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8269A - 방광과체질인의 변비개선용 천연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방광과체질인의 변비개선용 천연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8269A
KR20100098269A KR1020090073751A KR20090073751A KR20100098269A KR 20100098269 A KR20100098269 A KR 20100098269A KR 1020090073751 A KR1020090073751 A KR 1020090073751A KR 20090073751 A KR20090073751 A KR 20090073751A KR 20100098269 A KR20100098269 A KR 20100098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ipation
powder
constitution
peopl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보미
Original Assignee
심보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보미 filed Critical 심보미
Publication of KR20100098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26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8Plantaginaceae (Plantain Fami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위장의 기능에 비하여 방광과 대장의 기능이 상대적으로 약한 체질인들 (이하 방광과체질인이라고 한다)의 변비개선을 위한 천연식품 조성물 및 방광과 대장의 기능에 비하여 위장의 기능이 상대적으로 약한 체질인들 (이하 위과체질인이라고 한다)의 변비개선을 위한 천연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전자는 차전자피분말 4~56 중량%, 양배추분말 15~35 중량%, 사과분말 7~13 중량%, 보리분말 7~13 중량%, 배 분말 15~35 중량%를 혼합한 분말 또는 그 과립으로 구성되며, 후자는 차전자피분말 18~54 중량%, 양배추분말 30~50 중량%, 사과분말 15~25 중량%, 민들레분말 1~7 중량%를 혼합한 분말 또는 그 과립으로 구성된다.
방광과체질인, 위과체질인, 변비, 천연식품

Description

체질에 따라 다른 변비개선용 천연식품 조성물{NATURAL FOOD COMPOSITION PRESCRIBED BASED ON PATIENT'S PHYSICAL CONSTITUTION}
본 발명은 변비예방 및 치료용의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소화흡수에 관여하는 장기들의 기능에 따라 변비환자의 체질을 두 종류로 분류하고, 각 체질에 따라 다르게 만들어짐으로써 변비개선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변비예방 및 치료용의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고칼로리의 지방질 식품의 섭취는 늘고 저칼로리의 섬유질식품이 줄어 변비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변비의 증상으로는 대변의 양이나 횟수가 줄어들고, 변이 굳어져 배변이 곤란하며 대변을 볼 때 힘들어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섭취된 음식은 대개 12시간이 지난 후에 배변으로 배설되지만, 배변의 양 및 횟수는 섭취된 음식물 중의 섬유질 함량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섭취할 경우, 섬유질은 장 내에서 소화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액체를 흡수하여 부피가 증가됨으로써 배설물의 양을 늘리고 또한 배설물의 형태도 부드럽게 된다. 이 경우 장기는 배설에 필요한 적당한 자극을 받아 손쉽게 배변이 이루어진 다.
배변활동은 소화기관을 구성하는 장기들의 활동성 여부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장기들 중에서도 위장, 방광, 및 대장의 활동이 배변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바, 그 운동이 너무 둔감해지거나 너무 민감해지면 변비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위장의 기능은 원활한대 비하여 방광과 대장의 활동이 둔감해짐에 따라 변비증상이 심해지는 경우는 신체대사과정이 느린 비만증 체질의 사람에게 자주 일어나며, 그 반대로 위장의 기능이 약해지고 방광과 대장의 활동이 민감해짐에 따라 변비증상이 심해지는 경우는 변비와 설사가 번갈아 찾아오는 마른 체질의 사람들에게 자주 일어난다.
