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2080A - 터치스크린 그룹 컨트롤 판넬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그룹 컨트롤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2080A
KR20100102080A KR1020100084450A KR20100084450A KR20100102080A KR 20100102080 A KR20100102080 A KR 20100102080A KR 1020100084450 A KR1020100084450 A KR 1020100084450A KR 20100084450 A KR20100084450 A KR 20100084450A KR 20100102080 A KR20100102080 A KR 20100102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anel
navigation
light
scree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6999B1 (ko
Inventor
오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엠에스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엠에스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엠에스솔루션
Priority to KR1020100084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999B1/ko
Publication of KR20100102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9/00Arrangements of nautical instruments or navigational a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컨트롤 판넬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판넬은 모니터(60)와, 릴레이 보드(90)와, 상기 모니터(60)와 릴레이 보드(90)를 연결하는 통신케이블(80)로 구성되며, 상기 모니터는 여러 개의 컨트롤 판넬을 하나의 모니터 화면(61)에 전부 표시되게 하여 설치 공간이 줄어들며, 모니터 화면(61)이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성되어 사용상 편리한 것으로, 여러 개의 컨트롤 판넬들을 하나의 모니터 화면에 전부 나오게 하여 설치 공간의 제약이 없으며 모니터 화면이 터치스크린 형식이라 편리성이 뛰어난 현저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 그룹 컨트롤 판넬{TOUCH SCREEN GROUP CONTROL PANEL}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그룹 컨트롤 판넬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모니터 화면에 판넬들을 나오게 할 수 있어서 설치공간의 제약이 없고 터치스크린 형식이라 편리성이 뛰어난 터치스크린 그룹 컨트롤 판넬에 관한 것이다.
한국은 세계적인 조선 강국이다. 영국 로이드그룹의 자료에 따르면 2006년 기준 우리나라조선업은 건조량 34.7%, 수주량 39.2%, 수주잔량 35.7%로 세계 1위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 이러한 강세는 향후 IT 부문의 기술 우위가 제조 경쟁력에 더해져 기술의 개발이 조선업에 IT를 적극 접목하여 조선업의 교부가가치화와 경쟁국과의 차별화를 동시에 추진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최근 가시화 되고 있다. 이중 최근 세계 조선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이 선박 자동화(MARINE AUTOMATION)와 관련한 분야이다.
선박 자동화 중에는 향해 시 필요한 조명장치를 꼽을 수 있다. 자동차의 방향 표시등이나 안개등, 정지등과 같이 선박의 운항에 필요한 조명장치를 말한다. 국제해상충돌 예방규칙에서는 선박의 운항에 있어서 필요한 항해등 및 신호등을 제어하는 장비를 필수적으로 설치하게 함으로써 선박 상호간에 상대선의 동태를 정확하게 미리 파악하고, 상호간에 합의된 항해규정에 따라 자선의 동태를 타 선박에 알려줘서 선박 상호간의 충돌을 사전에 예방하고 안전을 확보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에 2009년 1월 1일부터 IMO(국제해사기구)에서는 선박용 항해등 원격감시 및 제어를 의무화하게 하고 있다.
종래의 그룹 컨트롤 판넬(GROUP CONTROL PANEL)은 3개의 판넬이 따로 되어 있어서 배안에 설치 할 수 있는 공간이 작아서 제품의 설치 공간의 제약 및 편리성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여러 개의 컨트롤 판넬들을 하나의 모니터 화면에 전부 나오게 하여 설치 공간의 제약이 없으며 모니터 화면이 터치스크린 형식이라 편리성이 뛰어나 터치스크린 그룹 컨트롤 판넬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선박용 컨트롤 판넬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판넬은 모니터(60)와, 릴레이 보드(90)와, 상기 모니터(60)와 릴레이 보드(90)를 연결하는 통신케이블(80)로 구성되며, 상기 모니터는 여러 개의 컨트롤 판넬을 하나의 모니터 화면(61)에 전부 표시되게 하여 설치 공간이 줄어들며, 모니터 화면(61)이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성되어 사용상 편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그룹 컨트롤 판넬는 여러 개의 컨트롤 판넬들을 하나의 모니터 화면에 전부 나오게 하여 설치 공간의 제약이 없으며 모니터 화면이 터치스크린 형식이라 편리성이 뛰어난 현저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의 기본구성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시그널 라이트 컨트롤 판넬의 기본구성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아웃사이더 라이트 컨트롤 판넬의 기본구성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이 모니터 화면에 나타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시그널 라이트 컨트롤 판넬이 모니터 화면에 나타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아웃사이더 라이트 컨트롤 판넬이 모니터 화면에 나타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전체도가 모니터 화면에 나타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알람리스트가 모니터 화면에 나타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모니터 사진
도 10은 종래 기술의 결합한 사진
