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8791A - 코팅장갑의 잔액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코팅장갑의 잔액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8791A
KR20100098791A KR1020090017456A KR20090017456A KR20100098791A KR 20100098791 A KR20100098791 A KR 20100098791A KR 1020090017456 A KR1020090017456 A KR 1020090017456A KR 20090017456 A KR20090017456 A KR 20090017456A KR 20100098791 A KR20100098791 A KR 20100098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fluid
coating
spraying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춘
Original Assignee
(주)신성메이저글러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성메이저글러브 filed Critical (주)신성메이저글러브
Priority to KR1020090017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8791A/ko
Publication of KR20100098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7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36Successively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e.g. without intermediate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07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02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acromolecular substances, e.g. rubber
    • B05D7/0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acromolecular substances, e.g. rubber to surfaces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6Three layers or more
    • B05D7/58No clear coat specifi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갑의 표면에 합성수지 코팅층을 형성할 때 코팅층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코팅층에 미세한 통기공이 형성되도록 한 코팅장갑의 코팅층 잔액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직물재 장갑의 표면에 합성수지 코팅액을 도포한 후 과량의 액상의 코팅액이 흘러내리도록 하는 잔액처리 방법에 있어서, 장갑의 표면에 액상의 코팅액을 도포한 후 그 표면에 유체를 분무하여 그 압력에 의해 상기 코팅액이 균일한 두께를 갖도록 하는 유체분무단계를 거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코팅층이 직물지의 표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균일한 높이를 갖게 되어 장갑의 신축성 및 착용감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직물의 결 사이로 미세한 통기공을 갖게 되어 장갑의 통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코팅장갑, 잔액처리, 코팅액, 압력, 분무

Description

코팅장갑의 잔액처리 방법 및 장치{excess of coating fluid remo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ated glove}
본 발명은 코팅장갑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갑의 표면에 합성수지 코팅층을 형성할 때 코팅층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코팅층에 미세한 통기공이 형성되도록 한 코팅장갑의 코팅층 잔액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팅장갑은 직물재로 직조된 장갑의 표면에 고무나 실리콘 등의 합성수지 코팅액을 도포하여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피부와 맞닿는 면이 직물재로 형성되어 착용감이 우수하면서 직물재 장갑보다 마찰력이 높아 물건을 잡을 때 파지력이 우수해질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손을 보호하는 능력이 우수해짐에 따라 각종 산업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코팅장갑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도 1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장갑 덧씌우기 단계(S1), 응고액 침전 단계(S2), 1차건조 단계(S3), 코팅 단계(S4), 잔액처리 단계(S5), 2차건조 단계(S6), 세척 단계(S7), 3차건조 단계(S8)를 거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장갑 덧씌우기 단계(S1)는 직물재로 직조된 통상의 장갑을 손 형상의 장갑몰드에 덧씌우는 것으로서, 장갑몰드에 장갑이 덧씌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연속적인 이송 자동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응고액 침전 단계(S2)는 장갑몰드에 덧씌워진 장갑을 유체와 응고제가 뒤섞인 응고액에 담궈 응고액이 장갑에 흡수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장갑몰드를 응고액이 담겨진 탱크에 담겨진 상태로 통과되도록 함으로써, 응고액이 장갑에 흡수도도록 한다.
상기 1차건조 단계(S3)는 응고액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로서 약 50℃의 열풍을 장갑에 공급하여 장갑이 건조되도록 함으로서, 장갑에 응고제만 남도록 하며, 이후 코팅 단계(S4)에서는 장갑몰드가 액상의 고무나 실리콘 등의 합성수지 코팅액이 담겨진 탱크에 담겨진 상태로 통과되도록 함으로서, 장갑의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잔액처리 단계(S5)는 직물재 장갑의 표면에 액상의 코팅층이 도포된 후 과도한 양의 코팅액이 흘러내리도록 하여 코팅층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장갑몰드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일정 시간동안 유지시켜 중력에 의해 코팅액이 흘러내림과 동시에 코팅층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얇아지도록 함과 동시에 코팅층의 표면이 균일해지도록 한다.
