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7839A - 고소 작업대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고소 작업대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7839A
KR20100107839A KR1020090026134A KR20090026134A KR20100107839A KR 20100107839 A KR20100107839 A KR 20100107839A KR 1020090026134 A KR1020090026134 A KR 1020090026134A KR 20090026134 A KR20090026134 A KR 20090026134A KR 20100107839 A KR20100107839 A KR 20100107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boom
control unit
hard hat
aerial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8904B1 (ko
Inventor
최희성
김기욱
이권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스렌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스렌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스렌탈
Priority to KR1020090026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904B1/ko
Publication of KR20100107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Means for detecting hazards or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압펌프(10)로 부터의 공급측 유로(11)에 제공된 전자제어 유압밸브(12)를 통해 붐실린더(13)로 압유가 공급되고 붐실린더로부터 압유 탱크에 연결된 귀환 유로(14)에 제공된 전자제어밸브(15)를 통해 압유가 배출되어 붐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되고, 상기 유압펌프(10)와 전자제어밸브(12,1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0)와, 작업대에 제공되어 작업자가 작업대의 상승 및 하강등의 조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어부(20)와 연결된 상부 제어부(30)를 구비하는 고소작업대에서, 안전모(50)와 작업복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안전센서(40)가 제공되고, 그 안전센서(40)로 부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공급측 유로의 전자제어밸브(12)가 닫히고, 귀환측 유로의 전자제어밸브(15)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개방되어 붐이 적어도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하강하여 작업자가 위치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고소작업대용 안전센서를 작업자가 개별적으로 착용하는 안전모와 작업복등에 적용하여 작업자를 붐상승중 구조물과의 충돌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거나 그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기존의 고소작업대에도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안전모, 안전센서, 고소작업대

Description

고소 작업대용 안전장치{SAFETY DEVICES FOR WORKERS INS ELEVATED WORK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소작업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작업대의 상향 이동시 구조물과의 충돌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구조물과의 접촉시 이에 대한 신호에 응답하여 고소작업대의 작동이 정지하도록 된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구조물의 보수 유지등의 작업을 위하여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고소작업대(1)를 사용하여 그 작업대(2)에 작업자가 탑승하고 자재를 적재하여 높은 곳의 구조물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며, 상기 작업대(2)는 고소작업대(1)에 설치된 유압실린더가 내장된 붐구조물(3) 또는 절첩구조의 상단에 설치되어 붐구조물의 유압에 의한 신장에 따라 상향 이동되며, 상기 작업대에는 작업대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이스틱이 설치된 제어부(5)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고소작업대의 작업대에는 여러 사람이 탑승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직접 조이스틱을 조작하여 상향 및 하향 이동을 제어하게 되는데, 다른 작업자가 위치한 곳의 구조물 높이가 조이스틱 조작 작업자가 보고 있는 구조물 높이보다 낮 고 그 다른 작업자가 상측의 구조물을 미처 확인하지 못한 경우에,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상향 이동되는 작업대와 구조물 사이에 다른 작업자의 머리나 허리와 같은 신체부분이 끼인 상태에도 계속적으로 작업대가 상향 이동하여 작업자가 큰 부상을 당하게 되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같은 고소작업대의 작업대는 유압에 의해 붐이 신장되므로 작업대는 상향의 큰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상측의 구조물과 상향 이동되는 작업대 사이에 작업자의 머리가 끼이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안전모를 착용하더라도 치명적인 부상을 입게 되고, 이와같은 산재발생은 당사자의 