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0674A - 선풍기 및 팬 가드 - Google Patents

선풍기 및 팬 가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0674A
KR20100100674A KR1020100019454A KR20100019454A KR20100100674A KR 20100100674 A KR20100100674 A KR 20100100674A KR 1020100019454 A KR1020100019454 A KR 1020100019454A KR 20100019454 A KR20100019454 A KR 20100019454A KR 20100100674 A KR20100100674 A KR 20100100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guard
rectifying
blad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요시 이나즈미
슈조 우에야마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 컨슈머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 컨슈머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0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 F04D25/105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by changing rotor axis direction, e.g. oscillat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4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by varying driving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parallel a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60Fluid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정류 날개를 구비하여, 정류 날개에 의한 풍속 및 풍향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선풍기(50)에서는, 팬(1)과 전방 가드(2A)와의 사이에 정류 유닛(20)이 설치되어 있다. 정류 유닛(20)은, 기부(18)와, 기부(18)로부터 신장된 정류 날개(3)와, 조작부(8)를 포함하고 있어, 조작부(8)를 조작함으로써, 정류 날개(3)는 바람의 흐름에 대하여 각도가 조정 가능하다. 그로 인해, 조작부(8)를 조작하여 정류 날개(3)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정류 날개(3)는, 팬(1)에 송출되는 바람을 계속해서 동일 방향에 흐르게 하거나, 저항이 되어 풍속을 낮추는 동시에 바람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조작부(8)는, 기부(18)에 대하여 외부에서 끼워지는 환상체이므로, 조작부(8)를 한손 전체로 잡고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손끝으로 잡고 조작해야 하는 구성에 비해 조작성이 좋다.

Description

선풍기 및 팬 가드{ELECTRIC FAN AND FAN GUARD}
본 발명은, 선풍기 및 선풍기의 팬에 전방으로부터 사물이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팬 가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선풍기에서는,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팬이 설치되어 있고, 이 팬이 회전함으로써 바람이 생성된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냉풍선(선풍기에 상당함)은, 하우징과, 하우징에 있어서 개구된 측면에 고정 설치된 팬을 구비하고 있어, 팬이 회전함으로써 생성된 바람은 하우징의 개구로부터 외부에 토출된다.
그리고,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냉풍선에서는, 팬의 공기 토출측에 가속 날개(정류 날개에 상당함)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가속 날개에 의해 하우징의 개구로부터 외부에 토출되는 바람의 속도를 올릴 수 있다.
일본특허공개소58-106337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냉풍선의 가속 날개는, 풍속을 일정량 올릴 수 있는 것에 지나지 않아 풍속을 조정할 수 없다.
일반적인 선풍기에서는, 부속의 다이얼 등을 조작함으로써 팬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여 풍속을 조정할 수 있는데, 가속 날개로도 풍속을 조정할 수 있으면 풍속에 대한 선택지가 증가하므로, 풍속에 대한 유저의 세세한 요망에 부응할 수 있다.
또한, 가속 날개에 의해, 풍속에 한하지 않고 풍향도 변경할 수 있으면 편리하다. 여기서, 가속 날개에 의한 풍속 및 풍향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한, 가속 날개에 의한 풍속 및 풍향의 변경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으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풍속 및 풍향을 가속 날개에 의한 변경 전후의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면 보다 편리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을 기초로 이루어진 것으로, 정류 날개를 구비하여, 정류 날개에 의한 풍속 및 풍향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선풍기 및 팬 가드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정류 날개를 구비하여, 정류 날개에 의한 풍속 및 풍향의 변경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는 선풍기 및 팬 가드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류 날개를 구비하여, 풍속 및 풍향을 정류 날개에 의한 변경 전후의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선풍기 및 팬 가드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은, 팬과, 상기 팬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팬에 사물이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가드를 갖는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팬과 상기 가드와의 사이에, 상기 팬에 의해 송출되는 바람의 흐름을 조정하기 위한 정류 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정류 유닛은, 상기 가드의 중앙에 설치된 기부와, 상기 기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신장된 복수 장의 정류 날개와, 상기 기부에 대하여 밖에서 끼워지는 환상체이며, 상기 가드의 전방측으로부터 조작 가능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정류 날개는 바람의 흐름에 대하여 각도가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이다.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날개를 소정 각도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이다.
제3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가, 상기 기부 및 상기 기부 내에서 지지되는 상기 정류 날개의 근원부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오목부와, 상기 기부 및 상기 정류 날개의 근원부 중 어느 다른 쪽에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에 끼워지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이다.
제4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정류 날개는 바람을 전방으로 유도하는 가속 위치와, 바람의 흐름을 측방으로 휘게 하는 분산 위치 중 어느 한쪽으로 위치를 절환할 수 있고,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정류 날개를, 상기 가속 위치 및 상기 분산 위치의 각각에 있어서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이다.
제5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상기 복수 장의 정류 날개의 근원부를 협지하는 한 쌍의 수지제의 홀더와, 상기 홀더끼리 부착하는 나사와, 상기 조작부에 연결된 환상의 랙 기어를 포함하고, 각 상기 정류 날개의 근원부에는, 상기 랙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랙 기어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복수 장의 정류 날개의 각도가 함께 절환되며, 상기 랙 기어에 있어서, 상기 나사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상기 정류 날개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제1 부분은, 상기 나사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상기 정류 날개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제2 부분에 비해, 상기 피니언 기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이다.
제6항에 기재된 발명은, 선풍기의 팬에 전방으로부터 사물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팬 가드로서, 가드 본체와, 상기 가드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가드 본체를 통과하는 바람의 흐름을 조정하기 위한 정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정류 유닛은, 상기 가드 본체의 중앙에 설치된 기부와, 상기 기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신장된 복수 장의 정류 날개와, 상기 기부에 대하여 밖에서 끼워지는 환상체이며, 상기 가드 본체의 전방측으로부터 조작 가능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정류 날개는 바람의 흐름에 대하여 각도가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가드이다.
제7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날개를 소정 각도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가드이다.
제8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가, 상기 기부 및 상기 기부 내에서 지지되는 상기 정류 날개의 근원부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오목부와, 상기 기부 및 상기 정류 날개의 근원부 중 어느 다른 쪽에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에 끼워지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가드이다.
제9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정류 날개가, 바람을 전방에 유도하는 가속 위치와, 바람의 흐름을 측방으로 휘게 하는 분산 위치 중 어느 한쪽으로 위치를 절환할 수 있고,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정류 날개를 상기 가속 위치 및 상기 분산 위치의 각각에 있어서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가드이다.
제10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가, 상기 복수 장의 정류 날개의 근원부를 협지하는 한 쌍의 수지제의 홀더와, 상기 홀더끼리 부착하는 나사와, 상기 조작부에 연결된 환상의 랙 기어를 포함하고, 각 상기 정류 날개의 근원부에는, 상기 랙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랙 기어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복수 장의 정류 날개의 각도가 함께 절환되고, 상기 랙 기어에 있어서, 상기 나사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상기 정류 날개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제1 부분은, 상기 나사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상기 정류 날개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제2 부분에 비해, 상기 피니언 기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가드이다.
제1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이 선풍기에서는, 팬과 가드와의 사이에 팬에 의해 송출되는 바람의 흐름을 조정하기 위한 정류 유닛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정류 유닛은, 가드의 중앙에 설치된 기부와, 기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신장된 복수 장의 정류 날개와, 가드의 전방측으로부터 조작 가능한 조작부를 포함하고 있고,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정류 날개는 바람의 흐름에 대하여 각도가 조정가능하다.
