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9647A - 질감을 표현한 소재의 제조방법 및 회화의 제작방법, 질감을 표현한 소재 및 회화, 건축용 재료 - Google Patents

질감을 표현한 소재의 제조방법 및 회화의 제작방법, 질감을 표현한 소재 및 회화, 건축용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9647A
KR20100099647A KR1020090101575A KR20090101575A KR20100099647A KR 20100099647 A KR20100099647 A KR 20100099647A KR 1020090101575 A KR1020090101575 A KR 1020090101575A KR 20090101575 A KR20090101575 A KR 20090101575A KR 20100099647 A KR20100099647 A KR 20100099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ure
expressed
mineral powder
pigment
r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4809B1 (ko
Inventor
마사아키 미야사코
융코 유
신고 스기무라
카오리 소메야
Original Assignee
도쿄 게이주쯔 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쿄 게이주쯔 다이가쿠 filed Critical 도쿄 게이주쯔 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100099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with,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transfer from the surfaces of elements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brushes, pads,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36Successively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e.g. without intermediate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회화가 그려진 바위 등과 동일한 질감(마티에르)을 종이·천 등과 같은 얇고 경량인 소재를 사용해 표현 및 형성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공정 C-2는, 화지(和紙) 혹은 다른 종이 또는 천을 사용한 지지체에, 호분(胡紛) 혹은 백색계 안료 또는 다른 안료 또는 염료를, 아교 또는 접착제의 수용액으로 용해하여 물을 첨가하고, 초벌칠을 하는 공정이다. 공정 C-5는, 표현할 바위 또는 소재 또는 기저재(基底材)의 밑그림(版下, black copy)을 제판한 스크린을 사용하고, 광물질 분말안료(岩繪具, powdered mineral pigments)를 아교 또는 접착제의 수용액으로 용해하여 물을 첨가하고, 풀 또는 증점제를 첨가한 것을 잉크로 해, 실크스크린인쇄하는 공정이다. 공정 C-7은, 광물질 분말안료를 아교 또는 접착제의 수용액으로 용해하여 물을 첨가하고, 도포한 후, 표현할 바위 또는 소재 또는 기저재의 표정을 내기 위해, 브러시로 두들겨 댐으로써 덧칠을 하는 공정이다. 질감을 표현한 소재가 제조되며, 더욱이 질감을 표현한 회화를 제작할 수 있다.
회화, 모사, 복제, 질감(마티에르), 화지(和紙), 광물질 분말안료(岩繪具, powdered mineral pigments), 기저재(基底材), 실크스크린인쇄, 반수(礬水), 배접 (褙接), 초벌칠, 덧칠

Description

질감을 표현한 소재의 제조방법 및 회화의 제작방법, 질감을 표현한 소재 및 회화, 건축용 재료{Methods of Manufacturing the Materials Representing the Texture, and Paintings, Materials Representing the Texture, Materials for Painting and Construction}
본 발명은, 질감을 표현한 소재의 제조방법 및 회화의 제작방법, 질감을 표현한 소재 및 회화, 건축용 재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리지널 기저재(基底材) 등의 소재의 질감을 표현한 소재의 제조방법 및 회화의 제작방법, 질감을 표현한 소재 및 회화, 질감을 표현한 소재·회화를 사용한 건축용 재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양 회화는 종이나 천이라는 취약한 소재에 그려진다. 또한, 벽화나 보드 페인팅(板繪, board painting), 천장이나 마루의 그림같이 건조물의 일부로 되어 있는 회화는, 외기 등에 의한 열화를 막는 것이 어렵고, 더욱이, 이동시키는 것도 어렵다. 따라서, 이 같은 회화를 후세에 남기기 위한 수단으로서, 모사나 복제가 행해진다. 현재는, 사진, 인쇄, 컴퓨터 기술의 발전에 의해, 원화를 재현하는 노력이나 작품의 현상(現狀)을 기록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하에, 종래 문헌을 예로 든다.
특허문헌 1에는, 박물관·미술관 등에서의 전시나, 대형점포·실내 등의 건장 재료, 디스플레이 재료로서 이용되는 벽화용 인쇄지를 사용한 벽화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열가소성 수지 기재(基材) 위에, 돌결무늬층, 투명 또는 반투명 수지층이 차례로 적층되고, 돌결무늬층과 수지층의 계면에, 홈형태 요철모양을 갖는 화장 시트 및 그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금속박 장식이 달린 복제해야 할 고화(古畵)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는 금속박에 의한 장식이 달린 고화의 복제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등록 제264678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출원 공개 평8-52849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2006-150929호 공보
바위나 돌·흙 등(이하, '바위 등'이라 함)으로 만들어진 지지재·기저재 위에 직접 그려진 벽화나, 천장, 마루, 담, 지붕, 창, 문, 기둥, 들보, 프레임 등의 건축물에 그려진 회화의 모사를 할 때, 오리지널과 모양이나 색이 완전히 같은 바위 등을 준비하는 것은 곤란하다. 게다가, 큰 화면을 필요로 하면, 바위 등이 충격 등으로 깨지지 않게 하기 위해, 충분한 두께가 필요해져 버리므로, 매우 무거워져버린다. 종래, 이들 이유로 인해 바위 등에 직접 그려진 벽화 등의 회화의 모사·복제의 경우, 작은 화면에서 트리밍해서 그리는 것밖에 할 수 없어, 회화의 규모나 조형(造形)을 표현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는, 예를 들어 작은 화면에서 그렸다고 해도 경량화에는 한계가 있어, 취급·운반·전시 등에 지장을 초래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에 비추어, 회화가 그려진 바위 등과 동일한 질감(마티에르)을 종이·천 등과 같은 얇고 경량인 소재를 사용하여 표현 및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위 등에 그려진 회화를 오리지널과 동일한 질감(마티에르)으로 모사·복제·묘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형성된 기저재 등의 소재를 사용한 건축용 재료, 또는, 그 기저재 등의 소재 상에 복사·복제·묘사 등에 의해 제작된 회화를 사용한 건축용 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해결수단에 따르면,
