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3024A - 조립식으로 구성한 트럭 화물의 상하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으로 구성한 트럭 화물의 상하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3024A
KR20100103024A KR1020090021403A KR20090021403A KR20100103024A KR 20100103024 A KR20100103024 A KR 20100103024A KR 1020090021403 A KR1020090021403 A KR 1020090021403A KR 20090021403 A KR20090021403 A KR 20090021403A KR 20100103024 A KR20100103024 A KR 20100103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length
load
truck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0499B1 (ko
Inventor
백수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발
Priority to KR1020090021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499B1/ko
Publication of KR20100103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 적재함의 일부분에 호이스트를 장착하여 무거운 화물을 싣고 내릴 때 지게차와 같은 외부 기기의 도움없이 자체 장착된 호이스트만으로 화물을 상하차하되, 이러한 상하차 행위를 운전사 한 명만으로서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이 장치가 화물을 운반하는 이동구간에서는 화물이 적재함 밖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화물보호벽의 기능을 겸하게 하기 위하여 모든 부재는 조립식 체결수단을 채택하여 트럭에 화물을 상차하거나 하차할 때, 또는 화물이 트럭밖으로 흘러 내리지 못하는 보호벽이 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필요한 부재를 조립할 수 있도록 조립식으로 하고, 본 장치 자체의 무게가 이동하는 트럭에 실려 가는 만큼 무게를 최소화 하여 이동시 본 장치에 의한 에너지 추가 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차, 하차, 인양기, 조립식, 트럭

Description

조립식으로 구성한 트럭 화물의 상하차 장치 및 방법{Modular Truck Hoist and Modular Truck Hoist method}
본 발명은 조립식으로 구성한 트럭 화물의 상하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럭에 화물을 싣고 내리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트럭에 화물을 상하차하기 위해서는 동력의 도움없이는 다수의 사람이 메달라 짐을 싣거나 별도의 크레인이나 호이스트, 윈치등을 설치하여 기계로 화물을 상하차하였다. 그러나, 상기 방법과 장치는 별도의 크레인을 장차하고 다니는 경우에는 상기 장치가 늘 트럭의 적재함을 차지하고 있어 적재면적을 줄이고, 동력장치가 워낙 커서 이동시 에너지 소비가 크다는 단점이 있으며, 동력장치 없이 사람이 상하차를 할 경우에는 농촌이나 혼자 사업을 하는 사람들과 같이 주변에 도와줄 사람이 없을 경우에는 반드시 지게차를 불러 화물을 상하차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 은 현 기술이 가지고 있는 화물의 적재 면적을 줄이지 않으면서도 혼자서 모든 상하차 작업을 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트럭 외의 장소에 저장할 수 있어 일반 트럭의 모습을 원래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모든 부재를 조립식으로 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상기 조립식으로 하면서도 외부 동력없이 사람의 힘만으로 또는 트럭에 변경을 가하지 않고 본 장치를 장착하여 모든 적재화물을 싣거나 내릴 수 있는 장치와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이 장치가 화물의 흘러내림을 막을 수 있는 보호벽이 되도록 하는 장치와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재 화물의 최고 높이를 넘는 길이의 사다리 형상으로 된 부재를 트럭 좌우측에 배치한 기둥으로 세로대(11), 가로대(12), 중간체결자(14), 상부체결자(13), 하부체결자(15)로 구성되는 수직기둥(10)과 상기 좌우측 수직기둥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여 화물을 싣고 내릴때 걸리는 하중을 받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보 수평재(21), 보 경사재(22), 보수직재(23), 보 수직체결재(24), 보 상부 체결재(25), 보베어링(26), 상부 보 바닥재(27), 길이 체결재(28)가 트럭의 전후방에 한 쌍으로 구성되는 수평보(20)와 상기 수평의 상단에 파이프 형상의 부재를 주 구성원으로 하여 하중 몸체(31), 인양위치 고정자(32), 끝 고정자(33), 하중 수평체결재(34)를 일체화하여 화물을 상하차 할 때 사용하는 인양기의 지지점이 되어 주는 하중보(30)와 상기 하중보와 수평보를 상호 트러스 구조로 연결하되 상기 트러스 구조가 해체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이 이동시에는 상기 하중보의 위치를 낮추고, 화물을 상하차 할 때는 상기 하중보 의 위치를 높여 트러스구조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 길이 몸체(91)와 하부길이 몸체(92)와 바닥 길이 몸체(93)와 길이몸체 연결자(94)와 앞 연결자(95)와 뒷 연결자(96)로 구성되는 길이보(90)와 상기 수직기둥을 트럭의 차 축방향의 임의의 점에서 옆판이나 적재함 바닥 외곽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 고정몸체(51), 하부 고정몸체(52), 고정용 길이 조절자(53), 수직 체결자(54), 옆판 체결자(55)로 구성되는 고정대(50)와 화물을 상하차 할 때 상기 하중보에 일단을 고정하고 화물에 타단을 연결하여 길이를 하중보의 고정점과 화물 연결점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체인블럭등을 주 부재로 사용하는 인양기(70)와 상기 인양기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길이 확정 몸체(81)와 인양 체결자(82)와 손체결자(83)와 손잡이(84)로 구성되는 길이고정자(80)와 상기 수직기둥의 전방 부위 상단과 적재함의 바닥이나 옆판의 