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8408A -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구성 - Google Patents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구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8408A
KR20100108408A KR1020107016821A KR20107016821A KR20100108408A KR 20100108408 A KR20100108408 A KR 20100108408A KR 1020107016821 A KR1020107016821 A KR 1020107016821A KR 20107016821 A KR20107016821 A KR 20107016821A KR 20100108408 A KR20100108408 A KR 20100108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arrangement
emc interference
controller
current
elim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6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티안 오퍼만
베른하르트 스트레이흐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00108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4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9/00Networks using time-varying elements, e.g. N-path filters
    • H03H19/008Networks using time-varying elements, e.g. N-path filters with variable switch closing tim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2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suppression of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구조, 및 상기 회로 구조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댐핑 부재는 컨슈머(consumer) 또는 컨슈머들로 인도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라인에 접속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컨슈머 또는 컨슈머들의 EMC 간섭의 최적 제거를 보장하고, 전원 그리드를 과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댐핑 부재는 전류-제한 엘리먼트와 직렬로 접속되고 컨슈머에 병렬로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전류-제한 엘리먼트의 효과를 보상하고 스위치에 의한 동작 상태 동안 상기 엘리먼트를 단락시키는 것은 가능하여, 상기 엘리먼트는 전력 회로들 이외의 임의의 전력 손실을 유발하지 않고 전류-제한, 즉 작동(power-up) 및 충전 프로세스 동안 그리드-친화적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구성{CIRCUIT CONFIGURATION FOR ELIMINATING EMC INTERFERENCE}
본 발명은 전기 컨슈머(consumer)의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댐핑(damp) 부재는 전기 컨슈머의 적어도 하나의 공급 라인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이런 타입의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가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타입의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간섭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는 클록킹되는(clocked) 전자 시스템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어 코일 제어부 또는 스위칭 전원과 같은 전기 컨슈머들에 사용된다. 전자적 적합성(electromagnetic compatibility)(EMC)을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들은 특히 전력 네트워크들, 및 다른 애플리케이션 영역들에서 이런 타입의 간섭 신호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상기 회로 어레인지먼트들은 일반적으로 큰 용량을 가진 캐패시터를 기초로 하고, 상기 캐패시터는 공급 라인들 상에, 특히 각각의 예에서 특히 보호될 회로의 입력부에 제공된다. 캐패시터는 여기서 클록킹되는(clocked) 전자 시스템으로부터 발생하는 가능한 전류 피크(current peak)들에 대한 버퍼(buffer) 또는 댐퍼(damper)로서 사용된다. EMC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모듈로 별개로 또는 장치에 통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댐핑 부재로서 사용되는 캐패시터의 큰 용량은 만약 사용된 메인즈(mains) 전원이 제한된 전류 소비만을 허용하면 항상 문제가 된다. 캐패시터가 공급 라인에 접속되기 때문에, 장치 및/또는 컨슈머가 스위칭 온될 때 ― 회로 어레인지먼트가 상기 장치 및/또는 컨슈머 내에 통합되거나 상기 장치 및/또는 컨슈머의 업스트림에 배열됨 ―, 캐패시터를 충전하기 위하여 스위칭-온 된 직후 높은 충전 전류가 전개된다. 결과적으로 큰 용량을 가진 캐패시터가 EMC의 결과로서 사용될 것인지, 전류 측면에서 그리드의 로딩 용량이 캐패시터의 용량을 제한할 것인지를 고려하는 것이 항상 필요하다.
인덕터들 또는 전류 제한기들은 이런 맥락에서 이전에 사용되었고, 상기 인덕터들 또는 전류 제한기들은 공급 라인의 충전 전류가 허용 가능한 최대값으로 제한되도록 제공된다. 이런 해결책의 단점은 제한 엘리먼트가 에너지 회로 내에 배치되고 그러므로 영구적인 손실들이 컨슈머의 동작 동안 생성된다는 것이다.
