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4836A - 탱크형 냉온 정수기 - Google Patents

탱크형 냉온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4836A
KR20100104836A KR1020090023502A KR20090023502A KR20100104836A KR 20100104836 A KR20100104836 A KR 20100104836A KR 1020090023502 A KR1020090023502 A KR 1020090023502A KR 20090023502 A KR20090023502 A KR 20090023502A KR 20100104836 A KR20100104836 A KR 20100104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filter
cold
raw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0406B1 (ko
Inventor
정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광
Priority to KR1020090023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406B1/ko
Publication of KR20100104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Toxi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수탱크에 저장된 원수를 필터에 통과시켜 실온/냉/온 정수를 구분 배출하는 탱크형 냉온 정수기로서, 설치 및 사용상의 편리함과 유지관리의 편의성은 물론 위생적 측면에서 한층 개선된 탱크형 냉온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원수가 저장되는 원수탱크; 상기 원수를 정수로 정화하는 필터부; 상기 정수를 실온, 냉, 온 정수로 구분 저장하는 탱크부; 및 상기 실온, 냉, 온 정수를 각각 배출하는 출수콕, 상기 탱크부와 상기 출수콕 사이로 개재되어 상기 실온, 냉 정수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유닛을 갖춘 출수부를 포함하는 탱크형 냉온 정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탱크형 냉온 정수기{Tank type hot and cold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탱크형 냉온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원수탱크에 저장된 원수를 필터에 통과시켜 실온/냉/온 정수를 구분 배출하는 탱크형 냉온 정수기로서, 설치 및 사용상의 편리함과 유지관리의 편의성은 물론 위생적 측면에서 한층 개선된 탱크형 냉온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water purifier)란 수돗물 등의 원수(原水)를 '먹는물관리법' 제5조제3항에 규정에 적합한 음용수로 정화하는 장치로서, 원수정화방식에 따라 필터여과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이온교환수지식으로, 원수공급방식에 따라 수도직결형과 저장형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먼저, 필터여과식은 원수를 필터에 통과시켜 정수를 얻고, 증류식은 원수의 가열에 따른 증기를 수집해서 정수를 얻으며, 역삼투압식은 멤브레인(membrane)이라 불리는 삼투막에 원수를 통과시켜 정수를 얻고, 이온교환수지식은 특수고분자화 합물질인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원수 내 Mg2 +, Ca2 + 등의 유해이온을 Na+등의 무해이온으로 치환시켜 정수를 얻는다.
또한, 수도직결형은 원수가 공급되는 상수도관에 정수기를 직접 연결하여 원수의 공급압력으로 필터를 통과시켜 정수를 얻고, 저장형은 별도의 원수탱크에 일정용량의 원수를 저장해서 중력 또는 펌프에 의한 공급압력으로 필터를 통과시켜 정수를 얻는다. 때문에 수도직결형 정수기에는 별도의 원수탱크가 불필요한 대신 저장형 정수기에는 원수의 공급 및 저장을 위한 원수탱크가 필수적이며, 이로 인해 저장형 정수기는 흔히 탱크형 정수기라 불린다.
한편, 특수용도에 한정되는 증류식, 역삼투압식, 이온교환수지식 정수기를 제외하면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정수기는 필터여과식의 수도직결형과 탱크형 정수기이다.
하지만 이들의 쓰임은 서로 다른데, 수도직결형은 상수도관의 연결이 쉽고 물 사용이 많은 단체급식소 등에 주로 설치되는 반면 탱크형은 건물구조상 상수도관의 연결이 어렵거나 누수에 의해 치명적인 손실이 예상되는 장소, 예컨대 전산실, 기계실 등에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물 사용량이 많지 않은 가정이나 회사 등에서 상대적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탱크형 정수기가 널리 활용되고 있고, 정수기의 특성상 남녀노소 누구나 수시로 사용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기존의 탱크형 정수기는 설치 및 사용상의 편리함과 유지관리의 편의성 그리고 위생적 측면에서 많은 아직 부분 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 및 사용상의 편리함과 유지관리의 편의성은 물론 위생적 측면에서도 한층 개선된 탱크형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원수탱크의 분리 및 결합이 간단하여 설치 및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필터의 교체가 간단하여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자외선을 이용하여 고도로 살균된 정수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별도의 복잡한 분해과정 없이도 정수의 저장을 위한 각종 탱크류를 자체적으로 고온 살균할 수 있는 탱크형 냉온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수가 저장되는 원수탱크; 상기 원수를 정수로 정화하는 필터부; 상기 정수를 실온, 냉, 온 정수로 구분 저장하는 탱크부; 및 상기 실온, 냉, 온 정수를 각각 배출하는 출수콕, 상기 탱크부와 상기 출수콕 사이로 개재되어 상기 실온, 냉 정수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유닛을 갖춘 출수부를 포함하는 탱크형 냉온 정수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탱크부는, 상기 필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 크; 상기 정수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정수의 일부를 상기 냉 정수로 냉각 및 저장하는 냉정수탱크; 및 상기 정수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정수의 일부를 상기 온 정수로 가열 및 저장하는 온정수탱크를 포함하여, 상기 자외선유닛은 상기 정수탱크와 상기 출수콕, 상기 냉 정수탱크와 상기 출수콕 사이로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유닛은, 바 형상의 자외선램프; 및 상기 자외선램프가 관통 삽입되는 밀폐된 내부공간이 상기 정수탱크와 상기 출수콕을 연결하는 정수살균공간, 상기 냉정수탱크와 상기 출수콕을 연결하는 냉정수살균공간으로 구분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자외선램프로부터 발한 자외선을 상기 정수살균공간과 냉정수살균공간으로 반사하는 고 반사율의 