그로 인해, 조작부를 조작하여 정류 날개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정류 날개는 팬에 송출되는 바람을 계속해서 동일 방향으로 내보내거나, 저항이 되어 풍속을 낮추는 동시에 바람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여기서, 조작부는, 기부에 대하여 밖에서 끼워지는 환상체이므로, 상기 조작부를 한손 전체로 잡고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손끝으로 잡고 조작해야 하는 구성의 조작부에 비해 조작성이 좋다.
즉, 본 선풍기에서는, 정류 날개에 의한 풍속 및 풍향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2항 및 제7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위치 결정부가 정류 날개를 소정 각도로 위치 결정하므로, 풍속 및 풍향을 정류 날개에 의한 변경 전후의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3항 및 제8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위치 결정부를, 기부 및 기부 내에서 지지되는 정류 날개의 근원부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오목부와, 기부 및 정류 날개의 근원부 중 어느 다른 쪽에 형성되어 오목부에 끼워지는 볼록부에 의해 간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4항 및 제9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정류 날개는, 바람을 전방으로 유도하는 가속 위치와, 바람의 흐름을 측방으로 휘게 하는 분산 위치 중 어느 한쪽으로 절환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풍속 및 풍향을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그리고, 위치 결정부가, 정류 날개를 가속 위치 및 분산 위치의 각각에 있어서 위치 결정한다는 점에서, 정류 날개가 가속 위치 및 분산 위치의 각각에 있을 경우에서의 풍속 및 풍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5항 및 제10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에 연결된 환상의 랙 기어와, 각 정류 날개의 근원부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가 맞물려 있어, 조작부를 조작함하여 랙 기어를 회동시킴으로써 복수 장의 정류 날개의 각도가 함께 절환된다. 즉, 이러한 랙 앤드 피니언 기구를 이용한 간이한 구성에 의해, 복수 장의 정류 날개의 각도를 함께 절환하여 풍속 및 풍향을 바꿀 수 있다.
여기서, 기부는, 복수 장의 정류 날개의 근원부를 협지하는 한 쌍의 수지제의 홀더와, 홀더끼리 부착하는 나사를 포함하고 있다.
복수 장의 정류 날개 중, 나사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정류 날개의 근원부는, 한 쌍의 홀더에 있어서 잘 휘지 않는 부분에서 협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정류 날개의 위치가 안정되어, 상기 정류 날개의 근원부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와 랙 기어의 맞물림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 장의 정류 날개 중, 나사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정류 날개의 근원부는, 한 쌍의 홀더에 있어서 휘기 쉬운 부분에서 협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이 휘게 되면, 상기 정류 날개의 위치가 어긋나 피니언 기어와 랙 기어가 헛 돌거나, 정류 날개의 근원부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가 랙 기어로부터 갑자기 벗어나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랙 기어에 있어서, 나사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정류 날개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제1 부분은, 나사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정류 날개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제2 부분에 비해, 피니언 기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홀더가 휨으로써 나사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정류 날개의 위치가 어긋나도, 상기 정류 날개의 근원부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가 랙 기어(제1 부분)에 대하여 헛돌거나, 랙 기어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즉, 나사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정류 날개뿐만 아니라, 나사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정류 날개라도, 근원부의 피니언 기어와 랙 기어의 맞물림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랙 기어를 회동시키면, 모든 정류 날개의 각도를 확실하게 함께 절환할 수 있다.
그 결과, 정류 날개에 의한 풍속 및 풍향의 변경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제6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팬 가드에서는, 가드 본체에 가드 본체를 통과하는 바람의 흐름을 조정하기 위한 정류 유닛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정류 유닛은, 가드 본체의 중앙에 설치된 기부와, 기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신장된 복수 장의 정류 날개와, 가드 본체의 전방측으로부터 조작 가능한 조작부를 포함하고 있어,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정류 날개는, 바람의 흐름에 대하여 각도가 조정 가능하다.
그로 인해, 조작부를 조작하여 정류 날개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정류 날개는, 팬에 송출되어 가드 본체를 통과하는 바람을 계속해서 동일 방향으로 내보내거나, 저항이 되어 풍속을 낮추는 동시에 바람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여기서, 조작부는, 기부에 대하여 밖에서 끼워지는 환상체이므로, 상기 조작부를 한손 전체로 잡고 조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손끝으로 잡고 조작해야 하는 구성의 조작부에 비해 조작성이 좋다.
즉, 상기 팬 가드에서는, 정류 날개에 의한 풍속 및 풍향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선풍기(50)의 우측면도로서, 주요부를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2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위치에서 절단한 경우에서의 팬 가드(30)의 단면도.
도 3의 (a)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위치에서 절단한 경우에서의 팬 가드(30)의 주요부 단면도이고, (b)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제3 위치에서 절단한 경우에서의 팬 가드(30)의 주요부 단면도.
도 4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제4 위치에서 절단한 경우에서의 팬 가드(30)의 단면도.
도 5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제5 위치에서 절단한 경우에서의 팬 가드(30)의 단면도.
도 6의 (a)는, 도 5의 A-A의 야시도로서, 내부 덮개(11)를 생략하였고, (b)는, 도 5의 B-B의 야시도.
도 7의 (a)는, 정류 날개(3)가 가속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팬 가드(30)의 정면도이고, (b)는, 정류 날개(3)가 분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팬 가드(30)의 정면도.
도 8의 (a)는, 도 5의 주요부 확대도이고, (b)는, 도 4의 주요부 확대도.
도 9의 (a)는, 도 8의 (a)에 있어서 정류 날개(3)의 위치가 가속 위치로부터 분산 위치로 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고, (b)는, 도 8의 (b)에 있어서 정류 날개(3)의 위치가 가속 위치로부터 분산 위치로 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이하에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선풍기(50)의 우측면도이며, 주요부를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선풍기(50)는, 받침대(60)와, 받침대(6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지주(70)와, 지주(7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헤드부(80)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서는, 선풍기(50)의 헤드부(80)에 설치되는 팬(1), 가드 유닛(2) 및 정류 날개(3)가 도시되어 있다.
팬(1)은, 정면(종이면 좌측)에서 보아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 장의 날개(4)를 일체화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들 날개(4)는, 둘레 방향(정면에서 본 경우에서의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이며, 이하 동일)으로 동등한 간격을 두고 나열되어 있다. 팬(1)의 중심 부분(복수 장의 날개(4)의 접속 부분)은, 헤드부(80)에 내장된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축(81)에 부착되어 있다.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구동되면, 팬(1)은 그 중심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회전한다. 팬(1)은 회전함으로써 전방(정면)으로 바람을 송출한다(굵은 실선 화살표 참조).
가드 유닛(2)은, 전방 가드(2A)(가드, 가드 본체)와 후방 가드(2B)로 전후로 분할 가능하다.
전방 가드(2A)는, 정면에서 보아 원형을 이루고(후술하는 도 7도 참조), 전방측으로 팽출하는 사발 형상으로, 그 원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금속와이어(5)에 의해 바구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방 가드(2B)는, 정면에서 보아 원형을 이루고, 후방측으로 팽출하는 사발 형상이며, 전방 가드(2A)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금속와이어(5)에 의해 바구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 가드(2A)의 후방측 둘레부와 후방 가드(2B)의 전방측 둘레부를 서로 끼워지게 함으로써 가드 유닛(2)이 구성되어 있다.
