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4884A - 포인터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 Google Patents

포인터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4884A
KR20100104884A KR1020090023583A KR20090023583A KR20100104884A KR 20100104884 A KR20100104884 A KR 20100104884A KR 1020090023583 A KR1020090023583 A KR 1020090023583A KR 20090023583 A KR20090023583 A KR 20090023583A KR 20100104884 A KR20100104884 A KR 20100104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er
contact
touch sensing
sensing uni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2594B1 (ko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김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수 filed Critical 김연수
Priority to KR1020090023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594B1/ko
Priority to US13/257,167 priority patent/US20120007805A1/en
Priority to PCT/KR2010/001542 priority patent/WO2010107208A2/ko
Publication of KR20100104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은,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장착되어, 별도의 접촉매체가 접촉됨에 따라 상기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위치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접촉매체가 상기 터치감지부에 접촉된 상태로 드래그 될 때 상기 접촉매체의 드래그 방향을 따라 상기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은, 디스플레이되는 포인터가 이동 가능하므로 활용도가 매우 높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포인터의 이동속도 및 이동거리가 조정될 수 있으므로 이용이 매우 편리하며, 포인터 이동을 위한 별도의 터치패드가 필요 없으므로 구조가 간단해지고 디자인이 미려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터치스크린, 가압, 포인터, 이동, 방향, 거리

Description

포인터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터치스크린{Touch-screen for displaying pointer}
본 발명은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포인터가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터치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이나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각종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유닛이 최근 들어 터치스크린으로 채택되면서, 기존의 입력장치인 각종 키패드 및 방향키들이 사라지고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직접 터치함으로써 문자입력이나 각종 신호입력을 하는 추세에 있다.
각종 키패드 및 방향키가 삭제된 터치스크린으로는 방향입력이 불가하므로, 상기 터치스크린에는 마우스 포인터가 디스플레이되지 아니하게 되는데, 근래 들어 휴대폰이나 PMP에 인터넷이나 게임 기능이 추가되면서 터치스크린에도 마우스 포인터의 활용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마우스 포인터가 디스플레이되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터치패드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상태로 이동한 상대적 거리를 인식하여 이 상대적 거리와 속도에 비례한 만큼 터치스크린상의 포인터가 이동하도록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별도의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경우, 제품의 소형화에 한계가 발생되고, 터치스크린을 가압하는 조작과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조작이 서로 다른 공간에서 이루어지므로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있으며, 통상적으로 터치패드 상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움직인 거리보다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가 움직인 거리가 크게 설정되는바 포인터를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터치패드 상에서 손가락을 어느 정도의 거리만큼 드래그를 하여야 자신이 원하는 지점에 포인터가 위치되는지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으므로,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별도의 터치패드 없이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신호 입력을 통해 포인터의 이동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은,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장착되어, 별도의 접촉매체가 접촉됨에 따라 상기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위치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접촉매체가 상기 터치감지부에 접촉된 상태로 드래그 될 때 상기 접촉매체의 드래그 방향을 따라 상기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접촉매체의 드래그와 동일한 벡터값을 갖는 방향과 속력으로 상기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터치감지부 중 상기 접촉매체가 접촉된 지점과 대응되는 지점에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터치감지부 중 상기 접촉매체가 접촉된 지점과 이격된 지점에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접촉매체의 드래그 거리를 사전에 설정된 비율로 증폭시킨 거리만큼 상기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접촉매체가 상기 터치감지부에 최초 접촉되었을 때 상기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터치감지부에 인가되는 상기 접촉매체의 접촉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접촉매체가 상기 터치감지부 상에서 드래그 될 때 상기 터치감지부에 인가되는 상기 접촉매체의 접촉압력의 크기를 가중치로 하여 상기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 거리를 증감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은,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장착되어, 별도의 접촉매체가 접촉됨에 따라 상기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위치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터치감지부 상의 어느 한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접촉매체가 접촉된 접촉점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기준점과 대응되는 지점에 기준점마크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터치감지부 중 상기 기준점마크와 대응되는 지점이 접촉되었을 때, 