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7113A -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7113A
KR20100107113A KR1020090025229A KR20090025229A KR20100107113A KR 20100107113 A KR20100107113 A KR 20100107113A KR 1020090025229 A KR1020090025229 A KR 1020090025229A KR 20090025229 A KR20090025229 A KR 20090025229A KR 20100107113 A KR20100107113 A KR 20100107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terminal
image information
user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1489B1 (ko
Inventor
한수진
홍해천
이영탁
서한교
진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025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489B1/ko
Publication of KR20100107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6File or folder operations, e.g. 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 G06F16/168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e.g. browsing and visualisation, 2d or 3d GU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 G06F16/174Redundancy elimination performed by the file system
    • G06F16/1744Redundancy elimination performed by the file system using compression, e.g. sparse 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 G06F9/5027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컴퓨팅 자원의 온 디맨드(On Demand) 아웃소싱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기존의 사용자 개인단말 이외에 타 단말에서도 동일한 사용자환경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사용자환경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방법 및 장치는, 중앙서버가 메인시스템으로 지정된 단말의 사용자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이미지정보를 생성 및 저장해 두었다가, 이후 동일 로그인 정보를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말에 이미지정보를 적용한 가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타 단말에서도 개인단말과 동일한 사용자환경을 가지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사용자환경, 가상화 기술, 어플리케이션 스트리밍(Application Streaming)

Description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방법 및 장치{Method of providing cloud computing-based integrated user environment and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통합유저환경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을 통한 컴퓨팅 자원의 온 디맨드(On demand) 아웃소싱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 개인단말의 사용자환경을 다른 단말에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네트워크의 기술발전에 따라, 각 단말의 독립적인 하드웨어 성능에 의존하던 기존의 컴퓨팅 환경은, 네트워크 상의 모든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단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란, 인터넷과 같은 정보통신망을 통한 '컴퓨팅 자원의 온 디맨드 아웃소싱 서비스'라고 정의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는, 서비스 제공자는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 센터를 가상화 기술로 통합하여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서비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스토리지(Storage),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 보안(Security)등의 필요한 컴퓨팅 자원을 각 사용자 소유의 단말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상화 기술을 통해 생성된 가상공간상의 서비스를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만큼 골라서 사용하게 된다. 사용자는 각 컴퓨팅 자원의 구입비용을 지불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량에 기반하여 대가를 지불하게 된다.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어떠한 장소에서든 네트워크 접속과 기본적인 연산기능만을 수행하는 단말을 통해 클라우드 망에 접속하여 대용량의 저장장치와 고성능 컴퓨팅 리소스가 필요한 작업들을 수행하고, 고도화된 서비스들도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사용자의 단말이 변경되는 경우에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기존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가 사용자 단말의 플랫폼과는 독립적인 가상공간에서 구현된다는 점에 기인한 것이다. 일예로서,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 및 편집한 문서화일의 경우, 클라우드 가상공간에서 제공하는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열람할 수는 있으나, 이후 다른 타 단말에서 동일 클라우드 가상공간상의 문서화일을 열람할 경우, 가상공간상의 폰트 설정 등에 따라 서체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즉, 작업을 수행한 단말이 변경되는 경우에 동일 클라우드 서비스를 수행한다고 하더라도 작업이 연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환경을 클라우드 서비스의 가상공간에 적용하여, 타 플랫폼의 사용자 단말에서도 이전 작업을 연계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방법은, 다수의 단말에서 네트워크상의 컴퓨터 자원을 가상시스템 형태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a) 메인시스템으로 지정된 단말의 사용자환경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환경정보에 대응하여 이미지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c)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환경정보에 따른 컴퓨터 자원의 이용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d) 가상시스템으로 구현된 상기 컴퓨터 자원에 상기 이미지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a) 이전에,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범위를 입력받는 단계; 서비스 가입을 수락 및 로그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메인시스템을 지정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미지정보는, 상기 메인시스템으로 지정된 단말의 운영체제 환경정보 및, 개인환경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영체제 환경정보는, 운영체제 언어팩(Languge Pack), 글꼴(Font), 작업표시줄, 시작메뉴, 바탕화면 및,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설정, 