상기 2차건조 단계(S6)는 실온 또는 저온 환경 하에서 상술한 코팅액이 건조 및 응고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장갑몰드를 회전 또는 스윙운동시켜 원활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저온 열풍건조에 의한 코팅액의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 세척 단계(S7)는 직물재 장갑에 함유된 응고제를 제거하는 단계로서, 다단계로 반복 세척하여 응고제가 장갑에서 완전히 제거되도록 하며, 상기 3차건조 단계(S8)에서 최종적으로 장갑을 완전히 건조시켜 코팅장갑의 완제품이 생산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상술한 잔액처리 단계(S5)에서는 중력에 의해 과량 도포된 코팅액이 흘러내리도록 하고 있는데, 이때, 장갑 표면에서 코팅액의 응고 속도가 상이하게 분포되는 경우 장갑 표면에서 코팅층의 두께가 불균일하게 형성되는 경우도 있었고, 장갑의 손가락 끝 부분에 흘러내린 코팅액이 집중되면서 손가락 끝부분의 코팅층의 두께가 손바닥 부분 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직물재로 형성된 장갑의 표면에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코팅층이 도포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코팅층의 두께가 불균일하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에 의해 장갑을 착용할 때 장갑이 뻣뻣해져 착용감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코팅층의 표면이 균일한 상태로 형성되어 마찰력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코팅장갑의 코팅재에는 액체 상태에서 기포를 포함하도록 하여 기포에 의해 코팅층에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는데, 이때 장갑의 표면에 두꺼운 코팅층이 통기공을 차단함에 따라 통기성에 한계를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장갑의 표면에 합성수지 코팅층을 형성할 때 코팅층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코팅층 통기성이 증대되도록 한 코팅장갑의 코팅층 잔액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갑의 표면 전체에 동시에 일정한 양의 유체가 분무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코팅층의 두께가 균일하게 조절된 후 코팅층이 신속하게 응고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코팅액이 직물재와 견고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유체의 분무 압력에 의해 과도하게 씻겨나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 공급 및 이송되는 장갑의 표면에 지속적으로 유체를 분무하여 코팅층이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도록 한 코팅장갑의 코팅층 잔액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연속 이송되는 장갑 코팅층의 표면에 지속적인 유체의 분무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에 의해 코팅액이 더욱 신속하고 원활하게 하방으로 흘러내리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갑의 전체 표면에 동시에 유체가 균일하게 분무되 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 이송되는 장갑의 표면에 유체의 분무 시간이 더욱 증대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갑의 크기에 따라 유체가 분무되는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코팅장갑의 손가락 끝부분의 전면과 후면에 동시에 코팅액이 도포된 경우에도 전체적인 코팅층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직물재 장갑의 표면에 합성수지 코팅층을 도포한 후 과량의 액상의 코팅액이 흘러내리도록 하는 잔액처리 방법에 있어서, 장갑의 표면에 액상의 코팅액을 도포한 후 그 표면에 유체를 분무하여 상기 코팅액이 균일한 두께를 갖도록 하는 유체분무단계를 거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체분무단계;는 상기 장갑을 지면과 수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표면에 상,하 다단으로 분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체분무단계;는 상기 장갑의 표면에 유체를 분무하는 1차분무단계와, 상기 1차분무단계를 거친 후 유체와 응고제가 혼합된 액제를 분무하는 2차분무단계와, 상기 2차분무단계를 거친 후 응고제가 세척되도록 유체를 분무하는 3차 분무단계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체분무단계가 수행되기 전에 상기 장갑몰드를 지면과 수직으로 세워 상기 코팅액이 하방으로 흘러내림과 동시에 1차적인 응고 및 함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코팅액 함침단계를 더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직물재의 장갑의 표면에 액상의 코팅액이 도포된 후 과량의 코팅액을 제거하는 코팅장갑의 코팅층 잔액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의 표면에 유체를 분무하여 압력에 의해 상기 코팅층이 균일한 두께를 갖도록 하는 유체분무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체분무수단;은 코팅액이 도포된 직물재 장갑이 덧씌워지는 장갑몰드의 일측에 배치되는 유체공급관과, 상기 유체공급관에 결합되어 상기 장갑의 일측 표면에 유체를 분무하는 분무노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무노즐은, 상기 장갑의 표면으로 하향 경사지게 유체를 