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3238A -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3238A
KR20100113238A KR1020090031704A KR20090031704A KR20100113238A KR 20100113238 A KR20100113238 A KR 20100113238A KR 1020090031704 A KR1020090031704 A KR 1020090031704A KR 20090031704 A KR20090031704 A KR 20090031704A KR 20100113238 A KR20100113238 A KR 20100113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rol unit
playback device
user
content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율
김태호
Original Assignee
정광율
김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율, 김태호 filed Critical 정광율
Priority to KR1020090031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3238A/ko
Publication of KR20100113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SB 메모리에 인증이 필요한 콘텐츠를 구매, 실시간 시청 또는 재생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스마트 IC Chip 이 내장된 USB 메모리 형태로 구비시켜, USB 커넥터를 구비한 TV, 셋탑박스, 휴대용 단말기, 인터넷이 되는 내비게이션(Navigation) 등 다양한 단말기에 내장된 스마트카드 인증을 USB 메모리 형태 장치에 연동을 시켜 인증이 필요한 콘텐츠를 구매, 실시간 시청 또는 재생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불특정 다수가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유료용 콘텐츠를 구매 및 실시간 시청 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USB 커넥터가 구비된 재생기기, 실시간 Streamming 및 상기 재생기기의 USB 커넥터에 연결되는 잭이 구비되어 있으며, 인증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스마트 IC chip이 내장된 USB메모리 형태의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마트 IC Chip, USB, IPTV, CATV, 인증, 결제, 재생, 콘텐츠, USIM

Description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Contents service system using smart media card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USB 메모리에 인증이 필요한 콘텐츠를 구매 또는 재생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스마트 IC chip 카드 형태로 구비시켜, USB 커넥터를 구비한 TV, 셋탑박스, 휴대용 단말기 등 다양한 단말기에 스마트카드 IC Chip이 내장된 USB 메모리를 연결시켜 인증이 필요한 실시간 방송 서비스 및 콘텐츠를 구매 또는 재생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망의 발달로 인해 많은 케이블 또는 위성통신을 통한 VOD 서비스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IPTV가 활성화되고 있다. 현재까지의 케이블 TV 또는 위성통신을 통한 VOD 서비스의 경우 해당 채널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와 하드디스크, 인증을 위한 스마트카드를 장착시킬 수 있는 USB 커넥터로 이루어진 셋탑 박스를 기본적으로 구비하고 있어야 하며, 상기 커넥터에 인증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스마트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정보와 매칭되는 인증정보를 방송 서비스 사업자가 가지고 있는 가입자 정보 인증 서버를 통한 인증을 거쳐 사용 허가가 이루어지면 EPG에서 가입자가 선택한 실시간 방송 및 방송 서비스 사업자가 구비한 자체 유료 VOD를 구매,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셋탑 박스의 경우 인증절차에 따라 실시간 방송 및 VOD의 구매가 완료되는 경우 결제정보를 스마트 IC chip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함께 해당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청구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의 경우 셋탑 박스라는 장치가 반드시 필요했으며, 셋탑 박스의 경우 재생기기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한번 설치한 경우 쉽게 옮길 수 없는 문제로 인하여 실시간 방송 및 구매한 VOD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항상 일정한 장소에서만 시청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USB 메모리에 인증이 필요한 콘텐츠를 구매 또는 재생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스마트미디어 카드 형태로 구비시켜, USB 커넥터를 구비한 TV, 셋탑박스, 휴대용 단말기 등 다양한 단말기의 USB포트를 통하여 각 종 단말기의 USB포트에서 온 영상데이터를 실시간 표출하거나 메모리에 연결시켜 인증이 필요한 콘텐츠를 구매 또는 재생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외 서비스를 구현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USB 메모리에 인증절차를 거친 콘텐츠를 바로 저장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재생기기의 USB 커넥터에 USB 메모리를 연결하는 경우 자체적으로 인증절차를 수행한 후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콘텐츠를 원하는 장소에서 원하는 재생기기를 이용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불특정 다수가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사용자 인증를 거쳐 유료용 콘텐츠를 구매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USB 커넥터가 구비된 재생기기; 및 상기 재생기기의 USB 커넥터에 연결되는 잭이 구비되어 있으며, 인증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스마트 IC Chip를 탑재한 USB 형태의 휴대용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생기기는, 통신모듈이 탑재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상에 표출되도록 하는 제 1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생기기의 제 1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상기 