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8849A -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8849A
KR20100098849A KR1020090017527A KR20090017527A KR20100098849A KR 20100098849 A KR20100098849 A KR 20100098849A KR 1020090017527 A KR1020090017527 A KR 1020090017527A KR 20090017527 A KR20090017527 A KR 20090017527A KR 20100098849 A KR20100098849 A KR 20100098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brake system
filter assembly
bor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4947B1 (ko
Inventor
김용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90017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947B1/ko
Publication of KR20100098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31Pump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18Pump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drive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04B17/03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에 관한 것으로, 구성 부품수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조립과정을 개선할 수 있는 필터조립체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는 모듈레이터블록;과 상기 모듈레이터블록에 형성되는 보어;와 상기 보어에 왕복 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피스톤;과 상기 보어를 상기 피스톤이 위치하는 가압실과 상기 유출구와 연통하여 토출실로 구획하는 플러그;와 상기 피스톤과 함께 상기 보어를 상기 유입구와 연통하는 유입실과 상기 가압실로 구획하고, 상기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필터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PISTON PUMP FOR BRAKE SYSTEM}
본 발명은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 부품수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조립과정을 개선한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장착되는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시스템은 차량의 바퀴측으로 전해지는
제동유압을 단속하여 바퀴의 노면슬립을 방지함으로써 안전한 제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브레이크시스템은 다수개의 솔레노이드밸브와, 오일을 일시 저장하는 저압 어큐뮬레이터 및 고압 어큐뮬레이터와, 저압 어큐뮬레이터에 일시 저장된 오일을 펌핑하기 위한 모터 및 피스톤펌프와, 솔레노이드밸브와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이러한 구성부품들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모듈레이터블록에 컴팩트하게 결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블록 내에 구성된 유압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브레이크시스템의 모듈레이터블록(10)에는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개폐하는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11a,11b)와, 복귀하는 오일을 가압하기 위한 모터(13) 및 피스톤펌프(20)와, 피스톤펌프(20)의 상류측 및 하류측 유로 상에 각각 배치되는 저압 어큐뮬레이터(12) 및 고압 어큐뮬레이터(15)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부품들은 모듈레이터블록(10)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유로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전자제어유닛(미도시)에 의해 각각 동작이 제어되면서 마스터실린더(16)로부터 바퀴측 휠실린더(17)로 전달되는 제동유압을 단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피스톤펌프(20)는 유압라인을 따라 저압 어큐뮬레이터(12) 쪽으로 복귀한 브레이크 오일을 가압하여 바퀴측 휠실린더(17)로 압송시킴으로써 바퀴의 단속적인 제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도 2는 종래 피스톤펌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 피스톤펌프(20)는 모터(13)의 동작에 의해 진퇴하면서 가압실(21)의 오일을 가압하는 피스톤(22)과, 가압실(21)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피스톤(22)의 하류측 단부에 장착되는 유입밸브(23)와, 피스톤(22)의 진퇴에 따른 가압실(21)의 압력 변화에 의해 가압실(21)의 출구를 개폐하는 토출밸브(24)와, 피스톤(22)의 진퇴를 안내하도록 피스톤(22)의 둘레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25)를 포함한다. 그리고, 피스톤(22)의 외부면과 가이드부재(25)의 내부면 사이에는 밀폐를 위한 실링부재(26)가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 피스톤펌프(20)는 피스톤(22)이 가압실(21) 쪽으로 전진하면, 가압실(21) 내의 오일이 가압되고 그 가압력에 의해 토출밸브(24)가 개방되면서 가압실(21)의 오일이 토출구(10a)를 통해 토출된다. 그리고, 피스톤(22)이 가압실(21)에서 후퇴하면 가압실(21)의 압력이 떨어져 유입밸브(24)가 개방되면서 유입구(10b)를 통해 유입되는 오일이 가압실(21)로 유입된다.
