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0252A - 모래 흡입 조력 장치 - Google Patents

모래 흡입 조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0252A
KR20100100252A KR1020090019030A KR20090019030A KR20100100252A KR 20100100252 A KR20100100252 A KR 20100100252A KR 1020090019030 A KR1020090019030 A KR 1020090019030A KR 20090019030 A KR20090019030 A KR 20090019030A KR 20100100252 A KR20100100252 A KR 20100100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lade
suction
sand
blade
c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6778B1 (ko
Inventor
권혁민
백운섭
박상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경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경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Priority to KR1020090019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6778B1/ko
Publication of KR20100100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33Floating installations
    • E02F3/885Floating installations self propelled, e.g. ship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33Floating installations
    • E02F3/8841Floating installations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soil-shifting equipment is mounted on a ladder or boo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02F3/9256Active suction heads; Suction heads with cutting elements, i.e. the cutting elements are mounted within the housing of the suction head
    • E02F3/9268Active suction heads; Suction heads with cutting elements, i.e. the cutting elements are mounted within the housing of the suction head with rotating cut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02F3/9293Component parts of suction heads, e.g. edges, strainers for preventing the entry of ston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06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adapted for working ground under wa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발명은 백호우(12)가 탑재되고 있고, 백호우(12)의 붐(12a)의 선단에는 해저에 쌓인 모래의 응집상태를 유순하게 하는 모래흡입조력장치(A)와 흡입관(3)의 선단이 장착 브래킷(a)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관(3)에 흡입측이 접촉되어 있는 흡입펌프(13)가 탑재되어 있는 준설선(11)에 있어서, 상기 모래흡입조력장치(A)는 상기 브래킷(a)에 고정된 케이스 본체(1)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케이스 본체(1)의 하부에는 해저에 노출되게 개구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상기 흡입관(3)의 선단이 관통되게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 본체(1)의 선단에는 동력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S)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S)에는 복수개의 커팅날(30)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S)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두고서 복수개의 플랜지(F)가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F)에는 ㄱ자로 만곡된 복수개의 커팅날(30)의 기단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커팅날(30)은 제1 ㄱ자 커팅날(30a)과 그리고 상기 제1 ㄱ자 커팅날(30a)의 기립부보다 작은 기립부를 가진 제2 ㄱ자 커팅날(30b)을 포함하고 있다.
커팅날, 케이스 본체, 플랜지, 회전축

