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8960A -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 - Google Patents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8960A
KR20100108960A KR1020090027301A KR20090027301A KR20100108960A KR 20100108960 A KR20100108960 A KR 20100108960A KR 1020090027301 A KR1020090027301 A KR 1020090027301A KR 20090027301 A KR20090027301 A KR 20090027301A KR 20100108960 A KR20100108960 A KR 20100108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cylindrical drum
recycled aggregate
grinding
cement mor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열
Original Assignee
수성산업(주)
대웅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성산업(주), 대웅산업(주) filed Critical 수성산업(주)
Priority to KR1020090027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8960A/ko
Publication of KR20100108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9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4Mills in which the charge to be ground is turned over by movements of the container other than by rotating, e.g. by swinging, vibrating, ti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02C17/183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02C17/24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16Mills provided with vib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는, 바닥면상에 설치된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전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동력이 모터축 및 커플링(coupling)에 의해 전달되는 동력발생 및 전달부; 상기 동력발생 및 전달부의 커플링과 연결된 회전부재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된 진동 프레임이 진동하는 제 1진동발생부; 상기 제 1진동발생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진동발생부의 원(圓) 진동 발생과 연동하여 탄성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신축(伸縮)을 반복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 2진동발생부; 및 상기 제 1, 제 2진동발생부 사이에 설치된 원통형 드럼에 내장된 다수의 마쇄부재가 진동에 의해 상기 원통형 드럼의 내주면을 타고 회동하면서 재생골재 투입수단에 의해 투입된 재생골재에 부착된 시멘트 모르타르를 마쇄박리하는 재생골재 마쇄박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 폐기물을 파쇄 및 선별하여 재생골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상기 재생골재의 표면에 부착된 시멘트 모르타르를 진동 및 마쇄를 통해 박리시켜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사용할 수 있고, 우수한 품질의 순수 재생골재의 재활용을 통해 생산자 및 소비자의 이익이 창출되고, 귀중한 자원의 절약이 가능하다.
건설 폐기물, 시멘트 모르타르, 쿠션 스프링, 조인트 샤프트, 벨트 콘베이어

Description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Vibration mill for construction waste}
본 발명은 진동(振動) 마쇄기(磨碎幾)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설 폐기물을 파쇄 및 선별하여 재생골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상기 재생골재의 표면에 부착된 시멘트 모르타르를 진동 및 마쇄를 통해 박리시켜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사용하므로써, 우수한 품질의 순수 재생골재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건설분야의 건설 폐기물 처리가 환경보호 및 자원절약 차원에서 새로운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구조적 수명이 다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체시 발생하는 많은 양의 폐콘크리트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처리장 부지 및 처리비용이 소모된다.
상기 폐콘크리트는 모르타르(mortar), 시멘트가 물과 반응하여 굳어지는 수화반응(水和反應)을 이용하여 자갈 등의 원석을 시멘트풀(시멘트를 물로 개어 풀처럼 만든 것)에 첨가하여 양생한 것으로서, 상기 폐콘크리트에서 상기 자갈 등의 원 석을 추출할 경우, 폐콘크리트의 전체 부피를 감소시켜 폐콘크리트의 처분장 부족 및 처분비 증가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출된 자갈 등의 원석을 재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서 폐콘크리트의 생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폐콘크리트등과 같은 건설 폐기물은 쇄석기(crusher)를 통해 파쇄 및 선별하여 재생골재를 생산하는 바, 생산 공정이 압축파쇄로만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재생골재의 표면에 시멘트 모르타르가 부착된 상태로서 생산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멘트 모르타르가 재생골재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재사용될 경우, 상기 시멘트 모르타르에 의해서 수분이 과다 흡수됨에 따라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의 강도가 저하되어 수요처에서 사용을 회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재생골재와 같은 건설 폐기물로부터 시멘트 