휴대용 저장매체의 연결에 따라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에 온라인 접속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생기기는, TV, PC, PMP 단말기, 내비게이션 단말기, DMB 단말기, 휴대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용 저장매체는, 인증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 1 저장부와, 사용자에 의해 구매된 콘텐츠 또는 인증절차를 거쳐 다운로드받은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제 2 저장부와, 상기 재생기기로부터 인증요청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인증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재생기기로부터 다운 로드되는 콘텐츠를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는 한편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상기 재생기기 및 데이터의 통제를 하여 전송하는 제 2 제어부와, 상기 재생기기의 USB 커넥터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제어부와 재생기기의 제 1 제어부가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잭과,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유료 콘텐츠가 불법적으로 복사, 재생되지 않도록 사용자에 의해 복사 또는 재생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정상적인 복사 또는 재생모드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 1 제어부, 통신모듈 및 상기 제 2 제어부를 제어하는 제 3 제어부를 포함하며 이를 전체적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제 3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모리 부분 중 제 1 저장부는 코덱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는 CAS(Control Access Subscriber)/DRM 기술에 따라 스크램블(scramble)된 콘텐츠이며,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재생기기를 통해 재생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된 스크램블된 콘텐츠를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코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크램블 상태로 변환하고, 디스크램블 콘텐츠를 상기 재생기기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생기기의 제 1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콘텐츠 구매가 완료되는 경우 결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결제정보를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 및 상기 휴대용 저장매체의 제 2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저장매체의 제 2 제어부는 상기 결제정보를 상기 제 1 저장부 또는 제 2 저장부에 저장시키고, 사용자가 재생기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사용자가 재생기기의 USB 커넥터에 휴대용 저장매체의 잭을 연결시킨 후 콘텐츠 서비스 서버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실시간 방송 콘텐츠 또는 VOD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1) 콘텐츠 서비스 서버는, 재생기기의 제 1 제어부를 통해 실시간 방송 콘텐츠 또는 VOD 메뉴를 제공하는 과정; (2) 제 1 제어부는, 실시간 방송 콘텐츠 또는 VOD 메뉴를 표출하는 EPG 항목 중 임의의 콘텐츠가 선택되었는지를 체크하여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3) 제 1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저장매체의 제 2 제어부로 인증 요청신호를 출력하고, 제 2 제어부는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정보를 상기 제 1 제어부로 출력하고, 제 1 제어부는 읽어들인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실시간 방송 콘텐츠 또는 VOD가 구매 가능한 상태인지를 체크하여, 실시간 방송 콘텐츠 또는 VOD가 구매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 (4) 판단 결과 구매 가능한 상태인 경우 제 2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저장영역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5) 판단 결과 저장영역이 선택된 경우 제 2 제어부는 선택된 저장영역에 구매한 실시간 방송 콘텐츠 또는 VOD를 저장하는 과정; 및 (6) 제 2 제어부는 제 1 제어부를 통해 재생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코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스크램블 된 실시간 방송 콘텐츠 또는 VOD를 디스크램블 시켜 재생기기로 전송하여 재생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 IC Chip에 인증이 필요한 콘텐츠를 구매 또는 재생하기 위한 인증정보와 콘텐츠를 저장하고 이동의 통제가 가능한 휴대용 Flash 메모리를 포함한 스마트 미디어 카드 형태로 구비시켜, USB 커넥터를 구비한 TV, 셋탑박스, 휴대용 단말기 등 다양한 단말기에 USB 메모리를 연결시켜 인증이 필요한 실시간 방송 시청 및 콘텐츠를 구매 또는 재생할 수 있도록 하고, 콘텐츠의 무단 사용과 영상정보의 이동 및 복사의 통제가 가능하며 콘텐츠 재생기기의 종류와는 무관하게 원하는 재생기기를 이용하여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콘텐츠의 권한자가 원할 경우 제어 실행 스크립트를 통하여 특정 형태의 유통만을 시행하고 무단 유통을 제어함으로써 저작권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IC Chip의 인증절차를 거친 콘텐츠를 바로 저장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재생기기의 USB 커넥터에 USB 메모리를 연결하는 경우 스마트 미디어 자체적으로 인증절차를 수행한 후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콘텐츠를 원하는 장소에서 원하는 재생기기를 이용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커넥터(110)가 구비된 재생기기(100)와, 상기 재생기기의 USB 커넥터(110)에 연결되는 잭(210)이 구비되어 있으며, 인증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스마트 IC Chip(220)이 탑재된 휴대용 저장매체(200)로 구성된다.
