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0671A -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0671A
KR20100110671A KR1020090029128A KR20090029128A KR20100110671A KR 20100110671 A KR20100110671 A KR 20100110671A KR 1020090029128 A KR1020090029128 A KR 1020090029128A KR 20090029128 A KR20090029128 A KR 20090029128A KR 20100110671 A KR20100110671 A KR 20100110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unit
driving
driving film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재호
송해두
이영재
안재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9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0671A/ko
Publication of KR20100110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6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5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abutting or pinching, i.e. without alloying process; mechanical auxiliary parts therefor
    • H05K3/32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abutting or pinching, i.e. without alloying process; mechanical auxiliary parts therefor the printed circuit having integral resilient or deformable parts, e.g. tabs or parts of flexible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6Inspection; Monitoring; Aligning
    • H05K2203/162Testing a finished product, e.g. heat cycle testing of solder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구동필름의 불량구간을 감지하는 불량감지부; 상기 불량구간을 절단하여 제거하고, 상기 불량구간이 제거된 양품구간의 구동필름을 상호 접합하는 불량편집부; 상기 불량편집부에서 편집된 구동필름의 불량유무를 확인하는 불량확인부; 상기 불량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불량구간이 편집되도록 상기 불량편집부를 제어하고 상기 불량확인부를 통한 확인결과 상기 편집된 구동필름이 양품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구동필름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90029128
연성회로기판, FPCB, 불량검사

Description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 및 그 제어방법{EDITING APPARATUS FOR DRIVING FILM AND EDITING METHOD USING THE SAME}
실시예는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s Board, FPCB)은 고밀도 배선 회로의 소형화 및 경량화 설계가 가능하고, 굴곡 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휴대폰, 카메라, 엘씨디 디스플레이 등 광범위한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연성회로기판은 베이스필름(base film)으로 폴리이미드(polyimide, 이하, PI라 함)필름 등의 연성재료를 사용한다. 예컨대, PI 필름 위에 동박으로 회로를 구성하고 구성된 회로의 커버레이어(Cover-Layer)로써 다시 PI 필름을 코팅하여 연성회로기판을 완성한다. 따라서, 연성회로기판은 에폭시(epoxy) 또는 페놀(phenol)류의 경질 회로기판에 비해 절곡성이 우수하고, 연속 생산이 가능하다.
이에, 연성회로기판은 베이스필름에 동일한 회로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동필름의 형태로 제작하여, 회로가 형성된 구동필름 구간을 절단하여 제품에 탑재하는 형태로 제작된다. 제작된 구동필름에 대해서는, 각 회로의 이상 유무, 펀칭 홈의 상태 등을 검사하여 불량여부를 판단하고, 불량이 발생한 구간의 구동필름은 절 단하여 제거한다. 불량구간이 절단된 양품의 구동필름을 접속 테이프 등을 통해 상호 접합하여, 구매자가 원하는 길이의 구동필름을 릴에 감아 제공하게 된다.
이상의 공정은 수작업으로 진행되어, 작업자가 직접 구동필름의 불량구간을 절단한 후 접속시키는 편집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구동필름의 편집을 위해서는 다수의 작업 인력이 필요하고, 각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편집된 구동필름의 품질이 달라질 수 있으며, 수작업으로 인한 불량 발생 확률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는 적은 수의 인력으로 대량 작업이 가능하고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의한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는,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구동필름의 불량구간을 감지하는 불량감지부; 상기 불량구간을 절단하여 제거하고, 상기 불량구간이 제거된 양품구간의 구동필름을 상호 접합하는 불량편집부; 상기 불량편집부에서 편집된 구동필름의 불량유무를 확인하는 불량확인부; 상기 불량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불량구간이 편집되도록 상기 불량편집부를 제어하고 상기 불량확인부를 통한 확인결과 상기 편집된 구동필름이 양품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구동필름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한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의 제어방법은, 구동필름의 불량구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구동필름의 불량구간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불량구간이 절단된 양품구간의 구동필름을 상호 접합 가능한 위치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불량구간이 제거된 양품구간의 구동필름을 상호 접합하여 편집하는 단계; 상기 편집된 구동필름이 양품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구동필름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한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적은 수의 인력으로 대량 작업이 가능하고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는, 편집 대상 구동필름(P)이 출력되는 권출부(10)와, 권출부(10)에서 공급된 구동필름(P)의 불량구간을 판단하는 불량감지부(40)와, 구동필름(P)의 불량구간을 절단하여 제거하고 불량구간이 제거된 양품구간의 구동필름을 상호 접합하는 불량편집부(50)와, 편집된 구동필름(P')의 불량유무를 확인하는 불량확인부(60)와, 확인이 완료된 구동필름(P')을 권취하는 권취부(20)와, 사용자 입력부(32) 및 표시부(34)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불량감지부(40)를 통한 감지결과 구동필름(P)에서 불량구간이 발견된 경우 해당 불량구간이 편집되도록 불량편집부(50)를 제어하고 불량확인부(60)에서 양품으로 판정된 구동필름(P')이 권취부(20)에 권취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한다.