및 실행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인환경 설정정보는, 인터넷 사용 및 폴더옵션, 전자메일, 메신저 프로그램, 아웃룩(Outlook),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및, 일정관리프로그램의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d)는, (d1)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컴퓨터 자원의 접근을 요청받는 단계; (d2) 가상화 기술을 통해 상기 컴퓨터 자원에 대한 가상시스템을 생성하는 단계; (d3) 상기 가상시스템에 상기 이미지정보를 적용하는 단계 및, (d4) 이미지정보가 적용된 가상시스템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d4)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어플리케이션 지원서버에 상기 가상시스템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상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자원에 대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상시스템은, 상기 가상시스템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자원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근(Access)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장치는, 다수의 단말에서 네트워크상의 컴퓨터 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사용자환경정보에 대응하여 이미지정보를 생성하는 이미지정보 관리모듈; 상기 네트워크상의 컴퓨터 자원을 이용하도록 하는 가상시스템을 생성하는 컴퓨팅 자원 통합모듈; 메인시스템으로 지정된 단말의 사용자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이미지정보 관리모듈로부터 생성된 상기 이미지정보를 상기 컴퓨팅 자원 통합모듈로부터 생성된 상기 가상시스템에 적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단말에 제공하는 가상시스템 제공 모듈 및, 상기 이미지정보 관리모듈로부터 생성된 이미지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정보 스토리지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에 웹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비스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로부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 요청을 수신하면, 어플리케이션 지원서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가상시스템에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도록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 지원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단말이 아닌 타 단말에서도 동일한 사용자환경을 가지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개인 데이터의 접근 및 활용이 극대화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 단말에서도 기존의 단말과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가상시스템에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작업을 타 단말에서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 환경 제공장치의 전체 시스템의 기술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다수의 사용자가 인터넷을 포함하는 정보 통신망을 통해 중앙서버(200)에 접속하기 위한 장치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중앙서버(200)가 제공하는 클라우드 가상공간상에서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는 정보통신기기로서, 일반적인 OS를 포함하는 개인용 PC(110),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최소한의 수단만을 포함하는 씬(Thin) 클라이언트 단말(120), 휴대용PC, 스마트폰(Smartphone), 및,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중앙서버(200)는 클라우드 망에 분산되어 있는 다수의 컴퓨팅 자원(300)을 가상화 기술로 통합하여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중앙서버(200)는 각 사용자 단말에 설정된 사용자환경정보를 수집 및 이미지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로그인 정보로 서비스를 요청하면 가상공간에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환경정보를 적용하여 제공한다. 일예로서, 특정 사용자가 개인용 PC(110)를 통해 자신의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중앙서버(200)에 접속하고, 개인용 PC(110)를 메인 시스템으로 지정하면 중앙서버(200)는 개인용 PC(110)의 사용자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이미지로 변환 및 저장한다. 이후, 전술한 사용자가 타 개인용 PC, 씬 클라이언트 단말(120) 또는 휴대용 PC(130)를 통해 동 일 로그인 정보로 서비스를 요청하면, 중앙서버(200)는 저장된 이미지를 적용하여 메인 시스템과 동일한 환경의 가상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타 개인용 PC, 씬 클라이언트 단말(120) 또는 휴대용PC(130)에서도 전술한 개인용 PC(110)와 동일한 사용자환경정보를 가지는 가상시스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중앙서버(200)의 기술적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전술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중앙서버(2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의한 동시, 반복적인 서비스 요청에 따른 데이터 트래픽 처리를 원할히 수행할 수 있는 고성능 프로세서와, 대용량의 데이터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 환경 제공장치의 기술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의 식별번호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서버의 기술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앙서버(200)는 웹 서비스 처리모듈(210), 사용자 관리모듈(220), 이미지정보 생성모듈(240), 가상시스템 제공모듈(260), 컴퓨팅 자원통합모듈(270), 사용자DB(250), 이미지정보 스토리지(280) 및, 어플리케이션 지원모듈(290)를 포함한다.
웹 서비스 처리모듈(210)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하기 위한 모듈로서,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웹 서비스 처리모듈(210)은 사용자 단말(100)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개인정보들을 입력하여 서비스 가입절차를 처리한다. 또한 웹 서비스 처리모듈(210)은 사용자에 의해 메인시스템으로 지정된 단말(110)의 사용자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이미지정보 생성모듈(240)에 제공한다.
사용자 관리모듈(220)은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사용자는 단말을 통해 중앙서버(200)에 서비스 가입을 위한 기본적인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서비스 가입 이후에는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범위 및 권한을 설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정보들은 사용자별로 로그인정보로서 관리되며, 사용자 관리모듈(220)은 로그인 정보를 사용자DB(250)에 저장한다.