가정에 치명적인 경제적인 어려움을 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사회적 비용이 크므로 이에 대한 안전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고소작업대 자체에 안전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고소작업대 제조 비용상승이 큰 부담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와 구조물 사이의 충돌에 신속히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고소작업대에서의 작업자를 안전사고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는 작업자가 개별적으로 착용하여 안전모나 작업복과 구조물 사이에 충격이 가해지는 순간에 안전모나 작업복에 장착된 안전장치로부터의 신호에 연동하여 고소작업대의 상향 이동이 즉각적으로 정지되고 이어서 하향 이동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고소작업대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의 안전모나 작업복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발생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전자제어밸브의 작동으로 붐의 상승이 정지되고 하강하여 작업자를 보호하도록 된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는 유압펌프로 부터의 공급측 유로에 제공된 전자제어 유압밸브를 통해 붐실린더로 압유가 공급되고 붐실린더로부터 압유 탱크에 연결된 귀환 유로에 제공된 전자제어밸브를 통해 압유가 배출되어 붐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되고, 상기 유압펌프와 전자제어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작업대에 제공되어 작업자가 작업대의 상승 및 하강등의 조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상부 제어부를 구비하는 고소작업대에서, 작업자가 개별적으로 착용하는 안전모와 작업복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안전센서가 제공되고, 그 안전센서로 부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공급측 유로의 전자제어밸브가 닫히고, 귀환측 유로의 전자제어밸브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개방되어 붐이 적어도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하강하여 작업자가 위치 이동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
상기 안전모는 내측 안전모와 외측 안전모가 스프링에 의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내측 안전모의 외표면과 외측 안전모의 내표면에는 서로 대향된 위치에 근접센서소자들이 복수개소에 제공되어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한 상태에서 구조물과 부딪힘에 따른 외부의 충격으로 외측 안전모가 내측으로 눌려져서 근접센서소자들이 접촉될 때 전기적 신호가 상부 제어판을 통해 제어부로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센서는 무선송신기에 의해 제어부로 출력신호가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대용 안전센서는 작업자가 개별적으로 착용하는 안전모와 작업복등에 적용하여 작업자를 붐상승중 구조물과의 충돌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거나 그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기존의 고소작업대에도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럭도로서, 유압펌프(10)로 부터 공급되는 압유는 공급측 유로(11)에 제공된 전자제어 유압밸브(12)를 통해 붐실린더(13)로 압유가 공급되어 붐이 상승하게 되며, 이때 붐실린더에 연결되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압유 탱크에 연결된 귀환 유로(14)에 제공된 전자제어밸브(15)는 닫힌 상태로 유지되며, 붐의 하강 시에는 귀환측 전자제어밸브(15)가 개방되어 붐 자체의 하중과 붐 상단에 제공된 작업대의 하중에 의해 붐이 하강됨에 따라 붐실린더내의 압유가 배출되고 공급측 유로의 전자제어밸브(12)는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붐실린더가 왕복동식인 경우에는 상기 공급유로의 전자제어밸브(12)는 붐실린더의 전진측 스풀에 연결되는 한편, 귀환측 전자제어밸브(15)는 그 반대쪽 스풀에 연결됨은 자명하다.
상기 유압펌프(10)와 전자제어밸브(12,15)는 제어부(20)의 신호에 응답하여 작동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는 고소작업대의 붐 상단에 설치되는 작업대에 제공된 조이스틱형의 상부 제어부(30)에서의 조이스틱의 조작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미리 프로그램된 바에 따라 제어신호를 유압펌프와 전자제어밸브들로 출력한다.
작업대에는 일반적으로 하중 센서(35)가 제공되어 탑승자 및 적재물이 안전하중으로 설정된 값을 초과할 경우 상부 제어부(30)를 통하여 제어부(30)에 신호가 출력되고 이에 응답하여 공급측 전자제어밸브(12)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게 제어부(20)에 미리 프로그램된 바에 따라 신호가 출력되어 붐이 신장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별도의 안전센서(40)가 개별 작업자에게 제공되며, 공급유로의 전자제어밸브(12)가 개방되어 유압펌프(10)로 부터의 압유가 붐실린더로 공급되는 붐이 상승하는 동안 안전센서(40)의 신호가 상부 제어부(30)를 통해 제어부(20)로 입력되는 경우, 공급유로측의 전자제어밸브(12)가 닫히고, 미리 설정된 시간동 안 귀환유로측 전자제어밸브(15)가 개방되어 붐이 일정 높이만큼 하강하도록 된다.