가드 유닛(2)은, 그 내측(전방 가드(2A)와 후방 가드(2B)에 둘러싸인 공간)에 팬(1)을 수용하고 있다. 그 상태에서, 전방 가드(2A)가 팬(1)을 전방측으로부터 덮고 있고, 후방 가드(2B)가 팬(1)을 후방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그 상태에서, 가드 유닛(2)(전방 가드(2A) 및 후방 가드(2B))의 원 중심과 팬(1)의 회전 중심은, 정면에서 보아 거의 일치하고 있다. 가드 유닛(2)에 있어서, 전방 가드(2A)는, 팬(1)의 전방으로부터 팬(1)에 사물이 닿는 것을 방지하고, 후방 가드(2B)는, 팬(1)의 후방으로부터 팬(1)에 사물이 닿는 것을 방지한다.
전방 가드(2A)의 원 중심 부분(전단부)에는, 원판 형상의 가드 오너먼트 림(6)이 정면측에서 설치되고, 전방 가드(2A)와 가드 오너먼트 림(6)은 일체화되어 있다. 가드 오너먼트 림(6)의 원 중심과 전방 가드(2A)의 원 중심은, 정면에서 보아 거의 일치하고 있다. 가드 오너먼트 림(6)의 원 중심 위치에는, 가드 오너먼트 림(6)과 동심의 둥근 구멍(7)이 형성되어 있다. 둥근 구멍(7)은, 가드 오너먼트 림(6)의 원 중심 부분(다시 말해 전방 가드(2A)의 원 중심 부분)을 관통하고 있다.
상기 선풍기(50)에서는, 팬(1)과 전방 가드(2A)와의 사이에, 팬(1)에 의해 전방으로 송출되어 전방 가드(2A)를 통과하는 바람의 흐름을 조정하기 위한 정류 유닛(20)이 설치되어 있고, 도 1에서는, 정류 유닛(20)에 포함되는 복수 장(여기서는 10장)의 정류 날개(3)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정류 날개(3)는, 정면에서 보아 둥근 구멍(7)(다시 말해 팬(1)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둘레 방향으로 동등한 간격을 두고 나열되어 있다. 이들 정류 날개(3)를 포함하여 정류 유닛(20) 전체는 전방 가드(2A)에 지지되어 있고, 팬(1)에 접촉하지 않는다. 여기서, 전방 가드(2A)와 정류 유닛(20)을 합쳐 팬 가드(30)라 한다. 팬 가드(30)는, 선풍기(50)로부터 떨어져 독립된 상품으로서 거래되어, 예를 들어 기존의 선풍기(50)의 전방 가드(2A)와 교환하여 사용될 수 있다.
가드 오너먼트 림(6)의 둥근 구멍(7)에는, 정면에서 보아 환상을 이루는 조작부(8)의 후단부가 앞에서 헐겁게 끼워져 있다. 조작부(8)의 외경은, 가드 오너먼트 림(6)의 외경보다 약간 크다. 조작부(8)의 내측 둘레부는, 전역에 걸쳐 후방측으로 약간 구부러져 있어, 이 부분이 조작부(8)의 후단부를 이룬다. 그 상태에서, 조작부(8)는 전방 가드(2A)로부터 정면측에 노출되어 있고, 정면에서 보아 둥근 구멍(7)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다.
전방 가드(2A)의 전방측으로부터, 조작부(8)를 그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잡고, 정면에서 보아 둘레 방향으로 비틀면(조작하면) 조작부(8)가 회동하고, 이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류 날개(3)의 위치를 절환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부(8)의 전방측면의 외주둘레에는, 조작부(8)의 원 중심을 향해 원호 형상으로 푹 들어간 오목부(8A)가, 조작부(8)의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후술하는 도 7 참조), 손가락이 오목부(8A)에 끼워짐으로써 조작부(8)를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잡을 수 있다.
도 2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위치에서 절단한 경우에서의 팬 가드(30)의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정류 유닛(2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류 유닛(20)은, 상술한 정류 날개(3) 및 조작부(8)와 기부(18)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정류 유닛(20)은, 후술하는 나사 이외의 모든 부품이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정류 날개(3)는, 전방 가드(2A)의 원 중심측(둥근 구멍(7)측)에 있어서 전방 가드(2A)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거의 원기둥 형상의 근원부(3N)와, 근원부(3N)로부터 연속해서 연장되어, 전방 가드(2A)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점차로 가늘어지는 거의 삼각형의 판상의 날개부(3T)를 일체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기부(18)는, 가드 오너먼트 림(6)에 지지되어 있고, 다시 말해 전방 가드(2A)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기부(18)는, 가드 오너먼트(9)와, 기어 케이스(10)와, 내부 덮개(11)와, 외부 덮개(12)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내부 덮개(11) 및 외부 덮개(12)는 한 쌍의 홀더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가드 오너먼트(9), 기어 케이스(10), 내부 덮개(11) 및 외부 덮개(12)는, 전방측(도 2에서는 좌측)으로부터 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가드 오너먼트 림(6)에 대하여, 가드 오너먼트(9)는 전방측에 위치하고, 기어 케이스(10), 내부 덮개(11) 및 외부 덮개(12)는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외부 덮개(12)가 팬(1)에 대하여 전방측으로부터 인접하고 있지만, 팬(1)에 접촉하지 않는다(도 1 참조).
가드 오너먼트(9), 기어 케이스(10), 내부 덮개(11) 및 외부 덮개(12)는, 모두 상술한 조작부(8)와 동심의 원반 형상이다. 상세하게는, 가드 오너먼트(9)는, 외주 둘레가 전역에 걸쳐 후방측으로 절곡된 원판이다. 그리고, 기어 케이스(10), 내부 덮개(11) 및 외부 덮개(12)는 환상체이며, 기어 케이스(10)의 내주 둘레 및 외주 둘레의 각각은, 전역에 걸쳐 후방측으로 절곡되어 있고, 외부 덮개(12)의 내주 둘레 및 외주 둘레의 각각은, 전역에 걸쳐 전방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가드 오너먼트(9)의 외경은, 환상의 조작부(8)의 내경보다 약간 작다. 기어 케이스(10) 및 외부 덮개(12)의 각 외경은 거의 동일하고, 가드 오너먼트 림(6)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다. 또한, 기어 케이스(10) 및 외부 덮개(12)의 각 내경은 거의 동일하다. 내부 덮개(11)의 외경은, 기어 케이스(10) 및 외부 덮개(12)의 각 외경보다 작고, 내부 덮개(11)의 내경은, 기어 케이스(10) 및 외부 덮개(12)의 각 내경보다 크다.
상술한 조작부(8)는 기부(18)에 구비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환상의 조작부(8)의 내측에 가드 오너먼트(9)가 배치되어 있고, 조작부(8)는, 가드 오너먼트(9)에 있어서 기부(18)에 대하여 밖에서 끼워져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부(8)와 기어 케이스(10)가 나사(22)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그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부(8)가 회동하면, 기어 케이스(10)는 조작부(8)와 함께 회동하고, 상세하게는 가드 오너먼트 림(6)에 대하여 상대 회동한다. 다시 말해, 조작부(8) 및 기어 케이스(10)는 일체가 되어, 가드 오너먼트 림(6)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a)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위치에서 절단한 경우에서의 팬 가드(30)의 주요부 단면도이고, (b)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제3 위치에서 절단한 경우에서의 팬 가드(30)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 케이스(10)의 후방측(도 3에서는 우측) 둘레에는, 정류 날개(3)와 동일한 수(10개)의 절결(13)이 둘레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각 절결(13)은, 기어 케이스(10)의 후방측 둘레를 전방측을 향해 거의 U자 형상으로 절결되어 있으며, 둘레 방향으로 길다. 각 절결(13)에는, 대응하는 정류 날개(3)의 근원부(3N)(상세하게는 근원부(3N)의 거의 전반부 절반)가 기어 케이스(10)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부터 헐겁게 끼워져 있고(도 2 참조), 이에 의해 이들 정류 날개(3)는, 기부(18)로부터 방사상으로 신장되어 있다(후술하는 도 7도 참조). 다시 말해, 각 정류 날개(3)의 근원부(3N)는 기어 케이스(10)(기부(18) 내)로 지지되어 있다.
