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1350A - 시트 리클라이너 - Google Patents

시트 리클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1350A
KR20100111350A KR1020090029722A KR20090029722A KR20100111350A KR 20100111350 A KR20100111350 A KR 20100111350A KR 1020090029722 A KR1020090029722 A KR 1020090029722A KR 20090029722 A KR20090029722 A KR 20090029722A KR 20100111350 A KR20100111350 A KR 20100111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am
disk
slope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0428B1 (ko
Inventor
조병관
박운진
조정형
팽현성
정태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스템
Priority to KR1020090029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428B1/ko
Publication of KR20100111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림과, 상기 지지림의 내측으로 제1 디스크 기어 수용부가 함입 형성된 홀더와;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림에 접촉 결합되고 내주면에 내치가 형성된 기어림과, 상기 기어림의 내측으로 상기 제1 디스크 기어 수용부와 일치하도록 제2 디스크 기어 수용부가 함입 형성된 섹터기어와; 외주면에 외치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디스크 기어 수용부에 수용되는 언로킹 위치와 상기 제2 디스크 기어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외치가 상기 기어림의 내치와 치합하는 로킹 위치 간을 승강하는 디스크 기어와; 상기 디스크 기어를 상기 로킹 위치로 가압 상승시키기 위한 탄성가압수단과; 상기 디스크 기어의 회전 중심에 일체로 형성되고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 복수의 개소에 피동 사면이 형성된 승강캠; 및 상기 피동 사면에 대응하여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 복수 개소에 구동 사면이 형성되어, 회동 시 상기 구동 사면을 통해 상기 피동 사면을 가압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크 기어를 상기 언로킹 위치로 하강시키는 작동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고강성을 달성함과 동시에 원가, 중량, 공간효율의 측면에서 유리한 시트 리클라이너를 제공할 수 있다.
리클라이너(recliner), 고강성, 디스크 기어(disk gear)

Description

시트 리클라이너{SEAT RECLINER}
본 발명은 시트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용 시트에 적합한 시트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시트 리클라이너, 특히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너는 시트쿠션 또는 시트백의 일측에 결합되는 홀더와, 시트쿠션 또는 시트백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섹터기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트 리클라이너는 상기 섹터기어가 상기 홀더에 대하여 회전하지 못하도록 로킹시키기 위한 로킹 수단과, 상기 시트백의 회동 조절을 위해 상기 로킹수단을 언로킹시키기 위한 언로킹 수단을 필요로 한다.
상기 언로킹 수단은 통상적으로 상기 시트 리클라이너를 관통하는 작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축과 함께 회동하는 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킹 수단은 상기 캠에 의해 반경방향 또는 원주 및 반경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록기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록기어는 1 또는 2 이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섹터기어에 형성되는 내치와 치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의 시트 리클라이너에 의하면, 회동 조절된 시트백은 상기 섹터기어에 치합되는 록기어에 의해서만 지지됨에 따라 시트에 요구되는 강성 측면에서 볼 때 구조적으로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위해, 상기한 종래의 시트 리클라이너의 사이즈를 키움으로써 고강성을 달성할 수는 있겠으나 그러한 경우는 원가, 중량, 공간효율 등의 측면에서 볼때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로킹 수단의 구조 개선을 통해 고강성을 달성함과 동시에 종래 록기어를 채용한 고강성의 시트 리클라이너에 비해 원가, 중량, 공간효율의 측면에서 유리한 시트 리클라이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트 리클라이너(seat recliner)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림과, 상기 지지림의 내측으로 제1 디스크 기어 수용부가 함입 형성된 홀더(holder)와;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림에 접촉 결합되고 내주면에 내치(inner teeth)가 형성된 기어림과, 상기 기어림의 내측으로 상기 제1 디스크 기어 수용부와 일치하도록 제2 디스크 기어 수용부가 함입 형성된 섹터기어(sector gear)와; 외주면에 외치(outer teeth)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디스크 기어 수용부에 수용되는 언로킹 위치와 상기 제2 디스크 기어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외치가 상기 기어림의 내치와 치합하는 로킹 위치 간을 승강하는 디스크 기어(disk gear)와; 상기 디스크 기어를 상기 로킹 위치로 가압 상승시키기 위한 탄성가압수단과; 상기 디스크 기어의 회전 중심에 일체로 형성되고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 