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1560A - 곡물 저장용 창고 - Google Patents

곡물 저장용 창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1560A
KR20100111560A KR1020090030049A KR20090030049A KR20100111560A KR 20100111560 A KR20100111560 A KR 20100111560A KR 1020090030049 A KR1020090030049 A KR 1020090030049A KR 20090030049 A KR20090030049 A KR 20090030049A KR 20100111560 A KR20100111560 A KR 20100111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ehouse
grains
storage
grain
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두학수
Original Assignee
두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학수 filed Critical 두학수
Priority to KR1020090030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1560A/ko
Publication of KR20100111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5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7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chemical treatment, by adsorption or by absorption
    • A23L5/273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chemical treatment, by adsorption or by absorption using adsorption or absorption agents, resins, synthetic polymers, or ion ex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6Hygienic features, e.g. easy to sanit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창고에 있어서, 볏짚, 원목 및 광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황토를 서로 혼합하여 지어진 창고를 포함하며, 상기 창고는, 곡물을 저장하여 보관 시, 상기 곡물이 변질 되는 것을 방지하고, 휴면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조절장치 및 휴면상태의 곡물에 음악을 들려주기 위한 음향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저장용 창고.
이러한 본 발명은 조절장치 및 음향장치가 구비되어 창고에 저장된 곡물이 변질 되는 것을 방지하고, 도정 전까지 휴면상태를 유지시켜 풍부한 영향과 신선한 밥맛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창고가 황토 또는 황토를 포함한 숯 및 광물 등으로 지어진 것으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생하고, 온도와 습도 조절, 항균 및 탈취, 공기정화, 전자파 및 수맥차단 등의 효과가 있다.
곡물, 창고, 숯, 광물, 원적외선, 음이온

