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468B1 - 콘텐츠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468B1
KR102275468B1 KR1020200176264A KR20200176264A KR102275468B1 KR 102275468 B1 KR102275468 B1 KR 102275468B1 KR 1020200176264 A KR1020200176264 A KR 1020200176264A KR 20200176264 A KR20200176264 A KR 20200176264A KR 102275468 B1 KR102275468 B1 KR 102275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content data
data
storag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기
김관주
박준
이금화
정상혁
Original Assignee
정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기 filed Critical 정명기
Priority to KR1020200176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468B1/ko
Priority to KR1020210087656A priority patent/KR20220086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468B1/ko
Priority to PCT/KR2021/018059 priority patent/WO202213163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16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e.g. music or soft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09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콘텐츠 재생 장치에 장착되는 콘텐츠 저장 매체, 콘텐츠 재생 장치에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 저장 매체를 구입한 사용자의 사용자 기기를 포함하는 콘텐츠 재생 시스템의 콘텐츠 재생 방법은 콘텐츠 재생 장치가, 콘텐츠 저장 매체가 장착되면, 콘텐츠 저장 매체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식별정보와 콘텐츠 서버에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의 계정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면, 콘텐츠 서버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애장하고 싶은 아티스트의 콘텐츠를 한번의 구입으로 영구적으로 소장하고 재생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재생 방법{METHOD FOR PLAYING CONTENTS}
본 발명은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애장하고 싶은 아티스트의 콘텐츠, 즉, 음원, 영상, 사진을 한번의 구입으로 영구적으로 소장할 수 있으며,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사용자 기기로 콘텐츠를 저장하고 재생할 수 있는 콘텐츠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연자 즉, 아티스트 등이 취입한 음반이나 영상 및 사진 등을 예를 들면 장시간 음반(Long Play Record; LP), 콤팩트 카세트(Compact Cassette),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비디오 콤팩트 디스크(Video Compact Disc, VCD), 범용 직렬 버스(USB), 미니디스크(MiniDisc), 키노 앨범 및 비디오(Video) 등에 수록하여 그 매체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판매되는 방식이 이루어지고 있다.
급격한 기술 발달로 인한 음원 및 영상 재생은 LP 턴테이블, 카세트플레이어, CD플레이어, CD, VCD, DVD, USB 등을 연결하여 인식하는 컴퓨터와 노트북,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 키노 앨범 및 비디오를 연결하여 인식하는 스마트폰, MP3 플레이어, 휴대용 고음질 오디오, 모바일 스트리밍 등의 방식이 있다.
턴테이블은 축음기 이후 LP를 재생하기 위해 만들어진 음향 기기로, LP 발표 이후 점점 수요가 증가하자 많은 전자제품 회사들이 턴테이블 개발에 힘을 썼다. 초기에는 단순히 '재생'만의 기능으로 LP에 무리가 많이 발생하였으나 이 후 침압과 안티스케이팅 등을 조정하는 기능이 추가된 전문적인 기기들이 출시되었다.
카세트 플레이어는 콤팩트 카세트 테이프에 교류 바이어스법, 즉, 음성 신호가 자기력을 통해 변환되어 테이프에 기록되는 원리를 통해 녹음된 음원을 재생하는 음향 기기이며, 카세트 테이프는 LP의 부피가 크고 재생매체마다 음질의 차이가 많은 단점을 보완한 “표준 매체” 정책이 반영된 음원 매체로서, 소니에서 출시한 워크맨 덕분에 1980~1990년대를 대표하는 음원 매체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CD 플레이어는 오디오 CD를 재생할 수 있는 음향기기로, 크게 휴대용 CD 플레이어와 독립적 거치형 CD 플레이어로 나눌 수 있다. CD 플레이어는 카세트 플레이어에 비해 깔끔한 음색과 곡 선정의 편의성 등 장점이 있지만, 부피가 카세트 플레이어보다 크고, 진동이나 충격에 약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후 CD 재생 중 진동 및 충격에 약하다는 단점은 CD 데이터를 미리 읽는 기술 등이 도입되어 일부 보완되었다.
VCD는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CD로, 컴퓨터에서도 재생이 가능하며, VCD 미디어 파일은 VCD용 포맷으로 변환되어 있기에 전용 소프트웨어나 플레이어가 필요했다. 이후에는 컴퓨터의 성능이 높아지면서 소프트웨어를 통해 CPU로 MPEG 1 디코딩이 가능해지면서 이 제품은 점차 사라졌다.
범용 직렬 버스(USB)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를 사용하여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음원 파일을 빠르게 전송하고, 백업 파일을 저장하거나 USB 드라이브를 지원하는 장치에서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음원을 공유하거나 USB를 지원하는 스테레오에서 재생하거나 백업을 만들 때 사용한다.
미니디스크(Mini Disc)는 광자기 기록 방식으로 디지털 정보를 MD 미디어라는 독자적인 규격의 매체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광자기 디스크와는 기록방식이 동일하나 규격과 용량은 전혀 다른 별개의 매체이다.
키노 앨범 및 비디오는 2014년 등장한 오프라인 음반과, 오프라인 비디오이며, 키노 안에 담긴 음원은 스마트 기기로 감상할 수 있다.
MP3플레이어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edia Player, PMP)의 다른 명칭으로 이동하면서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기기로, 여러 음원을 재생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개발 초기엔 기기 자체의 용량 제한으로 인해 음원의 용량을 줄이기 위해 MP3 확장자로 포맷해서 저장하자, 이로 인해 MP3가 대중화가 되자 플레이어의 명칭이 MP3로 바뀌게 되었다. 고급형 음원 플레이어는 DAP가 있으며, 기본적인 기능 자체는 MP3플레이어와 유사하지만 EQ와 음향 효과를 지원하고 고급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DAC) 칩을 다중으로 탑재하여 원음 재생에 중점을 두었다.
아스텔앤컨(Astell & Kern)은 포터블 MQS(Mastering Quality Sound) 플레이어로서, 고성능 앰프(Amplifier, AMP)를 결합하고, 선택적 출력으로 외장 앰프, 카오디오 연결이 가능하다.