복수의 개소에 피동 사면이 형성된 승강캠(elevating cam); 및 상기 피동 사면에 대응하여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 복수 개소에 구동 사면이 형성되어, 회동 시 상기 구동 사면을 통해 상기 피동 사면을 가압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크 기어를 상기 언로킹 위치로 하강시키는 작동캠(operating cam)을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너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디스크 기어 수용부의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개소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가이드 핀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 기어는 각 가이드핀에 삽입되는 복수의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가이드핀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 디스크 수용부는 상기 복수의 개소에 각각 핀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핀은 각 핀 결합공에 압입됨으로써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캠은 각 피동 사면과 대칭되는 복수 개소에 상기 피동 사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승강 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작동캠은, 상기 승강캠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 사면이 형성된 상부 작동캠과; 상기 승강캠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캠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작동캠과 일체로 결합하고, 상기 디스크 기어가 상기 로킹 위치로 상승 시 상기 복수의 승강 사면을 접촉 가이드하는 복수의 로킹 가이드 사면과, 상기 디스크 기어가 상기 언로킹 위치로 하강 시 상기 복수의 승강 사면을 접촉 가이드하는 복수의 언로킹 가이드 사면이 형성된 하부 작동캠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작동캠은 회동 시 소정 각도 슬라이드된 후 비로소 상기 구동 사면이 상기 승강캠의 피동 사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승강캠과의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여유 간격을 가지고, 상기 승강캠은 상기 승강 사면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수평 단부면을 가지며, 상기 작동캠은 상기 로킹 가이드 사면과 상기 언로킹 가이드 사면과의 사이에 상기 여유 간격만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평 단부면 을 지지 및 안내하는 수평 가이드면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기어의 외치는, 상기 디스크 기어의 상승 시 상기 섹터기어의 내치와 치합을 개시하는 상단부가 라운드 처리된 것일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섹터기어의 내치는, 상기 디스크 기어의 상승 시 상기 디스크 기어의 외치와 치합을 개시하는 하단부가 라운드 처리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탄성가압수단은 상기 홀더의 제1 디스크 기어 수용부 상에 삽입되어 상기 디스크 기어를 접촉 가압하는 디스크 스프링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작동캠이 회동할 경우, 상기 작동캠이 복귀 회동하도록 탄성 가압하는 캠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작동캠은, 상기 시트 리클라이너를 상하로 관통하는 작동축에 대하여, 상기 작동축과 결합하여 일체로 회동하는 축 결합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기어는, 상기 외치가 외주면상의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개소에서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리클라이너에 의하면, 종래의 록기어 대신 외주면에 외치가 형성된 디스크 기어를 홀더와 섹터기어 사이에서 승강시켜 시트 리클라이너의 로킹 및 언로킹 작용을 하도록 함으로써 작은 사이즈의 리클라이너에서도 고강성을 달성할 수 있으며, 아울러 시트 리클라이너의 전체 구성이 종래기술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원가, 중량 및 공간효율 측면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리클라이너(100)의 조립 상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작동축(1)에 관통되어 상기 작동축(1)의 회동 조작에 따라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트 리클라이너(100)를 분해해 보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하부의 홀더(holder, 110)와 상부의 섹터기어(sector gear, 120)가 결합하는 내측 공간에 디스크 기어(disk gear, 130), 디스크 스프링(disk spring, 140), 승강캠(elevating cam, 150), 작동캠(operating cam, 160) 등이 수용된다.
홀더(110)는 외주연부에 원주방향으로 지지림(rim, 111)이 형성되고, 이 지지림(111)의 내측으로는 소정 폭으로 제1 디스크 기어 수용부(112)가 형성되며, 이 제1 디스크 기어 수용부(112)의 내측 중심부에는 캠수용부(113)가 형성된다.
섹터기어(120)는 외주연부에 원주방향으로 기어림(121)이 형성된다. 기어림(121)의 내주면에는 내치(inner teeth, 122)가 형성된다. 기어림(121)의 내측으로는 상기 제1 디스크 기어 수용부(112)와 일치하도록 제2 디스크 기어 수용부(123)가 소정 폭으로 형성되며, 이 제2 디스크 기어 수용부(123)의 내측 중심부에는 캠수용부(124)가 형성된다.
홀더(110)와 섹터기어(120)는 상하로 결합하여 섹터기어(120) 측의 기어림(121)이 상기 홀더(110) 측의 지지림(111) 상에 접촉 결합된다.