WO 2005/006519 A1은 직류 전류 모터의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개시한다. DC 모터의 라인들 내 DC 모터의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댐핑 부재를 제공하는 회로 어레인지먼트가 제시된다.
본 발명의 근간이 되는 목적은 최소 전력로 높은 전자적 적합성을 가능하게 하는 회로 어레인지먼트 및/또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댐핑 부재가 전류-제한 엘리먼트와 함께 직렬로 접속되고 컨슈머에는 병렬로 접속되도록 하는 도입부에 인용된 타입의 회로 어레인지먼트로 달성된다.
전기 컨슈머의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이미 공지된 댐핑 부재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하는 댐핑 부재를 가진다. 본 발명의 청구 대상은 댐핑 부재와 직렬로 접속되는 전류-제한 엘리먼트를 특징으로 한다. 댐핑 부재 및 전류-제한 엘리먼트는 컨슈머 또는 상기 컨슈머의 다운스트림에 배열된 몇몇 컨슈머들에 병렬로 접속된다. 댐핑 엘리먼트, 및/또는 상기 댐핑 엘리먼트 내부에 포함된 캐패시터/들의 충전 프로세스 동안, 충전 전류는 전류-제한 엘리먼트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중요하다. 충전 프로세스 후, 특히 컨슈머 또는 컨슈머들의 동작 동안, 전류-제한 엘리먼트 상에서의 전력 손실은 방지되어야 한다. 컨슈머들에 대한 병렬 어레인지먼트의 결과로서, 전류 제한 엘리먼트는 에너지 회로 내에 존재하지 않고 또한 임의의 전력 손실을 생성하지 않는다. 동작 동안 EMC 간섭을 제거하는 최적 기능을 위하여, 전류-제한 엘리먼트가 스위치, 특히 트랜지스터에 의해 브리지(bridgeable)될 수 있게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두 개의 상태들은 구별될 수 있다. 한편, 댐핑 부재가 목표된 충전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되는 충전 상태, 및 다른 한편 전류-제한 엘리먼트가 스위치에 의해 브리지되는 동작 상태가 있고, 그 결과 전류-제한 엘리먼트는 컨슈머 또는 컨슈머들의 동작 동안 전력 손실을 유발하지 않는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스위치는 제 1 제어기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제 1 제어기는 충전 프로세스의 종료시에 동작 상태로 스위칭 오버하도록 제공되고, 그 결과 EMC 간섭의 제거는 활성화된다. 충전 프로세스 동안, EMC 간섭의 제거가 전류-제한 엘리먼트의 결과로서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데, 이것은 또한 충전 프로세스 동안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 1 제어기는 댐핑 부재의 충전 프로세스 후 전류-제한 엘리먼트를 브리지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스를 기초로 기능하는 제 1 제어기는 충전 상태로부터 동작 상태로 진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런 목적을 위해, 트리거 신호는 전류-제한 엘리먼트를 브리지 하기 위해 출력된다.