분무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체공급관은 상기 장갑몰드의 일측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분무노즐은 장갑의 상,중,하부측에 동시에 유체를 분무하도록 상기 유체공급관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체공급관은 상기 장갑몰드의 이동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유체공급관을 일체로 고정하는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이 상,하로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작동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무노즐의 반대 측으로 이격되어 대향 배치되고, 상기 장갑의 반대 측 하부측에 하향 경사지게 유체를 분무하는 보조분부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장갑의 표면에 합성수지 코팅층을 형성할 때 코팅층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코팅층에 통기성이 증대되도록 한 코팅장갑의 코팅층 잔액처리 방법을 제공함으로서, 코팅층이 직물지의 표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균일한 높이를 갖게 되어 장갑의 신축성 및 착용감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코팅액에 포함된 기포가 더욱 많은 수의 통기공을 형성하게 되어 장갑의 통기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를 상,하 다단으로 분무하여 장갑의 표면 전체에 동시에 일정한 양의 유체가 분무되도록 함으로서, 코팅액이 하부측으로 흘러내리는 도중에 응고되어 장갑의 상부측과 하부측의 두께가 상이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분무단계가 유체분무와 응고제분무 및 유체분무의 3단계를 거치도록 하여 코팅층의 두께가 균일하게 조절된 후 코팅층이 신속하게 응고되도록 함으로서, 유체의 분무에 의해 코팅액의 두께가 균일해진 후 다시 코팅액이 흘러내려 두께 분포가 불균일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코팅액 함침단계를 거치도록 하여 코팅액이 직물재와 견고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유체의 압력에 의해 과도하게 씻겨나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서, 코팅액이 응고된 후 장갑에서 떨어져 나오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코팅 층의 두께가 과도하게 얇아서 코팅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잔액처리 장치에 유체분무수단을 구비하여 연속 공급 및 이송되는 장갑의 표면에 지속적으로 유체를 분무하여 코팅층이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도록 한 코팅장갑의 코팅층 잔액처리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코팅층이 직물지의 표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균일한 높이를 갖게 되어 장갑의 신축성 및 착용감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직물의 결 사이로 미세한 통기공을 갖게 되어 장갑의 통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분무수단이 유체공급관과 분무노즐의 간단한 구성으로 연속 이송되는 장갑 코팅층의 표면에 지속적인 유체의 분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제작 및 유지 보수가 간편하면서도 다수의 장갑에 상시 일정한 양 및 압력의 유체를 분무할 수 있게 되어 장갑의 품질이 균일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분무노즐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여 압력에 의해 코팅액이 더욱 신속하고 원활하게 하방으로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서, 잔액 처리 작업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분무노즐이 상,하로 다수개가 형성되도록 하여 장갑의 전체 표면에 동시에 유체가 균일하게 분무되도록 함으로서, 코팅층의 전체적인 두께가 균일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공급관이 다수개가 배치되도록 하여 연속 이송되는 장갑의 표면에 유체 분무 시간이 더욱 증대되도록 함으로서, 장갑몰드가 빠른 속도로 이동될 때에도 원활한 잔액 제거가 가능해져 코팅장갑의 생산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작동부를 구비하여 장갑의 크기에 따라 유체가 분무되는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잔액 처리 장치로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장갑 코팅층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분무부를 구비하여 코팅장갑의 손가락 끝부분의 전면과 후면에 동시에 코팅액이 도포된 경우에도 전체적인 코팅층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코팅장갑의 코팅 품질이 더욱 향상됨과 동시에 착용감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팅층 잔액처리 방법을 보인 블럭도로서, 코팅장갑의 제조공정 중 특히 장갑의 표면에서 과도한 두께로 도포된 코팅액이 흘러내리도록 하는 잔액처리 과정(S5)에서 장갑의 표면에 유체를 분무하는 유체분무단계(S51)를 거치도록 하여 코팅층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짐과 동시에 코팅층이 표면이 직물재를 따라 울퉁불퉁한 엠보싱 면을 갖도록 하여 마찰력이 향상되고, 코팅액에 포함된 기포가 더욱 많은 수의 통기공을 형성하게 되어 장갑의 통기성이 더욱 향상도록 한 것이다.