모르타르를 제거시키기 위한 기기의 개발이 필요한 상태에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설 폐기물을 파쇄 및 선별하여 재생골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상기 재생골재의 표면에 부착된 시멘트 모르타르를 진동 및 마쇄를 통해 박리시켜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사용할 수 있는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수한 품질의 순수 재생골재의 재활용을 통해 생산 자 및 소비자의 이익이 창출되고, 귀중한 자원의 절약이 가능한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면상에 설치된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전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동력이 모터축 및 커플링(coupling)에 의해 전달되는 동력발생 및 전달부; 상기 동력발생 및 전달부의 커플링과 연결된 회전부재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된 진동 프레임이 진동하는 제 1진동발생부; 상기 제 1진동발생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진동발생부의 원(圓) 진동 발생과 연동하여 탄성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신축(伸縮)을 반복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 2진동발생부; 및 상기 제 1, 제 2진동발생부 사이에 설치된 원통형 드럼에 내장된 다수의 마쇄부재가 진동에 의해 상기 원통형 드럼의 내주면을 타고 회동하면서 재생골재 투입수단에 의해 투입된 재생골재에 부착된 시멘트 모르타르를 마쇄박리하는 재생골재 마쇄박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진동발생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수평부재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된 스프링 베이스와; 상기 스프링 베이 스 상부에 연결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 상부에 연결된 스프링 가이드와; 상기 스프링 가이드와 상기 원통형 드럼 사이에 연결된 로드 바(rod ba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재생골재 마쇄박리부는, 원통형 드럼과; 상기 원통형 드럼의 내부에 다수개 내장되는 마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쇄부재는 원형 단면으로서 외주면 길이 방향을 따라 원형 단면의 접촉돌기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마쇄부재의 내부에는 건조된 상태의 석회석이 채워진 상태로서 양단부가 밀봉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원통형 드럼은, 상기 재생골재의 투입 후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해 하향(下向) 경사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원통형 드럼의 일단부 상단에 재생골재 투입구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마쇄부재 차단용 격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차단용 격벽과 상기 원통형 드럼 사이에 상기 재생골재로부터 분리된 일정 크기 이하의 시멘트 모르타르가 낙하되는 여과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시멘트 모르타르가 낙하되는 여과망 하부에 구비되는 불순물 배출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불순물 배출수단은, 상기 여과망 하부에 부착된 배출슈트와; 상기 배출슈트와 상하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어 상기 여과망과, 배출슈트를 통해 낙하한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송하는 벨트 콘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재생골재 마쇄박리부에 의해 분리되는 재생골재를 배출하는 재생골재 배출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재생골재 배출수단은, 상기 원통형 드럼의 타단부 입구 하방에 경사진 형태로서 부착된 배출슈트와; 상기 배출슈트와 상하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어 상기 시멘트 모르타르가 분리된 일정 크기 이상의 재생골재를 이송시키는 벨트 콘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건설 폐기물을 파쇄 및 선별하여 재생골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상기 재생골재의 표면에 부착된 시멘트 모르타르를 진동 및 마쇄를 통해 박리시켜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우수한 품질의 순수 재생골재의 재활용을 통해 생산자 및 소비자의 이익이 창출되고, 귀중한 자원의 절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는 크게, 전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동력이 모터축 및 커플링(coupling)에 의해 전달되는 동력발생 및 전달부와, 상기 동력발생 및 전달부의 커플링과 연결된 회전부재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된 진동 프레임이 진동하는 제 1진동발생부와, 상기 제 1진동발생부의 원(圓) 진동 발생과 연동하여 탄성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신축(伸縮)을 반복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 2진동발생부와, 상기 제 1, 제 2진동발생부 사이에 설치된 원통형 드럼에 내장된 다수의 마쇄부재가 진동에 의해 상기 원통형 드럼의 내주면을 타고 회동하면서 재생골재 투입수단에 의해 투입된 재생골재에 부착된 시멘트 모르타르를 마쇄박리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순수 재생골재를 분리시키는 재생골재 마쇄박리부를 포함하 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틸 재질로서 H형 또는 I형 단면을 갖는 수직부재(12)가 바닥면상에 입설되고,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에 수직부재(12)와 동일한 단면을 갖는 수평부재(14)가 부착되어 있어서, 베이스부(10)의 상단은 사각틀 