제 1 제어기는 유리하게 시간 측정을 위한 수단, 특히 카운터를 가진다. 충전 프로세스 및/또는 상기 충전 프로세스의 지속 기간은 미리 결정될 수 있고, 따라서 제 1 제어기는 단지 시간 간격을 기초로 전류-제한 엘리먼트의 브리징(bridging)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제 1 제어기는 고정된 시간 간격으로 미리 프로그램될 수 있거나, 이 간격의 추후 전자 프로그래밍 또는 조절의 옵션이 있다. 수동 조절은 예를 들어 전위차계 회로에 의해 발생하고, 상기 전위차계는 핸들(handle)에 의한 수동 제어를 위해 제 1 제어기에 통합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 1 제어기는 댐핑 부재의 충전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제어기는 만약 필요하면 조절될 수 있는 목표된 충전 상태에 도달되었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댐핑 부재의 충전 상태를 검출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댐핑 부재 상의 또는 상기 댐핑 부재 내부의 전압 측정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측정된 전압 값은 충전 상태를 식별하기 위하여 제 1 제어기로 포워딩된다. 결과적으로, 상이한 충전 시간들이 회로 어레인지먼트에 대한 조절을 수행하지 않고 쉽게 고려될 수 있도록, 전력 네트워크로부터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독립성이 존재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댐핑 엘리먼트 및/또는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댐핑 부재를 교체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EMC 간섭의 제거가 이루어질지 및/또는 EMC 레벨에 도달될지에 따라, 예를 들어 조절되는 용량을 가진 대응하는 댐핑 부재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로 어레인지먼트에 삽입될 수 있다. 댐핑 부재의 교체 가능성은 회로 어레인지먼트가 상이한 EMC 간섭 제거 레벨들에 대해 융통성 있게 사용되게 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댐핑 부재는 댐핑 조절을 위해 제공된다. 댐핑-관련 변수들, 특히 용량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거나 제 2 제어기가 대신 제공될 수 있다. 제 2 제어기는 회로 어레인지먼트 및/또는 장치의 외부에서 댐핑 조절된다. 상기 댐핑 조절은 회로 어레인지먼트 내부에 배치된 제 2 제어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매우 높은 융통성이 달성되고, 전원 네트워크의 조건들에 최적의 중요성이 부여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완전히 결정된 충전 상태가 정상 동작을 위해 제공되는 것은 가능하고, 이는 각각의 네트워크에 대한 EMC 간섭을 제거하기에 최적인 것이 증명되었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전류-제한 엘리먼트는 전체 전류-제한 저항을 조절하기 위해 제공된다. 만약 전류-제한 엘리먼트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옴 저항기들로 형성되면 이것은 특히 의미가 있다. 전체 전류-제한 저항의 조절은 다시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제 1 또는 제 2 제어기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충전 프로세스의 길이는 조절되고, 또한 이를 그리드의 성능에 적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제 2 제어기는 유리하게 전류-제한 엘리먼트의 전체 전류-제한 저항을 제어하거나/제어하고 댐핑 부재의 댐핑 조절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제 2 제어기는 수동 제어기, 자동 제어기일 수 있거나 그리고/또는 제 1 제어기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유리한 실시예들 및 바람직한 개선들은 도면들 및/또는 종속항들의 서술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하기에 보다 상세히 기술 및 설명된다.
도 1은 정류기(1)를 가진 전기 컨슈머(6)의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도시한다.
정류기(1)는 ac 네트워크(1)에 접속되고,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공급 라인들(V1 및 V2)에 의해 상기 정류기(1)에 접속된다. 컨슈머(6)는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에 병렬로 접속된다.
정류기(1)는 ac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고 공급 라인들(V1 및 V2)에 의해 컨슈머(6)에 직류 전류를 공급한다. 이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캐패시터(3)로서 구현된 댐핑 부재(3), 전류-제한 엘리먼트(2), 스위치(4) 및 제어기(7)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두 개의 공급 라인들(V1 및 V2) 사이에 그리고/또는 예를 들어 dc 모터, 코일 제어부 또는 스위칭 전원이거나 이들을 포함하는 컨슈머(6)와 병렬로 접속된다.
이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단지 두 개의 공급 라인들(V1 및 V2)만이 도시되지만,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또한 기본적으로 다중-위상 그리드들에 사용될 수 있고,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제거 및/또는 접속은 EMC 간섭의 동기 또는 비동기 제거를 돕는다.
캐패시터(3)는 공급 라인들(V1, V2)에 접속된 그리드 또는 상이한 컨슈머로부터 클록킹된 전자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전류 피크들을 댐핑 및/또는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EMC 간섭의 제거는 만약 옴 저항기로서 구현된 전류-제한 엘리먼트(2)가 스위치(4)에 의해 저-저항 방식으로 브리지 되었다면 활성화된다. 이것은 EMC 간섭의 제거가 최적으로 기능하는 동작 상태에 대응한다.