상기 유체분무단계(S51)는 액상의 코팅액이 도포된 장갑의 표면에 액체나 기 체 등으로 형성된 통상의 유체를 분무하는 것으로서, 유체가 분무될 때의 압력에 의해 코팅층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될 뿐만 아니라, 과량의 코팅액이 신속하게 흘러내리고, 직물재 장갑의 틈 사이로 코팅액이 신속하게 함침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유체분무단계(S51)는 장갑의 코팅층 전체가 균일한 두께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장갑 표면을 따라 상,하 다단으로 동시에 유체를 분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코팅액이 신속하게 흘러내리도록 하기 위하여 코팅액의 표면에 유체를 하향 경사지게 분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유체분무단계(S51)는 코팅액이 도포된 장갑의 표면에 단순히 유체가 분무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나, 더욱 균일하면서도 최적의 두께를 갖는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장갑의 표면에 1차적으로 유체를 분무하여 코팅층의 두께를 조절하는 1차 분무단계(S511)와, 응고제와 수용액이 섞인 응고액을 코팅층의 표면에 분무하여 코팅액이 신속하게 응고되도록 하는 2차 분무단계(S512) 및 코팅액의 표면에 도포된 응고액이 제거되도록 유체를 분무하는 3차 분무단계(S513)를 순차적으로 거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체분무단계(S51)를 거치기 전에는 추가적인 가공을 가하지 않고, 약 30초 가량 코팅액이 중력에 의해 흘러내림과 동시에 직물재에 코팅액이 함침되면서 1차적인 응고가 이루어지는 코팅액 함침단계(S52)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코팅층과 장갑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됨과 동시에 코팅층이 더욱 최적의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보인 요부의 측면도로서,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잔액처리 장치는 직물재 장갑(2)의 표면에 통상의 액상 코팅액(3)이 도포되도록 한 후, 장갑몰드(1)가 지면과 수직으로 세워져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상태에서 코팅액(3)이 압력에 의해 강제로 흘러내리도록 한 유체분무수단(10)을 구비하여 코팅층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유체분무수단(10)은 장갑몰드(1)가 이동되는 경로의 일측에 배치되어 코팅액(3)이 도포된 장갑(2)의 표면에 지속적으로 기체나 액체 등의 유체를 분무하는 것으로서, 수직으로 고정되어 유체가 공급되는 유체공급관(11)과, 상기 유체공급관(11)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장갑(2)의 일측 표면에 유체를 분무하는 분무노즐(12)로 구성된다.
상기 유체공급관(11)은 유체가 장갑(2)의 표면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유체가 공급되는 통상의 배관 및 펌프 등과 연결되고, 강성을 갖는 금속봉재 등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장갑몰드(1)의 이동경로 상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무노즐(12)은 상기 유체공급관(11)의 외측에 결합되어 장갑(2)의 표면에 도포된 코팅액(3)에 유체를 분무하는 것으로서, 유체가 일정 면적에 균일하게 분무되는 통상의 분무노즐(12)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코팅장갑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코팅액(3)이 장갑(2)의 표면에 도포되도록 한 후 장갑몰드(1)를 유체분무수단(10)의 일측으로 통과시키면 다수의 장갑몰드(1)가 순차적으로 유체분무수단(10)을 통과하면서 장갑(2)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의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압력에 의해 직물재 장갑(2)의 결을 따라 코팅층의 표면 또한 울퉁불퉁한 엠보싱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코팅 장갑(2)의 착용감 및 마찰력이 더욱 향상되고, 압력에 의해 코팅층에 미세한 통기공이 형성되어 더욱 쾌적한 착용감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술한 분무노즐(12)은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하여 장갑(2) 표면에 유체가 하향 경사지게 분무되도록 함으로써, 압력에 의해 코팅액(3)이 더욱 신속하고 원활하게 흘러내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갑몰드(1)의 이동경로의 하부측에는 장갑(2)에서 흘러내린 유체와 코팅액(3)이 배출되는 배수로(미도시)를 형성하여 작업환경이 더욱 청결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인 요부의 측면도로서,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되, 본 실시예에서의 분무노즐(12a)(12b)(12c)은 도시된 것과 같이 장갑(2)의 상,중,하 전체 표면에 균일하게 유체를 분무하도록 물공급관(11)을 따라 상,하로 다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코팅액(3)이 도포된 장갑(2)의 전체 표면에 동시에 균일게 유체가 분무되도록 함으로서, 코팅층의 두께가 더욱 균일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코팅액(3)이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응고되어 코팅층의 두께가 불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보인 요부의 정면도로서,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2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되, 