외부 덮개(12)는, 그 전방측 둘레가 기어 케이스(10)의 후방측 둘레에 후방측으로부터 대향한 상태에서, 기어 케이스(10)가 아니라 가드 오너먼트 림(6)에 후방측으로부터 부착되어 있다. 다시 말해, 외부 덮개(12)는 가드 오너먼트 림(6)에 고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조작부(8)의 내측의 가드 오너먼트(9)(가드 오너먼트(9)에 있어서 후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조작부(8)의 내측 둘레부의 관통 구멍(8B)에 전방측으로부터 헐겁게 끼워진 보스부(9A))와, 외부 덮개(12)(외부 덮개(12)에 있어서 전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기어 케이스(10)의 관통 구멍(10A)에 후방측으로부터 헐겁게 끼워진 보스부(12A))가, 전후 방향(도 3의 (a)에서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가드 오너먼트 림(6)을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나사(24)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그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이 기어 케이스(10) 및 조작부(8)가 회동하여도, 가드 오너먼트(9) 및 외부 덮개(12)는 정지하고 있다. 단, 기어 케이스(10)의 후방측 둘레에 설치된 갈고리(32)(후술하는 도 8의 (a) 참조)가 외부 덮개(12)에 대하여 걸려 있으므로, 기어 케이스(10)와 외부 덮개(12)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 위치는 안정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가드 오너먼트(9)의 보스부(9A)가, 조작부(8)의 관통 구멍(8B)에 헐겁게 끼워져 있고, 외부 덮개(12)의 보스부(12A)가, 기어 케이스(10)의 관통 구멍(10A)에 헐겁게 끼워져 있기 때문에, 이들 보스부(9A) 및 보스부(12A)는, 기어 케이스(10) 및 조작부(8)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덮개(12)가 가드 오너먼트 림(6)에 부착된 상태에서,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덮개(12)에 있어서 외측 둘레부를 제외한 부분에서의 전방측면(도 3의 (b)에서는 좌측면)과, 기어 케이스(10)에 있어서 외측 둘레부를 제외한 부분에서의 후방측면(도 3의 (b)에서는 우측면)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X)이 확보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어 케이스(10)의 절결(13)에 헐겁게 끼워진 정류 날개(3)의 근원부(3N)는, 간극(X) 내에 배치된다(도 2 참조).
그리고, 상술한 내부 덮개(11)도, 간극(X) 내에 배치되어 있어, 기어 케이스(10)가 아니라 외부 덮개(12)에 대하여 전방측으로부터 나사(26)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그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이 기어 케이스(10) 및 조작부(8)가 회동하여도, 내부 덮개(11)는 외부 덮개(12)와 함께 정지하고 있다. 여기서, 상술한 나사(22, 24, 26)는 기부(18)의 일부이다.
도 4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제4 위치에서 절단한 경우에서의 팬 가드(30)의 단면도이다.
내부 덮개(11)가 외부 덮개(12)에 부착된 상태에서, 각 정류 날개(3)의 근원부(3N)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덮개(11)와 외부 덮개(12)에 의해 전후로부터 협지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각 정류 날개(3)는, 근원부(3N)가 연장되는 방향(즉, 전방 가드(2A)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준선을 중심으로 하여, 근원부(3N)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동이 자유롭다. 따라서, 정류 날개(3)(엄밀하게는 날개부(3T))는, 팬(1)(도 1 참조)에 의해 전방으로 송출되는 바람의 흐름(도 1에서의 굵은 실선 화살표를 참조)에 대하여 각도가 조정 가능하다(이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기어 케이스(10) 및 조작부(8)가 회동하여도 내부 덮개(11) 및 외부 덮개(12)(외부 덮개(12)에 일체화된 가드 오너먼트(9)도 포함)가 정지하고 있는 점에서, 내부 덮개(11)와 외부 덮개(12)에 협지되는 정류 날개(3)는, 기어 케이스(10) 및 조작부(8)의 회동 방향을 따라 회동하지 않는다.
상세하게는, 외부 덮개(12)의 전방측(도 4에서의 좌측) 둘레에는, 정류 날개(3)와 동일한 수(10개)의 절결(28)이 둘레 방향으로 동등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각 절결(28)은, 외부 덮개(12)의 전방측 둘레를 후방측을 향해 거의 U자 형상으로 절결되어 있고, 각 절결(28)에, 대응하는 정류 날개(3)의 근원부(3N)(상세하게는 근원부(3N)의 거의 후반부 절반)가 거의 간극 없이 끼워짐으로써, 각 정류 날개(3)가 둘레 방향(기어 케이스(10) 및 조작부(8)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위치 결정되어 있다.
도 5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제5 위치에서 절단한 경우에서의 팬 가드(30)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 케이스(10)의 후방측면(도 5에서는 우측면)에 있어서 각 정류 날개(3)의 근원부(3N)와 거의 일치하는 위치에는 랙 기어(15)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부(8)와 기어 케이스(10)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랙 기어(15)는 조작부(8)에 연결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a)는, 도 5의 A-A의 야시도로서, 내부 덮개(11)를 생략하고 있고, (b)는, 도 5의 B-B의 야시도이다.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랙 기어(15)는, 정류 날개(3)의 장수(10장)에 대응하고 있고, 기어 케이스(10)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등한 간격을 둔 10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랙 기어(15)는 전체적으로 기어 케이스(10)와 동심의 환상을 이루고 있다. 각 랙 기어(15)를 구성하는 복수의 기어 이는, 기어 케이스(10)의 둘레 방향에 대한 접선 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여, 기어 케이스(10)에 대하여 후방측(도 5에서의 우측)에 위치하는 내부 덮개(11)(도트로 칠해진 부분 참조)에는, 랙 기어(15)(도 6의 (a) 참조)를 후방측(도 6의 (b)에서의 종이면 안쪽)으로 노출시키는 노출 구멍(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정류 날개(3)의 근원부(3N)의 외주면에 있어서, 내부 덮개(11)의 각 노출 구멍(16)으로부터 노출된 랙 기어(15)(도 6의 (a) 참조)에 후방측으로부터 대향하는 부분에는, 피니언 기어(17)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각 정류 날개(3)에 있어서, 피니언 기어(17)를 구성하는 복수의 기어 이는, 근원부(3N)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7)는 대응하는 랙 기어(15)와 맞물려 있다(도 6의 (a) 참조).