인너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수탱크, 상기 필터부, 상기 탱크부, 상기 출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수탱크, 상기 필터부, 상기 출수부를 전면에 배치하는 프레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안착되는 버툼케이스; 상기 본체의 후면을 덮는 리어케이스; 상기 본체의 좌우면을 덮는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 상기 본체 상면을 덮는 리드케이스; 및 상기 출수콕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본체 전면을 덮고, 일 가장자리가 상기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을 열어 노출시키거나 닫아 은폐시키는 프론트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전면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원수탱크가 삽입 또는 추출되는 탱크장입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원수탱크 후면에 마련된 원수공급구; 및 상기 필터부와 연결되고, 상기 원수탱크의 삽입시 상기 원수공급구 와 연결되도록 상기 원수탱크의 후면과 마주보는 상기 탱크장입홀의 일측 내면에 말단이 관통 고정된 원수전달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원수공급구에 관통 삽입된 스탬; 상기 원수탱크 내부의 상기 스탬 말단에 결합된 밸브시트; 상기 원수공급구에 실장되어 상기 밸브시트가 상기 원수공급구를 닫도록 상기 스탬에 탄성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 상기 원수전달구 말단에 장착되어 상기 원수공급구를 수용하는 플러그; 및 상기 원수공급구와 상기 플러그의 결합 시 상기 스탬을 밀어 상기 원수공급구가 열리도록 상기 플러그 내부에 구비된 플렌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수탱크 상면에 결합되고 캡홀이 관통된 원수캡; 상기 캡홀을 덮는 통기성 시트; 및 상기 캡홀에 실장되어 상기 원수탱크 외부의 공기를 상기 원수탱크 내부로 일 방향 유입시키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원수탱크에 연결되는 제 1 필터연결구와 상기 탱크부에 연결되는 제 2 필터연결구를 제공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필터브라켓; 및 상기 필터브라켓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연결구와 각각 튜브 연결되는 필터유입구 및 필터유출구가 구비되어 상기 필터유입구로 유입되는 상기 원수를 정화하여 상기 필터유출구로 상기 정수를 전달하는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필터브라켓은 수평의 원통형상으로서 상기 필터브라켓 저면에 관통된 제 1 폭(t1)의 제 1 홀, 상기 필터브라켓 전면을 향해 상기 제 1 홀로부터 연장된 제 2 폭(t2, 단 t1<t2)의 제 2 홀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유입구 및 필터유출구가 마련된 상기 정수필터의 상단은 상기 제 1폭 초과 상기 제 2 홀 미만의 직경을 나타내는 수직의 원통 형상으로서 상기 정수필터의 상단에 둘러린 상기 제 1 폭 이하의 직경을 나타내는 러그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정수필터는 상기 제 1 홀에 상기 러그홈이 끼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수탱크와 상기 필터부를 연결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탱크형 냉온 정수기는 설치 및 사용상의 편리함과 유지관리의 편의성은 물론 위생적 측면에서도 한층 개선된 장점을 나타낸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탱크형 냉온 정수기는 전면의 프론트케이스가 힌지 방식으로 손쉽게 개방되는 한편, 프론트케이스의 개방 시 상대적으로 사용자가 자주 개입해야 하는 정수기의 모든 구성요소, 예컨대 원수탱크, 필터부, 출수부가 전면으로 노출되므로 사용 및 관리상 편리하다. 아울러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탱크형 냉온 정수기는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개방 시 전면으로 노출되는 원수탱크의 분리 및 결합이 매우 간단하고, 정수필터의 교체과정 역시 한층 수월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탱크형 냉온 정수기는 자외선에 의해 고도로 살균된 정수 및 냉정수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별도의 복잡한 분해과정 없이도 온 정수를 이용하여 정수탱크 및 냉정수탱크를 자체적으로 고온살균할 수 있어 위생적 측면에서 한층 강화된 장점을 보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탱크형 냉온 정수기(이하, 간략하게 냉온 정수기라 한다.)의 블럭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는 원수를 저장하는 원수탱크(10), 원수탱크(10)에 저장된 원수를 정수로 정화하는 필터부(50), 필터부(50)에서 정화된 정수를 실온, 냉, 온 정수로 구분 저장하는 탱크부(100), 탱크부(100)에 저장된 실온, 냉, 온 정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출수부(200)를 포함한다.
각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수탱크(10)는 원수를 저장 및 공급하는 부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특히 원수탱크(10)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전면으로부터 손쉽게 분리 또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냉온 정수기로부터 원수탱크(10)를 간편하게 분리해서 수돗물 등의 원수를 담은 후 냉온 정수기에 재결합하고, 여기에 저장된 원수는 후술하는 필터부(50)에 의해 정수로 정화된다.
다음으로, 필터부(50)는 원수탱크(10)에 저장된 원수를 정수로 정화하는 부분으로서 필터물질이 내장된 적어도 하나의 정수필터를 제공한다. 그리고 원수탱크(10)와 필터부(50) 사이로는 펌프(P)가 개재되어 원수탱크(10)의 원수를 필터부(50)로 공급한다.
이때, 특히 필터부(50)의 정수필터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전면으 로부터 손쉽게 분리 또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터교체시기에 간편하게 정수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다음으로, 탱크부(100)는 필터부(50)에서 정화된 정수를 실온, 냉, 온 정수로 구분 저장하는 부분으로서 필터부(50)의 정수가 최초로 공급 및 저장되는 정수탱크(T1), 정수탱크(T1)에 저장된 정수의 일부를 별도로 저장하여 냉각하는 냉정수탱크(T2), 정수탱크(T1)에 저장된 정수의 일부를 별도로 저장하여 가열하는 온정수탱크(T3)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비록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냉정수탱크(T2)에는 냉각시스템의 증발기(evaporator)가 내장되고, 온정수탱크(T3)에는 가열시스템의 히터(heater)가 내장된다.