본 발명은 선박용 컨트롤 판넬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판넬은 모니터(60)와, 릴레이 보드(90)와, 상기 모니터(60)와 릴레이 보드(90)를 연결하는 통신케이블(80)로 구성되며, 상기 모니터는 여러 개의 컨트롤 판넬을 하나의 모니터 화면(61)에 전부 표시되게 하여 설치 공간이 줄어들며, 모니터 화면(61)이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성되어 사용상 편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60)는 판넬들을 선택 클릭할 수 있는 선택모드부(40)와, 상기 선택모드부(40)에서 선택하여 클릭한 각각의 판넬화면들이 표시되게 되는 판넬화면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선택모드부(40)에는 내비게이션(NAVIGATION), 시그널(SIGNAL), 아웃사이드(OUTSIDE), 제너럴뷰(GENERAL VIEW) 및 알람리스트(ALARM LIST) 버튼들이 있으며, 내비게이션을 누르면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NAVIGATION LIGHT CONTROL PANEL)(10)의 화면이 상기 판넬화면부(50)에서 표시되게 되며, 상기 선택모드부(40)에서 시그널을 누르면 시그널 라이트 컨트롤 판넬(SIGNAL LIGHT CONTROL PANEL)(20)의 화면이 상기 판넬화면부(50)에서 표시되게 되며, 상기 선택모드부(40)에서 아웃사이드를 누르면 아웃사이더 라이트 컨트롤 판넬(OUTSIDE LIGHT CONTROL PANEL)(30)의 화면이 상기 판넬화면부(50)에서 표시되게 되며, 상기 선택모드부(40)에서 제너럴뷰를 누르면 전체도(GENERAL VIEW)의 화면이 상기 판넬화면부(50)에 표시되게 되며, 또한 상기 선택모드부(40)에서 알람리스트를 누르면 알람리스트(ALARM LIST)의 화면이 상기 판넬화면부(50)에 표시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의 기본구성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시그널 라이트 컨트롤 판넬의 기본구성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아웃사이더 라이트 컨트롤 판넬의 기본구성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이 모니터 화면에 나타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시그널 라이트 컨트롤 판넬이 모니터 화면에 나타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아웃사이더 라이트 컨트롤 판넬이 모니터 화면에 나타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전체도가 모니터 화면에 나타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알람리스트가 모니터 화면에 나타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모니터 사진, 도 10은 종래 기술의 결합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그룹 컨트롤 판넬은 사각형 모양의 모니터와 상기 모니터와 연결 하는 통신케이블과 모니터와 상기 통신케이블에 의해서 연결이 되는 다수 릴레이 보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 상기 통신케이블, 상기 릴레이 보드의 연결은 우선 모니터와 하나의 통신케이블이 연결 되어 있으며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 릴레이 보드는 통신케이블을 병렬로 연결되어 모니터에서 나오는 하나의 통신케이블과 연결이 된다.
상기 모니터는 전원을 넣으면 모니터 화면 왼쪽에는 각각의 판넬들을 선택 클릭할 수 있는 선택모드부가 있으며 상기 선택모드부 옆에는 선택모드부에서 선택하여 클릭한 각각의 판넬 화면들이 나오게 되는 판넬화면부가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그룹 컨트롤 판넬은 사각형의 모니터에 사람의 손을 사용 하여 모니터를 터치하면서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터치스크린의 원리는 상기 모니터 화면의 상하좌우로 적외선이 흐르고 모니터 화면에는 보이지 않지만 조그만 격자를 형성하게 되며 모니터 화면과 같은 값을 갖도록 되어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모니터 화면을 건드리면 적외선에 의해서 설정된 격자에서 이를 감지 손가락의 위치를 입력 받아 상기 모니터 안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보드로 절단 되고 절단된 신호는 상기 제어보드에 다시 동작 신호를 상기 통신케이블을 통해서 상기 릴레이 보드로 전달되며 그래서 각각의 램프들이 동작 하게 된다. 상기 터치스크린 기술 그 자체는 알려진 바의 기본적인 터치스크린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그 원리에 대한 자세한 기재는 생략한다.
상기 선택모드부에는 NAVIGATION, SIGNAL, OUTSIDE, GENERAL VIEW, ALARM LIST 버튼들이 있다.
상기 선택모드부에서 NAVIGATION를 누르면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NAVIGATION LIGHT CONTROL PANEL)의 화면이 상기 판넬화면부에서 나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은 NAVIGATION LIGHT INDICATOR PANEL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선택모드부에서 SIGNAL를 누르면 시그널 라이트 컨트롤 판넬(SIGNAL LIGHT CONTROL PANEL)의 화면이 상기 판넬화면부에서 나오게 된다.
상기 선택모드부에서 OUTSIDE를 누르면 아웃사이더 라이트 컨트롤 판넬(OUTSIDE LIGHT CONTROL PANEL)의 화면이 상기 판넬화면부에서 나오게 된다. 여기서 아웃사이더 라이트 컨트롤 판넬은 LIGHTING CONTROL PANEL 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선택모드부에서 GENERAL VIEW를 누르면 전체도(GENERAL VIEW)의 화면이 상기 판넬화면부에 나오게 된다.
상기 선택모드부에서 ALARM LIST를 누르면 알람리스트(ALARM LIST)의 화면이 상기 판넬화면부에 나오게 된다.
상기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은 항해등을 제어 하며 상기 시그널 라이트 컨트롤 판넬은 신호등을 제어 하고 상기 아웃사이더 라이트 컨트롤 판넬은 작업등을 제어하는 장비이다.
그리고 상기 전체도(GENERAL VIEW)는 상기 컨트롤 판넬들을 동작한 후 항해등, 신호등, 작업등이 배의 어느 위치에 점등이 되어 있는지를 한눈에 볼 수 있게 배 그림이 그려져 점등된 부분에는 점등되어져서 표시된다.
또한 상기 알람리스트(ALARM LIST)는 전체의 램프들이 어디서 알람이 있는지를 리스트 형식으로 한눈에 볼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과 시그널 라이트 컨트롤 판넬은 국제해상충돌 예방규칙에 따라 선박의 운항에 있어서 필요한 항해등 및 신호등을 제어하는 장비로써 선박 상호간에 상대선의 동태를 정확하게 미리 파악하고 상호간에 합의된 항해규정에 따라 자선의 동태를 타 선박에 알려서 선박 상호간의 충돌을 사전에 예방하고 안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아웃사이더 라이트 컨트롤 판넬은 각종 투광 조명등(FLOOD LIGHT) 및 탐조등(SEARCH LIGHT) 등을 제어하여 선박에서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은 항해등 제어버튼, 항해등 업 표시램프, 항해등 다운 표시램프, 항해등 위치 표시램프, 기능 키 1, 전원상태 표시램프 1, 파워 스위치로 되어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의 중간에는 배 모양의 그림이 있으며 그 안에는 상기 항해등 위치 표시램프가 다수가 있고 배 모양의 옆에는 다수의 상기 항해등 제어버튼과 상기 항해등 업 표시램프와 상기 항해등 다운 표시램프가 있으며 각각의 다수 항해등 제어버튼 양 옆에는 항해등 업 표시램프와 항해등 다운 표시램프가 있고 아래쪽에서 왼쪽에는 상기 기능 키 1이 있으며 바로 옆 즉 오른쪽에는 다수 상기 전원상태 표시램프 1이 또한 오른쪽에는 상기 파워 스위치가 있다.
