕색은 바탕케이스(130)에 의해 결정된다. 다시 말해 케이스(100)의 실질적인 바탕색은 투명필름(110) 및 투명사출층(120)이 아닌 바탕케이스(13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같이 투명필름(110)의 내면에 인쇄되는 별도의 인쇄층이 아닌 바탕케이스(130)의 자체 색상에 의해 케이스(100)의 바탕색이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투명필름(110)의 내면에 바탕색을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인쇄공정을 배제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을 보다 간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투명필름(110)과 바탕케이스(130) 사이에 형성되는 투명사출층(120)에 의해 바탕케이스(130)이 소정 깊이감(Spatial Depth)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고급스런 분위기를 연출해낼 수 있다. 또한, 투명필름(110)과 바탕케이스(130) 사이의 간격은 투명사출층(120)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바탕케이스(130)의 깊이감 처리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투명필름(110)은 필름평면부(112) 및 필름평면부(112)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필름측벽부(114)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투명사출 층(120)은 투명평면부(122) 및 투명평면부(122)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투명측벽부(1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바탕케이스(130)은 불투명평면부(132) 및 불투명평면부(132)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불투명측벽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름측벽부(114)는 투명측벽부(124)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측벽부(124)의 파팅라인(Parting line)에 인접한 구간에서 투명측벽부(124)의 끝단부는 외부로 직접 노출된다.
즉, 투명측벽부(124)의 파팅라인에 인접한 구간에서는 투명측벽부(124)의 끝단부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며 투명필름(110)이 아닌 투명측벽부(124)의 끝단부가 외관 일부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투명필름(110)의 필름측벽부(124)가 투명측벽부(114)의 파팅라인에 정확하게 배치될 필요없기 때문에 투명필름(110)을 매우 정밀하게 제작하지 않아도 되고, 파팅라인 구간에서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파팅라인을 보다 깔끔하게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케이스의 실질적인 바탕색은 바탕케이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투명필름의 필름측벽부가 투명측벽부의 파팅라인에 정확하게 배치되도록 구성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바탕케이스(130) 및 투명사출층(120)이 사출 성형되는 동안에는 금형(200) 내부에 형성된 온도조절라인(210)을 따라 금형(200)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제가 유동될 수 있다.
즉, 수지가 높은 온도로 용융되어 금형(200) 내부에 고속으로 주입된다 하 더라도 금형(200)의 온도가 일정 이상 내려가게 되면 금형의 사이(또는 투명필름 및 바탕케이스의 사이)의 좁은 공극 사이로 흐르는 수지가 급속하게 유동성을 잃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수지의 주입시에는 수지의 유동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금형(200)의 온도가 일정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금형(200)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그만큼 수지의 냉각시간이 길어지며 싸이클 타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수지의 고화 시에는 수지의 냉각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금형(200)의 온도를 낮춰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도 4와 같이, 금형(200)의 내부에는 온도조절라인(210)이 제공될 수 있으며, 온도조절라인(210)을 따라서는 금형(200)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제가 유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조절제는 금형(200) 내부의 온도조절라인(210)을 따라 유동하며, 수지의 주입시에는 금형(200)의 온도가 일정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하고, 수지의 고화시에는 금형(200)의 온도를 낮출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상기 수지가 주입 및 고화되는 동안 조절제는 동일한 온도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절제의 온도 조건은 수지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지가 주입되는 동안과 수지가 고화되는 동안 조절제가 각각 다른 온도로 제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조절제로서는 냉각수, 온유, 온수, 냉각유 등과 같은 액상(液相) 조절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스팀과 같은 기상(氣相) 조절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절제의 특성 및 종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라인(210)은 서로 다른 입구 및 출구를 가지며 서로 다른 영역상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조절라인(211,212)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각 조절라인(211,212)은 금형(200) 내부의 성형부의 윤곽을 따라 곡선형으로 형성됨에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식은 특수하게 설계 및 배치된 각 조절라인(211,212)을 통해 조절제가 독립적으로 유동되며 금형(200)의 국부적인 온도 변화 없이 금형(200)의 온도가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조절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온도조절라인(210)이 서로 다른 영역상에 배치되는 2개의 조절라인(211,212)을 포함하여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3개 이상의 조절라인이 제공될 수 있으며, 그 배치구조 역시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내면에 부분적으로 표시부(112)가 형성되며 표시부(112)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투명하게 제공되는 투명필름(110), 상기 투명필름(110)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제공되는 바탕케이스(130), 및 상기 투명필름(110) 및 바탕케이스(130)을 금형 내부에 배치하고 투명필름(110) 및 바탕케이스(130)의 사이 이격 공간에 투명한 수지를 주입하여 투명필름(110) 및 상기 바탕케이스(130) 사이에 일 체로 사출 성형되는 투명사출층(120)을 포함하되, 상기 투명필름(110)을 마주하는 바탕케이스(130)의 표면에는 반사면(1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바탕케이스(130)의 표면에 반사면(135)이 형성됨에 따라 투명필름(110)에 형성된 상표 또는 로고와 같은 표시부(112)는 미러(mirror) 방식으로 입체감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반사면(135)을 통해서는 반사면으로 조사되는 빛이 반사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위기의 연출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사이도이다.
도 1은 종래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케이스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케이스 제조에 사용되는 금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스 110 : 투명필름
112 : 표시부 120 : 투명사출층
130 : 바탕케이스