디스크 기어(130)는 상하 결합된 홀더(110)와 섹터기어(120)의 내부에 형성 되는 공간 부분, 즉 제1 및 제2 디스크 기어 수용부(112, 123)에 수용되어 양쪽 수용부(112 및 123) 사이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디스크 기어(130)의 외주면에는 외치(outer teeth, 131)가 형성된다.
이때, 디스크 기어(130)가 상승하여 상부의 제2 디스크 기어 수용부(123)에 수용되는 로킹 위치에서는, 상기 외치(131)가 기어림(121)의 내치(122)와 치합되어 시트 리클라이너(100)가 로킹 상태로 된다.
반대로, 디스크 기어(130)가 하강하여 하부의 제1 디스크 기어 수용부(112)에 수용되는 언로킹 위치에서는, 그 외치(131)는 상기 기어림(121) 내치(122)와의 치합이 해제되어 시트 리클라이너(100)는 언로킹 상태로 된다.
디스크 스프링(140)은 홀더(110)의 제1 디스크 기어 수용부(112) 상에 삽입되어 상기 디스크 기어(130)를 상방향, 즉 상기 로킹 위치로 접촉 가압한다. 즉, 디스크 스프링(140)은 디스크 기어(130)를 항상 로킹 위치로 가압 상승시키기 위한 탄성가압수단으로서, 이러한 디스크 스프링(140)의 작용으로 인해 디스크 기어(130)는 후술하는 작동캠(160)이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항상 로킹 위치에 위치되어 로킹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홀더(110)에는 제1 디스크 기어 수용부(112) 상에서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개소에 핀 결합공(114)이 각각 형성되고, 이들 핀 결합공(114)에는 가이드 핀(115)이 각각 압입된다.
압입된 가이드 핀(115)은 상단부가 섹터기어(120)의 내측면에까지 이를 정도로 상기한 제1 및 제2 디스크 기어 수용부(112, 123)로 돌출된다.
디스크 기어(130)는 이들 가이드 핀(115)이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가이드공(13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디스크 기어(130)는 상기한 가이드 핀(115)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하게 된다.
승강캠(1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기어(130)의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공(132)에 압입되어 디스크 기어(130)와 일체로 결합하고,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는 복수 개소에 피동 사면(151)이 형성된다.
이들 복수 개의 피동 사면(151)은 승강캠(150)이 후술하는 상부 작동캠(161)과 상호 작용하는 면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승강캠(150)은 상기 피동 사면(151)과 대칭되는 복수 개소에 상기 피동 사면(151)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승강 사면(152)이 형성된다.
이들 복수 개의 승강 사면(152)은 승강캠(150)이 후술하는 하부 작동캠(162)과 상호 작용하는 면으로 기능한다.
작동캠(160)은 상기한 승강캠(150)과 상호 작용함으로써 디스크 기어(130)를 상기한 언로킹 위치로 하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상기 디스크 기어(130)를 기준으로 그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작동캠(161)과 그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작동캠(166)으로 구분된다.
상부 작동캠(161)과 하부 작동캠(166)은 각 중심부에 축방향으로 서로 상하로 대향되게 돌출되는 클로오(claw, 162, 167) 간의 압입 결합을 통해 상기 승강캠(150)을 관통하여 일체화된다.
상부 작동캠(161)은 상기한 승강캠(150)의 피동 사면(151)에 대응하여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 복수 개소에 구동 사면(16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부 작동캠(161)의 회전 시, 구동 사면(163)이 상기 피동사면(151)을 접촉 가압함으로써 승강캠(150)이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디스크 기어(130)가 상기 언로킹 위치까지 하강하게 된다.
하부 작동캠(166)은 상기한 승강캠(150)의 승강 사면(152)에 대응하여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 복수 개소에 로킹 가이드 사면(168)과 언로킹 가이드 사면(169)이 각각 형성된다. 언로킹 가이드 사면(169)은 로킹 가이드 사면(168)에 비해 축방향으로 하부에 위치하며 원주방향으로도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단(즉,후술하는 수평 가이드면(169-1))을 매개로 하여 연장 형성된다.
로킹 가이드 사면(168)은 디스크 기어(130)가 상기 로킹 위치로 상승할 경우 상기 승강 사면(152)을 접촉 가이드하며, 디스크 기어(130)의 상승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승강 사면(152)을 접촉 지지한다(도 5a의 우측 그림 참조).