충전 상태에서, 캐패시터(3)의 충전은 정류기(1)를 통하여 전원 그리드에 의해 발생한다. 전류-제한 엘리먼트(2)는 그리드와 호환할 수 있는 캐패시터(3)로 전류 흐름을 제공한다. 일단 캐패시터(3)의 목표된 충전 상태에 도달되었다면, 전류-제한 엘리먼트(3)의 브리징은 스위치(4)에 의해 발생한다.
충전 프로세스 동안, 특히 EMC 효율성이 아직 필요하지 않은 동안 전류-제한 방식으로 캐패시터(3)를 충전하는 것은 유리하다. 게다가, 전력의 계속적인 손실들은 전류-제한 엘리먼트로 인해 발생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상기 전류-제한 엘리먼트(2)가 에너지 회로에서, 즉 공급 라인들(V1,V2) 중 하나에서 접속되지 않기 때문이다. 다른 말로, 최적 그리드 조절 및 EMC 간섭의 최적 제거는 다른 시간들에서 별개로 구현되고, 하나의 기능은 요구 조건들의 함수로써 다른 기능에 이득이 되도록 조절된다.
이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어기(7)는 전류-제한 엘리먼트(2)의 브리징을 형성하는 스위치(4)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제 1 제어기(7)를 나타낸다. 가장 간단한 경우, 제어기(7)는 내부 카운터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내부 카운터는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 이후 사용자에 의해 미리 결정될 수 있고 스위치(4)의 활성화를 유발한다. 카운터는 만약 회로 어레인지먼트가 그리드 및/또는 정류기(1)에 접속되고 따라서 캐패시터(3)의 충전 프로세스가 시작되었다면 작동하기 시작한다.
제 2 제어기(도시되지 않음)는 또한 캐패시터 회로가 캐패시터(3) 대신 배열되도록 댐핑 조절을 구현할 수 있고, 상기 캐패시터 회로는 예를 들어 용량의 조절에 의해 댐핑을 조절한다. 제 2 제어기는 유리하게 제 1 제어기에 통합되고, 그 결과 제어기(7)는 양쪽 기능들을 취할 수 있다.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유리하게 개별 컨슈머들을 보호하는 모듈 형태로 그리고 또한 이에 따라 단지 그리드 내에서 공급 라인들로의 접속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유사하게, 개별 컨슈머들, 다른 말로 전원들과 같은 장치들, 스위칭 전원들, 코일 제어부들 또는 그 내부에 집적된 이런 타입의 회로 어레인지먼트들을 가진 유사한 장치들을 장비하는 것은 유리하다. 따라서 상기 보호는 각각의 장치에 맞추어 이루어진다.
요약하여, 본 발명은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및/또는 상기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고, 댐핑 부재는 컨슈머 또는 컨슈머들로 인도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라인에 접속된다. 상기 목적은 전기 컨슈머 또는 컨슈머들의 EMC 간섭의 최적 제거를 보장하고 마찬가지로 전원 그리드를 과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런 목적을 위해 댐핑 엘리먼트는 전류-제한 엘리먼트와 직렬로 접속될 것이고 컨슈머에 병렬로 접속될 수 있다. 그러므로 스위치에 의한 동작 상태 동안 전류-제한 엘리먼트 및 단락-회로의 효과에 대해 상기 엘리먼트를 보상하는 것은 가능하고, 이에 따라 상기 엘리먼트는 전력 회로 외에 어떠한 전력 손실도 유발하지 않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동(power-up) 및 충전 프로세스 동안 전류-제한, 즉 그리드-친화적이다.

