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2053A - 수중 전단면 오염물질 배출 및 수위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수중 전단면 오염물질 배출 및 수위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2053A
KR20100112053A KR1020090031059A KR20090031059A KR20100112053A KR 20100112053 A KR20100112053 A KR 20100112053A KR 1020090031059 A KR1020090031059 A KR 1020090031059A KR 20090031059 A KR20090031059 A KR 20090031059A KR 20100112053 A KR20100112053 A KR 20100112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tube
pipe
water
tube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7404B1 (ko
Inventor
윤진곤
임정아
윤정효
Original Assignee
임정아
(주)윤진환경
윤진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아, (주)윤진환경, 윤진곤 filed Critical 임정아
Priority to KR1020090031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404B1/ko
Publication of KR20100112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ewage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족관이나 양어장, 지상이나 지면 아래에 설치된 연못이나 분수 등에 일정 수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수조내의 부유·침전물질을 배출하는 수중 전단면 오염물질 배출 및 수위 제어장치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기존의 양어장이나 수족관의 수위 조절 방식인 표면수 유출 뿐 아니라 수중 부유물질과 침전물질을 수중 전단면에 걸쳐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수중 전단면(全斷面) 오염물질 배출 및 수위 제어장치에 의한 오염물질 배출과 수위 제어의 작동 메카니즘은 다음과 같다.
유입수가 상부수조내로 연속적으로 유입되어 부력장치 위치 이상으로 상승하면 부력 장치(19)가 작동하고, 동시에 이와 연결된 이동관(18)이 함께 상승한다. 이동관이 상승하면 외곽관 홀(4, 5)을 통하여 외곽관 내부로 유입되었으나 이동관에 의해 막혔던 수중 부유물질과 수조바닥의 침전물질들이 외곽관 유출구(9)로 배출된다. 수위가 계속 상승하여 중앙관 유입구(1) 이상으로 차오르면 부유물질을 포함한 표면수가 중앙관(2)으로 유입되고 중앙관과 연결된 하단 연결관내의 차단볼(11)이 작동한다. 차단볼이 작동하면 동시에 차단 연결부(10)가 동작하여 차단막(8)이 해제된다. 외곽관 홀(4, 5)로 유입된 수중 부유물질과 침전물질을 포함한 수는 해제된 차단막을 통과하여 외곽관 유출구로 배출되고, 표면 부유물질을 포함한 중앙관 유입수는 중앙관 유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즉, 부유물질을 포함한 표면수는 중앙관 유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며, 수중 오염물질 배출은 외곽관 유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정전이나 단수로 유입수가 상부 수조내로 연속적으로 유입되지 않아 수조내의 수위가 중앙관 유입구(1) 보다 낮아지면 유입수가 유입되지 않아 유출이 없으므로 중앙관 유출구 전단에 위치한 차단볼(11)이 작동하지 않는다. 동시에 이와 연결된 차단 연결부(10)도 동작하지 않고 차단막(8)도 닫혀 있게 되어 외곽관 홀(4, 5)을 통하여 유입된 수중 부유물질과 침전물질을 포함한 수가 차단막으로 차단되어 배출이 일어나지 않아 수조내 수위가 유지된다.
수중 전단면 오염물질 배출, 수위 제어, 부력장치, 차단장치, 이동관

Description

수중 전단면 오염물질 배출 및 수위 제어 장치{Control Apparatus for the Water Level and Wastewater Drainage at the Overall Area in Water Reservoir}
도면 1은 수중 전단면 오염물질 배출 및 수위 제어 장치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면 2는 수중 전단면 오염물질 배출 및 수위 제어 장치의 부분 상세도이다.