일정점을 연결하여 상기 하중보에 걸리는 화물의 자중이 유발하는 회전모우멘트에 의한 수직기둥등의 전도를 막기위하여 상부 경사몸체(101)와 상하부 경사연결자(102)와 하부 경사몸체(103)와 옆판 체결자(104)와 수직체결자(105)로 구성되는 가새(100)와 화물을 상하차 할 때 상기 길이 고정자와 화물간의 중력중심이 어긋나더라도 화물이 차량을 손상시키지 않고 부드럽게 미끄러지면서 오르고 내리도록 하기 위한 미끄럼 몸체(61), 하부 잡음자(63)와 방향전환부(C)를 갖는 상부 잡음자(62)로 구성되는 미끄럼대(60)와 상기 미끄럼대의 상단에 위치한 화물을 적재함 전방에 실어 넣거나 적재함 전방에 있는 화물을 상기 미끄럼대로 끌어 내리기 위하여 상기 길이고정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받침 몸체(41), 수직 체결자(42), 뒷판 체결자(43)로 구성되는 받침자(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트럭 화물 보호벽을 겸하면서 트럭의 화물을 한사람의 운전사 나 작업자로서도 충분히 상하차 할 수 있는 조립식으로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하차 할 화물 앞으로 트럭을 옮겨 뒷판을 열고 미끄럼대(60)를 뒷판에 일체화하고 미끄럼대가 경사지게 놓이도록 하여 적재함과 지면이 미끄럼대에 의하여 경사진 상태로 연결하는 단계와 하중보의 후방 끝단에 인양기(70)의 일단이 연결된 길이 고정자(80)가 위치하게 하고 인양기의 타단을 화물에 연결하여 인양기의 길이를 조절하여 화물이 미끄럼대(60)를 따라 경사지게 적재함 바닥으로 올라가는 단계와 화물의 일단이 적재함 위로 올라가는 단계와 받침자(40)의 일단을 뒷판에 고정하여 뒷판이 지면과 수평이 되게 하는 단계와 인양기(70)의 길이를 조정하여 화물을 적재함 바닥과 뒷판에 일체화 되어 있는 미끄럼대(60)위에 놓이게 하는 단계와 길이 고정자(80)를 전방으로 밀어 내어 인양기(70)의 지지점을 트럭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다시 인양기(70)의 길이를 조절하여 화물을 높이 올림과 동시에 트럭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서 화물이 트럭의 적재함에 안착되게 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트럭에 화물을 상차하는 것과 상기 모든 단계를 역으로 하여 화물을 하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으로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하여 화물의 적재 면적을 줄이지 않으면서도 혼자서 모든 상하차 작업을 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트럭 외의 장소에 저장할 수 있어 일반 트럭의 모습을 원래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모든 부재를 조립식으로 하는 방법을 개발하였고, 상기 조립식으로 하면서도 외부 동력없이 사람의 힘만 으로 또는 트럭에 변경을 가하지 않고 본 장치를 장착하여 모든 적재화물을 싣거나 내릴 수 있는 장치와 방법을 개발하였다. 동시에 이 장치가 화물의 흘러내림을 막을 수 있는 보호벽이 되도록 하는 장치와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조립식으로 구성한 트럭 화물의 상하차 장치 및 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트럭 적재함의 일부분에 호이스트를 장착하여 무거운 화물을 싣고 내릴 때 지게차와 같은 외부 기기의 도움없이 자체 장착된 호이스트만으로 화물을 상하차하되, 이러한 상하차 행위를 운전사 한 명만으로서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이 장치가 화물을 운반하는 이동구간에서는 화물이 적재함 밖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화물보호벽의 기능을 겸하게 하기 위하여
적재 화물의 최고 높이를 넘는 길이의 사다리 형상으로 된 부재를 트럭 좌우측에 배치한 기둥으로 세로대(11), 가로대(12), 중간체결자(14), 상부체결자(13), 하부체결자(15)로 구성되는 수직기둥(10)과
상기 좌우측 수직기둥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여 화물을 싣고 내릴때 걸리는 하중을 받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보 수평재(21), 보 경사재(22), 보수직재(23), 보 수직체결재(24), 보 상부 체결재(25), 보베어링(26), 상부 보 바닥재(27), 길이 체결재(28)가 트럭의 전후방에 한 쌍으로 구성되는 수평보(20)와
상기 수평의 상단에 파이프 형상의 부재를 주 구성원으로 하여 하중 몸체(31), 인양위치 고정자(32), 끝 고정자(33), 하중 수평체결재(34)를 일체화하여 화물을 상하차 할 때 사용하는 인양기의 지지점이 되어 주는 하중보(30)와
상기 하중보와 수평보를 상호 트러스 구조로 연결하되 상기 트러스 구조가 해체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이 이동시에는 상기 하중보의 위치를 낮추고, 화물을 상하차 할 때는 상기 하중보의 위치를 높여 트러스구조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 길이 몸체(91)와 하부길이 몸체(92)와 바닥 길이 몸체(93)와 길이몸체 연결자(94)와 앞 연결자(95)와 뒷 연결자(96)로 구성되는 길이보(90)와
상기 수직기둥을 트럭의 차 축방향의 임의의 점에서 옆판이나 적재함 바닥 외곽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 고정몸체(51), 하부 고정몸체(52), 고정용 길이 조절자(53), 수직 체결자(54), 옆판 체결자(55)로 구성되는 고정대(50)와
화물을 상하차 할 때 상기 하중보에 일단을 고정하고 화물에 타단을 연결하여 길이를 하중보의 고정점과 화물 연결점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체인블럭등을 주 부재로 사용하는 인양기(70)와
상기 인양기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길이 확정 몸체(81)와 인양 체결자(82)와 손체결자(83)와 손잡이(84)로 구성되는 길이고정자(80)와
상기 수직기둥의 전방 부위 상단과 적재함의 바닥이나 옆판의 일정점을 연결하여 상기 하중보에 걸리는 화물의 자중이 유발하는 회전모우멘트에 의한 수직기둥등의 전도를 막기위하여 상부 경사몸체(101)와 상하부 경사연결자(102)와 하부 경 사몸체(103)와 옆판 체결자(104)와 수직체결자(105)로 구성되는 가새(100)와
화물을 상하차 할 때 상기 길이 고정자와 화물간의 중력중심이 어긋나더라도 화물이 차량을 손상시키지 않고 부드럽게 미끄러지면서 오르고 내리도록 하기 위한 미끄럼 몸체(61), 하부 잡음자(63)와 방향전환부(C)를 갖는 상부 잡음자(62)로 구성되는 미끄럼대(60)와
