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3636A - 서비스 품질 연속성 - Google Patents

서비스 품질 연속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3636A
KR20100113636A KR1020107020468A KR20107020468A KR20100113636A KR 20100113636 A KR20100113636 A KR 20100113636A KR 1020107020468 A KR1020107020468 A KR 1020107020468A KR 20107020468 A KR20107020468 A KR 20107020468A KR 20100113636 A KR20100113636 A KR 20100113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os
base station
configuration information
protocol configu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0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9977B1 (ko
Inventor
에티엔느 에프. 채포니에르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113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04W36/0044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of quality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 서비스 품질(QoS) 연속성을 지원하는 것을 촉진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기술된다. 소스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QoS에 대한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 정보(예를 들어, 업링크,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QoS 구성 정보는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타겟 기지국으로 송신될 수 있다. 추가로, 타겟 기지국은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및/또는 업링크 QoS 구성 정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재사용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더욱이, 재사용되도록 선택되지 않은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및/또는 업링크 QoS 구성 정보는 재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서비스 품질 연속성{QUALITY OF SERVICE CONTINUITY}
본원은 2008.02.11.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61/027,777호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QoS CONTINUITY IN LTE"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전술한 가출원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이하의 설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이고, 보다 특정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성 절차와 관련하여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연속성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여러 다양한 타입의 통신을 제공하도록 널리 전개된다; 예를 들어, 음성 및/또는 데이터는 그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전형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는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하나 이상의 공유 자원들(예를 들어, 대역폭, 송신 전력 등)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FDM),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TDM), 코드 분할 멀티플렉싱(CDM),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및 다른 것들과 같은 여러 다양한 다중 접속 기술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다중-접속 통신 시스템들은 동시에 다수의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각각의 액세스 단말은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들 상의 송신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들로부터 액세스 단말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액세스 단말들로부터 기지국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이러한 통신 링크는 단일-입력-단일-출력, 다중-입력-단일-출력 또는 다중-입력-다중-출력(MIMO) 시스템을 통해 확립될 수 있다.
MIMO 시스템들은 통상 데이터 송신을 위하여 다수 개(N T )의 송신 안테나들 및 다수 개(N R )의 수신 안테나들을 채택한다. N T 개의 송신 및 N R 개의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형성된 MIMO 채널은 N S 개의 독립적인 채널들로 분해될 수 있고, 상기 독립적인 채널들은 공간 채널들로서 지칭될 수 있고, 여기서 N S ≤ {N T , N R }이다. 상기 N S 개의 독립적인 채널들은 각각 하나의 차원에 대응한다. 더욱이, MIMO 시스템들은 다수의 송신 및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형성된 부가적인 차원들이 이용되는 경우 개선된 성능(예를 들어, 증가된 공간 효율성, 더 높은 처리량 및/또는 더 큰 신뢰도)을 제공할 수 있다.
MIMO 시스템들은 공통 물리 매체 상에서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통신들을 분할하는 여러 다양한 듀플렉싱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스템들은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통신들에 대해 상이한 주파수 영역들을 이용할 수 있다. 추가로, 시간 분할 듀플렉스(TDD) 시스템들에서,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통신들은 상호주의 원칙(reciprocity principle)이 역방향 링크 채널로부터 순방향 링크 채널의 추정을 허용하도록 공통 주파수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종종 커버리지 영역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을 채택한다. 전형적인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들에 대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송신할 수 있고, 데이터 스트림은 액세스 단말에 대한 독립적인 수신 관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데이터의 스트림일 수 있다. 그러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 내 액세스 단말은 복합 스트림에 의해 운반되는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 하나보다 많은 수의 데이터 스트림들, 또는 모든 데이터 스트림들을 수신하기 위해 채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액세스 단말은 기지국 또는 다른 액세스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전형적인 서비스 품질(QoS) 모델의 일부로서, 코어 네트워크 내 중심 노드는 종종 QoS와 관련된 파라미터들의 서브세트를 관리한다. 중심 노드는 예를 들어,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DN GW)일 수 있다. PDN GW는 하나 이상의 중간 노드들(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 서빙 게이트웨이(S-GW),...)를 통해 2개의 종점들 사이에서(예를 들어, PDN GW와 액세스 단말 사이에서) 전달될 트래픽의 타입(예를 들어,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트래픽)을 표시하는 기술 파라미터(description parameter)를 서빙 기지국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술 파라미터는 트래픽의 타입(예를 들어, 음성, 스트리밍 비디오,...)을 기술하는 QoS 클래스 인덱스(QCI)일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은 트래픽 타입을 식별하기 위해 기술 파라미터를 수신 및 이용할 수 있고, QoS와 관련된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계층 2(L2) 파라미터들, 논리 채널 우선순위,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Prioritized Bit Rate; PBR), 최대 비트 레이트(Maximum Bit Rate; MBR), 보장된 비트 레이트(Guaranteed Bit Rate; GBR),...)의 이종의 서브세트를 초기화 및/또는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세스 단말들의 이동 속성으로 인하여, 액세스 단말은 제 1 기지국(예를 들어, 소스 기지국,...)의 커버리지 하에 있는 것으로부터 제 2 기지국(예를 들어, 타겟 기지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성 절차(mobility procedure)(예를 들어, 핸드오버, 핸드오프,...)는 액세스 단말이 소스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고 있는 것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고 있는 것으로 전이하도록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성 절차들은 전형적으로 소스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QoS 파라미터들의 서브세트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달하는데 실패한다. 이동성 절차들을 채택할 때, 타겟 기지국은 PDN GW로부터 기술 파라미터를 제공받을 수 있고, 그리하여 트래픽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그에 더하여, 타겟 기지국은 통상 QoS와 관련된 파라미터들의 이종의 서브세트(예를 들어, 소스 기지국에 의해 이전에 구축된)를 재구성하는데, 그 이유는 그러한 파라미터들이 전형적으로 (예를 들어, 기지국 간 핸드오버와 관련하여)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 전달되는데 실패하기 때문이고, 이것은 트래픽에서의 중단, 공중(over the air) 시그널링 메시지들의 증가된 교환, 및 이와 유사한 것을 야기할 수 있다.
이하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기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그러한 실시예들의 단순화된 요약을 제시한다. 본 요약은 모든 고려되는 실시예들의 포괄적인 개관은 아니며, 모든 실시예들의 핵심적인 또는 중요한 엘리먼트들을 식별하려고 의도된 것도 아니요, 임의의 또는 모든 실시예들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의도된 것도 아니다. 그 유일한 목적은 이후에 제시되는 보다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두로서 단순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소정 개념들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그에 대응하는 개시 내용에 따라, 여러 다양한 양상들이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 서비스 품질(QoS) 연속성의 지원을 촉진하는 것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QoS에 대한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configuration) 정보(예를 들어, 업링크, 다운링크,...) 및/또는 소스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업링크 QoS 구성 정보는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겟 기지국으로 송신될 수 있다. 추가로, 타겟 기지국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및/또는 업링크 QoS 구성 정보의 적어도 일 부분을 재사용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더욱이, 재사용될 것으로 선택되지 않은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및/또는 업링크 QoS 구성 정보는 재구성될 수 있다.
관련된 양상들에 따라, 무선 통신 환경에서의 이동성 절차 동안에 서비스 품질(QoS) 연속성을 제공하는 것을 촉진하는 방법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다. 본 방법은 소스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방법은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에 인터페이스 상에서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베어러 당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초기화하고,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겟 기지국으로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전달하는 것에 관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무선 통신 장치는 메모리에 결합되어 메모리 내에 보유된 상기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 환경에서 서비스 품질(QoS) 연속성을 지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장치는 소스 기지국에서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초기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무선 통신 장치는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소스 기지국에서 초기화된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computer program product)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소스 기지국에서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초기화하기 위하여 상기 매체 상에 저장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기지국 간 핸드오버 동안 X2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소스 기지국에서 초기화된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매체 상에 저장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소스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프로세서는 소스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업링크 QoS 구성 정보를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프로세서는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 X2 인터페이스 상에서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및 업링크 QoS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양상들에 따라, 무선 통신 환경에서의 이동성 절차 동안 서비스 품질(QoS)을 유지하는 것을 촉진하는 방법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다. 본 방법은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소스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방법은 QoS에 대한 상기 수신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의 적어도 일 부분을 재사용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방법은 재사용되도록 선택되는 것에 실패한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의 나머지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기지국 간 핸드오버 동안 X2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소스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하고, QoS에 대한 상기 획득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의 적어도 일 부분을 재사용할지 여부를 선택하며, 재사용되도록 선택되는데 실패한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의 나머지를 재구축하는 것에 관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무선 통신 장치는 메모리에 결합되어 메모리에 보유된 상기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 환경에서의 이동성 절차 내내 서비스 품질(QoS)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장치는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무선 통신 장치는 QoS에 대한 상기 획득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의 적어도 일 부분을 재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무선 통신 장치는 재사용될 것으로 결정된 기지국으로부터 획득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이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매체 상에 저장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QoS에 대한 상기 획득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의 적어도 서브세트를 재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매체 상에 저장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재사용될 것으로 결정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획득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매체 상에 저장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또한 재사용되지 않을 것으로 결정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재구축하기 위하여 상기 매체 상에 저장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 X2 인터페이스 상에서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업링크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QoS에 대한 다운링크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또는 QoS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프로세서는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업링크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QoS에 대한 다운링크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또는 QoS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재사용할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그리고 관련된 목표들의 달성을 위하여 히나 이상의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완전히 기술되고 청구항들에서 특정하여 지적된 특징들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특정 예시적인 양상들을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여러 다양한 실시예들의 원리들이 채택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들이 그러한 모든 양상들 및 이들의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여러 다양한 방식들 중 몇몇 개만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여러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예시이다.