상기 안전센서(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작업자가 머리에 착용하는 안전모(50)에 제공되며, 또한 작업자가 착용하는 작업복에도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안전모(50)는 내측 안전모(51)와 외측 안전모(52)가 스프링(53)에 의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내측 안전모의 외표면과 외측 안전모의 내표면에는 서로 대향된 위치에 근접센서소자(55,56)들이 복수개소에 제공되고, 예를들어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한 상태에서 구조물과 부딪힘에 따른 외부의 충격으로 외측 안전모가 내측으로 눌려져서 근접센서소자(55,56)들이 접촉되는 경우, 전기적 신호가 안전모에 제공된 라인(57)으로 연결된 상부 제어판(30)을 통해 제어부(20)로 신호가 출력되고, 이와 같이 안전모로부터의 안전센서(40)의 출력신호가 제어부(20)에 입력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공급측의 전자제어밸브는 닫히고 귀환측 유로의 전자제어밸브는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개방되어 붐이 소정 거리만큼 하강하게 되므로 작업자는 신체를 구조물과 작업대 사이에 끼여진 상태에서 안전한 위치로 이동하거나 다른 작업자의 도움으로 안전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근접센서소자들의 신호가 있는 경우에 제어부(20)에서는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알람 또는 점등수단을 통해 경보를 발생하게 할 수 있음과, 상기 스프링(53) 대신에 탄성적으로 압착될 수 있는 고무패드도 균등하게 사용할 수 있음도 자명하다.
상기한 바와같이 안전센서(40)가 라인을 통해 상부 제어부를 거쳐 제어부(20)로 유선으로 신호가 전송되는 대신에 안전센서(40)의 신호를 무선송신하는 송신기(59)를 안전모와 작업복에 내장하여 안전모와 작업복에 제공된 안전센서(40)의 출력신호가 상부 제어부(30) 또는 제어부(20)로 입력되게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작업복에도 상기한 안전센서(40) 구조를 내장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한 안전센서와 균등한 공지의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는 기존의 고소작업대에 비용 부담 없이 적용할 수 있고, 작업자가 개별적으로 착용하는 안전모와 작업복에 안전센서를 장착하여 그 출력신호에 따라 제어부에서 붐실린더를 제어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거나 적어도 과도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소작업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고소작업대에서 발생되는 사고의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안전장치를 적용한 고소작업대의 개략적인 구성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안전센서가 제공되는 안전모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안전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안전모의 단면도.

Claims (3)

  1. 유압펌프(10)로 부터의 공급측 유로(11)에 제공된 전자제어 유압밸브(12)를 통해 붐실린더(13)로 압유가 공급되고 붐실린더로부터 압유 탱크에 연결된 귀환 유로(14)에 제공된 전자제어밸브(15)를 통해 압유가 배출되어 붐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되고, 상기 유압펌프(10)와 전자제어밸브(12,1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0)와, 작업대에 제공되어 작업자가 작업대의 상승 및 하강등의 조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어부(20)와 연결된 상부 제어부(30)를 구비하는 고소작업대에서, 안전모(50)와 작업복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안전센서(40)가 제공되고, 그 안전센서(40)로 부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공급측 유로의 전자제어밸브(12)가 닫히고, 귀환측 유로의 전자제어밸브(15)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개방되어 붐이 적어도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하강하여 작업자가 위치 이동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50)는 내측 안전모(51)와 외측 안전모(52)가 탄성수단에 의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내측 안전모의 외표면과 외측 안전모의 내표면에는 서로 대향된 위치에 근접센서소자(55,56)들이 복수개소에 제공되어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한 상태에서 구조물과 부딪힘에 따른 외부의 충격으로 외측 안전모가 내측으로 눌려져서 근접센서소자(55,56)들이 접촉될 때 전기적 신호가 상부 제어판(30)을 통해 제어부(20)로 출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센서(40)는 무선송신기에 의해 제어부(20)로 출력신호가 전송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
KR1020090026134A 2009-03-26 2009-03-26 고소 작업대용 안전장치 KR101058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134A KR101058904B1 (ko) 2009-03-26 2009-03-26 고소 작업대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134A KR101058904B1 (ko) 2009-03-26 2009-03-26 고소 작업대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839A true KR20100107839A (ko) 2010-10-06
KR101058904B1 KR101058904B1 (ko) 2011-08-23

Family

ID=43129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134A KR101058904B1 (ko) 2009-03-26 2009-03-26 고소 작업대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90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5158A (en) * 2011-12-15 2013-04-03 Paul Richards An aerial lift with proximity sensors having a sensing zone opposite a platform control panel