모바일 스트리밍은 인터넷이나 앱에서 음원이나 동영상 등을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방식으로, 1995년 리얼 네트워크(社)가 개발한 리얼오디오에서 처음으로 선보였다.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는 모바일 인터넷 기술 발전과 원하는 곳을 바로 들을 수 있다는 편리함으로 선호도가 높으며 데이터 소모량으로 무선 인터넷을 권장하며 일단, 재생이 되면 다른 어플을 이용해도 음원이 재생된다는 장점이 있다.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는 OTT(Over The Top), 인터넷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방송 및 프로그램 등 미디어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 서비스로, 셋톱박스라는 하나의 플랫폼에만 종속되지 않고,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콘솔 게임기 등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한다는 의미로 하나의 콘텐츠를 다양한 플랫폼에서 시청할 수 있는 실시간 방송과 VOD를 포함한 차세대 방송 서비스를 의미한다.
인터넷 방송 스트리밍 서비스는 인터넷 방송으로, 실시간 인터넷 방송이라고도 한다.
비디오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는 개인의 게임 플레이 영상을 원격장치를 이용하여 인터넷 연결을 통해 실시간으로 방송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최근 들어, 통신 및 네트워크 기술 발달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스트리밍 서비스 등에 대한 관심 및 활용이 급속도로 성장되고 있어.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의 경우, 모바일 발전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실시간으로 유통 및 소비가 가능하고, 음원을 소비하는 일회성 콘텐츠로 변화되면서 신규 음원 문화 시장이 형성되었다. 음원 매체의 경우 아날로그 감성을 담은 LP가 가치 있는 음원매체로 재조명 받고 있다.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의 경우 글로벌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 발전으로 전세계에 설치된 장치에 미리 콘텐츠를 전송하고,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지역 네트워크에서 콘텐츠가 전송되는 방식이다. 덕분에 콘텐츠의 품질과 콘텐츠 감상의 속도가 더욱 향상되었고, 고용량의 콘텐츠를 작은 용량으로 압축해 전송하는 기술이 적용되어 적은 데이터로도 고화질의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통신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으로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 음원 스트리밍, 동영상 스트림에 대한 관심과 집중도가 높은 상황에서 콘텐츠 매체의 활성화, 다양한 콘텐츠의 제공 및 구매자의 요구를 반영한 최신 스트리밍 기술과 기존의 물리적 매체를 결합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애장하고 싶은 아티스트의 콘텐츠, 즉, 음원, 영상, 사진을 한번의 구입으로 영구적으로 소장할 수 있으며,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사용자 기기로 콘텐츠를 저장하고 재생할 수 있는 콘텐츠 재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되는 콘텐츠에 대해 자동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함으로써 애장하는 아티스트의 콘텐츠를 추가로 구입하는 절차없이 영구적으로 소장하고 장소에 관계없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콘텐츠 재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에 장착되는 콘텐츠 저장 매체,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에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상기 콘텐츠 저장 매체를 구입한 사용자의 사용자 기기를 포함하는 콘텐츠 재생 시스템의 콘텐츠 재생 방법은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가, 상기 콘텐츠 저장 매체가 장착되면, 상기 콘텐츠 저장 매체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상기 식별정보와 상기 콘텐츠 서버에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의 계정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면,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콘텐츠 서버에 상기 콘텐츠 저장 매체의 보안 정보와 사용자 계정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면,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가, 입력신호를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신호가 콘텐츠 재생 명령 신호인 경우, 상기 콘텐츠 저장 매체에 저장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복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복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프로젝터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한 후,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로그정보를 상기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신호가 콘텐츠 재생 명령 신호인 경우, 콘텐츠 재생 지시를 상기 사용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한 후,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로그정보를 상기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서버가, 수신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로그정보를 빅데이터 기반으로 수집 분석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신호가 콘텐츠 검색 명령 신호인 경우, 상기 콘텐츠 서버로 상기 콘텐츠 검색 명령에 대응하는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요청된 상기 검색에 따른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신호가 콘텐츠 업데이트 명령 신호인 경우, 상기 콘텐츠 서버를 통해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요청하여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 재생 시스템은 애장하고 싶은 아티스트의 콘텐츠, 즉, 음원, 영상, 사진을 한번의 구입으로 영구적으로 소장할 수 있으며,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사용자 기기로 콘텐츠를 저장하고 재생함으로써 사용자가 아티스트의 모든 콘텐츠를 영구적으로 소장하고 동시에 소유에 대한 욕구 충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추가되는 콘텐츠에 대해 자동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함으로써 애장하는 아티스트의 콘텐츠를 추가로 구입하는 절차없이 영구적으로 소장할 수 있으므로, 콘텐츠 이용에 대한 절차의 간소화 및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 취향에 따른 콘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만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장 매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시스템의 콘텐츠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시스템의 콘텐츠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를 이용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화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면들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구성을 갖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을 부여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텐츠 재생 시스템(1000)은 콘텐츠 저장 매체(100), 콘텐츠 재생 장치(200), 콘텐츠 서버(300) 및, 사용자 기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 시스템(10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는 다양한 소식을 통해 아티스트의 음원 발매에 관한 정보를 접하거나 애장하고 싶은 아티스트의 콘텐츠를 소장하고자, 직영 또는 대리점, 전자상거래 등의 구매처에서 아티스트 별로 판매하는 콘텐츠 저장 매체(100) 및 콘텐츠 재생 장치(200)를 구입할 수 있다. 콘텐츠 저장 매체(100) 및/또는 콘텐츠 재생 장치(200)를 구입한 사용자에게는 콘텐츠 서버(300)를 통해 사용자 계정이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계정은 콘텐츠 재생 장치(200) 및/또는 콘텐츠 서버(300)에 로그인 할 때 사용되는 아이디 또는 이메일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계정은 콘텐츠 저장 매체(100) 및/또는 콘텐츠 재생 장치(200)를 구입한 사용자에 대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 계정은 사용자 기기(400)에서 콘텐츠 서버(300)로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콘텐츠 저장 매체(100)는 식별정보와 보안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정보는 콘텐츠 저장 매체(100) 제작 시 무선 모듈에 부여되는 고유의 식별값일 수 있다. 또한, 고유의 식별값은 아티스트 정보에 연동하여 부여될 수 있다. 이러한 식별값은 콘텐츠 저장 매체(100)를 구입한 사용자 계정의 계정정보에 등록될 수 있다. 즉, 아티스트 정보와 콘텐츠 저장 매체(100)의 식별정보가 매칭되어 사용자 계정에 등록될 수 있다. 여기서, 보안 정보는 콘텐츠 저장 매체(100)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또 하나의 정보로서, 콘텐츠 저장 매체(100)의 커버에 시리얼 번호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콘텐츠 저장 매체(100)는 콘텐츠 재생 장치(200)를 통해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콘텐츠 저장 매체(100)는 식별값에 해당하는 즉, 아티스트 정보와 연동된 식별값에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값에 아티스트 “셀럽A”라고 부여된 경우, 콘텐츠 저장 매체(100)에는 아티스트 “셀럽A”의 콘텐츠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콘텐츠 저장 매체(100)는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콘텐츠 저장 매체(100)가 장착되면, 콘텐츠 저장 매체(100)의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인증 여부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데이터는 고음질의 암호화된 음원, 영상 및 사진을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데이터는 아티스트가 스튜디오에서 녹음한 음원 뿐만 아니라 공연장에서 라이브로 진행된 음원 및/또는 영상, 및 방송을 통해 녹음된 음원 및/또는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아티스트의 활동 사진, 스냅 사진, 광고 사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면,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데이터를 콘텐츠 저장 매체(10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콘텐츠 저장 매체(100)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사용자 기기(400)를 통해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내부 또는 외부 스피커를 통해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프로젝터를 통해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내부 또는 외부의 스피커, 프로젝터 및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사용자 기기(400)를 통해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콘텐츠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콘텐츠 서버(300)를 통해 콘텐츠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새로운 콘텐츠 데이터를 구입할 수 있다.