상기 항해등 제어버튼은 MAST HEAD LIGHT(FORE), ST'BD SIDE LIGHT, PORT SIDE LIGHT, RADAR MAST HEAD LIGHT, STERN LIGHT, ANCHOR LIGHT(FORE MAST), ANCHOR LIGHT(STERN POST), NUC/RAM LIGHT(UPPER), R.A.M LIGHT(MIDDLE), NUC/RAM LIGHT(LOWER)의 버튼들이 있으며 각각의 ON/OFF 기능을 하며 전부 영어로 쓰여 있다.
상기 MAST HEAD LIGHT(FORE), ST'BD SIDE LIGHT, PORT SIDE LIGHT, RADAR MAST HEAD LIGHT, STERN LIGHT는 상기 항해등 위치 표시램프에 표시 된다.
상기 전원상태 표시램프 1의 오른쪽에는 각각 CONTROL SOURCE, MAIN SOURCE, EM'CY SOURCE, MAIN SOURCE FAIL, EM'CY SOUCE FAIL로 영어로 쓰여 있다.
상기 CONTROL SOURCE은 시스템 전원(DC24V)이 공급하면 불이 들어오고 상기 MAIN SOURCE는 메인 전원(AC220V)이 정상 공급하면 불이 들어오며 상기 EM'CY SOURCE는 비상(DC24V)전원이 정상 공급되면 불이 들어오고 상기 MAIN SOURCE FAIL는 메인 전원이 이상 발생 하면 불이 들어오며 상기 EM'CY SOUCE FAIL는 비상 전원이 이상 발생하면 불이 들어오게 된다.
상기 기능 키 1은 BUZZER STOP, BUZZER TEST, SYSTEM TEST, SWITCH LOCK, UP 버튼, DOWN 버튼으로 되어 있고 영어로 쓰여 있으며 UP 버튼은 삼각형 모양이 그려져 있고 DOWN 버튼은 역삼각형 모양이 그려져 있다.
상기 BUZZER STOP는 부저를 멈추는 기능을 하다.
상기 BUZZER TEST는 상기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 자체의 부저를 테스트(상기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의 부저 ON)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SYSTEM TEST는 항해등 세팅 상태 테스트(항해등 ON/OFF)기능을 한다.
상기 SWITCH LOCK는 모든 스위치를 잠그는(상기 항해등 제어버튼, 상기 기능 키 1, 상기 파워 스위치) 기능을 한다.
상기 UP 버튼은 상기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이 상기 모니터에서 동작 하고 있을 때 모니터 화면의 밝기를 점점 밝게 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DOWN 버튼은 상기 UP 버튼 기능의 반대 기능 즉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이 모니터에서 동작 하고 있을 때 모니터 화면의 밝기를 점점 어두워지게 하는 기능을 하며 각각 7단계로 되어 있다.
상기 파워 스위치는 POWER ON와 POWER OFF로 되어 있으며 영어로 쓰여 있다.
상기 전원상태 표시램프 1은 전원이 정상상태 일 때는 상기 MAIN SOURCE 및 상기 EM'CY(EMERGENCY) SOURCE에 노란 불이 들어오고 메인 전원(AC220V)으로 동작되고 상기 CONTROL SOURCE에는 항상 ON 상태가 되어 백색 불이 들어온다.
또한 메인 전원이 이상 발생하면 상기 MAIN SOURCE에 불이 꺼지고 상기 MAIN SOURCE FAIL에 빨간 불이 상기 EM'CY SOURCE에는 노란 불이 들어오며 부저가 울리게 되고 비상 전원(DC24V)으로 동작이 되며 정상상태 복구시 부저가 울리지 않는다.
그리고 비상 전원이 이상 발생시 상기 EM'CY SOURCE에 불이 꺼지며 상기 EM'CY SOURCE FAIL에 빨간 불이 상기 MAIN SOURCE에 노란 불이 들어오고 부저는 울리게 되며 메인 전원으로 동작이 되며 정상상태 복구시 부저는 울리지 않는다.
상기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의 동작 방법 즉 항해등의 ON/OFF 동작 및 램프 이상 발생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기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의 동작은 상기 항해등 제어버튼을 눌러서 동작시키며 각각 항해등 제어버튼에 의해 개별 제어되고 상기 항해등 위치 표시램프가 함께 ON 되며 ON된 항해등 위치를 나타낸다.
상기 항해등 제어버튼을 한 번 누르면 즉 상기 항해등 업 표시램프와 상기 항해등 다운 표시램프에 OFF 상태 일 때 항해등 제어버튼을 한 번 누르면 상기 항해등 업 표시램프가 ON 상태가 되며 상기 항해등 위치 표시램프가 ON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항해등 제어버튼을 한 번 더 누르면 즉 상기 항해등 업 표시램프에 ON 상태 일 때 항해등 제어버튼을 한 번 누르면 상기 항해등 업 표시램프가 OFF 상태가 되며 상기 항해등 다운 표시램프가 ON 상태가 되며 상기 항해등 위치 표시램프가 ON 상태 유지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항해등 제어버튼을 한 번 더 누르면 즉 상기 항해등 다운 표시램프에 ON 상태 일 때 항해등 제어버튼을 한 번 누르면 상기 항해등 다운 표시램프에 OFF 상태가 되고 상기 항해등 위치 표시램프가 OFF 상태가 된다.