이때, 특히 탱크부(100)의 정수탱크(T1)와 냉정수탱크(t2)는 각각 온정수탱크(T2)에 별도로 연결되어 온정수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시점에 온정수탱크(T3)에 저장된 온 정수를 정수탱크(T1)와 냉정수탱크(T2)로 공급하여 각각의 내부를 고온 살균 및 소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출수부(2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탱크부(100)의 정수탱크(T1), 냉정수탱크(T2), 온정수탱크(T3)에 각각 저장된 실온, 냉, 온 정수를 최종 배출하는 부분으로서 정수탱크(T1)에 연결된 제 1 밸브(V1), 냉정수탱크(T2)에 연결된 제 2 밸브,(V2) 온정수탱크(T3)에 연결된 제 3 밸브(V3) 그리고 제 1 내지 제 3 밸브(V1,V2,V3)에 연결된 출수콕(202)을 포함한다.
이때, 출수부(200)는 정수탱크(T1)와 제 1 밸브(V1), 냉정수탱크(T2)와 제 2 밸브(V2) 사이로 개재되는 자외선유닛(210)을 제공하고, 자외선유닛은(210) 실온 정수와 냉 정수에 자외선을 조사해서 제 1 밸브(V1)와 제 2 밸브(V2)로 각각 전달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터부(50)에 의한 정화는 물론 자외선으로 살균된 실온 정수와 냉 정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정수과정을 살펴보면, 원수탱크(10)에 저장된 원수는 펌프(P)에 의해 필터부(50)를 통과하는 과정 중에 정수로 정화되어 탱크부(100)의 정수탱크(T1)로 전달되고, 정수탱크(T1)에 저장된 정수의 일부는 냉정수탱크(T2)와 온정수탱크(T3)로 각각 분배되어 냉 정수와 온 정수로 저장된다. 이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 1 내지 제 3 밸브(V1,V2,V3) 중 적어도 하나가 온(on) 되면 정수탱크(T1)의 실온 정수, 냉정수탱크(T2)의 냉 정수, 온정수탱크(T3)의 온 정수는 각각 출수부(200)의 출수콕(202)을 통해 배출되는데, 특히 정수와 냉 정수는 출수부(200)의 자외선유닛(210)을 통과하는 과정 중에 자외선에 의한 살균효과가 더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사용자는 정수의 사용으로 인해 원수탱크(10)에 저장된 원수가 모두 소진되면 원수탱크(10)를 분리하여 원수를 채운 후 재결합하고, 거듭된 정수사용으로 인해 필터부(50)의 정수필터가 오염되면 새것으로 교체하며, 주기적으로 정수탱크(T1) 및 냉정수탱크(T2)를 청소하여 물 오염을 방지해야 한다.
이때,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는 원수탱크(10)의 분리 및 결합이 손쉬워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정수필터의 교체가 간단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실온 정수와 냉 정수를 자외선으로 살균하여 높은 수질의 물을 제공 하는 동시에 온정수탱크(T3)의 온 정수로 정수탱크(T1)와 냉정수탱크(T2)를 고온 살균하여 높은 청결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에 따른 냉온 정수기를 나타낸 도 2 내지 도 21을 적절히 참조해서 보다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본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는 케이스가 완비된 최종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에는 케이스의 일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는 바닥 역할의 버툼케이스(bottom case:502) 상에 원수탱크(10), 필터부(50), 탱크부(100), 출수부(200)를 포함하는 본체(B)가 안착된다.
참고로 해당 부분에서 상세히 살펴보겠지만 본 발명에 따른 본체(B)는 정면을 향해 직립된 지지체 역할의 프레임(F)을 제공하는바, 프레임(F)의 전면 상단에는 필터부(50)와 출수부(200)가 장착되고, 프레임(F)의 전면 하단으로는 원수탱크(10)가 삽입되며, 프레임(F)의 후면에는 탱크부(100)가 장착된다. 또한 탱크부(100)의 하단을 비롯한 본체(B)의 후면에는 펌프(P) 그리고 냉각시스템의 일부인 압축펌프 등의 압축기(C)와 냉각핀 등의 응축기(E)가 배치된다.
그리고 본체(B)의 전면에는 후술하는 프론트케이스(front case:512)가, 본체(B)의 후면에는 냉각시스템의 응축기(E)를 사각 테 형상의 리어케이스(rear case:522)가, 본체(B)의 좌우 면에는 판 형태의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side case:532,542)가 배치되어 본체(B)의 전후좌우 면을 각각 덮고, 리어케이스(522)와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532,542) 위로는 커버케이스(cover case:552)가 안착되어 본체(B)의 상면을 덮는다.
이때, 프론트케이스(512)와 커버케이스(552)를 제외한 버툼케이스(502), 리어케이스(522),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532,542)는 복수의 볼트에 의해 본체(B) 내지는 서로 긴밀하게 고정되는 반면, 커버케이스(552)는 리어케이스(522)의 후크(hock:524)에 결합되는 후크결합단(554)과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532,542)의 끼움홀(534,544)에 끼워지는 결합단(556)을 통해 리어케이스(552)와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532,542) 위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간단한 조작으로 커버케이스(552)를 쉽게 개폐할 수 있고, 커버케이스(552)를 개폐하면 탱크부(100)가 노출된다.
또한 프론트케이스(512)는 본체(B)의 전면에서 출수부(200)의 출수콕(202)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동시에 노출콕(202)의 상단으로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복수의 버튼(I)과 표시창(W)을, 노출콕(202)의 하단으로는 물받이통(514)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프론트케이스(512)는 본체(B)에 힌지(614) 결합되어 마치 도어처럼 손쉽게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4에 나타난 것처럼 프론트케이스(512)의 어느 한쪽 가장자리는 프레임(F)의 일측 가장자리에 힌지(614)로 결합되고, 프론트케이스(512)의 반대쪽 가장자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파스너돌기(516) 및 자석(517)이 구비되어 프레임(F)의 타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동수(同數)의 파스너홈(612) 및 철편(미도시)에 결합된다. 이 경우 필요하다면 철편은 금속재질의 제 1 또는 2 사이드케이스(532,542)의 일부를 절곡해서 구현 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론트케이스(512)의 어느 일 측면, 바람직하게는 힌지(614)의 맞은편 측면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519)가 마련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손잡이(519)를 잡고 프론트케이스(512)를 젖히면 프론트케이스(512)가 열려 본체(B)의 전면을 노출시키고, 반대의 경우에는 닫혀 본체(B)를 은폐한다. 이와 같이 프론트케이스(512)가 본체(B)로부터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614) 연결되는 이유는 설치 및 사용상의 편리함과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가 가정의 싱크대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더라도 분해 등의 번거로운 작업 없이 프론트케이스(512)를 열어 원수탱크(10)를 빼내거나 재결합할 수 있고, 필터부(50)의 정수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본체(B)를 구성하는 각각을 살펴본다.