도 2는 무선 통신 환경에서 QoS 연속성을 제공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3은 무선 통신 환경에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들 간에 QoS에 관한 파라미터들을 교환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4는 무선 통신 환경에서의 이동성 절차 동안 서비스 품질(QoS) 연속성을 제공하는 것을 촉진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도면이다.
도 5는 무선 통신 환경에서의 이동성 절차 동안 서비스 품질(QoS)을 유지하는 것을 촉진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도면이다.
도 6은 청구 대상의 여러 다양한 양상들과 관련하여 채택될 수 있는 예시적인 액세스 단말의 도면이다.
도 7은 무선 통신 환경에서 이동성 절차 동안 QoS 연속성을 유지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여러 다양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결합하여 채택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 환경의 도면이다.
도 9는 무선 통신 환경에서 서비스 품질(QoS) 연속성을 지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10은 무선 통신 환경에서 이동성 절차 내내 서비스 품질(QoS)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도면이다.
여러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고, 여기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전반에 걸쳐 동일한 엘리먼트들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의 기재에서, 설명의 목적으로,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술된다. 그러나, 그러한 실시예(들)는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이 명백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주지된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도시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들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및 이와 유사한 것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즉,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를 지칭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가능자(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디바이스 양자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 국한되거나 그리고/또는 2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산될 수 있다. 부가하여,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여러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이 저장되어 있는 여러 다양한 판독가능 매체들로부터 실행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예를 들어, 신호에 의해 로컬 시스템 내, 분산 시스템 내, 그리고/또는 다른 시스템들을 가진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걸쳐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을 갖는 신호에 따라서 로컬 및/또는 원격 프로세스들에 의해 통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들은 예를 들어,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간 분할 다중 접속(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SC-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여러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종종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CDMA 시스템은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와이드밴드-CDMA(W-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물들을 포함한다. CDMA2000는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시스템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시스템은 진화된 UTRA(E-UTRA),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Flash-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일부이다. 3GPP LTE는 E-UTRA를 사용하는 다가오는 릴리스(release)이고, E-UTRA는 다운링크 상에서는 OFDMA를 채택하고 업링크 상에서는 SC-FDMA를 채택한다.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는 단일 주파수 변조 및 주파수 도메인 등화(equalization)를 이용한다. SC-FDMA는 OFDMA 시스템과 유사한 성능 및 본질적으로 동일한 전체 복잡도를 갖는다. SC-FDMA는 자신 고유의 단일 캐리어 구조 때문에 더 낮은 피크-대-평균 전력 비율(peak-to-average power ratio; PAPR)을 갖는다. 예를 들어, SC-FDMA는 더 낮은 PAPR이 송신 전력 효율성의 관점에서 액세스 단말들에 크게 이익이 되는 업링크 통신들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SC-FDMA는 3GPP 롱 텀 에볼루션(LTE) 또는 진화된 UTRA에서의 업링크 다중 접속 방식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부가하여, 여러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서 액세스 단말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액세스 단말은 또한 시스템,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모바일, 원격국, 원격 단말, 이동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로 호칭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휴대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국, 개인용 휴대 단말(PDA), 무선 접속 능력을 갖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일 수 있다. 더욱이, 여러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기지국은 액세스 단말(들)과의 통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고, 또한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진화된 노드 B(eNodeB, eNB), 또는 소정의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여러 다양한 양상들 또는 특징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들을 사용하는 제조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조물"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디바이스, 캐리어, 또는 미디어로부터 액세스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림들 등), 광학 디스크들(예를 들어, 컴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등), 스마트 카드들,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부가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여러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 매체를 나타낼 수 있다. 용어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무선 채널들, 및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포함, 및/또는 운반할 수 있는 여러 다양한 다른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이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여러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시된다. 시스템(100)은 다수의 안테나 그룹들을 포함할 수 있는 기지국(10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안테나 그룹은 안테나들(104 및 106)을 포함할 수 있고, 또 다른 그룹은 안테나들(108, 1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부가적인 그룹은 안테나들(112 및 114)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해 2개의 안테나들이 도시되나; 더 많은 수의 또는 더 적은 수의 안테나들이 각각의 그룹에 대해 이용될 수 있다. 기지국(102)은 부가적으로 송신기 체인 및 수신기 체인을 포함할 수 있고, 송신기 체인 및 수신기 체인 각각은 차례로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신호 송신 및 수신과 연관된 복수 개의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프로세서들, 변조기들, 멀티플렉서들, 복조기들, 디멀티플렉서들, 안테나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02)은 액세스 단말(116) 및 액세스 단말(122)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액세스 단말들과 통신할 수 있으나; 기지국(102)이 액세스 단말들(116 및 122)과 유사한 실질적으로 임의 개수의 액세스 단말들과 통신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액세스 단말들(116 및 122)은 예를 들어, 휴대 전화, 스마트 폰, 랩탑, 핸드헬드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 위성 라디오, 범지구 위치결정 시스템, PDA, 및/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 상에서 통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단말(116)은 안테나들(112 및 114)과 통신하고 있고, 여기서, 안테나들(112 및 114)은 순방향 링크(118)를 통해 액세스 단말(116)로 정보를 송신하고 역방향 링크(120)를 통해 액세스 단말(116)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더욱이, 액세스 단말(122)은 안테나들(104 및 106)과 통신하고 있고, 여기서, 안테나들(104 및 106)은 순방향 링크(124)를 통해 액세스 단말(122)로 정보를 송신하고 역방향 링크(126)를 통해 액세스 단말(122)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스템에서, 순방향 링크(118)는 역방향 링크(120)에 의해 사용되는 것과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고, 순방향 링크(124)는 역방향 링크(126)에 의해 사용되는 것과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 추가로, 시간 분할 듀플렉스(TDD) 시스템에서, 순방향 링크(118) 및 역방향 링크(120)가 공통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고, 순방향 링크(124) 및 역방향 링크(126)가 공통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
각각의 그룹의 안테나들 및/또는 안테나들이 통신하도록 지정된 영역은 기지국(102)의 섹터 또는 셀로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그룹들은 기지국(102)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들의 섹터 내 액세스 단말들로 통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들(118 및 124)을 통한 통신에서, 기지국(102)의 송신 안테나들은 액세스 단말들(116 및 122)에 대한 순방향 링크들(118 및 124)의 신호-대-잡음 비를 개선하기 위해 빔포밍(beamforming)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02)이 연관된 커버리지에 걸쳐 랜덤하게 흩어진 액세스 단말들(116 및 122)로 송신하기 위해 빔포밍을 이용하는 동안, 이웃 셀들 내 액세스 단말들은 단일 안테나를 통해 자신의 모든 액세스 단말들로 송신하는 기지국에 비해 간섭을 덜 받을 수 있다.
시스템(100)은 무선 통신 환경에서 이동성 절차(예를 들어, 핸드오버, 핸드오프,...)와 관련하여 서비스 품질(QoS) 연속성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보다 상세히, 기지국 간 핸드오버에 대하여, 기지국(102)은 이종의 기지국(미도시)으로 QoS에 대한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전송할 수 있거나/있고 이종의 기지국으로부터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는 업링크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및/또는 다운링크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일 수 있다. 추가로, 업링크 QoS 구성 정보는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기지국(102)과 이종의 기지국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다.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및/또는 업링크 QoS 구성 정보는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102)과 상기 이종의 기지국 간에 교환될 수 있다.
예시에 따라, 기지국(102)은 이종의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이전에 액세스 단말(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16), 액세스 단말(122),...)을 서빙할 수 있는 소스 기지국일 수 있다. 이러한 예에 따라, 기지국(102)은 트래픽의 타입을 식별하는 기술 파라미터(예를 들어, QoS 클래스 인덱스(QCI),...)를 코어 네트워크(예를 들어,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DN GW),...)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추가로, 기지국(102)은 QoS에 관한 여러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구성할 수 있다.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에, 기지국(102)은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겟 기지국(미도시)으로 QoS에 관한 상기 파라미터들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타겟 기지국은 QoS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사용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이동성 절차 내내(예를 들어, 이동성 절차 이전에, 이동성 절차 동안에, 이동성 절차 이후에,...) QoS를 유지하면서 공중을 통한(over the air) 시그널링 메시지들의 교환을 최소화시킨다.