본 발명의 일 측은 피스톤을 가이드하는 구조를 개선하여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조립과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는 모듈레이터블록;과 상기 모듈레이터블록에 형성되는 보어;와 상기 보어에 왕복 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피스톤;과 상기 보어를 상기 피스톤이 위치하는 가압실과 상기 유출구와 연통하여 토출실로 구획하는 플러그;와 상기 피스톤과 함께 상기 보어를 상기 유입구와 연통하는 유입실과 상기 가압실로 구획하고, 상기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필터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품은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조립체는 상기 유입실로 유입되는 오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재와, 상기 피스톤의 외면으로 오일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실링부재와, 상기 필터부재와 상기 실링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실링부재의 내구 성을 증가시키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조립체는 상기 피스톤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는 모듈레이터블록;과 상기 모듈레이터블록에 형성되는 보어;와 상기 보어에 왕복 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피스톤;과 상기 보어를 상기 피스톤이 위치하는 가압실과 상기 유출구와 연통하여 토출실로 구획하는 플러그;와 상기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필터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조립체는 내구성이 증가하도록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는 여러 기능을 가지는 필터조립체를 구비함으로써 다른 구성부품을 삭제하거나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터조립체는 하나의 부품으로 취급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립과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조립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는 유입구(31) 및 토출구(32)를 가지는 모듈레이터블록(30)를 구비한다. 또한,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는 모듈레이터블록(30)에 형성되는 보어(33)와, 보어(33)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41)과, 보어(33)를 가압실(35)과 토출실(36)로 구획하는 플러그(47)와, 피스톤(41)과 함께 보어(33)를 가압실(35)과 유입실(34)로 구획하는 필터조립체(60)를 구비한다.
또한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는 플러그(47)에 형성되어 가압실(35)과 토출실(36)을 연통시키는 오리피스(48)를 개폐하는 토출밸브(51)을 구비하고, 피스톤(41)에 형성되어 유입실(34)과 가압실(35)을 연결하는 유로(42)를 개폐하는 유입밸브(43)을 구비한다.
보어(33)는 유입구(31)와 연통하여 오일이 유입되는 유입실(34), 피스톤(41) 작용에 의해 오일이 가압되는 가압실(35), 토출구(32)와 연통하여 오일이 토출되는 토출실(36)로 구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실(34)과 가압실(35)은 피스톤(41) 및 필터조립체(60)에 의해서 구획되고, 가압실(35)과 토출실(36)은 플러그(47)에 의해서 구획된다.
피스톤(41)은 모터(13)(도 1참조)에 구비되는 편심축(14)이 위치하는 편심축 작동실(37)에서 유입실(34) 및 가압실(35)에 이르는 길이를 갖는다. 편심축 작동실(37)과 유입실(34) 사이에는 피스톤(41)의 외면을 따라 오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39)가 구비된다.
또한 피스톤(41)의 유로(42)를 개폐하는 유입밸브(43)는 피스톤(41)의 단부에 접하여 유로(42)를 막는 차폐부재(44)와, 차폐부재(44)를 탄성 지지하는 밸브스프링(45)과, 밸브스프링(45)을 지지하기 위해 피스톤(41)의 단부에 결합되는 리테이너(46)를 포함한다. 차폐부재(44)는 밸브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해 유로(42)를 막고 있다가 가압실(35)에서 오일이 배출되어 가압실(35)의 압력이 떨어지면 유로(42)와 가압실(35)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피스톤(41)의 단부에서 떨어져 유로(42)를 개방시킨다.
플러그(47)는 보어(33)를 가압실(35)과 토출실(36)로 구획한다. 플러그(47)는 가압실(35)과 토출실(36)을 연통시키는 오리피스(48)가 구비하는데, 이 오리피스(48)는 토출실(36)에 설치되는 토출밸브(51)에 의해 개폐된다.
토출밸브(51)는 오리피스(48)를 막는 차폐부재(52)와, 차폐부재(52)를 탄성 지지하는 밸브스프링(53)과, 밸브스프링(53)을 지지하도록 플러그(47)의 단부에 결합되는 리테이너(54)를 포함한다. 차폐부재(52)는 밸브스프링(53)의 탄성력에 의해 오리피스(48)를 막고 있다가 가압실(35)의 오일이 피스톤(41)에 의해 가압될 때 오일의 압력에 의해 밀려 플러그(47)에서 떨어지면서 오리피스(48)를 개방시킨다.
