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5286A - 대역 저지 필터 - Google Patents

대역 저지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5286A
KR20100105286A KR1020090032298A KR20090032298A KR20100105286A KR 20100105286 A KR20100105286 A KR 20100105286A KR 1020090032298 A KR1020090032298 A KR 1020090032298A KR 20090032298 A KR20090032298 A KR 20090032298A KR 20100105286 A KR20100105286 A KR 20100105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od
resonator
accommodation space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2089B1 (ko
Inventor
박남신
이돈용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CN201080021423.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428602B/zh
Priority to US13/255,611 priority patent/US9203131B2/en
Priority to PCT/KR2010/001602 priority patent/WO2010107215A2/ko
Publication of KR20100105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3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the coaxial cavity resonators being disposed parall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6Cavity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4Coaxial reson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역 저지 필터에 있어서, 공진봉과; 내부에 공진봉이 위치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수용공간의 형성시 수용공간의 내부 폭에서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하단부보다 더 좁은 다단의 형태로 구성하는 하우징과; 공진봉을 장착하며 하우징의 하부와 결합하며, 하우징과 결합시에 공진봉이 수용공간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조립되며, 수용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 커버와;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진봉에 의해 형성되는 공진기와 커플링되게 하우징에 미리 설정된 홈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전송선로가 설치되는 상기 하우징의 홈을 밀폐하기 위한 밀폐 커버를 포함한다.
필터, 대역 저지, 공진기, 기생 모드, TEM, 튜닝

Description

대역 저지 필터{BAND REJECTION FILTER}
본 발명은 공진기를 이용한 고주파(RF: Radio Frequency) 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주파 필터에서 대역 저지 필터에 관한 것이다.
공진기를 이용한 고주파 필터(DR 필터, 캐비티 필터, 웨이브 가이드 필터 등)는 통상 고주파, 특히 초고주파를 공진하기 위한 일종의 회로통의 구조를 가진다. 일반적인 코일과 콘덴서에 의한 공진회로는 복사손실이 커서 초고주파를 형성하는데 적합지 않다. 이에 RF 필터는 다수의 공진기로 구성되는 각 공진기는 도체로 둘러싸인 금속성 원통 또는 직육면체 등의 수용공간(cavity)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서 유전체 공진 소자(DR: Dielectric Resonance element) 또는 금속 공진봉으로 구성된 공진 소자를 구비시켜, 고유 주파수의 전자기장만이 존재하게 함으로써, 초고주파의 공진이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공진기를 이용한 고주파 필터는 그 주파수 대역의 필터링 특성에 따라서 크게 대역 통과 필터(BPF: Band Pass Filter) 통과 및 대역 저지 필터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이때, 대역 저지 필터는 대역 차단 필터 또는 대역 스탑 필터(band stop tilter) 등으로도 불린다.
이러한 대역 저지 필터는 (대역 통과 필터도 마찬가지지만) 그 필터링 특성을 개선 및 용이한 조정을 위해 부단히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여러 기생 공진 모드에 의한 잡음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기생 공진 모드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대역 저지 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소형화된 사이로 구현이 가능할 수 있는 대역 저지 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필터링 특성의 튜닝이 용이할 수 있는 대역 저지 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역 저지 필터에 있어서, 공진봉과; 내부에 상기 공진봉이 위치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공간의 형성시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 폭에서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하단부보다 더 좁은 다단의 형태로 구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공진봉을 장착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와 결합하며, 상기 하우징과 결합시에 상기 공진봉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조립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 커버와; 상기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상기 공진봉에 의해 형성되는 공진기와 커플링되게 상기 하우징에 미리 설정된 홈 내에 설치되어, 상기 대역 저지 필터의 신호 입력단 및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전송선로와; 