Description

곡물 저장용 창고{Storage for cereals}
본 발명은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창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을 저장하는 데 있어,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산하고, 항균, 탈취 및 공기정화는 물론, 내부의 온도 및 습도조절이 용이한 황토와, 숯 및 광물 등을 포함하여 지어진 곡물 저장용 창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창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고에 저장된 곡물이 변질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10℃ 이하의 저온과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장치와, 곡물에 음악을 들려주기 위한 음향장치에 의해 곡물이 도정 전까지 휴면상태가 유지되어 풍부한 영향과 신선한 밥맛을 제공하기 위한 곡물 저장용 창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의 저장 및 보관 시, 파종 또는 이를 가공하여 소비되기 전까지 생리활성은 물론 품질이 유지되도록 해야한다.
이러한 곡물을 저장 시, 저장된 창고의 환경에 따라 곡물 자체의 내적 변화와, 생물에 의한 외적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그러한 변화에 따라 저장 중 발아율 저하, 유리지방산 증가, 수용성 단백질 및 비타민 B1감소, 환원당 증가 등에 의 해 식미가 저하된다.
이는 즉, 영양분의 손상으로 인해 밥맛이 저하되어 상품으로서의 가치하락은 물론, 발아율이 급격하게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곡물을 저장하는 공간의 저장온도와 습도가 높으면 호흡증가로 양적, 질적 손실이 커지고, 쌀알 내의 화학적 변화가 심해지며, 곡물 표층의 지방이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산패되므로 산도가 높아지고 당이나 단백질의 변성을 함께 유발한다. 또한, 저장해충이나 부패균 등 미생물의 발생도 심해진다.
이와 같이, 곡물은 저장환경에 따라 식품으로서의 상품가치는 물론 농경용으로도 사용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곡물을 창고에 저장 시, 휴면상태의 곡물이 변질 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산하고, 항균, 탈취 및 공기정화는 물론, 내부의 온도 및 습도조절이 용이한 황토와, 황토를 포함하는 숯 및 광물 등을 포함하여 지어진 곡물 저장용 창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곡물의 휴면상태를 유지시켜주기 위한 음향장치가 설치되어 도정 전까지 휴면상태를 유지시켜 풍부한 영향과 신선한 밥맛을 제공하기 위한 곡물 저장용 창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창고에 있어서, 볏짚, 원목 및 광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황토를 서로 혼합하여 지어진 창고를 포함하며, 상기 창고는, 곡물을 저장하여 보관 시, 상기 곡물이 변질 되는 것을 방지하고, 휴면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조절장치 및 휴면상태의 곡물에 음악을 들려주기 위한 음향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저장용 창고를 개시한다.
상기 창고는, 저장해충 부패균 및 미생물의 발생을 억제하고, 원적외선 음이온을 발생하기 위한 숯;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물은,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발산하는 규석, 규조토, 규사, 알루미나 및 사문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절장치 및 음향장치가 구비되어 창고에 저장된 곡물이 변질 되는 것을 방지하고, 도정 전까지 휴면상태를 유지시켜 풍부한 영향과 신선한 밥맛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창고가 황토 또는 황토를 포함한 숯 및 광물 등으로 지어진 것으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생하고, 온도와 습도 조절, 항균 및 탈취, 공기정화, 전자파 및 수맥차단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저장용 창고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곡물 저장용 창고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전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곡물(110)이 저장되는 창고(100)와, 저장된 곡물(110)의 휴면상태를 유지하고, 곡물(110)이 변질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조절장치(140)와 곡물(110)에 음악을 들려주기 위한 음향장치(13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저장된 곡물(110)이 저장해충이나 부패균 등의 미생물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숯(1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창고(100)는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황토를 이용하여 지어지며, 이때, 창고의 강도 및 응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볏짚 및 원목 등을 선택적으로 황토와 함께 조합되어 지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황토는 석영, 장석, 탄산염광물 및 운모 등 25종 이상의 필수 미네랄이 풍부하고, 1g에는 2억 마리의 유익한 미생물이 있는 살아 숨 쉬는 흙이다.
이러한 광물질에서 나오는 원적외선은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발히 하고,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유해물질을 방출하는 광전효과가 있고, 칼슘, 칼륨 및 마그네슘 등에서 나오는 음이온은 산성화된 동/식물의 체질을 중화시켜 면역력을 높임과 동시에 각종 질병을 예방시켜준다.
또한, 유해한 냄새를 신속히 흡수하는 오염공기 정화로 능력이 탁월하며, 습도가 높을 때, 습기를 흡수하고 건조할 때는 습기를 발산하는 습도 조절력과, 축열 작용이 높아 단열효과 또한 뛰어나다.
한편, 이러한 창고(100)는 숯 또는 광물질을 함께 분쇄하여 황토와 혼합되어 지어질 수도 있다.
이때, 황토와 함께 혼합되는 숯은 공기정화, 해독작용 및 탈취효과가 뛰어나며, 음이온을 증가시키는 작용이 있다.
또한, 광물질은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규석, 규조토, 규사, 알루미나 및 사문석 등을 더 혼합하여 원적외선의 방사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조절장치(140)는 상기한 창고(100) 내부에 설치되어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조절장치(140)에 의해 창고(100) 내부의 온도가 항시 10℃ 이하로 유지되며, 또한, 창고(100) 내부의 습도 등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 곡물(110)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창고(100) 내부에 설치된 음향장치(130)는 창고(100)의 내부에 곳곳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스피커(133)와, 스피커(133)를 통해 음악을 흘려보내기 위한 컨트롤러(131)로 구성되며, 이때, 컨트롤러(131)는 음악의 선곡 및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음악은 식물에 있어서, "식물에 음악을 들려주면 `음파`가 식물의 세포막을 떨게 하고 이것이 다시 원형질을 흔들어 세포 전체의 운동성을 증가시킨다. 특히 음악을 들려준 식물은 그렇지 않은 식물보다 엽록소가 많이 생성돼 광합성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식물의 입 뒤쪽에 있는 숨구멍의 경우 음악을 들려주면 많이 열리게 돼 가스교환은 물론 잎에 뿌려준 양분도 더 많이 흡수되고 세포 내의 축전지 역할을 하는 ATP(adenocine triphosphate)도 많이 생성된다."