또한, 플러그(47)에는 피스톤(41)을 탄성 지지하는 피스톤스프링(49)이 지지된다. 피스톤스프링(49)은 피스톤(41)을 편심축(14) 쪽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편심축(14)과 함께 피스톤(41)을 왕복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필터조립체(60)는 유입실(34)에 설치되어 유입구(31)를 통해 유입실(34)로 유입되는 오일을 필터링하고, 유입실(34)과 가압실(35) 사이에 피스톤(41) 외면을 따라 오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뿐만 아니라 필터조립체(60)는 피스톤(41)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한다. 즉 필터조립체(60)는 오일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재(61)와, 오일을 실링하는 실링부재(62)와, 필터부재(61)와 실링부재(62) 사이에는 보강플레이트(63)를 구비한다. 또한 이들 필터부재(61), 실링부재(62), 보강플레이트(63)는 피스톤(41)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60a)를 구비한다.
필터부재(61)는 그 둘레에 구비되는 복수의 개구(61a)를 구비하고, 복수의 개구(61a)에는 필터링부재(61b)가 설치되어 복수의 개구(61a)를 통과하는 오일을 필터링한다. 이러한 필터부재(61)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실링부재(62)는 피스톤(41) 외면에 밀착되어 피스톤(41)의 외면을 따라 오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유입실(34)와 가압실(35) 사이에 피스톤(41) 외면을 따라 오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실링부재(62)는 피스톤(41)에 의해서 가압실(35)의 오일이 가압될 때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실링부재(62)는 가압실(35)에 있는 오일의 압력 또는 열에 대한 내구성이 커질수록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그런데 실링부재(62)는 통상 플라스틱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에 한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필터조립체필터조립체(60)는 실링부재(62)의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보강플레이트(63)를 구비한다. 즉 보강플레이트(63)가 실링부재(62)를 지지함으로써 실링부재(62)에 전달되는 압력 또는 열에 대한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보강플레이트(63)를 스틸 재질로 형성하여 실링부재(62)의 내구성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필터조립체(60)를 구성하는 필터부재(61), 실링부재(62), 보강플레이트(63)는 별개의 부품으로 취급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부품을 모듈레이터블록(30)에 조립하기 위하여 필터부재(61)를 조립하고, 이후 보강플레이트(63)를 조립하고, 마지막으로 실링부재(62)를 조립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난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필터조립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조립체(60)는 하나의 부품으로 취급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부품은 모듈레이터블록(30)에 조립되기 전에 필터조립체(60)로서 조립될 수 있다. 결국 필터부재(61), 보강플레이트(63)와 실링부재(62)는 서로 조립되어 필터조립체(60)를 구성하고, 필터조립체(60)는 모듈레이터블록(30)에 조립된다. 이로써 조립과정을 매우 단순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필터조립체(60) 이외에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트을 구성하는 다른 구성요소는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피스톤(41)이 편심축(14)에 의해 전진하여 가압실(35)을 압축하면 가압실(35)의 오일이 가압되면서, 오일의 가압력에 의해 토출밸브(51)의 차폐부재(52)가 플러그(47)에서 떨어져 오리피스(48)가 개방된다. 이때 가압실(35)의 오일은 토 출실(36)을 거쳐 토출구(32)로 토출된다.
편심축(14)이 피스톤(41)에서 멀어지면 피스톤(41)은 피스톤스프링(4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편심축작동실(37) 쪽으로 후퇴한다. 이때, 가압실(35)은 팽창하기 때문에 가압실(35)의 압력이 유로(42)의 압력보다 낮아진다. 압력차에 의하여 밸브(43)의 차폐부재(44)가 피스톤(41)으로부터 떨어지고, 이때 유로(42)와 가압실(35)은 연통되어 오일이 유로(42)에서 가압실(35)로 공급된다.
이후 유로(42)에서 빠져나간 오일만큼 유입실(34)에서 새롭게 유입되어 이를 보상한다. 이때 유로(42)에 새롭게 유입되는 오일은 필터조립체(60)의 필터부재(61)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브레이크시스템용 피스톤펌프의 필터조립체(60)는 오일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고, 피스톤(41)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고, 피스톤(41)의 외면을 실링하는 실링부재의 기능을 갖는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는 필터조립체(60)를 구비함으로서 피스톤(41)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불필요한 종래 구성부품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블록 내에 구성된 유압회로도이다.