콘텐츠 서버(300)는 아티스트별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콘텐츠 서버(300)는 콘텐츠 저장 매체(100)의 식별값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서버(300)는 별도의 빅데이터 서버(500)를 구비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서버(300)는 콘텐츠 저장 매체(100) 및/또는 콘텐츠 재생 장치(200)를 구입한 사용자에게 사용자 계정을 할당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 이에, 콘텐츠 서버(300)는 사용자 계정별로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서버(300)는 사용자 계정의 계정정보에 등록된 식별값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이에, 콘텐츠 서버(300)는 사용자가 구입한 콘텐츠 데이터가 무엇인지, 추가 콘텐츠 업데이트를 통해 확보할 수 있는 콘텐츠 데이터가 무엇인지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콘텐츠 서버(300)는 사용자 계정에 연결된 콘텐츠 재생 장치(200) 또는 사용자 기기(400)에 어떠한 콘텐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콘텐츠 서버(300)는 사용자 계정이 활성화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이 활성화된 상태는 사용자가 회원 자격을 유지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회원 자격을 유지하는 방법으로는 주기적으로 회비를 납부하는 방법, 평생 회비를 납부하는 방법, 아티스트의 음원 발매에 공헌을 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서버(300)는 사용자 계정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콘텐츠의 추가 구입, 사용자 취향에 따른 콘텐츠 정보, 및 콘텐츠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서버(300)는 콘텐츠 재생 장치(200) 및/또는 사용자 기기(400)의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서버(300)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 계정의 계정정보에 등록된 식별값에 따라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콘텐츠 서버(300)는 아티스트별 콘텐츠 데이터가 업데이트되면, 사용자의 승인에 따라 암호화된 추가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는 콘텐츠 재생 장치(200) 또는 사용자 기기(400)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서버(300)는 사용자 계정에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확인하여 다운로드 대상 콘텐츠 데이터를 추출한 후 저장되었는지 확인하고, 저장되지 않은 경우, 다운로드 대상 콘텐츠 데이터를 콘텐츠 재생 장치(200) 및/또는 사용자 기기(4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운로드 대상 콘텐츠 데이터를 기존에 저장하였다면 이미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임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콘텐츠 재생 장치(200) 및/또는 사용자 기기(400)로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서버(300)는 콘텐츠 재생 장치(200)로부터 콘텐츠 검색을 요청받아, 요청된 검색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콘텐츠 재생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콘텐츠 서버(300)는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된 사용자 기기(400)로 콘텐츠 데이터를 스트리밍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서버(300)는 아티스트 별로 새로운 음원이 발매되는 경우나 새로운 콘텐츠가 발생하는 경우 콘텐츠 업데이트 정보를 콘텐츠 재생 장치(200) 및/또는 사용자 기기(4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서버(300)는 콘텐츠 재생 장치(200) 및/또는 사용자 기기(400)로부터 콘텐츠 데이터의 로그정보를 수집하여 빅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할 수 있다. 콘텐츠 서버(300)는 콘텐츠 재생 장치(200) 및 사용자 기기(40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로그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콘텐츠 서버(300)는 수집된 콘텐츠 데이터의 로그정보를 빅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서버(300)는 분석된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콘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서버(300)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콘텐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아티스트의 광고 효과 및 미디어 커머스(Media Commerce)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400)는 콘텐츠 저장 매체(100) 및/또는 콘텐츠 재생 장치(200)를 구입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를 의미하며, 사용자 기기(400)를 예를 들면, 인공지능 스피커, 컴퓨터, 스마트폰, 노트북, 스마트 TV, 태블릿 PC, PM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 기기(400)는 자동차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400)는 콘텐츠 서버(300)와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을 다운받아 실행시키거나 웹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기기(400)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콘텐츠 재생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기기(400)는 콘텐츠 서버(300)를 통해 할당된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400)는 할당된 사용자 계정을 로그인하고 콘텐츠 저장 매체(100)의 식별값을 계정정보에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계정 로그인은 사용자 기기(400)에서 콘텐츠 서버(300)로의 연결함과 동시에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후, 사용자 기기(400)에서 앱을 통해 로그인 시 콘텐츠 저장 매체(100)에 형성된 보안정보와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 함으로써 기기 사용자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기기(400)는 기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콘텐츠 서버(300)를 통해 사용자 계정에 따른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받아,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기기(400)는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콘텐츠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기기(400)는 기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콘텐츠 서버(300)를 통해 아티스트별 콘텐츠 데이터를 스트리밍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기기(400)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한 후 콘텐츠 데이터의 로그정보를 콘텐츠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데이터의 로그정보는 사용자가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한 날짜, 장소, 시간, 재생 횟수, 및 재생한 콘텐츠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기기(400)에서 스트리밍으로 제공받은 콘텐츠 데이터의 로그정보도 콘텐츠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지상파, 위성, 케이블 또는 인터넷 등의 유무선 통신망으로서,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거대도시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종합정보 네트워크(ISDN,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등의 유선 네트워크, 3G나 LTE(Long Term Evolution) 와 같은 이동통신이나 와이파이(Wi-Fi, Wireless-Fidelity), 와이파이 다이렉트 (Wi-Fi Direct), 위성통신 같은 무선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저전력 단거리 무선망 IPv6(6LoWPAN), 근거리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과 같은 단거리 무선 네트워크(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나아가 이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며,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네트워크는 콘텐츠 재생 장치(200)와 콘텐츠 서버(300), 콘텐츠 재생 장치(200)와 사용자 기기(400), 사용자 기기(400)와 콘텐츠 서버(300) 사이의 통신을 매개한다.