신호입력 기능이 구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접촉점까지의 거리와는 관계없이 사전에 설정된 거리만큼 상기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접촉매체가 상기 터치감지부에 접촉된 횟수만큼 상기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접촉매체가 상기 터치감지부에 접촉된 시간에 비례하여 상기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 거리를 증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터치감지부에 인가되는 상기 접촉매체의 접촉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터치감지부에 인가되는 상기 접촉매체의 접촉압력의 크기를 가중치로 하여 상기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 거리를 증감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접촉매체가 상기 터치감지부에 첫 번째로 접촉된 지점은 상기 기준점으로 설정되고, 상기 기준점이 설정된 이후 상기 접촉매체가 상기 터치감지부에 접촉된 지점은 접촉점으로 설정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접촉매체가 상기 터치감지부에 최초 접촉되었을 때 상기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은,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장착되어, 별도의 접촉매체가 접촉됨에 따라 상기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위치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감지부; 상기 터치감지부에 인가되는 상기 접촉매체의 접촉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압력이 수직압력 성분과 수평압력 성분을 갖도록 비스듬히 인가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수평압력 방향으로 상기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시키고 상기 수직압력의 크기를 가중치로 하여 상기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 거리를 증감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은, 디스플레이되는 포인터가 이동 가능하므로 활용도가 매우 높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포인터의 이동속도 및 이동거리가 조정될 수 있으므로 이용이 매우 편리하며, 포인터 이동을 위한 별도의 터치패드가 필요 없으므로 구조가 간단해지고 디자인이 미려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패드의 수직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터치패드의 구동원리를 도시하는 수직단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패드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은, 포인터(300)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0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00) 상에 장착되어 별도의 접촉매체(10)(도 2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스타일러스펜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가 접촉됨에 따라 상기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 위치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감지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디스플레이부(100)와 터치감지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210)에 의해 상호 이격되어 있다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매체(10)가 터치감지부(200)에 하향 접촉압력(20)을 인가하여 터치감지부(200)가 디스플레이부(100)에 접촉되는 경우 접촉매체(10)의 위치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상면에는 터치감지부(200)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층이 구비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매체(10)의 접촉압력(20)에 의해 터치감지부(200)가 디스플레이부(100)에 접촉됨으로써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조는, 저항막 방식 (Resistive Overlay)의 터치스크린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은, 상기 접촉매체(10)가 상기 터치감지부(200)에 접촉된 상태로 드래그 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접촉매체(10)의 드래그와 동일한 벡터값을 갖는 방향과 속력으로 상기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즉, 포인터(300)가 접촉매체(10)를 따라 이동하는 것처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은, 별도의 터치패드 없이 터치스크린 상면(더 명확하게는 터치감지부(200) 상면)에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펜과 같은 접촉매체(10)를 드래그시키는 조작으로 포인터(300)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구성이 간단해지고 외관이 심플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터치패드를 이용하는 종래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접촉압력을 가하는 지점과 포인터(300)가 디스플레이되는 지점이 각각 분리되어 있으므로 포인터(300)를 디스플레이화면 상의 어느 한 지점에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어려웠으나,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은 디스플레이화면 상에 접촉압력을 인가받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포인터(300)를 디스플레이화면 상의 어느 한 지점으로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조작이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감지부(200) 중 상기 접촉매체(10)가 접촉된 지점과 대응되는 지점에 포인터(300)를 디 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포인터(300)가 접촉매체(10)에 의해 가려지므로 상기 포인터(300)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어려워진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접촉매체(10)와 포인터(300)가 서로 겹치지 아니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감지부(200) 중 상기 접촉매체(10)가 접촉된 지점과 이격된 지점에 포인터(30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촉매체(10)와 포인터(300)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면, 사용자는 포인터(300)가 지시하는 정확한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접촉매체(10)의 드래그 거리만큼 포인터(300)가 이동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접촉매체(10)의 드래그 거리와 포인터(300)의 이동거리는 서로 다르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접촉매체(10)의 드래그 거리를 사전에 설정된 비율로 증폭시킨 거리만큼 상기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접촉매체(10)의 