형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동력발생 및 전달부(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0)의 양측 수평부재(14) 상면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어지되, 수평부재(14)의 일단부에 모터 베이스(22)가 고정 설치되고, 이 모터 베이스의 상면에 전동모터(24)가 부착되며, 전동모터의 모터축(24a)은 다수(본 발명에서는 좌우 각각 3개)의 제 1진동발생부(30)에 커플링(coupling)(24b)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1진동발생부(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원통형 드럼(52)의 외주면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진동 프레임(frame)(32)이 서로 엇갈리는 형태로서 고정 부착되고, 조인트 샤프트(joint shaft)로 구성되는 회전부재(34)가 상기 진동 프레임(32)을 관통하며, 상기 회전부재(34)의 일단부는 상기 커플링(24b)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2진동발생부(4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베이스(42)가 상기 수평부재(14)의 상면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 베이스(42) 상부에 쿠션 스프링(cushion spring)으로 구성되는 탄성부재(44)가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재(44) 상부에 스프링 가이드(46)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가이드(46)는 상기 원통형 드럼(52)의 외주면 양측에 각각 부착된 로드 바(rod bar)(48)의 양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재생골재 마쇄박리(磨碎剝離)부(5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 구조의 원통형 드럼(drum)(52)이 상기 진동 프레임(32)과 로드 바(48)에 의해 외주면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부재(14)와 상하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고, 일단부 상단에 재생골재 투입구(52a)가 구비되며, 타단부에는 후술하는 마쇄부재 차단용 격벽(52b)이 원통형 드럼(52)의 타단부 입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통형 드럼(52)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단용 격벽(52b)과 상기 원통형 드럼(52)의 타단부 입구 사이에는 재생골재(100)로부터 분리된 일정 크기 이하의 시멘트 모르타르(110)가 자연 낙하되는 여과망(52c)이 형성되고, 원통형 드럼(52)의 내주면에는 마모를 방지하고, 재생골재(100)의 마쇄박리를 촉진시키기 위한 하프 라이너(half liner)(52d)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통형 드럼(52)의 내부에 원통형 드럼보다 짧은 길이의 마쇄부재(54)가 다수개 내장되어지되, 상기 마쇄부재(54)는 약 40㎜ 직경의 원형 단면으로서 외주면 길이 방향을 따라 원형 단면의 접촉돌기(54a)가 120°간격으로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고, 마쇄부재(54)의 내부에는 부드럽게 건조된 상태의 석회석(미도시)이 채워진 상태로서 양단부가 밀봉되어 있으며, 상기 마쇄부재(54)는 상기 원통형 드럼(52)의 용적 대비 2/3 정도 채워져 있다.
이때, 상기 원통형 드럼(52)은 재생골재(100)의 투입 후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해 재생골재 투입구(52a)가 구비된 일단부에서 여과망(52c)이 구비된 타단부를 향하여 소정의 하향(下向) 경사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생골재 투입수단(6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골재 투입슈트(62)가 상기 원통형 드럼(52)의 투입구(52a)에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슈트(52a)에 벨트 콘베이어(64)가 연결되어 있어서, 재생골재(100)가 상기 벨트 콘베이어(64)를 통해 이송되어 상기 투입슈트(52a)에 투입된다.
상기 재생골재 배출수단(7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골재 배출슈트(72)가 상기 원통형 드럼(52)의 타단부 입구 하방에 경사진 형태로서 부착되어 있고, 상기 배출슈트(72)와 상하 소정의 간격을 두고 벨트 콘베이어(74)가 이격 설치되어 있어서, 시멘트 모르타르(110)가 분리된 일정 크기 이상의 순수 재생골재(120)가 상기 배출슈트(72)를 통해 낙하한 후, 상기 벨트 콘베이어(74)를 통해 이송된다.
한편, 상기 시멘트 모르타르(110)가 낙하되는 여과망(52c) 하부에 불순물 배출수단(80)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불순물 배출수단(80)은 상기 여과망(52c) 하부에 불순물 배출슈트(82)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배출슈트(82)와 상하 소정의 간격을 두고 벨트 콘베이어(84)가 이격 설치되어 있어서, 시멘트 모르타르(110) 및 기타 불순물이 상기 여과망(52c)과, 배출슈트(82)를 통해 낙하한 후, 상기 벨트 콘베이어(84)를 통해 이송되며, 이때 상기 벨트 콘베이어(84)의 진행 방향은 상기 벨트 콘베이어(74)의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6은 베어링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하는 조인트 샤프 트(34)를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bearing housing), 38은 웨이트(weight), 56은 원통형 드럼(52)의 강도 보강용 철판, 57은 진동 프레임(32)의 강도 보강용 앵글, 58은 원통형 드럼(52)의 커버, 59는 커버핸들, 76, 86은 스커트(skirt)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동모터(24)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은 상기 모터축(24a)과, 커플링(24b), 조인트 샤프트(34)를 통해 상기 제 1진동발생부(30)에 전달되며, 상기 전동모터(24)가 가령 시계 방향으로 구동함에 따라 이와 연결된 조인트 샤프트(3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진동 프레임(32)이 상기 원통형 드럼(52)의 외주면을 통해 원통형 드럼(52)에 둥근 원(圓) 형상의 진동을 부여한다.