상기 미끄럼대의 상단에 위치한 화물을 적재함 전방에 실어 넣거나 적재함 전방에 있는 화물을 상기 미끄럼대로 끌어 내리기 위하여 상기 길이고정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받침 몸체(41), 수직 체결자(42), 뒷판 체결자(43)로 구성되는 받침자(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트럭 화물 보호벽을 겸하면서 트럭의 화물을 한사람의 운전사 나 작업자로서도 충분히 상하차 할 수 있는 조립식으로 구성한 트럭 화물의 상하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설명한 조립식으로 구성한 트럭 화물의 상하차 장치를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구성한 트럭화물의 상하차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본 발명은 상하차 할 화물 앞으로 트럭을 옮겨 뒷판을 열고 미끄럼대(60)를 뒷판에 일체화하고 미끄럼대가 경사지게 놓이도록 하여 적재함과 지면이 미끄럼대에 의하여 경사진 상태로 연결하는 단계{[도 14]의 (1)}와
하중보의 후방 끝단에 인양기(70)의 일단이 연결된 길이 고정자(80)가 위치하게 하고 인양기의 타단을 화물에 연결하여 인양기의 길이를 조절하여 화물이 미 끄럼대(60)를 따라 경사지게 적재함 바닥으로 올라가는 단계{[도 14]의 (2)}와
화물의 일단이 적재함 위로 올라가는 단계{[도 14]의 (3)}와 받침자(40)의 일단을 뒷판에 고정하여 뒷판이 지면과 수평이 되게 하는 단계{[도 14]의 (4)}와
인양기(70)의 길이를 조정하여 화물을 적재함 바닥과 뒷판에 일체화 되어 있는 미끄럼대(60)위에 놓이게 하는 단계{[도 14]의 (5)}와
길이 고정자(80)를 전방으로 밀어 내어 인양기(70)의 지지점을 트럭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도 14]의 (7)}와
다시 인양기(70)의 길이를 조절하여 화물을 높이 올림과 동시에 트럭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서 화물이 트럭의 적재함에 안착되게 하는 단계{[도 14]의 (8)}로 구성되어 트럭에 화물을 상차하는 것과 상기 모든 단계를 역으로 하여 화물을 하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으로 구성한 트럭 화물의 상하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트럭에 화물을 싣는 부분의 좌우에 있는 벽을 “옆판”이라 하고, 통상 좌우측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좌우측을 지칭하지 않으나 방향을 지정하여야 할 경우에는 “좌옆판”, “우옆판”이라 한다. 짐을 싣는 칸의 뒤에 있는 벽을 “뒷판”이라 하고, 사람이 타는 부분과 분리되어 짐을 싣는 부분으로 상기 좌옆판과 우옆판, 뒷판으로 감싸인 차량의 후방부분을 “적재함 ”이라 한다. 차량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운전사가 있는 차 앞부분을 “전방”이라하고, 차 뒷부분을 “후방”이라 한다. 상기 적재함에서 차량의 전방과 후방으로 연결하는 선을 “차 축방향”이라 한다.
본 발명은 트럭 화물 덮개를 겸하면서 트럭의 화물을 상하차 할 수 있는 호이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도 2]에 나타단 트럭과 같이 적재함의 상부가 열려있는 트럭에 화물을 적재할 때 트럭의 옆판과 뒷판의 높이보다 더 큰 물건이 트럭으로부터 낙하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트럭의 옆판과 뒷판에 화물 낙하 보호용 막대들을 설치하는 구조물을 “화물 덮개”라 하고, 트럭의 화물을 상하차 한다는 것은 트럭의 적재함에 화물을 싣는 행위를 “상차”한다 하고, 적재함에 실려 있는 화물을 지상으로 내려 놓는 행위를 “하차”한다고 정의한다.
“조립식 체결수단”이란 볼트와 너트같은 나사를 이용한 체결, 핀과 구멍을 통한 체결, 쐐기형의 수컷과 상기 쐐기형의 암컷을 사용하는 망치를 사용하는 쐐기형 체결등 다양한 산업용 체결수단을 통하여 대응하는 두 부재를 연결하거나, 연결된 것을 해체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조립식 체결수단은 용접과 같이 한번 일체화하고 나면 처음 상태를 파괴시켜야만 분리가 가능한 구조가 아니고, 조립을 하고 해체를 하더라도 부재의 위치가 바뀔 뿐 당초 부품들이 어떠한 손상을 받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는 기구를 말하는 것이다. [도 1]과 [도 2]에 보이는 수직기둥과 수평보의 연결은 쐐기형 연결수단을 채택한 것이고, [도 13]에 보이는 수직기둥과 수평보의 연결은 나사를 이용하여 힌지(Hinge)를 만든 것으로 볼트와 너 트같은 나사를 이용한 체결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이제부터는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될 모든 부재는 일반 산업용 구조재인 강관 파이프, 각관, 앵글, 평철등을 사용하면 쉽게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고, 기계공학에 관한 기본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본 발명에 예시된 도면만 보고서도 쉽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서 각 부재를 어떻게 결합하여 일체화하는지, 어떤 재료를 선택할 것인지등에 대하여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겠다.
적재 화물의 최고 높이를 넘는 길이의 사다리 형상으로 된 부재를 트럭 좌우측에 배치한 기둥으로 세로대(11), 가로대(12), 중간체결자(14), 상부체결자(13), 하부체결자(15)로 구성되는 수직기둥(10)은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H자 형태의 사다리와 같은 구조물을 구성하면 된다. 본 수직기둥은 적재함에 실려있는 화물이 적재함 밖으로 쏟아져 내리는 것을 막는 벽체인 화물덮개의 기능과 화물을 상하차할 때 사용하는 체인블럭이나 윈치와 같은 인양기의 기초를 지지하는 지지대로서의 역할을 하므로 최대 인양하중에 대항하는 부재로서의 강도를 갖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도 3]에 예시된 수직기둥(10)을 구성하는 모든 부재는 철을 기반으로 하는 고강도 강 또는 합금강이나 알루미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같은 어떤 형태의 고체상의 산업용 구조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제품의 제작상의 편리함등을 고려하면 용 접성등이 양호하고 가격 특성이 양호한 일반 구조용 강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쉽게 선택할 수 있는 재료가 된다.