언로킹 가이드 사면(169)은 디스크 기어(130)가 상기 언로킹 위치로 하강할 경우 상기 승강 사면(152)을 접촉 가이드하며, 디스크 기어(130)의 하강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승강 사면(152)을 접촉 지지한다(도 5d의 우측 그림 참조).
도 4는 디스크 기어(130), 승강캠(150) 및 작동캠(16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먼저 디스크 기어(130)의 결합공(132)에 승강캠(150)을 압입하여 일체로 결합시킨 후 상기 승강캠(150)의 중앙홀(154)을 통해 상부 작동캠(161)의 클로우(162)와 하부 작동캠(166)의 클로우(167) 간을 압입시켜 일체화한 다.
커버 하우징(180)은 상하로 결합되는 홀더(110)와 섹터기어(120)의 외주연부를 동시에 감싸도록 성형되어 서로간의 분리 이탈을 방지한다(도 5a 참조).
도 5a 내지 도 5d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시트 리클라이너(100)의 작동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해당 단계에서의 주요부의 결합 상태도이다.
먼저, 도 5a의 로킹 상태에서, 디스크 기어(130)는 디스크 스프링(140)의 가압에 의해 상부의 섹터기어(120)의 내치(도 3의 122 참조)에 치합된 위치, 즉 로킹 위치에 위치한다. 섹터기어(120)는 디스크 스프링(140)에 의해 로킹되어 홀더(110)에 대한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로킹 상태에서 디스크 기어(130)에 일체로 결합된 승강캠(150)은, 도 5a의 우측 도면을 참조하면, 승강 사면(152)이 하부 작동캠(166)의 로킹 가이드 사면(168)에 접촉 지지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승강캠(150)은 상기 승강 사면(152)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수평 단부면(153)이, 하부 작동캠(166)의 로킹 가이드 사면(168)과 언로킹 가이드 사면(169)의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수평 가이드면(169-1)에 의해 접촉 지지된다.
여기서, 수평 가이드면(169-1)의 길이는, 로킹 상태일 때 상부 작동캠(161)의 구동 사면(163)과 승강캠(150)의 피동 사면(151)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여유 간격(d)과 같다.
상기와 같은 로킹 상태에서 작동캠(160)이 언로킹 회동을 행하면 우선 상부 및 하부 작동캠(161, 166)이 상기 여유 간격(d)만큼 회동하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작동캠(161)의 구동 사면(163)이 승강캠(150)의 피동 사면(151)에 접근하여 접촉하게 된다. 도면에서는 상,하부 작동캠(161, 166)을 기준으로 승강캠(150)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하 같다.
이때, 승강캠(150)의 수평 단부면(153)은 하부 작동캠(166)의 수평 가이드면(169-1)을 벗어나 언로킹 가이드 사면(169)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작동캠(160)이 추가적으로 언로킹 회동을 행하게 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사면(163)의 가압으로 인해 비로소 피동 사면(151)이 하강하게 된다. 즉, 승강캠(150)과 디스크 기어(130)가 하강하게 된다.
작동캠(160)의 회동과 함께, 구동 사면(163)과 피동 사면(151) 간의 면접촉이 끝나갈 즈음 승강캠(150)의 승강 사면(152)은 하부 작동캠(166)의 언로킹 가이드 사면(169)에 접촉 지지됨으로써 하강이 완료된다. 즉, 승강캠(150)과 디스크 기어(130)의 하강이 완료되며, 이때 상기 디스크 기어(130)는 언로킹 위치에 위치된다.
한편, 하부 작동캠(16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스프링(170)에 의해 항상 원위치로 복귀 회동하도록 탄성 가압된다. 캠 스프링(170)은 홀더(110)의 캠수용부(113)에 수용되어 일단부(171)가 하부 작동캠(166)의 돌출단부(169-2)를 가압 지지하고, 타단부(172)가 홀더(110)의 요홈부(116)에 수용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언로킹 동작의 완료 시, 작동캠(160)의 회동을 해제하 면, 상기 캠 스프링(170)에 의해 작동캠(160)은 원위치(도 5a 참조)로 복귀 회동하고 이와 동시에 디스크 기어(130)와 승강캠(150)은 디스크 스프링(140)의 탄성 가압에 의해 상승하여 로킹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로킹 위치로 상승 복귀하는 디스크 기어(130)가 섹터기어(120)의 내치(도 3의 122)와 원활하게 치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치(122)와 치합을 개시하는 디스크 기어(130) 외치(131)의 상단부가 라운드(R) 처리될 수도 있다.