현재 이러한 변비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능성 식품들과 약품들이 시판되고 있으나, 다양한 양상의 변비 발생 원인을 구분하지 않고 변비환자들에게 일률적으로 처방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단순한 식이섬유의 보충은 변의 양을 늘리고, 장의 활동을 촉진시켜 변비증상을 일시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나, 변비환자의 체질에 따라 변비를 초래한 생리적인 불균형을 원천적으로 교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장의 운동을 일시적으로 증가시켜주는 약물의 경우 인위적인 장운동을 유발시킴으로써 변비증상을 즉각적으로 개선할 여지는 있으나, 약물의 반복사용에 따라 생리활동에 따라 일어나는 원천적인 장운동을 위축시킴으로써 더욱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장의 활동에 비하여 방광과 대장의 활동이 둔감한 체질의 사람, 그리고 위장의 활동에 비하여 방광과 대장의 활동이 민감한 체질의 사람들이 그 체질에 따라 효과적으로 변비를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도록, 그 체질별로 각각 다른 변비예방 및 치료용의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위장의 기능에 비하여 방광과 대장의 기능이 상대적으로 약한 체질인들 (이하 방광과체질인이라고 한다)의 변비개선을 위한 것으로서, 차전자피분말 4~56 중량%, 양배추분말 15~35 중량%, 사과분말 7~13 중량%, 보리분말 7~13 중량%, 배 분말 15~35 중량%를 혼합한 분말 또는 그 과립임을 특징으로 하는 변비개선용 천연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방광과 대장의 기능에 비하여 위장의 기능이 상대적으로 약한 체질인들 (이하 위과체질인이라고 한다)의 변비개선을 위한 것으로서, 차전자피분말 18~54 중량%, 양배추분말 30~50 중량%, 사과분말 15~25 중량%, 민들레분말 1~7 중량%를 혼합한 분말 또는 그 과립임을 특징으로 하는 변비개선용 천연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인체 장기의 활동에 따른 기능을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하면, 위과체질인 사람은 위장의 이상에 의하여 변비가 생기고, 방광과체질인 사람은 방광과 대장의 이상에 의하여 변비가 생기는 원인을 알게 되었으며, 이들 두 가지 부류의 변비 환자들을 대상으로 각각 체질에 맞게 자연친화적인 건강식품 조성물을 복용케 하여, 지속적인 관찰을 한 결과 거의 모든 사람들의 위장을 편안하게 하고, 대장의 연동 운동을 촉진시켜 쾌적의 배변활동이 이루어지며, 부작용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피시험자의 복용 및 설문지의 내용으로 입증이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변비개선용 건강식품은 소화 및 배변에 관여하는 장기들의 상대적인 활성에 따라 사람의 체질을 두 가지로 분류하고 그 각각의 체질에 알맞은 변비예방 및 치료용의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사람의 건강에 도움이 되는 식품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사람의 체질이 위장에 대비한 방광과 대장의 생리기능의 상대적 활성에 따라 크게 2종류로 분류하여 각각의 체질별에 따라 식이요법을 시행할 경우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이를 책자로 발행하였다. ("건강을 위하여", 삼보정사 발행, 2008년 3월 3일)
이에 따르면, 사람의 개별적 체질에 따라, 방광과 대장의 활동이 위장의 활동보다 약한 경우가 있으며, 그 반대인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자에 속하는 사람들을 방광과체질인으로, 그리고 후자에 속하는 사람들을 위과체질인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이러한 정의에 따라 변비환자들을 두 가지 체질군으로 분류하고 그 체질군에 따라 변비개선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을 각각 개발하게 되었다.
방광과체질인은 대체로 뚱뚱한 체형을 가진 사람에 해당한다. 이 체질에 해당하는 사람은 방광 및 대장의 활동이 위장의 활동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약하고, 신체대사기능이 느리므로 조금만 먹어도 살이 찌기 쉬운 체질이며, 방광 및 대장이 약해서 병이 오기 쉬운 체질이다. 따라서 방광과체질인이 변비증상을 일으킬 경우 방광 및 대장의 활동을 보다 강화시켜주는 기능을 가진 건강식품을 섭취함으로써 그 증상을 경감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에 반하여, 위과체질인은 대체로 마른 체형을 가진 사람에 해당한다. 이 체질에 해당하는 사람은 위장의 활동이 방광 및 대장의 활동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약한 반면 신체대사기능이 활발하므로 많이 먹어도 살이 찌기 어려운 체질이며, 위장이 약해서 병이 오기 쉬운 체질이다. 따라서 위과체질인이 변비증상을 일으킬 경우 위장의 활동을 보다 강화시켜주는 기능을 가진 건강식품을 섭취함으로써 그 증상을 경감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사람의 체질을 구분하는 방법으로는 식품의 섭취에 따른 신체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방광과체질인은 냉면과 같은 찬 음식을 잘 소화할 수 있으나 위과체질인은 그렇지 못하다. 또한 방광과체질인은 쇠고기보다 돼지고기를 더 잘 흡수할 수 있으나, 위과체질인은 그 반대이다. 방광과체질인은 소주보다는 맥주가 잘 맞으며 위과체질인은 맥주보다는 소주가 잘 맞는다. 물론, 습관으로 선호하거나 익숙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 체질을 구분하는 방법으로는 신경을 썼거나 스트레스가 많이 쌓였을 때 소화를 잘 시키지 못하는 사람은 위과체질인이고 별로 관계가 없이 소화가 되는 사람은 방광과체질인이다. 또 배가 부른 상태에서도 몇 숟갈 밥을 더 먹을 수 있는 사람은 방광과체질인이고 그렇지 못하는 사람은 위과체질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광과체질인에 대한 변비개선용 건강식품은 차전자피분 말, 양배추분말, 사과분말, 보리분말, 및 배분말을 혼합한 조성물로 구성된다.