콘텐츠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재생 장치(200)로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고, 콘텐츠 재생 장치(200)와 콘텐츠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기기(400)와의 사용자 계정을 로그인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기기(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실시간으로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콘텐츠 재생 장치(200)와 사용자 기기(400)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콘텐츠 데이터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콘텐츠 저장 매체(100) 및 콘텐츠 재생 장치(200)를 구입한 사용자의 사용자 기기(400)를 통해 스트리밍으로도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장 매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콘텐츠 저장 매체(100)는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식별정보가 사용자 계정에 등록되어 콘텐츠 데이터의 업데이트 및 저장이 가능한 매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저장 매체(100)는 무선 모듈(120), 안테나(130), 메모리(140)가 형성된 회로기판(115)의 외곽 테두리에 배치되는 프레임(101), 회로기판(115)의 전면과 후면에 배치되는 커버(103) 및 강화유리(105, 10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저장 매체(100)는 프레임(101)의 일 측에 형성되어 콘텐츠 재생 장치(200)와의 접속을 연결하는 접속단자(11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1)은 콘텐츠 저장 매체(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호틀일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101)은 전자 접촉을 위해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프레임(101)은 골드, 로즈골드, 백금, 은, 청동, 및 메탈 등의 재질로 코팅 처리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프레임(101)은 다이아몬드, 사파이어, 에메랄드, 루비, 크리스탈 등의 귀금속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01)의 일측면에는 아티스트 이름이 라벨링될 수 있다. 여기서, 라벨링은 레이저를 통해 각인되어 변질되지 않고 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프레임(101) 내부에는 회로기판(115)가 삽입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101)과 회로기판(115)은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커버(103)는 콘텐츠 저장 매체(100)의 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프레임(101)과 회로기판(115)를 사이에 두고 전면과 후면을 감쌀 수 있도록 한 쌍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103)는 아티스트의 정보가 포함되며, 필름지와 같은 종이류, 비닐류 등에 인쇄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인쇄방법은 잉크젯 인쇄, 레이져 인쇄, 유브이 잉크젯 인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프레임(101)과 커버(103)는 광학성 점착 기술을 이용하여 접합될 수 있다.
강화유리(105, 107)는 프레임(101)에 삽입된 회로기판(115) 및 회로기판(115)의 전면과 후면에 배치된 커버(103)를 보호하기 위하여 한 쌍의 고강도의 강화유리(105, 107)로 형성될 수 있다. 강화유리(105, 107)는 강화유리 성분이 포함된 합성강화유리,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일부 강화유리(107)는 금, 은, 청동, 및 메탈 등의 금속 재질로 구현될 수도 있다.
강화유리(105, 107)는 프레임(101)에 삽입된 회로기판(115) 및 회로기판(115)의 전면과 후면에 배치된 커버(103)와 함께 광학성 점착 기술을 이용하여 접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학성 점착 기술을 이용하여 회로기판(115)가 삽입된 프레임(101), 커버(103), 및 강화유리(105, 107)를 접합함으로써 콘텐츠 저장 매체(100)의 제작 속도를 빠르게 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생활 방수가 가능하다. 더 나아가, 콘텐츠 저장 매체(100)의 내구성을 높이고, 귀금속을 포함함으로써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접속단자(110)는 콘텐츠 재생 장치(200)와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이며, 회로기판(115)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접속단자(110)가 형성된 회로기판(115)과 접하는 부분의 프레임(101)은 홈이 마련되어 접속단자(110)가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접속단자(110)는 콘텐츠 재생 장치(200)의 장착부에 장착되어 전자 접촉하여 연결됨으로써 콘텐츠 재생 장치(200)와 콘텐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접촉은 접촉의 향상 및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속단자(110)는 회로기판(115)에 전기적 전달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마감처리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적 단락의 위험을 차단할 수 있다.
무선 모듈(120)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인식 가능하며, 이러한 무선 모듈(120)은 무선 주파수 통신(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블루투스(Bluetooth, BT)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모듈(120)은 아티스트 정보, 식별정보 및 보안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식별정보는 콘텐츠 저장 매체(100)의 제작 시 부여되는 고유의 식별값이며, 또한, 고유의 식별값은 아티스트 정보에 연동하여 부여될 수 있다. 이러한 식별값은 콘텐츠 저장 매체(100)를 구입한 사용자 계정의 계정정보에 등록될 수 있다. 한편, 보안 정보는 콘텐츠 저장 매체(100)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또 하나의 정보로서, 커버(103)에 시리얼 번호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무선 모듈(120)에 저장된 식별정보는 콘텐츠 재생 장치(200)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안테나부(130)는 고주파 전력을 공기 중의 전자파로 효율적으로 방사하거나 공기 중의 전자파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수신하기 위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부(130)를 통해 식별정보가 콘텐츠 재생 장치(200)로 송신될 수 있다. 즉, 안테나부(130)를 통해 콘텐츠 저장 매체(100)와 콘텐츠 재생 장치(200)사이의 전력과 식별정보가 교환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콘텐츠 재생 장치(200)를 통해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식별값에 해당하는 즉, 아티스트 정보에 연동된 식별값에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값에 아티스트 “셀럽A”라고 부여된 경우, 콘텐츠 저장 매체(100)에는 아티스트 “셀럽A”의 콘텐츠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40)는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a는 콘텐츠 저장 매체(100)가 수평으로 탈착 가능한 형태의 장착부(201a)를 구현하는 경우의 콘텐츠 재생 장치(200)의 앞면의 예시도이고, 도 3b는 콘텐츠 저장 매체(100)가 수직으로 탈착 가능한 형태의 장착부(201a)를 구현하는 경우의 콘텐츠 재생 장치(200)의 뒷면의 예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본체(201)와 스피커(270a) 및 프로젝터(270b)를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별도로 구비된 리모트 컨트롤러(2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1)는 장착부(201a), 전원부(201c), 인터페이스부(220b), 및 표시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201a)는 콘텐츠 저장 매체(100)가 탈착 가능하도록 수평 또는 수직으로 형성되어 콘텐츠 저장 매체(100)를 장착할 수 있다. 장착부(201a)는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하나 이상의 콘텐츠 저장 매체(100)를 장착할 수 있다. 도 3a와 같이, 장착부(201a)는 콘텐츠 저장 매체(100)의 전면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장착홈을 형성하여 콘텐츠 저장 매체(100)의 후면이 면접촉되게 장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 3b와 같이 콘텐츠 저장 매체(100)의 측면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슬롯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장착부(201a)에 콘텐츠 저장 매체(100)가 수직으로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저장 매체(100)의 측면에는 아티스트의 이름이 각인된 부분이 노출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20b)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리모트 컨트롤러(280)와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은 블루투스(BT, Bluetooth), 무선 주파수 통신(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근거리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220b)는 외부 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220b)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 다른 장치와의 물리적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또는 본체(201)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인터페이스부(220b)를 통해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사용자 기기(400)와 연결될 수 있다.