그래서 같이 항해등에 있는 불들도 같이 ON 또는 OFF가 된다.
상기 항해등 업 표시램프가 ON 상태일 때 항해등 이상 발생시 상기 항해등 업 표시램프가 OFF가 되며 항해등 업 표시램프가 깜박거리게 되며(이때 항해등 교체시까지 계속 깜박거림) 자동으로 상기 항해등 다운 표시램프로 전환되고 항해등 다운 표시램프가 ON이 된다. 상기 항해등 위치 표시램프는 ON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항해등 다운 표시램프가 ON 상태일 때 항해등 이상 발생시 상기 항해등 다운 표시램프가 OFF가 되며 항해등 다운 표시램프가 깜박거리게 되며(이때 항해등 교체시까지 계속 깜박거림) 자동으로 상기 항해등 업 표시램프로 전환되고 항해등 업 표시램프가 ON이 된다. 상기 항해등 위치 표시램프는 ON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항해등 업 및 다운 표시램프가 모두 이상 발생시 상기 항해등 업 및 다운 표시램프 모두 OFF 상태가 되고 항해등 업 및 다운 표시램프는 깜박거리게 되며(이때 램프 교체시까지 계속 깜박거림) 상기 항해등 위치 표시램프가 OFF가 된다.
모든 항해등을 실제로 ON/OFF 시켜서 이상 유무를 체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는데 상기 기능 키 1에 있는 상기 SYSTEM TEST 버튼을 누르면 모든 상기 항해등 업 표시램프가 ON이 되며 모든 상기 항해등 다운 표시램프가 ON이 되고 모든 항해등을 OFF 시킨다. 여기서 이상 있는 항해등은 상기 항해등 업 및 다운 표시램프에 표시가 된다.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에 있는 부저를 테스트 할 수 있는데 상기 기능 키 1에 있는 상기 BUZZER TEST 버튼을 누르고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에 있는 부저가 ON 되며(여기서 상기 BUZZER TEST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만 동작함)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에 있는 부저 상태를 체크한다.
외부 선교 감시 및 경보 시스템(BWMS)와 통신으로 연동가능하며 연동장비에서 항해등 이상발생시 표시 및 해제가 가능하고 항해등 제어가 가능하다.
즉 상기 항해등 제어버튼을 누르면 제어버튼을 누른 항해등은 ON/OFF가 되며 상기 항해등 업 및 다운 표시램프에 그리고 연동장비에 상태가 표시된다.
또한 연동장비에서 상기 항해등 제어버튼을 누르면 제어버튼을 누른 항해등은 ON/OFF가 되며 연동장비에 그리고 상기 항해등 업 및 다운 표시램프에 상태가 표시된다.
그리고 항해등이 이상 발생시 상기 항해등 업 표시램프 일 때 항해등 이상 발생하면 상기 항해등 다운 표시램프로 전환이 되고 항해등 다운 표시램프 일 때 항해등 이상 발생하면 상기 항해등 업 표시램프로 전환한다.
그래서 상기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에 있는 부저가 ON이 되며 연동장비에 있는 알람에도 알람표시가 되며 상기 기능 키 1에 있는 BUZZER STOP 버튼을 누르면 부저는 OFF가 되며 연동장비 알람은 해제 된다.
또한 연동장비에서는 항해등이 이상 발생시 상기 항해등 업 표시램프 일 때 항해등 이상 발생하면 상기 항해등 다운 표시램프로 전환이 되고 항해등 다운 표시램프 일 때 항해등 이상 발생하면 상기 항해등 업 표시램프로 전환한다.
그래서 상기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에 있는 부저가 ON이 되며 연동장비에 있는 알람에도 알람표시가 되며 연동장비 알람 해제 버튼을 누르면 연동장비 알람이 해제가 되며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에 있는 부저도 OFF가 된다.
상기 시그널 라이트 컨트롤 판넬은 신호등 상태 표시램프, 신호등 제어버튼, 전원상태 표시램프 2, 기능 키 2로 되어 있다.
상기 시그널 라이트 컨트롤 판넬의 중간에는 상기 신호등 상태 표시램프와 상기 신호등 제어버튼이 각각 한 쌍을 이루어지게 되어 있으며 아래 쪽에서는 상기 전원상태 표시램프 2가 그리고 바로 아래는 상기 기능 키 2가 있다.
상기 신호등 제어버튼은 RED, WHITE, GREEN, DANGEROUS CARGO LIGHT, HUGE VESSEL, SUEZ CANAL의 버튼들이 있는데 전부 ON/OFF 하는 기능들을 하며 영어로 쓰여 있다.
상기 기능 키 2는 SWITCH LOCK, UP 버튼, DOWN 버튼으로 되어 있고 영어로 쓰여 있으며 UP 버튼은 삼각형 모양이 그려져 있고 DOWN 버튼은 역삼각형 모양이 그려져 있다.
상기 시그널 라이트 컨트롤 판넬에 있는 SWITCH LOCK는 상기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에 있는 SWITCH LOCK와 같은 모든 스위치를 잠그는 기능을 하지만 상기 작업등 제어버튼, 상기 기능 키 2를 잠그는 기능을 한다.
상기 시그널 라이트 컨트롤 판넬에 있는 UP 버튼과 상기 DOWN 버튼의 기능은 상기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에 있는 UP 버튼과 DOWN 버튼과 같은 기능을 하며 시그널 라이트 컨트롤 판넬에서 모니터의 밝기를 조절한다.
상기 전원상태 표시램프 2는 CONTROL SOURCE이 있으며 이것은 상기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에 있는 CONTROL SOURCE와 같이 시스템 전원(DC24V) 정상 공급을 하면 불이 들어오게 된다.