화지(和紙) 혹은 다른 종이 또는 천을 사용한 지지체에, 호분(胡粉) 혹은 백색계 안료 또는 다른 안료 또는 염료를, 아교 또는 접착제의 수용액으로 용해하여 물을 첨가하고, 초벌칠을 하는 공정;
표현할 바위 또는 소재 또는 기저재의 밑그림(版下, black copy)을 제판한 스크린을 사용하고, 제1 광물질 분말안료(岩繪具, powdered mineral pigments)를 아교 또는 접착제의 수용액으로 용해하여 물을 첨가하고, 풀 또는 증점제를 첨가한 것을 잉크로 해, 실크스크린인쇄하는 공정; 및
제2 광물질 분말안료를 아교 또는 접착제의 수용액으로 용해하여 물을 첨가하고, 도포한 후, 표현할 바위 또는 소재 또는 기저재의 표정을 내기 위해, 브러시로 두들겨 댐으로써 덧칠을 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질감을 표현한 소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해결수단에 따르면,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질감을 표현한 소재의 제조방법으로 작성된 기저재를 사용하여,
잉크젯 프린터 또는 다른 프린터로 안료잉크를 사용해, 표현할 바위 또는 소재 또는 기저재의 사진 데이터를 컬러인쇄하는 공정; 및
잉크젯 프린터 또는 다른 프린터로 안료잉크를 사용해, 표현할 바위 또는 소재 또는 기저재 위에 그려진 회화의 사진 데이터를 컬러인쇄 및/또는 핸드 컬러링(手彩色, hand coloring)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질감을 표현한 회화의 제작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해결수단에 따르면,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질감을 표현한 소재의 제조방법으로 작성된 기저재를 사용하여,
잉크젯 프린터 또는 다른 프린터로 안료잉크를 사용해, 표현할 소재 또는 기저재와 회화 양쪽을 포함하는 사진 데이터를 컬러인쇄 및/또는 핸드 컬러링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질감을 표현한 회화의 제작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해결수단에 따르면,
화지 혹은 다른 종이 또는 천을 사용한 지지체에, 호분 혹은 백색계 안료 또는 다른 안료 또는 염료를, 아교 또는 접착제의 수용액으로 용해하여 물을 첨가하고, 초벌칠을 하는 공정;
표현할 바위 또는 소재 또는 기저재의 밑그림을 제판한 스크린을 사용하고, 제1 광물질 분말안료를 아교 또는 접착제의 수용액으로 용해하여 물을 첨가하고, 풀 또는 증점제를 첨가한 것을 잉크로 해, 실크스크린인쇄하는 공정; 및
제2 광물질 분말안료를 아교 또는 접착제의 수용액으로 용해하여 물을 첨가하고, 도포한 후, 표현할 바위 또는 소재 또는 기저재의 표정을 내기 위해, 브러시로 두들겨 댐으로써 덧칠을 하는 공정;
으로 제조된 질감을 표현한 소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5 해결수단에 따르면,
화지 혹은 다른 종이 또는 천을 사용한 지지체;
호분 혹은 백색계 안료 또는 다른 안료 또는 염료를, 아교 또는 접착제의 수용액으로 용해하여 물을 첨가하고, 초벌칠을 한 제1 층;
표현할 바위 또는 소재 또는 기저재의 밑그림을 제판한 스크린을 사용하고, 제1 광물질 분말안료를 아교 또는 접착제의 수용액으로 용해하여 물을 첨가하고, 풀 또는 증점제를 첨가한 것을 잉크로 해, 실크스크린인쇄된 제2 층; 및
제2 광물질 분말안료를 아교 또는 접착제의 수용액으로 용해하여 물을 첨가하고, 도포한 후, 표현할 바위 또는 소재 또는 기저재의 표정을 내기 위해, 브러시로 두들겨 댐으로써 덧칠이 된 제3 층;
을 포함하는 질감을 표현한 소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6 해결수단에 따르면,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질감을 표현한 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기저재 위에,
잉크젯 프린터 또는 다른 프린터로 안료잉크를 사용해, 표현할 바위 또는 소재 또는 기저재의 사진 데이터를 컬러인쇄하고,
또, 잉크젯 프린터 또는 다른 프린터로 안료잉크를 사용해, 표현할 바위 또는 소재 또는 기저재 위에 그려진 회화의 사진 데이터를 컬러인쇄 및/또는 핸드 컬러링함으로써 제작된 질감을 표현한 회화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7 해결수단에 따르면,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질감을 표현한 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기저재 위에, 잉크젯 프린터 또는 다른 프린터로 안료잉크를 사용해, 표현할 소재 또는 기저재와 회화 양쪽을 포함하는 사진 데이터를 컬러인쇄 및/또는 핸드 컬러링함으로써 제작된 질감을 표현한 회화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8 해결수단에 따르면,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질감을 표현한 소재를 사용한 건축용 재료, 또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질감을 표현한 회화를 사용한 건축용 재료가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바위 등을 부숨으로써 제조되고 있는 광물질 분말안료라는, 바위 등과 같은 소재의 안료를, 본 발명에 따르면, 화지에 사용해 제작하기 때문에, 진짜 바위 등과 동일한 질감을 매우 가볍고 얇게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크스크린과 잉크젯기 등의 프린터로 인쇄를 하기 때문에, 표현하고 싶은 바위 등의 사진 데이터를 준비할 수 있으면, 어떠한 종류·모양·색의 바위 등이라도 제작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든 종류의 바위 등을 말아 운반할 수 있게 되어, 이용이나 이동·운반·전시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작된 기저재·지지체 위에 원화 등의 그림을 더 실크스크린과 잉크젯기 등의 프린터로 인쇄하기 때문에, 표현하고 싶은 회화의 사진 데이터를 준비함으로써, 오리지널을 모사·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형성된 기저재 등의 소재를 사용한 건축용 재료, 또는, 그 기저재 등의 소재 상에 복사·복제·묘사 등에 의해 제작된 회화를 사용 한 건축용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1. 질감을 표현한 소재·회화의 제조공정
도1에, 본 실시형태의 기저재 등의 소재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2에, 본 실시형태의 기저재 등의 소재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3에, 본 실시형태의 기저재 등의 소재의 각 제조공정에 따라 형성되는 표면의 설명도를 나타낸다. 한편, 도3은, 질감을 표현하기에는, 전자출원에 따른 제출도면에서는 충분히 표현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고 상정되므로, 도3과 동일한 선명한 색채 사진 및 견본을 물건제출서로 제출한다(단, 일본특허청에 대해서만). 기호는 도2와 도3에서는, 같은 것을 나타낸다.
