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2735A - 차량 스위치 기능 변경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스위치 기능 변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2735A
KR20100112735A KR1020090031170A KR20090031170A KR20100112735A KR 20100112735 A KR20100112735 A KR 20100112735A KR 1020090031170 A KR1020090031170 A KR 1020090031170A KR 20090031170 A KR20090031170 A KR 20090031170A KR 20100112735 A KR20100112735 A KR 20100112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vehicle
switches
function
ec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5200B1 (ko
Inventor
전재욱
민승기
서석현
김진호
손창완
윤승현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31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200B1/ko
Publication of KR20100112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65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constructional aspects of navigation devices, e.g. housings, mountings,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 스위치 변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 내 다수의 ECU와 각각 매핑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자동차 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 다수의 스위치와 상기 ECU 간 매핑 상태를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주는 내비게이션, 차량용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각 장치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경로인 네트워크 버스 및 자동차 내 존재하는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ECU와 각 스위치의 매핑을 변경 및 저장하고, 사용자가 임의의 스위치를 누르는 경우 해당 ECU를 동작시켜 해당 기능을 수행토록 제어하는 메인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차량 내 스위치 변경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차량 내 스위치의 기능을 운전자의 기호에 따라 변경 및 조합하여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자동차, 스위치

Description

차량 스위치 기능 변경 시스템{Apparatus for Altering the Function of the Switch in th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스위치 기능 변경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내 스위치의 기능을 운전자의 기호에 따라 변경 및 조합하여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운전자들은 차량이나 차량 내의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해 여러 개의 스위치를 조작한다. 일반적으로 이런 스위치들은 수행하는 기능이 정해져 있으며 이러한 스위치들의 기능은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현재의 많은 자동차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사용자의 습관이나 기호에 따라 불편함을 유발할 가능성을 갖고 있다.
종래의 스위치 기능 변경 장치는 이를 위한 별도의 스위치와 스위치를 부착할 수 있는 핸들이 필요하였다. 각 스위치마다 고유의 기능이 정해져 있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능만큼의 스위치가 필요하고 또한 기능을 변경할 때마다 각 스위치의 탈부착을 해야 하는 단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기능을 제어함에 있어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차량 내의 각 스위치의 고유 기능을 변경할 뿐 아니라 기능들의 조합을 통해 운전자의 기호에 맞는 기능을 만들어 스위치에 할당할 수 있는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각 스위치의 기능을 운전자의 기호에 따라 변경 및 조합하여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축함은 물론 기능 구현을 위해 별도의 스위치와 핸들을 구비해야하지 않아도 되는 경제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내 스위치 변경 시스템은 차량 내 다수의 ECU와 각각 매핑되어 사용자가 자동차 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 상기 다수의 스위치와 상기 ECU 간 매핑 상태를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주는 내비게이션; 차량용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각 장치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경로인 네트워크 버스; 및 자동차 내 존재하는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ECU와 각 스위치의 매핑을 변경 및 저장하고, 사용자가 임의의 스위치를 누르는 경우 해당 ECU를 동작시켜 해당 기능을 수행토록 제어하는 메인콘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용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LIN, CAN, FlexRay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차량 내의 다수의 ECU들과 스위치 별 고유한 식별자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스위치에 기능을 할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인 메인제어모듈; 네트워크 버스를 통해 스위치들과 ECU들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및 차량 내에 존재하는 ECU와 스위치들 각각의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며, 각 스위치 별 설정된 기능과 상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ECU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장치정보 DB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사용자 별로 스위치 설정 환경을 저장하고, 사용자가 해당 스위치 설정 환경을 호출하는 경우 상기 호출된 스위치 설정 환경에 따라 ECU와 각 스위치의 매핑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스위치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다수의 스위치로 하여금 현재 설정되어 있는 기능에 상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토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스위치는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스위치 기능 변경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 내의 스위치의 기능을 운전자의 기호에 따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가 차량을 제어함에 있어 자주 사용하는 차량 제어 기능을 자신에게 인접한 스위치에 매핑하거나 복수개의 기능을 조합하여 하나의 스위치에 매핑하는 등 자신의 기호에 따라 스위치의 기능을 설정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차량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스위치 기능 변경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위치 기능 변경 시스템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스위치 기능 변경 시스템(100)은 메인컨트롤러(110), 다수의 스위치(121~125), 내비게이션(130), 네트워크버스(140), 다수의 ECU(151~15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ECU들(151~155)은 자동차 내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 요소에 해당한다. 다수의 스위치(121~125)는 각각 다른 ECU(151~155)들과 매핑되어 있다. 사용자가 임의의 스위치(121)를 동작하는 경우, 그와 매핑되어 있는 ECU(151)는 해당하는 자동차 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내비게이션(130)은 각 스위치의 설정 상태 및 설정 과정을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주는 구성 요소에 해당한다. 네트워크 버스(140)는 LIN, CAN, FlexRay 등과 같은 차량용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각 장치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경로이다.