추가 예의 방식으로, 기지국(102)은 이종의 기지국으로부터의 핸드오버 이후에 액세스 단말(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16), 액세스 단말(122),...)을 서빙할 수 있는 타겟 기지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02)은 소스 기지국(미도시)에 의해 구성된 QoS에 관한 파라미터들을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러한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추가로, 기지국(102)은 QoS에 관련된 상기 수신된 파라미터들(또는 그것의 서브세트)을 재사용할지 또는 QoS에 관련된 파라미터들(또는 그것의 서브세트)을 재구축할지를 평가할 수 있다. QoS에 관한 상기 수신된 파라미터들을 재사용함으로써, 트래픽에서의 중단 및/또는 공중 시그널링이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들과 관련하여 완화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환경에서 QoS 연속성을 제공하는 시스템(200)이 도시된다. 시스템(200)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DN GW)(202), 소스 기지국(204), 타겟 기지국(206), 및 액세스 단말(208)을 포함한다. PDN GW(202)는 외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들)(미도시)(예를 들어, 인터넷,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DN GW(202)는 어드레스 할당, 정책 시행(policy enforcement), 패킷 분류 및 라우팅, 기타 등등을 처리할 수 있다. 더욱이, 소스 기지국(204) 및 타겟 기지국(206)은 정보, 신호들,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비트들, 심볼들 및 이와 유사한 것을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용어 "기지국"은 또한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진화된 노드 B(eNodeB, eNB) 또는 소정의 다른 용어로서 지칭될 수 있다. 추가로, 액세스 단말(208)은 정보, 신호들,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비트들, 심볼들 및 이와 유사한 것을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더욱이,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소스 기지국(204) 및/또는 타겟 기지국(206)과 유사한 임의 개수의 기지국들이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거나/있고 액세스 단말(208)과 유사한 임의 개수의 액세스 단말들이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소스 기지국(204) 및 타겟 기지국(206)이 거의 유사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일 예시에 따라, 시스템(200)은 롱 텀 에볼루션(LTE) 기반 시스템일 수 있으나; 청구 대상은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
가상 접속이 시스템(200) 내 2개의 종점들 사이에 확립될 수 있고; 특히 그러한 가상 접속은 PDN GW(202)와 액세스 단말(208)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PDN GW(202) 또는 액세스 단말(208)이 가상 접속의 확립을 트리거할 수 있는 등,...). 가상 접속은 진화된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EPS) 베어러로서 지칭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중간 노드들(예를 들어, 기지국, 서빙 게이트웨이(S-GW),...)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EPS 베어러는 베어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특정 QoS 속성들과 연관될 수 있다. 주어진 EPS 베어러에 대응하는 QoS 속성들은 QoS 클래스 인덱스(QCI)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술될 수 있고, 상기 QoS 클래스 인덱스(QCI)는 그러한 가상 접속을 이용하는 서비스의 타입을 표시한다.
추가로, 각각의 EPS 베어러는 무선 베어러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하여, EPS 베어러들과 무선 베어러들 간의 일-대-일 매핑이 레버리지(leverage)될 수 있다(예를 들어, 이동성 절차 이전에, 이동성 절차 동안에, 그리고 이동성 절차 이후에,...).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RB)는 정의된 용량, 지연, 비트 에러 레이트 등의 정보 경로일 수 있다. 무선 베어러는 소스 기지국(204)과 액세스 단말(208) 사이(또는 타겟 기지국(206)과 액세스 단말(208) 사이)에서 대응하는 EPS 베어러에 관련한 공중 접속과 연관될 수 있다. 추가로, 예를 들어, 무선 베어러는 논리 채널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기지국들 간의 이동성 절차(예를 들어, 핸드오버, 핸드오프,...)가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 따라, 액세스 단말(208)은 소스 기지국(204)에 의해 서빙될 수 있다(예를 들어, 소스 기지국(204)은 PDN GW(202)와 액세스 단말(208) 사이의 하나 이상의 EPS 베어러들과 연관된 중간 노드일 수 있는 등,...). 이동성 절차가 트리거될 수 있고(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208)로부터 소스 기지국(204)에 의해 획득된 무선 측정에 기초하여,....), 이것은 액세스 단말(208)을 서빙하는 타겟 기지국(206)으로의 전이를 야기할 수 있다(예를 들어, 타겟 기지국(206)은 PDN GW(202)와 액세스 단말(208) 사이의 하나 이상의 EPS 베어러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중간 노드로서 소스 기지국(204)을 대체할 수 있는 등,...). 예를 들어, 이동성 절차는 소스 기지국(204)의 커버리지 하에 있는 것으로부터 타겟 기지국(206)의 커버리지 하에 있는 것으로 이동하는 액세스 단말(208)에 응답하여 달성될 수 있다. 추가로, PDN GW(202)와 액세스 단말(208) 사이의 EPS 베어러들의 정의는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 (예를 들어, PDN GW(202),...에 의해) 미변경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소스 기지국(204)은 구성 초기화기(210), 핸드오버 모듈(212), 및 구성 마이그레이터(configuration migrator)(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초기화기(210)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송신들에 관련된 이용을 위해 QoS에 관한 파라미터들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구성 초기화기(210)는 PDN GW(202)에 의해 표시된 트래픽 타입에 기초하여 QoS에 관한 파라미터들을 설정할 수 있다. PDN GW(202)는 일반적으로 트래픽 타입을 기술할 수 있고 소스 기지국(204)이 그에 기초하여 QoS에 관한 파라미터들을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구성 초기화기(210)는 QoS에 대한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는 각각의 무선 베어러에 대하여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 Protocol; PDCP) 파라미터들,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파라미터들,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구(Hybrid Automatic Repeat-Request; HARQ) 파라미터들,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파라미터들, 이들의 조합 및 기타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는 업링크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및/또는 다운링크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구성 초기화기(210)는 논리 채널 우선순위,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PBR), 최대 비트 레이트(MBR), 보장된 비트 게이트(GBR), 이들의 조합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QoS 파라미터들을 설정할 수 있다. 구성 초기화기(210)에 의해 생성된 QoS 파라미터들은 업링크 QoS 파라미터들 및/또는 다운링크 QoS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핸드오버 모듈(212)은 소스 기지국(204)으로부터 타겟 기지국(206)으로의 이동성 절차(예를 들어, 핸드오버, 핸드오프,..)를 위하여 타겟 기지국(206) 및/또는 액세스 단말(208)을 준비할 수 있다. 핸드오버 모듈(212)은 예를 들어, 송신을 위해 큐잉(queue)된 데이터, 타이밍 정보 또는 다른 동기화 데이터, 긍정확인응답 또는 재송신 데이터, 및/또는 소스 기지국(204)으로부터 타겟 기지국(206)으로의 전이를 돕는데 적합한 임의의 다른 정보를 포워딩할 수 있다. 추가로, 핸드오버 모듈(212)은 타겟 기지국(206)으로의 핸드오프 시, 소스 기지국(204)과 액세스 단말(208) 간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더욱이, 구성 마이그레이터(214)는 소스 기지국(204)(또는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가 이미 달성된 경우에는 이종의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QoS에 관한 파라미터들을 타겟 기지국(206)으로 전송할 수 있다. 구성 마이그레이터(214)는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216),...)를 통해 소스 기지국(204)에 의해 구성된 QoS에 관한 파라미터들을 전달할 수 있다. X2 인터페이스(216)는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접속 네트워크(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구조 내에서 2개의 기지국들(예를 들어, 소스 기지국(204)과 타겟 기지국(206),...)의 상호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X2 인터페이스(216)는 소스 기지국(204)과 타겟 기지국(206) 사이의 시그널링 정보의 교환을 지원할 수 있다. 추가로, X2 인터페이스(216)는 각각의 터널 종점들로의 패킷 데이터 유닛(packet data unit; PDN)들의 포워딩을 지원할 수 있다. 더욱이, 논리적 견지에서, X2 인터페이스(216)는 E-UTRAN 내의 소스 기지국(204)과 타겟 기지국(206) 간의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나; 소스 기지국(204)과 타겟 기지국(206) 간의 직접적인 물리적 접속이 그러한 논리적 포인트-투-포인트 X2 인터페이스(216)를 위해 레버리지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타겟 기지국(206)은 핸드오버 모듈(218) 및 구성 유지기(configuration sustainer)(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핸드오버 모듈(218)은 이동성 절차를 위해 타겟 기지국(206)을 준비할 수 있다. 핸드오버 모듈(218)은 소스 기지국(204)으로부터 이동성 절차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핸드오버 모듈(212)에 의해 포워딩된,...)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한 정보는 예를 들어, 송신을 위해 큐잉된 데이터, 타이밍 정보 또는 다른 동기화 데이터, 긍정확인응답 또는 재송신 데이터, 및/또는 상기 전이를 돕는데 적합한 임의의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핸드오버 모듈(218)은 타겟 기지국(206)과 액세스 단말(208) 간의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구성 유지기(220)는, 소스 기지국(204)에 의해 구성되고 X2 인터페이스(216)를 통해 전송된 QoS에 관한 파라미터들을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구성 마이그레이터(214)(예를 들어, 소스 기지국(204),...)는 X2 인터페이스(216)를 통해 소스 기지국(204)에 의해 설정된 QoS에 관한 파라미터들을 구성 유지기(220)(예를 들어, 타겟 기지국(204),...)로 전달할 수 있다. 소스 기지국(204)에 의해 구성된 QoS에 관한 파라미터들은 업링크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다운링크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및/또는 업링크 QoS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유지기(220)는 소스 기지국(204)에 의해 설정된 QoS에 관한 상기 수신된 파라미터들을 재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파라미터들을 재사용함으로써, 파라미터들(또는 그 일 부분)의 재구성은 타겟 기지국(206)에 의해 달성될 필요가 없고; 그리하여, 기지국 간 핸드오버 동안의 QoS 연속성이 개선될 수 있으면서 공중 시그널링이 감소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종래의 기술들은 전형적으로 타겟 기지국(206)으로 QoS에 관한 파라미터들을 재구축할 수 있고, 이것은 트래픽에서의 중단, QoS에서의 잠재적인 변화들 기타 등등을 유도할 수 있다.