이하, 도2, 도3을 참조하면서, 도1에 따라, 기저재 등의 소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각 공정을 차례로 설명한다.
A. 본지(本紙)(지지체)의 준비
[A-1: 본지(바)]
본지(지지체)에는, 예를 들어, 백마지(白麻紙) 3호 등의 화지를 준비한다(도2 및 도3(바)). 본지(지지체)에는, 화지 이외에도, 기타 종이나, 마·견 등의 천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화지로는, 이 밖에도, 예를 들어, 운기마지(雲肌麻紙, cloud skin hemp paper), 도사(土佐)마지, 신고(神鄕)지, 세이호(栖鳳)지, 토리노코(鳥子)지 등의 적절한 화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말하는 '화지(和紙)'에는, 예를 들어, 일본에서 뜬 종이, 국산 재료를 사용한 종이 등 외에, 일반적으로 화지로서 판매되고 있는 중국의 종이나 한국 등의 종이도 포함할 수 있다.
[A-2: 반수(礬水)]
번짐 방지를 위해, 본지(지지체)의 겉쪽에 반수를 한번 이상 먹인다. 이 공정은 본지(지지체)의 번짐 방지의 역할이 있어, 넓은 의미로는 사이징(sizing), 번짐 방지라고 불린다. 반수가, 한번에 듣지 않을 경우, 두번째는 안쪽에 먹이면 된다. 반수는, 본지(지지체)에 따라, 배합물질이나 비율이 다르다.
반수는, 예를 들어, 물과, 삼천본(三千本) 아교 등의 아교와, 생(生)명반 등의 명반의 수용액으로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지(지지체) 겉쪽에, '물 800 cc+삼천본 아교 15 g+생명반 3 g'의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아교'는, 삼천본 이외의 아교여도 가능하나, 수용액을 만들 때의 퍼센티지가 다르다.
또한, 이 공정은, 원래 반수(사이징) 처리가 되어 있는 종이라면 생략해도 된다.
[A-3: 배접(褙接)(사)]
보강을 위해 본지(지지체)의 뒷면에 접착제로 종이를 붙여 배접을 한다(도2 및 도3(사)).
접착제로는, 밀가루 전분풀 등의 풀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지(지지체)에 밀가루 전분풀과 호소카와(細川)지(4돈)를 사용해 배접을 두번 한다. 배접 횟수는 한번이어도, 세번 이상이어도 된다. 배접에 사용되는 종이는, 예를 들어, 닥나무를 주요 원료로 한 화지를 사용할 수 있다. 배접에 사용되는 종이는, 이 밖에, 예를 들어, 박미농지(薄美濃紙), 야메(八女)지 등 적절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정은, 매우 강한 지지체라면 생략해도 된다.
B. 패널의 준비
[B-1: 패널]
목제 패널을 준비한다.
[B-2: 완전 부착]
목제, 플라스틱 등의 패널에, 접착제로 패널과 같은 정도 크기의 신토리노코(新鳥子)지 등의 종이를 빈틈없이 완전히 붙인다. 여기서 접착제는, 예를 들어, 밀가루 전분풀 등의 풀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공정에서 완전 부착하는 종이는, 주로, 목제 패널의 진(津)을 막기 위한 것이므로, 어떤 종이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신토리노코지는, 펄프를 대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기계로 제조되고 있으므로, 화지라기보다는 양지에 가깝고, 저가이다. 또한, 종이 크기는 본지(지지체)를 붙이는 패널의 크기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C. 질감 표현의 제작공정
[C-1: 완전 부착]
패널에, 본지(지지체)를, 섬유소 글리콜산 나트륨 또는 CMC 등의 증점제의 수용액으로 빈틈없이 완전히 붙인다. 이는, 주로, 본지(지지체)가 수분을 흡수했을 때 패널에서 들뜨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공정 A-3에 따라, 목제 패널에 배접한 본지(지지체)(이하, 단순히 본지(지지체)라고 할 경우가 있다.)를 T.P.T.의 수용액으로 완전 부착하여, 본지(지지체)가 수분을 흡수했을 때 패널에서 들뜨는 것을 막는다. 또한, T.P.T.는 상품명으로, 정식명칭은 'Sodium Carboxymethyl Cellose', 일본어명은 '섬유소 글리콜산 나트륨'이며, 일반적으로 CMC라 불리고 있다(http://www.gotoku.co.jp/tpt.html 참조).