드래그 거리보다 포인터(300)의 이동거리가 증폭되도록 설정되는 경우, 사용자는 접촉매체(10)를 조금만 움직이더라도 포인터(300)를 멀리까지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은 접촉매체(10)의 드래그에 의해 포인터(300)가 이동되는 구조로만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방식의 접촉매체(10) 조작을 통해 포인터(300)가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매체(10)가 최초로 터치감지부(200)를 터치하였을 때 포인터(300)를 디스플레이하고(도 5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상태), 상기 접촉매체(10)가 터치감지부(200)의 다른 부위를 터치하였을 때 새로운 터치 부위에 포인터(300)를 디스플레이하도록(도 5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상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포인터(300)가 접촉매체(10)의 터치 부위를 따라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면, 포인터(300)를 순간적으로 멀리까지 이동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빠른 조작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터치감지부(200) 상에 설정된 하나의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접촉매체(10)가 접촉된 접촉점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터치감지부(200) 상의 기준점과 대응되는 지점에 기준점마크(110)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점마크(110)와 이격된 지점에 접촉매체(10)를 터치시켰을 때, 포인터(300)는 기준점마크(110)로부터 접촉매체(10) 터치지점을 향하는 방향으로(도 7에서는 좌측으로) 이동된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즉, 기준점마크(110)는 상기에서 언급한 '터치감지부(200) 상에 설정된 하나의 기준점'이 되고, 접촉매체(10) 터치지점은 상기에서 언급한 '접촉점'이 되어, 상기 포인터(300)는 기준점으로부터 접촉점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된 지점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접촉매체(10)의 터치를 한번 더 반복하게 되면 상기 포인터(300)는 도 7에 도시된 지점으로부터 또 다시 좌측으로 이동된 지점에 디스플레이된다. 즉, 사용자가 기준점마크(110)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된 지점을 접촉매체(10)로 여러 번 반복 터치하는 경우, 상기 포인터(300)는 좌측을 향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준점마크(110)는 단순히 포인터(300)의 이동 기준점을 표시하는 기능으로만 한정되지 아니하고, 접촉매체(10)가 접촉되었을 때 신호입력 기능이 구현되도록(예를 들어 엔터키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접촉매체(10)가 기준점마크(110)에 접촉되었을 때 신호입력 기능이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는 기준점마크(110)와 이격된 지점을 터치하여 포인터(300)를 이동시키다가 상기 포인터(300)가 자신이 원하는 지점에 위치되었을 때 기준점마크(110)를 터치함으로써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는 것과 동일한 동작 구현을 얻을 수 있게된다.
이때, 상기 접촉매체(10)가 기준점마크(110)와 이격된 접촉점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이동하는 거리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인터(300)는, 기준점마크(110)와 접촉점 간의 거리에 관계없이 사전에 설정된 거리만큼만 디스플레이위치가 이동될 수도 있으며, 기준점마크(110)와 접촉점 간의 거리에 비례하여 디스플레이 위치가 이동될 수도 있고, 접 촉매체(10)가 터치감지부(200)에 접촉된 시간에 비례하여 디스플레이 위치가 이동될 수도 있다.
기준점마크(110)와 접촉점 간의 거리에 관계없이 사전에 설정된 거리만큼만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접촉매체(10)를 터치감지부(200)에 접촉함으로써 포인터(300)를 이동시키는 조작은, 방향키를 이용하여 포인터(300)를 이동시키는 조작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은 별도의 방향키가 마련되지 아니하더라도 포인터(300)가 상하 및 좌우로 움직여야 하는 각종 게임이나 문서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포인터(300)가 마우스 커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포인터(300)는 문서작성 프로그램의 문자입력 커서나, 게임의 유닛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 위치 이동 거리가 가변적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는 보다 좁은 영역 내에서도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 위치 이동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기준점마크(110)가 기준점 역할을 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기준점은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감지부(200)를 처음 터치한 지점이 기준점이 되고, 터치감지부(200)를 두 번째로 터치한 지점이 접촉점이 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기준점의 위치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설정되도록 구성되면, 사용자는 접촉매체(10)가 어느 지점에 터치되고 있는지를 눈으로 확인하지 아니하고서도 포인터(300)를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접촉매체(10)가 상기 터치감지부(200)에 처음으로 접촉된 지점은 기준점으로 설정되고, 기준점이 설정된 이후 상기 접촉매체(10)가 상기 터치감지부(200)에 접촉되는 지점들은 모두 접촉점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매체(10)가 처음으로 터치감지부(200)에 접촉된 ①번 지점은 기준점이 되고, 접촉매체(10)가 두 번째로 터치감지부(200)에 접촉된 ②번 지점은 첫 번째 접촉점이 되어 포인터(300)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준점이 설정된 상태에서 접촉매체(10)가 세 번째로 터치감지부(200)에 접촉된 ③번 지점은 두 번째 접촉점이 되어 포인터(300)는 또 다시 이동하게 된다. 