메인컨트롤러(110)는 자동차 내 스위치(121~125)를 통한 장치의 동작과 관련하여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메인컨트롤러(110)는 각 장치의 동작을 위한 ECU들(151~155)과 각 스위치(121~125)를 매핑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메인컨트롤러(110)는 내비게이션(130)에 차량 내 스위치 기능의 매핑 상태를 전송하고, 내비게이션(130)으로 하여금 스위치 기능의 매핑 상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여 운전자가 내비게이션(130) 상의 화면을 통해 현재 설정된 스위치 매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메인컨트롤러(110)는 운전자가 내비게이션(130)을 통하여 스위치(121~125)와 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ECU(151~155) 간의 매핑을 설정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운전자는 내비게이션(130)의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스위치(121~125)를 하나 또는 복수개 선택하고, 선택된 스위치(121~125)를 동작시킬 때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 또는 해당 장치의 동작을 선택함으로써 운전자는 자신의 기호에 따라 차량 내의 스위치(121~125)들과 해당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ECU(151~155)를 매핑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컨트롤러(110)는 각각 고유한 식별자를 가지고 있는 차량 내의 ECU(151~155)들과 스위치(121~125)를 운전자의 설정대로 매핑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추후 스위치가 눌려지게 되면 메인컨트롤러(110)는 눌려진 스위치(121~125)와 매핑되어 있는 ECU(151~155)로 해당 동작 명령을 전송하게 된다. 메인컨트롤러(110)로부터 동작 명령을 수신한 ECU들(151~155)은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메인컨트롤러(110)는 하나의 스위치에 복수개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임의의 스위치를 한 번 누름으로써 여러 개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시나리오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비가 오는 날에 주행을 하는 경우를 위하여 운전자는 스위치 A를 누르는 경우 차량의 와이퍼를 동작시키는 명령과 함께 차량 뒷 유리의 열선을 활성화시키는 명령을 동시에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컨트롤러(110)는 스위치 A와 차량의 와이퍼를 제어하는 ECU, 차량 뒷 유리의 열선을 제어하는 ECU를 동시에 매핑하여 둔다. 사용자가 스위치 A를 누르는 경우 이들 명령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게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차량에 새로운 주변장치를 장착할 경우에는 네트워크 버스(140)에 주변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ECU를 연결하여 메인컨트롤러(110)에 신규 장치의 식별자를 등록할 수 있다. 메인컨트롤러(110)는 스위치(121~125)와 ECU(151~155) 간의 매핑 설정 과정을 통하여 새롭게 등록된 ECU와 차량 내 임의의 스위치 간 매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차량 내 장착되어 있는 스위치(121~125)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임의의 운전자가 스위치(121~125)와 ECU(151~155) 간의 매핑을 수정한 경우, 다른 운전자는 그 매핑을 알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하여 차량 내 각 스위치는 소형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컨트롤러(110)는 각각의 스위치(121~125)에 매핑되어 있는 기능에 상응하는 아이콘을 해당 스위치(121~125)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여 주는 것이다.
도 2는 차량 내 스위치의 (A)는 비상등의 점멸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될 수 있으며, 스위치 (B)는 외부와의 공기 통풍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차량 내 스위치들(121~125)은 도 2와 같이 현재 매핑되어 있는 기능에 상응하는 아이콘을 출력하여 줌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원하는 기능을 손쉽게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차량 내 스위치(121~125)는 소형의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것이 좋다.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현재 매핑되어 있는 기능을 운전자에게 안내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해당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메인컨트롤러(110)는 다수의 사용자가 스위치 별 매핑을 상이하게 설정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프리셋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메인컨트롤러(110)는 사용자 별로 스위치 설정 환경을 저장하고, 사용자가 해당 스위치 설정 환경을 호출하는 경우 상기 호출된 스위치 설정 환경에 따라 ECU와 각 스위치의 매핑을 변경하게 된다.
예를 들어, 운전자 X가 설정한 환경, 운전자 Y가 설정한 환경 등을 각각의 프리셋으로 미리 저장하여 둔다. 그 후 운전자가 해당 프리셋을 선택하는 경우 메 인컨트롤러(110)는 선택된 프리셋에 설정되어 있는 스위치와 기능 간 매핑 정보를 로딩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메인컨트롤러의 세부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컨트롤러(110)는 통신모듈(101), 메인제어모듈(112), 장치정도 DB(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인제어모듈(112)은 통신모듈(111)을 이용하여 스위치(121~125)에 기능을 할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에 해당한다. 뿐만 아니라 메인제어모듈(112)은 스위치(121~125) 별 할당된 기능에 상응하는 아이콘 정보를 스위치(121~125)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통신모듈(111)은 네트워크 버스(140)를 통해 차량 내 스위치들(121~125) 또는 다수의 ECU(151~155)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해당한다.
장치정보 DB(113)는 차량 내에 존재하는 스위치들(121~125)과 ECU들(151~155)의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장치정보 DB(113)는 각 스위치(121~125)와 각 스위치(121~125)에 설정된 기능, 해당 기능을 제어하는 ECU 정보(151~155)가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다. 장치정보 DB(113)는 추가적으로 각 스위치(121~125)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할 아이콘 정보 또한 저장하고 있다.
메인제어모듈(112)은 운전자가 설정한 스위치(121~125)와 ECU(151~155) 및 해당 기능 간 매핑 정보를 내비게이션(130)으로부터 전송받아 이를 분석한다. 그 후 메인제어모듈(112)은 장치정보 DB(113)에 운전자가 기능을 설정하고자 하는 스 위치(121~125)에 운전자가 원하는 기능 및 그 제어를 수행하는 ECU(151~155)의 식별자를 매핑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위치 기능 변경 시스템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스위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상기 스위치에 할당된 기능 아이콘이 출력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메인컨트롤러의 세부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스위치 기능 변경 시스템 110 : 메인컨트롤러
111 : 통신모듈 112 : 메인제어모듈
113 : 장치정보 DB 121~125 : 스위치
130 : 내비게이션 140 : 네트워크버스
151~155 : ECU