본 수직기둥의 하단부는 적재함의 바닥에 세워지고, 좌옆판과 우옆판의 적재함측 벽면과 접하게 설치하며, 상기 수직기둥의 하단부가 적재함 바닥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수단은 고정대(50)가 담당하게 된다.
상기 좌우측 수직기둥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여 화물을 싣고 내릴때 걸리는 하중을 받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보 수평재(21), 보 경사재(22), 보수직재(23), 보 수직체결재(24), 보 상부 체결재(25), 보베어링(26), 상부 보 바닥재(27), 길이 체결재(28)가 트럭의 전후방에 한 쌍으로 구성되는 수평보(20)는 수직기둥(10)의 상단에 있는 상부체결자(13)와 수평보의 보 수직체결자(24)가 한쌍의 조립식 체결수단에 의하여 일체화되게 된다. 트럭의 좌우방향에 하나씩 있는 두 개의 수직기둥(10)의 상단을 트럭의 전후방에 있는 두 개의 수평보가 세로 체결되는 방식은 [도 13]의 (2)에 나타난 사진을 보면 누구나 쉽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수평의 상단에 파이프 형상의 부재를 주 구성원으로 하여 하중 몸체(31), 인양위치 고정자(32), 끝 고정자(33), 하중 수평체결재(34)를 일체화하여 화물을 상하차 할 때 사용하는 인양기의 지지점이 되어 주는 하중보(30)는 트럭의 전후방에 각각 하나씩 있는 수평보(20)의 상단을 힌지(Hinge)에 의하여 연결하는 [도 5]와 같은 막대상의 구조이다. 이 하중보가 상기 수평보(20)와 상호 연결되어 있는 구조는 [도 13]의 (1)과 (2)를 보면 쉽게 실시할 수 있다.
본 하중보에는 두 개의 하중수평 체결재(34)가 있는데 이는 상기 수평보(20)의 보 상부 체결재(25)와 결합하여 힌지를 만드는 것으로 수평부가 트럭의 전후방에 각각 하나씩 있으므로 상기 하중보에는 두 개의 하중수평 체결재(34)를 필요로 한다. [도 5]에는 하중 수평체결재(34) 표기가 하나만 되어 있으나 상기 하중몸체(31)의 좌측 끝(실시자가 본특허의 그림을 바라보는 방향에서는 좌측이지만 실제는 트럭의 전방쪽이다)에 나타난 구멍도 본 하중수평 체결재(34)이다.
인양위치 고정자(32)는 길이고정자가 본 하중몸체 위에서 미끌어지지 않고 사용자가 정한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길이 고정자의 고정점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환봉을 작게 자르든가 파이프를 자르는 등의 작은 고체상 물질을 상기 하중몸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용접등의 일체화 방법을 통하여 고정하면 된다. 끝 고정자는 상기 길이 고정자가 더 이상 하중몸체의 끝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꼭지를 만드는 것으로 작은 환봉등을 끝이 튀어나오게 용접하는 등의 방법으로 일체화 시키면 된다. 본 하중보는 화물을 상하차할 때 취급하는 화물의 무게가 본 길이고정자 위치에 걸리고, 상기 하중의 무게는 상기 수평보의 보 상부체결재로 인가되게 되므로 기계공학적으로는 보의 2점을 지지하고 1점에서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상태이므로 이에 대한 강도를 견딜 수 있는 설계를 하여 그에맞는 하중몸체등 관련 부재의 크기와 재질을 선정하여야 한다.
상기 하중보와 수평보를 상호 트러스 구조로 연결하되 상기 트러스 구조가 해체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이 이동시에는 상기 하중보의 위치를 낮추고, 화물을 상하차 할 때는 상기 하중보의 위치를 높여 트러스구조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 길이 몸체(91)와 하부길이 몸체(92)와 바닥 길이 몸체(93)와 길이몸체 연결자(94)와 앞 연결자(95)와 뒷 연결자(96)로 구성되는 길이보(90)는 두 개의 수평보를 차축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재로서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실시하여야 한다.
수평보는 삼각형 모양 또는 삼각형 구조를 포함하는 구조이므로 이웃하는 삼각형 구조가 외력을 받아도 변형이 되지 않도록 전방의 수평보에는 상부에, 후방의 수평보에는 하부에 힌지를 형성하여 상기 두 힌지를 연결하면 강한 트러스 구조를 구축하게 된다. 그러나, 상하차 작업이 완료된 뒤에 트럭은 이동하여야 하므로 이동시에는 상기 하중보의 위치를 낮게하여야 트럭의 이동이 용이해지므로 하중보의 높이를 낮게하기 위해서는 하중보와 수평보가 일체화되어 있고, 이 일체화된 구조의 한 부재가 본 길이보이므로 상기 수평보가 회전할 때에는 반드시 본 길이보(90)의 상부길이몸체(91)와 하부길이몸체(92)의 총 길이은 상기 수평보의 각도에 따라 달라져야 하는 길이가변 구조재를 강구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하차 작업을 할 때는 [도 1], [도 2] 또는 [도 13]과 같이 수평보가 지면과 수직인 상태에서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이 모양에 맞추어 상기 길이보의 상부길이 몸체와 하부 길이몸체의 총 길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길이몸체 연결자(94)가 구성되어야 한다. 본 목적을 위하야 다양한 수단이 동원될 수 있는데 상부길이 몸체와 하부 길이 몸체가 동일한 모양의 단면을 갖는 파이프 상의 자재를 서로 직경이 다르게 하면 상부 길이몸체와 하부 길이몸체가 서로 상대방을 감싸고 길이변환을 할 수 있는 구조가 되며, 양 끝 점에 구멍을 뚫고 그 구멍을 서로 맞춘 후 핀을 꽂는다면 길이 변환이 되고 일정 길이에서 고정이되는 길이 가변 구조재를 구비하게 된다. 또는 한쪽에는 암나사를, 다른 한쪽에는 숫나사를 구성하는 부재로 하여 숫나사부분이나 암나사 부분을 회전 시켜도 길이 가변 구조재가 된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부 길이 몸체(91)와 하부길이 몸체(92)가 길이몸체 연결자(94)에 의하여 길이가 고정되고, 전방에 있는 수평보(20)의 상부와는 앞 연결자(95)에 의하여 힌지로 체결되며, 후방 수평보의 하단부와는 뒷 연결자에 의하여 힌지로 구성되며, 전후방에 있는 수평보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바닥 길이몸체(93)는 상기 조립식 체결수단을 사용하면 된다. 본 길이보의 부재는 산업용 파이프나 각관등을 사용하면 실시하기 좋다.