위과체질인에 대한 변비개선용 건강식품은 차전자피분말, 양배추분말, 사과분말, 민들레분말을 혼합한 조성물로 구성된다.
상기 혼합 조성물들은 분말 또는 과립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과립으로 제공할 경우, 종래의 건강기능식품에서와 같이 전분과 같은 식용 접착성분을 첨가하여 압착하는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접착성분 없이 과립형태로 혼합하는 특수한 공법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비개선용 건강식품은 (1)모든 체질인에 공히 사용되는 성분인 차전자피분말, 양배추분말, 사과분말 (2)방광과체질인에게만 사용되는 보리분말 및 배분말 (3)위과체질인에게만 사용되는 민들레분말을 구성 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차전자피분말은 차전자의 씨껍질을 벗겨 건조한 것으로,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성질이 있어 대변의 양을 늘려주고 대변의 장내 이동속도를 늘려주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건조된 차전자피를 분쇄하여 분말을 만들어 사용한다. 차전자피는 모든 체질의 변비환자에게 유용하나 위장의 기능이 약하고 음식물 섭취가 비교적 적어 변의 양이 장의 연동운동을 일으키기에 불충분한 경우가 많은 위과체질인에게 특히 유용하므로, 본 발명자들은 변비개선용 식품조성물에서의 차전자피 함량의 최소값은 방광과체질인에 비하여 위과체질인에게 더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방광과체질인을 위한 조성물에서 차전자피분말의 함량은 4~56 중량%가 바람직하며, 위과체질인을 위해서는 18~54 중량%가 바람 직하다.
양배추는 위궤양, 위염, 및 만성위장병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양배추를 맑은 물로 세척한 후 동결 건조시킨 다음 200 메쉬 이하 크기로 분쇄하여 양배추분말을 만들어 사용한다. 양배추는 모든 체질의 변비환자에게 유용하나 위장의 기능이 약한 위과체질인에게 특히 유용하므로, 본 발명자들은 방광과체질인을 위한 조성물보다 위과체질인을 위한 조성물에서의 양배추분말의 함량비를 약 1.5배로 함이 변비 개선에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방광과체질인을 위한 조성물에서 양배추분말의 함량은 15~35 중량%가 바람직하며, 위과체질인을 위해서는 30~50 중량%가 바람직하다.
사과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며, 특히 섬유질이 많아서 정장효과가 뛰어나다. 본 발명에서는 사과과육을 동결건조시킨 후 분말을 만들어 사용한다. 사과는 모든 체질의 변비환자들에게 유용하나 사과의 섬유질 성분이 변의 양을 늘려줄 수 있는바 음식물 섭취량이 비교적 적은 위과체질인에게 특히 유용하므로, 본 발명자들은 방광과체질인을 위한 조성물보다 위과체질인을 위한 조성물에서의 사과분말의 함량비를 약 2배 정도 늘리는 것이 변비 개선에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방광과체질인을 위한 조성물에서 사과분말의 함량은 7~13 중량%가 바람직하며, 위과체질인을 위해서는 15~25 중량%가 바람직하다.
보리는 장내 세균활동을 활성화시키고, 섬유질이 풍부하여 예로부터 변비해소를 위한 식이섬유의 공급원으로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는 건조된 보리를 분쇄하여 분말을 만들어 사용한다. 본 발명자들은 보리분말은 위과체질인의 변비개선 에는 효과가 미미하나, 방광과체질인의 변비개선에 효과적임을 알아낸바, 이에 방광과체질인을 위한 조성물에만 보리분말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방광과체질인을 위한 조성물에서의 보리분말의 함량은 7~13 중량%가 바람직하다.