또한, 식물은 비트와 사운드가 강한 록음악보다는 고전음악을 더 좋아하고 타악기보다는 현악기를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1968년 미국의 여성과 학자 도로시 레털렉은 호박에 고전음악을 들려주자 호박 덩굴이 스피커를 감싸 안았지만, 록음악을 틀어주자 덩굴이 벽을 넘어 달아나려 한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즉, 식물이 생장함에 있어 음악과, 그 음악의 종류에 따라 생장에 도움이 되거나 혹은 해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환경에 따라 언제든지 발아할 수 있는 곡물(110) 또한 그 생명력이 유지된 상태이므로, 상기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곡물(110)은 음악에 종류 및 장르에 영향을 받는 것이 당연하다 할 수 있다.
이러한 음악의 종류 및 장르로는 잔잔한 음악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잔잔한 음악은 곡물(110)의 직접적인 발아를 유도하지 않도록 휴면상태를 유지시켜 풍부한 영양과 신선한 밥맛을 제공하는 친환경 유기농 쌀 등 최고 품질의 쌀을 생산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잔잔한 음악으로는 저장된 곡물(110)에 바람직한 영향을 주는 국악, 클래식, 재즈 및 피아노 연주 등이 바람직하며, 그 중 우리나라의 고유 음악인 국악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러한 국악은 음양오행원(陰陽五行)리에 의한 맞춤 음악으로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에 차례로 상응하는 각치궁상우(角徵宮商羽)의 다섯 음으로 구성되어, 우리 나라의 전통음악에 기초를 두고 우리의 토양에서 자라는 벼 등의 식물에 가장 적합한 장단(長短), 가락(加樂) 및 음색(音色) 등을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음향장치(130)는 곡물(110)에 음악을 들려주기 위한 것으로, 스피커(133) 및 컨트롤러(131)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를 대체하는 악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일례로는 창고 내에서 피아노를 직접 연주하여 곡물에 그 선율을 들려줄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농촌 단위의 피아노 학원 등을 위 저장창고와 결합하거나 그 인근에 설치함으로써 피아노 학습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연주음악이 곡물(110)에 보다 바람직한 영향을 주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창고(100)가 지어질 때 황토와 숯이 함께 혼합되어 지어질 수 있으나, 이와는 별도로 창고 내부에 숯(120)을 곳곳에 더 배치할 수 있다.
숯(120)은 원적외선 방출, 음이온 발생, 전자파 차단 효과, 수맥차단 및 습도조절 등의 효과는 물론, 저장해충 부패균 및 미생물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다른 곡물 저장용 창고(100)는 황토와, 황토를 포함한 숯 또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광물 등이 더 포함되어 지어진 창고(100)와, 그 창고의 내부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조절장치(140)에 의해 저장된 곡물(110)이 변질 되는 것을 방지하고, 저장된 곡물(110)에 음악을 들려주어 그 생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의 휴면을 유도하여 풍부한 영양과 신선한 밥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창고(100) 내부에 별도의 숯(120)을 곳곳으로 더 배치하여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을 확장시킴은 물론, 항균과 탈취 및 공기정화는 물론 곰팡이와 같은 유해한 균류의 서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였으나, 미 설명된 받침부재(150)는 곡물(110)을 지면으로부터 소정높이만큼 이격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는 내/외부의 온도차 등에 의해 지면으로 부터 발생 될 수 있는 습기로부터 곡물(110)이 변질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저장된 곡물(110)을 그 선도를 유지하면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를 더 고안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커피 등 1회용 용기 또는 그 밖의 음료수 용기 등과 같은 규격화된 용기에 본 발명에 의해 저장된 곡물을 도정하고, 이를 즉각 수용함과동시에, 태양광과 공기유통을 차단하도록 차광 및 밀폐시킨 상태로 도정 직후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곡물의 산폐나 변질을 최소화하거나 예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용기는 규격화되어 제공되며, 이와 같이 규격화된 용기를 이용하면, 수요자가 그 필요에 따라서 한개 또는 수개의 용기를 구매하여, 가정용이나 여행용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아울러 본 발명에서와 같이 신선하게 저장된 곡물을 산지에서 직접 수확하여 바로 이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용기는 내부 공기를 최대한 배출시킨 후 거의 진공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수용된 곡물의 신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내부에 눈금을 표시하거나, 용기의 부피를 적당히 조절함으로써 사용인분에 부합하도록 사용할 수 있고, 재질은 불투명재질로 하여 태양광은 물론, 조명광 등이 유입될 수 있는 여지를 최소화시키도록 제작된다.
이러한 용기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0)의 내부에 곡물(201)을 수용하고, 그 위에 차폐막(202)을 설치한 후,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함은 물론, 차폐막(202) 또는 용기 외면(203)을 불투명 재질로 제작하여 빛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용 창고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전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용 용기에 관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구성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창고 110 : 곡물
120 : 숯 130 : 음향장치
131 : 컨트롤러 133 : 스피커
140 : 조절장치 150 : 받침부재
200 : 용기 201 : 곡물
202 : 차폐막 203 : 용기외면