FR2984294A1 (fr) * 2011-12-19 2013-06-21 Haulotte Group Dispositif de protection d'un utilisateur d'une nacelle elevatrice et nacelle elevatric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KR101487752B1 (ko) * 2014-08-19 2015-01-29 한국종합 주식회사 진동센서가 구비된 안전모를 이용한 리프트 안전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82334B1 (ko) 2018-12-14 2019-05-24 박재섭 고소작업대용 입식 천막장치
GB2571134A (en) * 2018-02-20 2019-08-21 John Pollard Darren Protective headgea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142B1 (ko) * 2016-08-25 2018-02-07 에이제이네트웍스 주식회사 감지기용 무선통신 시스템을 구비한 고소작업대용 안전시스템
KR101827141B1 (ko) * 2016-08-25 2018-02-07 에이제이네트웍스 주식회사 고소작업대용 헬멧을 이용한 안전시스템
KR102149545B1 (ko) 2019-03-29 2020-10-26 고재필 고소작업차량에 구비되는 작업대의 수평제어방법
KR102174517B1 (ko) 2019-03-29 2020-11-04 고재필 고소작업차량의 상태 진단 장치
KR102256168B1 (ko) 2019-05-30 2021-05-26 (주)기원전자 작업대 파지상태 검출용 센서를 구비하는 고소작업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3799A (ja) * 1997-01-17 1998-08-04 Tadano Ltd 障害物近接検出装置付ヘルメット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5158A (en) * 2011-12-15 2013-04-03 Paul Richards An aerial lift with proximity sensors having a sensing zone opposite a platform control panel
GB2495158B (en) * 2011-12-15 2014-09-10 Safety Zone Ltd Proximity alarm for an aerial lift
FR2984294A1 (fr) * 2011-12-19 2013-06-21 Haulotte Group Dispositif de protection d'un utilisateur d'une nacelle elevatrice et nacelle elevatric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EP2607296A1 (fr) 2011-12-19 2013-06-26 Haulotte Group Dispositif de protection d'un utilisateur d'une nacelle élévatrice et nacelle élévatric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US9238573B2 (en) 2011-12-19 2016-01-19 Haulotte Group Protecting device for a user of an aerial lift and aerial lift comprising such a device
KR101487752B1 (ko) * 2014-08-19 2015-01-29 한국종합 주식회사 진동센서가 구비된 안전모를 이용한 리프트 안전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GB2571134A (en) * 2018-02-20 2019-08-21 John Pollard Darren Protective headgear
GB2571134B (en) * 2018-02-20 2022-05-11 John Pollard Darren Protective headgear
KR101982334B1 (ko) 2018-12-14 2019-05-24 박재섭 고소작업대용 입식 천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8904B1 (ko) 2011-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904B1 (ko) 고소 작업대용 안전장치
KR101667409B1 (ko) 정밀 제어가 가능한 교량 동조 인상 시스템
HK1114076A1 (en) Elevator equipped with safety device for operator protection in low-height shaft bottom end elevators
EP2361871B1 (en) Post lift for vehicles
CN109923056A (zh) 电梯安全装置和电梯
KR100769925B1 (ko) 안전장치가 설치된 고소 작업대
CN108455397A (zh) 电梯安全系统和监控电梯系统的方法
KR101195174B1 (ko) 탁상용 유압 프레스의 안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US20090166131A1 (en) Elevating Workshop Pit Platform
CN101342563A (zh) 用于冲床的自动防下滑装置
KR102256168B1 (ko) 작업대 파지상태 검출용 센서를 구비하는 고소작업차
KR101643906B1 (ko) 인터록을 구비하는 고소작업차의 탑승안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ITBS20080090A1 (it) Dispositivo anticaduta particolarmente per presse idrauliche
KR100609063B1 (ko) 프레스 안전장치
KR20160003632U (ko) 고소작업대용 협착 및 충돌 방지 안전모
US4174663A (en) Safety system for hydraulic vertical press
KR101643330B1 (ko) 고소작업차의 탑승 감지장치
KR100656650B1 (ko) 공작기계의 엘리베이터 캐빈 비상정지용 안전장치
CN205892686U (zh) 一种液压升降平台的防坠控制机构
KR20080004781U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고소작업용 리프트
US10647546B2 (en) Hydraulically activated shutoff valve for a hydraulic elevator system
KR100388754B1 (ko) 엘리베이팅 플래트 포옴
JP6302535B1 (ja) エレベータの重量物揚重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の重量物揚重方法
CN104646236B (zh) 三轴点胶机器人及降低出胶针筒针头损坏的方法
KR20080090609A (ko) 공압식 로프 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