배는 예로부터 변비개선 및 이뇨작용 등의 생리활성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민간요법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배 과육을 동결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배분말을 만들어 사용한다. 배는 이뇨작용이 강하므로 위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방광의 기능이 약한 방광과체질인에게 유용하다. 본 발명자들은 배분말은 위과체질인의 변비개선에는 효과가 미미하나, 방광과체질인의 변비개선에 효과적임을 알아낸바, 이에 방광과체질인을 위한 조성물에만 배분말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방광과체질인을 위한 조성물에서의 배분말의 함량은 15~35 중량%가 바람직하다.
민들레는 위장보호 및 강장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민들레의 뿌리, 잎, 및 줄기를 함께 맑은 물로 세척한 후 동결건조 시킨 다음 200 메쉬 이하 크기로 분쇄하여 민들레분말을 만들어 사용한다. 본 발명자들은 민들레분말이 방광과체질인의 변비개선에는 효과가 미미하나, 위장의 기능이 특히 약한 위과체질인의 변비개선에 효과적임을 알아낸바, 이에 위과체질인을 위한 조성물에만 민들레분말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위과체질인을 위한 조성물에서의 민들레분말의 함량은 1~7 중량%가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은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한 예시에 불과한바, 한정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 실험대상자들의 체질별 분류
방광과체질인의 선정: 대체로 뚱뚱한 편이며, 어깨가 넓고 성질이 급하며, 방광이 약해서 병이 오기 쉬운 체질이면서, 몸의 우측에 위치한 장기들의 활동이 위장의 활동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약하고, 신체대사기능이 느려서 조금만 먹어도 살이 찌기 쉬운 체질을 가진 사람을 방광과체질인으로 선정했다.
위과체질인의 선정: 대체로 날씬한 편이며, 위장이 약해서 병이 오기 쉬운 체질이다. 본 발명에서의 위과체질인의 정의에 따르면, 위장의 활동이 방광과 대장의 활동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약한 반면 신체대사기능이 활발하므로, 지원자의 식사습관 및 체형에 비추어 많이 먹어도 살이 찌기 어려운 체질을 가진 사람을 위과체질인으로 분류하였다. 내방한 지원자 160명을 분류한 결과 62.5%가 방광과체질인, 나머지 37.5%가 위과체질인임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2> 변비개선 효과 실험방법
변비가 심한 방광과체질의 변비증상환자들 중 20명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분말혼합물의 변비개선효과를 시험하였다. 피시험자 각각은 분말혼합물 5g 씩을 1일 2회, 매 식사 1시간 전에 200㎖ 냉수에 용해하여 10일간 복용하였으며, 이후 3일간 상기 분말혼합물을 복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느껴지는 변비개선 정도를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은 이중맹검법을 통하여 관리되었는바, 대상자 및 직접적인 실험수행자 모두 분말혼합물의 종류를 알 수 없는 상태로 수행되었다. 변비개선의 정도는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치적으로 0 내지 5의 범위로 측정하였다.
변비개선 수치 대상자가 느낀 변비 개선 정도
0 복용중 또는 복용을 마친 3일후에도 변비개선 효과를 느낄 수 없는 상태
1 복용중에는 변비가 다소 개선되었으나 복용을 마친 3일후에는 변비증상이 예전과 같은 상태
2 복용중에는 변비가 다소 개선되었으며, 복용을 마친 3일후에는 배변의 어려움이 다소 감소했으나 잔변감은 개선되지 아니한 상태
3 복용중에는 변비가 개선되었으며, 복용을 마친 3일후에는 배변의 어려움이 다소 감소하고 잔변감이 약간 개선된 상태
4 복용중에는 변비가 개선되었으며, 복용을 마친 3일후에는 배변의 어려움이 크게 줄어들고 잔변감이 현저하게 개선된 상태
5 복용중 및 복용후 3일후에 배변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며 잔변감이 완전히 사라진 상태
<실시예 3> 변비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조예-1
차전자피분말 25 중량%, 양배추분말 25 중량%, 사과분말 10 중량%, 보리분말 10 중량%, 및 배 분말 30 중량%로 구성된 분말혼합물을 제조하여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변비개선 효과를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위과체질인이 복용한 경우 방광과체질인이 복용한 경우
변비개선수치 0 7 명 변비개선수치 0 1 명
변비개선수치 1 5 명 변비개선수치 1 3 명
변비개선수치 2 5 명 변비개선수치 2 5 명
변비개선수치 3 3 명 변비개선수치 3 6 명
변비개선수치 4 0 명 변비개선수치 4 3 명
변비개선수치 5 0 명 변비개선수치 5 3 명
<실시예 4> 변비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조예-2
차전자피분말 20 중량%, 양배추분말 45 중량%, 사과분말 5 중량%, 보리분말 5 중량%, 및 배 분말 25 중량%로 구성된 분말혼합물을 제조하여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변비개선 효과를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와 같다.