여기서,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 케이스(10)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등한 간격을 둔 10 개소에 형성된 랙 기어(15)를, 둘레 방향을 따라 랙 기어(15A), 랙 기어(15B)…랙 기어(15I), 랙 기어(15J)로 구별한다. 또한, 각 랙 기어(15A~15J)의 각각에 대응하는(둘레 방향에서 일치하는) 정류 날개(3) 및 그 피니언 기어(17)를, 랙 기어(15A~15J)와 마찬가지로, 정류 날개(3A~3J) 및 피니언 기어(17A~17J)로 구별한다(도 6의 (b)도 참조)
랙 기어(15A)는 피니언 기어(17A)와 맞물리고, 랙 기어(15B)는 피니언 기어(17B)와 맞물리고, 랙 기어(15C)는 피니언 기어(17C)와 맞물리고, 랙 기어(15D)는 피니언 기어(17D)와 맞물려 있다. 그리고, 랙 기어(15E)는 피니언 기어(17E)와 맞물리고, 랙 기어(15F)는 피니언 기어(17F)와 맞물리고, 랙 기어(15G)는 피니언 기어(17G)와 맞물리고, 랙 기어(15H)는 피니언 기어(17H)와 맞물리고, 랙 기어(15I)는 피니언 기어(17I)와 맞물리고, 랙 기어(15J)는 피니언 기어(17J)와 맞물려 있다.
그리고,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덮개(11)를 외부 덮개(12)에 부착하는 나사(26)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4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정류 날개(3A, 3B, 3C, 3E, 3F, 3G, 3H, 3J)의 각 근원부(3N)는, 내부 덮개(11) 및 외부 덮개(12)의 각각에 있어서 나사(26)에 가까운 부분에 의해 협지되어 있고, 정류 날개(3D, 3I)의 각 근원부(3N)는, 내부 덮개(11) 및 외부 덮개(12)의 각각에 있어서 나사(26)로부터 먼 부분에 의해 협지되어 있다. 즉, 둘레 방향에 있어서, 정류 날개(3A, 3B, 3C, 3E, 3F, 3G, 3H, 3J)는, 어느 하나의 네지(26)에 가까운 위치에 있고, 정류 날개(3D, 3I)는, 모든 나사(26)로부터 먼 위치에 있다.
여기서, 도 6의 (a)를 참조하여, 정류 날개(3D)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17D)와 맞물리는 랙 기어(15D)와, 정류 날개(3I)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17I)와 맞물리는 랙 기어(15I)는, 다른 랙 기어(15A, 15B, 15C, 15E, 15F, 15G, 15H, 15J)에 비해, 대응하는 피니언 기어(17D, 17I)에 대하여 가까운 위치(후방측(도 6의 (a)에서는 전방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단, 랙 기어(15D, 15I)(제1 부분)는, 다른 랙 기어(15A, 15B, 15C, 15E, 15F, 15G, 15H, 15J)(제2 부분)에 대하여 전후의 위치만이 다르지만, 기어의 이의 치수(모듈 등) 자체는 동일하다.
도 7에 있어서 (a)는, 정류 날개(3)가 가속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팬 가드(30)의 정면도이며, (b)는, 정류 날개(3)가 분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팬 가드(30)의 정면도이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부(8)를 조작하여 회동시키면, 랙 기어(15)(랙 기어(15A~15J)도 조작부(8)와 함께 회동하고, 이에 의해, 각 정류 날개(3)의 위치가 한꺼번에 변한다. 상세하게는, 각 정류 날개(3)는, 가속 위치(도 1 내지 도 7의 (a) 및 후술하는 도 8 참조)와 분산 위치(도 7의 (b) 및 후술하는 도 9 참조) 중 어느 한 위치로 절환된다.
여기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8)의 전방측면의 주상 1개소에는, 제1 마크(3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드 오너먼트(9)의 전방측면의 외주 둘레부의 주상 1개소에는, 「스폿」이라는 가속 위치를 나타내는 문자가 기재된 제2 마크(35)와, 「와이드」라는 분산 위치를 나타내는 문자가 기재된 제3 마크(36)가 형성되어 있다. 정면에서 보아, 정류 날개(3)가 가속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 마크(34)와 제2 마크(35)가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일치하고(도 7의 (a) 참조), 정류 날개(3)가 분산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 마크(34)와 제3 마크(36)가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일치한다(도 7의 (b) 참조).
가속 위치에 있는 정류 날개(3)(상세하게는 날개부(3T))는,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도 7의 종이두께 방향이며, 팬(1)(도 1 참조)에 의해 전방(도 7의 앞쪽)으로 송출되는 바람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평평하게 되어 있어(도 1~6 및 도 8도 참조),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가장 가늘게(작게) 보인다. 이때, 팬(1)에 의해 전방(도 7에서는 앞쪽)으로 송출되는 바람의 흐름에 대한 정류 날개(3)(날개부(3T))의 각도(경사 각도)는 거의 0도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류 날개(3)가 가속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날개부(3T)는 전방 가드(2A)의 둘레 방향(팬(1)의 회전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술한 거의 삼각형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도 6의 (a)를 참조하여, 각 정류 날개(3)의 근원부(3N)는, 기어 케이스(10)에서 대응하는 절결(13)에 있어서, 기어 케이스(10)의 둘레 방향에서의 일단부(13A)(도 6의 (a)에서는 시계 방향에서의 상류 측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렇게 정류 날개(3)가 가속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부(8)를 잡고, 정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소정량 비틀면, 조작부(8)에 일체화된 기어 케이스(10)도 정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조작부(8)를 비튼 양과 동일한 양만큼 회동한다. 이에 의해, 도 6의 (a)에 나타내는 기어 케이스(10)의 랙 기어(15)도, 기어 케이스(10)와 함께 회동한다. 각 랙 기어(15)에는, 대응하는 정류 날개(3)의 근원부(3N)의 피니언 기어(17)가 맞물려 있으므로, 랙 기어(15)의 회전에 수반하여 각 정류 날개(3)는, 근원부(3N)가 연장되는 방향(즉, 전방 가드(2A)의 직경 방향)을 따른 기준선을 중심으로 하여, 근원부(3N)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90도 회동한다. 이때, 도 7을 참조하여, 팬(1)(도 1 참조)에 의해 전방으로 송출되는 바람의 흐름에 대한 각 정류 날개(3)(날개부(3T))의 각도가, 상술한 0도(도 7의 (a) 참조)에서 90도로 함께 절환된다(도 7의 (b) 참조). 그 결과, 모든 정류 날개(3)가 가속 위치(도 7의 (a) 참조)로부터 분산 위치(도 7의 (b) 참조)로 절환된다.
여기서, 도 6의 (a)를 참조하여, 기어 케이스(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동할 때, 각 정류 날개(3)에 대하여 기어 케이스(10)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대 이동한다. 그로 인해, 정류 날개(3)가 가속 위치로부터 분산 위치로 절환되었을 때, 각 정류 날개(3)의 근원부(3N)는 기어 케이스(10)에서 대응하는 절결(13)에 있어서, 상술한 일단부(13A)와는 반대인 타단부(13B)(도 6의 (a)에서는 시계 방향에서의 하류 측단부)에 위치한다.
분산 위치에 있는 정류 날개(3)는,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좌우 방향을 따라 평평해지고 있어,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가장 굵게(크게) 보이며, 상술한 거의 삼각형을 이루고 있다. 이때, 팬(1)에 의해 전방(도 7의 (b)에서는 앞쪽)으로 송출되는 바람의 흐름에 대한 정류 날개(3)(날개부(3T))의 각도(경사 각도)는 거의 90도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정류 날개(3)가 분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조작부(8)를 잡고, 정면에서 보아 반 시계 방향으로 상술한 소정량 만큼 비틀면, 정류 날개(3)의 자세는 분산 위치로부터 가속 위치로 복귀된다(도 7의 (a) 참조).