Claims (29)

  1. 전기 컨슈머(6)의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로서,
    상기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댐핑 부재(3)를 상기 전기 컨슈머(6)의 적어도 하나의 공급 라인(V1, V2)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댐핑 부재(3)는 상기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전류-제한 엘리먼트(2)와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컨슈머(6)에 병렬로 접속될 수 있는,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제한 엘리먼트(2)는 스위치(4)에 의해 브리지(bridgeable) 될 수 있는,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4)는 제 1 제어기(7)에 의해 트리거 가능한,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제한 엘리먼트(2)를 브리징하기 위한 상기 제 1 제어기(7)는 상기 댐핑 부재(3)의 충전 프로세스 후 제공되는,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기(7)는 시간 측정을 위한 수단을 가지는,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기(7)는 상기 댐핑 부재(3)의 충전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부재(3)는 캐패시터 또는 캐패시터 회로를 가지는,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부재(3)는 교체할 수 있거나/있고 댐핑 조절을 위해 제공되는,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제한 엘리먼트(2)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옴 저항기들을 가지는,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제한 엘리먼트(2)는 전체 전류-제한 저항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11.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제한 엘리먼트(2)의 저항을 제어하기 위한 그리고/또는 상기 댐핑 부재(3)의 댐핑 조절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제어기가 제공되는,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기는 수동 제어기 또는 자동 제어기인,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13.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가진 전기 장치로서,
    상기 전기 장치의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상기 회로 어레인지먼트가 제공되고 상기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댐핑 부재(3)는 상기 전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공급 라인에 접속되고,
    상기 댐핑 엘리먼트(3)는 상기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전류-제한 엘리먼트(2)와 직렬로 접속되고 장치-내부 컨슈머와 병렬로 접속되는,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가진 전기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제한 엘리먼트(2)는 스위치(4)에 의해 브리징 될 수 있는,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가진 전기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4)는 제 1 제어기(7)에 의해 트리거할 수 있는,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가진 전기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기(7)는 상기 댐핑 부재(3)의 충전 프로세스 후 상기 전류-제한 엘리먼트(2)를 브리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가진 전기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기(7)는 시간 측정을 위한 수단을 가지는,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가진 전기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기(7)는 상기 댐핑 엘리먼트(3)의 충전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가진 전기 장치.
  19. 제 13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엘리먼트(3)는 캐패시터 또는 캐패시터 회로를 가지는,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가진 전기 장치.
  20. 제 13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엘리먼트(3)는 교체할 수 있거나/있고 댐핑 조절을 위해 제공되는,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가진 전기 장치.
  21. 제 13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제한 엘리먼트(2)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옴 저항기들을 가지는,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가진 전기 장치.
  22. 제 13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제한 엘리먼트(2)는 전체 전류-제한 저항을 조절하기 위해 제공되는,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가진 전기 장치.
  23. 제 13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제한 엘리먼트(2)의 저항기를 제어하기 위한 그리고/또는 상기 댐핑 엘리먼트(3)의 댐핑 조절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제어기가 제공되는,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가진 전기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기는 수동 제어기 또는 자동 제어기인,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가진 전기 장치.
  25. 제 13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장치는 전력 공급 유니트, 스위칭 전원, 코일 제어부 또는 EMC 모듈로서 구현되는,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가진 전기 장치.
  2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측정을 위한 수단은 카운터인,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2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기는 상기 제 1 제어기(7)인,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2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은 카운터인,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가진 전기 장치.
  29.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기는 상기 제 1 제어기(7)인,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가진 전기 장치.