위과체질인이 복용한 경우 방광과체질인이 복용한 경우
변비개선수치 0 8 명 변비개선수치 0 1 명
변비개선수치 1 5 명 변비개선수치 1 2 명
변비개선수치 2 4 명 변비개선수치 2 4 명
변비개선수치 3 3 명 변비개선수치 3 6 명
변비개선수치 4 0 명 변비개선수치 4 4 명
변비개선수치 5 0 명 변비개선수치 5 3 명
<실시예 5> 변비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조예-3
차전자피분말 17 중량%, 양배추분말 27 중량%, 사과분말 40 중량%, 보리분말 7 중량%, 및 배 분말 9 중량%로 구성된 분말혼합물을 제조하여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변비개선 효과를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위과체질인이 복용한 경우 방광과체질인이 복용한 경우
변비개선수치 0 7 명 변비개선수치 0 0 명
변비개선수치 1 5 명 변비개선수치 1 4 명
변비개선수치 2 3 명 변비개선수치 2 3 명
변비개선수치 3 4 명 변비개선수치 3 8 명
변비개선수치 4 1 명 변비개선수치 4 3 명
변비개선수치 5 0 명 변비개선수치 5 2 명
<실시예 6> 변비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조예-4
차전자피분말 18 중량%, 양배추분말 23 중량%, 사과분말 9 중량%, 보리분말 30 중량%, 및 배 분말 20 중량%로 구성된 분말혼합물을 제조하여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변비개선 효과를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위과체질인이 복용한 경우 방광과체질인이 복용한 경우
변비개선수치 0 9 명 변비개선수치 0 0 명
변비개선수치 1 5 명 변비개선수치 1 3 명
변비개선수치 2 4 명 변비개선수치 2 5 명
변비개선수치 3 2 명 변비개선수치 3 4 명
변비개선수치 4 0 명 변비개선수치 4 6 명
변비개선수치 5 0 명 변비개선수치 5 2 명
<실시예 7> 변비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조예-5
차전자피분말 15 중량%, 양배추분말 18 중량%, 사과분말 6 중량%, 보리분말 11 중량%, 및 배 분말 50 중량%로 구성된 분말혼합물을 제조하여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변비개선 효과를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과 같다.
위과체질인이 복용한 경우 방광과체질인이 복용한 경우
변비개선수치 0 8 명 변비개선수치 0 2 명
변비개선수치 1 6 명 변비개선수치 1 2 명
변비개선수치 2 3 명 변비개선수치 2 4 명
변비개선수치 3 1 명 변비개선수치 3 5 명
변비개선수치 4 0 명 변비개선수치 4 5 명
변비개선수치 5 0 명 변비개선수치 5 2 명
<실시예 8> 변비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조예-6
차전자피분말 18 중량%, 양배추분말 28 중량%, 사과분말 13 중량%, 보리분말 13 중량%, 및 배 분말 28 중량%로 구성된 분말혼합물을 제조하여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변비개선 효과를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7과 같다.
위과체질인이 복용한 경우 방광과체질인이 복용한 경우
변비개선수치 0 3 명 변비개선수치 0 0 명
변비개선수치 1 6 명 변비개선수치 1 0 명
변비개선수치 2 6 명 변비개선수치 2 0 명
변비개선수치 3 5 명 변비개선수치 3 3 명
변비개선수치 4 0 명 변비개선수치 4 5 명
변비개선수치 5 0 명 변비개선수치 5 12 명
<실시예 9> 변비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조예-7
차전자피분말 45 중량%, 양배추분말 30 중량%, 사과분말 20 중량%, 민들레분말 5 중량%로 구성된 분말혼합물을 제조하여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변비개선 효과를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8과 같다.