Claims (8)

  1. 차량 내 다수의 ECU와 각각 매핑되어 사용자가 자동차 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
    상기 다수의 스위치와 상기 ECU 간 매핑 상태를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주는 내비게이션;
    차량용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각 장치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경로인 네트워크 버스; 및
    자동차 내 존재하는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ECU와 각 스위치의 매핑을 변경 및 저장하고, 사용자가 임의의 스위치를 누르는 경우 해당 ECU를 동작시켜 해당 기능을 수행토록 제어하는 메인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차량 내 스위치 변경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LIN, CAN, FlexRay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스위치 변경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차량 내의 다수의 ECU들과 스위치 별 고유한 식별자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스위치 변경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스위치에 기능을 할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인 메인제어모듈;
    네트워크 버스를 통해 스위치들과 ECU들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및
    차량 내에 존재하는 ECU와 스위치들 각각의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며, 각 스위치 별 설정된 기능과 상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ECU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장치정보 DB를 포함하는 차량 내 스위치 변경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사용자 별로 스위치 설정 환경을 저장하고, 사용자가 해당 스위치 설정 환경을 호출하는 경우 상기 호출된 스위치 설정 환경에 따라 ECU와 각 스위치의 매핑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스위치 변경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스위치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스위치 변경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다수의 스위치로 하여금 현재 설정되어 있는 기능에 상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토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스위치 변경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스위치는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스위치 변경 시스템.
KR1020090031170A 2009-04-10 2009-04-10 차량 스위치 기능 변경 시스템 KR101035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170A KR101035200B1 (ko) 2009-04-10 2009-04-10 차량 스위치 기능 변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170A KR101035200B1 (ko) 2009-04-10 2009-04-10 차량 스위치 기능 변경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735A true KR20100112735A (ko) 2010-10-20
KR101035200B1 KR101035200B1 (ko) 2011-05-17

Family

ID=43132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170A KR101035200B1 (ko) 2009-04-10 2009-04-10 차량 스위치 기능 변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2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024B1 (ko) * 2013-10-30 2015-07-24 (주)큐디스 안드로이드 기반의 자동차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
US9606666B2 (en) 2014-10-27 2017-03-28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grated interface in center fasci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318B1 (ko) 2019-02-27 2020-06-3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스마트 스위치 기능을 갖는 차량 오디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8954B2 (ja) * 1995-01-22 2004-03-22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多重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スイッチ診断装置
KR100692762B1 (ko) * 2005-08-23 2007-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82392A (ko) * 2007-03-08 2008-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내의 버튼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024B1 (ko) * 2013-10-30 2015-07-24 (주)큐디스 안드로이드 기반의 자동차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
US9606666B2 (en) 2014-10-27 2017-03-28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grated interface in center fasc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5200B1 (ko) 201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25591B1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vehicle atmosphere lamps
US63961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controls
US9352687B1 (en) Methods and system for vehicle setting control
KR101035200B1 (ko) 차량 스위치 기능 변경 시스템
CN102923066B (zh) 一种面向车载电子装置的显示控制系统
US9409534B2 (en) User configurable vehicle steering column stalks
KR20190022321A (ko) 다채널-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자동차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9144356B (zh) 用于控制车辆部件的装置及方法
CN113841111A (zh) 用于对车辆的操作模块进行编程的方法和相应的操作模块
EP2835945A1 (en) Automotiv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on between an automotive input device and a mobile device
CN111409412A (zh) 运输制冷监测与控制
JP2002539010A (ja) 操作装置
US20170336931A1 (en) Information-entertainment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JP2010108861A (ja) スイッチ装置およびその機能割り付け方法
CN111475075A (zh) 车载屏幕控制方法、管理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044317B2 (en) Control of an online service by means of a motor vehicle operator control device
CN106483875B (zh) 汽车控制器、系统以及在汽车控制器中使用的方法
EP2338720B1 (en) Management system of on-board vehicle instruments, especially for industrial or commercial vehicles
US10848566B2 (en) Communications network
CN205176571U (zh) 一种新型的车身控制器
US20170355383A1 (en) Operating unit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operating unit of a motor vehicle
EP3053765B1 (en) Automotive air-conditioning system with different user-selectable operating profiles
CN211280814U (zh) 一种车辆的顶棚灯光系统及车辆
CN108800445B (zh) 一种分权空调控制系统
US8718864B2 (en) System for collecting operating data of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