상기 시그널 라이트 컨트롤 판넬의 동작 방법 즉 신호등의 ON/OFF 동작 다음과 같다.
상기 신호등 제어버튼을 눌러 동작시키며 각각의 제어버튼에 의해 개별 제어되며 상기 신호등 제어버튼을 한 번 누르면 상기 신호등 상태 표시램프에 ON이 되고 신호등 제어버튼을 한 번 더 누르면 신호등 상태 표시램프에 OFF가 된다.
그래서 같이 신호등에 있는 불들도 같이 ON 또는 OFF가 된다.
상기 아웃사이더 라이트 컨트롤 판넬은 작업등 상태 표시램프, 작업등 제어버튼, 전원상태 표시램프 3, 기능 키 3이 있다.
상기 아웃사이더 라이트 컨트롤 판넬의 중간 부분에는 다수의 상기 작업등 상태 표시램프와 상기 작업등 제어버튼이 각각 한 쌍을 이루어지게 되어 있으며 아래쪽에서 상기 전원상태 표시램프 3과 바로 아래는 기능 키 3이 있다.
상기 기능 키 3은 SWITCH LOCK, UP 버튼, DOWN 버튼으로 되어 있고 영어로 쓰여 있으며 UP 버튼은 삼각형 모양이 그려져 있고 DOWN 버튼은 역삼각형 모양이 그려져 있다.
상기 아웃사이더 라이트 컨트롤 판넬에 있는 SWITCH LOCK은 상기 시그널 라이트 컨트롤 판넬에 있는 SWITCH LOCK와 같은 모든 스위치를 잠그는 기능을 하지만 상기 작업등 제어버튼, 상기 기능 키 3을 잠그는 기능을 한다.
상기 아웃사이더 라이트 컨트롤 판넬에 있는 UP 버튼과 상기 DOWN 버튼의 기능은 상기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에 있는 UP 버튼과 DOWN 버튼과 같은 기능을 하며 아웃사이더 라이트 컨트롤 판넬에서 모니터의 밝기를 조절한다.
상기 전원상태 표시램프 3은 CONTROL SOURCE이 있으며 이것은 상기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에 있는 CONTROL SOURCE와 같이 시스템 전원(DC24V) 정상 공급을 하면 불이 들어오게 된다.
상기 아웃사이더 라이트 컨트롤 판넬의 동작 방법 즉 작업등의 ON/OFF 동작 및 램프 이상 발생시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기 작업등 제어버튼을 눌러서 동작을 하며 각각의 제어버튼에 의해 개별 제어 되고 상기 작업등 제어버튼을 한 번 누르면 상기 작업등 상태 표시램프에 ON이 되고 상기 작업등 제어버튼을 한 번 더 누르면 상기 작업등 상태 표시램프에 OFF가 된다.
그래서 같이 작업등에 있는 불들도 같이 ON 또는 OFF가 된다.
또한 작업등 이상 발생시 상기 작업등 상태 표시램프에 깜박거리게 되며 상기 작업등 상태 표시램프는 ON 상태가 되고 작업등 교체시까지 계속 깜박거린다.
상기 각각의 컨트롤 판넬들은 항해등, 신호등, 작업등의 불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 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판넬에 설치되어 있는 표시부 및 제어버튼들은 그리고 기능 키, 파워 스위치, 램프에 들어오는 불의 색깔 등 각각의 기능들은 전부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서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서 지금 있는 기능에서 추가 및 또는 기능들을 뺄 수도 있으며 램프의 색깔들을 변경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모니터 화면에 나타난 도면에서 상기 판넬화면부에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도면이 나타날 수도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그룹 컨트롤 판넬의 동작은 우선 상기 모니터 화면에 왼쪽에는 상기 선택모드부와 그리고 선택모드부 옆에는 판넬화면부가 모니터 화면에 나오게 되며 사용자가 선택모드부에서 원하는 선택모드를 터치하게 된다.
상기 선택모드부에는 총 5개의 선택모드가 있는데 내비게이션(NAVIGATION), 시그널(SIGNAL), 아웃사이더(OUTSIDE), 전체도(GENERAL VIEW), 알람리스트(ALARM LIST) 이렇게 되어져 있다.
상기 선택모드부에는 NAVIGATION, SIGNAL, OUTSIDE, GENERAL VIEW, ALARM LIST의 선택모드가 영어로 쓰여 있다.
상기 NAVIGATION을 선택하면 상기 판넬화면부에서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NAVIGATION LIGHT CONTROL PANEL)이 화면에 나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은 NAVIGATION LIGHT INDICATOR PANEL 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이 상기 판넬화면부에 나오게 되면 상기 전원상태 표시램프 1에 들어온 불들을 확인하여 전원상태가 이상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을 하게 된다. 여기서 메인전원이 이상하면 비상전원이 동작하며 정상상태 복구시 까지 부저는 울리게 된다.
상기 기능 키 1에 있는 상기 SYSTEM TEST 버튼을 사용하여 항해등의 이상유무를 체크 할 수 있는데 SYSTEM TEST 버튼을 누르면 모든 상기 항해등 업 및 다운 표시램프들에 불이 들어오고 다시 항해등 업 및 다운 표시램프의 불들이 꺼지는데 이때 이상 있는 항해등이 있으면 이상 있는 항해등 업 및 다운 표시램프에 불이 깜박이게 된다.
또한 상기 기능 키 1에 있는 상기 BUZZER TEST 버튼을 사용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 자체의 부저를 테스트 할 수 있는데 BUZZER TEST 버튼을 누르면 부저에서 소리가 나며 이때 BUZZER TEST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만 부저에서 소리가 나게 된다.
상기 전원상태 표시램프를 통해서 전원 상태를 확인 하고 장비 테스트를 한 후 상기 항해등 제어버튼을 눌러서 상기 항해등 업 및 다운 표시램프를 동작 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제어버튼에 의해서 개별 제어가 된다.