(도면의 부호설명)
1. 중앙관 유입구
2. 중앙관
3. 외곽관
4. 외곽관 홀
5. 외곽관 하부 홀
6. 외곽관 하단 연결관
7. 외곽관 하단 연결관 밸브
8. 차단막
9. 외곽관 유출구
10. 차단 연결부
11. 차단볼
12. 중앙관 유출구
13. 중앙관 하단 연결관
14. 중앙관 하단 연결관 밸브
15. 외곽관 지지대
16. 패킹
17. 이동-외곽관 지지핀
18. 이동관
19. 부력장치
20. 부력장치-이동관 지지핀
21. 중앙관 지지대
22. 상부수조
23. 하부수조
종래의 수위조절 기술은 수위를 조절하면서 물을 재순환을 할 경우 유체의 흐름이 주로 표면으로만 있고 수중이나 바닥으로는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수중 부유물질과 바닥의 침전성 물질이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수중 전단면 오염물질 배출 및 수위 제어 장치는 수위를 제어하면서 동시에 수조내의 부유·침전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장치이다.
종래의 수위 조절에 관한 기술은 유입구 차단 방식과 배수구 높이 조정 방식 이 있다. 유입구 차단 방식인 "자동 수위 조절장치" 10-0618312(2006.08.24)는 간단한 구조로서 제조비용을 줄이고, 수위 조절이 간단하며 정확한 수위를 유지시킬 수 있는 자동 수위 조절장치로 전방에 노즐이 있는 압력실을 구비하고, 통로 개폐구에 의해 개폐되는 통로와 외측으로 연결되는 급수구멍을 가지고, 후방으로 주입관과 연결되는 연결관체를 가진 급수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급수밸브 외측으로 조립되며 일면이 개방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개방부에 커버와 함께 조립되면서 케이싱 내부를 밀폐시키고 급수밸브를 차단하는 고무판, 그리고 케이싱의 일측으로 장착되며 하단부가 수조에 유입되는 배출관과 케이싱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튜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천의 수위 조절장치" 10-0661289(2006.12.19)는 하천의 보에 설치되어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하천의 수위조절장치로 하천의 보에 형성된 유로에 설치되는 게이트와, 게이트의 양측 하부가 축 결합되고 유로에 고정되는 게이트 홀더와, 게이트 홀더에 일단부가 축 결합된 유압 실린더와, 유압 실린더의 타단부에 축 결합되고 게이트 홀더에 일 지점이 축 결합된 링크부재 및 링크부재의 타단부가 축 결합되어 소정거리 슬라이드 운동되는 장공이 형성되며, 게이트의 축 부분에 일단부가 축 결합되고 게이트에 고정되는 회전판을 포함으로써, 유압실린더의 작용력에 의해 링크부재가 지렛대 원리로서 게이트를 용이하게 회전시키는 장점이 있다. "부력체를 이용한 자동 액체 공급 장치" 10-0673683는 용기 내의 액체가 소진됨에 따라 자동으로 액체를 공급하는 자동 액체공급 장치로 수용된 액체의 유량이 감소하는 액체 소모 용기로 액체를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액체가 수용되며 소정의 연결관에 의해 액체 소모 용기와 연결되고 액체 소모 용기로 유출되는 액체가 수용되는 유출부와 유출부로 유입되는 액체가 수용되는 유입부 및 유출부와 유입부를 분리시키며, 유출부 및 유입부가 연통 되도록 통로가 마련된 구획부재를 구비한 수위 조절 용기와 수위 조절 용기 내에 수용된 액체의 수위에 따라 상기 구획 부재의 통로를 개폐하여 액체소모 용기로 유입되는 액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부력체 및 수위 조절 용기에 연결되어 유입부로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배수지 공급수의 수위 조절장치" 10-0713632-0000 (2007.04.25)는 배수지 공급수의 수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저장수가 담긴 메인수조와 공급수가 담긴 유출수조를 연결시켜주는 연결관의 밸브에 문제가 생길 경우 신속히 상기 밸브를 수리해야 하는데, 작업자가 물이 계속 유입되는 유출수조에서 작업하기에 매우 위험하고, 또한 안전 및 청결을 유지하기 어려우며 작업하기도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발명은 내부에 제 1, 2차단벽을 형성하여 배수지 수조를 메인수조와 유출수조와 설비로 구획하고, 상기 설비실의 내부에는 메인수조와 유출수조를 연결하는 제 1연결관을 형성하며, 상기 제 1연결관에는 자동밸브를 사이에 두고 그 양쪽에 유지보수용 밸브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연결관중 각각의 유지보수용 밸브 바깥쪽에 비상밸브가 구비된 제 2연결관의 양단과 직접 연결시키므로, 제 1연결관의 자동밸브에 이상이 생길 경우 유지보수용 밸브로 제 1연결관을 차단시키고 제 2연결관을 이용하여 저장수를 계속 유출수조로 이동시킬 수 있어 공급수의 수위를 지속적으로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며, 작업자는 상기 설비실의 내부에서 밸브 등의 수리 등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하였다.