화물의 상하차 작업이 완료되면 하중보는 높이를 낮추어 트럭이 이동하도록 하여야 차량의 안전성도 향상되고 보기에도 좋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길이몸체 연결자의 고정상태를 풀고 수평보를 회전시켜 하중보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하여야 한다. 이 구조는 [도 7]에 상세히 나타나 있다.
상기 수직기둥을 트럭의 차 축방향의 임의의 점에서 옆판이나 적재함 바닥 외곽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 고정몸체(51), 하부 고정몸체(52), 고정용 길이 조절자(53), 수직 체결자(54), 옆판 체결자(55)로 구성되는 고정대(50) 를 [도 8]과 같이 실시하면 된다. 수직체결자는 수직기둥의 세로대(11)의 임의의 위치에 본 수직체결자를 체결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하는데 세로대의 외곽을 감싸거나 풀 수 있는 구조이면 되지만 세로대를 파이프로 채택했을 경우 산업용으로는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클램프를 사용하면 된다. 본 고정대는 일단이 수직기둥의 세로대에 조립되고 타단은 트럭의 적재함 로프 고정자(모든 상업용 트럭에 있는 로프를 고정하기 위하여 꼭지상의 환봉을 일정간격으로 용접해 둔 것을 말함)에 연결할 경우 트럭의 적재함의 임의의 점에 상기 수직기둥이 견고히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통상 트럭은 용량과 생산회사에 의하여 좌옆판과 우옆판의 크기가 다르고, 수직기둥을 임의의 위치에 두눈 것을 전재하므로 적재함 로프 고정자와 수직기둥의 거리가 가변이다. 이런 상황에서도 적재함 로프 고정자와 수직기둥을 견고히 체결하기 위해서는 수직 체결자(54)와 옆판체결자(55)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구조를 필연적으로 요구하게 되며, 이는 상기 길이 가변 구조재의 형상을 요구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8]과 같이 일단에 수직기둥의 임의의 위치에서 수직기둥을 꽉 잡아 고정할 수 있는 수직체결자(54)에, 타단에는 적재함 로프 고정자에 체결되고, 상부 고정몸체(51), 하주 고정몸체(52)가 이들과 일체화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고정몸체와 하부 고정몸체를 나사로 연결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도 8]의 (1)과 (2)는 상기 설명에 따른 고정대(50)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수직체결자(54)와 상부고정몸체(51), 옆판 체결자(55)와 하부고정몸체(52)는 회전이 가능한 힌지형태를 구축하여야 하나, 옆판 체결자의 구멍 크기에 따라 양단의 구조를 힌지형으로 아니할 수도 있다.
화물을 상하차 할 때 상기 하중보에 일단을 고정하고 화물에 타단을 연결하여 길이를 하중보의 고정점과 화물 연결점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체인블럭등을 주 부재로 사용하는 인양기(70)는 [도 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통상의 체인블록이나 전동 호이스트, 윈치등 중량물을 들고 내릴 수 있는 산업용 자재 이동수단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인양기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길이 확정 몸체(81)와 인양 체결자(82)와 손체결자(83)와 손잡이(84)로 구성되는 길이고정자(80)는 [도 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하중보(30)의 차축방향 임의의 점에서 상기 인양기를 걸고 상하차 작업시 상기 인양기에 걸리는 하중에 의하여서도 위치가 변화하지 않도록 하면 된다. 이는 [도 9]와 같이 후크형태의 구조재를 [도 9]와 같이 만들면 된다. 길이확정 몸체(81)는 하중보의 단면보다 크게만들어 하중보를 감싸고 있도록 하여야 하고, 인양 체결자(82)는 상기 인양기가 걸릴 수 있는 구멍과 같은 구조여야 하며, 손 체결자(83)는 상하차를 하는 작업자가 지상에서 막대상의 손잡이(84)를 가지고, 본 인양기(70)와 길이고정자(80)의 무게를 이겨 손으로 이들의 위치를 차축방향으로 들어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여야 한다. 그러므로 [도 9]와 같이 손잡이가 상기 손 체결자(83) 속으로 들어갈 수 있는 구조이거나 후크등을 사용하여 손체결자(82)가 손잡이(84)에 의하여 걸릴 수 있는 암수이음 구조이면 된다.