표시부(260)는 본체(201)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어부(210)의 제어 하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26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표시부(26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를 받을 수 있다. 표시부(26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부(260)는 전원부(201c)가 켜지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60)는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콘텐츠 재생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콘텐츠 저장 매체(100)가 장착된 경우 표시부(260)를 통해 콘텐츠 저장 매체(100)가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260)는 출력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280)는 전원(281)을 통해 작동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28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200)와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280)는 컨텐츠 재생 장치(200)와 연계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283)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리모트 컨트롤러(280)를 통해 콘텐츠 재생 장치(200)를 근거리 떨어진 곳에서도 조작이 가능하다.
한편, 리모트 컨트롤러(280)는 조작부(285)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조작부(285)는 생체인식기술을 적용한 것으로, 피부의 전기 전도 특성을 이용하여 실리콘 칩 표면에 접촉된 지문의 특수한 모양을 전기 신호로 읽어 들이는 방식 또는 조작부(285)에 놓여진 지문에 빛을 쏘아 반사된 지문의 이미지가 고굴절 렌즈를 통과해 전하결합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에 입력되는 방식을 선택하여 구현될 수 있다. 조작부(285)는 콘텐츠 재생 장치(200)의 조작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조작부(285)를 실리콘 칩으로 구현하는 경우 압력을 가하면 저항이 변화되는 감압 소자로서 이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조작부(285)는 콘텐츠 재생 장치(200)를 조작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콘텐츠 저장 매체(100)가 장착부(201a)에 장착되면, 콘텐츠 저장 매체(100)로부터 인식한 식별정보와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계정정보를 비교하여 식별값이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280)를 통해 인식된 지문과 기저장된 지문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면 표시부(260)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에, 콘텐트 재생 장치(200)는 표시부(260)를 통해 입력된 입력신호에 따라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콘텐츠 재생 명령이 입력된 경우 콘텐트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스피커(270a)나 프로젝터(270b)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270a) 및 프로젝터(270b)는 별도 분리 또는 장착이 가능하다.
프로젝터(270b)는 영상을 확대하여 스크린에 비추는 영상 출력 기기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ED 등의 빔 프로젝터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젝터(270b)는 콘텐츠 재생 장치(200)로부터 출력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텐츠 저장 매체(100)가 장착된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소장하고 싶은 아티스트의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고 다양한 사용자 기기(400)로의 재생이 가능함으로써 소비자가 아티스트의 모든 콘텐츠를 영구적으로 소장할 수 있다. 더불어, 소유의 욕구를 극대화하면서 소장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제어부(210), 통신부(220), 연결부(230), 라디오부(240), 신경망처리부(250), 표시부(260), 및 출력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콘텐츠 서버(300)와 통신하여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재생하는 장치이다.
제어부(210)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10)는 인증부(211), 서비스 실행부(213) 및 저장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콘텐츠 업데이트 정보가 수신되고,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면 콘텐츠 서버(300)를 통해 식별값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저장부(215)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10)는 콘텐츠 데이터가 재생이 완료되면, 콘텐츠 데이터의 로그정보를 콘텐츠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데이터의 로그정보는 사용자가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한 날짜, 장소, 시간, 재생 횟수, 및 재생한 콘텐츠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부(211)는 통신부(220)를 통해 인식된 식별정보와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계정정보를 비교하여 식별값이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인증부(211)는 리모트 컨트롤러(280)를 통해 인식된 지문과 기저장된 지문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인증부(211)는 상술한 판단 과정을 거치면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인증부(211)는 사용자 기기(400)를 통해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되면 계정정보를 수신 받거나 표시부(260)를 통해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되면 계정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값은 콘텐츠 저장 매체(100) 제작시 무선 모듈에 부여되는 고유의 식별정보일 수 있다. 또한, 고유의 식별값은 아티스트 정보에 연동하여 부여될 수 있다. 이러한 식별값은 콘텐츠 저장 매체(100)를 구입한 사용자 계정의 계정정보에 등록될 수 있다.
서비스 실행부(213)는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서비스 실행부(213)는 표시부(260)를 통해 입력된 입력신호에 따라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실행부(213)는 표시부(260)를 통해 입력된 입력신호가 콘텐츠 재생 명령인 경우 저장부(215)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실행부(213)는 표시부(260)를 통해 입력된 입력신호가 콘텐츠 재생 명령인 경우 연결부(230)를 통해 접속된 콘텐츠 저장 매체(100)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를 도출하여 복호화할 수 있다.