권출부(10)는 구동필름(P)이 적재된 릴과, 릴에서 권출되는 구동필름(P)의 이송을 가이드 하는 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필름(P)은 베이스필름(base film)에 동박 등의 금속물질로 구성된 동일한 회로가 연속적으로 배열된 형태로 구성된다.
권출부(10)에서 권출된 구동필름(P)은 불량감지부(40)로 이송되며, 권출부(10)와 불량감지부(40) 간에는 구동필름(P)을 이송하기 위한 회전유닛을 포함하는 입력 이송부(12)가 개재될 수 있다.
불량감지부(40)는 구동필름(P)에서 불량이 발생한 구간을 판단할 수 있다. 불량감지부(40)는 제1카메라(42)를 포함하여 권출부(10)로부터 입력되는 구동필름(P)을 촬상하고, 촬상된 구동필름(P)의 이미지를 기 저장된 양품에 대한 기준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하여 구동필름(P)의 불량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구동필름(P)의 각 회로에 대한 불량 확인 과정이 미리 수행되어, 불량이 발생한 부분에 이미 불량표시가 되어 있는 경우, 불량감지부(40)는 불량표시를 인식하여 불량구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불량 확인 과정이 수행되지 아니한 상태인 경우, 불량감지부(40)는 촬상된 구동필름(P)의 이미지와 기 저장된 양품에 대한 기준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회로 패턴의 이상, 이물질 부착, 펀칭 홀의 이상 등의 불량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불량편집부(50)는 불량감지부(40)에서 판단된 불량구간의 양단을 절단하여 제거하고 양품구간의 양단을 상호 접합시킴으로써, 양품의 회로만 존재하도록 구동필름(P)을 편집한다. 불량편집부(50)는 불량구간이 제거된 구동필름을 접합 가능한 위치로 정렬시키기 위해 제2카메라(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불량편집부(50)의 기능은 이 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불량확인부(60)는 불량편집부(50)에서 편집된 구동필름(P')의 접합상태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불량확인부(60)는 제3카메라(62)를 포함하여 편집된 구 동필름(P')을 촬상하고, 촬상된 구동필름(P')의 이미지를 기 저장된 양품에 대한 기준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하여 접합상태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권취부(20)는 양품인 것으로 확인된 구동필름(P')이 권취되는 릴과, 권취되는 구동필름(P')의 이송을 가이드 하는 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불량확인부(60)와 권취부(20) 간에는 구동필름(P')을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유닛을 포함하는 출력 이송부(22)가 개재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2)는 사용자로부터 편집 작업의 시작 및 종료, 편집 조건, 등의 설정데이터를 입력받아 제어부(30)에 제공한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32)는 키패드, 다수개의 스위치, 터치패널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34)는 사용자의 설정, 작업 진행 상태, 작업 결과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34)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제1카메라(42), 제2카메라(52), 제3카메라(62)를 통해 촬상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된 이미지에 대해 줌인/줌아웃 등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30)는 사용자 입력부(32) 및 표시부(34)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한편, 사용자 입력부(3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권출부(10)에서 출력된 구동필름(P)이 불량감지부(40), 불량편집부(50), 불량확인부(60)를 통해 자동 편집되어 양품의 구동필름(P')이 권취부(20)에 권취되도록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도 2는 도 1의 불량편집부(50)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량편집부(50)는 편집중인 구동필름을 촬상하는 제2카메라(52)와, 불량감지부(40)에서 판정된 불량구간을 절단하는 필름절단부(54)와, 불량구간이 절단된 양품구간을 정렬하는 필름정렬부(56)와, 양품구간의 구동필름을 상호 접합하는 필름접합부(58)를 포함한다.
필름절단부(54)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구동필름(P)에서 불량구간의 양단을 절단한다. 여기서, 제어부(30)는 불량감지부(40)를 통한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불량구간의 양단이 절단되도록 필름절단부(54)를 제어한다.