상기 전송선로가 설치되는 상기 하우징의 홈을 밀폐하기 위한 밀폐 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대역 저지 필터는 여러 기생 공진 모드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광대역의 통과 대역을 가지며, 보다 소형화된 사이즈로 구현이 가능하며, 필터링 특성의 튜닝이 용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역 저지 필터의 일부 분해 사시도로서, 편의상 하측에서 바라본 상태에서 하부 커버(20)를 하우징(10)에서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평면 및 측면 일부 절단도로서, 도 2의 (a)는 편의상 도 1 중 밀폐 커버(60)를 결합하기 전 상태의 평면을 도시하며, 도 2의 (b)는 도 2의 (a)에서 A-A' 부분을 절단한 상태의 측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 중 하우징(10)의 평면, 하면 및 측면 일부 절단도로서, 도 3의 (a)는 평면을 나타내며, 도 3의 (b)는 도 2의 (a)에서 A-A' 부분을 절단한 상태의 하우징(10)의 측면을 나타내며, 도 3의 (b)는 하면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1 중 신호 전송선로(10)의 평면 및 측면도로서, 도 4의 (a)는 평면, 도 4의 (b)는 측면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역 저지 필터는 예를 들어 황동 또는 철 등의 재질의 금속으로 구성되는 공진봉(30)을 각각 구비하 는 다수의 수용공간(14)을 구비하며, 다수의 수용공간(14)은 격막에 의해 서로 구분된다. 각각의 수용공간(14)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재질로 구성되는 하우징(10)에서 절삭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수용공간(14) 및 해당 수용공간(14)의 내부에 설치되는 공진봉(30)은 하나의 공진기를 형성한다.
이때 각각의 공진봉(30)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하부 커버(20)에 장착되며, 하부 커버(30)가 나사 결합 등을 통해 하우징(10)에 결합될 때에 일괄적으로 각각의 수용공간(14)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 수용공간(14)의 내부 바닥면은 하부 커버(20)에 의해 형성된다. 도 1에 보다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커버(20) 및 이와 대응하는 부분의 하우징(10)에는 적소에 다수의 나사홀(22) 및 나사홈(12)이 형성되며, 나사홀(22) 및 나사홈(12)에 체결되는 나사(24)에 의해 하부 커버(20)가 하우징(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각 수용공간(14) 및 해당 수용공간(14) 내부의 공진봉(30)에 의해 형성되는 각각의 공진기와 커플링되기 위한 전송선로(50)가 각 공진기 구조의 상측에 설치된다. 전송선로(50)는 해당 대역 저지 필터의 신호 입력단(42) 및 출력단(44) 사이를 연결하도록 일렬로, 예를 들어 직선 형태, 또는 지그재그 형태, 또는 원형 형태 등으로 형성되어, 입력단(42)에서 입력되어 출력단(44)으로 출력되는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해당 신호가 전송선로(50)를 통과하면서 하부에 위치한 공진기에 의해 해당 주파수 대역이 커플링되어 제거됨으로써, 해당 필터가 대역 저지 특성을 갖도록 한다. 이러한 전송선로(50)는 도 4에 보다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띠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50Ω 케이블과 같은 형태 및 사각 바(bar) 등의 형 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전송선로(50)는 하우징(10)에서 예를 들어 상기 공진기 위치의 상부에 적절히 형성되는 홈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설치되는 전송선로(50)의 상부에는 다시 하우징(10)의 상부, 즉 상기 전송선로(50)가 설치되는 홈을 밀폐하기 위한 밀폐 커버(60)가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결합되어 최종적으로 대역 저지 필터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대역 저지 필터에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수용공간(14)의 내부 폭이, 상단부(142)의 적어도 일부의 폭이 전체적으로 하단부보다 더 좁은 형태로 다단으로 설계된다. 도 2 및 도 3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4)의 상단부(142)는 공진봉(30)의 상단의 측면과 상당히 근접하도록 좁은 폭을 가지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의 예에서는 수용공간(14)의 하단부의 평면 형태는 대략적으로 사각형이며, 상단부의 평면 형태는 원형으로 형성됨이 도시되고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수용공간의 평면 형태는 하단부도 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는 등 이외에도 다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용공간(14)의 상단부(142)를 공진봉(30)의 상단 측면에 근접하도록 좁은 폭으로 설정하는 것은 수용공간(14)의 상단부(142)와 공진봉(30)(의 상단 측면)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커패시턴스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대역 저지 필터는 LC 공진에 의해 차단 주파수를 설계하는데, 상기 공진봉(30)의 길이는 인덕턴스(L)에 주로 영향을 주며, 공진봉(30)과 수용공간(14)간에 형성되는 간격은 커패시턴스(C)에 밀접한 영향을 준다. 본 발명에서는 해당 공진기에서 요구되는 메인 공진 모드(예를 들어 TEM 모드) 외의 기생 공진 모 드(예를 들어 TE 모드 TM 모드 등)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원하는 차단 주파수에 해당하는 공진기의 설계시 공진기의 커패시턴스(C)를 높이고 인덕턴스(L)를 줄이는 방향으로 설계하게 된다. 