이상과 같이, 조작부(8)를 조작함으로써 정류 날개(3)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속 위치와 분산 위치의 사이에서 위치를 절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정류 날개(3)는, 분산 위치에 있을 때에 가장 크고(도 7의 (b) 참조), 가속 위치에 있을 때에 가장 작다(도 7의 (a) 참조).
즉,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산 위치에 있는 정류 날개(3)는, 가속 위치에 있는 경우에 비해 넓은 범위에서 팬(1)(도 1)을 전방측으로부터 덮는다. 그로 인해, 팬(1)에 의해 전방으로 송출되는 바람의 대부분은, 분산 위치에 있는 정류 날개(3)(날개부(3T))에 부딪힘으로써, 바람의 흐름이 측방(전방 가드(2A)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휘어져, 정면에서 보아 방사상으로 확산된다(도 7의 (b)의 굵은 파선 화살표 참조). 그 결과, 전방 가드(2A)(도 1 참조)로부터 전방측으로 부는 바람의 양이 감소하고, 풍속이 저하된다.
한편,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류 날개(3)가 가속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분산 위치에 있는 경우에 비해 정류 날개(3)가 팬(1)을 전방측으로부터 덮는 범위가 대폭 좁기 때문에, 정류 날개(3)는 팬(1)에 의해 전방으로 송출되는 바람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오히려, 가속 위치에 있는 정류 날개(3)(날개부(3T))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평평하기 때문에, 전방으로 송출되는 바람을 계속해서 전방으로 유도한다(도1 의 굵은 실선 화살표 참조). 이에 의해,이 바람은, 전방 가드(2A)로부터 전방측으로 원활하게 흐른다. 따라서, 정류 날개(3)가 분산 위치에 있는 경우(도 7의 (b) 참조)에 비해, 전방 가드(2A)(가드 유닛(2))로부터 전방측으로 흐르는 바람의 양이 증가하여 풍속이 상승한다.
이와 같이, 조작부(8)를 조작하여 정류 날개(3)를 분산 위치와 가속 위치의 사이에서 변화시킴으로써, 정류 날개(3)는, 팬(1)에 의해 전방으로 송출되는 바람의 흐름에 대하여 각도가 조정 가능하다.
상기 선풍기(50)에서는, 상술한 받침대(60) 등에 설치된 조작 패널(도시하지 않음)의 다이얼 등(도시하지 않음)을 조작함으로써, 팬(1)의 회전 속도(즉, 풍속)를 절환할 수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정류 날개(3)를 가속 위치와 분산 위치의 사이에서 절환함으로써, 풍속의 미세 조정이 가능해진다.
즉, 상기 다이얼(도시하지 않음)을 조작하여 팬(1)의 회전 속도를 최고 속도로 설정해 둔 후에, 정류 날개(3)를 가속 위치(도 1 내지 도 7의 (a) 및 도 8 참조)로 절환함으로써, 풍속을 또한 상승시켜 강한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이얼(도시하지 않음)을 조작하여 팬(1)의 회전 속도를 최저 속도로 설정해 둔 후에, 정류 날개(3)를 분산 위치(도 7의 (b) 및 도 9 참조)로 절환함으로써, 풍속을 더욱 저하시켜 약한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정류 날개(3)가 가속 위치(도 7의 (a) 참조)로부터 분산 위치(도 7의 (b) 참조)로 절환됨에 따라, 상술한 전방으로 송출되는 바람의 흐름에 대한 정류 날개(3)의 각도가 0도에서 90도를 향해 점차로 커지며, 이에 따라,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정류 날개(3)(즉, 정류 날개(3)가 팬(1)을 전방측으로부터 덮는 범위)가 점차로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정류 날개(3)를 가속 위치와 분산 위치의 사이의 임의의 위치로 하면, 풍속을 더욱 미세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유저의 기호에 보다 맞는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가속 위치와 분산 위치의 사이에서 절환할 수 있는 정류 날개(3)(상세하게는 날개부(3T))의 크기는, 어느 위치에서도 팬(1)이나 전방 가드(2A)에 부딪히지 않을 정도로 정해져 있지만, 정류 날개(3)(날개부(3T))를 가능한 한 크게 해 두면 좋다. 이에 의해, 정류 날개(3)는 분산 위치에 있을 때에는(도 7의 (b) 참조), 한층 더 넓은 범위에서 팬(1)을 전방측으로부터 덮을 수 있으므로, 전방 가드(2A)로부터 전방측으로 흐르는 바람의 양의 감소와 풍속의 저하를 촉진할 수 있다. 한편, 정류 날개(3)는, 가속 위치에 있을 때에는(도 7의 (a) 참조), 전방측을 향해 부는 바람을 전방측으로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다시 말해, 정류 날개(3)에 의한 정류 효과가 높아지므로), 전방 가드(2A)로부터 전방측으로 부는 바람의 양의 증가와 풍속의 상승을 촉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선풍기(50)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팬(1)(도 1 참조)과 전방 가드(2A)의 사이에 정류 유닛(20)이 설치되어 있다. 정류 유닛(20)에서는, 전방 가드(2A)의 중앙에 설치된 기부(18)로부터 방사상으로 신장된 복수 장의 정류 날개(3)가, 조작부(8)를 조작함으로써 바람의 흐름에 대하여 각도가 조정 가능하다(도 7 참조).
따라서, 조작부(8)를 조작하여 정류 날개(3)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정류 날개(3)는, 팬(1)에 송출되는 바람을 계속해서 동일 방향으로 흐르게 하거나(도 1 내지 도 7의 (a) 및 도 8 참조), 저항이 되어 풍속을 내리는 동시에 바람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도 7의 (b) 및 도 9 참조).
여기서, 조작부(8)는, 기부(18)에 대하여 밖에서 끼워지는 환상체이므로(도 7 참조), 상기 조작부(8)를 한손 전체로 잡고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손끝으로 잡고 조작해야 하는 구성의 조작부(8)에 비해 작은 힘으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좋다.
즉, 상기 선풍기(50)에서는, 정류 날개(3)에 의한 풍속 및 풍향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전방 가드(2A)의 전방측으로부터 조작부(8)를 조작함으로써, 정류 날개(3)는 바람을 전방으로 유도하는 가속 위치(도 1 내지 도 7의 (a) 및 도 8 참조)와, 바람의 흐름을 측방으로 휘게 하는 분산 위치(도 7의 (b) 및 도 9 참조) 중 어느 한쪽으로 절환되며, 이에 의해, 풍속 및 풍향을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랙 앤드 피니언 기구를 이용한 간이한 구성에 의해, 복수 장의 정류 날개(3)의 각도(다시 말해 가속 위치와 분산 위치의 사이의 위치)를 함께 절환하여 풍속 및 풍향을 바꿀 수 있다. 물론, 랙 앤드 피니언 기구에 한하지 않고, 다른 기구를 사용해서 정류 날개(3)의 각도를 바꾸어도 좋다.