이제 도 3을 살펴보면, 무선 통신 환경에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들 간에 QoS에 관한 파라미터들을 교환하는 시스템(300)이 도시된다. 시스템(300)은 소스 기지국(204)과 타겟 기지국(206)을 포함한다. 소스 기지국(204)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 초기화기(210), 핸드오버 모듈(212), 및 구성 마이그레이터(214)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겟 기지국(206)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핸드오버 모듈(218) 및 구성 유지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소스 기지국(204) 및 타겟 기지국(206)은 X2 인터페이스(216)를 통해 QoS에 관한 파라미터들을 교환할 수 있다.
더욱이, 타겟 기지국(206)의 구성 유지기(220)는, 소스 기지국(204)에 의해 구축되고 X2 인터페이스(216)를 통해 수신된 QoS에 관한 파라미터들을 평가할 수 있는 선택기(3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선택기(302)는 타겟 기지국(206) 및 소스 기지국(204)을 분석할 수 있다(예를 들어, 그러한 기지국들의 벤더(vendor)들을 비교하는 등,...). 전술한 것에 기초하여, 선택기(302)는 소스 기지국(204)에 의해 구성된 상기 수신된 QoS에 관한 파라미터들(또는 그것의 서브세트)을 이용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타겟 기지국(206)은 구성 초기화기(30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성 초기화기(304)는 소스 기지국(204)의 구성 초기화기(210)와 거의 유사할 수 있다. 선택기(302)가 소스 기지국(204)에 의해 설정된 QoS에 관한 파라미터들을 채택하는 것을 선행(forego)할 것을 결정한 때, 구성 초기화기(304)는 그러한 파라미터들을 재구축할 수 있다(예를 들어, PDN GW로부터 획득된 트래픽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상에서, QoS는 여러 다양한 메커니즘들을 통해 단일 액세스 단말의 베어러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메커니즘들은 EPS 베어러들과 무선 베어러들 간의 일-대-일 맵핑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메커니즘들은 각각의 무선 베어러에 대하여 PDCP, RLC, HARQ, 및 MAC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다운링크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메커니즘들은 단일 액세스 단말의 상이한 베어러들 사이에서 우선순위화할 기지국 스케줄러 정책들의 적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L2 프로토콜(예를 들어, PDCP, RLC, HARQ, MAC,...)들의 구성은 기지국 특정일 수 있고, 상이한 기지국 벤더들은 PDN GW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QoS에 관한 파라미터들을 제공하기 위한 상이한 기술들을 채택할 수 있다. 더욱이, 기지국 스케줄러 정책들의 적용은 벤더마다 상이할 수 있다. 추가로, 기지국 스케줄러 정책들은 L2 프로토콜들의 구성에 관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기지국 벤더들은 상이한 스케줄러들을 구현할 수 있고, 이것은 상이한 L2 구성들을 야기할 수 있다. L2 프로토콜들 및 스케줄러 정책들의 구성이 기지국에서 결정될 수 있고 서로 종속적일 수 있음을 가정하면, 상이한 기지국 벤더들 간의 기지국 간 핸드오버 동안, 다운링크 L2 파라미터들은 재구축될 수 있다(예를 들어, 잠재적으로 무선 베어러들의 취급에서의 중단을 야기하면서,...). 그리하여, 선택기(302)는 상이한 벤더들로부터의 기지국들 간의 기지국 간 핸드오버를 인식할 수 있고, 그리하여 구성 초기화기(304)가 L2 파라미터들을 재구성할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공통 기지국 벤더를 가진 기지국들 간의 기지국 간 핸드오버들에 대하여, 스케줄러 정책들은 유사할 수 있고, 이것은 유사한 L2 프로토콜 구성들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선택기(302)는 (예를 들어, 구성 초기화기(304)를 사용하여,...) 그러한 파라미터들을 재구축하기보다는 오히려 X2 인터페이스(216)를 통해 소스 기지국(204)으로부터 획득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사용할 것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하여, 기지국 간 핸드오버 이전에 그리고 이후에 다운링크 QoS의 중단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통 절차를 사용하여 전술한 예들을 다루기 위해, 소스 기지국(204)은 다운링크 L2 구성 정보를 타겟 기지국(206)으로(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216)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그 다음, 타겟 기지국(206)(예를 들어, 선택기(302))은 액세스 단말을 위하여 소스 기지국(204)에 의해 구성된 다운링크 L2 프로토콜들을 재사용하거나 재사용하지 않을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업링크 상에서, QoS는 여러 다양한 메커니즘들을 통해 단일 액세스 단말의 베어러들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메커니즘들은 EPS 베어러들과 무선 베어러들 간의 일-대-일 맵핑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메커니즘들은 각각의 무선 베어러에 대하여 PDCP, RLC, HARQ, 및 MAC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업링크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메커니즘들은 예를 들어, 논리 채널 우선순위,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PBR), 최대 비트 레이트(MBR), 보장된 비트 레이트(GBR) 등과 같은 업링크 QoS 구성 정보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업링크 L2 프로토콜들의 구성은 전술한 다운링크 L2 프로토콜들과 비교하여 거의 유사한 방식으로 다루어질 수 있다. 추가로, 논리 채널 우선순위, PBR, MBR, GBR 및 이와 유사한 것의 업링크 QoS 구성은 표준화될 수 있고, 다운링크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와 비교하여 거의 유사한 방식으로 취급될 수 있다. 그리하여, 기지국 간 핸드오버 동안에, 소스 기지국(204)은 업링크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및 QoS 구성 정보(예를 들어, 논리 채널 우선순위, PBR, MBR, GBR,...)를 타겟 기지국(206)으로(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216)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기(302)는 소스 기지국(204)으로부터 획득된 업링크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또는 이것의 서브세트) 및 업링크 QoS 구성 정보를 재사용할지 여부를 해독할 수 있다. 더욱이, 구성 초기화기(304)는 선택기(302)에 의해 재사용되지 않을 것으로 선택된 업링크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및/또는 업링크 QoS 구성 정보를 재구성할 수 있다.
L2 구성에 관한 여러 다양한 정보는 소스 기지국(204)으로부터 타겟 기지국(206)으로 전송될 수 있다. 교환될 수 있는 PDCP 파라미터의 예는 소스 기지국(204)에 의해 채택된 로버스트 헤더 압축(Robust Header Compression; ROHC) 프로파일이다. 또 다른 예에 따라, 통신될 수 있는 RLC 파라미터는 소스 기지국(204)에 의해 이용된 RLC 모드(예를 들어, 확인응답된 모드(acknowledged mode), 무확인응답된 모드(unacknowledged mode),...)에 대응하는 표시자일 수 있다. 더욱이, 확인응답된 모드가 이용되면, X2 인터페이스(216)를 통해 전송된 L2 구성 정보는 부정확인응답(NAK)들의 횟수(a number of rounds), 패킷이 소실되는지 여부를 평가할 때 사용할 타이머의 타입, 액세스 단말이 리포트들을 요청하기 위해 폴링(poll)되는 방식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무확인응답된 모드가 채택되면, X2 인터페이스(216) 상에서 전달된 L2 구성 정보는 사용자 또는 패킷이 스케줄링될 수 없었던 동안의 시간 길이에 관련될 수 있다. 추가 예에 따르면, 교환될 수 있는 MAC 파라미터는 소스 기지국(204)에 의해 이용된 스케줄링의 타입(예를 들어, 동적, 반영속적,..)을 특정하는 표시자일 수 있다.