수위 조절에 관한 종래 기술로 배수구의 높이를 조정하여 수위를 유지하는 방식인 "급속여과지의 유량조절장치" 10-0189165(1999.01.14)는 급속 여과지의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여과지의 정수 유출관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의 일측에 그 밸브의 개도(開度)를 여과지내 여과저항의 증가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개도조절장치를 부설하여, 여과지의 수위를 만수위에 근접되는 수위로 유지시키면서 여과저항의 증가량 만큼 밸브디스크를 개도를 단계적으로 증가 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자연 평형형 급속여과지를 제외한 수위 제어형 및 유량 제어형 급속여과지에 폭넓게 적용하여 장치의 부설에 따른 시설비를 절감하고, 밸브의 무리한 반복 개폐에 따른 사용수명의 단축 및 구동장치의 고장요인을 배제할수 있게 됨과 아울러, 여과지로 유입되는 침전수의 유입량과 여과된 정수의 유출량이 상시 평형을 유지하면서 유입 및 유출되게 하여 여과지가 넘치거나 또는 여과사층이 대기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여과지의 수위 및 배출수의 유량을 보다 안정되고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논의 수위 조절장치" 10-0479549는 농로를 따라 매설된 물흐름 파이프와 경작구역의 사이에 설치되는 논의 수위조절장치로서, 상기 경작구역으로 이어지는 경작구역 급배수구를 가지며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급배수틀체와, 이 급배수틀체 내의 바닥부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물흐름 파이프에 접속되는 용수유입배출부와, 이 용수유입배출부에 설치된 배수밸브와, 상기 유입 배출부에 설치되고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위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수위 감지 장치" 10-0671953(2007.01.15)는 농수로를 흐르는 농업용수나 호수의 담수를 농지에 적절한 수위로 주입 및 차단하는 물 주입장치에 있어서, 농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장치의 감지 수위를 간단히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수위 감지장치 로, 덮개로 이루어진 공간의 내부에서 구동롤러가 덮개의 외측에 설치된 손잡이에 의해 회전되게 하되 상기 구동롤러에는 양측으로 고정봉이 래크로 치합되게 하고, 상기 고정봉에는 고수위 센서통을 결합시키는 한편 덮개의 하부에는 저수위 센서통을 설치하며, 상기 고수위 센서통과 저수위 센서통은 손잡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하 이동하게 하되 구동롤러의 기어수를 다르게 하여 이동 비율이 다르게 하며, 상기 고수위 센서통과 저수위 센서통에 내장된 고수위 센서와 저수위 센서의 센싱 신호는 콘넥터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게 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손잡이를 회전시켜 간단히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한편 조절이 완료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
본 발명은 수족관이나 양어장, 지상이나 지면 아래에 설치된 연못이나 분수 등에 일정 수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수조내의 부유·침전물질을 배출하는 수중 전단면 오염물질 배출 및 수위 제어장치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기존의 양어장이나 수족관의 수위 조절 방식인 표면수 유출 뿐 아니라 수중 부유물질과 침전물질을 수중 전단면에 걸쳐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의 구성과 작동은 다음과 같다.