이미지정보 생성모듈(240)은 메인시스템으로 지정된 단말(110)의 사용자환경정보에 대응하여 이미지정보를 생성하고, 이미지정보 스토리지(28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미지정보는 사용자별로 관리되며, 이미지정보 생성모듈(240)은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저장된 이미지정보를 가상시스템 제공모듈(260)에 제공한다. 사용자 환경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이용하면서 변경 및 업데이트된 가상 환경정보를 추가적으로 이미지정보 스토리지(280)에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가상시스템 제공모듈(260)은 사용자 단말(100)에 클라우드 서비스에 따른 가 상시스템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상세하게는 가상시스템 제공모듈(260)은 서비스 요청에 따라, 컴퓨팅 자원 통합모듈(270)로부터 생성된 가상시스템을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는데, 특히 사용자가 특정 단말을 메인시스템으로 지정하여 이미지정보 스토리지(280)에 이미지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가상시스템 제공모듈(260)은 이미지정보를 적용하여 전술한 가상시스템이 메인시스템과 동일한 사용자환경을 가지도록 한 후, 해당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게 된다.
컴퓨팅 자원 통합모듈(270)은 컴퓨팅 자원을 통합하여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러한 컴퓨팅 자원 통합모듈(270)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클라우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면, 클라우드망에 연결된 컴퓨팅 자원을 통합 및 가상화하여 적절한 가상시스템을 생성하고, 이 가상시스템을 가상시스템 제공모듈(260)에 제공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DB(250)는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고, 이미지 정보 스토리지(280)는 로그인 정보별로 이미지정보를 저장한다.
어플리케이션 지원모듈(290)은, 가상시스템이 제공하지 않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별도로 구비되는 어플리케이션 지원서버에 어플리케이션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도록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전술한 기술적 구성에 따라, 중앙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메인시스템과 동일한 사용자환경을 가지는 가상시스템을 클라우드 서비스로 제공하며, 이러한 가상시스 템은 사용자 단말의 운영체제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 환경 제공장치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요청에 따라 단말상에서 실행되는 시스템 자원의 제공형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 환경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도면은, 사용자 단말의 단말 운영체제(420)상에서 두 개의 프로세스(421, 423)가 실행되었을 경우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각각의 프로세스는 단말 운영체제(420)상에서 서로 다른 자원을 사용하는 프로세스이다. 여기서 각각의 프로세스는 멀티 태스킹 형태로 동시에 실행되거나, 또는 서로 상이한 시점에 실행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비스 가입된 사용자가 자신의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중앙서버에 소정의 클라우드 서비스 관련 자원사용을 요구하면, 사용자 단말의 운영체제상에서 해당 작업에 대한 프로세스 X(421)가 생성되어 중앙서버 운영체제(440)상의 클라우드 서비스에 시스템 자원(442)의 접근(access)를 요청한다.
중앙서버 운영체제(440)는 접근을 요청받은 시스템 자원(442)은 가상화 기술을 통해 해당 시스템 자원에 대한 가상시스템 자원(422)을 생성하고, 이를 단말 운영체제(420)에 제공한다. 프로세스 X(421)는 생성된 가상시스템 자원(422)을 마치 원 시스템 자원(442)인 것처럼 사용하게 된다. 이때, 프로세스 X(421)가 사용하는 가상시스템 자원(422)은 이전 메인시스템으로 지정된 단말의 사용자환경정보를 포 함하는 이미지정보(460)가 적용된다. 이미지정보(460)는 메인시스템으로 지정된 단말의 OS 환경정보(462) 및 개인 환경정보(464)를 포함하고 있다. OS환경정보(462)는 OS 언어팩(Languge Pack), 글꼴(Font), 작업표시줄, 시작메뉴, 바탕화면, 어플리케이션 등의 설정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개인환경 정보(464)는 인터넷 사용 및 폴더옵션, 전자메일, 메신저 프로그램, 아웃룩(Outlook),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일정관리프로그램 등의 설정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이미지정보(460)는 어플리케이션 자체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만약 단말 운영체제(420)에 프로세스 X(421)가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이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것이라면, 별도로 운영되는 어플리케이션 지원서버(미도시)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스트리밍(490) 형태로 제공받아 이미지정보(460)의 설정정보를 적용시켜 프로세스 X(421)의 작업을 지원한다.