상기 원통형 드럼(52)의 진동에 따라 이의 하부에 연결된 쿠션스프링(44)이상하 방향으로 신축(伸縮)을 반복하면서 상기 원통형 드럼(52)에 진동을 부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원통형 드럼(52)에 내장된 다수의 마쇄부재(54)가 원통형 드럼(52)의 내주면으로부터 진동이 전달되면서 진폭에 의하여 원통형 드럼(52)의 내주면을 타고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하로 교차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원통형 드럼(52)의 진동이 정상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벨트 콘베이어(64)를 통해 시멘트 모르타르(110)가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재생골재(100)를 상기 투입슈트(62)와, 재생골재 투입구(52a)를 통해 공급함에 따라 재생골재(100)는 하향 경사진 상기 원통형 드럼(52)의 내부를 통해 상기 재생골 재 배출수단(70)측으로 이동하며, 각각의 마쇄부재(54) 및 접촉돌기(54a)를 통해 재생골재(100)의 표면과 접촉하면서 재생골재(100) 표면에 부착된 시멘트 모르타르(110) 및 기타 불순물을 마쇄박리(磨碎剝離)한다.
상기 마쇄부재(54) 및 접촉돌기(54a)를 통해 재생골재(100)로부터 분리된 일정 크기 이하의 시멘트 모르타르(110)는 상기 여과망(52c)과, 배출슈트(82)를 통해 낙하한 후, 상기 벨트 콘베이어(84)를 통해 이송 처리된다.
또한, 상기 시멘트 모르타르(110)가 분리된 일정 크기 이상의 순수 재생골재(120)는 상기 배출슈트(72)를 통해 낙하한 후, 상기 벨트 콘베이어(74)를 통해 이송되어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재활용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폐기물의 진동 마쇄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부 12 : 수직부재
14 : 수평부재 20 : 동력발생 및 전달부
24 : 전동모터 30 : 제 1진동발생부
34 : 회전부재 40 : 제 2진동발생부
44 : 탄성부재 48 : 로드 바
50 : 재생골재 마쇄박리부 52 : 원통형 드럼
54 : 마쇄부재 54a : 접촉돌기
60 : 재생골재 투입수단 64,74,84 : 벨트 콘베이어
70 : 재생골재 배출수단 80 : 불순물 배출수단
100 : 재생골재 110 : 시멘트 모르타르

Claims (8)

  1. 바닥면상에 설치된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전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동력이 모터축 및 커플링(coupling)에 의해 전달되는 동력발생 및 전달부;
    상기 동력발생 및 전달부의 커플링과 연결된 회전부재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된 진동 프레임이 진동하는 제 1진동발생부;
    상기 제 1진동발생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진동발생부의 원(圓) 진동 발생과 연동하여 탄성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신축(伸縮)을 반복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 2진동발생부; 및
    상기 제 1, 제 2진동발생부 사이에 설치된 원통형 드럼에 내장된 다수의 마쇄부재가 진동에 의해 상기 원통형 드럼의 내주면을 타고 회동하면서 재생골재 투입수단에 의해 투입된 재생골재에 부착된 시멘트 모르타르를 마쇄박리하는 재생골재 마쇄박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진동발생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수평부재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된 스프링 베이스와;
    상기 스프링 베이스 상부에 연결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 상부에 연결된 스프링 가이드와;
    상기 스프링 가이드와 상기 원통형 드럼 사이에 연결된 로드 바(rod ba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골재 마쇄박리부는,
    원통형 드럼과;
    상기 원통형 드럼의 내부에 다수개 내장되는 마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쇄부재는 원형 단면으로서 외주면 길이 방향을 따라 원형 단면의 접촉돌기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마쇄부재의 내부에는 건조된 상태의 석회석이 채워진 상태로서 양단부가 밀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드럼은,
    상기 재생골재의 투입 후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해 하향(下向) 경사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드럼의 일단부 상단에 재생골재 투입구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마쇄부재 차단용 격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용 격벽과 상기 원통형 드럼 사이에 상기 재생골재로부터 분리된 일정 크기 이하의 시멘트 모르타르가 낙하되는 여과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모르타르가 낙하되는 여과망 하부에 구비되는 불순물 배출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불순물 배출수단은,