중앙관(2)과 외곽관(3), 이동관-부력장치(17, 20), 그리고 각 관의 유입구가 형성되어 수조내의 유입수와 오염물질의 관 유입이 일어나는 상부수조(22)와 중앙 관과 외곽관의 연결관(13, 6) 및 유출구(9, 12)와 유출구 전단에 위치한 차단볼(11)과 차단 연결부(10) 및 차단막(8)으로 구성되어 오염물질의 유출이 일어나는 하부수조(23)로 구성된다.
상부수조내로 유입수가 유입되어 중앙관 유입구(1) 이상으로 수위가 높아지면 부유물질을 포함한 표면수는 중앙관 유입구로 유입되고, 수중의 부유물질과 침전물질을 포함한 수는 외곽관 홀(4, 5)을 통해 유입된다. 각관으로 유입된 폐수는 외곽관 하단 연결관내의 차단볼의 작동 여부로 배출되거나 차단된다. 즉, 중앙관으로 유입수가 유입되면 차단볼이 작동하고 차단연결부로 이어진 차단막이 해제되어 외곽관 유출구로 부유물질과 침전물질이 배출되어 수위가 더 이상 높아지지 않고 유지된다. 유입수가 중앙관 유입구 미만으로 하강하면 표면수가 유입되지 않으므로 차단볼과 차단막 장치도 동작하지 않고 차단되므로 외곽관 유출구로 부유물질과 침전물질이 배출되지 않으므로 수위가 더 이상 낮아지지 않고 유지된다.
본 발명의 수중 전단면(全斷面) 오염물질 배출 및 수위 제어장치에 의한 오염물질 배출과 수위 제어의 작동 메카니즘은 다음과 같다.
유입수가 상부수조내로 연속적으로 유입되어 부력장치 위치 이상으로 상승하면 부력 장치(19)가 작동하고, 동시에 이와 연결된 이동관(18)이 함께 상승한다. 이동관이 상승하면 외곽관 홀(4, 5)을 통하여 외곽관 내부로 유입되었으나 이동관에 의해 막혔던 수중 부유물질과 수조바닥의 침전물질들이 외곽관 유출구(9)로 배출된다. 수위가 계속 상승하여 중앙관 유입구(1) 이상으로 차오르면 부유물질을 포함한 표면수가 중앙관(2)으로 유입되고 중앙관과 연결된 하단 연결관내의 차단볼 (11)이 작동한다. 차단볼이 작동하면 동시에 차단 연결부(10)가 동작하여 차단막(8)이 해제된다. 외곽관 홀(4, 5)로 유입된 수중 부유물질과 침전물질을 포함한 수는 해제된 차단막을 통과하여 외곽관 유출구로 배출되고, 표면 부유물질을 포함한 중앙관 유입수는 중앙관 유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즉, 부유물질을 포함한 표면수는 중앙관 유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며, 수중 오염물질 배출은 외곽관 유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정전이나 단수로 유입수가 상부 수조내로 연속적으로 유입되지 않아 수조내의 수위가 중앙관 유입구(1) 보다 낮아지면 유입수가 유입되지 않아 유출이 없으므로 중앙관 유출구 전단에 위치한 차단볼(11)이 작동하지 않는다. 동시에 이와 연결된 차단 연결부(10)도 동작하지 않고 차단막(8)도 닫혀 있게 되어 외곽관 홀(4, 5)을 통하여 유입된 수중 부유물질과 침전물질을 포함한 수가 차단막으로 차단되어 배출이 일어나지 않아 수조내 수위가 유지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은 수조의 최상단에 위치하며 수조내로 유입된 유입수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중앙관을 통해 유입되는 중앙관 유입구이다.
2)는 중앙관 유입구의 외주에 형성되며 유입수가 수조내로 연속적으로 유입되어 수위가 상승하여 중앙관 유입구(1) 이상으로 차오르면 부유물질을 포함한 표면수가 배출되는 중앙관이다.
3)은 중앙관(2)의 외주에 위치하며 수중 부유물질과 수조바닥의 침전물질을 포함한 수조수가 원할히 유입되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홀(4, 5)이 형성된 외곽관이 다.