KR1020107016821A 2007-12-28 2007-12-28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구성 KR201001084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07/011466 WO2009083021A1 (de) 2007-12-28 2007-12-28 Schaltungsanordnung zur emv-entstör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408A true KR20100108408A (ko) 2010-10-06

Family

ID=39689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6821A KR20100108408A (ko) 2007-12-28 2007-12-28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구성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83315B2 (ko)
EP (1) EP2223415B1 (ko)
KR (1) KR20100108408A (ko)
CN (1) CN101874336B (ko)
AT (1) ATE528841T1 (ko)
BR (1) BRPI0722325B1 (ko)
WO (1) WO20090830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1758B1 (en) 2014-10-10 2016-03-08 Dell Products L.P. Constant inrush current circuit for AC input power supply unit
CN107959189A (zh) * 2017-12-19 2018-04-24 李苇 一种新型安全转换插座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3153C (ko) 1958-06-17 1900-01-01
DE2421959A1 (de) 1974-05-07 1975-11-27 Diehl Fa Anlauf- und auslaufsteuerung fuer einen schrittmotor
JPH02250410A (ja) 1989-03-24 1990-10-08 Tamagawa Seiki Co Ltd フィルタ回路
DE69322415T2 (de) * 1992-12-02 1999-05-20 Emc Corp Einschaltstromspitzen- begrenzer
US5973419A (en) * 1997-09-23 1999-10-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ircuit and method of operation to control in-rush current and maintain power supply voltage to peripheral devices in an information system
US5930130A (en) * 1997-09-29 1999-07-27 Jrs Technology, Inc. Inrush protection circuit
EP1071212B1 (en) 1998-02-12 2010-01-06 Omron Corporation Solid-state relay
US6674272B2 (en) * 2001-06-21 2004-01-06 Champion Microelectronic Corp. Current limiting technique for a switching power converter
TW539934B (en) * 2001-12-06 2003-07-01 Delta Electronics Inc Inrush current suppression circuit
JP2004040995A (ja) * 2002-06-28 2004-02-05 Oce Technol Bv 負荷に供給される電力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US6831447B1 (en) * 2003-05-20 2004-12-14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Surge limiting circuit with optional short circuit detection
ITMI20031315A1 (it) * 2003-06-27 2004-12-28 St Microelectronics Srl Dispositivo per la correzione del fattore di potenza in alimentatori a commutazione forzata.
DE502004008097D1 (de) 2003-07-08 2008-10-3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chaltungsanordnung zur emv-entstörtung eines gleichstrommotors sowie schaltmodul
US20050078024A1 (en) * 2003-10-09 2005-04-1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igital current limiter
CN2824520Y (zh) * 2005-09-21 2006-10-04 东南大学 电磁干扰抑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83315B2 (en) 2015-07-14
EP2223415B1 (de) 2011-10-12
US20100283554A1 (en) 2010-11-11
CN101874336B (zh) 2012-11-21
BRPI0722325B1 (pt) 2018-07-10
ATE528841T1 (de) 2011-10-15
CN101874336A (zh) 2010-10-27
WO2009083021A1 (de) 2009-07-09
EP2223415A1 (de) 2010-09-01
BRPI0722325A2 (pt) 201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96362C (en) Active current surge limiters
US8488285B2 (en) Active current surge limiters with watchdog circuit
US20120063048A1 (en) Active Current Surge Limiters
JP4066036B2 (ja) 電気スイッチング装置用の制御回路
EP2293402A1 (en) Protective system for voltage transformers
CA2692122C (en) Microcontroller operated current limited switching power supply for circuit protective devices
US10425005B2 (en) Power supply unit
EP2128950B1 (en) Protection system for voltage transformers
KR20070064447A (ko) 직류 변환기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KR20100108408A (ko) Emc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구성
RU2586240C2 (ru) Хирургический прибор с улучшенным сетевым модулем
JP5259941B2 (ja) インバータ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2019503157A (ja) ブラシレス直流モータの保護回路と制御装置
KR20060012293A (ko) 2 와이어 터치 센서 인터페이스
KR102001449B1 (ko) 히컵 동작을 하는 소프트 스타트 회로 및 이를 구비한 전력변환 장치
JPS59143476A (ja) スタンバイ作動機器用の電源回路装置
EP1646134A2 (en) Circuit for an electric power supply line
CN110460031B (zh) 一种直流供电接口的交流电接入防护电路
KR101233746B1 (ko) 장펄스 전압 생성용 스위치 및 장펄스 전류 생성 장치
EP1966553B1 (en) A household appliance
DK200000750A (da) Kredsløb til forsyning og beskyttelse af forbrugende kredsløb
KR20120057396A (ko) 돌입전류 제한블록을 구비하는 역률 개선 회로 및 상기 회로를 포함하는 전력수신 시스템
GEU1999521Y (en) Device for Protection of Consumer from Inadmissible Volt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