또한 수용공간 자체에서 발생하는 기생 공진 모드를 억제하기 위해서 수용공간의 사이즈도 되도록이면 작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수용공간(14)의 상단부(142)를 좁은 폭으로 설정하여 공진봉(30)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커패시턴스를 상당량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이 공진기에서 커패시턴스를 증가시킴에 따라 아울러 인덕턴스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이에 따라 공진봉(30)의 길이를 줄어들게 설계함으로써, 공진봉(30)의 2차 3차 기생모드를 통과 대역을 벗어나서 발생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전체 수용공간의 사이즈(즉, 높이)는 줄어들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수용공간의 크기도 줄일 수 있어서, 보다 소형화된 사이로 필터를 설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수용공간(14)의 상단부(142)의 폭을 더욱 좁게 하거나, 폭이 좁은 부위를 더욱 많게 할수록 상기 커패시턴스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으나, 그럴 경우에는 해당 공진기에서 전송선로(50)간의 커플링이 약해지는 등 전체적인 특성이 나빠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점들을 고려하여 수용공간(14)의 상단부(142)의 폭 및 상단부(142)와 하단부의 비율 등을 적절히 설계하게 된다.
또한 이때 공진기와 전송선로(50)간의 커플링 조정을 위해 수용공간(14)의 상단부(142) 끝단에는 도 2 및 도 3에 보다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조정홈(146)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커플링 조정홈(146)의 크기를 가변하여 대역 저지 커플링 양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공진봉(30)은 통상적으로 수용공간(14) 내부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되었으나,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도 1 및 도 2에 보다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봉(30)의 하단부는 나사 구조(32)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나사 구조(32)는 하부 커버(34)의 적소에 형성된 나사홀을 통해 하부 커버(30) 외부로 얼마간 더 돌출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하부 커버(30)의 외부에서는 상기 공진봉(30)의 나사 구조(32)와 결합되어, 공진봉(30)을 고정시키는 너트(34)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공진봉(30)에 나사 구조(32)를 형성하는 것은 별도의 주파수 튜닝을 위한 튜닝 나사 등의 구비없이, 각 공진기에서의 주파수 튜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공진봉(30)의 나사 구조(32)의 인입 또는 인출을 통해 공진봉(30)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주파수 튜닝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의 예에서는 상기 공진봉(30)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다른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도시되고 있다. 즉, 공진봉(30)의 하단부는 상단부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차단 주파수를 낮추기 위한 것으로서, 이때에도 하단부의 폭이 너무 좁을 경우에는 Q(Quality factor) 특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 저지 필터의 평면 및 측면 일부 절단도로서, 도 5의 (a)는 상부 커버(60')이 결합한 상태의 평면의 도시하며, 도 5의 (b)는 편의상 상부 커버(60')를 결합하기 전 상태의 평면을 도시하며, 도 5의 (c)는 도 5의 (a)에서 A-A' 부분을 절단한 상태의 측면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 저지 필터는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 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게 공진봉(30')을 각각 구비하는 다수의 수용공간(14)을 통해 공진기를 형성하며, 각각의 수용공간(14)은 상단부(142)의 폭이 더 좁아지는 형태로 다단으로 설계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에서는 공진봉(30')의 하단부가 나사 구조를 가지지 않고 하부 커버(20')에 고정되게 장착된다. 또한, 전송선로(5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공진기의 중심축에서 일측으로 벗어난 위치에서 (띠 형태가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해당 대역 저지 필터의 입력단(42') 및 출력단(44')과 연결된다. 또한, 이와 같이 설치되는 전송선로(50)의 상부에는 다시 하우징(10')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상부 커버(60')가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데, 상부 커버(60')에는 각각의 공진봉(30')과의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홀이 형성되며, 각각의 나사홀에는 해당 위치의 대응되는 공진봉(30')과의 커플링 조절이 가능한 튜닝 나사(72)가 상부 커버(60')의 내외부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길이를 가지고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이와 더불어 상부 커버(60')의 외부에서는 상기 튜닝 나사(72)와 결합되어, 튜닝 나사(72)을 고정시키는 너트(74)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 저지 필터의 특징 은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비해서, 공진봉(30')은 고정시키면서 별도의 튜닝 나사(72)를 이용하여 각 공진기 각 공진기에서의 주파수 튜닝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 저지 필터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측면 일부 절단도로서, 도 7은 도 6에서 A-A' 부분을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 저지 필터는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 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게 공진봉(30')을 각각 구비하는 다수의 수용공간(14')을 통해 공진기를 형성하며, 각각의 수용공간(14')은 상단부(142')의 폭이 더 좁아지는 형태로 다단으로 설계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구조에서는 공진봉(30')의 하단부가 나사 구조를 가지지 않고 하부 커버(20')에 고정되게 장착된다. 