도 4-도 5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환경에서의 이동성 절차 동안에 QoS 연속성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방법들이 도시된다. 설명의 단순화를 위하여, 상기 방법들은 일련의 동작들로서 도시되고 기술된 반면, 소정 동작들은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다른 순서들로 그리고/또는 다른 동작들과 동시에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방법들은 동작들의 순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이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당업자들은 방법이 대안적으로 상태도에서와 같이 일련의 상호관련된 상태들 또는 이벤트들로서 표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고 인식할 것이다. 더욱이, 예시된 동작들이 모두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라 일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요구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환경에서 이동성 절차 동안 서비스 품질(QoS) 연속성을 제공하는 것을 촉진하는 방법(400)이 도시된다. 402에서, 소스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 정보가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는 업링크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는 다운링크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는 무선 베어러 당 소스 기지국에 의해 초기화 및/또는 제어될 수 있다. 더욱이,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는 각각의 무선 베어러에 대하여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파라미터들, 무선 링크 제어(RLC) 파라미터들,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구(HARQ) 파라미터들, 매체 액세스 제어(MAC) 파라미터들, 이들의 조합, 기타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예에 따르면, 소스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업링크 QoS 구성 정보가 인식될 수 있다. 업링크 QoS 구성 정보는 예를 들어, 논리 채널 우선순위,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PBR), 최대 비트 레이트(MBR), 보장된 비트 레이트(GBR), 이들의 조합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404에서,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는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는 X2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추가 예에 따라, 소스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업링크 QoS 구성 정보는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에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겟 기지국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이제 도 5를 살펴보면, 무선 통신 환경에서 이동성 절차 동안 서비스 품질(QoS)을 유지하는 것을 촉진하는 방법(500)이 도시된다. 502에서, 소스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는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에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추가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는 업링크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및/또는 다운링크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는 무선 베어러 당 소스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는 각각의 무선 베어러에 대하여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파라미터들, 무선 링크 제어(RLC) 파라미터들,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구(HARQ) 파라미터들, 매체 액세스 제어(MAC) 파라미터들, 이들의 조합, 기타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소스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업링크 QoS 구성 정보가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에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업링크 QoS 구성 정보는 예를 들어, 논리 채널 우선순위,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PBR), 최대 비트 레이트(MBR), 보장된 비트 레이트(GBR), 이들의 조합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504에서, QoS에 대한 상기 수신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의 적어도 일 부분을 재사용할지 여부에 관한 선택이 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선택은 상기 수신된 업링크 QoS 구성 정보의 적어도 일 부분을 재사용할지 여부에 관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재사용을 위해 선택된 QoS에 대한 상기 수신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및/또는 상기 수신된 업링크 QoS 구성 정보가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를 통해 액세스 단말과 통신할 때 채택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라, 상기 선택은 소스 기지국 및 타겟 기지국에 대한 벤더들의 비교에 기초할 수 있다.
506에서, 재사용되도록 선택되는 것에 실패한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중 나머지가 재구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재사용되도록 선택되는 것에 실패한 업링크 QoS 구성 정보의 나머지가 재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 무선 통신 환경에서 QoS 연속성을 유지하는 것에 관하여 추론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추론하다" 또는 "추론"에 대한 용어는 일반적으로, 이벤트들 및/또는 데이터를 통해 포착된 관측들의 세트로부터 시스템, 환경, 및/또는 사용자의 상태들을 추론하는 것 또는 그러한 상태들에 대해 추리하는 것의 프로세스를 지칭한다. 추론은 특정 맥락 또는 동작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상태들에 대한 확률 분포를 생성할 수 있다. 추론은 확률적일 수 있고, 즉, 데이터 및 이벤트들의 고려에 기초한 관심 상태들에 대한 확률 분포의 계산일 수 있다. 추론은 또한 이벤트들 및/또는 데이터의 세트로부터 더 높은-레벨 이벤트들을 구성하기 위해 채택된 기술들을 지칭할 수 있다. 그러한 추론은 이벤트들이 가까운 시간적인 근접성으로 상관되든 그렇지 않든, 그리고 이벤트들 및 데이터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이벤트 및 데이터 소스들로부터 나온 것이든 그렇지 않든, 관찰된 이벤트들 및/또는 저장된 이벤트 데이터의 세트로부터 새로운 이벤트들 또는 동작들의 구성을 야기한다.
일 예에 따라, 앞서 제시된 하나 이상의 방법들은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 인터페이스를 통해 교환할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및/또는 업링크 QoS 구성 정보를 선택하는 것에 관하여 추론들을 구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의 방식으로, 추론은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및/또는 업링크 QoS 구성 정보를 재사용할지 또는 재구축할지를 결정하는 것에 관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예들은 사실상 예시적이고,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여러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방법들과 관련하여 그러한 추론들이 이루어지는 방식이나 이루어질 수 있는 추론들의 개수를 제한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6은 청구 대상의 여러 다양한 양상들과 관련하여 채택될 수 있는 액세스 단말(600)의 일 예시이다. 액세스 단말(600)은 예를 들어, 수신 안테나(미도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한 전형적인 동작들을 수행(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하향변환 등)하고 샘플들을 획득하기 위해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털화하는 수신기(602)를 포함한다. 수신기(602)는 예를 들어, MMSE 수신기일 수 있고, 수신된 심볼들을 복조하여 채널 추정을 위해 그것들을 프로세서(606)에 제공할 수 있는 복조기(6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06)는 수신기(602)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거나/분석하고 송신기(612)에 의한 송신을 위하여 정보를 생성하는 것에 전용된 프로세서, 액세스 단말(6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또는 수신기(602)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 송신기(612)에 의한 송신을 위하여 정보를 생성하며 액세스 단말(6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액세스 단말(600)은 부가적으로 메모리(608)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모리(608)는 프로세서(606)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되어, 송신될 데이터, 수신된 데이터, 및 본 명세서에 기술된 여러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에 관한 임의의 다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데이터 저장소(예를 들어, 메모리(608))는 휘발성 메모리이거나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또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양쪽 모두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의 방식으로,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래밍가능 ROM(PROM), 전기적 프로그래밍가능 ROM(EPROM), 전기적 소거가능 PROM(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메모리로서 동작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의 방식으로, RAM은 동기 RAM(SRAM), 동적 RAM(DRAM), 동기 DRAM(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SDRAM(DDR SDRAM), 인핸스드 SDRAM(ESDRAM), 싱크링크 DRAM(SLDRAM), 및 직접 램버스 RAM(DRRAM)과 같은 다수의 형태들로 이용가능하다. 본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메모리(608)는 제한됨 없이 이러한 그리고 임의의 다른 적합한 타입들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액세스 단말(600)은 여전히 변조기(610) 및 기지국으로 데이터, 신호들 등을 송신하는 송신기(612)를 더 포함한다. 비록 프로세서(606)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변조기(610)는 프로세서(606)의 일부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들(미도시)일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도 7은 무선 통신 환경에서 이동성 절차 동안에 QoS 연속성을 유지하는 시스템(700)의 예시이다. 시스템(700)은 복수 개의 수신 안테나들(706)을 통해 하나 이상의 액세스 단말들(704)로부터 신호(들)를 수신하는 수신기(710), 및 송신 안테나(708)를 통해 하나 이상의 액세스 단말들(704)로 송신하는 송신기(724)를 가진 기지국(702)(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을 포함한다. 수신기(710)는 수신 안테나들(706)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정보를 복조하는 복조기(712)와 동작가능하게 연관된다. 복조된 심볼들은 도 6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프로세서와 유사할 수 있는 프로세서(714)에 의해 분석되고, 상기 프로세서(714)는 송신될 데이터 또는 액세스 단말(들)(704)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에 관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716)에 결합된다. 프로세서(714)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및/또는 업링크 QoS 구성 정보를 이종의 기지국(미도시)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성 마이그레이터(718)에 더 결합된다. 더욱이, 기지국(702)은 이종의 기지국(미도시)에 의해 설정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및/또는 업링크 QoS 구성 정보를 상기 이종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구성 유지기(7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 마이그레이터(718) 및 구성 유지기(720)는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이종의 기지국과 구성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구성 마이그레이터(718)는 도 2의 구성 마이그레이터(214)와 거의 유사할 수 있거나/있고 구성 유지기(720)는 도 2의 구성 유지기(220)와 거의 유사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더욱이,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기지국(702)은 구성 초기화기(도 2의 구성 초기화기(210) 및/또는 도 3의 구성 초기화기(304)와 거의 유사할 수 있는), 핸드오버 모듈(도 2의 핸드오버 모듈(212) 및/또는 도 2의 핸드오버 모듈(218)과 거의 유사할 수 있는), 및/또는 선택기(도 3의 선택기(302)와 거의 유사할 수 있는)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기지국(702)은 변조기(722)를 더 포함한다. 변조기(722)는 전술한 설명에 따라 안테나들(708)을 통해 액세스 단말(들)(704)로의 송신기(724)에 의한 송신을 위하여 프레임을 멀티플렉싱할 수 있다. 비록 프로세서(714)로부터 별개인 것으로서 도시되었지만, 지연 버짓 피드백 평가기(delay budget feedback evaluator)(718), 스케줄러(720), 및/또는 변조기(722)는 프로세서(714)의 일부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들(미도시)일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도 8은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800)을 보여준다. 무선 통신 시스템(800)은 간략화를 위하여 하나의 기지국(810) 및 하나의 액세스 단말(850)를 도시한다. 그러나, 시스템(800)이 하나보다 많은 수의 기지국 및/또는 하나보다 많은 수의 액세스 단말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고, 추가적인 기지국들 및/또는 액세스 단말들은 이하에 기술된 예시적인 기지국(810) 및 액세스 단말(850)과 거의 유사하거나 상이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부가하여, 기지국(810) 및/또는 액세스 단말(850)이 그들 사이의 무선 통신을 촉진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시스템들(도 1-도 3, 도 6-도 7, 및 도 9-도 10) 및/또는 방법들(도 4-도 5)을 채택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기지국(810)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가 데이터 소스(812)로부터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814)로 제공된다. 일 예에 따르면,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은 각각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TX 데이터 프로세서(814)는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해당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해 선택된 특정 코딩 방식에 기초하여 트래픽 데이터 스트림을 포맷팅, 코딩, 및 인터리빙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코딩된 데이터는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기술들을 사용하여 파일럿 데이터와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파일럿 심볼들은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FDM),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TDM), 또는 코드 분할 멀티플렉싱(CDM)될 수 있다. 파일럿 데이터는 전형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프로세싱된 공지된 데이터 패턴이고,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해 액세스 단말(850)에서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멀티플렉싱된 파일럿 및 코딩된 데이터는 변조 심볼들을 제공하기 위해 해당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변조 방식(예를 들어, 이진 위상-시프트 키잉(BPSK), 직교 위상-시프트 키잉(QPSK), M-위상-시프트 키잉(M-PSK), M-직교 진폭 변조(M-QAM) 등)에 기초하여 변조될 수 있다(예를 들어, 심볼 맵핑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프로세서(830)에 의해 수행 또는 제공된 명령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볼들은 TX MIMO 프로세서(820)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TX MIMO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OFDM에 대해) 변조 심볼들을 더 프로세싱할 수 있다. 그 다음 TX MIMO 프로세서(820)는 N T 개의 송신기(TMTR)들(822a 내지 822t)로 N T 개의 변조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여러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TX MIMO 프로세서(820)는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볼들에 그리고 심볼을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에 빔포밍 가중치들을 적용한다.