첨부된 도 6과 도 7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본체(B)의 분해상태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본체(B)는 전면을 향해 직립된 프레임(F)을 제공한다. 그리고 프레임(F)의 전면 상단에는 출수부(200)와 필터부(50)가 장착되고, 프레임(F)의 전면 하단에는 원수탱크(10)의 삽입을 위한 탱크장입홀(302)이 마련된다. 이때, 탱크장입홀(302)의 어느 일측 내면을 따라서는 원수탱크(10)의 삽입 및 추출을 가이드(guide)하는 가이드단(304)이 마련되며, 원수탱크(10)의 삽입방향에 수직한 탱크장입홀(302)의 내면에는 원수탱크(10)에 연결되는 원수전달구(306)가 관통 고정된다.
또한, 프레임(F)의 후면에는 탱크부(100)가 장착되고, 프레임(F)의 후면 하 단에는 펌프(P)가 장착되어 튜브 등을 이용해서 자신을 매개로 원수전달구(306)와 필터부(50)를 연결한다. 참고로, 해당 부분에서 상세히 살펴보겠지만 필터부(50)는 프레임(F)에 고정되는 필터브라켓(52) 및 여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정수필터(62)를 포함하고, 필터브라켓(52)에는 튜브 등을 이용해서 펌프(P)와 정수필터(62)를 연결하는 제 1 필터연결구(54), 튜브 등을 이용해서 정수필터(62)와 탱크부(100)를 연결하는 제 2 필터연결구(56)가 마련되어 제 1 필터연결구(54)로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필터(62)에 경유시켜 정수로 정화한 후 제 2 필터연결구(56)를 통해 탱크부(100)로 공급한다.
아울러, 바람직하게는 프레임(F)의 전면에는 냉정수탱크(T2)의 냉각을 위한 냉각시스템과 온정수탱크(T3)의 가열을 위한 가열시스템을 온/오프 제어하는 제 1 및 제 2 스위치(SW1,SW2)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및 제 2 스위치(SW1,SW2)를 적절히 온/오프 하여 원하는 종류의 정수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첨부된 도 8과 도 9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원수탱크(10)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앞의 도 6 및 도 7과 함께 참조한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원수탱크(10)는 프레임(F)의 탱크장입홀(302)에 대응되는 사각의 박스형상을 나타낸다. 그리고 원수탱크(10)의 전면에는 삽입 또는 추출이 가능한 탱크손잡이(12)가 마련되어 사용상 편의와 실장부피를 최소화를 꾀하고, 원수탱크(10)의 상면 일측에는 원수공급을 위한 원수캡(22)이 마련되며, 원수탱크(10)의 후면에는 탱크장입홀(302) 내면의 원수전달구(306)와 연결되 는 원수공급구(32)가 마련되고, 원수탱크(10)의 일면에는 탱크장입홀(302)의 가이드단(304)에 대응되는 가이드홈(14)이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프레임(F)의 탱크장입홀(302)에 원수탱크(10)가 결합된 상태에서 탱크손잡이(12)를 잡고 잡아당겨 원수탱크(10)를 빼낸 후 원수캡(22)을 열어 원수를 보충한 다음 원수캡(22)을 닫고 다시 탱크장입홀(302)에 밀어넣는다.
이때,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는 원수탱크(10)의 분리 및 재결합 과정 중에 나타날 수 있는 불필요한 원수유출을 방지하고, 탱크장입홀(302)에 원수탱크(10)를 밀어넣는 동작만으로 원수탱크(10)의 원수공급구(32)와 탱크장입홀(302)의 원수전달구(306)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된 도 10과 도 11은 각각 해당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0은 원수캡(22)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원수공급구(32)의 단면도이다. 앞의 도 8 및 도 9와 함께 참조한다.
먼저, 도 10과 같이 원수캡(22)에는 상하의 캡홀(23)이 관통되고, 캡홀(23)의 입구는 통기홀(24)이 관통된 별도의 보조캡(26)으로 밀폐된다. 그리고 원수캡(22)의 캡홀(23)에는 통기홀(24)의 바깥, 다시 말해 원수탱크(10)의 외부에서 통기홀(24)의 내부, 다시 말해 원수탱크(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만을 허락하도록 중력에 의해 아래를 향하되 상승 시 통기홀(24)을 밀폐하는 체크밸브 역할의 플로트(30)가 실장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통기홀(24)은 부직포 등의 통기성 시트(28)로 덮힌다.
그 결과 원수캡(22)을 닫힌 상태에서는 원수탱크(10)의 외부에서 원수탱크(10) 내부로만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반면 원수탱크(10) 내부의 원수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공기 내 이물질은 통기성 시트(28)에 걸러 제거된다.
다음으로, 도 11과 같이 원수공급구(32)에는 원수공급홀(33)이 관통된다. 그리고 원수공급홀(33)에는 원수탱크(10)의 내부에서 원수탱크(10)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흐름만을 허락하는 체크밸브 역할의 밸브부재가 장착된다.