상기 수직기둥의 전방 부위 상단과 적재함의 바닥이나 옆판의 일정점을 연결하여 상기 하중보에 걸리는 화물의 자중이 유발하는 회전모우멘트에 의한 수직기둥등의 전도를 막기위하여 상부 경사몸체(101)와 상하부 경사연결자(102)와 하부 경사몸체(103)와 옆판 체결자(104)와 수직체결자(105)로 구성되는 가새(100)는 수직기둥의 전방에 있는 적재함 로프고정자와 수직기둥의 상부 전방 끝단을 연결하는 구조재로서 [도 10]과 같이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직기둥의 위치는 차축방향으로 임의의 위치에 두는 것을 전제하고 있으므오 본 가새(100) 역시 길이가변 구조재여야 한다. 통상 쉽게 이러한 길이가변 구조를 실시하려면 산업용 턴버클을 이용한 구조를 구축하면 되며 [도 10]은 산업용 턴버클을 이용하여 가새를 구현한 일 실시예이다. 상단이 수직체결자(105)에 의하여 수직기둥 상단과 고정되고 하단은 옆판 체결자(104)에 의하여 옆판과 고정되며 상기 양 단을 상부경사 몸체(101), 하부 경사몸체(103)이, 상기 상하부 경사몸체를 턴버클과 같은 상하부 경사 연결자(102)가 일체되어 있어 길이를 조정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화물을 상하차 할 때 상기 길이 고정자와 화물간의 중력중심이 어긋나더라도 화물이 차량을 손상시키지 않고 부드럽게 미끄러지면서 오르고 내리도록 하기 위한 미끄럼 몸체(61), 하부 잡음자(63)와 방향전환부(C)를 갖는 상부 잡음자(62)로 구성되는 미끄럼대(60)는 [도 11]과 같이 실시할 수 있다.
통상의 파이프나 각관을 트럭 뒷판에 일체화 될 수 있는 조립구조를 갖도록 한 것이 본 미끄럼대의 구조이다. [도 1]에 보이는 바와같이 미끄럼 몸체(61)는 뒷 판의 상부면을 ㄷ자 형상으로 잡을 수 있는 구조의 상부 잡음자(62)가 화물을 싣고 내릴 때 뒷판을 열어 지면방향으로 향하게 하면서 미끄럼 몸체에 일체화되어 있는 상부 잡음자가 뒷판을 잡도록 하여 미끄럼 몸체의 일단을 지면에 접하게 하면 뒷판은 경사를 한 채로 고정되게 된다. 이 미끄럼대(60)의 미끄럼 몸체를 미끄러지는 동작을 통하여 화물을 지상에서 적재함 바닥으로 이동되게 된다. 미끄럼 몸체의 일단은 적재함 바닥으로 화물이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원주의 일부와 같은 방향전환부(C)를 갖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미끄럼 몸체가 지면과 닿는 부분은 통상의 철판등을 이용하여 발판을 구축할 경우 중량물을 들어 올릴 때 부드러운 흙에 미끄럼 몸체의 한 끝이 깊이 파여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미끄럼대의 상단에 위치한 화물을 적재함 전방에 실어 넣거나 적재함 전방에 있는 화물을 상기 미끄럼대로 끌어 내리기 위하여 상기 길이고정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받침 몸체(41), 수직 체결자(42), 뒷판 체결자(43)로 구성되는 받침자(40)는 [도 12]와 같이 실시할 수 있다.
받침자(40)는 트럭의 뒷판을 적재함 바닥과 평행이 되게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일단이 수직기둥의 세로대(11)에 체결되고 타단은 뒷판에 간단히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추어야 한다. 수직체결자(42)는 종래의 산업용 클램프등을 이용하여 만들고, 받침 몸체는 [도 12]에서 보이는 바와 은이 체인이나 두 개의 막대를 힌지로 하여 상기 상부길이 몸체 및 하부 길이몸체의 구조와 같이 할 수도 있으며, 뒷판 체결자(43)는 ㄷ자 형상으로 잡을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찬넬등의 자 재를 절단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각 부재를 제작하여 [도 14]에 나타난 각 단계의 사진을 보면서 다음과 같은 순서로 화물을 상하차 하면 본 발명에 의한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상하차 할 화물 앞으로 트럭을 옮겨 뒷판을 열고 미끄럼대(60)를 뒷판에 일체화하고 미끄럼대가 경사지게 놓이도록 하여 적재함과 지면이 미끄럼대에 의하여 경사진 상태로 연결하는 단계{[도 14]의 (1)}를 통하여 화물이 땅바닥에서 적재함에 미끄러져 올라갈 수 있는 준비를 하고,
하중보(30)의 후방 끝단에 인양기(70)의 일단이 연결된 길이 고정자(80)가 위치하게 하고 인양기의 타단을 화물에 연결하여 인양기의 길이를 조절하여 화물이 미끄럼대(60)를 따라 경사지게 적재함 바닥으로 올라가는 단계{[도 14]의 (2)}를 통하여 화물이 트럭 적재함 상부 하중보의 일정 위치에 메달린 상태에서 화물의 위치와 길이 고정자의 축이 지면과 수직선 상에 있지 않음으로 인하여 트럭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도 땅 바닥으로부터 적재함 바닥쪽으로 높이가 올라가는 두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체인블록과 같은 인양기(70)를 당겨 화물의 일단이 적재함 위로 올라가는 단계{[도 14]의 (3)}에서 화물이 적재함 바닥위로 올라가게 한 후
받침자(40)의 일단을 뒷판에 고정하여 뒷판이 지면과 수평이 되게 하는 단계{[도 14]의 (4)}를 통하여 적재함의 바닥면을 트럭 후방으로 연장함으로서 당초 의 적재함위에는 화물이 안착될 수 없던 것을 뒷판을 적재함 바닥으로 사용함으로서 화물의 무게중심이 적재함 상에 존재하게 함으로서 인양기에 메달려 있는 화물을 적재함에 내려 놓아도 화물이 지상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게 하여 화물을 트럭에 상차될 수 있도록 한 후,
인양기(70)의 길이를 조정하여 화물을 적재함 바닥과 뒷판에 일체화 되어 있는 미끄럼대(60)위에 놓이게 하는 단계{[도 14]의 (5)}를 통하여 화물을 적재함에 내려 놓고,
길이 고정자(80)를 전방으로 밀어 내어 인양기(70)의 지지점을 트럭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도 14]의 (7)}를 통하여 화물을 트럭의 전방으로 당길 수 있도록 한 후,
다시 인양기(70)의 길이를 조절하여 화물을 높이 올림과 동시에 트럭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서 화물이 트럭의 적재함에 안착되게 하는 단계{[도 14]의 (8)}로 구성되어 트럭에 화물을 상차하는 것과 상기 모든 단계를 역으로 하여 화물을 하차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적용하면 된다. 당연히 본 응용항목도 본 특허의 범위에 포함됨은 두 말할 나위없다.