[C-2: 초벌칠(마)]
화지를 사용한 본지(지지체)에, 백색계 안료를 아교 등의 접착제의 수용액으로, 초벌칠을 한다(도2 및 도3(마)). 백색계 안료는, 호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분을 삼천본 아교 15 %의 수용액으로 용해하고, 물을 더 첨가해, 본지(지지체) 전체에 초벌칠을 한다. 이 초벌칠 공정은, 주로, 이하의 공정 C-5에서 사용하는 안료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한 공정이지만, 색조를 낼 수도 있다. 통상, 일본 화의 안료를 사용한 제작(制作)에서는, 입자가 고운 안료를 먼저 칠하고 나서, 입자가 거친 안료를 사용한 쪽이 접착력도 좋고 발색도 좋다고 보고 있다.
[C-3: 반수]
안료의 초벌칠을 견고히 하기 위해, 반수를 먹인다.
예를 들어, '물 1000 cc+삼천본 아교 15 g+생명반 3 g'의 수용액(반수)을 발라, 호분의 초벌칠을 견고히 한다.
공정 A-2와 공정 C-3, C-6은 반수의 역할이 다르다. 공정 C-3, C-6의 반수는, 한번 도포한 안료가 다음 작업에서 수분을 머금었을 때 다시 움직이지 않도록 안료를 고정하기 위한 공정이다. 도포한 안료가 견고하면 생략해도 된다.
[C-4: 바탕칠(라)]
표현해야 할 바위 등의 재질·모양·색에 따라 질감(마티에르)이 동일해지도록 표현하기 위한 안료를, 아교 또는 청각채 등의 접착제로 용해하여, 초벌칠을 한 본지(지지체)에 바탕칠을 한다(도2 및 도3(라)). 예를 들어, 흑운모(조(粗))를 청각채로 용해하여, 전체에 바른다. 사용할 안료는 표현하고 싶은 바위 등의 재질이나 모양·색 등에 따라 다르다. 흑운모는, 화강암을 표현하고 싶은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진짜 화강암 중에 실제로 흑운모가 들어 있기 때문이다. 다른 바위 등을 표현할 때에는, 그 바위 등을 구성하는(포함되는) 물질·재료·광물·바위를 사용할 수 있다. 녹색계에서는, 예를 들어, 소녹청(燒綠靑; 흑색에 가까운 녹색)을 사용할 수 있다. 기타, 청색계, 녹색계, 적색계, 황색계, 자색계 등의 적절한 천연 광물질 분말안료 등의 광물질 분말안료나 다른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이 공정을 생략해도 된다.
[C-5: 실크스크린인쇄(다)]
스크린을 틀에 붙이고, 유제(乳劑)를 도포 및 건조시킨 후, 표현할 소재 또는 기저재의 밑그림을 감광하여 제판한다. 이어서, 제판된 스크린을 사용하고, 광물을 부수어 만든 천연 광물질 분말안료 등의 광물질 분말안료를 접착제의 수용액으로 용해하여 물을 첨가하고, 증점제를 첨가하여 겔화시킨 것을 잉크로 해, 실크스크린인쇄한다(도2 및 도3(다)). 예를 들어, #200의 테토론(Tetoron)을 알루미늄제 틀에 붙이고 유제를 도포, 건조시킨 후, 표현할 바위 등의 밑그림을 감광하여 제판할 수 있다. 이를 사용하고, 광물질 분말안료의 방해말(方解末) 9번을 삼천본 아교 20 %의 수용액으로 용해하여 소량의 물을 첨가한 후, 밀가루 전분풀을 첨가하여 겔화시킨 것을 잉크로 해, 인쇄할 수 있다. 또한, 실크스크린 제작에는, 예를 들어, 흑백사진(화상)을 사용하거나, 기타 적절한 색을 추출한 사진(화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나 화상처리 소프트웨어 등으로 원하는 색의 화상을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정 C-5와, 뒤에서 설명하는 공정 C-7에서 사용하는 천연 광물질 분말안료 등의 광물질 분말안료로는, 이 실시형태에서는, (i) 바위를 부수어 만들어지는 광물질 분말안료가 사용되고 있는 것, (ii) 광물질 분말안료가 거친 입자인 것, (iii) 뒤에서 설명하는 공정(C-8, C-9)에서 잉크젯으로 컬러인쇄하기 위해, 그 베이스가 되는 하얀 안료인 것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광물질 분말안료로는, 방해말 등의 천연 광물질 분말안료나, 그외에도, 수정말(水晶末) 등의 천연 광물질 분말안료, 인공광석을 부수어 만든 암백(岩白) 등의 신(新)광물질 분말안료 등의 안료여도 대용이 가능하다. 사용할 광물질 분말안료의 입자의 거칠기에 관해서는, 광물질 분말안료는, 9번 전후 등의 거친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 번호는, 안료 메이커마다 입자의 거칠기가 통일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약간 입자의 질감을 느끼는 거칠기라면 몇 번이어도 대용할 수 있다. 단 사용할 광물질 분말안료의 거칠기가 변하면, 상성이 좋은 실크스크린의 메시(mesh)가 변하는 경우가 있다.
도4에, 안료, 광물질 분말안료 등의 개념 참고도를 나타낸다. 이는 각 용법에 관한 상위·하위 개념을 참고로 나타낸 일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물질 분말안료를 실크스크린으로 인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잉크의 조절에는, 예를 들어, 증점제를 첨가하는 것 등에 의해 고안할 수 있다. 증점제는, 입자가 있는 광물질 분말안료를 아교물(膠水)로 용해했을 때 밑에 가라앉아 버리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된다. 증점제에는, 예를 들어, 밀가루 전분풀 외에, CMC·청각채 등의 풀 등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실크스크린에 관해서는, 재료로 이하의 것이 예시된다.