물론, 섹터기어(120)의 내치(122) 또한 상승하는 디스크 기어(130)의 외치(131)와 치합을 개시하는 하단부가 라운드(r) 처리될 수도 있다.
한편, 작동캠(160)의 회동은 작동축(도 1의 1)의 회동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들 간의 결합을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작동캠(166)에 축 결합홈(169-3)을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소에 형성함으로써 축(1)의 결합돌기(2)와 결합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크 기어(13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외치(131)는 모든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외주면상의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개소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외치(131)는 디스크 기어(130)의 외주면에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디스크 기어(130)의 로킹력이 그만큼 감소하게 되나, 반대로 상기 디스크 기어(130)와 섹터기어(120)의 내치(122) 간 치합은 더 원활하게 이루 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트 리클라이너(100)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리클라이너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상기 도 1의 시트 리클라이너를 상방향 및 하방향에서 바라볼 때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시트 리클라이너의 주요부에 대한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된 분해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도 1의 시트 리클라이너의 작동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단면도 및 주요 결합부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1의 시트 리클라이너의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시트 리클라이너 110: 홀더
111: 지지림 112: 제1 디스크 기어 수용부
113: 캠수용부 114: 핀 결합공
115: 가이드 핀 116: 요홈부
120: 섹터기어 121: 기어림
122: 내치 123: 제2 디스크 기어 수용부
124: 캠수용부 130: 디스크 기어
131: 외치 132: 결합공
133: 가이드공 140: 디스크 스프링
150: 승강캠 151: 피동 사면
152: 승강 사면 153: 수평 단부면
160: 작동캠 161: 상부 작동캠
162: 클로오 163: 구동 사면
166: 하부 작동캠 167: 클로오
168: 로킹 가이드 사면 169: 언로킹 가이드 사면
169-1: 수평 가이드면 169-2: 돌출단부
169-3: 축 결합홈 170: 캠 스프링
180: 커버 하우징

Claims (11)

  1. 시트 리클라이너(seat recliner)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림과, 상기 지지림의 내측으로 제1 디스크 기어 수용부가 함입 형성된 홀더(holder)와;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림에 접촉 결합되고 내주면에 내치(inner teeth)가 형성된 기어림과, 상기 기어림의 내측으로 상기 제1 디스크 기어 수용부와 일치하도록 제2 디스크 기어 수용부가 함입 형성된 섹터기어(sector gear);
    외주면에 외치(outer teeth)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디스크 기어 수용부에 수용되는 언로킹 위치와 상기 제2 디스크 기어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외치가 상기 기어림의 내치와 치합하는 로킹 위치 간을 승강하는 디스크 기어(disk gear);
    상기 디스크 기어를 상기 로킹 위치로 가압 상승시키기 위한 탄성가압수단;
    상기 디스크 기어의 회전 중심에 일체로 형성되고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 복수의 개소에 피동 사면이 형성된 승강캠(elevating cam);
    상기 피동 사면에 대응하여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 복수 개소에 구동 사면이 형성되어, 회동 시 상기 구동 사면을 통해 상기 피동 사면을 가압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크 기어를 상기 언로킹 위치로 하강시키는 작동캠(operating ca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디스크 기어 수용부의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개소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가이드 핀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 기어는 각 가이드핀에 삽입되는 복수의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가이드핀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크 수용부는 상기 복수의 개소에 각각 핀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핀은 각 핀 결합공에 압입됨으로써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캠은 각 피동 사면과 대칭되는 복수 개소에 상기 피동 사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승강 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작동캠은, 상기 승강캠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 사면이 형성된 상부 작동캠과; 상기 승강캠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캠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작동캠과 일체로 결합하고, 상기 디스크 기어가 상기 로킹 위치로 상승 시 상기 복수의 승강 사면을 접촉 가이드하는 복수의 로킹 가이드 사면과, 상기 디스크 기어가 상기 언로킹 위치로 하강 시 상기 복수의 승강 사면을 접촉 가이드하는 복수의 언로킹 가이드 사면이 형성된 하부 작동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 클라이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캠은 회동 시 소정 각도 슬라이드된 후 비로소 상기 구동 사면이 상기 승강캠의 피동 사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승강캠과의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여유 간격을 가지고,
    상기 승강캠은 상기 승강 사면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수평 단부면을 가지며, 상기 작동캠은 상기 로킹 가이드 사면과 상기 언로킹 가이드 사면과의 사이에 상기 여유 간격만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평 단부면을 지지 및 안내하는 수평 가이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기어의 외치는, 상기 디스크 기어의 상승 시 상기 섹터기어의 내치와 치합을 개시하는 상단부가 라운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너.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섹터기어의 내치는, 상기 디스크 기어의 상승 시 상기 디스크 기어의 외치와 치합을 개시하는 하단부가 라운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수단은 상기 홀더의 제1 디스크 기어 수용부 상에 삽입되어 상기 디스크 기어를 접촉 가압하는 디스크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캠이 회동할 경우, 상기 작동캠이 복귀 회동하도록 탄성 가압하는 캠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너.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작동캠은, 상기 시트 리클라이너를 상하로 관통하는 작동축에 대하여, 상기 작동축과 결합하여 일체로 회동하는 축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기어는, 상기 외치가 외주면상의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개소에서 불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너.