여기서, 도 6의 (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장의 정류 날개(3) 중, 내부 덮개(11)와 외부 덮개(12)를 부착하는 나사(26)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정류 날개(3A, 3B, 3C, 3E, 3F, 3G, 3H, 3J)의 근원부(3N)는, 내부 덮개(11) 및 외부 덮개(12)에 있어서 잘 휘지 않는 부분에서 협지되어 있다. 그로 인해, 이들 정류 날개(3A, 3B, 3C, 3E, 3F, 3G, 3H, 3J)의 위치가 안정되고, 이들 정류 날개(3)의 근원부(3N)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17)와 대응하는 랙 기어(15A, 15B, 15C, 15E, 15F, 15G, 15H, 15J)(도 6의 (a) 참조)의 맞물림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 장의 정류 날개(3) 중, 정류 날개(3A, 3B, 3C, 3E, 3F, 3G, 3H, 3J)에 비해 나사(26)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정류 날개(3D, 3I)의 근원부(3N)는, 내부 덮개(11) 및 외부 덮개(12)에 있어서 휘기 쉬운 부분에서 협지되어 있다. 그로 인해, 그 부분이 휘게 되면, 이들 정류 날개(3D, 3I)의 위치가 후방측(도 6의 (a)에서의 앞쪽이며, 도 6의 (b)에서의 안쪽)으로 어긋나, 정류 날개(3D, 3I)의 근원부(3N)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17)가, 대응하는 랙 기어(15D, 15I)(도 6의 (a) 참조)에 대하여 이가 튀거나(공회전), 랙 기어(15D) 또는 랙 기어(15I)로부터 갑자기 벗어날 우려가 있다.
특히, 조작부(8)의 조작에 따라 정류 날개(3)가 원활하게 회동하도록, 서로 맞물리는 랙 기어(15) 및 피니언 기어(17)의 모듈이 비교적 작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정류 날개(3)가 조금이라도 어긋나면, 피니언 기어(17)가 랙 기어(15)로부터 벗어나기 쉬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나사(26)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정류 날개(3)(3D 및 3I)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17)(17D 및 17I)와 맞물리는 랙 기어(15)(15D 및 15I)를, 나사(26)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정류 날개(3)의 피니언 기어(17)와 맞물리는 랙 기어(15A, 15B, 15C, 15E, 15F, 15G, 15H, 15J)에 비해, 예를 들어 0.1mm~O.2mm 정도 피니언 기어(17)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도 6의 (a) 참조).
이에 의해, 나사(26)를 지나치게 조이는 등으로 내부 덮개(11) 및 외부 덮개(12)가 휘어짐으로써 나사(26)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정류 날개(3D, 3I)의 위치가 어긋나도, 이들 정류 날개(3D, 3I)의 근원부(3N)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17D, 17I)가, 대응하는 랙 기어(15)(15D 및 15I)에 대하여 헛돌거나, 랙 기어(15)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도 6의 (a) 참조).
즉, 나사(26)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정류 날개(3) 뿐만 아니라, 나사(26)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정류 날개(3)라도, 근원부(3N)의 피니언 기어(17)와 랙 기어(15)의 맞물림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조작부(8)를 조작함으로써 랙 기어(15)를 회동시키면, 모든 정류 날개(3)의 각도를 확실하게 함께 절환할 수 있다.
그 결과, 정류 날개(3)에 의한 풍속 및 풍향의 변경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8에 있어서 (a)는, 도 5의 주요부 확대도이며, (b)는, 도 4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9 있어서 (a)는, 도 8의 (a)에 있어서 정류 날개(3)의 위치가 가속 위치로부터 분산 위치로 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b)는, 도 8의 (b)에 있어서 정류 날개(3)의 위치가 가속위치로부터 분산 위치로 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류 유닛(20)은, 각 정류 날개(3)를 소정 각도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40)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정류 날개(3)가 소정 각도에 있을 때에 있어서의 풍속 및 풍향을, 정류 날개(3)에 의한 변경 전후의 각각의 경우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각 정류 날개(3)의 근원부(3N)의 외주면에 있어서, 정류 날개(3)의 위치가 가속 위치와 분산 위치의 사이에서 변할 때에 내부 덮개(11)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2개의 볼록부(41)가, 근원부(3N)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각 볼록부(41)는, 근원부(3N)의 외주면으로부터 근원부(3N)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한편, 내부 덮개(11)에 있어서 각 정류 날개(3)의 근원부(3N)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부분에는, 근원부(3N)의 외주면을 따른 원호면(1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호면(11A)에는, 2개의 오목부(42)가 원호면(11A)의 둘레 방향(근원부(3N)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과 동일)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들 2개의 오목부(42)는 상하로 떨어져 있다(도 8의 (b)에서 파선으로 둘러싼 부분의 확대도를 참조).
여기서, 근원부(3N)의 외주면의 둘레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2개의 볼록부(41)의 간격은 상기 둘레 길이의 약 4분의 1이며, 2개의 오목부(42)의 간격은 상기 둘레 길이의 약 절반이다. 그리고, 이들 볼록부(41) 및 오목부(42)가 상술한 위치 결정부(40)로서 기능한다. 즉, 위치 결정부(40)를 볼록부(41)와 오목부(42)에 의해 간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정류 날개(3)가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속 위치에 있을 때에는, 각 정류 날개(3)의 근원부(3N)의 2개의 볼록부(41) 중 한쪽의 볼록부(41)만이, 대응하는 원호면(11A)의 오목부(42)(상세하게는 2개의 오목부(42) 중 하측의 오목부(42)이며, 확대도 참조)에 끼워져 있다. 이에 의해, 정류 날개(3)의, 근원부(3N)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른 회동이 규제되어, 각 정류 날개(3)는 가속 위치로 위치 결정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부(8)를 소정 이상의 힘으로 조작함으로써, 정류 날개(3)를 가속 위치로부터 분산 위치를 향하도록 회동시키면, 상술한 하측의 오목부(42)에 끼워져 있던 볼록부(41)가 상기 오목부(42)로부터 벗어난다. 그리고, 정류 날개(3)의 위치가 분산 위치로 변하면, 이번에는,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한쪽의 볼록부(41)와는 다른(다른 쪽의) 볼록부(41)가, 2개의 오목부(42) 중 상측의 오목부(42)(도 9의 (b)에서 파선으로 둘러싼 부분의 확대도를 참조)에 끼워진다. 이에 의해, 정류 날개(3)의, 근원부(3N)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른 회동이 규제되어, 각 정류 날개(3)는 분산 위치로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조작부(8)를 소정 이상의 힘으로 조작함으로써, 정류 날개(3)를 분산 위치로부터 가속 위치를 향하도록 회동시키면, 상술한 상측의 오목부(42)에 끼워져 있던 볼록부(41)가 상기 오목부(42)로부터 벗어난다.
이와 같이 위치 결정부(40)(볼록부(41) 및 오목부(42))는, 대응하는 정류 날개(3)를 가속 위치(도 8의 (b) 참조) 및 분산 위치(도 9의 (b))의 각각에 있어서 위치 결정한다. 따라서, 정류 날개(3)가 가속 위치 및 분산 위치의 각각에 있을 경우에 있어서의 풍속 및 풍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8)를 조작하여 정류 날개(3)의 위치를 가속 위치 및 분산 위치의 각각으로 바꿀 때마다, 볼록부(41)가 오목부(42)에 끼워지기 때문에, 조작부(8)의 조작에, 소위 클릭감을 부여할 수 있어 조작부(8)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볼록부(41)는, 근원부(3N) 대신에 원호면(11A)(기부(18))에 형성되어도 좋으며, 이 경우에는, 오목부(42)가 원호면(11A)(기부(18))이 아니라 근원부(3N)에 형성된다.