틀: 알루미늄제, 목제;
스크린: 테토론, 나일론, 견, 스테인리스(번호 등은 http://www.echonet.co.jp/Pages/screen.html 참조). 그밖에, 감광 유제나 스퀴지(squeegee) 등 미세한 도구·기법을 사용해도 된다. 실크스크린인쇄 시, 같은 판을 복수회 인쇄함으로써, 표현하고 싶은 요철의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C-6: 반수]
실크스크린인쇄로 인쇄한 천연 광물질 분말안료 등의 광물질 분말안료를 견고히 하기 위해, 반수를 먹인다. 반수는, 예를 들어, 물과, 삼천본 아교 등의 아교와, 생명반 등의 명반의 수용액으로 만들 수 있다. 이 공정의 반수는, 한번 도포한 안료가 다음 작업에서 수분을 머금었을 때 다시 움직이지 않도록 안료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다시, '물 1000 cc+삼천본 아교 15 g+생명반 3 g'의 수용액(반수)을 발라, 실크스크린인쇄로 인쇄한 방해말을 견고히 할 수 있다. 또한, 이 공정은, 도포한 안료가 견고하면 생략해도 된다.
[C-7: 덧칠(나)]
천연 광물질 분말안료 등의 광물질 분말안료를 접착제의 수용액으로 용해하여 물을 첨가하고, 전체에 도포한 후, 바위의 표정을 내기 위해, 브러시로 두들겨 대는 것 등에 의해, 덧칠한다(도2 및 도3(나)). 이 공정은 수동이어도 자동이어도 된다. 공정 C-7에서 사용하는 천연 광물질 분말안료 등의 광물질 분말안료는, 공정 C-5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해말, 수정말 등의 천연 광물질 분말안료나, 암백 등의 신 광물질 분말안료 등의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방해말 9번을 삼천본 아교 20 % 수용액으로 용해하여 물을 첨가하고, 전체에 도포한 후, 종려나무 브러시 등의 브러시로 두들겨 댐으로써 바위의 표정을 낼 수 있다.
[C-8: 잉크젯인쇄(가)]
완전 부착한 패널 또는 다른 대지(臺紙) 등이 붙어 있을 경우, 패널 또는 다른 대지 등으로부터, 스패출러 등을 끼워넣어 본지(지지체)를 떼어낸다. 잉크젯 프린터 또는 다른 프린터로 안료잉크 등의 잉크를 사용해, 표현하고 싶은 바위 등의 모양의 사진 데이터를 컬러인쇄한다(도2 및 도3(가)).
이렇게 해서, 질감이 표현된 기저재 등의 소재가 제작된다.
[C-9: 그림 제작]
기저재 등의 소재 위에, 잉크젯 프린터 또는 다른 프린터로, 그림에 사용된 광물·착색재료·안료 등의 안료잉크, 천연 광물질 분말안료 등의 광물질 분말안료 등의 잉크를 사용해, 표현된 회화의 사진 데이터를 컬러인쇄한다. 더욱이, 광물질 분말안료 등의 안료를 사용해 핸드 컬러링해도 된다. 또한, 프린터로 인쇄하지 않고, 핸드 컬러링 등의 적절한 기법으로 그림을 묘사해도 된다.
이렇게 해서, 회화가, 기저재 등의 소재 상에 표현된다.
2. 변형예
(1) 공정 B-1, 2와 공정 C-1의 공정은, 실크스크린을 사용해 화지 등의 본지(지지체)에 인쇄 시의, 본지(지지체)의 들뜸을 막기 위할 뿐인 작업이므로, 작업 자체에 대체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석션(suction) 테이블처럼, 본지(지지체)를 밑에서부터 흡입하여 고정해 주는 것이나, 앨범의 대지처럼 일시적으로 붙어 있어 용이하게 뗄 수 있는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2) 공정 C-8 및 C-9에서는, 바위 등과 회화를 각각 인쇄했으나, 표현하고 싶은 바위 등과 그 위에 그려진 회화를 동시에 촬영한 사진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바위 등과 회화를 안료잉크 등을 사용해 동시에 컬러인쇄해도 된다.
(3) 공정 C-5 및 C-7에서의 광물질 분말안료로는, 같은 것을 사용해도 되고, 다른 것을 사용해도 된다.
(4) 위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광물질 분말안료 등의 안료를 모두 백색으로 하고 색채는 공정 C-8, C-9에서의 인쇄를 사용함으로써 제조하고 있다. 이에 한하지 않고, 공정 C-2, C-5, C-7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공정에서, 광물질 분말안료 등의 안료의 사용만으로도 바위를 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정 C-2에서는, 초벌칠에 백색계 안료를 사용했으나, 색이 있는 천연 광물질 분말안료 등의 광물질 분말안료나 다른 안료를 사용해도 되고, 또는, 식물성 염료 또는 동물성 염료 등의 염료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공정 C-5 및 C-7에서, 예를 들어, 백색계 천연 광물질 분말안료 등의 광물질 분말안료 대신에, 청색계, 녹색계, 적색계, 황색계, 자색계 등의 색이 있는 광물질 분말안료 등의 안료를 사용해도 된다. 이에 의해, 공정 C-4 및/또는 C-8 등을 생략할 수도 있다.
(5) 공정 C-5에서는, 실크스크린을 복수 사용해, 각각 다른 광물질 분말안료로 다색 인쇄하게 해도 된다. 이에 의해, 공정 C-8을 생략해도 된다. 다색 인쇄의 경우, 퍼스널 컴퓨터와 화상처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등을 사용해, 원하는 색을 복수 추출하여, 각 색에 따른 실크스크린을 제판할 수 있다.
