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1385A -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1385A
KR20100101385A KR1020090019852A KR20090019852A KR20100101385A KR 20100101385 A KR20100101385 A KR 20100101385A KR 1020090019852 A KR1020090019852 A KR 1020090019852A KR 20090019852 A KR20090019852 A KR 20090019852A KR 20100101385 A KR20100101385 A KR 20100101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lating bath
thickness
measuring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1459B1 (ko
Inventor
백두진
오종한
오대근
서완석
박석호
은종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유진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유진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019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459B1/ko
Publication of KR20100101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 G01B11/0608Height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3Making of sedimentation devices, structural details thereof, e.g. prefabricated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01B5/061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height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Abstract

도금조 내에 침전된 침전물의 두께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가 개시된다.
상기한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는 도금조 상부에 배치되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금조 내에 침전된 침전물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해 하강하여 상기 도금조 내에 침전된 침전물과 접촉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부와 도금조 내에 침전된 침전물과의 접촉시 상기 장치본체와의 이격된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유닛, 및 상기 장치본체와 상기 승강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에 의하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촉부재와 도금조 내의 침전물과의 접촉을 매개로 도금조 내 침전된 침전물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도금조 내 침전된 침전물의 침전두께 및 침전분포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금조, 침전드로스, 측정유닛, 감지부재, 제어부

Description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A THICKNESS OF DEPOSITS INSIDE GALVANIZING BATH}
본 발명은 도금조 내의 침전물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판이 도금되기 위해 통과하는 도금조 내에 침전되는 침전물의 침전 두께를 측정하는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둔 열처리된 스트립을 적정온도로 유지하면서 용융아연 도금조에 통과시키면, 용융 아연이 강판의 양 표면에 부착되어 아연이 강판에 도금된다.
이후 아연이 도금된 강판은 도금조 상부측에 배치되는 에어 나이프를 통과한다. 이때 에어 나이프에서 공기분사가 이루어져 그 분사 세기에 따라 도금 부착량이 조정되는 한편, 이와 같이 에어나이프를 통과한 후에는 강판이 냉각된다.
상기한 공정을 통해 강판에 아연이 도금된다.
한편, 풀림(annealing) 처리된 강판을 아연도금조 내에 수용되는 용융아연 속으로 통과시키면, 강판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미세한 철분이 용융아연과 반응한다. 이에 따라 용융아연보다 무거운 화합물을 형성하여 아연도금조의 바닥에 침전된다. 이러한 아연화합물을 침전드로스라 한다.
그런데, 상기한 침전드로스 중 일부는 강판이 고속으로 진행할 때 부유되고, 부유된 침전드로스가 강판의 표면에 묻어 도금 강판의 품질을 저하시킴은 물론, 아연도금조 내의 각종 성분 관리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침전드로스를 제거해 주어야 한다.
또한, 침전드로스가 침전되는 분포에 따라 도금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기 때문에 강판의 종류, 속도에 따라 침전드로스가 어떠한 분포로 침전되는지 측정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침전드로스의 침전 두께를 측정하기 위해 조업자가 직접 도금조 위에서 탐지봉으로 침전드로스의 침전 두께를 측정한다. 하지만 조업자에 의해 도금조 내에 침전된 침전드로스의 침전 두께를 측정하기 때문에 측정 신뢰성이 떨어지고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큰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도금조 내에 침전된 침전물의 두께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는 도금조 상부에 배치되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금조 내에 침전된 침전물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해 하강하여 상기 도금조 내에 침전된 침전물과 접촉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부와 도금조 내에 침전된 침전물과의 접촉시 상지 장치본체와의 이격된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유닛, 및 상기 장치본체와 상기 승강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도금조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이동유닛과, 상기 제1 이동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이동유닛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유닛, 및 상기 제2 이동유닛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바디를 구비하여 도금조 다지점 측정을 통한 침전물 분포측정을 가능토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는 상기 장치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바디와, 상기 승강바디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승강바디의 승강시 상기 승강바디와 연동되어 승강되어 도금조 내 침전물에 접촉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접촉부재와 침전물과의 접촉시 가압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승강바디에 구비되어 탄성부재의 변형을 감지하는 감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승강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장치본체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저 센서일 수 있다.