Claims (3)

  1.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창고에 있어서,
    볏짚, 원목 및 광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황토를 서로 혼합하여 지어진 창고를 포함하며,
    상기 창고는,
    곡물을 저장하여 보관 시, 상기 곡물이 변질 되는 것을 방지하고, 휴면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조절장치 및 휴면상태의 곡물에 음악을 들려주기 위한 음향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저장용 창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고는,
    저장해충 부패균 및 미생물의 발생을 억제하고, 원적외선 음이온을 발생하기 위한 숯;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용 창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물은,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발산하는 규석, 규조토, 규사, 알루미나 및 사문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용 창고.
KR1020090030049A 2009-04-07 2009-04-07 곡물 저장용 창고 KR201001115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049A KR20100111560A (ko) 2009-04-07 2009-04-07 곡물 저장용 창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049A KR20100111560A (ko) 2009-04-07 2009-04-07 곡물 저장용 창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560A true KR20100111560A (ko) 2010-10-15

Family

ID=4313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049A KR20100111560A (ko) 2009-04-07 2009-04-07 곡물 저장용 창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156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09836A (zh) * 2015-07-08 2015-11-04 苏州市世好建材新技术工程有限公司 一种恒温防潮粮仓
CN105917869A (zh) * 2016-05-05 2016-09-07 王凯盛 一种多功能自动除湿的粮食组合储柜
CN108353648A (zh) * 2018-02-11 2018-08-03 成都朗博旺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粮仓的多模式粮堆降温系统以及粮仓
CN110122081A (zh) * 2019-06-26 2019-08-16 遂宁市安居永丰绿色五二四红苕专业合作社 一种原生态红苕窖藏方法
KR102539456B1 (ko) * 2022-12-08 2023-06-05 원용돌 복사열 및 송풍을 이용한 농수산물 자연 건조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09836A (zh) * 2015-07-08 2015-11-04 苏州市世好建材新技术工程有限公司 一种恒温防潮粮仓
CN105917869A (zh) * 2016-05-05 2016-09-07 王凯盛 一种多功能自动除湿的粮食组合储柜
CN108353648A (zh) * 2018-02-11 2018-08-03 成都朗博旺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粮仓的多模式粮堆降温系统以及粮仓
CN110122081A (zh) * 2019-06-26 2019-08-16 遂宁市安居永丰绿色五二四红苕专业合作社 一种原生态红苕窖藏方法
KR102539456B1 (ko) * 2022-12-08 2023-06-05 원용돌 복사열 및 송풍을 이용한 농수산물 자연 건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esfaw et al. Optimization of oyster (Pleurotus ostreatus) mushroom cultivation using locally available substrates and materials in Debre Berhan, Ethiopia
EP2296457B1 (en) Method for growing plants
KR101755812B1 (ko) 식물을 재배하는 다단형 학습용 식물재배장치
KR20100111560A (ko) 곡물 저장용 창고
JP5920878B2 (ja) 植物の栽培方法および植物の栽培装置
KR20150078928A (ko) 복합 기능을 갖는 천연 가습기
CN103918535A (zh) 一种大马士革玫瑰的育苗方法
ES2900186T3 (es) Producto de suplementación de dióxido de carbono con control de activación retardada
JP4988643B2 (ja) 植物病害防除用照明装置
JP2015530871A (ja) 玄米の芽栽培装置とこれを用いた栽培方法および飲食調理方法
KR20150065115A (ko) 송이버섯 재배 방법
JP5551921B2 (ja) ホンシメジの菌床栽培方法
CN206760244U (zh) 一种林业育苗装置
KR20160054947A (ko) 버섯 재배 겸용 곤충 사육 키트
Tüzel et al. Advances in liquid-and solid-medium soilless culture systems
US4852297A (en)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producing mushrooms from self contained vessels
CN106818203A (zh) 高效绿色培育羊肚菌立体箱及羊肚菌的箱内培育方法
WO2017117604A1 (en) Ultrasonically enhanced seed germin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seed after planting in soil
JP5156243B2 (ja) 観賞用白色ないし黄色鹿角霊芝の栽培方法。
JP2004254643A (ja) 生食用エノキ茸
KR101937769B1 (ko) 목이버섯 배지 제조방법
JPH01226545A (ja) 遠赤外線放射容器
Kim et al. Effects of Tenebrio molitor (Mealworm) Frass on the Growth of Ginseng Sprout (Panax ginseng) in Commercial Potting Soil
KR20080035887A (ko) 음악테라피를 이용한 벼 저장방법 및 저장창고
JP2002291374A (ja) 幼虫飼育用菌糸ビ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