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6382A - 동물용 화장실 모래 - Google Patents

동물용 화장실 모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6382A
KR20100106382A KR1020107012940A KR20107012940A KR20100106382A KR 20100106382 A KR20100106382 A KR 20100106382A KR 1020107012940 A KR1020107012940 A KR 1020107012940A KR 20107012940 A KR20107012940 A KR 20107012940A KR 20100106382 A KR20100106382 A KR 20100106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nular material
toilet sand
mass
animal toilet
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2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2303B1 (ko
Inventor
다카유키 마츠오
다케시 이케가미
겐지 히로시마
히로시 마츠모토
히로유키 카메야마
Original Assignee
유니참 팻케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참 팻케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참 팻케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6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3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01K1/0154Litter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설된 뇨로부터의 암모니아의 발생량이 적은 동물용 화장실 모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복수의 입상물을 포함하는 동물용 화장실 모래로서, 복수의 입상물 각각은, 무기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입자군과, 실리카겔과, 이 입자군 및 실리카겔을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무기 바인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물용 화장실 모래{LITTER FOR ANIMALS}
본 발명은, 고양이나 개 등의 동물의 화장실용 부재(敷材)로서 사용되는 동물용 화장실 모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실내에서 기르는 고양이나 개 등의 동물용 화장실로서, 플라스틱제 용기에 소위 「고양이 모래」라고 불리는 입상물로 이루어지는 화장실 모래가 들어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동물이 배설한 뇨 등은, 이러한 화장실 모래에 의해 흡수된다. 주인은, 이 뇨나 변으로 오염된 화장실 모래를 변 등과 함께 용기로부터 제거하고, 제거한 만큼 새로운 화장실 모래를 보충한다. 그러나, 고양이는 배설 후에 화장실 모래를 발로 뒤섞는 습성이 있어, 뇨나 변 등이 부착된 화장실 모래가 발에 부착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오염된 화장실 모래가 확산되어 버리기 때문에, 오염된 부분만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화장실 모래로서 발수성을 갖는 입상물을 이용하여, 뇨 등의 수분을 흡수하는 흡액 시트 위에 이 화장실 모래를 까는 타입의 동물용 화장실이나, 흡액 시트 위에 드레인 보드 등을 통해 이 화장실 모래를 까는 타입의 동물용 화장실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화장실에 의하면, 동물이 배설한 뇨는, 발수성의 입상물을 투과하여 흡액 시트에 흡수되기 때문에,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화장실 모래의 교환 빈도를 줄일 수 있어, 주인의 노동력이 경감된다.
이러한 화장실에 사용되는 동물용 화장실 모래로서, 제올라이트, 세피올라이트 또는 아타풀자이트의 입자를 시멘트로 고화하여 이루어지고, 발수 처리가 실시된 복수의 입상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46797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 기재의 동물용 화장실 모래에서는, 배설된 뇨로부터의 암모니아의 발생이 많아, 악취의 원인으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설된 뇨로부터의 암모니아의 발생량이 적은 동물용 화장실 모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화장실 모래로서, 무기 다공질 재료의 입자군, 실리카겔 및 무기 바인더를 포함하는 입상물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는 이하와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복수의 입상물을 포함하는 동물용 화장실 모래로서, 상기 복수의 입상물 각각은, 무기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입자군과, 실리카겔과, 이 입자군 및 이 실리카겔을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무기 바인더를 포함하는 동물용 화장실 모래.
(2) 상기 무기 바인더가 시멘트인 (1) 기재의 동물용 화장실.
(3) 상기 무기 바인더는 시멘트와 비시멘트계 고화제와의 혼합물인 (1) 기재의 동물용 화장실 모래.
(4) 상기 비시멘트계 고화제는, 황산칼슘 및 산화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경화성 고화제인 (3) 기재의 동물용 화장실 모래.
(5) 상기 무기 다공질 재료가 제올라이트, 아타풀자이트, 세피올라이트, 규조토 및 규조혈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물용 화장실 모래.
(6) 상기 시멘트가 저알칼리 시멘트인 (2) 또는 (3) 기재의 동물용 화장실 모래.
(7) 상기 복수의 입상물은, 상기 무기 바인더의 함유량이 5 질량%∼30 질량%이고, 상기 실리카겔의 함유량이 3 질량%∼20 질량%인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물용 화장실 모래.