상기한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는 상기 접촉부재와 침전물과의 접촉시 발생되는 상기 감지부재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측정유닛이 측정한 상기 장치본체와의 이격된 거리에 대한 신호로 기준위치로부터 침전물까지의 거리를 결정하여 침전물의 두께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이동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이동유닛을 상기 프레임을 따라 구동시키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이동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이동유닛을 상기 제1 이동유닛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제3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변형시 이동되는 피감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감지부재는 피감지부재를 감지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촉부재와 도금조 내의 침전물과의 접촉을 매개로 도금조 내 침전된 침전물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도금 조 내 침전된 침전물의 침전 두께 및 침전분포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100, 이하 '침전분포 측정장치'라 함)는 도금조(10)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금조(10)의 길이방향, 즉 도 1에 도시된 'X' 방향으로는 프레임(20)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20)은 도금조(10)에 침지되는 강판(미도시)과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침전분포 측정장치(100)는 도금조(1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프레임(2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침전분포 측정장치(100)는 도면에 도시된 'X', 'Y', 'Z' 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침전분포 측정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120), 승강부(140), 측정유닛(160), 구동부(170,도 2 참조),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장치본체(120)는 도금조(10) 상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장치본체(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유닛(122), 제2 이동유닛(124), 및 고정바디(126)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이동유닛(122)은 도금조(10)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프레임(2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프레임(2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즉, 제1 이동유닛(122)은 도 1에 도시된 'X'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이동유닛(124)은 제1 이동유닛(12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이동유닛(122)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이동유닛(124)은 도 1에 도시된 'Y'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본체(120)는 도금조(10) 내에 침전된 침전물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해 도금조(10)의 상부에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고정바디(126)는 제2 이동유닛(124)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바디(126)에는 승강부(140)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바디(141)에는 승강부(140)의 승강을 위한 구동기구가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승강부(140)는 장치본체(120)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도금조(10) 내에 침전된 침전물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해 승강하여 도금조(10) 내에 침전된 침전물과 접촉 또는 이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승강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바디(142), 탄성부 재(144), 접촉부재(146), 및 감지부재(148)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승강바디(142)는 고정바디(126)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승강바디(142)는 도 1에 도시된 'Z'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장체본체(120)의 고정바디(126)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승강바디(14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재(146)를 승강시키기 위한 권취휠(151), 연동부재(152), 및 연결부재(153)를 구비할 수 있다.
권취휠(151)은 승강바디(142)의 승강시 승강되는 승강바디(142)에 의해 회전되도록 승강바디(142)의 양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연동부재(152)는 권취휠(151)에 권취되며, 연동부재(152)의 양끝단은 고정바디(126)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동부재(152)는 승강바디(142)의 승강에 따라 연동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권취휠(151)은 승강바디(142)의 양단부에 구비되므로 승강바디(142)의 승강에 따라 승강바디(142)와 함께 승강된다. 한편, 연동부재(152)는 승강바디(142)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권취휠(151)에 권취되면서 양끝단은 고정바디(126)에 고정 설치된다.
이에 따라, 연동부재(152)의 양단은 고정바디(126)에 고정된 상태에 있게 되고, 연동부재(152)의 권취휠(151)에 권취된 부분은 승강바디(142)의 승강에 따라 변하게 된다.
따라서, 연동부재(152)는 승강바디(142)의 승강에 따라 연결부재(153)가 장착된 위치의 변화가 발생된다.
한편, 연동부재(152)는 와이어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동부재(152)는 권취휠(151)에 권취될 수 있는 체인 등일 수 있다.
연결부재(153)는 연동부재(152)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153)는 승강바디(142)의 승강에 따라 연동되어 승강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153)의 승강시 연결부재(153)는 승강바디(142)의 승강거리보다 2배 정도 더 승강될 수 있다.
즉, 연동부재(152)는 승강바디(142)의 양단에 구비되는 권취휠(151)에 권취되어 있으므로, 승강바디(142)의 승강시 연결부재(153)가 장착된 측에 배치되는 연동부재(152) 부분은 항상 일정길이가 되어 승강바디(142)와 연결부재(153)의 승강거리는 일치하게 된다.