한편, 단말 운영체제(420)는 클라우드 서비스와 별개인 해당 단말 자체의 시스템 자원(426)을 사용하는 프로세스 Y(423)가 더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가상시스템 자원(422)과 독립적으로 단말 시스템 자원(426)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가상시스템 자원(422)과 단말 시스템 자원(426)은 각각 독립적으로 작업을 수행하지만, 프로세스에 따라 상호간에 자원에 접근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로,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는 통합사용자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 사용자환경 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방법은 메인시스템으로 지정된 단말의 사용자환경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510), 이미지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S520), 사용자환경정보에 따른 컴퓨터 자원의 이용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530) 및, 가상시스템에 이미지정보를 적용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S54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시스템으로 지정된 단말의 사용자환경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510)는,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가 최초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중앙서버에 접속하여 메인시스템을 지정하고, 이에 따라 중앙서버가 해당 단말의 사용자환경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지정하는 메인시스템은 사용자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상시스템의 사용자환경은 메인시스템의 사용자환경정보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고정적인 사용에 대한 보장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S510 단계는, 사용자가 이미 중앙서버에 서비스 가입이 되어 있고, 중앙서버에 해당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하며, 가입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미지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S520)는, 중앙서버의 이미지정보 생성모듈이 메인시스템으로 지정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에 대응하여 가상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형태의 이미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이다. 이미지정보는 특정 파일포맷(File Format)에 특정되지 않으며 클라우드 서비스가 제공하는 가상시스템에 용이하게 적용가능한 파일포맷이다. 또한 이미지정보 생성모듈은 생성한 이미지정보를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에 따라 이미지 정보 스토리지에 저장한다.
사용자환경정보에 따른 컴퓨터 자원의 이용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530)는, 중앙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상시스템의 이용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메인시스템으로 지정된 단말 및 중앙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타 단말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중앙서버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요청하고, 요청을 수신한 중앙서버는 사용자 DB에 저장된 로그인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서비스 범위 등을 판단하여 가상시스템 제공모듈에 의해 클라우드 망내의 컴퓨팅 자원에 대한 가상시스템을 생성한다.
가상시스템에 이미지정보를 적용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S540)는, 중앙서버의 가상시스템 제공모듈이 생성한 가상시스템에 기 저장된 이미지정보를 적용한 후,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이다. 가상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의 운영체제상에서 실행되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시스템과는 독립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가상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상에서 다음과 같은 기능적 특징이 있다.
첫째, 사용자 단말상에서 단말 시스템과 가상시스템간의 이용환경 전환이 자유롭게 지원된다. 일예로서, 윈도우즈(WindowsTM)와 같이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지원하는 운영체제의 경우에는 별도의 창 모드(Window mode) 또는 전체창 모드(Full Window mode)를 지원하여, 단말 시스템과 가상시스템간의 전환이 용이하다.
둘째, 클라우드 서비스 중, 웹 스토리지(Web storage)는 논리적 드라이브(Drive)형태로 마운트(Mount)되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물리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처럼 사용이 가능하다. 즉, 단말 시스템 자원상에서 가상시스템 자원에 접근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상시스템상의 바탕화면에 온라인 스토리지 드라이브의 바로가기 아이콘(Icon)이 삽입된다.
셋째, 가상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접근(Access)을 지원하며, 가상시스템상에서 단말 시스템 자원에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사용자 단말에 따라 혹은 가상시스템의 사용자 정책에 따라 제한적으로 지원된다. 특히, 자원에 대한 접근은 보안(Security)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이 메인시스템으로 지정된 것이 아닌 타 단말일 경우에는 이러한 기능은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안문제가 크게 고려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에 관한 기능, 사용자 단말에 연결된 프린터(Printer) 등과 같은 주변장치의 사용에 관한 기능, 모니터 등과 같은 표시장치의 복수개 사용에 관한 기능 등은, 모든 사용자 단말에 지원될 수 있다.