각각의 송신기(822)는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고 프로세싱하며, MIMO 채널을 통한 송신에 적합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들을 더 컨디셔닝(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상향변환)한다. 추가로, 송신기들(822a 내지 822t)로부터의 N T 개의 변조된 신호들은 각각 N T 개의 안테나들(824a 내지 824t)로부터 송신된다.
액세스 단말(850)에서, 송신되어 변조된 신호들은 N R 개의 안테나들(852a 내지 852r)에 의해 수신되고, 각각의 안테나(852)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각각의 수신기(RCVR)(854a 내지 854r)로 제공된다. 각각의 수신기(854)는 각각의 신호를 컨디셔닝(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하향변환)하고, 샘플들을 제공하기 위해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털화하며, 대응하는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샘플들을 더 프로세싱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860)는 N T 개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하기 위해 특정 수신기 프로세싱 기술에 기초하여 N R 개의 수신기들(854)로부터 N R 개의 수신된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하여 프로세싱할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860)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하기 위해 각각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할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860)에 의한 프로세싱은 기지국(810)에서 TX MIMO 프로세서(8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814)에 의해 수행되는 것에 상보적이다.
프로세서(870)는 어떤 이용가능한 기술을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이용할지를 주기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추가로, 프로세서(870)는 행렬 인덱스 부분 및 랭크 값 부분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공식화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통신 링크에 관한 여러 다양한 타입들의 정보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데이터 소스(836)로부터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 또한 수신하는 TX 데이터 프로세서(838)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변조기(880)에 의해 변조되고, 송신기들(854a 내지 854r)에 의해 컨디셔닝되며, 다시 기지국(810)으로 송신될 수 있다.
기지국(810)에서, 액세스 단말(850)로부터의 변조된 신호들은 안테나들(824)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들(822)에 의해 컨디셔닝되며, 복조기(840)에 의해 복조되고, 액세스 단말(850)에 의해 송신된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추출하도록 RX 데이터 프로세서(842)에 의해 프로세싱된다. 추가로, 프로세서(830)는 빔포밍 가중치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어떠한 프리코딩 행렬을 사용할지 결정하기 위해 추출된 메시지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830 및 870)은 기지국(810) 및 액세스 단말(850)에서 각각 동작을 지시(예를 들어, 제어, 조정, 관리 등)할 수 있다. 각각의 프로세서들(830 및 870)은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832 및 872)와 연관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830 및 870)은 또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대하여 각각 주파수 및 임펄스 응답 추정치들을 도출하기 위한 계산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논리 채널들은 제어 채널들 및 트래픽 채널들로 분류된다. 논리적 제어 채널들은 시스템 제어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DL 채널인,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Broadcast Control Channel; BCCH)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논리적 제어 채널들은 페이징 정보를 전달하는 DL 채널인, 페이징 제어 채널(Paging Control Channel; PCCH)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논리적 제어 채널들은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Multicast Control Channel; MCCH)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MCCH)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MTCH들에 대한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Multimedia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 MBMS) 스케줄링 및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포인트-투-멀티포인트 DL 채널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접속을 확립한 이후에, 이러한 채널은 단지 MBMS(예를 들어, 이전의(old) MCCH+MSCH)를 수신하는 UE들에 의해서만 사용된다. 부가적으로, 논리적 제어 채널들은 전용 제어 채널(Dedicated Control Channel; DCCH)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용 제어 채널(DCCH)은 전용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RRC 접속을 갖는 UE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포인트-투-포인트 양방향 채널이다. 일 양상에서, 논리적 트래픽 채널들은 전용 트래픽 채널(Dedicated Traffic Channel; DTCH)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용 트래픽 채널(DTCH)은 사용자 정보의 전달을 위해 하나의 UE에 전용되는 포인트-투-포인트 양방향 채널이다. 또한, 논리적 트래픽 채널들은 트래픽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포인트-투-멀티포인트 DL 채널에 대한 멀티캐스트 트래픽 채널(Multicast Traffic Channel; MTCH)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들은 DL 및 UL로 분류된다. DL 전송 채널들은 브로드캐스트 채널(Broadcast Channel; BCH), 다운링크 공유 데이터 채널(DL-SDCH) 및 페이징 채널(PCH)을 포함한다. PCH는 전체 셀에 걸쳐 브로드캐스팅되고 다른 제어/트래픽 채널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는 물리 계층(PHY) 자원들에 맵핑됨으로써 UE 전력 절약을 지원할 수 있다(예를 들어,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사이클은 네트워크에 의해 UE에게 표시될 수 있는 등,...). UL 전송 채널들은 랜덤 액세스 채널(RACH), 요청 채널(Request Channel; REQCH), 업링크 공유 데이터 채널(UL-SDCH) 및 복수 개의 PHY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PHY 채널들은 DL 채널들 및 UL 채널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L PHY 채널들은: 공통 파일럿 채널(CPICH); 동기화 채널(SCH); 공통 제어 채널(CCCH); 공유 DL 제어 채널(SDCCH);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MCCH); 공유 DL 제어 채널(SDCCH);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MCCH); 공유 UL 할당 채널(SUACH); 긍정확인응답 채널(ACKCH); DL 물리적 공유 데이터 채널(DL-PSDCH); UL 전력 제어 채널(UPCCH); 페이징 표시자 채널(PICH); 및/또는 로드 표시자 채널(LICH)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예를 들어, UL PHY 채널들은: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채널 품질 표시자 채널(CQICH); 긍정확인응답 채널(ACKCH); 안테나 서브세트 표시자 채널(ASICH); 공유 요청 채널(SREQCH); UL 물리적 공유 데이터 채널(UL-PSDCH); 및/또는 브로드밴드 파일럿 채널(BPICH)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하드웨어 구현을 위하여, 프로세싱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래밍 가능 로직 디바이스(PLD)들, 현장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마이크로코드, 프로그램 코드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로 구현될 때, 이들은 저장 컴포넌트와 같은 기계-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프로시저, 함수, 서브프로그램, 프로그램, 루틴, 서브루틴, 모듈, 소프트웨어 패키지, 클래스 또는 명령들, 데이터 구조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문(statement)들의 임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정보, 데이터, 인수(argument)들, 파라미터들, 또는 메모리 컨텐츠를 패싱 및/또는 수신함으로써 또 다른 코드 세그먼트 또는 하드웨어 회로에 결합될 수 있다. 정보, 인수들, 파라미터들, 데이터 등은 메모리 공유, 메시지 패싱, 토큰 패싱, 네트워크 송신 등을 포함한 임의의 적합한 수단을 사용하여 패싱, 포워딩, 또는 송신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을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기술들은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예를 들어, 프로시저들, 함수들, 기타 등등)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닛들에 저장되어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에서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고, 후자의 경우에 메모리 유닛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여러 다양한 수단을 경유하여 프로세서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환경에서 서비스 품질(QoS) 연속성을 지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900)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시스템(900)은 기지국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주할 수 있다. 시스템(900)은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표현되고, 상기 기능 블록들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펌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들일 수 있다. 시스템(900)은 함께 동작할 수 있는 전기 컴포넌트들의 논리적 그룹핑(90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논리적 그룹핑(902)은 소스 기지국에서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초기화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904)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논리적 그룹핑(902)은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기지국에서 초기화된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906)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논리적 그룹핑(902)은 소스 기지국에서 업링크 QoS 구성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908)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논리적 그룹핑(902)은 또한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기지국에서 설정된 상기 업링크 QoS 구성 정보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910)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시스템(900)은 전기 컴포넌트들(904, 906, 908, 및 910)과 연관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912)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12)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 반면, 전기 컴포넌트들(904, 906, 908, 및 910) 중 하나 이상은 메모리(912) 내에 존재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환경에서 이동성 절차 내내 서비스 품질(QoS)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1000)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시스템(1000)은 기지국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주할 수 있다. 시스템(1000)은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표현되고, 상기 기능 블록들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펌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들일 수 있다. 시스템(1000)은 함께 동작할 수 있는 전기 컴포넌트들의 논리적 그룹핑(100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논리적 그룹핑(1002)은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004)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논리적 그룹핑(1002)은 QoS에 대한 상기 획득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의 적어도 일 부분을 재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006)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논리적 그룹핑(1002)은 재사용되도록 결정된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획득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이용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008)를 포함할 수 있다. 논리적 그룹핑(1002)은 또한 재사용되지 않도록 결정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재구축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010)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시스템(1000)은 전기 컴포넌트들(1004, 1006, 1008, 및 1010)과 연관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1012)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12)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 반면, 전기 컴포넌트들(1004, 1006, 1008, 및 1010) 중 하나 이상은 메모리(1012) 내에 존재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한 것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예들을 포함한다. 물론, 전술한 실시예들을 기술할 목적으로 컴포넌트들 또는 방법들의 모든 착상가능한 조합을 기술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으나, 당업자는 여러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수의 추가 조합들 및 변형들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변경들, 수정들 및 변형들을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부가하여, 용어 "포함하다"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범위에 대하여, 상기 용어는 "포함하는"이 청구항에서 전이 단어로서 채택될 때 해석되는 바와 같이 용어 "포함하는"과 유사한 방식으로 다른 구성요소들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42)

  1. 무선 통신 환경에서 이동성 절차(mobility procedure) 동안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연속성을 제공하는 것을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소스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 상기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QoS) 연속성을 제공하는 것을 촉진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는 다운링크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QoS) 연속성을 제공하는 것을 촉진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는 업링크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QoS) 연속성을 제공하는 것을 촉진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무선 베어러 당 상기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QoS) 연속성을 제공하는 것을 촉진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파라미터, 무선 링크 제어(RLC) 파라미터,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구(HARQ) 파라미터,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QoS) 연속성을 제공하는 것을 촉진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X2 인터페이스인,
    서비스 품질(QoS) 연속성을 제공하는 것을 촉진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업링크 QoS 구성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상기 업링크 QoS 구성 정보를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QoS) 연속성을 제공하는 것을 촉진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QoS 구성 정보는 논리 채널 우선순위,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PBR), 최대 비트 레이트(MBR), 또는 보장된 비트 레이트(GB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QoS) 연속성을 제공하는 것을 촉진하는 방법.