(6) 반수, 안료, 광물질 분말안료 등의 안료 등의 사용재료나 배합비율은, 위에서 설명한 것에 한하지 않고 적절히 할 수 있다.
(7) 프린터에 사용되는 안료잉크는, 다양한 타입의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저재 등의 소재, 또는, 기저재 등의 소재에 모사·복제·묘사 등에 의해 제작된 회화는, 회화용 외에, 벽, 천장, 마루, 담, 지붕, 창, 문, 기둥, 들보, 프레임 등의 건축용 재료로서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기저재 등의 소재 또는 회화는, 한 장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장 붙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저재 등의 소재 또는 회화에는, 프레임, 물림쇠, 조인트, 부착구, 고정구 등을 표면·측면·뒷면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해도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기저재 등의 소재 또는 회화를, 유닛으로서 형성해도 되고, 또, 복수 조합할 수도 있다.
도1은 본 실시형태의 기저재 등의 소재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2는 본 실시형태의 기저재 등의 소재의 단면도이다.
도3은 본 실시형태의 기저재 등의 소재의 각 제조공정에 따라 형성되는 표면의 설명도이다.
도4는 안료, 광물질 분말안료 등의 개념 참고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A1-: 본지(本紙)(바) A-2: 반수(礬水)
A-3: 배접(褙接)(사) B-1: 패널
B-2: 완전 부착 C-1: 완전 부착
C-2: 초벌칠(마) C-3: 반수
C-4: 바탕칠(라) C-5: 실크스크린인쇄(다)
C-6: 반수 C-7: 덧칠(나)
C-8: 잉크젯인쇄(가) C-9: 그림제작

Claims (23)

  1. 화지(和紙) 혹은 다른 종이 또는 천을 사용한 지지체에, 호분(胡粉) 혹은 백색계 안료 또는 다른 안료 또는 염료를, 아교 또는 접착제의 수용액으로 용해하여 물을 첨가하고, 초벌칠을 하는 공정;
    표현할 바위 또는 소재 또는 기저재의 밑그림(版下, black copy)을 제판한 스크린을 사용하고, 제1 광물질 분말안료(岩繪具, powdered mineral pigments)를 아교 또는 접착제의 수용액으로 용해하여 물을 첨가하고, 풀 또는 증점제를 첨가한 것을 잉크로 해, 실크스크린인쇄하는 공정; 및
    제2 광물질 분말안료를 아교 또는 접착제의 수용액으로 용해하여 물을 첨가하고, 도포한 후, 표현할 바위 또는 소재 또는 기저재의 표정을 내기 위해, 브러시로 두들겨 댐으로써 덧칠을 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감을 표현한 소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물질 분말안료 및 상기 제2 광물질 분말안료는, 같은 천연 광물질 분말안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감을 표현한 소재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벌칠을 하는 공정에서는, 호분 혹은 백색계 안료를 사용하고,
    상기 제1 광물질 분말안료 및 상기 제2 광물질 분말안료는, 방해말(方解末) 또는 기타 백색계 안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감을 표현한 소재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물질 분말안료 및 상기 제2 광물질 분말안료는, 다른 천연 광물질 분말안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감을 표현한 소재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물질 분말안료 및/또는 상기 제2 광물질 분말안료는, 표현할 바위 또는 소재 또는 기저재에 포함되는, 청색계, 녹색계, 적색계, 황색계, 자색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색이 있는 광물질 분말안료 또는 안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감을 표현한 소재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벌칠을 하는 공정 전에,
    번짐 방지를 위해, 상기 지지체의 겉쪽에 반수(礬水)를 한번 이상 먹이는 공정; 및
    보강을 위해 상기 지지체의 뒷면에 접착제로 종이를 붙여 배접(褙接)을 하는 공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감을 표현한 소재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벌칠을 하는 공정 전에, 패널에, 접착제로 상기 패널과 같은 정도 크기의 종이를 빈틈없이 완전히 붙이고, 상기 지지체가 수분을 흡수했을 때 상기 패널에서 들뜨는 것을 막기 위해, 섬유소 글리콜산 나트륨 또는 CMC 또는 다른 증점제의 수용액으로, 상기 패널에 상기 지지체를 완전 부착하는 공정; 및
    상기 덧칠을 하는 공정 후에, 완전 부착한 상기 패널에서, 상기 지지체를 떼어내는 공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감을 표현한 소재의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벌칠을 하는 공정 전에,
    석션(suction) 테이블 혹은 상기 지지체를 밑에서부터 흡입하여 고정하는 판재(板材), 또는 앨범 대지(臺紙) 혹은 상기 지지체가 일시적으로 붙어 용이하게 뗄 수 있는 판재에, 상기 지지체를 붙이는 공정; 및
    상기 덧칠을 하는 공정 후에, 판재에서, 상기 지지체를 떼어내는 공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감을 표현한 소재의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벌칠을 하는 공정 후에, 안료의 초벌칠을 견고히 하기 위해, 반수를 먹이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감을 표현한 소재의 제조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벌칠을 하는 공정 또는 상기 반수를 먹이는 공정 후에, 화강암을 표현하기 위한 흑운모, 또는, 표현할 바위 혹은 재료의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그 바위 혹은 재료에 포함되는 물질을 부순 천연 광물질 분말안료 또는 광물질 분말안료 또는 안료를, 청각채 또는 다른 접착제로 용해하여, 바탕칠을 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감을 표현한 소재의 제조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크스크린인쇄하는 공정에서, 같은 판을 복수 인쇄함으로써, 표현하고 싶은 요철의 정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감을 표현한 소재의 제조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크스크린인쇄하는 공정에서, 실크스크린을 색마다 복수 제판하고, 상기 제1 광물질 분말안료 및 기타 광물질 분말안료를 복수 사용하여, 각각의 복수의 실크스크린을 사용해, 다색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감을 표현한 소재의 제조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크스크린인쇄하는 공정 후, 인쇄된 광물질 분말안료를 견고히 하기 위해, 반수를 먹이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감을 표현한 소재의 제조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잉크젯 프린터 또는 다른 프린터로 안료잉크를 사용해, 표현할 바위 또는 소재 또는 기저재의 사진 데이터를 컬러인쇄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감을 표현한 소재의 제조방법.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질감을 표현한 소재의 제조방법으로 작성된 기저재를 사용하여,
    잉크젯 프린터 또는 다른 프린터로 안료잉크를 사용해, 표현할 바위 또는 소재 또는 기저재의 사진 데이터를 컬러인쇄하는 공정; 및
    잉크젯 프린터 또는 다른 프린터로 안료잉크를 사용해, 표현할 바위 또는 소재 또는 기저재 위에 그려진 회화의 사진 데이터를 컬러인쇄 및/또는 핸드 컬러링(手彩色, hand coloring)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감을 표현한 회화의 제작방법.