전술한 단계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을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을 제공받게 되며, 이하,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제인 서비스 가입과정을 도면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방법을 위한 서비스 가입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비스 가입절차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410),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범위를 입력받는 단계(S420), 서비스 가입을 수락하는 단계(S430) 및, 메인시스템을 지정받는 단계(S440)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로부터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410)은, 사용자 단말이 최초로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인 중앙서버에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 요청하는 단계이다. 중앙서버는 이러한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게 계정 및 패스워드의 입력을 요구하고, 동시에 미 가입자를 위해 온라인 가입수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가입수단은 웹 페이지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범위를 입력받는 단계(S420)는,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전술한 온라인 가입수단을 통해 계정 및 패스워드를 결정하면, 중앙서버는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제공받고자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서비스 범위를 입력받는 단계이다.
서비스 가입을 수락하는 단계(S430)는, 중앙서버가 S420 단계에서 입력받은 정보에 이상이 없을 경우, 서비스 가입을 수락하는 단계로서, 전술한 정보에 근거하여 로그인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메인시스템을 지정받는 단계(S440)는, 중앙서버가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통합사용자환경을 제공하는 데 기준이 되는 사용자환경이 설정된 단말을 지정받는 단계 이다. 이를 위해, 중앙서버는 현재 단말에 사용자환경정보를 수집할 것이라는 메세지를 제공하며, 또한 단말의 MAC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의 입력을 요구한다. 사용자는 현재 접속한 단말이 메인시스템으로 지정된 단말이 아닐경우, 본 단계를 생략하고, 이후 접속시에 수행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에 따라, 사용자는 서비스 가입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가상시스템을 생성하는 방법을 도면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가상시스템을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상시스템 생성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컴퓨터 자원의 접근을 요청받는 단계(S610), 가상화 기술을 통해 컴퓨터 자원에 대한 가상시스템을 생성하는 단계(S620), 가상시스템에 이미지정보를 적용하는 단계(S630) 및, 이미지정보가 적용된 가상시스템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S64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컴퓨터 자원의 접근을 요청받는 단계(S610)는, 중앙서버의 웹 서비스 처리모듈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중앙서버에 클라우드 망의 특정 컴퓨터 자원 접근 요청받는 단계이다. 여기서, 컴퓨터 자원에 대한 정보는 컴퓨팅 자원 통합모듈에 의해 제공된다.
가상화 기술을 통해 컴퓨터 자원에 대한 가상시스템을 생성하는 단계(S620)는, 중앙서버의 가상시스템 제공모듈이 가상화 기술을 통해 컴퓨팅 자원 통합모듈으로부터 제공되는 컴퓨터 자원으로 가상시스템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가상시스템에 이미지정보를 적용하는 단계(S630)는, 가상시스템 제공모듈이 이미지정보를 생성된 가상시스템에 적용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이미지정보는 이미지정보 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되어 이미지정보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으며, 중앙서버는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통해 해당 이미지정보를 판단한다.
이미지정보가 적용된 가상시스템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S640)는 가상시스템 제공모듈이 웹 서비스 처리모듈을 통해 생성된 가상시스템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이다. 이후, 사용자 단말은 단말 시스템과 가상시스템을 독립적으로 이용하게 된다.
또한, 중앙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술한 가상시스템에서 지원하지 않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요청이 있는 경우, 별도로 구비되는 어플리케이션 지원서버로부터 가상시스템에 스트리밍 형태로 다운받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 환경 제공장치의 전체 시스템의 기술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서버의 기술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 환경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 사용자환경 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방법을 위한 서비스 가입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가상시스템을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중앙서버 210 : 웹 서비스 처리모듈
220 : 사용자 관리모듈 240 : 이미지정보 생성모듈
250 : 사용자 DB 260 : 가상시스템 제공모듈
270 : 컴퓨팅 자원 통합모듈 280 : 이미지정보 스토리지
290 : 어플리케이션 지원모듈

Claims (12)

  1. 다수의 단말에서 네트워크상의 컴퓨터 자원을 가상시스템 형태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a) 메인시스템으로 지정된 단말의 사용자환경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환경정보에 대응하여 이미지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c)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환경정보에 따른 컴퓨터 자원의 이용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d) 가상시스템으로 구현된 상기 컴퓨터 자원에 상기 이미지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이전에,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범위를 입력받는 단계;
    서비스 가입을 수락 및 로그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메인시스템을 지정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정보는, 상기 메인시스템으로 지정된 단말의 운영체제 환경정보 및, 개인환경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체제 환경정보는, 운영체제 언어팩(Languge Pack), 글꼴(Font), 작업표시줄, 시작메뉴, 바탕화면 및,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설정, 및 실행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환경 설정정보는, 인터넷 사용 및 폴더옵션, 전자메일, 메신저 프로그램, 아웃룩(Outlook),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및, 일정관리프로그램의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d1)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컴퓨터 자원의 접근을 요청받는 단계;
    (d2) 가상화 기술을 통해 상기 컴퓨터 자원에 대한 가상시스템을 생성하는 단계;
    (d3) 상기 가상시스템에 상기 이미지정보를 적용하는 단계 및,
    (d4) 이미지정보가 적용된 가상시스템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4)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어플리케이션 지원서버에 상기 가상시스템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자원에 대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시스템은, 상기 가상시스템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자원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근(Access)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방법.