(8) 상기 복수의 입상물은 발수 처리가 실시되고 있는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물용 화장실 모래.
(9) 상기 입상물은 향료를 함유하는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물용 화장실 모래.
(10) 상기 입상물은, 이 입상물의 평균 입자 pH가 12 이하인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물용 화장실 모래.
(11) 상기 입상물은, 이 입상물의 평균 입자 강도가 30 N 이상인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물용 화장실 모래.
(12) 상기 입상물은, 이 입상물의 형상이, 평균 입경 4 ㎜∼7 ㎜, 평균 입자 길이 6 ㎜∼15 ㎜의 원기둥형인 (1)∼(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물용 화장실 모래.
본 발명의 동물용 화장실 모래에 의하면, 배설된 뇨로부터의 암모니아의 발생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동물용 화장실 모래는 복수의 입상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입상물은, 무기 다공질 재료의 입자군 및 실리카겔을 주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입상물은 다수의 무기 다공질 재료의 입자 및 실리카겔이, 무기 바인더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무기 다공질 재료로서는, 제올라이트, 세피올라이트, 아타풀자이트, 규조토, 규조혈암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중 1 종류를 이용할 수 있고, 또한 2 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무기 다공질 재료는, 암모니아 등의 냄새를 흡착하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이 무기 다공질 재료의 입자를 주체로서 입상물을 구성하는 것에 의해, 소취 성능이 우수한 동물용 화장실 모래를 얻을 수 있다.
무기 다공질 재료의 입자는, 이 입자로부터 형성되는 입상물의 강도를 강하게 하는 관점에서, 그 입경이 작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무기 다공질 재료 입자의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300 ㎛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이다.
입상물중의 무기 다공질 재료의 입자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 질량%∼95 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70 질량%∼90 질량%이다. 무기 다공질 재료의 입자의 함유량이 50 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입상물의 소취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무기 다공질 재료의 입자의 함유량이 95 질량%보다 많은 경우에는, 입상물이 충분한 강도를 얻지 못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의 입상물은, 무기 다공질 재료의 입자에 추가로, 실리카겔을 함유하고 있다. 실리카겔은 암모니아 등의 냄새 성분을 흡착하는 성질을 가지며, 이 실리카겔에 의한 암모니아의 흡수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동물용 화장실 모래에서의 입상물은, 배설된 뇨로부터의 암모니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실리카겔로서는, A형 실리카겔, B형 실리카겔, 및 C형 실리카겔 모두 이용할 수 있지만, 세공이 많고 암모니아나 물의 흡착 용량이 우수한 점에서, C형 실리카겔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입상물중의 실리카겔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 질량%∼20 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5%∼15%이다. 실리카겔의 함유량이 3% 미만인 경우에는, 배설된 뇨로부터의 암모니아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실리카겔의 함유량이 20 질량%보다 많은 경우에는, 입상물이 충분한 강도를 얻지 못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무기 바인더로서는, 시멘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시멘트란, 규산칼슘을 주성분으로 하고, 물과 반응(수화)하여 경화하는 고화제를 말한다. 시멘트로서는, 포트랜드 시멘트나 화이트 시멘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동물용 화장실 모래에서의 입상물은, 무기 바인더로서 시멘트를 이용함으로써, 그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시멘트로서, 저알칼리 시멘트를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저알칼리 시멘트란, 시멘트중에 포함되는 알칼리 금속(Na, K)이 미리 정해진 함유량 이하로 조정된 것이다. 저알칼리 시멘트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입상물의 pH를 낮출 수 있다. 입상물의 pH를 낮게 하는 것에 의해, 화장실을 사용하는 동물의 발 등에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무기 바인더로서는, 시멘트와 비시멘트계 고화제와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비시멘트계 고화제란, 시멘트 이외의 고화제, 즉 규산칼슘을 주성분으로 하지 않는 고화제를 말한다.
비시멘트계 고화제로서는, 돌로마이트, 산화칼슘, 황산칼슘, 산화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비시멘트계 고화제로서, 황산칼슘 및 산화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경화성의 고화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경화성의 고화제란, 물과 반응(수화)하여 경화하는 고화제를 말한다.