또한, 연결부재(153)가 장착되지 않은 측에 배치되는 연동부재(152) 부분, 다시 말해 연동부재(152)의 양단이 고정되도록 장착되는 측에 배치되는 연동부재(152) 부분도 위치변화가 생겨 연결부재(153)를 승강시킨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153)가 장착된 측과 연결부재(153)가 장착되지 않은 측의 연동부재(152)의 위치변화에 따라 연결부재(153)는 승강바디(142)의 승강거리보다 2배 정도 더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53)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44), 접촉부재(146), 및 감지부재(148)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144)는 접촉부재(146)의 일단에 연결되도록 연결부재(153)에 장착되며, 접촉부재(146)가 도금조(10)의 내의 침전물과 접촉하는 경우 접촉부 재(146)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144)가 코일 스프링인 경우를 도면에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탄성부재(144)는 접촉부재(146)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채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접촉부재(146)는 승강바디(142)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승강바디(142)의 승강시 승강바디(142)와 연동되어 승강되어 도금조(10) 내 침전물에 접촉 또는 이격될 수 있다.
즉, 접촉부재(146)는 일단이 탄성부재(144)에 연결되도록 연결부재(153)에 장착되며, 연결부재(153)의 구동에 따라 승강된다. 이에 따라, 승강바디(142)가 승강되어 연동부재(152)를 구동시키면, 연동부재(152)에 설치된 연결부재(153)는 연동부재(152)와 함께 구동된다.
결국, 연결부재(153)에 구비되는 접촉부재(146)가 연결부재(153)와 함께 구동되어 승강될 수 있다. 즉, 연동부재(152)가 승강바디(142)의 승강 거리보다 2배정도 더 이동될 수 있으므로, 연동부재(152)에 연결된 접촉부재(146)의 이동 거리도 승강바디(142)의 승강 거리보다 2배 정도 더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촉부재(146)는 승강하여 도금조(10) 내에 침전된 침전물에 접촉 또는 이격된다.
감지부재(148)는 탄성부재(144)에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승강바디(142)에 구비되어 탄성부재(144)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감지부재(148)는 연결부재(153)에 장착되며, 접촉부재(146)가 침전물에 접촉될 때 접촉부재(146)에 의해 가압되어 변형되는 탄성부재(144)를 감지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144)는 변형시 승강되는 피감지부재(144a)를 구비하며, 접촉부재(146)에 의해 탄성부재(144)가 가압되는 경우 이동되는, 즉 상승되는 피감지부재(144a)를 감지부재(148)는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부재(148)는 리미트 센서일 수 있다.
또한, 감지부재(148)는 제어부(19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접촉부재(146)가 침전물에 접촉되는 경우 제어부(19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측정유닛(1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140)에 구비되며, 승강부(140)와 도금조 내에 침전된 침전물과의 접촉시 장치본체(120)와의 이격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측정유닛(160)은 장치본체(120)의 제2 이동유닛(144)과의 이격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제2 이동유닛(144)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측정유닛(160)은 승강부(140)의 승강바디(142) 상부측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측정유닛(160)은 제어부(19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190)의 신호에 따라 즉, 접촉부재(146)가 침전물에 접촉될 때 측정유닛(160)은 제2 이동유닛(144)과의 이격된 거리를 측정한다. 또한, 측정유닛(160)은 측정된 거리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유닛(160)은 승강부(140)에 고정 설치되어 장치본체(120)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저 센서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어떠한 센서라도 채용 가능할 것이다.
구동부(170)는 장치본체(120)와 승강부(140)를 구동시킨다. 이를 위해 구동 부(170)는 제1 구동부(172), 제2 구동부(174), 및 제3 구동부(176)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구동부(172)는 장치본체(120)의 제1 이동유닛(122)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구동부(17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원(172a), 제1 동력전달유닛(172b), 제1 구동부재(172c), 및 제1 안내부재(172d)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구동원(172a)은 제1 이동유닛(122)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이동유닛(122)이 이동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구동원(172a)는 구동모터일 수 있다.
제1 동력전달유닛(172b)은 제1 구동원(172a)으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제1 구동부재(172c)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제1 동력전달유닛(172b)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중공축 기어박스, 커플링, 회전축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구동원(172a)으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은 중공축 기어박스, 커플링, 회전축을 통해 제1 구동부재(172c)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구동부재(172c)는 제1 동력전달유닛(172b)에 연결되어 구동되고, 이에 따라 제1 이동유닛(122)을 프레임(20)을 따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구동부재(172c)는 피니언 기어일 수 있다. 한편, 제1 안내부재(172d)는 프레임(20)에 설치되는 렉 기어일 수 있다.