Description

모래 흡입 조력 장치{apparatus for assisting in sucking sand}
본 발명은 해안에 쌓여있는 모래를 준설선에서 흡입할 때 흡입관 부근에서 모래의 흡입에 조력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즘 우리나라의 해안(특히 동해안)에서는 침식작용이 심하여 발생되어 그 지반이 취약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야기되어 있다.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파기능을 가진 불가사리 모양의 방파재를 복수개 적층시켜 해안에 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파재는 파도의 소파기능을 갖지만, 파도에 의해 침식되어 방파재 위로 퍼올려지는 모래를 다시 방파재 밑으로 유입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방파재의 기능으로 인하여, 현재 동해안의 해안중 북동쪽을 바라보고 있는 해안은 동해안의 파도방향(북서방향)으로 인하여 상당히 침식된 상태이고 남서쪽을 바라보고 있는 해안은 상기 침식되어 발생된 모래로 쌓여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비정상적으로 쌓여진 모래를 원위치로 보낼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작업위치가 해안임을 감안하여 준설선이 바람직하다. 바다위에 띄워진 종래의 준설선은 흡입펌프의 흡입측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선단이 해저 상에 놓이게 되는 흡입관, 흡입펌프의 토출측에 일단이 접속되어 원하는 준설선 상의 또는 준설선 이외의 저장소에 선단이 접속된 토출관, 상기 흡입관의 선단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해저에 쌓인 모래의 응집상태를 유순하게 하는 모래흡입조력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모래흡입조력장치는, 회전축선과 커팅날 선단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되어 있어서, 해저면에 대한 커팅 작업시, 커팅날이 해저면 깊이 들어 갈 수 없게 되어 있다.
그 이유는 커팅날이 해저면 깊이 들어 가면 갈 수록 상기 커팅날에 의해 퍼올려지는 해저면의 모래량도 많게 되어 결국 커팅날이 부하를 받게 되어서 커팅날이 손상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더우기, 해저면이 굴곡진 경우에는 더욱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백호우가 탑재되고 있고, 백호우의 붐의 선단에는 해저에 쌓인 모래의 응집상태를 유순하게 하는 모래흡입조력장치와 흡입관의 선단이 장착 브래킷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관에 흡입측이 접촉되어 있는 흡입펌프가 탑재되어 있는 준설선에 있어서, 상기 모래흡입조력장치는 상기 브래킷에 고정된 케이스 본체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부에는 해저에 노출되게 개구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상기 흡입관의 선단이 관통되게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선단에는 동력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에는 복수개의 커팅날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두고서 복수개의 플랜지가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에는 ㄱ자로 만곡된 복수개의 커팅날)의 기단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커팅날은 제1 ㄱ자 커팅날과 그리고 상기 제1 ㄱ자 커팅날의 기립부보다 작은 기립부를 가진 제2 ㄱ자 커팅날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래흡입조력장치의 회전축선과 커팅날 선단 간의 거리가 교호로 상이하게 되어 있어서, 해저면에 대한 커팅 작업시, 커팅날이 해저면 깊이 를 달리하여 해저면 내로 들어가게 되어서, 커팅날이 부하를 적게 받게 되어, 커팅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준설선이 부호 11로서 지시되어 있다.
이 준설선(11) 상에는 백호우(12)가 탑재되고 있고, 백호우(12)의 붐(12a)의 선단에는 해저에 쌓인 모래의 응집상태를 유순하게 하는 모래흡입조력장치(A)와 흡입관(3)의 선단이 장착 브래킷(a)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준설선(11) 상에는 상기 흡입관(3)에 흡입측이 접촉되어 있는 흡입펌프(13)가 탑재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흡입펌프(13)의 송출측에 접속된 탱크(14)가 탑재되어 있다.
상기 탱크(14) 내의 모래축적물을 육상 또는 해상의 매립지나 운반 덤프트럭 등에 압송하기 위해 배출관(15)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모래흡입조력장치(A)는 상기 브래킷(a)에 고정된 케이스 본체(1)와 스톱퍼(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스톱퍼(40)는 상기 케이스 본체(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1)의 하부에는 해저에 노출되게 개구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상기 흡입관(3)의 선단이 관통되게 개구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1)의 선단에는 도시되지 않은 수중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S)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S)에는 복수개의 커팅 날(3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스톱퍼(40)의 선단은 상기 커팅날(30)의 레벨보다도 낮은 레벨에 위치되게 뻗어 있어서, 준설작업시 커팅날(30)이 원하는 깊이 보다 해저면 깊게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준설선에서 해저면에 내릴때 상기 커팅날(30)이 해저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회전축(S)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두고서 4개의 플랜지(F)가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F)에는 ㄱ자로 만곡된 복수개의 커팅날(30)의 기단이 장착되어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커팅날(30)은 제1 ㄱ자 커팅날(30a)과 그리고 상기 제1 ㄱ자 커팅날(30a)의 기립부보다 작은 기립부를 가진 제2 ㄱ자 커팅날(30b)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플랜지(F)들 간에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제1 ㄱ자 커팅날(30a)의 수평부와 제2 ㄱ자 커팅날(30b)의 수평부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제1 ㄱ자 커팅날(30a)과 상기 제2 ㄱ자 커팅날(30b) 각각은 120도 간격을 두고서 상기 플랜지(F)에 배치되되, 상기 제1 ㄱ자 커팅날(30a)과 제2 ㄱ자 커팅날(30b) 간의 간격이 20도의 위상차를 갖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ㄱ자 커팅날(30a)과 제2 ㄱ자 커팅날(30b) 간에 20도 위상차를 갖게 하는 이유는 해저에 있는 모래를 파낼 때 발생되는 부하가 상기 복수개의 커팅날(30)들에 고르게 분포되게 하여 모래를 원할하게 파내게 함에 있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ㄱ자 커팅날(30a)과 제2 ㄱ자 커팅날(30b)의 기립부 크기가 서로 다르게 하는 이유는 해저면에 대하여 깊이를 달리하여 모래를 파낼 수 있게 함에 있다.
또한, 상기 흡입관(3)의 선단에는 메시망(6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메시망(60)은 상기 커팅날(30)에 의해 해저면의 모래가 퍼 올려져 상기 흡입관(3)에 날려 보내어 질 때, 큰 굵기의 응집된 모래가 상기 흡입관(3)에 유입되어 흡입관(3)이 막히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준설선 대한 개략도 및 모래흡입조력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2의 모래흡입조력장치에 대한 정면도 및 측면도.