무기 바인더로서, 시멘트에 추가로 이들 비시멘트계 고화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동물용 화장실에서의 입상물은, pH를 저하시킨다. 이것에 의해, 화장실을 사용하는 동물의 발 등에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배설된 뇨로부터의 암모니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은, 입상물의 pH를 낮추는 것에 의해, 뇨와 입상물이 접촉했을 때에, 뇨로부터의 암모니아의 유리 반응이 잘 일어나지 않게 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특히, 황산칼슘 및 산화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경화성의 고화제는, 대략 중성의 성질을 나타내고, 이 고화제의 경화시에 생성되는 수산화마그네슘도 약염기성의 것이다. 따라서, 비시멘트계 고화제로서 황산칼슘 및 산화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경화성의 고화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전술한 pH의 저하 효과나 암모니아의 발생 억제 효과를 향상시킨다.
황산칼슘 및 산화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경화성의 고화제중에서의 황산칼슘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 질량%∼95 질량%, 산화마그네슘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 질량%∼50 질량%이다. 또한, 여기서 황산칼슘의 함유량은 무수물로 환산한 경우에서의 함유량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의 황산칼슘 및 산화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경화성의 고화제는, 황산칼슘 및 산화마그네슘 이외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성분으로서는, 경화촉진제나 다른 금속 산화물을 들 수 있다. 경화촉진제로서는, 바륨, 마그네슘, 칼슘, 나트륨, 칼륨, 인 등의 염화물, 질산염, 아질산염, 황산염, 아황산염 등의 무기염류를 들 수 있다. 다른 금속 산화물로서는 바륨, 칼슘, 나트륨, 칼륨, 인, 알루미늄, 규소, 철 등의 산화물을 들 수 있다. 황산칼슘 및 산화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경화성의 고화제중에서의 황산칼슘 및 산화마그네슘 이외의 성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 입상물중에서의 무기 바인더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 질량%∼30 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10 질량%∼20 질량%이다. 무기 바인더 전체의 함유량이 5 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입상물이 충분한 강도를 얻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한, 무기 바인더 전체의 함유량이 30 질량%보다 많은 경우에는, 입상물의 소취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무기 바인더중에서의 시멘트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이다. 시멘트의 함유량이 40 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입상물이 충분한 강도를 얻지 못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의 입상물은 발수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상물에 발수 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입상물의 액투과율이 향상한다. 또한 입상물에 뇨 등의 액체가 잘 흡수되지 않게 되어, 입상물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입상물에의 액 잔류물이 저감되어, 냄새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도 있다.
발수 처리는, 예컨대 입상물 표면에 발수제를 스프레이 도포하는 것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발수제로서는, 파라핀 왁스 등의 왁스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입상물 표면에 발수제를 도포하는 경우, 그 도포량은, 입상물의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1 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0.1 질량%∼0.5 질량%이다.
본 발명에서의 입상물은, 향료를 함유하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향료의 마스킹 효과에 의해, 뇨나 분 등의 냄새를 억제할 수 있다. 향료로서는, 예컨대 겔랑올, 시트로넬올, 시트랄, 유제놀, 페네틸 알코올, 티몰, 리날로올, 푸른잎 알코올, 멘톨, 벤질 알코올 등의 알코올류나, 헥실신남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류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의 입상물은, 구형, 원기둥형 등, 그 조립(造粒) 형상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사용시에 비산이 적은 화장실 모래를 얻는 관점에서 원기둥형으로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입상물은, 예컨대 디스크 펠러터, 브리켓 머신, 타정기 등을 이용하여 조립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디스크 펠러터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상물을 원기둥형으로 조립하는 경우, 입상물의 평균 입경(원기둥 형상 바닥면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4 ㎜∼7 ㎜, 더 바람직하게는 5.5 ㎜∼6.5 ㎜이다. 입상물의 평균 입자 길이(원기둥 형상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6 ㎜∼15 ㎜, 더 바람직하게는 8 ㎜∼12 ㎜이다.
이 경우, 평균 입경은, 입상물 20 입자의 입경을 측정하여, 그 평균값으로 한다. 또한 평균 입자 길이는, 입상물 50 입자의 입자 길이를 측정하여, 그 평균값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입상물은, 그 평균 입자 pH가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상물의 평균 입자 pH를 12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동물의 발 등에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고, 암모니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입상물의 평균 입자 pH는, 이하의 〔pH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된다.