  10. 다수의 단말에서 네트워크상의 컴퓨터 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사용자환경정보에 대응하여 이미지정보를 생성하거나 사용자가 이용하면서 변경 및 업데이트된 가상환경정보를 추가적으로 이미지 형태로 관리하는 이미지정보 관리모듈;
    상기 네트워크상의 컴퓨터 자원을 이용하도록 하는 가상시스템을 생성하는 컴퓨팅 자원 통합모듈;
    메인시스템으로 지정된 단말의 사용자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이미지정보 관리모듈로부터 생성된 상기 이미지정보를 상기 컴퓨팅 자원 통합모듈로부터 생성된 상기 가상시스템에 적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단말에 제공하는 가상시스템 제공 모듈 및,
    상기 이미지정보 관리모듈로부터 생성된 이미지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정보 스토리지
    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웹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비스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 요청을 수신하면, 어플리케이션 지원서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가상시스템에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도록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 지원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장치.
KR1020090025229A 2009-03-25 2009-03-25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방법 및 장치 KR101081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229A KR101081489B1 (ko) 2009-03-25 2009-03-25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229A KR101081489B1 (ko) 2009-03-25 2009-03-25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113A true KR20100107113A (ko) 2010-10-05
KR101081489B1 KR101081489B1 (ko) 2011-11-08

Family

ID=43128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229A KR101081489B1 (ko) 2009-03-25 2009-03-25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489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6916A1 (ko) * 2010-12-23 2012-06-28 (주)케이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및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트래픽 분산 방법 및 제어 방법
WO2012086917A2 (ko) * 2010-12-24 2012-06-28 (주)케이티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 및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WO2012102731A1 (en) * 2011-01-28 2012-08-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Utilizing content via personal clouds
WO2013027919A1 (ko) * 2011-08-24 2013-02-28 (주)케이티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의 자동 개인 가상화 생성 방법 및 장치
WO2013027922A1 (ko) * 2011-08-24 2013-02-28 (주)케이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압축 이미지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13025085A3 (en) * 2011-08-18 2013-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family cloud in cloud computing system
WO2013166151A1 (en) * 2012-05-02 2013-11-07 Oasys Information System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rving application programs to devices
KR101349768B1 (ko) * 2011-12-22 2014-01-09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 단말에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364456B1 (ko) * 2011-12-07 2014-02-19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M2m 클라우드 환경에서 통신망 자원 활용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431333B1 (ko) * 2012-10-30 2014-08-2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소셜리티 스토리지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페더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26491B1 (ko) * 2012-08-17 2015-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100035A (ko) * 2010-12-03 2017-09-01 레이저 (아시아-퍼시픽) 피티이 엘티디 프로파일 관리 방법
US9934075B2 (en) 2013-06-28 2018-04-03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Managing associated tasks using a task manager in communication devices
KR20190019670A (ko) * 2017-08-18 2019-02-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클라우드 서버 및 클라우드 서버의 동작
KR102006333B1 (ko) * 2018-12-28 2019-10-01 정경채 연산형 인증 방법 및 장치
US11314344B2 (en) 2010-12-03 2022-04-26 Razer (Asia-Pacific) Pte. Ltd. Haptic eco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663A (ko) 2015-01-26 201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장치
KR101971225B1 (ko) 2018-10-11 2019-04-22 옥임식 클라우드 서버의 데이터 전송 보안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200046157A (ko) 2018-10-16 2020-05-07 주식회사 화력대전 클라우드 서버의 데이터 전송 보안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102639168B1 (ko) * 2021-08-20 2024-02-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데스크탑 환경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3413B2 (ja) * 2004-10-06 2010-07-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外部端末からの記憶装置の利用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67578B2 (en) 2010-12-03 2018-09-04 Razer (Asia-Pacific) Pte. Ltd. Profile management method
KR20170100035A (ko) * 2010-12-03 2017-09-01 레이저 (아시아-퍼시픽) 피티이 엘티디 프로파일 관리 방법
US11314344B2 (en) 2010-12-03 2022-04-26 Razer (Asia-Pacific) Pte. Ltd. Haptic ecosystem
US9473553B2 (en) 2010-12-23 2016-10-18 Kt Corporation Method for distributing and controlling traffic in cloud computing system and cloud computing system using the same