상기 재생기기(100)는 통신모듈(120)이 탑재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 또는 상기 휴대용 저장매체(200)의 연결에 따라 상기 통신모듈(120)을 통해 유료용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300)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상기 콘텐 츠 서비스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130)상에 표출되도록 하는 제 1 제어부(140)를 구성요소로 포함하고 있다. 미 설명 도면부호 150은 스피커이다.
상기 재생기기(100)는 TV, PC, PMP 단말기, 내비게이션 단말기, DMB 단말기, 휴대폰 등 USB 커넥터만 구비하고 있거나, 구비시킬 수 있으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저장매체(200)는 인증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 1 저장부(210)와, 사용자에 의해 구매된 콘텐츠 또는 인증절차를 거쳐 다운로드받은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제 2 저장부(220)와, 상기 재생기기(100)로부터 인증요청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인증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저장부(210)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재생기기(100)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콘텐츠를 상기 제 2 저장부(220)에 저장되도록 하는 한편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저장부(210)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상기 재생기기(100)로 전송하는 제 2 제어부(230)와, 상기 재생기기(100)의 USB 커넥터(110)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제어부(230)와 재생기기(100)의 제 1 제어부(140)가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잭(240)와, 제 2 저장부(220)에 저장되어 있는 유료 콘텐츠가 불법적으로 복사, 재생되지 않도록 사용자에 의해 복사 또는 재생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정상적인 복사 또는 재생모드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 1 제어부(140), 통신모듈(120) 및 상기 제 2 제어부(230)를 제어하는 제 3 제어부(25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저장부(210)는 스마트 IC chip이다.
상기 제 1 저장부(210)는 코덱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제 2 저장부(220)에 저장된 콘텐츠는 CAS(Control Access subscriber)/DRM 기술에 따라 스크램블(scramble)된 콘텐츠이며, 상기 제 2 제어부(230)는 상기 재생기기(100)를 통해 재생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2 저장부(220)에 저장된 스크램블된 콘텐츠를 상기 제 1 저장부(210)에 저장된 코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크램블 상태로 변환하고, 디스크램블 콘텐츠를 상기 재생기기(100)로 출력한다.
상기 재생기기(100)의 제 1 제어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콘텐츠 구매가 완료되는 경우 결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결제정보를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300) 및 상기 휴대용 저장매체(200)의 제 2 제어부(23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휴대용 저장매체(200)의 제 2 제어부(230)는 상기 결제정보를 상기 제 1 저장부(210) 또는 제 2 저장부(220)에 저장시키고, 사용자가 재생기기(1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제 2 제어부(230)는 스마트 IC chip을 통한 인증 시에 다운로드된 콘텐츠가 사용자 인증을 거쳐야 볼 수 있으며 다운로드 시 복사나 다른 타매체에 복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방지한다.