Claims (9)

  1. 바탕케이스 및 내면에 부분적으로 표시부가 형성된 투명필름을 각각 제공하는 단계;
    상기 투명필름 및 상기 바탕케이스를 금형 내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필름 및 상기 바탕케이스의 사이 이격 공간에 투명한 수지를 주입하여 소정 두께를 갖는 투명사출층을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필름은 상기 표시부가 형성된 부위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투명하게 제공되며, 상기 투명필름의 외부로 표시되는 바탕색은 상기 바탕케이스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기기용 케이스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로고, 상표, 기호, 문자, 무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케이스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투명필름의 내면에 인쇄 또는 접착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케이스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을 마주하는 상기 바탕케이스의 표면에는 반사면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케이스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은 상기 바탕 케이스의 정면에 대응되는 필름 평면부 및 상기 필름 평면부의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바탕 케이스의 측벽에 대응되는 필름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 측벽부는 상기 바탕 케이스의 측벽보다 짧은 길이로 제공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케이스 제조방법.
  6. 내면에 부분적으로 표시부가 형성되며, 상기 표시부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투명하게 제공되는 투명필름;
    상기 투명필름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제공되는 바탕케이스; 및
    상기 투명필름 및 상기 바탕케이스를 금형 내부에 배치하고, 상기 투명필름 및 상기 바탕케이스의 사이 이격 공간에 투명한 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투명필름 및 상기 바탕케이스 사이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투명사출층;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필름의 외부로 표시되는 바탕색은 상기 바탕케이스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기기용 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로고, 기호, 문자, 무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투명필름의 내면에 인쇄 또는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케이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을 마주하는 상기 바탕케이스의 표면에 형성되는 반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케이스.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은 상기 바탕 케이스의 정면에 대응되는 필름 평면부 및 상기 필름 평면부의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바탕 케이스의 측벽에 대응되는 필름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 측벽부는 상기 바탕 케이스의 측벽보다 짧은 길이로 제공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20090032037A 2009-04-14 2009-04-14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080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037A KR101080996B1 (ko) 2009-04-14 2009-04-14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037A KR101080996B1 (ko) 2009-04-14 2009-04-14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654A true KR20100113654A (ko) 2010-10-22
KR101080996B1 KR101080996B1 (ko) 2011-11-09

Family

ID=43133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037A KR101080996B1 (ko) 2009-04-14 2009-04-14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9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7403A (ko) * 2011-10-06 2013-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718355A (zh) * 2018-08-01 2018-10-30 东莞万德电子制品有限公司 一种透明水晶壳体及其制作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707B1 (ko) * 2019-08-01 2020-04-08 주식회사 바큠텍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796Y1 (ko) * 2006-08-29 2006-11-27 조홍래 투명체의 사출성형물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7403A (ko) * 2011-10-06 2013-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718355A (zh) * 2018-08-01 2018-10-30 东莞万德电子制品有限公司 一种透明水晶壳体及其制作工艺
CN108718355B (zh) * 2018-08-01 2024-03-26 东莞万德电子制品有限公司 一种透明水晶壳体及其制作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0996B1 (ko)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6698B1 (ko)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US8031462B2 (en) Molded component,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a molded component
JP2011073438A (ja) キー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該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キーユニット
US20090092838A1 (en) Housing, injection mold for making the hous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housing by using the injection mold
KR101080996B1 (ko)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22332A (ko)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0431796Y1 (ko) 투명체의 사출성형물 구조
CN201063130Y (zh) 一种笔记本电脑外壳
CN101256426B (zh) 一种笔记本电脑外壳的注塑成型方法
JP2012232503A (ja) インモールド成形品、携帯端末装置、および該インモールド成形品における加飾方法
JP2015058655A (ja) 表示装置用意匠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用意匠パネル
CN1321805C (zh) 热塑防滑片件及其制造方法
KR100906612B1 (ko)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130090451A (ko) 인몰드 장식 필름을 이용한 인서트 사출방법
KR20100012787A (ko)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0870857B1 (ko)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CN104249594A (zh) 多层次立体图纹制作方法及其制造设备
KR20080109684A (ko)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028895B1 (ko)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JP2008225214A (ja) 表示構造
JP2010158339A (ja) 模様付き二色成形食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06611B1 (ko)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US20100247813A1 (en) Injection molded produ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637224B2 (ja) 成形部品、電子機器及び成形部品の製造方法
KR20080109297A (ko) 전자기기용 케이스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