〔pH 측정 방법〕
입상물을 분쇄하고, 80 메시의 체에 걸러 체를 통과한 것을 시험 샘플로 한다.
시험 샘플 1 g에 대하여, 2.5 ml의 증류수를 적하하고, 가볍게 교반 후, 정치한다.
30분 후에, pH 미터(HANNA instruments사 제조, Skincheck)로써, 시험 샘플의 pH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의 입상물은, 그 평균 입자 강도가, 바람직하게는 30 N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0 N 이상이다. 평균 입자 강도가 30 N 미만이면, 사용시에 입상물이 깨어져 화장실 모래의 비산이 생기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입상물의 평균 입자 강도는 이하의〔입자 강도의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된다.
〔입자 강도의 측정 방법〕
입상물을, 실온 25도, 습도 60%의 분위기하에서 24 시간 이상 방치한 것을 시험 샘플로서 이용한다.
시험 샘플의 입상물은 수동 핸들식 디지털 포스 게이지 스탠드(니혼덴산 심포지움 주식회사 제조, FGS-50H)의 측정 테이블 위에 배치한다.
디지털 포스 게이지(니혼덴산 심포지움 주식회사 제조, FGN-50B)를 상기 디지털 포스 게이지 스탠드에 부착하고, 이 디지털 포스 게이지의 계측 어댑터(돌출 형상: 산형 70도)의 선단이 입상물에 접촉하도록 세팅한다.
수동으로 핸들을 천천히 돌려, 계측 어댑터로 입상물을 압축한다. 입상물이 깨어진 시점의 강도를 입자 강도 측정값으로 한다.
10점을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평균 입자 강도로 한다.
또한, 입상물이 원기둥형인 경우에는, 계측 어댑터의 선단이 이 입상물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접촉하도록 세팅하여 입자 강도를 측정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동물용 화장실 모래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장실 모래를 구성하는 입상물은, 무기 다공질 재료, 실리카겔 및 무기 바인더를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조립된다. 우선, 무기 다공질 재료, 실리카겔 및 무기 바인더를 미리 정해진 비율로 혼합하고, 물을 더 가한 후, 믹서 등으로써 덩어리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균일하게 교반 혼합한다.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입상물을 조립한다. 본 발명에서의 입상물은, 예컨대 디스크 펠러터, 브리켓 머신, 타정기 등의 각종 분체의 조립 장치를 이용하여 조립할 수 있다.
이어서, 얻어진 입상물은 무기 바인더의 고화를 진행시키기 위해 미리 정해진 시간 방치된다. 이 공정은 양생 공정이라고 불리는 것이다. 양생 시간은 기온에 의해 상이하지만, 무기 바인더를 충분히 고화시키는 관점에서 72 시간 이상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충분히 고화한 입상물을 건조기로 건조시킨다. 이 건조는, 예컨대 로터리킬른 건조기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건조는 입상물의 수분율이 10%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율의 측정은, 건조 후의 입상물을 110℃로써 24시간 더 재건조시켜, 재건조 전후의 입상물의 질량의 차를 입상물의 수분량으로 하고, 이 수분량을 재건조 전의 입상물의 질량으로 나눠 구한다.
얻어진 입상물은, 체 분리 공정에서 대소의 입상물을 제거하고, 미리 정해진 크기의 입상물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동물용 화장실 모래는 제조된다.
본 발명의 동물용 화장실 모래는, 액 통과율이 크기 때문에, 특히 뇨 등의 수분을 흡수하는 흡액 시트 위에, 직접 또는 드레인 보드 등을 통해 화장실 모래를 까는 이중 구조 타입의 동물용 화장실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1) 입상물 원료의 혼합, 조립
제올라이트 분말(미야기켄 아이코산, 60메시 패스품, 평균 입경 150 ㎛, 수분 7% 이하) 70 질량부, 화이트 시멘트(태평양 시멘트 주식회사 제조) 20 질량부, 및 C형 실리카겔(중국 청도산) 10 질량부를 혼합하고, 물 40 질량부를 더 가하여, 레디게 믹서로써 교반 혼합하였다.