    상기 여과망 하부에 부착된 배출슈트와;
    상기 배출슈트와 상하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어 상기 여과망과, 배출슈트를 통해 낙하한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송하는 벨트 콘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폐기물 마쇄박리부에 의해 분리되는 재생골재를 배출하는 재생골재 배출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재생골재 배출수단은,
    상기 원통형 드럼의 타단부 입구 하방에 경사진 형태로서 부착된 배출슈트와;
    상기 배출슈트와 상하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어 상기 시멘트 모르타르가 분리된 일정 크기 이상의 재생골재를 이송시키는 벨트 콘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
KR1020090027301A 2009-03-31 2009-03-31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 KR201001089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301A KR20100108960A (ko) 2009-03-31 2009-03-31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301A KR20100108960A (ko) 2009-03-31 2009-03-31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960A true KR20100108960A (ko) 2010-10-08

Family

ID=43130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7301A KR20100108960A (ko) 2009-03-31 2009-03-31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896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84805A (zh) * 2015-08-05 2015-10-21 南京工程学院 双频激励双质体振动磨
WO2015169267A1 (zh) * 2014-05-05 2015-11-12 陈德兴 一种振动破碎机
CN109201330A (zh) * 2018-08-14 2019-01-15 黑龙江兰德超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处理用除铁输送装置
KR102197370B1 (ko) * 2020-04-29 2020-12-31 새마을환경개발주식회사 파쇄기능이 포함된 로더밀 동시 회전형 선별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9267A1 (zh) * 2014-05-05 2015-11-12 陈德兴 一种振动破碎机
CN104984805A (zh) * 2015-08-05 2015-10-21 南京工程学院 双频激励双质体振动磨
CN109201330A (zh) * 2018-08-14 2019-01-15 黑龙江兰德超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处理用除铁输送装置
KR102197370B1 (ko) * 2020-04-29 2020-12-31 새마을환경개발주식회사 파쇄기능이 포함된 로더밀 동시 회전형 선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6079A (ko) 재생골재의 제조장치
KR102196593B1 (ko) 건설폐기물로부터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시스템
KR20100108960A (ko) 건설 폐기물 진동 마쇄기
CN110248742B (zh) 循环骨料的生产装置及生产方法
CN101927258A (zh) 移动式建筑垃圾处理装置
CN201423382Y (zh) 移动式建筑垃圾处理装置
CN207103398U (zh) 移动式建筑垃圾处理设备
CN112756047A (zh) 一种利用建筑垃圾颗粒物制取再生砂石料的机械设备
KR20140011871A (ko)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장치와 그 생산방법
JPH0421550A (ja) コンクリート屑の再生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358899B1 (ko) 폐콘크리트 골재화장치
KR101194661B1 (ko) 골재 마쇄장치
KR101101878B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 겸 마쇄장치
KR100810161B1 (ko)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물로부터 몰타르 및 페이스트를제거하기 위한 분리방법 및 그 장치
CN110434147B (zh) 一种建筑废弃物的资源化处理方法
JP5661700B2 (ja) 原料の破砕装置および原料の破砕システム
KR200407908Y1 (ko) 재활용 골재용 표면박리 장치
CN116889914A (zh) 基于固粉分离的建筑施工用垃圾回收设备
KR102089849B1 (ko) 폐숏크리트 재생장치
KR20140103209A (ko) 산업 폐기물 및 지금고철 순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파쇄 및 선별 시스템
CN212975336U (zh) 一种建筑工地用建筑垃圾处理回收再利用装置
CN209393261U (zh) 一种土木工程用建筑废料回收装置
KR200418149Y1 (ko)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CN110813510B (zh) 一种建筑垃圾分层破碎装置
JP2001239250A (ja) 再生骨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