콘텐츠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에 의해 구매된 콘텐츠에 대해 포인트 또 는 로열티(loyalty) 개념 등과 같은 대체 결제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한다
콘텐츠 서비스 서버(300)는 콘텐츠 서비스 프로그램이 변경된 경우 임의의 사용자가 임의의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의 휴대용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을 체크하여, 휴대용 저장매체에 저장된 콘텐츠 서비스 프로그램이 구버전인 경우 신버전의 콘텐츠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갱신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재생기기(100)의 USB 커넥터(110)에 휴대용 저장매체(200)의 잭(240)을 연결시킨 후 콘텐츠 서비스 서버(300)에 온라인 접속을 이루면, 콘텐츠 서비스 서버(300)는 재생기기(100)의 제 1 제어부(140)를 통해 실시간 방송 콘텐츠 또는 VOD 메뉴를 제공한다(S100).
그리고, 제 1 제어부(140)는 실시간 방송 콘텐츠 또는 VOD 메뉴 항목 중 임의의 콘텐츠가 선택되었는지를 체크하고(S110), 체크 결과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20).
상기 S120 과정의 판단 결과 선택된 경우 제 1 제어부(140)는 상기 휴대용 저장매체(200)의 제 2 제어부(230)로 인증 요청신호를 출력하고, 제 2 제어부(240) 는 상기 제 1 저장부(210)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정보를 상기 제 1 제어부(140)로 출력하고, 제 1 제어부(140)는 읽어들인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실시간 방송 콘텐츠 또는 VOD가 구매 가능한 상태인지를 체크한다(S130).
만약 상기 S120 과정의 체크 결과 실시간 방송 콘텐츠 또는 VOD 메뉴 항목 중 임의의 콘텐츠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다른 메뉴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S180)하고, 판단 결과 다른 메뉴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메뉴가 제공되도록 한다.
상기 S130 과정의 체크 결과 실시간 방송 콘텐츠 또는 VOD가 구매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40). 판단 결과 구매 가능한 상태인 경우 제 2 제어부(230)는 사용자에 의해 저장영역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S150)하고, 판단 결과 저장영역이 선택된 경우 제 2 제어부(230)는 선택된 저장영역에 구매한 실시간 방송 콘텐츠 또는 VOD를 저장한다(S160). 이때 저장영역은 제 1 저장부(210) 및 제 2 저장부(220) 중 어느 한 저장부에 해당된다.
만약, 상기 S140 과정의 판단 결과 구매 가능한 상태가 아닌 경우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
만약, 상기 S150 과정의 판단 결과 사용자에 의해 저장영역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제 2 제어부(230)는 디폴트 저장영역에 구매한 실시간 방송 콘텐츠 또는 VOD를 저장시킨다.
그리고, 제 2 제어부(230)는 제 1 제어부(140)를 통해 재생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저장부(210)에 저장되어 있는 코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스크 램블된 실시간 방송 콘텐츠 또는 VOD를 디스크램블시켜 재생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30) 및 스피커(150)를 통해 재생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2 제어부(230)는 스마트 IC chip을 통한 인증 시에 다운로드된 콘텐츠가 사용자 인증을 거쳐야 볼 수 있으며 다운로드 시 복사나 다른 타매체에 복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방지한다.
콘텐츠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에 의해 구매된 콘텐츠에 대해 대체 결제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때 대체 결제수단은 현금이 아닌 포인트 또는 로열티(loyalty) 등의 결제수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콘텐츠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가 판매되는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콘텐츠의 유통 및 사용권한을 확인하고, 확인된 결과에 따라 판매되도록 한다.