이때, ③번 지점은 ②번 지점에 대해 우상향으로 이동된 지점이지만 상기 포인터(300)는 우상향으로 이동하지 아니하고, 기준점인 ①번 지점으로부터의 방향을 계산하여 상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터치감지부(200) 중 상기 기준점 및 접촉점과 대응되는 지점에 포인터(30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포인터(300)가 접촉매체(10)에 가려짐으로써 사용이 불편하게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감지부(200) 중 상기 기준점 및 접촉점과 이격된 지점에 포인터(30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촉매체(10)가 기준점으로부터 약간 이격된 지점을 터치하더라도 상기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위치가 멀리까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기준점과 접촉점 간의 거리를 사전에 설정된 비율로 증폭시킨 거리만큼 상기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각각의 실시예에서, 포인터(300)는 접촉매체(10)가 터치감지부(200)에 접촉되기 이전부터 디스플레이부(100)에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으나, 포인터(300)가 필요 없는 상태에서도 상기 포인터(300)가 항상 디스플레이되면 디스플레이부(100) 화면을 가리는 역할만을 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포인터(300)는, 접촉매체(10)가 최초 터치감지부(200)에 터치되었을 때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터치패드의 제2 실시예 수직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패드의 제2 실시예 구동원리를 도시하는 수직단면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터치패드의 제2 실시예 사용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터치패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와 터치감지부(20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터치감지부(200)에 인가되는 상기 접촉매체(10)의 접촉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40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센서(400)는 접촉압력(20)이 비스듬히 인가될 때, 상기 접촉 압력(20)을 디스플레이부(100)의 상면과 직각을 이루는 수직압력(22) 성분과,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상면과 나란한 수평압력(24) 성분으로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인가되는 압력을 수직성분과 수평성분으로 구분하여 감지하는 센서는 이미 여러 분야에서 널리 상용화되어 있는바, 상기 압력센서(400)의 동작원리 및 상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압력센서(400)가 추가되면, 사용자가 얼마나 큰 힘으로 접촉매체(10)를 터치감지부(200)에 가압하는지에 따라 여러 가지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매체(10)가 비스듬히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터치감지부(200)를 가압하는 상태로 드래그 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수평압력(24) 방향으로 상기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시키되 상기 수직압력(22)의 크기를 가중치로 하여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 거리를 증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접촉압력(20)이 비교적 작은 상태로 접촉매체(10)를 드래그시키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접촉매체(10)의 드래그 거리보다 약간 더 멀리까지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이동시키고, 접촉압력(20)이 매우 큰 상태로 상기 접촉매체(10)를 드래그시키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접촉매체(10)의 드래그 거리 수배에 달하도록 멀리까지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이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사용자는 접촉매체(10) 를 터치감지부(200)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포인터(300)의 이동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접촉매체(10)를 드래그시키는 경우 뿐만 아니라,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매체(10)를 기준점과 이격된 지점에 터치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접촉매체(10)를 터치감지부(200)에 터치하는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포인터(300)의 이동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와 같이 압력센서(400)가 추가로 구비되면, 상기 접촉매체(10)를 이동시키지 아니하더라도 접촉매체(10)의 접촉압력 방향을 디스플레이부(100)의 상면과 경사지게 가하는 조작만으로 포인터(300)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매체(10)를 좌상향으로 비스듬한 방향으로 상기 터치감지부(200)에 접촉압력(20)을 인가하는 경우, 상기 압력센서(400)는 접촉압력(20)의 수평성분인 수평압력(24)을 감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터치감지부(200)에 인가된 수평압력(24)의 방향으로 상기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압력센서(400)와 디스플레이부(100)가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사용자는 접촉매체(10)를 터치감지부(200)의 어느 한 지점에 고정시킨 상태로 접촉압력(20)의 방향만을 변경시킴으로써 포인터(300)를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도 12에 도시된 경우에도,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접촉압력(20)의 수직성분인 수직압력(22)의 크기를 가중치로 하여 상기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 거리를 증감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이 저항막 방식으로 구성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은 정전용량 방식이나 적외선 방식 등 다양한 종류의 터치스크린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정전용량 방식이나 적외선 방식의 터치스크린에도 상기 언급한 압력센서를 추가로 구비시킴으로써 포인터의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패드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터치패드의 구동원리를 도시하는 수직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패드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터치패드의 제2 실시예 수직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패드의 제2 실시예 구동원리를 도시하는 수직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터치패드의 제2 실시예 사용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접촉매체 20 : 접촉압력
100 : 디스플레이부 110 : 기준점마크
200 : 터치감지부 300 : 포인터
400 : 압력센서

Claims (17)

  1. 포인터(300)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00);
    상기 디스플레이부(100) 상에 장착되어, 별도의 접촉매체(10)가 접촉됨에 따라 상기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 위치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감지부(200);