한편, 제1 구동부(172)는 제어부(19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19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구동 또는 정지될 수 있다.
상기한 제1 구동부(172)의 구성은 모터와 렉-피니언 기어를 구비하는 구성으 로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구성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구동부(174)는 장치본체(120)의 제2 이동유닛(124)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구동부(174)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동원(174a), 제2 동력전달유닛(174b), 제2 구동부재(174c), 제2 안내부재(174d)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구동원(174a)은 제2 이동유닛(124)에 구비되며, 제2 이동유닛(124)이 이동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구동원(174a)도 구동모터일 수 있다.
제2 동력전달유닛(174b)는 제2 구동원(174a)에 연결되어 제2 구동원(174a)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제2 구동부재(174c)로 전달한다. 한편 제2 동력전달유닛(174b)은 다수개의 기어로 이루어져 회전력을 변환시키는 기어박스일 수 있다.
제2 구동부재(174c)는 제2 동력전달유닛(174b)에 연결되어 구동되고, 이에 따라 제2 이동유닛(122)을 제1 이동유닛(122)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2 구동부재(174c)는 피니언 기어일 수 있다. 또한, 제2 안내부재(174d)는 제1 이동유닛(122)에 설치되는 렉 기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이동유닛(124)는 제1 이동유닛(122)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구동부(174)는 제어부(19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19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구동 또는 정지될 수 있다.
상기한 제2 구동부(174)의 구성은 모터와 렉-피니언 기어를 구비하는 구성으 로서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구성에 해당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 구동부(176)는 승강부(140)에 연결되어 승강부(140)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3 구동부(176)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구동원(176a), 제3 동력전달유닛(176b), 제3 구동부재(176c), 및 제3 안내부재(176d)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구동원(176a)은 장치본체(120)의 고정바디(126)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승강부(140)가 승강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한편, 제3 구동원(176a)도 구동모터일 수 있다.
제3 동력전달유닛(176b)는 제3 구동원(176a)에 연결되어, 제3 구동원(176a)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제3 구동부재(176c)로 전달한다. 한편, 제3 동력전달유닛(176b)도 다수개의 기어를 구비하는 기어박스일 수 있다.
제3 구동부재(176c)는 제3 동력전달유닛(176b)에 연결되어 구동되고, 이에 따라 승강바디(142)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3 구동부재(176c)는 피니언 거어일 수 있다. 또한, 제3 안내부재(176d)는 승강바디(142)에 장착되는 렉기어일 수 있다.
또한, 제3 구동부(176)도 제어부(19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190)에 의해 구동 또는 정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제3 구동부(176)의 구성도 구동모터와 렉-피니언 기어를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기술에 해당하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190)는 접촉부재(146)와 침전물과의 접촉시 감지부재(148)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측정유닛(160)이 측정한 장치본체(120)와의 이격된 거리에 대한 신호로 침전물의 침전된 두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90)는 측정유닛(160)이 측정한 장치본체(120)와의 이격된 거리로부터 접촉부재(146)가 하강한 거리, 즉 기준위치(P, 도 7 참조)로부터 침전물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고, 접촉부재(146)가 하강된 거리로부터 도금조(10) 내에 침전된 침전물의 두께를 결정할 수 있다. 침전물의 두께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구동부(170)에 연결되어 구동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90)는 제1,2 구동부(172,174)를 통해 침전물의 침전된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위치로 장치본체(1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90)는 기설정된 측정위치 모두에서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를 측정할 때까지 장치본체(1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제3 구동부(176)를 통해 승강부(140)의 승강바디(142)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0)는 접촉부재(146)와 침전물이 접촉하는 경우 제3 구동부(176)를 제어하여 접촉부재(146)의 하강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접촉부재(146)가 상승되도록 승강바디(142)를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제어부(190)는 기설정된 도금조 내 모든 측정위치에서 침전물 두께를 측정할 때까지 장치본체(120)와 승강부(140)를 제어하여 침전물 두께를 측정할 수 있고, 모든 측정위치에서 침전물 두께를 측정한 후 도금조 내 침전물의 침전 분포를 산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촉부재(146)와 도금조(10) 내의 침전물과의 접촉을 매개로 도금조(10) 내 침전된 침전물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도금조(10) 내 침전물의 침전 두께 및 침전분포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방법에 포함되는 도금조 내 침전물까지의 거리 측정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에서 설명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부호는 상기 구성요소의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측정자는 기준위치(P)에서 도금조(10) 바닥까지의 거리(D1)를 설정한다(S110). 즉, 제어부(190)에 도금조(10)의 크기, 부피 등의 정보를 입력하여 베이스 위치에 있는 도금조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100)의 접촉부재(146)로부터 도금조(10) 바닥까지의 거리를 설정한다.