필름정렬부(56)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불량구간이 절단된 양품 구동필름의 양단이 상호 접하도록 구동필름을 정렬한다. 여기서, 제어부(30)는 제2카메라(52)를 통해 촬상된 구동필름의 정렬상태 이미지에 기초하여, 구동필름의 절단면이 상호 근접하도록 필름정렬부(56)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필름정렬부(56)는 양 측에 위치한 구동필름을 각기 순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는 이송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필름접합부(58)는 불량구간이 절단된 양품의 구동필름의 양단을 상호 접합한다. 필름접합부(58)는 정렬된 구동필름의 접합면의 상면과 하면에 접착테이프를 부착하여 구동필름을 상호 접합시킬 수 있으며, 여기서, 접착테이프는 구동필름(P)의 베이스필름과 동일한 재질의 PI 접착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갖는 불량편집부(50)를 이용하여 구동필름(P)의 편집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구동필름의 편집상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의 (a)는 권출부(10)에서 출력된 구동필름(P)를 도시한 것이다. (a)에 도시된 편집 전 구동필름(P)에는 3개의 회로가 연이어 불량으로 판별된 불량구 간(E)이 포함되어 있다. 불량구간(E)은 불량감지부(40)에서 인식되어 제어부(30)에 인식결과가 전달되며, 구동필름(P)은 불량편집부(50)로 이송된다.
(b)는 구동필름(P)에서 불량구간(E)이 절단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불량편집부(50)의 필름절단부(54)에 구동필름(P)이 이송되면, 제어부(30)는 필름절단부(54)를 제어하여 불량구간(E)의 양단을 절단한다. 이에, 구동필름(P)은 불량구간(E)이 제거된 양품구간(P-1, P-2)만 남게 된다.
(C)는 편집이 완료된 구동필름(P')를 도시한 것이다. 제어부(30)는 불량구간(E)이 제거된 양품구간(P-1, P-2)이 상호 접합 가능한 위치에 정렬되도록 필름정렬부(56)를 제어하고, 정렬된 양 측 양품구간(P-1, P-2)이 상호 접합되도록 필름접합부(58)를 제어한다. 이후, 편집이 완료된 구동필름(P')은 불량확인부(60) 측으로 이송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권출부(10)의 릴에 적재된 검사대상 구동필름(P)은 입력 이송부(12)를 통해 불량감지부(40) 측으로 이송된다(S100). 제어부(30)는 검사대상 구동필름(P)이 이송되도록 권출부(10) 및 입력 이송부(12)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불량감지부(40)는 검사대상 구동필름(P)의 불량 여부를 판정한다(S110). 불량감지부(40)는 제1카메라(42)를 이용하여 구동필름(P)을 촬상하고, 촬상된 이미지를 기 저장된 양품 이미지와 비교하여 불량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구동필름(P)의 불량구간이 이미 표시되어 있는 경우, 불량감지부(40)는 촬상된 이미지에서 불량구간의 표시를 인식하여 불량이 발생한 구간을 판단할 수 있다.
불량구간이 판정된 검사대상 구동필름(P)는 불량편집부(50)의 필름절단부(54)로 이송되어,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불량구간(E)이 절단 및 제거된다(S120).
불량편집부(50)의 필름정렬부(56)는 불량구간(E)이 절단된 양품필름 구간(P-1, P-2)의 양단을 접합 가능한 위치로 정렬한다(S130). 여기서, 제2카메라(52)는 양품필름 구간(P-1, P-2)의 정렬상태를 촬상하여 제어부(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30)는 촬상된 이미지를 통해 양품필름 구간(P-1, P-2)의 정렬상태를 확인하여 양품필름 구간(P-1, P-2)이 접합 가능한 위치에 정렬되도록 필름정렬부(56)를 제어한다.
불량편집부(50)의 필름접합부(58)는 정렬된 양품필름 구간(P-1, P-2)의 양단을 상호 접합한다(S140). 필름접합부(58)는 양품필름 구간(P-1, P-2)의 양면에 접착테이프를 부착하는 방법으로 양품필름 구간(P-1, P-2)을 접합할 수 있으며,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일면에 접착테이프를 부착하는 등 다양한 접합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편집된 필름(P')는 불량확인부(60)로 이송되어 접합면의 불량 여부가 판정된다(S150). 불량확인부(60)는 제3카메라(62)를 통해 촬상된 편집된 필름(P')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불량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검사가 완료된 편집된 필름(P')은 권취부(20)로 이송되어 권취된다(S160). 이에, 구동필름은 불량구간이 편집되어 제거된 상태로 권취부(20)의 릴에 권취되어 주문자에게 출하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구동필름에서 불량이 발생한 구간을 제거한 후 양품구간을 접합하고 접합결과를 확인하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하고 있다. 이에, 소수의 작업인력으로 신속하고 정확한 편집작업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의 제어블럭도.
도 2는 도 1의 불량 편집부의 제어블럭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구동필름 편집 상태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의 제어흐름도.