도 2는 종래 피스톤펌프(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조립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난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필터조립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모듈레이터블록 33: 보어
41: 피스톤 47: 플러그
60: 필터조립체 63: 플레이트

Claims (6)

  1.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는 모듈레이터블록;과
    상기 모듈레이터블록에 형성되는 보어;와
    상기 보어에 왕복 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피스톤;과
    상기 보어를 상기 피스톤이 위치하는 가압실과 상기 유출구와 연통하여 토출실로 구획하는 플러그;와
    상기 피스톤과 함께 상기 보어를 상기 유입구와 연통하는 유입실과 상기 가압실로 구획하고, 상기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필터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품은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조립체는 상기 유입실로 유입되는 오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재와, 상기 피스톤의 외면으로 오일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실링부재와, 상기 필터부재와 상기 실링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실링부재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조립체는 상기 피스톤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
  6.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는 모듈레이터블록;과
    상기 모듈레이터블록에 형성되는 보어;와
    상기 보어에 왕복 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피스톤;과
    상기 보어를 상기 피스톤이 위치하는 가압실과 상기 유출구와 연통하여 토출실로 구획하는 플러그;와
    상기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필터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조립체는 내구성이 증가하도록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
KR1020090017527A 2009-03-02 2009-03-02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 KR101024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527A KR101024947B1 (ko) 2009-03-02 2009-03-02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527A KR101024947B1 (ko) 2009-03-02 2009-03-02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849A true KR20100098849A (ko) 2010-09-10
KR101024947B1 KR101024947B1 (ko) 2011-03-31

Family

ID=43005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527A KR101024947B1 (ko) 2009-03-02 2009-03-02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9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1377A (ko) * 2011-11-09 2013-05-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체크밸브 기능을 갖는 피스톤펌프
KR20180038748A (ko) * 2016-10-07 2018-04-17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 펌프
KR101953890B1 (ko) * 2018-12-06 2019-03-04 선재홍 역류방지 기능이 구비된 esc용 피스톤 펌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1283A (ja) * 1997-07-30 2001-01-30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ピストンポンプ
DE19800500A1 (de) 1998-01-09 1999-07-15 Bosch Gmbh Robert Kolbenpumpe
KR100504278B1 (ko) * 2002-12-16 2005-07-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안티로크 브레이크용 유압 펌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1377A (ko) * 2011-11-09 2013-05-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체크밸브 기능을 갖는 피스톤펌프
KR20180038748A (ko) * 2016-10-07 2018-04-17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 펌프
KR101953890B1 (ko) * 2018-12-06 2019-03-04 선재홍 역류방지 기능이 구비된 esc용 피스톤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4947B1 (ko) 201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297B1 (ko) 브레이크시스템용 유압펌프
KR101402711B1 (ko)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펌프
CN101328871B (zh) 活塞泵
US20110099995A1 (en) Piston pump of a hydraulic vehicle brake system
US10011254B2 (en) Pulsation damping device of hydraulic brake system
KR20170040497A (ko)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KR101024947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
KR101415940B1 (ko)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펌프
KR20170137286A (ko)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의 맥동 저감 장치
KR101782777B1 (ko) 피스톤 펌프용 밸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 유닛
CN107448602B (zh) 制动系统用泵的活塞制造方法及具有活塞的制动系统用泵
KR100888184B1 (ko)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
KR101982272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
KR101429538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 유닛
KR20100092761A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펌프
KR20130112377A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의 피스톤 및 이를 구비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
KR102413429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피스톤 펌프
KR101402708B1 (ko)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펌프
KR20110125289A (ko)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펌프
KR20120106220A (ko) 피스톤 펌프용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 유닛
KR101021515B1 (ko) 브레이크 시스템의 펌프
KR101021528B1 (ko) 브레이크 시스템의 펌프
KR20110125132A (ko)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펌프
KR101937465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 유닛
KR101979414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오리피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