  9. 무선 통신 장치로서,
    무선 베어러 당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초기화시키고,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것에 관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메모리에 보유된 상기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는 다운링크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는 업링크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파라미터, 무선 링크 제어(RLC) 파라미터,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구(HARQ) 파라미터,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업링크 QoS 구성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 상기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업링크 QoS 구성 정보를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에 관한 명령들을 더 보유하는,
    무선 통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QoS 구성 정보는 논리 채널 우선순위,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PBR), 최대 비트 레이트(MBR), 또는 보장된 비트 레이트(GB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5. 무선 통신 환경에서 서비스 품질(QoS) 연속성을 지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소스 기지국에서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초기화하기 위한 수단: 및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기지국에서 초기화된 상기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는 다운링크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또는 업링크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파라미터, 무선 링크 제어(RLC) 파라미터,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구(HARQ) 파라미터,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기지국에서 업링크 QoS 구성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기지국에서 설정된 상기 업링크 QoS 구성 정보를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QoS 구성 정보는 논리 채널 우선순위,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PBR), 최대 비트 레이트(MBR), 또는 보장된 비트 레이트(GB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0.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computer program product)으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소스 기지국에서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초기화하기 위한, 상기 매체 상에 저장된 코드: 및
    기지국 간 핸드오버 동안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기지국에서 초기화된 상기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상기 매체 상에 저장된 코드
    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파라미터, 무선 링크 제어(RLC) 파라미터,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구(HARQ) 파라미터,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소스 기지국에서 업링크 QoS 구성 정보를 초기화하기 위한, 상기 매체 상에 저장된 코드; 및
    상기 기지국 간 핸드오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기지국에서 설정된 상기 업링크 QoS 구성 정보를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상기 매체 상에 저장된 코드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QoS 구성 정보는 논리 채널 우선순위,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PBR), 최대 비트 레이트(MBR), 또는 보장된 비트 레이트(GB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로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소스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소스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업링크 QoS 구성 정보를 인식하며; 그리고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및 상기 업링크 QoS 구성 정보를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25. 무선 통신 환경에서 이동성 절차 동안 서비스 품질(QoS)을 유지하는 것을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의 적어도 일 부분을 재사용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재사용되도록 선택되는데 실패한 상기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의 나머지를 재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QoS)을 유지하는 것을 촉진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X2 인터페이스인,
    서비스 품질(QoS)을 유지하는 것을 촉진하는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파라미터, 무선 링크 제어(RLC) 파라미터,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구(HARQ) 파라미터,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QoS)을 유지하는 것을 촉진하는 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기지국 및 타겟 기지국에 대한 벤더(vendor)들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의 적어도 상기 일 부분을 재사용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QoS)을 유지하는 것을 촉진하는 방법.
  29. 제25항에 있어서,
    액세스 단말과 통신할 때 재사용을 위해 선택된 상기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을 채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QoS)을 유지하는 것을 촉진하는 방법.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업링크 QoS 구성 정보를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QoS 구성 정보의 적어도 일 부분을 재사용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재사용되도록 선택되는데 실패한 상기 QoS 구성 정보의 나머지를 재구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QoS)을 유지하는 것을 촉진하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QoS 구성 정보는 논리 채널 우선순위,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PBR), 최대 비트 레이트(MBR), 또는 보장된 비트 레이트(GB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QoS)을 유지하는 것을 촉진하는 방법.
  32. 무선 통신 장치로서,
    기지국 간 핸드오버 동안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의 적어도 일 부분을 재사용할지 여부를 선택하며, 재사용되도록 선택되는데 실패한 상기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의 나머지를 재구축하는 것에 관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메모리에 보유된 상기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파라미터, 무선 링크 제어(RLC) 파라미터,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구(HARQ) 파라미터,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액세스 단말과 통신할 때 재사용을 위해 선택된 상기 수신된 QoS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을 이용하는 것에 관한 명령들을 더 보유하는,
    무선 통신 장치.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기지국 간 핸드오버 동안 상기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업링크 QoS 구성 정보를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QoS 구성 정보의 적어도 일 부분을 재사용할지 여부를 선택하며, 재사용되도록 선택된 상기 획득된 QoS 구성 정보를 채택하며, 재사용되도록 선택되는데 실패한 상기 QoS 구성 정보의 나머지를 재구축하는 것에 관한 명령들을 더 보유하는,
    무선 통신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QoS 구성 정보는 논리 채널 우선순위,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PBR), 최대 비트 레이트(MBR), 또는 보장된 비트 레이트(GB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7. 무선 통신 환경에서 이동성 절차 내내 서비스 품질(QoS)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하기 위한 수단;
    상기 획득된 QoS 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의 적어도 일 부분을 재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재사용되도록 결정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획득된 상기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이용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재사용되지 않도록 결정된 상기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재구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파라미터, 무선 링크 제어(RLC) 파라미터,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구(HARQ) 파라미터,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40.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하기 위한, 상기 매체 상에 저장된 코드;
    상기 획득된 QoS 에 대한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의 적어도 일 서브세트를 재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상기 매체 상에 저장된 코드;
    재사용되도록 결정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획득된 상기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이용하기 위한, 상기 매체 상에 저장된 코드; 및
    재사용되지 않도록 결정된 상기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를 재구축하기 위한, 상기 매체 상에 저장된 코드
    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파라미터, 무선 링크 제어(RLC) 파라미터,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구(HARQ) 파라미터,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로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 간 이동성 절차 동안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업링크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QoS에 대한 다운링크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또는 QoS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업링크 계층 2(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QoS에 대한 다운링크 L2 프로토콜 구성 정보, 또는 QoS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재사용할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KR1020107020468A 2008-02-11 2009-02-11 서비스 품질 연속성 KR101189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777708P 2008-02-11 2008-02-11
US61/027,777 2008-02-11
US12/368,668 2009-02-10
US12/368,668 US9055612B2 (en) 2008-02-11 2009-02-10 Quality of service continuity
PCT/US2009/033807 WO2009102797A1 (en) 2008-02-11 2009-02-11 Quality of service continu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636A true KR20100113636A (ko) 2010-10-21
KR101189977B1 KR101189977B1 (ko) 2012-10-12

Family

ID=40938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0468A KR101189977B1 (ko) 2008-02-11 2009-02-11 서비스 품질 연속성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055612B2 (ko)
EP (1) EP2243317B1 (ko)
JP (1) JP5129349B2 (ko)
KR (1) KR101189977B1 (ko)
CN (1) CN101940028B (ko)
AU (1) AU2009214895A1 (ko)
CA (1) CA2713067A1 (ko)
IL (1) IL207102A0 (ko)
MX (1) MX2010008678A (ko)
RU (1) RU2465742C2 (ko)
TW (1) TWI397329B (ko)
UA (1) UA98842C2 (ko)
WO (1) WO200910279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3454A (ko) * 2011-12-06 2013-06-14 시그너스 브로드밴드, 인코포레이티드 통신 네트워크에서 핸드 오버 시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보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6236A (ko) * 2016-07-08 2018-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04802A (ko) * 2017-05-05 2020-01-14 소니 주식회사 통신 디바이스,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 방법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69399A4 (en) * 2008-04-21 2013-12-25 Ericsson Telefon Ab L M QCI MAPPING IN A ROUTE AND TRANSFER
US9226205B2 (en) 2008-04-25 2015-12-2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ulti-cell WTRUs configured to perform mobility procedures and methods
CN102057599B (zh) * 2008-06-04 2013-11-13 诺基亚西门子通信公司 用于持久/半持久无线电资源分配的信道质量信令