한편, 콘텐츠 서비스 서버(300)는 콘텐츠 서비스 프로그램이 변경된 경우 임의의 사용자가 임의의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의 휴대용 저장매체(200)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을 체크하여, 휴대용 저장매체(200)에 저장된 콘텐츠 서비스 프로그램이 구버전인 경우 신버전의 콘텐츠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갱신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재생기기 및 휴대용 저장매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재생기기
110 : USB 커넥터 120 : 통신모듈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제 1 제어부
150 : 스피커
200 : 휴대용 저장매체
210 : 제 1 저장부 220 : 제 2 저장부
230 : 제 2 제어부 240 : 잭
250 : 제 3 제어부
300 : 콘텐츠 서비스 서버

Claims (13)

  1.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불특정 다수가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유료용 콘텐츠를 구매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USB 커넥터가 구비된 재생기기 및 상기 재생기기의 USB 커넥터에 연결되는 잭이 구비되어 있으며, 인증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스마트미디어 카드 탑재된 휴대용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기기는,통신모듈이 탑재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상에 표출되도록 하는 제 1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기기의 제 1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상기 휴대용 저장매체의 연결에 따라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에 온라인 접속을 이루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기기는, TV, PC, PMP 단말기, 내비게이션 단말기, DMB 단말기, 휴대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저장매체는 인증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 1 저장부와, 사용자에 의해 구매된 콘텐츠 또는 인증절차를 거쳐 다운로드받은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제 2 저장부와, 상기 재생기기로부터 인증요청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인증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재생기기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콘텐츠를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는 한편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상기 재생기기로 전송하는 제 2 제어부와, 상기 재생기기의 USB 커넥터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제어부와 재생기기의 제 1 제어부가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잭와,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유료 콘텐츠가 불법적으로 복사, 재생되지 않도록 사용자에 의해 복사 또는 재생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정상적인 복사 또는 재생모드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 1 제어부, 통신모듈 및 상기 제 2 제어부를 제어하는 제 3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부는, 스마트미디어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부는 코덱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는 CAS(Control Access subscriber)/ DRM 기술에 따라 스크램블(scramble)된 콘텐츠이며,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재생기기를 통해 재생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된 스크램블된 콘텐츠를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코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크램블 상태로 변환하고, 디스크램블 콘텐츠를 상기 재생기기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기기의 제 1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콘텐츠 구매가 완료되는 경우 결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결제정보를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 및 상기 휴대용 저장매체의 제 2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저장매체의 제 2 제어부는 상기 결제정보를 상기 제 1 저장부 또는 제 2 저장부에 저장시키고, 사용자가 재생기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9. 사용자가 재생기기의 USB 커넥터에 휴대용 저장매체의 잭을 연결시킨 후 콘텐츠 서비스 서버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실시간 방송 콘텐츠 또는 VOD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1) 콘텐츠 서비스 서버는, 재생기기의 제 1 제어부를 통해 실시간 방송 콘텐츠 또는 VOD 메뉴를 제공하는 과정;
    (2) 제 1 제어부는, 실시간 방송 콘텐츠 또는 VOD 메뉴 항목 중 임의의 콘텐츠가 선택되었는지를 체크하여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3) 제 1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저장매체의 제 2 제어부로 인증 요청신호를 출력하고, 제 2 제어부는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정보를 상기 제 1 제어부로 출력하고, 제 1 제어부는 읽어들인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실시간 방송 콘텐츠 또는 VOD가 구매 가능한 상태인지를 체크하여, 실시간 방송 콘텐츠 또는 VOD가 구매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
    (4) 판단 결과 구매 가능한 상태인 경우 제 2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저장영역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5) 판단 결과 저장영역이 선택된 경우 제 2 제어부는 선택된 저장영역에 구매한 실시간 방송 콘텐츠 또는 VOD를 저장하는 과정; 및