    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접촉매체(10)가 상기 터치감지부(200)에 접촉된 상태로 드래그 될 때 상기 접촉매체(10)의 드래그 방향을 따라 상기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접촉매체(10)의 드래그와 동일한 벡터값을 갖는 방향과 속력으로 상기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터치감지부(200) 중 상기 접촉매체(10)가 접촉된 지점과 대응되는 지점에 포인터(300)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터치감지부(200) 중 상기 접촉매체(10)가 접촉된 지점과 이격된 지점에 포인터(300)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접촉매체(10)의 드래그 거리를 사전에 설정된 비율로 증폭시킨 거리만큼 상기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접촉매체(10)가 상기 터치감지부(200)에 최초 접촉되었을 때 상기 포인터(30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감지부(200)에 인가되는 상기 접촉매체(10)의 접촉압력(20)을 감지하는 압력센서(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접촉매체(10)가 상기 터치감지부(200) 상에서 드래그 될 때 상기 터치감지부(200)에 인가되는 상기 접촉매체(10)의 접촉압력(20)의 크기를 가중치로 하여 상기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 거리를 증감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8. 포인터(300)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00);
    상기 디스플레이부(100) 상에 장착되어, 별도의 접촉매체(10)가 접촉됨에 따라 상기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 위치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감지부(200);
    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터치감지부(200) 상의 어느 한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접촉매체(10)가 접촉된 접촉점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기준점과 대응되는 지점에 기준점마크(1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감지부(200) 중 상기 기준점마크(110)와 대응되는 지점이 접촉되었을 때, 신호입력 기능이 구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접촉점까지의 거리와는 관계없이 사전에 설정된 거리만큼 상기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접촉매체(10)가 상기 터치감지부(200)에 접촉된 횟수만큼 상기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접촉매체(10)가 상기 터치감지부(200)에 접촉된 시간에 비례하여 상기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 거리를 증감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감지부(200)에 인가되는 상기 접촉매체(10)의 접촉압력(20)을 감지하는 압력센서(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터치감지부(200)에 인가되는 상기 접촉매체(10)의 접촉압력(20)의 크기를 가중치로 하여 상기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 거리를 증감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매체(10)가 상기 터치감지부(200)에 첫 번째로 접촉된 지점은 상기 기준점으로 설정되고, 상기 기준점이 설정된 이후 상기 접촉매체(10)가 상기 터치감지부(200)에 접촉된 지점은 접촉점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 린.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접촉매체(10)가 상기 터치감지부(200)에 최초 접촉되었을 때 상기 포인터(30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17. 포인터(300)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00);
    상기 디스플레이부(100) 상에 장착되어, 별도의 접촉매체(10)가 접촉됨에 따라 상기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 위치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감지부(200);
    상기 터치감지부(200)에 인가되는 상기 접촉매체(10)의 접촉압력(20)을 감지하는 압력센서(400);
    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압력(20)이 수직압력(22) 성분과 수평압력(24) 성분을 갖도록 비스듬히 인가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수평압력(24) 방향으로 상기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시키고 상기 수직압력(22)의 크기를 가중치로 하여 상기 포인터(300)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 거리를 증감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KR1020090023583A 2009-03-19 2009-03-19 포인터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KR101062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583A KR101062594B1 (ko) 2009-03-19 2009-03-19 포인터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US13/257,167 US20120007805A1 (en) 2009-03-19 2010-03-12 Touch screen capable of displaying a pointer
PCT/KR2010/001542 WO2010107208A2 (ko) 2009-03-19 2010-03-12 포인터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583A KR101062594B1 (ko) 2009-03-19 2009-03-19 포인터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884A true KR20100104884A (ko) 2010-09-29
KR101062594B1 KR101062594B1 (ko) 2011-09-06

Family

ID=42740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583A KR101062594B1 (ko) 2009-03-19 2009-03-19 포인터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20007805A1 (ko)
KR (1) KR101062594B1 (ko)
WO (1) WO2010107208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4128A2 (ko) * 2010-11-10 2012-05-18 Chae Sang-Woo 터치스크린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3027983A3 (ko) * 2011-08-23 2013-05-10 (주)아이티버스 전자기기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432483B1 (ko) * 2012-12-20 2014-08-2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제어영역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WO2014129681A1 (ko) * 2013-02-21 2014-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인팅 방법
US9870085B2 (en) 2012-11-20 2018-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inter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1310A (ja) * 2011-04-11 2012-11-12 Fujitsu Ten Ltd 操作装置
JP5536729B2 (ja) * 2011-09-20 2014-07-02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提供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提供サーバ、アプリケーション提供方法、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9348501B2 (en) * 2012-06-14 2016-05-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 modes