4)는 수중 부유물질이 원할히 유입되도록 외곽관의 원주면에 일정하게 형성된 외곽관 홀이다. 수조내의 수위가 부력장치가 잠길 정도로 상승하면 부력 장치(19)가 동작하고 홀이 없는 이동관(18)에 의해 막혀 있던 외곽관 하부의 홀(5)이 개방되면서 침전물질이 외곽관 홀을 통하여 유입된다.
5)는 외곽관 하단에 형성되어 수조바닥의 침전물질이 유입되는 외곽관 하부 홀이다. 외곽관 홀(4)은 수중의 부유물질이 주로 유입되고 외곽관 하부 홀(5)은 수조바닥의 침전물질이 유입된다.
6)은 외곽관(3)의 하단과 하부수조(23)의 상부에 위치하며 차단막(8) 장치를 연결하는 외곽관 하단 연결관이다.
7)은 외곽관 하단 연결관의 우측에 위치하며 외곽관으로 유입된 부유·침전물질을 포함한 수량을 조절하는 외곽관 연결관 밸브이다.
8)은 외곽관 하부 연결관 밸브의 우측에 위치하며 수조내의 오염물질이 외곽관 유출구(9)를 통하여 배출 혹은 차단되도록 형성된 차단막이다.
9)는 외곽관 연결관의 우측에 위치하며 수조내의 부유, 침전 오염물질이 원할히 배출되도록 형성된 외곽관 유출구이다.
10)은 차단막의 하단에 연결되어 위치하며 중앙관 하단 연결관에 위치한 차단볼(11)과 연결되어 수위가 일정이상으로 높아지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 연결부이다.
11)은 중앙관 연결관(13)의 우측에 위치하는 차단볼이다. 수위가 중앙관 유 입구(1) 이상으로 상승하면 중앙관 유입구로 물이 유입되어 차단볼(11)이 작동하고 동시에 차단 연결부(10)가 동작하여 차단막(8)이 열린다. 결과적으로 중앙관 유입수(표면 부유물질수)는 중앙관 유출구(12)를 통해 배출되고 외곽관 홀(4,5) 유입수(수중 부유물질과 침전물질 포함한 물)는 외곽관 유출구(9)를 통해 배출된다.
12)는 중앙관 하단 연결관의 일측에 위치하며 표면 부유물질을 포함한 물이 배출되는 중앙관 유출구이다.
13)은 중앙관 하단에 위치하며 중앙관과 중앙관 유출구를 연결하는 중앙관 하단 연결관이다.
14)는 중앙관 하단 연결관(13)의 우측에 위치하며 수위조절을 돕도록 항상 열려있는 중앙관 하단 연결관 밸브이다.
15)는 외곽관 하단 연결관의 상단에 위치하며 외곽관과 외곽관 패킹을 지지하는 외곽관 지지대이다.
16)은 외곽관의 하부에 위치하며 이동관(18)과 외곽관 지지대(15) 간의 누수방지 역할을 하는 패킹이다.
17)은 외곽관(3)의 내주에 위치하며 이동관(18)과 외곽관을 지지하는 이동-외곽관 지지핀이다. 지지핀은 외곽관의 홀을 통해 이동관의 상하이동을 한다.
18)은 외곽관의 내주에 위치하며 부력장치(19)와 연결되는 이동관이다. 이동관은 부력 장치가 상승하면 함께 상승하여 외곽관 하부 홀(5)로 수조바닥의 침전물질이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한다.
19)는 외곽관의 상부외주에 위치하며 이동관(18)과 연결되어 수조내 수위가 일정높이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승하는 부력 장치이다.
20)은 이동관과 외곽관, 부력장치를 지지하는 부력-이동관 지지핀이다. 지지핀은 부력장치의 상하이동과 함께 외곽관의 홀을 통해 상하 이동을 한다.
21)은 중앙관의 외주, 외곽관의 상단에 위치하여 중앙관을 지지하는 중앙관 지지대이다.