    (6) 제 2 제어부는 제 1 제어부를 통해 재생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코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스크램블된 실시간 방송 콘텐츠 또는 VOD를 디스크램블시켜 재생기기로 전송하여 재생되도록 하는 과정;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7) 제 2 제어부는, 스마트 IC chip을 통한 인증 시에 다운로드된 콘텐츠가 사용자 인증을 거쳐야 볼 수 있으며 다운로드 시 복사나 다른 타매체에 복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8) 콘텐츠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구매된 콘텐츠에 대해 대체 결제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9) 콘텐츠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판매되는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콘텐츠의 유통 및 사용권한을 확인하고, 확인된 결과에 따라 판매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10) 콘텐츠 서비스 서버는, 콘텐츠 서비스 프로그램이 변경된 경우 임의의 사용자가 임의의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의 휴대용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을 체크하여, 휴대용 저장매체에 저장된 콘텐츠 서비스 프로그램이 구버전인 경우 신버전의 콘텐츠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갱신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KR1020090031704A 2009-04-13 2009-04-13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132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704A KR20100113238A (ko) 2009-04-13 2009-04-13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704A KR20100113238A (ko) 2009-04-13 2009-04-13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238A true KR20100113238A (ko) 2010-10-21

Family

ID=43132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704A KR20100113238A (ko) 2009-04-13 2009-04-13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323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5930A1 (en) * 2011-11-01 2013-05-10 Lg Electronics Inc. Media apparatus, content serv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10324655A (zh) * 2019-08-05 2019-10-11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直播间客户端的连线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0826913B2 (en) 2016-08-25 2020-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ity service in communication system
KR102264309B1 (ko) * 2020-12-16 2021-06-14 정명기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 재생 시스템
KR102275468B1 (ko) * 2020-12-16 2021-07-09 정명기 콘텐츠 재생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5930A1 (en) * 2011-11-01 2013-05-10 Lg Electronics Inc. Media apparatus, content serv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0826913B2 (en) 2016-08-25 2020-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ity service in communication system
CN110324655A (zh) * 2019-08-05 2019-10-11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直播间客户端的连线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264309B1 (ko) * 2020-12-16 2021-06-14 정명기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 재생 시스템
KR102275468B1 (ko) * 2020-12-16 2021-07-09 정명기 콘텐츠 재생 방법
WO2022131633A1 (ko) * 2020-12-16 2022-06-23 정명기 콘텐츠 재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7044B2 (ja)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ビス提供装置及びコンテンツ配信サービス端末装置
KR101018526B1 (ko) 휴대 통신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57538B1 (ko) 콘텐츠 다운로드 시스템 및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콘텐츠 공급장치 및 콘텐츠 공급방법, 콘텐츠 수신장치 및 콘텐츠 수신방법과 프로그램
US20060059105A1 (en) Move component, program, and move method
US20070250536A1 (en) Content Start Control Device
US20080222044A1 (en) Protected content renewal
KR20080077221A (ko) 디지털 권리 관리 디바이스 및 그 방법
US200702889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ownloading content to a target device
JP2007510975A (ja) デジタル著作権管理システムのためのデジタル著作権管理ユニット
CN103154985A (zh) 供给省略的关键代码部分以激活音频视频装置中的可许可部件
US10861024B2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restricting playback functionality of a media device in response to detecting unauthorized content
CN101507276A (zh) 具有可换个性适配器的能自动重配置多媒体系统
US20060059101A1 (en) Reproduction component, program and method thereof
KR20060125751A (ko) 라이센스 관리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그리고 프로그램
KR20100113238A (ko)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36042B1 (ko) 휴대용 정보 저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상기 휴대용 정보 저장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재생 방법
JP2007140960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テンツ受信装置、認証情報送信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WO2003102948A1 (ja) コンテンツ配信蓄積システム
JP4585736B2 (ja) サーバ装置
KR100727091B1 (ko)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와,이를 위한 휴대형 저장 장치
JP2002169912A (ja) 暗号復号化装置、課金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KR100610638B1 (ko) 주문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46911B1 (ko) 수신 제한된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A2621077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downloading content to a target device
KR100734397B1 (ko) 멀티미디어 파일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그멀티미디어 파일을 제공받아 재생하는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