상기 항해등 제어버튼을 한번 누르면 상기 항해등 업 표시램프에 불이 들어오고 다시 한 번 누르면 항해등 업 표시램프에 불은 꺼지며 상기 항해등 다운 표시램프에 불이 들어오게 되며 다시 한 번 더 항해등 제어버튼을 누르면 항해등 업 표시램프와 항해등 다운 표시램프는 불이 꺼지게 된다.
이때 상기 항해등 업 표시램프에 불이 들어오고 있는 상태일 때 항해등이 이상 발생시 항해등 업 표시램프는 항해등 교체시 까지 계속 깜박거리게 되고 자동으로 상기 항해등 다운 표시램프로 전환이 되어 항해등 다운 표시램프에 불이 들어오며 다른 항해등으로 정상 작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항해등 다운 표시램프에 불이 들어오고 있는 상태일 때 항해등이 이상 발생시 항해등 다운 표시램프는 항해등 교체시 까지 계속 깜박거리게 되고 자동으로 상기 항해등 업 표시램프로 전환이 되어 항해등 업 표시램프에 불이 들어오며 다른 항해등으로 정상 작동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항해등 업 표시램프와 상기 항해등 다운 표시램프가 모두 이상 발생하면 항해등 업 표시램프와 항해등 다운 표시램프가 항해등 교체시 까지 모두 깜박거리게 된다.
상기 SIGNAL을 선택하면 상기 판넬화면부에서 시그널 라이트 컨트롤 판넬(SIGNAL LIGHT CONTROL PANEL)이 화면에 나오게 된다.
상기 시그널 라이트 컨트롤 판넬이 상기 판넬화면부에 나오게 되면 상기 전원상태 표시램프 2에 들어온 불들을 확인하여 전원상태가 이상 있는지 확인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에서의 SYSTEM TEST와 BUZZER TEST가 상기 시그널 라이트 컨트롤 판넬에서도 버튼이 있을 수 있으며 신호등을 동작하기 전에 장비 테스트를 할 수 있다.
상기 신호등 제어버튼을 눌러서 상기 신호등 상태 표시램프를 동작 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제어버튼에 의해서 개별 제어된다.
상기 신호등 제어버튼을 한번 누르면 상기 신호등 상태 표시램프에 불이 들어오고 다시 한 번 더 신호등 제어버튼을 누르면 신호등 상태 표시램프에 불이 꺼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등 상태 표시램프에 불이 들어오고 있는 상태일 때 신호등이 이상 발생시 신호등 상태 표시램프에서 신호등 교체시 까지 계속 깜박거리게 된다.
상기 OUTSIDE를 선택하면 상기 판넬화면부에서 아웃사이더 라이트 컨트롤 판넬(OUTSIDE LIGHT CONTROL PANEL)이 화면에 나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아웃사이더 라이트 컨트롤 판넬은 LIGHTING CONTROL PANEL 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아웃사이더 라이트 컨트롤 판넬이 상기 판넬화면부에 나오게 되면 상기 전원상태 표시램프 3에 들어온 불들을 확인하여 전원상태가 이상 있는지 확인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에서의 BUZZER TEST가 상기 아웃사이더 라이트 컨트롤 판넬에서도 버튼이 있을 수 있으며 작업등을 동작하기 전에 장비 테스트를 할 수 있다.
상기 작업등 제어버튼을 눌러서 상기 작업등 상태 표시램프를 동작 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제어버튼에 의해서 개별 제어된다.
상기 작업등 제어버튼을 한번 누르면 상기 작업등 상태 표시램프에 불이 들어오고 다시 한 번 더 작업등 제어버튼을 누르면 작업등 상태 표시램프에 불이 꺼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등 상태 표시램프에 불이 들어오고 있는 상태일 때 작업등이 이상 발생시 작업등 상태 표시램프에서 작업등 교체시 까지 계속 깜박거리게 된다.
상기 GENERAL VIEW을 선택하면 상기 판넬화면부에서 전체도(GENERAL VIEW)가 화면에 나오게 된다.
상기 전체도를 통해서 상기 항해등, 신호등, 작업등이 배의 어느 위치의 등에 불이 들어와 있는지를 사용자가 한눈에 확인 할 수 있게 배 그림이 그려져 점등된 부분에는 점등이 되어져서 표시된다.
상기 ALARM LIST를 선택하면 상기 판넬화면부에서 알람리스트(ALARM LIST)가 화면에 나오게 된다.
상기 알람리스트를 통해서 전체 시스템의 이상 유무를 확인 할 수 있는데 알람리스트는 날짜, 시간, 장비, 알람 내용으로 리스트 형식으로 나타나며 날짜 및 시간은 알람이 일어난 날짜 및 시간을 나타내며 장비는 알람이 일어난 장비를 나태내고 알람 내용은 램프들의 알람 즉 항해등, 신호등, 작업등의 알람을 나타내며 또한 전원상태의 알람 그리고 연동장비의 알람 등을 알람 내용에 나타나게 된다.
상기 램프들의 정확한 이상 유무 판정을 위한 미소 전류 감지 회로를 사용 하였는데 기술은 다음과 같다.
선박의 항해등 감시 시스템은 선박의 항해등과 같은 중요도가 높은 등기구가 수명이 다되거나 고장으로 인하여 소등되면 이러한 등기구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알람을 알린 후 예비 등기구로 자동으로 교체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을 가능하기 위해선 조명장치에 대한 이상 유무를 판단 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데 미소 전류 감지 회로 기술이 이에 해당한다.