교반 혼합한 혼합물을 디스크 펠러터(주식회사 달튼 제조)로써 압축, 조립하였다. 디스크의 출구 개구 치수는 직경 5.5 ㎜, 디스크 두께는 35 ㎜, 유효 길이는 12 ㎜였다.
얻어진 조립물은 직경 5.5 ㎜, 평균 입자 길이 25 ㎜였다.
(2) 양생 공정
얻어진 조립물을 실온 20도에서 72시간 방치하여, 시멘트의 고화 반응을 진행시켰다.
(3) 건조 공정
양생 공정을 경유한 입상물을, 로터리킬른 건조기를 이용하여 마무리 수분율이 10%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켰다. 건조 공정에서, 입상물은 수축하고, 또한 그 일부에 크랙이 발생하였다. 그 결과, 건조 공정 후 얻어진 입상물은 직경 5.5 ㎜, 평균 입자 길이 9 ㎜인 것이었다.
(4) 발수제 도포 공정
발수제로서는, 왁스계 수지(닛카화학 주식회사 제조, TH-44)를 이용하였다. 이 발수제를 물로 50배에 희석한 수용액을, 입상물의 질량에 대하여 10 질량% 도포하였다. 도포는, 입상물을 교반 혼합하면서 이 발수제의 수용액을 스프레이하여 행하였다.
(5) 체 분리 공정
얻어진 입상물을, 우선 메시 10 ㎜×10 ㎜의 체로 체 분리하여 미리 정해진 크기보다 큰 입상물을 제거하고, 그 후 메시 5 ㎜×10 ㎜의 체로 체 분리하여 미리 정해진 크기보다 작은 입상물이나 분말상물을 제거하였다. 그리고 미리 정해진 범위의 크기의 입상물을 얻었다.
이렇게 하여 실시예 1의 동물용 화장실 모래를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의 (1)의 입상물 원료로서, 제올라이트 분말 75 질량부, 화이트 시멘트 20 질량부, 실리카겔 5 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3의 동물용 화장실 모래를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의 (1)의 입상물 원료로서, 제올라이트 분말 70 질량부, 비시멘트계 고화제(성분: 황산칼슘 1/2 수화물 80 질량%, 산화마그네슘 15 질량%, 그 외 금속 산화물 5 질량%) 10 질량부, 화이트 시멘트 10 질량부, 실리카겔 10 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3의 동물용 화장실 모래를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의 (1)의 입상물 원료로서, 제올라이트 분말 70 질량부, 비시멘트계 고화제 10 질량부, 화이트 시멘트 10 질량부, 실리카겔 10 질량부를 이용하여, 발수제를 도포하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4의 동물용 화장실 모래를 얻었다.
〔비교예〕
실시예 1에서의 (1)의 입상물 원료로서, 제올라이트 분말 80 질량부, 화이트 시멘트 20 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의 동물용 화장실 모래를 얻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동물용 화장실 모래에 대해서, 평균 입자 pH, 암모니아 발생량, 평균 입자 강도 및 액 통과율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평균 입자 pH 및 평균 입자 강도는, 전술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또한 암모니아 발생량 및 액 통과율은 이하의 〔암모니아 발생량의 측정 방법〕, 및 〔액 통과율의 측정 방법〕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암모니아 발생량의 측정 방법〕
입상물 50 ml를 고양이의 뇨에 10분간 침지시킨 후, 여분의 뇨를 종이제의 웨이스트(니혼제지 크레시아 주식회사 제조, 킴와이프)로 닦아내고, 용적 200 ml의 용기중에 밀폐하였다.
용기를 35℃의 항온조에서 96 시간 정치 후, 암모니아의 발생량을 검지관으로써 측정했다.
〔액 통과율의 측정 방법〕
크기 3 ㎜×8 ㎜의 개구부를 다수 갖는 드레인 보드의 상면에 직경 50 ㎜, 깊이 30 ㎜의 원통을 설치하였다. 원통 안에 입상물을 충전하고, 원통 상단으로부터 20 ㎜의 높이로부터 생리식염수 20 ml를 10초에 걸쳐 적하시켰다. 드레인 보드의 하면에는 입상물 및 드레인 보드를 통과한 생리식염수를 수용하기 위한 트레이를 설치하고, 적하 종료 후 15초 경과한 후에 드레인 보드를 통과한 생리식염수의 질량(A)을 측정하였다. 액 통과율은 이하의 식으로부터 구하였다.