이때, 특히 해당 밸브부재는 원수공급홀(33)을 관통하되 원수탱크(10)의 내부로 인입된 일측 말단에 원수공급홀(33)을 여닫을 수 있는 밸브시트(valve sheet:36)가 결합된 스탬(stem:34) 및 상기 스탬(34)에 유격있게 관통되도록 원수공급홀(33)에 실장되어 밸브시트(36)가 원수공급홀(33)을 막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코일스프링(38)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해당 밸브부재는 달리 푸시밸브라 불리기도 한다. 더불어 동일 도면에 함께 나타낸 것처럼 탱크장입홀(302)의 내면에 관통 삽입된 원수전달구(306)의 말단은 원수탱크(10)의 원수공급구(32)를 유격없이 수용하는 플러그(plug:308)를 이루되 그 내부에 원수공급구(32)와 플러그(308)의 결합 시 스탬(34)을 눌러 원수공급홀(33)을 개방하는 플랜지돌기(310)가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프레임(F)의 탱크장입홀(302)로 원수탱크(10)를 밀어 넣으면 원수탱크(10)의 원수공급구(32)와 탱크장입홀(302) 내부의 원수전달구(306)가 결합되는 동시에 플랜지돌기(310)가 스탬(34)을 눌러 원수공급홀(33)을 개방하고, 펌프(P)의 작동에 의해 원수탱크(10) 내부의 원수는 필터부(50)로 전달된다. 이 과정 중에 원수캡(22)을 통해 외부의 청정공기가 유입되어 원수탱크(10)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는 원수탱크(10)의 분리 및 재결합 과정 중에 나타날 수 있는 불필요한 원수유출을 막고, 플렌지(F)의 탱크장입홀(302)에 원수탱크(10)를 밀어넣는 동작만으로도 원수탱크(10)의 원수공급구(32)와 탱크장입홀(302)의 원수전달구(306)를 연결하며, 원수공급구(32) 및 원수전달구(306)를 통한 원수의 배출 시 원수탱크(10)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원활한 원수공급을 가능케 한다.
첨부된 도 12와 도 1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탱크부(100)를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이다. 앞서 도 7을 함께 참조한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탱크부(100)는 정수탱크(T1), 냉정수탱크(T2), 온정수탱크(T3)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정수탱크(T1)의 하단 양 옆으로 냉정수탱크(T2)와 온정수탱크(T3)가 배치된다. 그리고 정수탱크(T1)의 상면은 개폐 가능한 리드커버(102)로 덮이고, 냉각탱크(T2)는 정수탱크(T1)의 일측 하단에 일체로 마련되어 복수의 순환홀(120)이 관통된 순환플레이트(122)로 구획 형성되며, 히팅탱크(T3)는 별도로 존재한다.
그 결과 앞의 도 3을 통해 살펴본 것처럼 리드케이스(552)를 개방하면 정수탱크(T1)의 리드커버(102)가 노출되고, 리드커버(102)를 개방하면 정수탱크(T1)와 더불어 순환플레이트(122)가 노출되며, 순환플레이트(122)를 개방하면 냉정수탱크(T2)가 노출된다.
이때, 정수탱크(T1)와 냉정수탱크(T2)는 각각 내부의 온도 특성상 온정수탱크(T3)와 비교해서 물때 등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높은 부분인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사용자는 수시로 리드케이스(552), 리드커버(102), 순환플레이 트(122) 등을 열어 정수탱크(T1)와 냉정수탱크(T2)의 내부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바람직하게는 리드커버(102)에는 도 10에서 살펴본 원수캡(104)과 유사한 구성요소로서 정수탱크(T1) 외부에서 정수탱크(T2)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만을 허락하되 공기 내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 제거하는 리드캡(104)이 마련된다.
이하, 정수탱크(T1), 냉정수탱크(T2), 온정수탱크(T3) 각각을 살펴본다.
먼저, 정수탱크(T1)의 적절한 지점에는 외부의 정수가 공급되는 정수유입구(112), 내부의 실온 정수가 배출되는 정수배출구(114) 및 정수전달구(116)가 각각 마련된다. 이때, 정수유입구(112)는 필터부(50)의 제 2 필터연결구(56)와 연결되고 정수배출구(114)는 출수부(200)에 연결되며 정수전달구(116)는 히팅탱크(T3)와 연결된다.
그리고 정수탱크(T1) 내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플로트센서(117)가 설치되어 기(旣) 설정된 상한값과 하한값 사이에서 정수탱크(T1)의 내부수위를 감지하며, 그 감지결과에 따라 펌프(P)를 적절히 제어하면 정수탱크(T1)에 저장된 정수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정수탱크(T1) 내에는 실온 정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1 온도센서(118)가 설치되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냉각시스템을 적절히 제어하면 정수탱크(T1)에 저장된 실온 정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수탱크(T1)의 하단에 일체로 마련되어 순환플레이트(120)로 구획 형성된 냉정수탱크(T2)의 내부에는 냉각시스템의 증발기(128)가 내장되고, 일측 적절한 지점에는 출수부(200)와 연결되는 냉정수배출구(124)가 마련된다. 그리고 냉각탱크(T3)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온도센서(미도시)가 장착되어 기(旣) 설정된 상한값과 하한값 사이에서 냉 정수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냉각시스템의 동작을 적절히 제어하면 냉정수탱크(T2)에 저장된 냉 정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냉정수탱크(T3)의 외면은 별도의 절연하우징(126)으로 덮어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정수탱크(T1) 및 냉정수탱크(T2)와 별도로 마련된 히팅탱크(T3)의 일측 적절한 지점에는 정수탱크(T1)의 정수전달구(116)와 연결되는 정수공급구(132), 출수부(200)와 연결되는 온정수배출구(134), 냉정수탱크(T2)와 연결되는 온정수공급구(136)가 마련되고, 온정수탱크(T3) 내부에는 가열시스템의 히터(138)가 설치된다. 그리고 온정수탱크(T3)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온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기(旣) 설정된 상한값과 하한값 사이에서 온 정수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그 감지결과에 따라 가열시스템의 동작을 적절히 제어하면 온정수탱크(T3)에 저장된 온 정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설명 중 본 발명에 따른 냉 온 정수기의 탱크부(100)는 정수탱크의 정수를 냉정수탱크(T2) 및 온정수탱크(T3)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구조 이외에 온정수탱크(T3)와 냉정수탱크(T2)를 연결하는 또 다른 연결구조로서 온정수전달구(136)를 제공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온정수전달구(136)에는 온정수탱크(T3)로부터 냉정수탱크(T2)로 흐르는 온 정수의 흐름만을 허락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크밸브(138)가 장착될 수 있고, 비록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온정수탱크(T3)의 온 정수를 냉정수탱크(T2)로 공급하는 별도의 보조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체크밸브(138) 및 보조펌프 등을 매개로 온정수탱크(T3)와 냉정 수탱크(T2)를 연결하는 이유는 온 정수를 이용하여 냉정수탱크(T2) 및 정수탱크(T1)를 살균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는 적절한 시점에 보조펌프를 작동시켜 온정수탱크(T3)의 온 정수를 냉정수탱크(T2) 및 정수탱크(T1)로 전달하여 냉정수탱크(T2) 및 정수탱크(T1) 내부를 고온 살균할 수 있다.