CN103513908B (zh) 2012-06-29 2017-03-29 国际商业机器公司 用于在触摸屏上控制光标的方法和装置
US20150355769A1 (en) * 2012-12-26 2015-12-10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one-point touch and apparatus for same
JP5787238B2 (ja) * 2013-04-10 2015-09-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操作制御方法並びに操作制御プログラム
KR102056316B1 (ko) * 2013-05-03 2020-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60253019A1 (en) * 2013-11-21 2016-09-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force direction determination
JP2016095716A (ja) * 2014-11-14 2016-05-26 株式会社コーエーテクモゲームス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9870080B2 (en) * 2015-09-18 2018-01-16 Synaptics Incorporated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cursor or user interface action as a function of touch and force input
JP6569546B2 (ja) * 2016-01-28 2019-09-04 富士通コネクテッド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CN108052232B (zh) * 2018-01-03 2021-03-19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90348B2 (en) * 2000-12-26 2007-03-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touchscreen data input
US7274355B2 (en) * 2003-04-25 2007-09-25 Oqo, Inc. Blended transfer function for computer pointing devices
US20050162402A1 (en) * 2004-01-27 2005-07-28 Watanachote Susornpol J. Methods of interacting with a computer using a finger(s) touch sensing input device with visual feedback
US7605804B2 (en) * 2005-04-29 2009-10-20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ine cursor positioning using a low resolution imaging touch screen
KR101155572B1 (ko) * 2006-03-27 2012-06-19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터치 포인터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제어 방법
US8077153B2 (en) * 2006-04-19 2011-12-13 Microsoft Corporation Precise selection techniques for multi-touch screens
KR100897806B1 (ko) * 2006-05-23 2009-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100891099B1 (ko) * 2007-01-25 2009-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성을 향상시키는 터치 스크린 및 터치 스크린에서 사용성 향상을 위한 방법
KR101354841B1 (ko) * 2007-02-06 2014-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기기 및 그 입력처리 방법
KR20090006807A (ko) * 2007-07-11 2009-01-15 오의진 손가락의 동작감지를 이용한 데이터입력장치 및 이를이용한 입력변환방법
JP2009140368A (ja) * 2007-12-07 2009-06-25 Sony Corp 入力装置、表示装置、入力方法、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451236B2 (en) * 2008-12-22 2013-05-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ouch-sensitive display screen with absolute and relative input mode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4128A2 (ko) * 2010-11-10 2012-05-18 Chae Sang-Woo 터치스크린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2064128A3 (ko) * 2010-11-10 2012-07-05 Chae Sang-Woo 터치스크린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3027983A3 (ko) * 2011-08-23 2013-05-10 (주)아이티버스 전자기기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9223420B2 (en) 2011-08-23 2015-12-29 Intellectual Discovery Co., Ltd. Apparatus for driving electronic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870085B2 (en) 2012-11-20 2018-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inter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432483B1 (ko) * 2012-12-20 2014-08-2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제어영역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WO2014129681A1 (ko) * 2013-02-21 2014-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인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07208A2 (ko) 2010-09-23
WO2010107208A3 (ko) 2010-11-25
KR101062594B1 (ko) 2011-09-06
US20120007805A1 (en)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594B1 (ko) 포인터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US11449224B2 (en) Selective rejection of touch contacts in an edge region of a touch surface
US9632608B2 (en) Selective input signal rejection and modification
US20090167719A1 (en) Gesture commands performed in proximity but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a touchpad
KR20140033839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에서 한 손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KR20080038247A (ko)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AU2013100574B4 (en) Interpreting touch contacts on a touch surface
JP6119291B2 (ja) 表示装置、電子機器、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058250A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TWI303378B (ko)
AU2015271962B2 (en) Interpreting touch contacts on a touch surface
Ikematsu Ochanomizu University Tokyo, Japan ikematsu. kaori@ is. ocha. ac. jp
US20130154967A1 (en) Electronic device and touch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