또한, 전송선로(50')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10')에서 공진기 위치의 상부 측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적절히 형성되는 홈 내에 (띠 형태가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또한 이와 더불어, 하우징(10')의 외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해당 대역 저지 필터의 입력단(42') 및 출력단(44')과 연결된다. 또한, 이러한 전송선로(50')가 설치되는 하우징(10')에서의 홈을 밀폐하기 위한 밀폐 커버(60')가 나사 결합 등에 의해 하우징(10')과 측면에서 결합된다.
또한, 하우징(10')의 상부판에는 각각의 공진봉(30')과의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홀이 형성되며, 각각의 나사홀에는 해당 위치의 대응되는 공진봉(30')과의 커플링 조절이 가능한 튜닝 나사(72)가 하우징(10')의 상부판의 내외부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길이를 가지고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이와 더불어 하우징(10')의 상부판의 외부에서는 상기 튜닝 나사(72)와 결합되어, 튜닝 나사(72)를 고정시키는 너트(74)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 저지 필터의 특징은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비해서, 공진봉(30')은 고정시키면서 별도의 튜닝 나사(72)를 이용하여 각 공진기 각 공진기에서의 주파수 튜닝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역 저지 필터의 대역 저지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역 저지 필터는 예를 들어, 약 2.64GHz 대역의 중심 차단 주파수를 가지면서, 약 14.7GHz 대역까지 다른 여타의 기생 공진 모드에 의한 영향을 거의 차단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수용공간의 상단부 중 일부(또는 전부)를 하단부에 비해 좁은 폭으로 설계하여 공진봉과의 간격을 좁혀 LC 공진시의 커패시턴스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공진봉의 2차 3차 기생 주파수를 5차 6차 이상의 주파수로 밀어 올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더불어, 수용공간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수용공간 자체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기생 모드를 원하는 주파수까지(대략 저지 주파수의 6 내지 7배 가량) 밀어 올릴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대역 저지 필터가 구성 및 동작될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공진봉 자체를 인입 또는 인출 시키므로 주파수 튜닝이 가능하도록 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튜닝 나사를 구비하여 주파수 튜닝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이들을 구조를 조합하여, 별도의 튜닝 나사 및 공진봉 자체의 인입, 인출 방식을 모두 가지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역 저지 필터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 및 측면 일부 절단도
도 3은 도 1 중 하우징의 평면, 하면 및 측면 일부 절단도
도 4는 도 1 중 신호 전송선로의 평면 및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 저지 필터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 저지 필터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측면 일부 절단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역 저지 필터의 대역 저지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Claims (6)

  1. 대역 저지 필터에 있어서,
    공진봉과,
    내부에 상기 공진봉이 위치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공간의 형성시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 폭에서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하단부보다 더 좁은 다단의 형태로 구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공진봉을 장착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와 결합하며, 상기 하우징과 결합시에 상기 공진봉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조립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 커버와,
    상기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상기 공진봉에 의해 형성되는 공진기와 커플링되게 상기 하우징에 미리 설정된 홈 내에 설치되어, 상기 대역 저지 필터의 신호 입력단 및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전송선로와,