서비스 실행부(213)는 표시부(260)를 통해 입력된 입력신호가 콘텐츠 업데이트 명령인 경우 콘텐츠 서버(300)로 콘텐츠 업데이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서비스 실행부(213)는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요청된 콘텐츠 데이터를 통신부(220)를 통해 수신 받아 저장부(215) 또는 콘텐츠 저장 매체(100)에 저장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서비스 실행부(213)는 표시부(260)를 통해 입력된 입력신호가 콘텐츠 검색 명령 신호인 경우 콘텐츠 서버로 콘텐트 검색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서비스 실행부(213)는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요청된 검색 명령에 따른 결과를 제공받아 표시부에 콘텐츠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실행부(213)은 콘텐츠 검색 명령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표시부(260)에 콘텐츠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215)는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15)는 플래시 메모리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215)는 식별값에 해당하는 즉, 아티스트 정보에 연동된 식별값에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값이 아티스트 “셀럽A”라고 부여된 경우, 음원 저장부(213)에는 아티스트 “셀럽A”의 콘텐츠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15)는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서버(300) 또는 사용자 기기(400)와 신호 및 콘텐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거대도시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종합정보 네트워크(ISDN,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등의 유선 네트워크, 3G나 LTE(Long Term Evolution) 와 같은 이동통신이나 와이파이(Wi-Fi, Wireless-Fidelity), 와이파이 다이렉트 (Wi-Fi Direct), 위성통신 같은 무선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저전력 단거리 무선망 IPv6(6LoWPAN), 근거리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과 같은 단거리 무선 네트워크(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나아가 이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며,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220)는 콘텐츠 서버(300)로 식별값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요청하고, 이에 따른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콘텐츠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사용자 기기(400)로부터 사용자 계정의 계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콘텐츠 저장 매체(100)로부터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220)는 고주파 전력을 공기 중의 전자파로 효율적으로 방사하거나 공기 중의 전자파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안테나 소자를 통해 통신부(220)와 콘텐츠 저장 매체(100) 사이의 전력과 식별정보가 교환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20)는 인터페이스부(220b)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리모트 컨트롤러(280)와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은 블루투스(BT, Bluetooth), 무선 주파수 통신(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근거리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을 기반으로 사용자 기기(4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사물인터넷은 사물에 센서를 부착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주고받은 기술이나 환경을 의미한다.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사용자 기기(400)와 연결된다는 것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 기기(400)를 통해 사물인터넷 구현이 가능하게 개발되어 제어가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이에, 사용자 기기(400)를 통해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업데이트 및 검색하는 기능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연결부(230)는 콘텐츠 저장 매체(100)의 접속단자(110)와 전자 접촉으로 연결되기 위한 접속단자 역할을 할 수 있다. 연결부(230)는 장착부(201a)의 일측에 형성되어 콘텐츠 저장 매체(100)가 장착되는 경우 연결부(230)와 콘텐츠 저장 매체(100)의 접속단자(110)와 전자 접촉함으로써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연결부(230)를 통해 콘텐츠 저장 매체(100)와 콘텐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라디오부(240)는 라디오 방송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라디오부(240)는 오디오 방송과 오디오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라디오부(240)는 중파방송(AM 방송) 및 단파방송과 초단파방송(FM방송)을 출력부(27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라디오부(240)는 엑시노스, 스냅드래곤 등과 같은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신경망 처리부(NPU, Neural Processing Unit)(260)는 인공지능(AI) 음성인식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신경망 처리부(260)는 AI 음성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 명령 처리할 수 있다. 신경망 처리부(26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입력신호를 다양한 디지털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통하여 텍스트 신호 또는 전자 신호로 전환하여 처리할 수 있다. 신경망 처리부(260) 동시다발적인 행렬연산에 최적화된 프로세서로 여러 개의 연산을 실시간으로 처리하며,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스로 학습하여 최적의 값을 도출할 수 있다. 이에, 신경망 처리부(26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통해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신경망 처리부(26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따른 음성 입력신호를 맞춤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서비스 실행부(213)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260)는 제어부(210)의 제어 하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26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표시부(260)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콘텐츠 재생을 위한 입력신호를 받을 수 있다. 표시부(26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부(260)는 콘텐츠 재생 장치(200)의 전원이 온되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60)는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콘텐츠 재생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콘텐츠 저장 매체(100)가 장착된 경우 표시부(260)를 통해 콘텐츠 저장 매체(100)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60)는 출력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270)는 복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출력부(270)는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270a) 및 프로젝터(27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270)는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70)는 연결 단자와 연결된 외부의 스피커를 통해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통신부(26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스피커를 통해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데이터에 영상이 포함된 경우, 그 영상은 표시부(250)를 통해 표시될 수도 있고, 출력부(270)의 연결 단자를 통해 외부의 영상 표시장치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출력부(270)는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연결된 사용자 기기(400)를 통해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콘텐츠 서버(300)는 사용자 관리부(310), 콘텐츠 생성부(320), 및 빅데이터 분석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서버(300)는 아티스트별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빅데이터 서버(500)에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서버(300)는 사용자 계정별 콘텐츠 데이터의 로그정보 및 빅데이터 기반으로 분석된 사용자별 취향에 따른 콘텐츠 정보를 빅데이터 서버(500)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310)는 콘텐츠 저장 매체(100) 및/또는 콘텐츠 재생 장치(200)를 구입한 사용자에게 사용자 계정을 할당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310)는 사용자 계정별로 콘텐츠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310)는 사용자 계정의 계정정보에 등록된 식별값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 관리부(310)는 사용자가 구입한 콘텐츠 데이터가 무엇인지, 추가 콘텐츠 업데이트를 통해 확보할 수 있는 콘텐츠 데이터가 무엇인지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사용자 관리부(310)는 사용자 계정에 연결된 콘텐츠 재생 장치(200) 또는 사용자 기기(400)에 어떠한 콘텐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관리부(310)는 사용자 계정이 활성화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이 활성화된 상태는 사용자가 회원 자격을 유지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회원 자격을 유지하는 방법으로는 주기적으로 회비를 납부하는 방법, 평생 회비를 납부하는 방법, 아티스트의 음원 발매에 공헌을 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관리부(310)는 사용자 계정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콘텐츠의 추가 구입, 사용자 취향에 따른 콘텐츠 정보, 및 콘텐츠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생성부(320)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 계정의 계정정보에 등록된 식별값에 따라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콘텐츠 생성부(320)는 아티스트별 콘텐츠 데이터가 업데이트되면, 사용자의 승인에 따라 암호화된 추가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는 사용자 관리부(310)의 관리 하에 콘텐츠 재생 장치(200) 또는 사용자 기기(400)로 전송될 수 있다.
빅데이터 분석부(330)는 콘텐츠 재생 장치(200) 및 사용자 기기(40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로그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빅데이터 분석부(330)는 수집된 콘텐츠 데이터의 로그정보를 빅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때, 빅데이터 분석부(330)는 분석된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콘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서버(300)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콘텐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아티스트의 광고 효과 및 미디어 커머스(Media Commerce)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시스템의 콘텐츠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시스템(1000)의 콘텐츠 재생 방법을 설명한다.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콘텐츠 저장 매체(100)가 장착되면(S1), 콘텐츠 저장 매체(100)의 식별정보를 인식한다(S3).
그리고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콘텐츠 서버(300)의 사용자 계정 로그인이 되면(S5), 인식된 식별정보와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계정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S7). 이때, 사용자 인증은 인식된 식별정보의 식별값과 계정정보의 식별값이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식별값은 콘텐츠 저장 매체(100)의 무선 모듈에 부여되는 고유의 식별정보며, 식별값은 콘텐츠 저장 매체(100)를 구입한 사용자 계정의 계정정보에 등록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280)로부터 인식된 지문과 기저장된 지문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추가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기기(400)에서도 앱을 통해 콘텐츠 서버(300)의 사용자 계정 로그인이 되면(S6), 즉, 사용자 계정 로그인 시 콘텐츠 저장 매체(100)의 보안정보와 할당된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함으로써 기기 사용자 인증이 수행된다(S7). 여기서, 사용자 기기(400)는 사용자 기기(400)는 콘텐츠 저장 매체(100) 및/또는 콘텐츠 재생 장치(200)를 구입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를 의미하며, 사용자 기기(400)를 예를 들면, 인공지능 스피커, 컴퓨터, 스마트폰, 노트북, 스마트 TV, 태블릿 PC, PM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 기기(400)는 자동차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400)는 콘텐츠 서버(300)와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을 다운받아 실행시키거나 웹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기기(400)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콘텐츠 재생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콘텐츠 서버(300)는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면, 식별값에 따른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한다(S9).