1. 본 발명의 실시도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구조물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모든 사각형 구조의 부재, 또는 부재간에는 사각형을 삼각형의 조합으로 할 수 있도록 삼각 보강재(Brace)를 추가할 수 있다.
2. 만약 상기 삼각 보강재가 화물의 이동에 장애가 되는 위치일 경우 화물의 이동시간동안만 제거하고 화물이 통과한 후에는 더시 복원할 수 있는 조립식 구조를 갖춘다.
3. 인양기의 위치는 반드시 하중보와 본 도에 나타난 화물간의 사이에만 있는 것을 전제하지는 아니하면 필요시에는 수직기둥이나 옆판, 적재함등에 고정하고 하중부의 일정 위치에 있는 길이고정자까지 롤러와 와이어등을 이용하여 연결하면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이때 인양기를 전동 윈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러한 방법이 효과적이다.
4. 수직 기둥(10)들을 옆판과 접하게 하면서 서로 이어 붙여 연결하여 적재함의 전방으로 이어 가면서 좌우 수직기둥의 상부를 연결할 경우 매우 효과적인 화물낙하 방지 보호벽을 만들 수 있다.
5. 미끄럼대는 판으로 제작하여 외부 면이 평탄하지 않은 화물을 상하차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6. 필요에 따라 수직기둥을 다수의 세로대를 사용하여 전 적재함에 결쳐 실 시할 수도있고, 사다리 형상이 아닌 하나의 기둥으로 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세로대에 대응하는 수평보를 설치하거나 간간히 수평보를 배치할 수도 있는 바 이러한 변형도 본 특허의 실시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트럭 호이스트의 일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용어의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직기둥의 일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평보의 일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하중보의 일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길이보의 일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길이보의 동작원리의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정대의 일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인양기와 길이 고정자의 일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가새의 일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미끄럼대의 일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받침자의 일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트럭(5톤 트럭, 정격 상하차 하중 1톤) 호이스트의 일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화물의 상하차 절차도

Claims (2)

  1. 적재 화물의 최고 높이를 넘는 길이의 사다리 형상으로 된 부재를 트럭 좌우측에 배치한 기둥으로 세로대(11), 가로대(12), 중간체결자(14), 상부체결자(13), 하부체결자(15)로 구성되는 수직기둥(10)과
    상기 좌우측 수직기둥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여 화물을 싣고 내릴때 걸리는 하중을 받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보 수평재(21), 보 경사재(22), 보수직재(23), 보 수직체결재(24), 보 상부 체결재(25), 보베어링(26), 상부 보 바닥재(27), 길이 체결재(28)가 트럭의 전후방에 한 쌍으로 구성되는 수평보(20)와
    상기 수평의 상단에 파이프 형상의 부재를 주 구성원으로 하여 하중 몸체(31), 인양위치 고정자(32), 끝 고정자(33), 하중 수평체결재(34)를 일체화하여 화물을 상하차 할 때 사용하는 인양기의 지지점이 되어 주는 하중보(30)와
    상기 하중보와 수평보를 상호 트러스 구조로 연결하되 상기 트러스 구조가 해체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이 이동시에는 상기 하중보의 위치를 낮추고, 화물을 상하차 할 때는 상기 하중보의 위치를 높여 트러스구조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 길이 몸체(91)와 하부길이 몸체(92)와 바닥 길이 몸체(93)와 길이몸체 연결자(94)와 앞 연결자(95)와 뒷 연결자(96)로 구성되는 길이보(90)와
    상기 수직기둥을 트럭의 차 축방향의 임의의 점에서 옆판이나 적재함 바닥 외곽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 고정몸체(51), 하부 고정몸체(52), 고정용 길이 조절자(53), 수직 체결자(54), 옆판 체결자(55)로 구성되는 고정대(50) 와
    화물을 상하차 할 때 상기 하중보에 일단을 고정하고 화물에 타단을 연결하여 길이를 하중보의 고정점과 화물 연결점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체인블럭등을 주 부재로 사용하는 인양기(70)와
    상기 인양기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길이 확정 몸체(81)와 인양 체결자(82)와 손체결자(83)와 손잡이(84)로 구성되는 길이고정자(80)와
    상기 수직기둥의 전방 부위 상단과 적재함의 바닥이나 옆판의 일정점을 연결하여 상기 하중보에 걸리는 화물의 자중이 유발하는 회전모우멘트에 의한 수직기둥등의 전도를 막기위하여 상부 경사몸체(101)와 상하부 경사연결자(102)와 하부 경사몸체(103)와 옆판 체결자(104)와 수직체결자(105)로 구성되는 가새(100)와
    화물을 상하차 할 때 상기 길이 고정자와 화물간의 중력중심이 어긋나더라도 화물이 차량을 손상시키지 않고 부드럽게 미끄러지면서 오르고 내리도록 하기 위한 미끄럼 몸체(61), 하부 잡음자(63)와 방향전환부(C)를 갖는 상부 잡음자(62)로 구성되는 미끄럼대(60)와
    상기 미끄럼대의 상단에 위치한 화물을 적재함 전방에 실어 넣거나 적재함 전방에 있는 화물을 상기 미끄럼대로 끌어 내리기 위하여 상기 길이고정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받침 몸체(41), 수직 체결자(42), 뒷판 체결자(43)로 구성되는 받침자(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트럭 화물 보호벽을 겸하면서 트럭의 화물을 한사람의 운전사 나 작업자로서도 충분히 상하차 할 수 있는 조립식으로 구성한 트럭 화물의 상하차 장치.