KR1020090029722A 2009-04-07 2009-04-07 시트 리클라이너 KR101020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722A KR101020428B1 (ko) 2009-04-07 2009-04-07 시트 리클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722A KR101020428B1 (ko) 2009-04-07 2009-04-07 시트 리클라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350A true KR20100111350A (ko) 2010-10-15
KR101020428B1 KR101020428B1 (ko) 2011-03-08

Family

ID=43131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722A KR101020428B1 (ko) 2009-04-07 2009-04-07 시트 리클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04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87751A (zh) * 2011-07-21 2014-03-26 C.劳勃.汉默斯坦两合有限公司 用于机动车辆座椅调节装置的装配件
WO2014084599A1 (ko) * 2012-11-28 2014-06-05 현대다이모스(주)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101711826B1 (ko) * 2015-12-03 2017-03-03 대원정밀공업(주) 밀림방지형 리클라이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700B1 (ko) 2014-05-20 2014-07-16 대원정밀공업(주) 소형 라운드 리클라이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576B1 (ko) 2003-02-18 2005-09-13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용 라운드형 리클라이너
JP4916155B2 (ja) * 2004-12-28 2012-04-11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4802632B2 (ja) 2005-09-26 2011-10-2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継手装置
JP2008194281A (ja) 2007-02-14 2008-08-28 Toyota Boshoku Corp 連結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87751A (zh) * 2011-07-21 2014-03-26 C.劳勃.汉默斯坦两合有限公司 用于机动车辆座椅调节装置的装配件
US9381832B2 (en) 2011-07-21 2016-07-05 Johnson Controls Metals and Mechanisms GmbH & Co. KG Fitting for an adjustment device of a motor vehicle seat
WO2014084599A1 (ko) * 2012-11-28 2014-06-05 현대다이모스(주)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101711826B1 (ko) * 2015-12-03 2017-03-03 대원정밀공업(주) 밀림방지형 리클라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0428B1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0428B1 (ko) 시트 리클라이너
JP5950172B1 (ja) 高さ調節可能なテーブル
CN100575147C (zh) 推式杯子托架
US7703852B2 (en) Heavy duty reclining mechanism for vehicle seats
EP2492135B1 (en) Seat reclining apparatus for vehicle
US8267476B2 (en) Vehicle seat reclining device
US20110266851A1 (en)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vehicle seat
KR101711826B1 (ko) 밀림방지형 리클라이너
JP3889731B2 (ja) ヒンジ機構を備えた車両シート
US20120186931A1 (en) Round recliner for vehicle seat
KR101143811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888827B1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너
JP2006526879A (ja) コネクタ位置保証部材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KR20070105552A (ko) 고강성의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너
JPWO2013150644A1 (ja) ボタン側ダイ、ボタン取付装置及びボタン取付方法
KR101468420B1 (ko) 록킹 감성을 개선한 리클라이너
KR101283124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101361742B1 (ko) 2개의 차량 부품을 록킹하기 위한 멈춤쇠 피팅
KR101081077B1 (ko) 차량 시트용 래치 어셈블리
CN205890613U (zh) 一种儿童安全座椅锁止结构
CN109222734B (zh) 一种转动拆装式马桶盖板支架
CN104203643B (zh) 适于车辆座椅的扶手组合件
JPH07168476A (ja) 回転ドラムスキャナー
CN210672741U (zh) 旋转锁止机构及应用其的餐椅
KR20160083161A (ko) 시트용 리클라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