이후, 도금조의 침전물과의 접촉을 통해 기준위치(P)에서 도금조의 침전물까지의 거리(D2)를 측정한다(S120). 즉, 도금조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100)를 이용 하여 도금조의 침전물과의 접촉을 통해 기준위치(P)에서 도금조의 침전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후 설정된 거리와 측정된 거리를 이용하여 제어부(190)는 도금조 침전물의 두께를 결정한다(S130). 즉, 기준위치(P)에서 도금조(10) 바닥까지의 거리(D1)로부터 도금조의 침전물까지의 거리(D2)의 차이로 제어부(190)는 도금조 침전물의 두께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조 내 침전물까지의 거리 측정단계를 포함하는 도금조 침전물의 두께 측정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금조 바닥까지의 거리 설정이 완료되면, 침전물이 침전된 두께를 측정하기 위하여 장치본체(120)가 측정 위치로 이동된다(S210). 즉, 초기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장치본체(120)는 제어부(190)에 의해 제어되는 제1,2 구동부(172,174)에 의해 구동되어 침전물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 즉 제1 측정위치로 이동된다.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제어부(190)는 제1 구동부(172)의 제1 구동원(172a)을 구동시켜 장치본체(120)의 제1 이동유닛(122)을 프레임(20) 상에서 이동시킨다. 이때 제1 구동원(172a)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은 제1 동력전달유닛(172b)을 통해 제1 구동부재(172c)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20)에 장착된 제1 안내부재(172d)를 따라 제1 동력전달유닛(172b)에 연결된 제1 구동부재(172c)가 이동된다.
결국 장치본체(120)의 제1 이동유닛(122)은 프레임(20)을 따라, 즉 도금조의 길이방향인 'X' 방향(도 1 참조)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어부(190)는 제2 구동부(174)의 제2 구동원(174a)을 구동시켜 장치본체(120)의 제2 이동유닛(124)을 제1 이동유닛(122) 상에서 이동시킨다. 이때 제2 구동원(174a)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은 제2 동력전달유닛(174b)을 통해 제2 구동부재(174c)에 전달되고, 제1 이동유닛(122)에 장착된 제2 안내부재(174d)를 따라 제2 동력전달유닛(172b)에 연결된 제2 구동부재(174c)가 이동된다.
결국 장치본체(120)의 제2 이동유닛(124)은 제1 이동유닛(122)을 따라, 즉 제1 이동유닛(122)이 이동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인 'Y' 방향(도 1 참조)으로 이동된다
이후, 장치본체(120)에 구비되는 승강부(140)의 접촉부재(146)가 도금조(10)의 내로 하강한다(S220). 즉, 장치본체(120)의 고정바디(126)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승강부(140)의 승강바디(142)가 하강되고, 또한 승강바디(142)와 연동되어 승강되는 접촉부재(146)도 하강된다. 이때 승강바디(142)와 접촉부재(146)의 하강, 즉 'Z' 방향(도 1 참조)으로의 이동은 접촉부재(146)가 도금조(10) 내의 침전물과 접촉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190)는 제3 구동부(176)의 장치본체(120)의 고정바디(126)에 고정 장착된 제3 구동원(176a)을 구동시킨다. 제3 구동원(176a)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은 제3 동력전달유닛(176b)을 통해 제3 구동부재(176c)에 전달된다. 그리고, 제3 구동부재(176c)의 회전에 따라 제3 안내 부재(174d)가 장착된 승강바디(142)가 하강된다.
한편, 승강바디(142)가 하강함에 따라 승강바디(142)에 구비된 권취휠(151)에 권취되면서 고정바디(126)에 양단이 고정 설치된 연동부재(152)도 연동된다. 이때, 연동부재(152)에 설치된 연결부재(153)와, 연결부재(153)에 설치된 접촉부재(146)도 연동부재(152)와 함께 승강바디(142)의 승강에 따라 연동되어 하강된다.