JP5137746B2 (ja) * 2008-08-28 2013-02-0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573676B2 (ja) 2008-10-31 2014-08-20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制御局、基地局、通信方法、プログラム
WO2010128902A1 (en) * 2009-05-04 2010-11-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mproved handover in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US20110128921A1 (en) * 2009-05-22 2011-06-02 Qualcomm Incorporated Utility maximization scheduler for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2306676B1 (en) * 2009-09-30 2014-08-06 Mitsubishi Electric R&D Centre Europe B.V. Access to an IP network from a mobile network
JP5317941B2 (ja) * 2009-12-04 2013-10-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及びゲートウェイ装置
EP2517409B1 (en) * 2009-12-22 2013-09-11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backbone inter base-station communication
CN102143599B (zh) * 2010-01-28 2013-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相邻基站连接的建立方法、建立设备和建立系统
CN102742330A (zh) * 2010-02-12 2012-10-17 三菱电机株式会社 移动通信系统
CN101820694B (zh) * 2010-03-19 2014-04-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配置传送的处理方法及装置
US8873531B2 (en) * 2010-05-03 2014-10-28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indicating station-specific informat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
GB201010410D0 (en) * 2010-06-22 2010-08-04 Nokia Siemens Networks Oy Relaying communications
US20130163508A1 (en) * 2010-09-03 2013-06-27 Nokia Siemens Networks Oy Relay Nodes in Multi-Operator Scenario
US9031564B2 (en) 2011-08-04 2015-05-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Handover robustness in cellular radio communications
WO2013022392A1 (en) 2011-08-09 2013-02-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xchange of mobility information in cellular radio communicatons
EP2745558A4 (en) 2011-08-15 2015-07-29 Ericsson Telefon Ab L M COMMUNICATION IMPROVEMENT AFTER SURPLUS
US9439171B2 (en) 2011-08-16 2016-09-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apability extensions for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s
US9629028B2 (en) * 2012-03-16 2017-04-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heterogeneous carrier aggregation
EP3668181A1 (en) * 2012-08-02 2020-06-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node and method for handing over a sub-set of bearers to enable multiple connectivity of a terminal towards several base stations
CN104080136B (zh) * 2013-03-31 2017-12-08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实现bbu池中虚拟基站的动态迁移的方法与设备
US9369926B2 (en) * 2013-05-08 2016-06-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VoLTE call to UMTS PS-based voice call
EP3044993A4 (en) * 2013-09-13 2017-01-25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neighbor relations in multi-vendor heterogeneous network
KR20150048611A (ko) * 2013-10-28 2015-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성에 강인한 그룹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6314238B2 (ja) * 2014-01-24 2018-04-18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ダウンリンクパラメータ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デバイス、及び装置
US9474054B1 (en) * 2014-02-03 2016-10-18 Sprint Spectrum L.P. Management of resource allo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5120601A1 (zh) 2014-02-13 2015-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通信网络检测方法和装置
CN105338572B (zh) * 2014-06-23 2020-07-3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双连接中分割承载的数据分配方法和装置
US10455454B2 (en) * 2016-01-03 2019-10-22 Apple Inc. Device category in 3GPP communications
CN105848303B (zh) * 2016-03-16 2019-09-17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终端多类型网络接入系统及方法、终端、网络侧设备
CN107277867A (zh) * 2016-04-08 2017-10-20 北京信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lte通信的业务切换方法及系统
CN109548090B (zh) * 2016-05-24 2020-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QoS控制方法及设备
CN107690197B (zh) * 2016-08-05 2020-02-2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传输节点更换方法及相关设备
CN109644393B (zh) * 2016-09-29 2020-10-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发送方法和装置
ES2967439T3 (es) 2016-10-17 2024-04-30 Sk Telecom Co Ltd Dispositivo de estación base y procedimiento de control de CdS en sección inalámbrica
CN108024294B (zh) * 2016-11-02 2020-08-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切换方法及装置
US10292078B1 (en) * 2017-11-08 2019-05-14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an evolved packet system bearer context
CN113784400B (zh) * 2020-06-10 2022-12-13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切换方法、处理方法、装置、网络设备及核心网设备
EP4262314A4 (en) * 2021-01-07 2024-01-10 Huawei Tech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55623B (en) 1999-10-19 2003-07-16 Ericsson Telefon Ab L M Packet transmission in a UMTS network
US20030142648A1 (en) * 2002-01-31 2003-07-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tinuous high speed packet data handoff
US7224704B2 (en) * 2002-04-01 2007-05-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reless network scheduling data frames including physical layer configuration
KR20040016540A (ko) 2002-08-17 2004-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6765888B2 (en) * 2002-08-23 2004-07-20 Motorola, Inc. Control PDU for early target paging for packet data modes
US7096022B2 (en) * 2002-10-08 2006-08-22 Ntt Docomo, Inc.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quality of service in vertical handovers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EP1519519B1 (en) 2003-09-23 2011-04-20 Panasonic Corporation Protocol context transf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951037A (zh) 2004-05-07 2007-04-18 三星电子株式会社 宽带无线接入通信系统中能够最小化服务延迟的切换系统与方法
US7233583B2 (en) * 2004-06-28 2007-06-1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context transfer for inter-BS and inter-PCF handoff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60068789A1 (en) * 2004-09-30 2006-03-30 Rath Vannithamby Radio configuration selection during inter-BS call handoff
KR100651033B1 (ko) 2004-12-06 2006-11-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트래픽 종류에 따른 l2 핸드오버 방법
WO2006128380A1 (fr) 2005-06-01 2006-12-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cede et systeme pour fournir l'assurance de la qualite de service dans un systeme de communication sans fil
JP2006345251A (ja) * 2005-06-09 2006-12-21 Kyocera Corp 無線通信端末及び通信方法
KR20070013444A (ko) 2005-07-26 2007-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이종망간 핸드오프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866225B1 (ko) * 2005-10-05 2008-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시스템을 위한 셀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1319870B1 (ko) 2006-01-05 2013-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US7907970B2 (en) * 2006-04-14 2011-03-15 Qualcomm Incorporated Providing quality of service for various traffic flows in a communications environment
US8654736B2 (en) 2006-06-16 2014-02-18 Ntt Docomo, Inc. Base station, user apparatus, and method
WO2008010063A2 (en) 2006-07-18 2008-01-24 Nokia Corporation Method, device, computer program, and apparatus providing embedded status information in handover control signaling
JP2008103865A (ja) * 2006-10-18 2008-05-01 Nec Corp ハンドオーバ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基地局
EP2477368B1 (en) * 2007-03-22 2014-06-04 Fujitsu Limited Base station, mobile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reordering method thereof
US20090005047A1 (en) * 2007-06-29 2009-01-01 Vivek Gupta Media independent vertical handover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3454A (ko) * 2011-12-06 2013-06-14 시그너스 브로드밴드, 인코포레이티드 통신 네트워크에서 핸드 오버 시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보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6236A (ko) * 2016-07-08 2018-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1843941B2 (en) 2016-07-08 2023-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004802A (ko) * 2017-05-05 2020-01-14 소니 주식회사 통신 디바이스,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 방법들
US11743796B2 (en) 2017-05-05 2023-08-29 Sony Group Corporatio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02797A1 (en) 2009-08-20
EP2243317A1 (en) 2010-10-27
EP2243317B1 (en) 2012-08-01
US20090201884A1 (en) 2009-08-13
IL207102A0 (en) 2010-12-30
UA98842C2 (ru) 2012-06-25
TW200948130A (en) 2009-11-16
CA2713067A1 (en) 2009-08-20
JP2011514746A (ja) 2011-05-06
AU2009214895A1 (en) 2009-08-20
RU2010137794A (ru) 2012-03-20
JP5129349B2 (ja) 2013-01-30
TWI397329B (zh) 2013-05-21
US9055612B2 (en) 2015-06-09
RU2465742C2 (ru) 2012-10-27
CN101940028B (zh) 2016-02-03
MX2010008678A (es) 2010-08-31
CN101940028A (zh) 2011-01-05
KR101189977B1 (ko) 201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9977B1 (ko) 서비스 품질 연속성
JP5646480B2 (ja) ランダム・アクセス手順におけるttiバンドリング
JP5281700B2 (ja) 無線装置とネットワーク間のデータユニットのシーケンスの送信のための無線通信方法
US8699487B2 (en) Uplink delay budget feedback
US9094943B2 (en) Network and mobile device initiated quality of service
US8451795B2 (en) Handover in a wireless data packet communication system that avoid user data loss
US9584416B2 (en) Systems and methods to provide flow control for mobile devices
RU2460242C2 (ru) Способы и системы для соблюдения порядка доставки в течение передачи обслуживания с применением таймера в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KR20100126822A (ko) 고속 패킷 액세스를 위한 미디어 액세스 제어-기반 빠른 셀 스위칭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028165B2 (en) Reverse link reliability through re-assembling multiple partially decoded connectionless frame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