이후,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면,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11).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입력신호에 따라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서버(300)는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면,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콘텐츠 재생 장치(200) 및/또는 사용자 기기(400)로 제공한다(S13, S14).
이에,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식별값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콘텐츠 저장 매체(10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S15). 한편, 콘텐츠 재생 장치(200) 내부에 수신된 식별값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 기기(400)도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식별값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한다(S14).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신호를 입력 받으면, 즉, 입력신호가 콘텐츠 재생 명령이 수신되면(S17),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한다(S21). 이때,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는 콘텐츠 저장 매체(100)로부터 도출된 콘텐츠 데이터일 수 있다(S19).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재생 장치(200)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일 수도 있다.
콘텐츠 재생 장치(200)에서의 콘텐츠 데이터 재생은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내부에 연결된 스피커 또는 프로젝터를 통해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사물인터넷으로 연결된 사용자 기기(400)를 통해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콘텐츠 데이터가 재생된 후 콘텐츠 데이터의 로그정보를 콘텐츠 서버(300)로 전송한다(S31). 콘텐츠 데이터의 로그정보는 사용자가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한 날짜, 장소, 시간, 재생 횟수, 및 재생한 콘텐츠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서버(300)는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로그정보를 빅데이터 기반으로 수집 분석하여(S33),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콘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텐츠 재생 방법은 애장하고 싶은 아티스트의 콘텐츠, 즉, 음원, 영상, 사진을 한번의 구입으로 영구적으로 소장할 수 있으며,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사용자 기기로 콘텐츠를 저장하고 재생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 취향에 따른 콘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만족을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시스템의 콘텐츠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사용자 기기(400)에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6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해서는 동일한 내용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콘텐츠 재생 명령이 수신되면(S23), 사용자 기기(400)로 콘텐츠 재생 명령을 지시할 수 있다(S25).
이에, 사용자 기기(400)는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재생할 수 있다(S27).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기기(400)는 사물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콘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복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 받아 바로 재생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 기기(400)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한 후 콘텐츠 데이터의 로그정보를 콘텐츠 서버(300)로 전송한다(S32). 여기서, 콘텐츠 데이터의 로그정보는 사용자가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한 날짜, 장소, 시간, 재생 횟수, 및 재생한 콘텐츠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기기(400)에서 스트리밍으로 제공받은 콘텐츠 데이터의 로그정보도 콘텐츠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서버(300)는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로그정보를 빅데이터 기반으로 수집 분석하여(S33),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콘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콘텐츠 재생 방법은 콘텐츠 저장 매체(100) 또는 콘텐츠 재생 장치(200)가 설치된 장소에 구애되지 않고 사용자 기기(400)를 통해 장소를 불문하고 다양하게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6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해서는 동일한 내용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콘텐츠 데이터는 고음질의 암호화된 음원, 영상 및 사진을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데이터는 아티스트가 스튜디오에서 녹음한 음원 뿐만 아니라 공연장에서 라이브로 진행된 음원 및/또는 영상, 및 방송을 통해 녹음된 음원 및/또는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아티스트의 활동 사진, 스냅 사진, 광고 사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서버(300)는 식별값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서버(300)는 사용자 계정의 계정정보에 등록된 식별값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이에, 콘텐츠 서버(300)는 사용자가 확보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가 무엇인지, 추가 업데이트를 통해 확보할 수 있는 콘텐츠 데이터가 무엇인지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서버(300)는 사용자 계정이 활성화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이 활성화된 상태는 사용자가 회원 자격을 유지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회원 자격을 유지하는 방법으로는 주기적으로 회비를 납부하는 방법, 평생 회비를 납부하는 방법, 아티스트의 음원 발매에 공헌을 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콘텐츠 업데이트 알림 정보를 접수하면(S61), 콘텐츠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것인지에 대한 사용자 승인을 받을 수 있다(S63).
이때,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승인이 완료되면(S63),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업데이트된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S65).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내부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콘텐트 저장 매체(10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7).
한편, 사용자 기기(400)도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콘텐츠 업데이트 알림 정보를 접수할 수 있다(S62). 이어서 콘텐츠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것인지에 대한 사용자 승인이 사용자 기기(400)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S64).
이때, 사용자 기기(400)는 앱 또는 웹을 통해 콘텐츠 데이터의 업데이트 승인을 받을 수 있다. 이에, 사용자 기기(400)는 사용자 승인이 완료되면(S64),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업데이트된 콘텐트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S66).
사용자 기기(400)는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추가되는 콘텐츠에 대해 자동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함으로써 애장하는 아티스트의 콘텐츠를 추가로 구입하는 절차없이 영구적으로 소장하고 장소에 관계없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콘텐츠 재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를 이용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9를 참조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6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해서는 동일한 내용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색 명령을 입력 받으면, 즉, 입력신호로 콘텐츠 검색 명령이 수신되면(S71), 콘텐츠 서버(300)에 콘텐츠 검색 명령에 대응하는 검색을 요청한다(S73).