이때, 냉정수탱크(T2)가 정수탱크(T1)의 일측 하단에 일체로 마련되어 물순환이 가능한 순환플레이트(122)로 구분되는 이유는 대류현상을 이용하여 정수탱크(T1)의 고온 살균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정상 사용시 정수탱크(T1)에는 비중이 낮은 실온 정수가 저장되고 냉정수탱크(T2)에는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은 냉 정수가 저장되므로 혼입의 여지가 적다. 반면 온정수탱크(T3)의 온 정수가 냉정수탱크(T2)로 유입되면 가장 비중이 낮은 온 정수가 상승하여 냉정수탱크(T2)를 비롯한 정수탱크(T1) 전체를 고온 살균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는 보다 효과적으로 정수탱크(T1) 및 냉정수탱크(T2)를 고온 살균할 수 있다.
첨부된 도 14와 도 1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및 여기에 결합된 필터부(50)와 출수부(200)를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프레임(F) 전면에는 자외선유닛(210), 제 1 내지 제 3 밸브(V1,V2,V3), 출수콕(202)을 포함하는 출수부(200)와 필터브라켓(52) 및 정수필터(62)를 포함하는 필터부(50)가 장착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프레임(F)의 전면에는 고정클립(312)이 마련되어 자외선유닛(210)을 고정하고, 밸브커버(254)로 밀폐되는 밸브하우징(252)이 마련되어 제 1 내지 제 3 밸 브(V1,V2,V3)를 실장하는 동시에 출수콕(202)을 고정한다. 그리고 프레임(F) 전면에는 필터브라켓(52)이 고정되어 여기에 정수필터(62)가 고정된다.
따라서 앞의 도 4에서 살펴본 것처럼 프론트케이스(512)를 열면 원수탱크(10)와 더불어 필터부(50) 및 출수부(200) 전체가 전면으로 노출되며, 사용자는 원하는 구성요소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첨부된 도 16 내지 도 18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필터부(50)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6과 도 17은 각각 서로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8은 분해 사시도에 해당된다. 앞의 도 13과 함께 참조한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필터부(50)는 필터브라켓(52) 및 여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정수필터(62)를 포함한다.
이때, 필터브라켓(52)은 수평의 원통 형상으로서 펌프(P)에 연결되는 제 1 필터연결구(54)와 정수탱크(T1)의 정수유입구(112)에 연결되는 제 2 필터연결구(56)를 제공하고, 필터브라켓(52)의 저면에는 제 1 폭(t1)의 제 1 홀(58) 및 제 1 홀(58)과 연결되어 전면으로 연장된 제 2 폭(t2, 단 t2>t1)의 제 2 홀(59)이 관통된다.
또한, 필터브라켓(52)에 결합되는 정수필터(62)는 수직의 탱크형상으로서 상단 일측의 필터유입구(66)로 유입되는 원수를 정화하여 상면의 필터유출구(64)로 정수를 배출한다. 이때, 제 1 필터연결구(54)와 필터유입구(66) 그리고 필터유출구(64)와 제 2 필터연결구(56)는 서로 연질의 튜브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 1 필터연결구(54)로 전달되는 펌프(P)의 원수는 필터유입구(66)를 통해 정수필터(62) 내 부를 통과하는 과정 중에 정수로 변화되어 필터유출구(64), 제 2 필터연결구(56)를 통해 정수탱크(T1)로 공급된다.
아울러 정수필터(62)의 상단은 수직의 원통 형상으로서 제 1 폭(t1) 초과 제 2 폭(t2) 미만의 직경을 나타내고, 여기에는 제 1 폭 이하의 러그홈(68)이 마련되어 필터브라켓(52)의 제 1 홀(68)에 끼워지는바, 필터브라켓(52)에 정수필터(62)가 끼워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정수필터(62)의 말단이 소정의 원호를 그리도록 밀어 당기면 필터브라켓(52)으로부터 정수필터(62)가 분리되고, 반대의 경우에 재결합된다.
따라서 거듭된 정수사용에 의해 정수필터(62)의 교체시기가 되면 사용자는 간단하게 정수필터(62)를 분리 및 교체한 후 필터브라켓(52)에 재결합할 수 있다.