    상기 전송선로가 설치되는 상기 하우징의 홈을 밀폐하기 위한 밀폐 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저지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봉의 하단부는 나사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나사 구조는 상기 하부 커버의 상기 공진봉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나사홀을 통해 상기 하부 커버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 커버의 외부에서는 상기 공진봉의 나사 구조와 결합되어, 공진봉을 고정시키는 너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저지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판에는 상기 공진봉과의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홀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홀에는 해당 위치의 대응되는 공진봉과의 커플링 조절이 가능한 튜닝 나사가 상기 하우징 상부판의 내외부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길이를 가지고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판의 외부에서는 상기 튜닝 나사와 결합되어, 상기 튜닝 나사를 고정시키는 너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저지 필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판에는 상기 공진봉과의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홀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홀에는 해당 위치의 대응되는 공진봉과의 커플링 조절이 가능한 튜닝 나사가 상기 하우징 상부판의 내외부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길이를 가지고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판의 외부에서는 상기 튜닝 나사와 결합되어, 상기 튜닝 나사를 고정시키는 너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저지 필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봉의 하단부는 상기 공진봉의 상단부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저지 필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상단부 끝단에는 커플링 조정을 위한 커플링 조정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저지 필터.
KR1020090032298A 2009-03-16 2009-04-14 대역 저지 필터 KR100992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80021423.1A CN102428602B (zh) 2009-03-16 2010-03-15 带阻滤波器
US13/255,611 US9203131B2 (en) 2009-03-16 2010-03-15 Band stop filter
PCT/KR2010/001602 WO2010107215A2 (ko) 2009-03-16 2010-03-15 대역 저지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22380 2009-03-16
KR1020090022380 2009-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286A true KR20100105286A (ko) 2010-09-29
KR100992089B1 KR100992089B1 (ko) 2010-11-05

Family

ID=43009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298A KR100992089B1 (ko) 2009-03-16 2009-04-14 대역 저지 필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03131B2 (ko)
KR (1) KR100992089B1 (ko)
CN (1) CN10242860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031B1 (ko) * 2012-07-20 2013-06-12 주식회사 이너트론 통과 대역의 반사 손실을 제어하기 위한 대역 저지 필터
KR20130140724A (ko) * 2010-12-23 2013-12-24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튜닝 가능한 고주파 필터
KR20190015958A (ko) * 2017-08-07 2019-02-15 주식회사 이너트론 통신 컴포넌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6319B2 (en) * 2012-03-13 2016-04-2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9520631B2 (en) * 2012-10-17 2016-12-13 Futurwei Technologies, Inc. Spherical filter
GB201222320D0 (en) * 2012-12-12 2013-01-23 Radio Design Ltd Filter assembly
CN105449333A (zh) * 2015-10-27 2016-03-30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八研究所 一种不依赖电路的微波腔体稳定性优化方法及基于其获得的小型化微波组件
KR101848259B1 (ko) 2016-09-09 2018-04-16 주식회사 이너트론 공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CN106602191A (zh) * 2016-12-14 2017-04-26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高性能带阻滤波器及其通信腔体器件
KR101887362B1 (ko) * 2017-02-03 2018-08-10 주식회사 이너트론 통신 컴포넌트
CN110417252A (zh) * 2019-07-17 2019-11-05 陕西千山航空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电源滤波盒
WO2021167357A1 (ko) * 2020-02-20 2021-08-26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캐비티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81247A (en) * 1940-02-29 1942-04-28 Rca Corp Ultra short wave resonant circuit
US3703689A (en) * 1971-02-26 1972-11-21 Microdyne Corp Microwave varactor-tuned resonator for preselector