그리고, 정류 날개(3)가 가속 위치와 분산 위치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있을 때에도, 그 위치에서 정류 날개(3)를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볼록부(41) 및 오목부(42)의 수를 적절히 증가시켜도 좋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 형태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 기재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 : 팬
2A : 전방 가드(가드, 가드 본체)
3 : 정류 날개
3N : 근원부
8 : 조작부
11 : 내부 덮개(홀더)
12 : 외부 덮개(홀더)
15A : 랙 기어(제2 부분)
15B : 랙 기어(제2 부분)
15C : 랙 기어(제2 부분)
15D : 랙 기어(제1 부분)
15E : 랙 기어(제2 부분)
15F : 랙 기어(제2 부분)
15G : 랙 기어(제2 부분)
15H : 랙 기어(제2 부분)
15I : 랙 기어(제1 부분)
15J : 랙 기어(제2 부분)
17 : 피니언 기어
18 : 기부
20 : 정류 유닛
26 : 나사
30 : 팬 가드
40 : 위치 결정부
41 : 볼록부
42 : 오목부
50 : 선풍기

Claims (10)

  1. 팬과, 상기 팬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팬에 사물이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된 가드를 갖는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팬과 상기 가드의 사이에, 상기 팬에 의해 송출되는 바람의 흐름을 조정하기 위한 정류 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정류 유닛은, 상기 가드의 중앙에 설치된 기부와, 상기 기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신장된 복수 장의 정류 날개와, 상기 기부에 대하여 외부에서 끼워지는 환상체이며, 상기 가드의 전방측으로부터 조작 가능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정류 날개는 바람의 흐름에 대하여 각도가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날개를 소정 각도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기부 및 상기 기부 내에서 지지되는 상기 정류 날개의 근원부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오목부와, 상기 기부 및 상기 정류 날개의 근원부 중 어느 다른 쪽에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에 끼워지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정류 날개는 바람을 전방으로 유도하는 가속 위치와, 바람의 흐름을 측방으로 휘게 하는 분산 위치 중 어느 한쪽으로 위치를 절환할 수 있고,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정류 날개를 상기 가속 위치 및 상기 분산 위치의 각각에 있어서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상기 복수 장의 정류 날개의 근원부를 협지하는 한 쌍의 수지제의 홀더와, 상기 홀더끼리 부착하는 나사와, 상기 조작부에 연결된 환상의 랙 기어를 포함하고,
    각 상기 정류 날개의 근원부에는, 상기 랙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랙 기어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복수 장의 정류 날개의 각도가 함께 절환되고,
    상기 랙 기어에 있어서, 상기 나사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상기 정류 날개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제1 부분은, 상기 나사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상기 정류 날개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제2 부분에 비해, 상기 피니언 기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6. 선풍기의 팬에 전방으로부터 사물이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팬 가드로서,
    가드 본체와, 상기 가드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가드 본체를 통과하는 바람의 흐름을 조정하기 위한 정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정류 유닛은, 상기 가드 본체의 중앙에 설치된 기부와, 상기 기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신장된 복수 장의 정류 날개와, 상기 기부에 대하여 외부에서 끼워지는 환상체이며, 상기 가드 본체의 전방측으로부터 조작 가능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정류 날개는 바람의 흐름에 대하여 각도가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가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날개를 소정 각도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가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기부 및 상기 기부 내에서 지지되는 상기 정류 날개의 근원부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오목부와, 상기 기부 및 상기 정류 날개의 근원부 중 어느 다른 쪽에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에 끼워지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가드.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정류 날개는 바람을 전방으로 유도하는 가속 위치와, 바람의 흐름을 측방으로 휘게 하는 분산 위치 중 어느 한쪽으로 위치를 절환할 수 있고,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정류 날개를 상기 가속 위치 및 상기 분산 위치의 각각에 있어서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가드.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상기 복수 장의 정류 날개의 근원부를 협지하는 한 쌍의 수지제의 홀더와, 상기 홀더끼리 부착하는 나사와, 상기 조작부에 연결된 환상의 랙 기어를 포함하고,
    각 상기 정류 날개의 근원부에는, 상기 랙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랙 기어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복수 장의 정류 날개의 각도가 함께 절환되고,
    상기 랙 기어에 있어서, 상기 나사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상기 정류 날개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제1 부분은, 상기 나사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상기 정류 날개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제2 부분에 비해, 상기 피니언 기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가드.
KR1020100019454A 2009-03-05 2010-03-04 선풍기 및 팬 가드 KR201001006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52187A JP2010203399A (ja) 2009-03-05 2009-03-05 扇風機およびファンガード
JPJP-P-2009-052187 2009-03-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674A true KR20100100674A (ko) 2010-09-15

Family

ID=42689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454A KR20100100674A (ko) 2009-03-05 2010-03-04 선풍기 및 팬 가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0203399A (ko)
KR (1) KR20100100674A (ko)
CN (1) CN101825108A (ko)
TW (1) TW2010334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382B1 (ko) * 2019-12-23 2021-05-27 홍가영 선풍기용 바람 가이드 장치
CN113397801A (zh) * 2021-05-24 2021-09-17 成都市第五人民医院 一种重症护理头部用降温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04805B2 (ja) * 2009-10-01 2014-05-28 三洋電機株式会社 扇風機
CN102454640B (zh) * 2010-10-28 2013-08-21 林宸彰 风扇导流结构
CN102141049B (zh) * 2011-03-21 2013-11-27 格力电器(中山)小家电制造有限公司 电风扇的聚散风调节机构
CN102410252B (zh) * 2011-11-16 2013-09-04 格力电器(中山)小家电制造有限公司 聚散风调节机构
JP2015224603A (ja) * 2014-05-28 2015-12-14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扇風機
JP5877923B1 (ja) * 2015-08-13 2016-03-08 株式会社Cmc 扇風機
CN110259707B (zh) * 2019-04-15 2020-05-12 深圳市仕玛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儿童手持风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382B1 (ko) * 2019-12-23 2021-05-27 홍가영 선풍기용 바람 가이드 장치
CN113397801A (zh) * 2021-05-24 2021-09-17 成都市第五人民医院 一种重症护理头部用降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203399A (ja) 2010-09-16
TW201033479A (en) 2010-09-16
CN101825108A (zh) 201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0674A (ko) 선풍기 및 팬 가드
EP2554039A1 (en) Brush cutter
EP2554040A1 (en) Brush cutter
KR20060047499A (ko) 회전식 전기면도기
JP6200918B2 (ja) ロータリー式電気かみそり
US7771167B2 (en) Concealed rotary fan
WO2010101259A1 (ja) 携帯用切断機
JP2008154736A (ja) ロータリー式電気かみそりおよび内刃
US7121179B2 (en) Angle indicator for miter saw
EP1623783B1 (en) Sawing machine with a tilt angle indicator
JP5172515B2 (ja) 扇風機
JP5430299B2 (ja) 回転操作部の回転位置保持機構
JP3234657U (ja) 氷切削装置
US20070166167A1 (en) Multi-fan assembly with an oscillating structure
JP2000033514A (ja) 手持ち丸のこ盤
EP2130719A1 (en) Lever switch device
JP3426491B2 (ja) ピニオンギアの取付構造
JP2003177832A (ja) 回転方向表示装置
JP6937156B2 (ja) 扇風機
JP2011034329A (ja) 操作感触可変入力装置
JP2021037584A (ja) 携帯用切断機
JP5504804B2 (ja) 扇風機
JP4425077B2 (ja) カップホルダ
JP6195284B2 (ja) カートリッジ式の歯科用ハンドピース
WO2007004204A1 (en) Rotary extendable hair clip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