첨부된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출수부(200) 중 자외선유닛(210)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9는 사시도, 도 20은 단면도, 도 21은 분해사시도에 해당된다. 앞의 도 13과 도 15를 함께 참조한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유닛(210)은 저면이 밀폐되고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하우징(212) 내로 상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인너하우징(232)이 내장되고, 인너하우징(232) 내로 바형상의 자외선램프(L)가 관통 삽입되어 하우징(212)의 상면을 밀폐하는 하우징캡(22)에 의해 전체가 밀폐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인너하우징(232)의 내면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막이 코팅되거나 또는 인너하우징(232) 자체가 반사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우징(212)의 일측에는 튜브 등을 통해 각각 정수탱크(T1)의 정수 배출구(114)와 연결되는 제 1 하우징유입구(214), 출수부(200)의 제 1 밸브(V1)를 매개로 출수콕(202)에 연결되는 제 1 하우징배출구(216), 출수부(200)의 제 2 밸브(V2)를 매개로 출수콕(202)에 연결되는 제 2 하우징배출구(220), 냉정수탱크(T2)의 냉정수배출구(124)에 연결되는 제 2 하우징유입구(218)가 차례로 마련된다. 아울러 인너하우징(232)에는 제 1 하우징유입구(214)에 유격없이 연결되는 제 1 인너유입홀(235), 제 1 하우징배출구(216)에 유격없이 연결되는 제 1 인너배출홀(234), 제 2 하우징배출구(220)에 유격없이 연결되는 제 2 인너배출홀(236), 제 2 하우징유입구(218)에 유격없이 연결되는 제 2 인너유입홀(237)이 차례로 관통되는 한편, 인너하우징(232) 내부의 제 1 인너배출홀(234)과 제 2 인너배출홀(236) 사이로는 자외선램프(L)의 외면에 유격없이 둘러 밀착되는 격벽(233)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자외선유닛(210)의 내부는 실질적으로 두 영역으로 구분되는데, 편의상 인너하우징(232)의 제 1 인너유입홀(235), 제 1 인너배출홀(234), 제 2 인너배출홀(236), 제 2 인너유입홀(237)이 상하 차례로 배치된다는 전제하에, 제 1 하우징유입구(214), 제 1 인너유입홀(235), 제 1 인너배출홀(234), 제 1 하우징배출구(216)를 연결하는 인너하우징(232) 내부 상단의 정수살균공간과 제 2 하우징유입구(218), 제 2 인너유입홀(237), 제 2 인너배출홀(236), 제 2 하우징배출구(220)를 연결하는 인너하우징(232) 내부 하단의 냉정수살균공간이 그것이다.
그 결과 정수탱크(T1)의 정수배출구(114)를 통해 제 1 하우징유입구(214)로 전달되는 실온의 정수는 자외선유닛(210) 내부 상단의 정수살균공간을 경유한 후 제 1 밸브(V1)와 출수콕(202)을 통해 사용자에게 최종 제공되고, 냉정수탱크(T3)의 냉정수배출구(124)를 통해 제 2 하우징유입구(218)로 전달되는 냉 정수는 자외선유닛(210) 내부 하단의 냉정수살균공간을 경유한 후 제 2 밸브(V2)와 출수콕(202)을 통해 사용자에게 최종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로부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실온의 정수와 냉 정수는 각각 자외선 살균된다.
참고로, 온정수탱크(T3)의 온정수배출구(도 7의 134 참조)는 제 3 밸브(V3)를 매개로 출수콕(202)으로 직접 배출되는데, 고온의 온 정수는 자외선 살균의 실익이 없기 때문이다.
한편, 이상에서 살펴본 내용은 본 발명의 일례에 지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 등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있을 수 있지만 이들 모든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인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탱크형 냉온 정수기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탱크형 냉온 정수기의 외관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탱크형 냉온 정수기의 케이스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6과 도 7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탱크형 냉온 정수기의 본체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8과 도 9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탱크형 냉온 정수기의 원수탱크에 대한 사시도.
도 10과 도 11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탱크형 냉온 정수기의 원수탱크 일부에 대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탱크형 냉온 정수기의 탱쿠부에 대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탱크형 냉온 정수기의 탱쿠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탱크형 냉온 정수기의 프레임 및 필터부와 출수부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탱크형 냉온 정수기의 프레임 및 필터부와 출수부의 분해 사시도.
도 16과 도 17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탱크형 냉온 정수기의 필터부에 대한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탱크형 냉온 정수기의 필터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탱크형 냉온 정수기의 자외선유닛에 대한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탱크형 냉온 정수기의 자외선유닛에 대한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탱크형 냉온 정수기의 자외선유닛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수탱크 50 : 필터부
100 : 탱크부 200 : 출수부
202 : 출수콕 210 : 자외선유닛
P : 펌프 T1 : 정수탱크
T2 : 냉정수탱크 T3 : 온정수탱크
V1,V2,V3 : 제 1 내지 제 3 밸브

Claims (12)

  1. 원수가 저장되는 원수탱크;
    상기 원수를 정수로 정화하는 필터부;
    상기 정수를 실온, 냉, 온 정수로 구분 저장하는 탱크부; 및
    상기 실온, 냉, 온 정수를 각각 배출하는 출수콕, 상기 탱크부와 상기 출수콕 사이로 개재되어 상기 실온, 냉 정수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유닛을 갖춘 출수부를 포함하는 탱크형 냉온 정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는,
    상기 필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
    상기 정수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정수의 일부를 상기 냉 정수로 냉각 및 저장하는 냉정수탱크; 및
    상기 정수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정수의 일부를 상기 온 정수로 가열 및 저장하는 온정수탱크를 포함하여, 상기 자외선유닛은 상기 정수탱크와 상기 출수콕, 상기 냉 정수탱크와 상기 출수콕 사이로 개재되는 탱크형 냉온 정수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유닛은,
    바 형상의 자외선램프; 및
    상기 자외선램프가 관통 삽입되는 밀폐된 내부공간이 상기 정수탱크와 상기 출수콕을 연결하는 정수살균공간, 상기 냉정수탱크와 상기 출수콕을 연결하는 냉정수살균공간으로 구분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탱크형 냉온 정수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자외선램프로부터 발한 자외선을 상기 정수살균공간과 냉정수살균공간으로 반사하는 고 반사율의 인너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탱크형 냉온 정수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수탱크, 상기 필터부, 상기 탱크부, 상기 출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수탱크, 상기 필터부, 상기 출수부를 전면에 배치하는 프레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안착되는 버툼케이스;
    상기 본체의 후면을 덮는 리어케이스;
    상기 본체의 좌우면을 덮는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