이후, 콘텐츠 서버(300)는 요청된 검색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콘텐츠 재생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75).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검색 결과에 따른 콘텐츠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검색 명령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해당 콘텐츠 데이터를 요청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비록 본 명세서에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각 단계는 반드시 기재된 순서대로 수행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병렬적, 선택적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형태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균등물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0: 콘텐츠 재생 시스템 100: 콘텐츠 저장 매체
101: 프레임 103: 커버
105, 107: 강화유리 110: 접속단자
115: 회로기판 120: 무선 모듈
130: 안테나 140: 메모리
200: 콘텐츠 재생 장치
201: 본체 201a: 장착부
201c: 전원부 210: 제어부
211: 인증부 213: 서비스 실행부
215: 저장부 220: 통신부
220b: 인터페이스부 230: 연결부
240: 라디오부 250: 신경망처리부
260: 표시부 270: 출력부
270a: 스피커 270b: 프로젝터
280: 리모트콘트롤러 281: 전원버튼
283: 디스플레이 285: 지문인식부
300: 콘텐츠 서버
310: 사용자 관리부 320: 콘텐츠 생성부
330: 빅데이터 분석부
400: 사용자 기기 500: 빅데이터 서버

Claims (13)

  1. 콘텐츠 재생 장치, 콘텐츠 저장 매체, 콘텐츠 서버 및 사용자 기기를 포함하는 콘텐츠 재생 시스템의 콘텐츠 재생 방법으로서,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가,
    상기 콘텐츠 저장 매체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콘텐츠 저장 매체의 제작 시 부여되는 고유의 식별값으로 아티스트 정보와 연동되어 부여됨;
    인식된 상기 식별정보의 식별값과 상기 콘텐츠 서버에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의 계정정보에 포함된 식별값을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면,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입력신호를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음원, 영상, 사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콘텐츠 서버에 상기 콘텐츠 저장 매체의 보안 정보와 사용자 계정으로 기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면,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가 콘텐츠 재생 명령 신호인 경우, 상기 콘텐츠 저장 매체에 저장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복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기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복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프로젝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한 후,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로그정보를 상기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가 콘텐츠 재생 명령 신호인 경우, 콘텐츠 재생 지시를 상기 사용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한 후,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로그정보를 상기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11.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버가, 수신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로그정보를 빅데이터 기반으로 수집 분석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가 콘텐츠 검색 명령 신호인 경우, 상기 콘텐츠 서버로 콘텐트 검색 명령에 대응하는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요청된 상기 검색에 따른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가 콘텐츠 업데이트 명령 신호인 경우, 상기 콘텐츠 서버를 통해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요청하여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KR1020200176264A 2020-12-16 2020-12-16 콘텐츠 재생 방법 KR102275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264A KR102275468B1 (ko) 2020-12-16 2020-12-16 콘텐츠 재생 방법
KR1020210087656A KR20220086455A (ko) 2020-12-16 2021-07-05 콘텐츠 재생 방법
PCT/KR2021/018059 WO2022131633A1 (ko) 2020-12-16 2021-12-02 콘텐츠 재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264A KR102275468B1 (ko) 2020-12-16 2020-12-16 콘텐츠 재생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656A Division KR20220086455A (ko) 2020-12-16 2021-07-05 콘텐츠 재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468B1 true KR102275468B1 (ko) 2021-07-09

Family

ID=768649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264A KR102275468B1 (ko) 2020-12-16 2020-12-16 콘텐츠 재생 방법
KR1020210087656A KR20220086455A (ko) 2020-12-16 2021-07-05 콘텐츠 재생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656A KR20220086455A (ko) 2020-12-16 2021-07-05 콘텐츠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275468B1 (ko)
WO (1) WO202213163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1633A1 (ko) * 2020-12-16 2022-06-23 정명기 콘텐츠 재생 방법
KR102545706B1 (ko) * 2022-09-06 2023-06-20 주식회사 바이브존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6951A (ko) * 2004-08-19 2006-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음악 파일 재생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20100010745A (ko) * 2008-07-23 2010-02-02 주식회사 코리아리즘 휴대용 데이타 저장장치를 이용한 무선단말기의 컨텐츠자동업데이트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13238A (ko) * 2009-04-13 2010-10-21 정광율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62621A (ko) * 2009-12-03 2011-06-10 유비벨록스(주) 스마트카드 기반 저장 장치를 이용한 오픈마켓컨텐츠다운로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다운로드제공방법
KR20150083336A (ko) * 2014-01-09 2015-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장치, 그 서버장치의 서비스 제공방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468B1 (ko) * 2020-12-16 2021-07-09 정명기 콘텐츠 재생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6951A (ko) * 2004-08-19 2006-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음악 파일 재생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20100010745A (ko) * 2008-07-23 2010-02-02 주식회사 코리아리즘 휴대용 데이타 저장장치를 이용한 무선단말기의 컨텐츠자동업데이트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13238A (ko) * 2009-04-13 2010-10-21 정광율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62621A (ko) * 2009-12-03 2011-06-10 유비벨록스(주) 스마트카드 기반 저장 장치를 이용한 오픈마켓컨텐츠다운로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다운로드제공방법
KR20150083336A (ko) * 2014-01-09 2015-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장치, 그 서버장치의 서비스 제공방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1633A1 (ko) * 2020-12-16 2022-06-23 정명기 콘텐츠 재생 방법
KR102545706B1 (ko) * 2022-09-06 2023-06-20 주식회사 바이브존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1633A1 (ko) 2022-06-23
KR20220086455A (ko)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86135B (zh) 具有增强的交互的媒体传送系统
US200803074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arching and for displaying media content
US2008030746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arching and for displaying media content
US200803074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arching forr and for displaying media content
US80825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ceiving, and utilizing audio/visual signals and other information
KR102275468B1 (ko) 콘텐츠 재생 방법
WO2007086464A1 (ja) 携帯通信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080189359A1 (en) Content providing method, content playback method,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content playback apparatus
US11625458B2 (en) System and method to protect original music from unauthorized reproduction and use
KR20130048035A (ko) 미디어 장치, 컨텐츠 서버 및 그 동작방법
JP7167234B2 (ja) 音源再生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音源再生方法
US10964316B2 (en) Performing action on active media content
KR102264309B1 (ko)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 재생 시스템
Dhir The digital consumer technology handbook: a comprehensive guide to devices, standards, future directions, and programmable logic solutions
KR20060046334A (ko) 컨텐츠 기록매체, 재생허가정보 취득방법, 컨텐츠 재생방법및 컨텐츠 재생장치
KR20190008502A (ko)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및 nfc 태그를 내장한 미디어 카드 및 미디어 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
JP2005274992A (ja) 楽曲識別用情報検索システム、楽曲購入システム、楽曲識別用情報取得方法、楽曲購入方法、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
JPWO2005033995A1 (ja) サービス宣伝情報の受信装置及び管理装置
WO2005006229A1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の通信プログラム
JP2008193246A (ja) コンテンツ再生方法、携帯無線端末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装置
KR102262859B1 (ko) 미디어 디스크 장치 및 이의 재생 시스템
KR102204639B1 (ko) 미디어 디스크 장치를 이용한 음원 데이터 거래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CN1609988A (zh) 数据记录介质、装置和方法,数据再现方法和数据传输装置
JP2002049377A (ja) 視聴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視聴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Wang Mind Your Disc! Retrieving and archiving audio information stored in MiniDis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