JPS57136802A (en) * 1981-02-17 1982-08-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axial filter
US4794354A (en) * 1987-09-25 1988-12-27 Honeywell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modifying microwave
FI88979C (fi) * 1990-12-17 1993-07-26 Telenokia Oy Hoegfrekvensbandpassfilter
JP3014044B2 (ja) 1998-04-09 2000-02-28 福島日本電気株式会社 半同軸共振器および半同軸共振器ろ波器
FI982551A (fi) * 1998-06-11 1999-12-12 Lk Products Oy Yhtenäisistä kappaleista muodostuva suurtaajuussuodatin
SE513349C2 (sv) * 1998-08-12 2000-08-28 Allgon Ab Kavitetsresonator
JP3514175B2 (ja) 1999-07-30 2004-03-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US6362707B1 (en) * 2000-01-21 2002-03-26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Easily tunable dielectrically loaded resonators
JP2001211005A (ja) 2000-01-26 2001-08-03 Toko Inc 誘電体デュプレクサとその周波数調整方法
JP2005159597A (ja) 2003-11-25 2005-06-16 Murata Mfg Co Ltd 共振器装置、フィルタ、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FI121514B (fi) * 2004-05-12 2010-12-15 Filtronic Comtek Oy Kaistanestosuodatin
JP2008148280A (ja) 2006-11-13 2008-06-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共振器
CN200997433Y (zh) * 2006-12-31 2007-12-26 深圳国人通信有限公司 内导体有台阶的同轴谐振腔
CN201134487Y (zh) * 2007-12-27 2008-10-15 奥雷通光通讯设备(上海)有限公司 用于wimax通信系统的带阻滤波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0724A (ko) * 2010-12-23 2013-12-24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튜닝 가능한 고주파 필터
KR101274031B1 (ko) * 2012-07-20 2013-06-12 주식회사 이너트론 통과 대역의 반사 손실을 제어하기 위한 대역 저지 필터
KR20190015958A (ko) * 2017-08-07 2019-02-15 주식회사 이너트론 통신 컴포넌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28602A (zh) 2012-04-25
KR100992089B1 (ko) 2010-11-05
CN102428602B (zh) 2015-01-28
US9203131B2 (en) 2015-12-01
US20110316650A1 (en) 201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089B1 (ko) 대역 저지 필터
EP3208885B1 (en) Multi-mode resonator
JP2016201801A (ja) クロスカップリングを利用する空洞フィルタ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
KR20120071233A (ko) 주파수 튜닝이 가능한 공진기 필터 및 이러한 필터를 이용하여 주파수를 튜닝하는 방법
EP2814112A1 (en) Resonant assembly
Chen et al. An evanescent-mode tunable dual-band filter with independently-controlled center frequencies
US9812751B2 (en) Plurality of resonator cavities coupled by inductive apertures which are adjusted by capacitive parts
US4210884A (en) Helical resonator band pass filter with novel coupling means
KR101115323B1 (ko) 대역 저지 필터 및 그에 의한 대역 저지 필터 회로
US20100265009A1 (en) Stacked lc resonator and bandpass filter of using the same
KR101187644B1 (ko) 커플링 튜닝 플레이트를 구비한 대역저지필터
KR101062222B1 (ko) 광대역 고주파 필터
KR101274031B1 (ko) 통과 대역의 반사 손실을 제어하기 위한 대역 저지 필터
Wu et al. Dual-band bandpass filter using coaxial stepped impedance resonators
KR101892081B1 (ko) 주파수 튜너블 공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주파수 필터
WO2010107215A2 (ko) 대역 저지 필터
JP5481293B2 (ja) 分布定数線路型バンドパスフィルタ
WO2014101320A1 (en) An adjustable coupling for use with an input resonator and/or an output resonator of a bandpass filter
JP2006157198A (ja) 非導波管線路−導波管変換器
Jiang et al. Design of balanced dual-band filter with reconfigurable center frequencies
EP2814111B1 (en) Resonant assembly
US20120019339A1 (en) Filter utilizing combination of TE and modified HE mode dielectric resonators
del Castillo Velazquez-Ahumada et al. Design of a dual band-pass filter using modified folded stepped-impedance resonators
KR102604231B1 (ko) 고차 공진모드 억제를 위한 세라믹 도파관 필터
US10756403B2 (en) Filter comprising resonator assemblies including a first cavity with a first resonant member and a second cavity with a second resonant member, where a part of the first cavity forms the second resonant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