  16.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질감을 표현한 소재의 제조방법으로 작성된 기저재를 사용하여,
    잉크젯 프린터 또는 다른 프린터로 안료잉크를 사용해, 표현할 소재 또는 기저재와 회화 양쪽을 포함하는 사진 데이터를 컬러인쇄 및/또는 핸드 컬러링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감을 표현한 회화의 제작방법.
  17. 화지 혹은 다른 종이 또는 천을 사용한 지지체에, 호분 혹은 백색계 안료 또는 다른 안료 또는 염료를, 아교 또는 접착제의 수용액으로 용해하여 물을 첨가하고, 초벌칠을 하는 공정;
    표현할 바위 또는 소재 또는 기저재의 밑그림을 제판한 스크린을 사용하고, 제1 광물질 분말안료를 아교 또는 접착제의 수용액으로 용해하여 물을 첨가하고, 풀 또는 증점제를 첨가한 것을 잉크로 해, 실크스크린인쇄하는 공정; 및
    제2 광물질 분말안료를 아교 또는 접착제의 수용액으로 용해하여 물을 첨가하고, 도포한 후, 표현할 바위 또는 소재 또는 기저재의 표정을 내기 위해, 브러시로 두들겨 댐으로써 덧칠을 하는 공정;
    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감을 표현한 소재.
  18. 화지 혹은 다른 종이 또는 천을 사용한 지지체;
    호분 혹은 백색계 안료 또는 다른 안료 또는 염료를, 아교 또는 접착제의 수용액으로 용해하여 물을 첨가하고, 초벌칠을 한 제1 층;
    표현할 바위 또는 소재 또는 기저재의 밑그림을 제판한 스크린을 사용하고, 제1 광물질 분말안료를 아교 또는 접착제의 수용액으로 용해하여 물을 첨가하고, 풀 또는 증점제를 첨가한 것을 잉크로 해, 실크스크린인쇄된 제2 층; 및
    제2 광물질 분말안료를 아교 또는 접착제의 수용액으로 용해하여 물을 첨가하고, 도포한 후, 표현할 바위 또는 소재 또는 기저재의 표정을 내기 위해, 브러시로 두들겨 댐으로써 덧칠이 된 제3 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감을 표현한 소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 사이에, 더, 화강암을 표현하 기 위한 흑운모, 또는, 표현할 바위 혹은 재료의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그 바위 혹은 재료에 포함되는 물질을 부순 천연 광물질 분말안료 또는 광물질 분말안료 또는 안료를, 청각채 또는 다른 접착제로 용해하여, 바탕칠을 한 제4 층을 더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감을 표현한 소재.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질감을 표현한 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기저재 위에,
    잉크젯 프린터 또는 다른 프린터로 안료잉크를 사용해, 표현할 바위 또는 소재 또는 기저재의 사진 데이터를 컬러인쇄하고,
    또, 잉크젯 프린터 또는 다른 프린터로 안료잉크를 사용해, 표현할 바위 또는 소재 또는 기저재 위에 그려진 회화의 사진 데이터를 컬러인쇄 및/또는 핸드 컬러링함으로써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감을 표현한 회화.
  21.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질감을 표현한 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기저재 위에, 잉크젯 프린터 또는 다른 프린터로 안료잉크를 사용해, 표현할 소재 또는 기저재와 회화 양쪽을 포함하는 사진 데이터를 컬러인쇄 및/또는 핸드 컬러링함으로써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감을 표현한 회화.
  22.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질감을 표현한 소재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재료.
  23. 제20항 또는 제21항에 기재된 질감을 표현한 회화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재료.