기존의 전류 감지 기술의 하나로써 부하(조명장치)와 직렬로 저항을 걸어 저항에서 발생되는 전압강하 분을 입력으로 받아 처리하는 기술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저항이 가지는 발열 특성 때문에 저항의 수치를 높게 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입력 신호전압이 전원 노이즈 레벨과 비슷하게 되어 검출 오류가 많이 발생하게 되어 신호 대 잡음비(S/N)가 낮다.
또한 다른 기술로는 부하(조명장치)로 가는 전원 라인에 CT(CURRENT TRANSFORMER)를 달아 CT 2차측에 발생되는 전류를 입력으로 받아 처리하는 기술이 있다. 여기서 CT의 역할은 교류의 큰 전류에서 그것에 비례하는 작은 전류를 얻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방법은 저항에 의한 방법보다 회로와 전원이 절연이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신호 전압과 전원 노이즈 레벨 간의 신호대 잡음비(S/N)는 개선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 전류 검출 방식은 절연 및 신호 대 잡음비(S/N)를 동시에 개선하는 방식으로 CT를 이용하되 CT출력에 고감도 증폭회로를 사용하여 노이즈 레벨보다 수십 배 높은 신호 전압을 만들어냄으로써 조명장치 검출을 오류 없이 100% 검출이 이루어 질수 있다.
AC220V 전원의 ZERO CROSS DETECT 기술 개발을 통한 램프의 FLICKERING, DIMMING, AUTO-CHANGE OVER(자동절환) 기능을 구현을 하며 전원 ZERO CROSSING 기술은 다음과 같다.
전원 ZERO CROSSING 기술은 교류전원의 영교차점을 검출하는 기술이다.
항해등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AC220V의 고전압을 ON/OFF 해야만 한다. 보통 릴레이를 이용하여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때 전원 전압의 2배에서 3배가량의 순간적인 써지 전압이 발생하여 시스템 오동작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써지 전압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교류 전압의 ZERO VOLTAGE 지점에서 제어동작을 행함으로써 써지 전압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ZERO CROSS 지점을 검출하여 항해등의 ON/OFF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한다.
항해등의 제어와 마찬가지로 항해등의 상태 감시를 위해서도 전원의 ZERO VOLTAGE 지점에서 검출을 함으로써 전원 노이즈 없이 상태 신호 전압만 걸러서 받아들일 수 있다.
또한 항해등의 DIMMING 제어, FLICKERING 제어 기능을 구현하는데 ZERO CROSSING 기술을 적용한다.
기존의 항해등 제어 시스템은 DIMMING 제어, FLICKERING 제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시스템 외에 개별 모듈을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개별 모듈 부착을 없에고 CONTROL PANEL 내부에 부가기능 회로를 내장 하였다. 이를 위해 기본이 되는 기술이 ZERO CROSSING이다.
DIMMING 제어는 항해등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제어를 통해 항해등의 밝기를 조절하는 기술이고 FLICKERING 제어는 항해등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제어를 통해 항해등의 깜빡임을 조절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제어를 ZERO CROSSING 기술을 이용하여 교류 전원의 영교차지점을 검출한 후 MPU 내부의 CLOCK을 사용 한다.
또한 기계적인 릴레이 대신 수명이 반영구적인 반도체 릴레이(SSR) 소자를 사용 한다.
선박용 항해등 원격 감시 제어 소프트웨어를 통해서 PC를 통해서 그룹 컨트롤 판넬을 제어 할 수 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그룹 컨트롤 판넬 시스템을 이용한 항해등 감시 및 제어뿐만 아니라 RS-422 통신을 이용하여 PC를 통한 항해등의 원격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다.
각 개별 LOCAL 제어기를 통하여 LAMP를 제어하게 하고 이들 개별 제어기를 상위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PC로부터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장에서 제어하는 것과 똑같이 원격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선박내 표준 프로토콜인 NMEA-0183 SENTENCE를 통하여 기존의 타 장비(BRIDGE WATCH MONITORING SYSTEM, TOTAL NAVIGATION, ALARM MONITORING SYSTEM)와 연동이 가능하고 MULTI-LEVEL NETWORK ACCESS 기능을 갖추고 있어 사용자가 언제 어느 곳에 있든 LAN, 전화선, 인터넷에 접속만 할 수 있으면 원격 감시가 가능하다.
국제규격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그룹 컨트롤 판넬을 PC를 이용하여 원격제어가 가능한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원격감시용 제어 프로그램인 HMI 프로그램을 구성하고자 한다. HMI 프로그램은 선박내에 항해등, 신호등 그리고 작업등의 ON/OFF 상태 및 이상 유무를 원격제어 PC 모니터에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판넬은 통신케이블을 통해서 릴레이 보드에 연결하고 상기 릴레이 보드를 통하여 항해등, 시그널 등 및 작업등으로 전달되며 타장비와의 연동이나 PC에 의한 감시/제어 및 원격감시/제어가 가능하며 원격감시 및 제어는 PC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그룹 컨트롤 판넬에 전해지고 그룹 컨트롤 판넬 시스템은 제어신호를 받아 각 조명장치를 제어한다.
종래의 그룹 컨트롤 판넬(GROUP CONTROL PANEL)은 3개의 판넬이 따로 되어 있어서 배안에 설치 할 수 있는 공간이 작아서 제품의 설치 공간의 제약 및 편리성이 없었는데 3개의 판넬을 하나의 모니터 화면에 전부 나오게 할 수 있어서 제품의 설치 공간의 제약이 없으며 각각 판넬에서 고장난 판넬이 있으면 그 판넬을 모니터 화면에 나타나게 하며 터치스크린 형식이라 편리성이 뛰어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그룹 컨트롤 판넬은 여러 개의 컨트롤 판넬들을 하나의 모니터 화면에 전부 나오게 하여 설치 공간의 제약이 없으며 모니터 화면이 터치스크린 형식이라 편리성이 뛰어난 효과를 가지고 있다.