다수의 분무노즐(12a)(12b)(12c)이 구비된 유체공급관(11a)(11b)(11c)이 장갑몰드(1)의 이송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배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장갑(2)의 표면에 유체 분무 시간이 더욱 증대되어, 장갑몰드(1)가 빠른 속도로 이동될 때에도 원활한 잔액 제거가 가능해져 코팅장갑의 생산성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다수의 유체공급관(11a)(11b)(11c)은 별도의 프레임(13)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여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프레임(13)이 통상의 금속재 파이프 등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프레임(13)의 내측을 통해 다수의 유체공급관(11a)(11b)(11c)으로 원활하게 유체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보인 요부의 정면도로서,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3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되, 상술한 프레임(13)의 하부측으로는 장갑(2)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상기 프레임(13)이 상,하로 이동되면서 유체의 분무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승강작동부(20)가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승강작동부(20)는 프레임(13)이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간편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통상의 구동모터(21)에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프레임(13)의 높이를 조절하는 나선축(22)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통상의 실린더 등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보인 요부의 측면도로서,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되, 상술한 분무노즐(12)(12a)(12b)(12c)의 반대 측으로는 장갑(2)의 반대측 하부에 하향 경사지게 유체를 분무하는 보조분무부(30)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보조분무부(30)는 상술한 분무노즐(12)(12a)(12b)(12c)과 동일한 형태의 분무노즐(31)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적으로 코팅장갑의 손가락 끝단에는 전면과 후면에 동시에 코팅층이 형성됨에 따라, 손가락 끝단부의 코팅층의 두께를 더욱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코팅장갑의 착용감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분무부(30)는 장갑(2)의 손바닥과 손등 부분이 동시에 코팅될 경우에는 장갑(2)의 손등 부분으로 유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분무노즐(31)이 다수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도 1은 종래의 코팅장갑의 제조공정을 보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팅층 잔액처리 방법을 보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보인 요부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인 요부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보인 요부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보인 요부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보인 요부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갑몰드 2 : 장갑
3 : 코팅액
10 : 유체분무수단
11, 11a, 11b, 11c : 유체공급관
12, 12a, 12b, 12c : 분무노즐
13 : 프레임
20 : 승강작동부
21 : 구동모터 22 : 나선축
30 : 보조분무부
31 : 분무노즐

Claims (11)

  1. 직물재 장갑의 표면에 합성수지 코팅액을 도포한 후 과량의 액상의 코팅액이 흘러내리도록 하는 잔액처리 방법에 있어서,
    장갑의 표면에 액상의 코팅액을 도포한 후 그 표면에 유체를 분무하여 압력에 의해 상기 코팅액이 균일한 두께를 갖도록 하는 유체분무단계를 거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장갑의 코팅층 잔액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분무단계;는
    상기 장갑을 지면과 수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표면에 상,하 다단으로 분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장갑의 코팅층 잔액처리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분무단계;는
    상기 장갑의 표면에 유체를 분무하는 1차분무단계와,
    상기 1차분무단계를 거친 후 유체와 응고제가 혼합된 액제를 분무하는 2차분무단계와,
    상기 2차분무단계를 거친 후 응고제가 세척되도록 유체를 분무하는 3차 분무단계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장갑의 코팅층 잔액처리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분무단계가 수행되기 전에 장갑이 덧씌워진 장갑몰드를 지면과 수직으로 세워 상기 코팅액이 하방으로 흘러내림과 동시에 1차적인 응고 및 함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코팅액 함침단계를 더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장갑의 코팅층 잔액처리 방법.