22)는 중앙관과 외곽관, 이동관과 부력장치가 형성되어 유입수가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상부 수조이다.
23)은 중앙관과 외곽관 하단 연결관, 밸브와 차단장치, 유출구가 형성되어진 하부 수조이다.
본 발명은 수족관이나 양어장, 지상이나 지면 아래에 설치된 연못이나 분수 등에 일정 수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수조내의 부유·침전물질을 배출하는 수중 전단면 오염물질 배출 및 수위 제어장치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기존의 양어장이나 수족관의 수위조절 방식인 표면수 유출 뿐 아니라 수중 부유물질과 침전물질을 수중 전단면에 걸쳐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장치로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조내 수위 제어와 수중 전단면 오염물질의 배출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수중 부유물질이나 침전물질이 빠르게 배출되어 청정한 수조를 유지할 수 있다.
둘째, 정전이나 단수시 차단장치의 작동으로 부유물질과 침전물질의 배출이 차단되어 수위가 하강하지 않으므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다. 기존의 수위 조절 장 치는 표면수의 유입·유출로 수위를 조절하고 수조내 여러 영역에서의 오염물질의 배출장치가 없으므로 정전이나 단수시 단순히 유입수가 차단되어 수위를 유지하였다.
셋째, 표면수의 순환 뿐 아니라 수조내 전 영역에서 수조수의 흐름을 유지할 수 있다. 기존의 수위조절 장치는 주로 표면수의 흐름만 있으나 본 발명의 장치는 수조내 전 영역에서 유입이 일어나고 배출되므로 오염물질이 축적되지 않는다.

Claims (1)

  1. 수조내로 유입된 유입수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유입되는 중앙관 유입구(1)와; 중앙관 유입구의 외주에 형성되며 부유물질을 포함한 표면수가 유입되는 중앙관(2)과; 중앙관(2)의 외주에 위치하며 부유물질과 침전물질을 포함한 수조수가 원할히 유입되도록 다수의 홀(4, 5)이 형성된 외곽관(3)과; 외곽관(3)의 하단에 위치하며 외곽관과 차단막(8) 장치를 연결하는 외곽관 하단 연결관(6)과; 외곽관 하단 연결관의 우측에 위치하며 유출 수량을 조절하는 외곽관 연결관 밸브(7)와; 외곽관 하단 연결관 밸브의 우측에 위치하며 수조내 오염물질의 배출 혹은 차단되도록 형성된 차단막(8)과; 외곽관 연결관의 우측에 위치하며 수조내의 부유·침전물질이 배출되는 외곽관 유출구(9)와; 차단막과 차단볼을 연결하며 수위가 일정이상으로 높아지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 연결부(10)와; 중앙관 하단 연결관의 우측에 위치하며 유입수를 감지하여 차단막을 개폐하는 차단볼(11)과; 중앙관 하단 연결관의 일측에 위치하며 부유물질을 포함한 표면수가 배출되는 중앙관 유출구(12)와; 중앙관 하단에 위치하며 중앙관과 중앙관 유출구를 연결하는 중앙관 하단 연결관(13)과; 중앙관 하단 연결관의 우측에 위치하며 유출수량을 조절하는 중앙관 연결관 밸브(14)와; 외곽관 하단 연결관의 상부에 위치하며 외곽관 패킹을 지지하는 외곽관 지지대(15)와; 외곽관의 하부에 위치하며 누수방지 역할을 하는 패킹(16)과; 외곽관의 내주에 위치하며 이동관과 외곽관을 지지하는 이동관-외곽관 지지핀(17)과; 외곽관의 내주에 위치하며 부력장치와 함께 상승하여 외곽관내 유입된 부유·침전 물질의 배출을 제어하는 이동관(18)과; 외곽관의 상부외주에 위치하며 수조내 수위가 일정높이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승하는 부력 장치(19)와; 외곽관 내주에 위치하며 이동관과 외곽관, 부력장치를 지지하는 이동관-부력장치 지지핀(20)과; 외곽관의 내주 상단에 위치하여 중앙관을 지지하는 외곽관 지지대(21)와; 중앙관과 외곽관, 이동관과 부력장치가 형성되어 유입수가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상부 수조(22)와; 중앙관과 외곽관 하단 연결관, 밸브와 차단장치, 유출구가 형성되어진 하부 수조(23)로 구성된 수중 전단면(全斷面) 오염물질 배출 및 수위 제어장치
KR1020090031059A 2009-04-08 2009-04-08 수중 전단면 오염물질 배출 및 수위 제어 장치 KR101067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059A KR101067404B1 (ko) 2009-04-08 2009-04-08 수중 전단면 오염물질 배출 및 수위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059A KR101067404B1 (ko) 2009-04-08 2009-04-08 수중 전단면 오염물질 배출 및 수위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053A true KR20100112053A (ko) 2010-10-18