10 :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 11 : 항해등 제어버튼
12 : 항해등 업 표시램프 13 : 항해등 다운 표시램프
14 : 항해등 위치 표시램프 15 : 기능 키 1
16 : 전원상태 표시램프 1 17 : 파워 스위치
20 : 시그널 라이트 컨트롤 판넬 21 : 신호등 제어버튼
22 : 신호등 상태 표시램프 23 : 기능 키 2
24 : 전원상태 표시램프 2
30 : 아웃사이드 라이트 컨트롤 판넬 31 : 작업등 제어버튼
32 : 작업등 상태 표시램프 33 : 기능 키 3
34 : 전원상태 표시램프 3 40 : 선택모드부
50 : 판넬화면부 60 : 모니터
61 : 모니터 화면
70 : 종래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
80 : 통신케이블 90 : 릴레이 보드

Claims (3)

  1. 선박용 컨트롤 판넬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판넬은 모니터(60)와, 릴레이 보드(90)와, 상기 모니터(60)와 릴레이 보드(90)를 연결하는 통신케이블(80)로 구성되며, 상기 모니터는 여러 개의 컨트롤 판넬을 하나의 모니터 화면(61)에 전부 표시되게 하여 설치 공간이 줄어들며, 모니터 화면(61)이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성되어 사용상 편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그룹 컨트롤 판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60)는 판넬들을 선택 클릭할 수 있는 선택모드부(40)와, 상기 선택모드부(40)에서 선택하여 클릭한 각각의 판넬화면들이 표시되게 되는 판넬화면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그룹 컨트롤 판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모드부(40)에는 내비게이션(NAVIGATION), 시그널(SIGNAL), 아웃사이드(OUTSIDE), 제너럴뷰(GENERAL VIEW) 및 알람리스트(ALARM LIST) 버튼들이 있으며, 내비게이션을 누르면 내비게이션 라이트 컨트롤 판넬(NAVIGATION LIGHT CONTROL PANEL)(10)의 화면이 상기 판넬화면부(50)에서 표시되게 되며, 상기 선택모드부(40)에서 시그널을 누르면 시그널 라이트 컨트롤 판넬(SIGNAL LIGHT CONTROL PANEL)(20)의 화면이 상기 판넬화면부(50)에서 표시되게 되며, 상기 선택모드부(40)에서 아웃사이드를 누르면 아웃사이더 라이트 컨트롤 판넬(OUTSIDE LIGHT CONTROL PANEL)(30)의 화면이 상기 판넬화면부(50)에서 표시되게 되며, 상기 선택모드부(40)에서 제너럴뷰를 누르면 전체도(GENERAL VIEW)의 화면이 상기 판넬화면부(50)에 표시되게 되며, 또한 상기 선택모드부(40)에서 알람리스트를 누르면 알람리스트(ALARM LIST)의 화면이 상기 판넬화면부(50)에 표시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그룹 컨트롤 판넬

KR1020100084450A 2010-08-31 2010-08-31 터치스크린 그룹 컨트롤 판넬 KR101056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450A KR101056999B1 (ko) 2010-08-31 2010-08-31 터치스크린 그룹 컨트롤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450A KR101056999B1 (ko) 2010-08-31 2010-08-31 터치스크린 그룹 컨트롤 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080A true KR20100102080A (ko) 2010-09-20
KR101056999B1 KR101056999B1 (ko) 2011-08-16

Family

ID=4300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450A KR101056999B1 (ko) 2010-08-31 2010-08-31 터치스크린 그룹 컨트롤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9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985B1 (ko) * 2017-01-10 2018-10-04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항해등과 신호등 제어패널의 운용방법 및 장치
KR101899346B1 (ko) * 2017-01-10 2018-10-29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실내등 및 외등 제어패널의 운용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0195A1 (en) * 2001-06-11 2004-05-13 Motsenbocker Marvin A. Efficient control, monitoring and energy devices for vehicles such as watercra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6999B1 (ko) 2011-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0439B2 (ja) 通知装置、航海当直警報システム、ステージの変化状況表示方法、及びステージの変化状況表示プログラム
CN103440850B (zh) 一种冗余显示系统
KR101056999B1 (ko) 터치스크린 그룹 컨트롤 판넬
CN202075821U (zh) 多色声光报警器
KR20100102081A (ko) 터치스크린 그룹 컨트롤 판넬 제어방법
KR101903985B1 (ko) 선박용 항해등과 신호등 제어패널의 운용방법 및 장치
JP6978931B2 (ja) 発光機の断線検出装置
KR101114402B1 (ko) 조명장치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단말기 및 컨트롤 패널
JP5699495B2 (ja) 交通信号制御機
RU2695029C1 (ru) Система"Автоматический световой указатель положения палубы при качке"
KR101263414B1 (ko) 중성-접지 진단형 컨디션램프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감시방법
JP6622538B2 (ja) 防災監視システム
KR20170100835A (ko) 선박 조타시스템용 펌프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터미널 유닛과 전용 표시단말기
KR101209852B1 (ko) 선박용 항해등 원격감시 제어용 전자식 그룹제어시스템
CN202998554U (zh) 船舶航行灯半自动控制系统
US10005640B2 (en) Elevator alert status indicator
KR20180023679A (ko) San을 지원하는 선박용 라이트 컨트롤 시스템
JP7203171B2 (ja) 防災監視システム
CN102917496B (zh) 船舶航行灯半自动控制系统
JP6764298B2 (ja) 防災受信盤
KR101777378B1 (ko) 자동화재 탐지설비
KR102122715B1 (ko) 단일 pcb 기반의 통합 릴레이형 영상통합계측용 무인 선박의 제어반
RU136786U1 (ru) Судов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и контроля сигнальными устройствами
JPS59103102A (ja) 操作スイツチの誤操作防止装置
JP6935295B2 (ja) 防災受信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