액 통과율(%)=A/20×100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각 실시예의 동물용 화장실 모래는, 비교예의 동물용 화장실 모래에 비해, 암모니아의 발생량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무기 바인더로서 시멘트 및 비 시멘트계 고화제를 이용한 실시예 3및 4의 동물용 화장실 모래는 pH도 낮아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2)

  1. 복수의 입상물을 포함하는 동물용 화장실 모래로서,
    상기 복수의 입상물 각각은, 무기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입자군과, 실리카겔과, 이 입자군 및 이 실리카겔을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무기 바인더를 포함하는 것인 동물용 화장실 모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바인더가 시멘트인 동물용 화장실 모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바인더는 시멘트와 비시멘트계 고화제와의 혼합물인 동물용 화장실 모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시멘트계 고화제는 황산칼슘 및 산화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경화성 고화제인 동물용 화장실 모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다공질 재료가 제올라이트, 아타풀자이트, 세피올라이트, 규조토 및 규조혈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동물용 화장실 모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가 저알칼리 시멘트인 동물용 화장실 모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상물은, 상기 무기 바인더의 함유량이 5 질량%∼30 질량%이고, 상기 실리카겔의 함유량이 3 질량%∼20 질량%인 것인 동물용 화장실 모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상물은 발수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인 동물용 화장실 모래.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물은 향료를 함유하는 것인 동물용 화장실 모래.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물은, 이 입상물의 평균 입자 pH가 12 이하인 것인 동물용 화장실 모래.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물은, 이 입상물의 평균 입자 강도가 30 N 이상인 것인 동물용 화장실 모래.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물은, 이 입상물의 형상이, 평균 입경 4 ㎜∼7 ㎜, 평균 입자 길이 6 ㎜∼15 ㎜의 원기둥형인 것인 동물용 화장실 모래.
KR1020107012940A 2007-11-22 2008-11-20 동물용 화장실 모래 KR101462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03612A JP5183166B2 (ja) 2007-11-22 2007-11-22 動物用トイレ砂
JPJP-P-2007-303612 2007-11-22
PCT/JP2008/071090 WO2009066717A1 (ja) 2007-11-22 2008-11-20 動物用トイレ砂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382A true KR20100106382A (ko) 2010-10-01
KR101462303B1 KR101462303B1 (ko) 2014-11-14

Family

ID=40667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2940A KR101462303B1 (ko) 2007-11-22 2008-11-20 동물용 화장실 모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017143A1 (ko)
EP (1) EP2213162B1 (ko)
JP (1) JP5183166B2 (ko)
KR (1) KR101462303B1 (ko)
CN (1) CN101868142B (ko)
AU (1) AU2008327132B2 (ko)
WO (1) WO20090667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9024B2 (ja) 2012-03-29 2016-04-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砂の製造方法
JP5899023B2 (ja) 2012-03-29 2016-04-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砂、動物用トイレ
WO2014105779A1 (en) 2012-12-26 2014-07-03 Nestec Sa Low density coated animal litter compositions
CN103348922A (zh) * 2013-06-19 2013-10-16 芜湖悠派卫生用品有限公司 一种纸质海泡石缓释抗菌猫砂
PL223752B1 (pl) 2013-09-05 2016-10-31 Tomasz Gawron Ściółka klatkowa dla zwierząt, zwłaszcza dla kotów
JP5524405B1 (ja) * 2013-12-10 2014-06-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芳香性粒状物及び動物用トイレ砂
EP3145297A4 (en) * 2014-08-26 2018-01-31 EP Minerals, LLC Low density compositions with synergistic absorbance properties
CN104521770A (zh) * 2014-12-04 2015-04-22 芜湖倍思科创园有限公司 一种添加碘化银的改性秸秆炭混合猫砂及其制备方法
CN104707845A (zh) * 2015-03-13 2015-06-17 赵维亮 一种清理含液垃圾的凝固剂
CN108901874A (zh) * 2018-08-25 2018-11-30 山东瑞达硅胶有限公司 一种除臭抑菌猫砂及其制备方法
CN116953258A (zh) * 2023-08-02 2023-10-27 山东瑞达硅胶有限公司 一种宠物尿液蛋白质检测颗粒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5704A (en) * 1976-11-30 1978-04-25 Rush-Hampton Industries Animal litter