그리고, 접촉부재(146)의 하강 길이는 승강바디(142)의 하강 길이보다 대략 2배 정도 더 하강될 수 있다. 이러한 하강은 접촉부재(146)가 도금조(10) 내 침전된 침전물에 접촉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후 승강부(140)에 구비되는 감지부재(148)를 통해 접촉부재(146)와 침전물과의 접촉여부를 감지한다(S230). 즉, 탄성부재(144)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연결부재(153)에 설치되는 감지부재(148)를 통해 접촉부재(146)와 침전물과의 접촉여부를 감지한다.
접촉부재(146)가 하강하면서 접촉부재(146)의 일단과 침전물이 접촉되면, 접촉부재(146)에 하강되는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가압력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접촉부재(146)의 타단에 연결된 탄성부재(144)가 가압된다. 탄성부재(144)가 가압되어 변형되면, 탄성부재(144)에 구비되는 피감지부재(144a)가 이동되어 감지부재(148), 즉 리미트 센서에 감지된다.
이때, 감지부재(148)는 제어부(190)로 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90)는 제3 구동부(176)을 통해 접촉부재(146)의 하강을 정지시킨다.
한편, 접촉부재(146)와 침전물과의 접촉시 감지부재(148)로부터 발생되는 신 호에 따라 측정유닛(160)이 장치본체(120)와의 이격된 거리를 측정한다(S240). 즉 측정유닛(160)에 연결된 제어부(190)는 감지부재(148)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측정유닛(160)을 통해 장치본체(120), 즉 제2 이동유닛(124)의 상면과 측정유닛(160)과의 이격된 거리를 측정한다.
한편, 측정유닛(160)은 승강바디(142)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승강바디(142)가 짧은 거리를 하강하는 경우 측정유닛(160)과 제2 이동유닛(124)의 이격된 거리가 멀어지고, 승강바디(142)가 긴 거리를 하강하는 경우 측정유닛(160)과 제2 이동유닛(124)의 이격된 거리는 가까워진다.
그리고, 측정유닛(160)이 측정한 제2 이동유닛(124)의 상면과의 이격된 거리는 제어부(190)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측정유닛(160)이 감지한 장치본체(120)와의 이격된 거리에 대한 신호에 따라 제어부(190)는 기준위치(P)에서 도금조(10) 내 침전물까지의 거리를 결정한다(S250). 즉, 제어부(190)는 측정유닛(160)이 감지한 장치본체(120)와 측정유닛(160)의 이격된 거리에 대한 신호로부터 접촉부재(146)가 하강한 거리를 결정한다. 이후 제어부(190)는 접촉부재(146)의 하강된 거리로부터 도금조(10) 내 침전물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도금조(10) 내 침전물까지의 거리가 결정되면, 제어부(190)는 제3 구동부(176)를 구동시켜 접촉부재(146)를 상승시킨다. 즉, 승강부(140)의 승강바디(142)를 상승시켜 접촉부재(146)가 상승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단계를 통해, 기준위치(P)로부터 도금조(10) 침전물까지의 거리가 측정될 수 있다.
이후 설정된 거리와 측정된 거리를 이용하여 제어부(190)는 도금조 침전물의 두께를 결정한다(S130).
한편, 도금조 침전물의 두께를 결정한 후 제어부(190)는 기설정된 도금조 내 모든 측정위치에서 침전물의 두께를 측정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40).