    상기 본체 상면을 덮는 리드케이스; 및
    상기 출수콕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본체 전면을 덮고, 일 가장자리가 상기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을 열어 노출시키거나 닫아 은폐시키는 프론트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탱크형 냉온 정수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원수탱크가 삽입 또는 추출되는 탱크장입홀을 더 포함하는 탱크형 냉온 정수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원수탱크 후면에 마련된 원수공급구; 및
    상기 필터부와 연결되고, 상기 원수탱크의 삽입시 상기 원수공급구와 연결되도록 상기 원수탱크의 후면과 마주보는 상기 탱크장입홀의 일측 내면에 말단이 관통 고정된 원수전달구를 더 포함하는 탱크형 냉온 정수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원수공급구에 관통 삽입된 스탬;
    상기 원수탱크 내부의 상기 스탬 말단에 결합된 밸브시트;
    상기 원수공급구에 실장되어 상기 밸브시트가 상기 원수공급구를 닫도록 상기 스탬에 탄성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
    상기 원수전달구 말단에 장착되어 상기 원수공급구를 수용하는 플러그; 및
    상기 원수공급구와 상기 플러그의 결합 시 상기 스탬을 밀어 상기 원수공급구가 열리도록 상기 플러그 내부에 구비된 플렌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탱크형 냉온 정수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원수탱크 상면에 결합되고 캡홀이 관통된 원수캡;
    상기 캡홀을 덮는 통기성 시트; 및
    상기 캡홀에 실장되어 상기 원수탱크 외부의 공기를 상기 원수탱크 내부로 일 방향 유입시키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탱크형 냉온 정수기.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원수탱크에 연결되는 제 1 필터연결구와 상기 탱크부에 연결되는 제 2 필터연결구를 제공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필터브라켓; 및
    상기 필터브라켓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연결구와 각각 튜브 연결되는 필터유입구 및 필터유출구가 구비되어 상기 필터유입구로 유입되는 상기 원수를 정화하여 상기 필터유출구로 상기 정수를 전달하는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탱크형 냉온 정수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필터브라켓은 수평의 원통형상으로서 상기 필터브라켓 저면에 관통된 제 1 폭(t1)의 제 1 홀, 상기 필터브라켓 전면을 향해 상기 제 1 홀로부터 연장된 제 2 폭(t2, 단 t1<t2)의 제 2 홀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유입구 및 필터유출구가 마련된 상기 정수필터의 상단은 상기 제 1폭 초과 상기 제 2 홀 미만의 직경을 나타내는 수직의 원통 형상으로서 상기 정수필터의 상단에 둘러 형성된 상기 제 1 폭 이하의 직경을 나타내는 러그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정수필터는 상기 제 1 홀에 상기 러그홈이 끼워 결합되는 탱크형 냉온 정수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수탱크와 상기 필터부를 연결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탱크형 냉온 정수기.
KR1020090023502A 2009-03-19 2009-03-19 탱크형 냉온 정수기 KR101070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502A KR101070406B1 (ko) 2009-03-19 2009-03-19 탱크형 냉온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502A KR101070406B1 (ko) 2009-03-19 2009-03-19 탱크형 냉온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836A true KR20100104836A (ko) 2010-09-29
KR101070406B1 KR101070406B1 (ko) 2011-10-06

Family

ID=43009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502A KR101070406B1 (ko) 2009-03-19 2009-03-19 탱크형 냉온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40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523B1 (ko) * 2011-07-08 2013-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291448B1 (ko) * 2011-07-08 2013-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291981B1 (ko) * 2011-07-08 201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인 정수기
KR101304683B1 (ko) * 2011-07-08 2013-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335848B1 (ko) * 2011-07-08 2013-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WO2020091318A1 (ko) * 2018-10-29 2020-05-0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유체 처리 모듈
CN111386245A (zh) * 2018-10-29 2020-07-07 首尔伟傲世有限公司 流体处理模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872B1 (ko) * 2002-02-19 2005-05-03 주식회사 위닉스 냉온 정수기 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523B1 (ko) * 2011-07-08 2013-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291448B1 (ko) * 2011-07-08 2013-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291981B1 (ko) * 2011-07-08 201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인 정수기
KR101304683B1 (ko) * 2011-07-08 2013-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335848B1 (ko) * 2011-07-08 2013-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WO2020091318A1 (ko) * 2018-10-29 2020-05-0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유체 처리 모듈
CN111386245A (zh) * 2018-10-29 2020-07-07 首尔伟傲世有限公司 流体处理模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0406B1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406B1 (ko) 탱크형 냉온 정수기
JP2018043237A (ja) 使用時点水処理システム
KR102656807B1 (ko) 정수기
KR100920698B1 (ko) 정수기
KR100911682B1 (ko) 정수기
KR100893294B1 (ko) 정수기
US20080257802A1 (en) Advanced household water purification means
JP2003072896A (ja) 飲料用温水・冷水器
KR101565020B1 (ko) 자연여과식 정수기
KR20100009985A (ko) 냉온 정수기
CN210892129U (zh) 一种连续加热装置及包括其的加热器
KR20110139591A (ko) 냉온정수기
JPH10235349A (ja) 水分配機の殺菌装置
KR100918630B1 (ko) 정수기
CN217868514U (zh) 饮用水供给装置和饮用水供给系统
CN213931465U (zh) 一种具有杀菌功能的单向安全阀及储水式热水器
CN211688675U (zh) 一种具有灭菌功能的循坏水存储装置
CN218709793U (zh) 一种节能饮水机用高效加热杀菌组件
KR200230320Y1 (ko) 냉온수기
CN217659298U (zh) 一种一体式制冷即热杀菌烘干饮水机
CN213666988U (zh) 一种直饮水设备专用消毒装置
CN217104418U (zh) 烘干机
CN211226733U (zh) 一种家用净水器中的紫外线杀菌过滤装置
CN214433683U (zh) 制水组件和制水设备
CN211822630U (zh) 一种热泵的安全运行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