KR101067404B1 KR101067404B1 (ko) 2011-09-27

Family

ID=43132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059A KR101067404B1 (ko) 2009-04-08 2009-04-08 수중 전단면 오염물질 배출 및 수위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4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15120B (zh) * 2012-06-19 2013-12-25 森森集团股份有限公司 水族箱的补排水装置
KR101288032B1 (ko) * 2013-02-19 2013-07-22 대한민국 양식수조 내장형 수위조절겸용 고형물수집장치
KR101423295B1 (ko) * 2014-02-13 2014-07-25 대한민국 일체형 급·배수관을 갖는 뱀장어 초기 자어 대량생산용 도넛형 수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1591B2 (ja) * 1990-08-31 2001-05-28 郵船ナブテック株式会社 水槽装置
KR200183354Y1 (ko) * 1998-03-12 2000-06-01 김문달 활어조용 오버 플로우
KR100713260B1 (ko) * 2005-03-21 2007-05-02 주식회사 포시산업 자동 급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조장치
KR100780876B1 (ko) 2006-06-19 2007-11-29 정명규 물 순환장치를 갖는 수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7404B1 (ko) 201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690B1 (ko) 오염된 수질을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방법
KR101579302B1 (ko) 자동 어도 겸용 퇴적오니 배출통로를 이용하여 자연생태계를 살려 내면서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자연 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권양기 수문
KR20110072887A (ko) 무동력 역류 방지장치
KR101136385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및 초기 우수 처리방법
KR101067404B1 (ko) 수중 전단면 오염물질 배출 및 수위 제어 장치
KR100822300B1 (ko)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
KR101609774B1 (ko) 수직이동형 가동보장치
US7309419B2 (en) Fluid diverter for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KR100975144B1 (ko) 다공성 여재를 이용한 하천수 여과장치
KR101325496B1 (ko) 상등수 집수장치
KR102373598B1 (ko) 처리수를 활용한 역세척 기능이 구비되는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
JP4008188B2 (ja) 水田の用排水管理システム
KR100777164B1 (ko) 하천정화시설의 유입구 개폐장치
KR20170022832A (ko) 지열 환수관 제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지열 시스템
KR20170081374A (ko) 저층수 배출용 수문장치
KR101769896B1 (ko) 무동력 하수구 개폐장치
KR100878887B1 (ko) 가동보 바이패스관의 개폐장치
KR100972641B1 (ko) 상·하수용 오존공급장치 및 그를 이용한 오존공급방법
CN109179923A (zh) 一种农村家庭式生活污水处理装置、处理方法及施工方法
KR101644966B1 (ko)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의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299334B1 (ko) 역간 접촉산화법에 의한 하천 수질 정화 시설의 저류조 유입수로 및 배수로 개폐 시스템
JP5865491B2 (ja) 取水池および排水池を備えたプラント冷却施設
KR102514615B1 (ko) 신개념 지능형 가동보
US11209025B2 (en) Siphon float system
KR200321611Y1 (ko) 회분식 활성슬러지법에 사용되는 부력작동 스컴차단판식상등수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