  5. 직물재의 장갑의 표면에 액상의 코팅액이 도포된 후 과량의 코팅액을 제거하는 코팅장갑의 코팅층 잔액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의 표면에 유체를 분무하여 압력에 의해 상기 코팅층이 균일한 두께를 갖도록 하는 유체분무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장갑의 코팅층 잔액처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분무수단;은
    코팅액이 도포된 직물재 장갑이 덧씌워지는 장갑몰드의 일측에 배치되는 유체공급관과,
    상기 유체공급관에 결합되어 상기 장갑의 일측 표면에 유체를 분무하는 분무노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장갑의 코팅층 잔액처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노즐은,
    상기 장갑의 표면으로 하향 경사지게 유체를 분무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장갑의 코팅층 잔액처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관은 상기 장갑몰드의 일측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분무노즐은 장갑의 상,중,하부측에 동시에 유체를 분무하도록 상기 유체공급관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장갑의 코팅층 잔액처리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관은 상기 장갑몰드의 이동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장갑의 코팅층 잔액처리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유체공급관을 일체로 고정하는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이 상,하로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작동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장갑의 코팅층 잔액처리 장치.
  11. 제 5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노즐의 반대 측으로 이격되어 대향 배치되고, 상기 장갑의 반대 측 하부측에 하향 경사지게 유체를 분무하는 보조분무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장갑의 코팅층 잔액처리 장치.
KR1020090017456A 2009-03-02 2009-03-02 코팅장갑의 잔액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000987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456A KR20100098791A (ko) 2009-03-02 2009-03-02 코팅장갑의 잔액처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456A KR20100098791A (ko) 2009-03-02 2009-03-02 코팅장갑의 잔액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791A true KR20100098791A (ko) 2010-09-10

Family

ID=43005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456A KR20100098791A (ko) 2009-03-02 2009-03-02 코팅장갑의 잔액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879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9503A (zh) * 2020-01-16 2020-06-05 胡红伟 一种用于塑胶件喷涂的治具
CN115179479A (zh) * 2022-08-08 2022-10-14 浙江德彦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硅胶手套的制作工艺
CN117101897A (zh) * 2023-10-24 2023-11-24 江苏瑞斯达安全防护用品有限公司 一种防护手套用pva喷淋涂层设备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9503A (zh) * 2020-01-16 2020-06-05 胡红伟 一种用于塑胶件喷涂的治具
CN115179479A (zh) * 2022-08-08 2022-10-14 浙江德彦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硅胶手套的制作工艺
CN115179479B (zh) * 2022-08-08 2023-03-28 浙江德彦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硅胶手套的制作工艺
CN117101897A (zh) * 2023-10-24 2023-11-24 江苏瑞斯达安全防护用品有限公司 一种防护手套用pva喷淋涂层设备
CN117101897B (zh) * 2023-10-24 2024-01-26 江苏瑞斯达安全防护用品有限公司 一种防护手套用pva喷淋涂层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9155B1 (ko) 의류용 고분자 물질
CN101155677B (zh) 制造可延展制品的方法及设备
KR101818781B1 (ko) 보호 의복 및 보호 의복용 물질
JP6473478B2 (ja) シリコーンゴム手袋の製造方法
KR20100098791A (ko) 코팅장갑의 잔액처리 방법 및 장치
CN205291505U (zh) 一种注塑模具的冷却和吹水装置
RU268408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питки изделий
KR101672361B1 (ko) 의류 제작방법
CN105926305B (zh) 人造革合成革辊涂擦拭机
TWI548707B (zh) 具有耐雨淋高透濕撥水防水加工方法
KR101194275B1 (ko) 픽업 조절 롤러가 부착된 저픽업 섬유가공장치
CN104562520B (zh) 一种纤维的后整理设备
CN205821698U (zh) 符合人体结构的多喷头高压喷雾装置
US3357848A (en) Flocking method and machine
KR102561013B1 (ko) 사출식 코팅장갑 제조장치 및 방법
CN207042733U (zh) 涂布机涂布装置
CN109624363A (zh) 一种耐磨型篮球外层材料制备工艺
CN205741722U (zh) 人造革合成革辊涂擦拭机
JP2021027107A5 (ko)
RU18574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питки изделий
CN210916714U (zh) 一种服装加工用熨烫台
CN208991725U (zh) 一种压铸机自动喷涂装置
KR200488099Y1 (ko) NBR폼 코팅 장갑에서 응고되지 않은 NBR폼(Foam) 코팅액과 잔류 응고제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수조
KR20160064596A (ko) 기능성 섬유가공을 위한 초음파분무 코팅시스템
KR20100048561A (ko) 공기분사장치가 부착된 저경도 고무 맹글을 이용한 직편성물의 편면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