Claims (4)

  1. 백호우(12)가 탑재되고 있고, 백호우(12)의 붐(12a)의 선단에는 해저에 쌓인 모래의 응집상태를 유순하게 하는 모래흡입조력장치(A)와 흡입관(3)의 선단이 장착 브래킷(a)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관(3)에 흡입측이 접촉되어 있는 흡입펌프(13)가 탑재되어 있는 준설선(11)에 있어서,
    상기 모래흡입조력장치(A)는 상기 브래킷(a)에 고정된 케이스 본체(1)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케이스 본체(1)의 하부에는 해저에 노출되게 개구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상기 흡입관(3)의 선단이 관통되게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 본체(1)의 선단에는 동력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S)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S)에는 복수개의 커팅날(30)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S)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두고서 복수개의 플랜지(F)가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F)에는 ㄱ자로 만곡된 복수개의 커팅날(30)의 기단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커팅날(30)은 제1 ㄱ자 커팅날(30a)과 그리고 상기 제1 ㄱ자 커팅날(30a)의 기립부보다 작은 기립부를 가진 제2 ㄱ자 커팅날(30b)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흡입 조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플랜지(F)는 4개이며, 상기 플랜지(F)들 간에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제1 ㄱ자 커팅날(30a)의 수평부와 제2 ㄱ자 커팅날(30b)의 수평부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제1 ㄱ자 커팅날(30a)과 상기 제2 ㄱ자 커팅날(30b) 각각은 120도 간격을 두고서 상기 플랜지(F)에 배치되되, 상기 제1 ㄱ자 커팅날(30a)과 제2 ㄱ자 커팅날(30b) 간의 간격이 20도의 위상차를 갖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흡입 조력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스톱퍼(40)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스톱퍼(40)는 상기 케이스 본체(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스톱퍼(40)의 선단은 상기 커팅날(30)의 레벨보다도 낮은 레벨에 위치되게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흡입 조력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3)의 선단에는 메시망(60)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흡입 조력 장치.
KR1020090019030A 2009-03-05 2009-03-05 모래 흡입 조력 장치 KR101046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030A KR101046778B1 (ko) 2009-03-05 2009-03-05 모래 흡입 조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030A KR101046778B1 (ko) 2009-03-05 2009-03-05 모래 흡입 조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252A true KR20100100252A (ko) 2010-09-15
KR101046778B1 KR101046778B1 (ko) 2011-07-05

Family

ID=43006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030A KR101046778B1 (ko) 2009-03-05 2009-03-05 모래 흡입 조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67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6342A (zh) * 2017-01-24 2017-06-13 黄河水利委员会黄河水利科学研究院 一种破土射流冲吸式吸泥头
CN106968278A (zh) * 2017-03-27 2017-07-21 浙江海洋大学 航道上疏浚海底土质设备
CN109083219A (zh) * 2018-08-20 2018-12-25 彭渤 一种用于淤泥泵的淤泥预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974Y2 (ja) * 1988-11-08 1994-12-07 宇部興産株式会社 浚渫装置
JP4521139B2 (ja) 2001-09-06 2010-08-11 株式会社東洋電機工業所 水底堆積物搬送装置
KR100501795B1 (ko) 2001-12-03 2005-07-20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바다, 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가압부상공법을 이용한퇴적오니 준설방법 및 장치
JP2004190421A (ja) 2002-12-13 2004-07-08 Ikeda Kensetsu Kogyo Kk 浚渫船カッターヘッド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6342A (zh) * 2017-01-24 2017-06-13 黄河水利委员会黄河水利科学研究院 一种破土射流冲吸式吸泥头
CN106968278A (zh) * 2017-03-27 2017-07-21 浙江海洋大学 航道上疏浚海底土质设备
CN109083219A (zh) * 2018-08-20 2018-12-25 彭渤 一种用于淤泥泵的淤泥预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6778B1 (ko) 201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890B1 (ko) 복합 준설선
US8522460B2 (en) Underwater excavation apparatus
CN204001012U (zh) 一种多功能清淤船
JP5005777B2 (ja) 堆積泥土掘削除去工法とその装置
CA3018137C (en) Dredging apparatus and method of dredging
US20160237643A1 (en) Dredger actuated from land
KR101046778B1 (ko) 모래 흡입 조력 장치
CN101148894A (zh) 船载冲搅一体式泥塘河道清淤装置
JP6674672B2 (ja) ポンプ浚渫船の汚濁拡散抑制装置及び汚濁拡散抑制方法
CN204728382U (zh) 一种船用铰吸头
CN210049308U (zh) 一种耙吸式挖泥船深挖耙头
CN112055770B (zh) 水下挖掘设备的改进及相关
JP3194786U (ja) 浚渫用先端アタッチメント
JP2001214879A (ja) 掘削機能を備えた水中ポンプ用採泥ストレーナー。
CN111705861B (zh) 双绞刀对称式清淤船
CN212534274U (zh) 一种环保绞吸挖泥船刮铲式清淤机具
CN214460762U (zh) 一种河沟清淤结构
US20160244942A1 (en) Dredge with water-jet cutterhead
JP2005030135A (ja) グラブバケットを用いる浚渫装置及び浚渫方法
KR101602788B1 (ko) 어항 준설용 밸브 및 그를 이용한 어항 준설방법
WO2023139365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underwater excavation apparatus
CN205676948U (zh) 一种削坡船
SU53434A1 (ru) Землесос
PL66291Y1 (pl) Odmularka samojezdna
JP2006089945A (ja) 水中堆積物の流送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