만약 기설정된 도금조 내 모든 측정위치에서 침전물의 두께를 측정하지 않은 경우 기준위치로부터 도금조 침전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도금조 내 기설정된 모든 측정위치에서의 측정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도금조(10) 내 기설정된 모든 위치에서 침전물의 침전두께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도금조(10) 내 침전물의 침전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
만약, 기설정된 도금조 내 모든 측정위치에서 침전물의 두께를 측정하였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90)는 도금조(10) 내 침전분포를 산정한다(S150). 즉 모든 측정위치에서 측정된 침전물의 두께를 통해 도금조(10) 내 침전물의 침전분포를 산정하여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도금조 내 침전물 두께 측정방법은 아연도금 설비의 구동 정지 중에 사용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촉부재(146)와 도금조(10) 내의 침전물과의 접촉을 매개로 도금조(10) 내 침전된 침전물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도금조(10) 내 침전물의 침전 두께 및 침전분포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조 내 침전물까지의 거리 측정단계를 포함하는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 120 : 장치본체
140 : 승강부 160 : 측정유닛
170 : 구동부 190 : 제어부

Claims (7)

  1. 도금조 상부에 배치되는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금조 내에 침전된 침전물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해 하강하여 상기 도금조 내에 침전된 침전물과 접촉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부와 도금조 내에 침전된 침전물과의 접촉시 상기 장치본체와의 이격된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유닛; 및
    상기 장치본체와 상기 승강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도금조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이동유닛;
    상기 제1 이동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이동유닛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유닛; 및
    상기 제2 이동유닛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바디;
    를 구비하여 도금조 다지점 측정을 통한 침전물 분포측정을 가능토록 구성된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장치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바디;
    상기 승강바디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승강바디의 승강시 상기 승강바디와 연동되어 승강되어 도금조 내 침전물에 접촉되는 접촉부재;
    상기 접촉부재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접촉부재와 침전물과의 접촉시 가압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승강바디에 구비되어 탄성부재의 변형을 감지하는 감지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승강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장치본체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와 침전물과의 접촉시 발생되는 상기 감지부재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측정유닛이 측정한 상기 장치본체와의 이격된 거리에 대한 신호로 기준위치로부터 침전물까지의 거리를 결정하여 침전물의 두께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이동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이동유닛을 상기 프레임을 따라 구동시키는 제1 구동부;
    상기 제2 이동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이동유닛을 상기 제1 이동유닛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제3 구동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변형시 이동되는 피감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감지부재는 피감지부재를 감지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변형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
KR1020090019852A 2009-03-09 2009-03-09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 KR101091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852A KR101091459B1 (ko) 2009-03-09 2009-03-09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852A KR101091459B1 (ko) 2009-03-09 2009-03-09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385A true KR20100101385A (ko) 2010-09-17
KR101091459B1 KR101091459B1 (ko) 2011-12-07

Family

ID=43006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852A KR101091459B1 (ko) 2009-03-09 2009-03-09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4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012B1 (ko) * 2011-07-08 2013-01-14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집합체의 핵연료봉 외경 측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907B1 (ko) 2012-05-31 2012-08-03 (주)파이브텍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슬러지 침전측정 모듈 및 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침전조 원방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012B1 (ko) * 2011-07-08 2013-01-14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집합체의 핵연료봉 외경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1459B1 (ko)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59336B (zh) 在冶金容器中的测量
JP4803714B2 (ja)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KR101853831B1 (ko) 용융 아연 도금 라인용 드로스 제거장치
KR101091459B1 (ko) 도금조 내 침전물의 두께 측정장치
CN101151396B (zh) 用于金属带热浸覆层的方法和装置
CN110227804A (zh) 一种银锭自动浇铸设备
CN107335888B (zh) 波峰焊波峰高度校正装置及校正方法
KR102098806B1 (ko) 냉연강판 도금품질 테스트장치
CN212721220U (zh) 一种通过浮力变化测量铁水渣厚的装置
CN2352933Y (zh) 混铁车液面测量控制装置
CN211227207U (zh) 一种带有高度检测装置的转炉氧枪结构
KR101709916B1 (ko) 마킹장치
CN113003196B (zh) 一种轧制车轮自动分类筛选输送装置
CN110551958A (zh) 自动加锌锭装置及其使用方法
CN201931063U (zh) 一种测量板坯连铸水口浸入深度及保护渣液渣厚度的装置
CN211824820U (zh) 车载探头箱式轨道移动机器人测温取样装置
KR101244323B1 (ko) 물리량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JPH09243273A (ja) 除滓装置
CN211401111U (zh) 一种电子级浮法玻璃熔窑锡槽平整度测量装置
SE433093B (sv) Ugnsvanna for metallbeleggning medelst varmdoppning
CN111471835A (zh) 一种rh炉钢包提升控制的方法及系统
KR100833002B1 (ko) 용강탕면 측정장치
CN105364030A (zh) 钢包净空测量装置
CN219484135U (zh) 一种结晶器液面检测探头自动收放装置
KR200223207Y1 (ko) 코일 외경에 따른 코일카 높이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