  2. 상하차 할 화물 앞으로 트럭을 옮겨 뒷판을 열고 미끄럼대(60)를 뒷판에 일체화하고 미끄럼대가 경사지게 놓이도록 하여 적재함과 지면이 미끄럼대에 의하여 경사진 상태로 연결하는 단계와
    하중보의 후방 끝단에 인양기(70)의 일단이 연결된 길이 고정자(80)가 위치하게 하고 인양기의 타단을 화물에 연결하여 인양기의 길이를 조절하여 화물이 미끄럼대(60)를 따라 경사지게 적재함 바닥으로 올라가는 단계와
    화물의 일단이 적재함 위로 올라가는 단계와
    받침자(40)의 일단을 뒷판에 고정하여 뒷판이 지면과 수평이 되게 하는 단계와
    인양기(70)의 길이를 조정하여 화물을 적재함 바닥과 뒷판에 일체화 되어 있는 미끄럼대(60)위에 놓이게 하는 단계와
    길이 고정자(80)를 전방으로 밀어 내어 인양기(70)의 지지점을 트럭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다시 인양기(70)의 길이를 조절하여 화물을 높이 올림과 동시에 트럭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서 화물이 트럭의 적재함에 안착되게 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트럭에 화물을 상차하는 것과 상기 모든 단계를 역으로 하여 화물을 하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으로 구성한 트럭 화물의 상하차 방법.
KR1020090021403A 2009-03-13 2009-03-13 조립식으로 구성한 트럭 화물의 상하차 장치 및 방법 KR101010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403A KR101010499B1 (ko) 2009-03-13 2009-03-13 조립식으로 구성한 트럭 화물의 상하차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403A KR101010499B1 (ko) 2009-03-13 2009-03-13 조립식으로 구성한 트럭 화물의 상하차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024A true KR20100103024A (ko) 2010-09-27
KR101010499B1 KR101010499B1 (ko) 2011-01-21

Family

ID=43007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403A KR101010499B1 (ko) 2009-03-13 2009-03-13 조립식으로 구성한 트럭 화물의 상하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4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71298A (zh) * 2015-09-17 2015-11-18 国网上海市电力公司 一种高压线路载人作业用折叠式操作平台
CN109573835A (zh) * 2018-06-14 2019-04-05 中国电建集团河南工程有限公司 分层模块化的蜂窝式电极除尘除雾器
KR102023690B1 (ko) 2018-12-14 2019-09-20 주식회사 스튜디오쓰리에스코리아 운반키트를 활용한 물류 상하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0501Y1 (ko) 1996-08-28 1999-11-01 윤병섭 포터블 윈치
KR0140534Y1 (ko) * 1996-12-30 1999-04-15 대우중공업주식회사 철도차량용 차량 연결막의 파이프 프레임 구조
KR100358100B1 (ko) * 1999-12-27 2002-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자동운전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71298A (zh) * 2015-09-17 2015-11-18 国网上海市电力公司 一种高压线路载人作业用折叠式操作平台
CN109573835A (zh) * 2018-06-14 2019-04-05 中国电建集团河南工程有限公司 分层模块化的蜂窝式电极除尘除雾器
CN109573835B (zh) * 2018-06-14 2023-09-29 中国电建集团河南工程有限公司 分层模块化的蜂窝式电极除尘除雾器
KR102023690B1 (ko) 2018-12-14 2019-09-20 주식회사 스튜디오쓰리에스코리아 운반키트를 활용한 물류 상하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0499B1 (ko) 201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74190A1 (en) Base for Supporting an Upstanding Mast
EP0335311A2 (fr) Echafaudage hydraulique
KR101010499B1 (ko) 조립식으로 구성한 트럭 화물의 상하차 장치 및 방법
KR200383712Y1 (ko) 타워크레인 지지프레임
AU2009222526A1 (en) Lifting apparatus for a building under construction
JPH09158470A (ja) 橋脚用組立足場
CN115947274A (zh) 一种适用于狭长深基坑开挖施工的钢平台
WO2020224868A1 (en) Tool arrangement for pivoting a tower or a tower segment from a non-erected position to an erected position
JP3756924B1 (ja) 転落防止装置、貨物用車両、及び転落防止装置の組み立て方法
US20120070257A1 (en) Container load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1213584A (ja) 大型昇降ステージとこれを用いた揚重方法および逆打工法
EP4249706A2 (en) Tool arrangement for unloading a tower or a tower segment from a transportation vehicle and/or for storing the tower or the tower segment
JP2951625B2 (ja) 構造部材の設置装置及び設置工法
AU2003221623B2 (en) A transportable building and self-levelling chassis therefor
CN110304521A (zh) 超高层建筑超重设备吊运装置
KR0148135B1 (ko) 톱크레인을 탑재한 케이지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는 크레인의 클라이밍 장치 및 원리
JP2003056186A (ja) 木造建築物の構造の特質に適合させ、h形鋼および特製アンカー金具並びに特製微調整金具を使用した木造建築物の土台揚げおよび曳き舞い工事のh形鋼鉄骨架台工法。
JP2007326712A (ja) トラック用簡易型クレーン
JP3617667B2 (ja) 支保工またはケーブルクレーンの鉄塔およびその建設方法
CN220223167U (zh) 一种施工电梯用可调式液压支撑装置
CN217864402U (zh) 三轮车车厢后门平放支撑结构
CN218493202U (zh) 悬挂式马道
CN212355451U (zh) 坡面运输装置
CN212129861U (zh) 建筑工程施工用悬挑脚手架
WO2013014620A1 (en) A cr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