DE2930060C2 (de) * 1978-10-10 1991-03-28 Ytong AG, 8000 München Mittel zur Bindung und Sanierung von animalen, biologisch ausgesonderten Schlackenprodukten
JP2802537B2 (ja) * 1990-05-25 1998-09-24 フマキラー株式会社 汚物処理剤及び処理方法
WO1993014626A1 (fr) * 1992-01-31 1993-08-05 Kabushikikaisha Daiki Materiau de traitement d'excrements d'animaux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DE4243389A1 (de) * 1992-12-21 1994-06-23 Sued Chemi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orptionsmitteln zur Aufnahme von Flüssigkeiten
US5328508A (en) * 1993-03-18 1994-07-12 Lintek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rapid hydration of cement and improved concrete
JP2766632B2 (ja) * 1996-04-01 1998-06-18 ジョンソントレーディング株式会社 小動物用トイレ砂
JP2003023894A (ja) * 2001-07-16 2003-01-28 Electric Power Dev Co Ltd ペット及び家畜の糞尿処理材組成物及びペット及び家畜の糞尿処理材の製造方法
JP4030735B2 (ja) * 2001-08-02 2008-01-0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US7429421B2 (en) * 2002-02-05 2008-09-30 Nestec, S.A. Coated clumping litter comprising non-swelling particles
US7343874B2 (en) * 2002-08-07 2008-03-18 The Clorox Company Silica gel based animal litter
JP3676787B2 (ja) * 2003-06-20 2005-07-27 ユニ・チャームペットケア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砂及びこれを用いた動物用トイレ
US20050175577A1 (en) * 2004-02-06 2005-08-11 The Clorox Company Absorbent composition with improved odor control
JP3878927B2 (ja) * 2003-07-11 2007-02-07 常陸化工株式会社 ペット用トイレ砂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70289543A1 (en) * 2006-06-16 2007-12-20 The Clorox Company Clumping Animal Litter
JP4332088B2 (ja) * 2004-08-04 2009-09-16 田中貴金属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インフレータ
JP2006246797A (ja) * 2005-03-10 2006-09-21 Shintouhoku Kagaku Kogyo Kk 動物用トイレ砂
JP3683267B1 (ja) * 2005-03-30 2005-08-17 ユニ・チャームペットケア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砂及びこれを用いた動物用トイレ
CA2601172C (en) * 2005-04-04 2014-02-11 Givaudan Sa Solid free-flowing fragrance composition
US7603964B2 (en) * 2005-04-29 2009-10-20 The Clorox Company Composite particle animal litter and method thereof
US20070017453A1 (en) * 2005-07-25 2007-01-25 Fritter Charles F Animal litter containing activated carbon
US7665418B2 (en) * 2006-07-31 2010-02-23 Church & Dwight Co., Inc. Non color-transferable animal litter
JP5134258B2 (ja) * 2007-02-09 2013-01-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砂
EP2124526A2 (en) * 2007-03-15 2009-12-02 Grain Processing Corporation Animal litter, process for preparing animal litter, and method of removal of animal waste
CA2743872A1 (en) * 2008-11-14 2010-05-20 Ross Technology Corporation Long lasting, non-wetting, odor free, easily manageable animal litter and litter box usable therewi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13162A1 (en) 2010-08-04
CN101868142A (zh) 2010-10-20
US20110017143A1 (en) 2011-01-27
KR101462303B1 (ko) 2014-11-14
EP2213162B1 (en) 2018-12-05
AU2008327132A1 (en) 2009-05-28
CN101868142B (zh) 2012-10-31
JP2009125000A (ja) 2009-06-11
JP5183166B2 (ja) 2013-04-17
WO2009066717A1 (ja) 2009-05-28
AU2008327132B2 (en) 2014-07-24
EP2213162A4 (en)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258B1 (ko) 동물용 화장실 모래
KR20100106382A (ko) 동물용 화장실 모래
US9854782B2 (en) Animal litter sand and animal toilet
US9516856B2 (en) Method for producing animal litter sand
TWI659690B (zh) 動物用衛生砂
JP2023072522A (ja) システムトイレ用トイレ砂及びその製造方法
JPS6328337A (ja) 動物用トイレ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