KR1020090101575A 2009-03-03 2009-10-26 질감을 표현한 소재의 제조방법 및 회화의 제작방법, 질감을 표현한 소재 및 회화, 건축용 재료 KR101294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48843A JP4559524B2 (ja) 2009-03-03 2009-03-03 質感を表現した素材の製造方法及び絵画の製作方法、質感を表現した素材及び絵画、建築用材料
JPJP-P-2009-048843 2009-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647A true KR20100099647A (ko) 2010-09-13
KR101294809B1 KR101294809B1 (ko) 2013-08-08

Family

ID=42687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575A KR101294809B1 (ko) 2009-03-03 2009-10-26 질감을 표현한 소재의 제조방법 및 회화의 제작방법, 질감을 표현한 소재 및 회화, 건축용 재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559524B2 (ko)
KR (1) KR101294809B1 (ko)
CN (1) CN101823405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298B1 (ko) * 2010-11-16 2013-02-28 도쿄 게이주쯔 다이가쿠 소재의 제조방법 및 회화의 제작방법, 소재 및 회화
KR20180120972A (ko) * 2017-04-28 2018-11-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회화의 채화방법
KR20220112594A (ko) * 2021-02-04 2022-08-11 최락환 벽화 상판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벽화 상판
KR102477207B1 (ko) * 2022-08-01 2022-12-12 권혁진 펄 조성물을 함유한 미술작품 인쇄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8891B2 (ja) * 2010-02-09 2013-03-06 国立大学法人東京芸術大学 素材の製造方法及び絵画の製作方法、素材及び絵画、建築用材料
PT2628610E (pt) * 2010-11-10 2014-09-26 Flooring Technologies Ltd Processo para aplicação de uma decoração sobre uma placa de material derivado de madeira
JP5039234B1 (ja) * 2012-01-01 2012-10-03 有限会社 On−Art 大型の空気膜造形物用の生地及びそれを用いた造形方法
TW201400324A (zh) * 2012-06-21 2014-01-01 Ke-Fan Huang 裂紋漆工法
CN105014762B (zh) * 2014-05-03 2018-02-16 金惠萍 一种对植物秸秆段染上色的方法
KR101916312B1 (ko) * 2016-05-24 2018-11-07 정원창 실크 스크린 인쇄장치와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가 결합된 컬러 도장강판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컬러 도장강판
CN107915479B (zh) * 2017-11-06 2020-06-12 蒙娜丽莎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瓷质通体仿古砖及其制备方法
JP7089745B2 (ja) * 2018-05-30 2022-06-23 株式会社偕拓堂アート 絹本用インクジェット受理層
JP7442720B1 (ja) 2023-05-22 2024-03-04 佐藤興業株式会社 塗装方法及び装飾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4195B2 (ja) * 1978-09-08 1985-11-29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岩絵具を用いたような日本画複製画の製造方法
KR830008195A (ko) * 1981-09-10 1983-11-16 노하라 마사가즈 전사지(轉寫紙)
CN1006371B (zh) * 1987-12-01 1990-01-10 山西大学 版画制作工艺
JPH10244799A (ja) * 1997-01-06 1998-09-14 Eriko Obata 複製用シート材とそれを使用する平面的美術品の複製方法および複製品
CN100368210C (zh) * 2001-06-14 2008-02-13 肖旭 装饰布的制作工艺
JP2003291600A (ja) 2002-03-29 2003-10-15 Ys Corporation:Kk 油絵調立体画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63411A (ko) * 2003-01-07 2004-07-14 이병수 묘지 비석 부착용 세라믹 사진 제조방법
JP2006026971A (ja) * 2004-07-13 2006-02-02 Daiko:Kk インクジェット印刷用紙及びそれを用いた複製の作製方法
JP4504913B2 (ja) 2005-04-08 2010-07-14 共同印刷株式会社 複製画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298B1 (ko) * 2010-11-16 2013-02-28 도쿄 게이주쯔 다이가쿠 소재의 제조방법 및 회화의 제작방법, 소재 및 회화
KR20180120972A (ko) * 2017-04-28 2018-11-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회화의 채화방법
KR20220112594A (ko) * 2021-02-04 2022-08-11 최락환 벽화 상판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벽화 상판
KR102477207B1 (ko) * 2022-08-01 2022-12-12 권혁진 펄 조성물을 함유한 미술작품 인쇄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23405B (zh) 2013-10-30
JP4559524B2 (ja) 2010-10-06
JP2010201750A (ja) 2010-09-16
CN101823405A (zh) 2010-09-08
KR101294809B1 (ko) 201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809B1 (ko) 질감을 표현한 소재의 제조방법 및 회화의 제작방법, 질감을 표현한 소재 및 회화, 건축용 재료
US20100295881A1 (en) Method for simulating, fabricating, or duplicating an oil painting
CN101033587A (zh) 四原色在毛巾上印花的方法
US20090305009A1 (en) Printed substrate, method for manufacturing floor pane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ed substrates
KR101118035B1 (ko) 디지털 프린터와 에폭시를 이용한 벽화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2014676B1 (ko) 실사 표현이 가능한 전사지 및 이의 제작방법
US20040253414A1 (en) Method for reproducing and enhancing artwork images
EP1634718A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work of art using UV curable ink
JP5303956B2 (ja) 印刷物
US6357103B1 (en) Method for making stained glass articles
JP5158891B2 (ja) 素材の製造方法及び絵画の製作方法、素材及び絵画、建築用材料
CN100532302C (zh) 在玻璃和玻璃制品表面形成彩色凹刻精细图案的方法
KR101238298B1 (ko) 소재의 제조방법 및 회화의 제작방법, 소재 및 회화
JP2011183674A (ja) 複製画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80107837A1 (en) Pushpin bulletin board with a textured and embossed surface to look like a framed three-dimensional oil painting
CN220742587U (zh) 自贴工艺贴画
CN202727467U (zh) 一种复合相材
KR100470491B1 (ko) 동양화 복제용 인쇄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284658Y1 (ko) 고해상도의 인쇄면을 갖는 장식용 타일
KR20170136424A (ko) 공예용 금분, 은분을 입체돋움으로 인쇄후 uv자외선에 경화시키는 금분, 은분 인쇄방법
KR20240036174A (ko) 비가열 이미지 전사 코팅 방법
KR20090095872A (ko) 장식용 스티커의 제조방법
CN105128588A (zh) 砂岩画及其制作方法、制作装置
JPH06312570A (ja) 複製日本画の製造方法
ITMI980183A1 (it)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riproduzione di opere pittoriche e prodotti cosi' ottenut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