Claims (10)

  1. 구동필름의 불량구간을 감지하는 불량감지부;
    상기 불량구간을 절단하여 제거하고, 상기 불량구간이 제거된 양품구간의 구동필름을 상호 접합하는 불량편집부;
    상기 불량편집부에서 편집된 구동필름의 불량유무를 확인하는 불량확인부;
    상기 불량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불량구간이 편집되도록 상기 불량편집부를 제어하고 상기 불량확인부를 통한 확인결과 상기 편집된 구동필름이 양품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구동필름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감지부는,
    상기 구동필름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제1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상기 구동필름의 이미지와 기 저장된 양품 구동필름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불량구간을 판단하는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편집부는,
    상기 구동필름의 상기 불량구간을 절단하는 필름절단부;
    상기 불량구간이 절단된 양품 구간의 구동필름을 상호 접합 가능한 위치로 이송하는 필름정렬부;
    상기 양품 구간의 구동필름을 상호 접합하는 필름접합부를 포함하는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편집부는,
    상기 필름정렬부에 정렬된 상기 구동필름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제2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상기 구동필름의 정렬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구동필름이 상호 접합 가능한 위치에 정렬되도록 상기 필름정렬부를 제어하는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확인부는,
    상기 편집된 구동필름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제3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상기 편집된 구동필름의 이미지를 확인하여 상기 편집된 구동필름의 접합상태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필름을 공급하는 권출부;
    상기 확인이 완료된 구동필름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
  7. 구동필름의 불량구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구동필름의 불량구간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불량구간이 절단된 양품구간의 구동필름을 상호 접합 가능한 위치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불량구간이 제거된 양품구간의 구동필름을 상호 접합하여 편집하는 단계;
    상기 편집된 구동필름이 양품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구동필름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필름의 불량구간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구동필름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단계;
    상기 구동필름의 이미지를 기 저장된 양품 구동필름의 이미지와 비교하여 상기 불량구간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의 제어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구간이 절단된 양품구간의 구동필름의 정렬상태를 촬상하는 단계;
    상기 촬상된 상기 구동필름의 정렬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구동필름의 정렬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의 제어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된 구동필름이 양품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구동필름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된 구동필름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단계;
    상기 촬상된 상기 편집된 구동필름의 이미지를 확인하여 상기 편집된 구동필름의 접합상태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90029128A 2009-04-03 2009-04-03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106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128A KR20100110671A (ko) 2009-04-03 2009-04-03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128A KR20100110671A (ko) 2009-04-03 2009-04-03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671A true KR20100110671A (ko) 2010-10-13

Family

ID=43131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128A KR20100110671A (ko) 2009-04-03 2009-04-03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06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980A1 (ko) * 2020-06-23 2021-12-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금속 호일 피로 시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법
KR102524496B1 (ko) * 2022-10-11 2023-04-21 한밭대학교산학협력단 2차전지 파우치 필름 제조용 지능형 롤투롤 멀티코팅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980A1 (ko) * 2020-06-23 2021-12-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금속 호일 피로 시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법
KR102524496B1 (ko) * 2022-10-11 2023-04-21 한밭대학교산학협력단 2차전지 파우치 필름 제조용 지능형 롤투롤 멀티코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2713B2 (en) Bonding agent sticking inspection apparatus,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al component
JP6261562B2 (ja) 部品実装機
JP2008294033A (ja) 電子部品実装システム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
WO2007060855A1 (ja) 接合シート貼付装置及び方法
KR101209502B1 (ko) 평판 표시 장치 모듈의 조립 장치
KR20070103748A (ko) 전자부품 실장 시스템 및 전자부품 실장 방법
JP2013074064A (ja) 電子部品実装装置及び電子部品実装方法
KR100815437B1 (ko) 인쇄회로기판 가접장치 및 가접방법
JP6694778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KR20100110671A (ko) 구동필름 자동 편집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014476B2 (ja) 部品実装装置及び部品実装方法
JP2012186260A (ja) 部品実装システム及び部品実装方法
JP2008213149A (ja) 感光性積層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04039991A (ja) 電子部品実装用フィルムキャリアテープの検査編集装置および検査編集方法
JP2005353750A (ja) 電子部品搭載装置の保守管理装置
JP2006210592A (ja) テープ貼付方法
JP2003229453A (ja) テープ部材の貼着状態検査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テープ部材貼着装置
JP4950647B2 (ja) プリント配線板の単板接続装置及びその方法
JP7398724B2 (ja) 部品装着装置、および部品装着方法
JP5408183B2 (ja) Acf貼着装置、部品実装システム、acf貼着方法及び部品実装方法
KR100947561B1 (ko)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접착 장치
JP4842793B2 (ja) Tcp試験装置及びtcp試験装置の段取方法
JP2006322724A (ja) 基板検査装置および基板検査方法ならびにテープ貼付け状態検査方法
JP7057174B2 (ja) 位置確認方法、位置調整方法、位置確認装置及び位置調整装置
JP2011039271A (ja) 電子部品実装処理装置及び実装処理方法並びに電子部品実装アライメン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