WO2012086916A1 (ko) * 2010-12-23 2012-06-28 (주)케이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및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트래픽 분산 방법 및 제어 방법
WO2012086917A3 (ko) * 2010-12-24 2012-08-16 (주)케이티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 및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US9055066B2 (en) 2010-12-24 2015-06-09 Kt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game service in cloud computing environment
KR101312268B1 (ko) * 2010-12-24 2013-09-25 주식회사 케이티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 및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WO2012086917A2 (ko) * 2010-12-24 2012-06-28 (주)케이티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 및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GB2499548A (en) * 2011-01-28 2013-08-21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Utilizing content via personal clouds
GB2499548B (en) * 2011-01-28 2018-07-11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Utilizing content via personal clouds
WO2012102731A1 (en) * 2011-01-28 2012-08-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Utilizing content via personal clouds
US9723052B2 (en) 2011-01-28 2017-08-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Utilizing content via personal clouds
WO2013025085A3 (en) * 2011-08-18 2013-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family cloud in cloud computing system
US8954741B2 (en) 2011-08-18 2015-0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family cloud in cloud computing system
WO2013027922A1 (ko) * 2011-08-24 2013-02-28 (주)케이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압축 이미지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13027919A1 (ko) * 2011-08-24 2013-02-28 (주)케이티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의 자동 개인 가상화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1364456B1 (ko) * 2011-12-07 2014-02-19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M2m 클라우드 환경에서 통신망 자원 활용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49768B1 (ko) * 2011-12-22 2014-01-09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 단말에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3166151A1 (en) * 2012-05-02 2013-11-07 Oasys Information System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rving application programs to devices
KR101526491B1 (ko) * 2012-08-17 2015-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431333B1 (ko) * 2012-10-30 2014-08-2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소셜리티 스토리지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페더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US9934075B2 (en) 2013-06-28 2018-04-03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Managing associated tasks using a task manager in communication devices
KR20190019670A (ko) * 2017-08-18 2019-02-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클라우드 서버 및 클라우드 서버의 동작
KR102006333B1 (ko) * 2018-12-28 2019-10-01 정경채 연산형 인증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1489B1 (ko) 201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1489B1 (ko)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방법 및 장치
CN109844727B (zh) 用于管理应用程序配置和相关联凭证的技术
US9774582B2 (en) Private cloud connected device cluster architecture
CN106533713B (zh) 一种应用部署方法及设备
CN104396290A (zh) 单一证书服务系统及其操作方法
KR20170000567A (ko)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1499010B (zh) 一种在手机上使用桌面应用程序的方法
JP2017528855A (ja) 階層的サブスクリプション管理
US11374840B1 (en) Network environment-based dynamic application recommendation
CN115486050A (zh) 用于5g网络的级联多输入内容准备模板的方法和设备
KR20200105174A (ko) 특정 시점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가상 데스크톱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US10860342B2 (en) Computer system providing cloud-based session prelaunch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US20230328147A1 (en) Smart notification system
CN114745757B (zh) 一种集群切换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20230195824A1 (en) Smart Content Redirection System
CN113840013B (zh) 一种分级管理的文档系统
JP5522735B2 (ja) セッション管理装置、セッション管理システム、セッション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4060133A1 (en) Dynamic sharing of web-content
CN114868362B (zh) 访问实时上行链路流式传输框架(flus)信宿能力的方法和装置
US20230148314A1 (en) Fast Launch Based on Hibernated Pre-launch Sessions
US20220338292A1 (en) Network architecture for virtual mobile phones
US114965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verse address mapping when using content preparation in 5G networks
US20220357968A1 (en) Heuristic Policy Recommendations in a Virtual Environment
CN116680072A (zh) 一种基于vdi的业务场景处理的方法、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7097493A (zh) 云办公方法、终端设备、介质及云桌面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