위과체질인이 복용한 경우 방광과체질인이 복용한 경우
변비개선수치 0 2 명 변비개선수치 0 13 명
변비개선수치 1 3 명 변비개선수치 1 4 명
변비개선수치 2 8 명 변비개선수치 2 3 명
변비개선수치 3 5 명 변비개선수치 3 0 명
변비개선수치 4 2 명 변비개선수치 4 0 명
변비개선수치 5 0 명 변비개선수치 5 0 명
<실시예 10> 변비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조예-8
차전자피분말 30 중량%, 양배추분말 50 중량%, 사과분말 18 중량%, 민들레분말 2 중량%로 구성된 분말혼합물을 제조하여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변비개선 효과를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9와 같다.
위과체질인이 복용한 경우 방광과체질인이 복용한 경우
변비개선수치 0 3 명 변비개선수치 0 15 명
변비개선수치 1 7 명 변비개선수치 1 3 명
변비개선수치 2 3 명 변비개선수치 2 2 명
변비개선수치 3 3 명 변비개선수치 3 0 명
변비개선수치 4 2 명 변비개선수치 4 0 명
변비개선수치 5 2 명 변비개선수치 5 0 명
<실시예 11> 변비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조예-9
차전자피분말 25 중량%, 양배추분말 12 중량%, 사과분말 60 중량%, 민들레분말 3 중량%로 구성된 분말혼합물을 제조하여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변비개선 효과를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0과 같다.
위과체질인이 복용한 경우 방광과체질인이 복용한 경우
변비개선수치 0 3 명 변비개선수치 0 14 명
변비개선수치 1 6 명 변비개선수치 1 3 명
변비개선수치 2 3 명 변비개선수치 2 3 명
변비개선수치 3 3 명 변비개선수치 3 0 명
변비개선수치 4 3 명 변비개선수치 4 0 명
변비개선수치 5 2 명 변비개선수치 5 0 명
<실시예 12> 변비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조예-10
차전자피분말 22 중량%, 양배추분말 40 중량%, 사과분말 20 중량%, 민들레분말 18 중량%로 구성된 분말혼합물을 제조하여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변비개선 효과를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1과 같다.
위과체질인이 복용한 경우 방광과체질인이 복용한 경우
변비개선수치 0 0 명 변비개선수치 0 19 명
변비개선수치 1 1 명 변비개선수치 1 1 명
변비개선수치 2 5 명 변비개선수치 2 0 명
변비개선수치 3 3 명 변비개선수치 3 0 명
변비개선수치 4 11 명 변비개선수치 4 0 명
변비개선수치 5 0 명 변비개선수치 5 0 명
<실시예 13> 변비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조예-11
차전자피분말 18 중량%, 양배추분말 20 중량%, 사과분말 15 중량%, 보리분말 10 중량%, 배분말 30 중량%, 민들레분말 7 중량%로 구성된 분말혼합물을 제조하여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변비개선 효과를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2와 같다.
위과체질인이 복용한 경우 방광과체질인이 복용한 경우
변비개선수치 0 20 명 변비개선수치 0 20 명
변비개선수치 1 0 명 변비개선수치 1 0 명
변비개선수치 2 0 명 변비개선수치 2 0 명
변비개선수치 3 0 명 변비개선수치 3 0 명
변비개선수치 4 0 명 변비개선수치 4 0 명
변비개선수치 5 0 명 변비개선수치 5 0 명
<실시예 14> 변비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조예-12
차전자피분말 20 중량%, 양배추분말 30 중량%, 사과분말 10 중량%, 보리분말 10 중량%, 배분말 30 중량%로 구성된 분말혼합물을 제조하여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변비개선 효과를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3과 같다.
위과체질인이 복용한 경우 방광과체질인이 복용한 경우
변비개선수치 0 0 명 변비개선수치 0 0 명
변비개선수치 1 0 명 변비개선수치 1 0 명
변비개선수치 2 2 명 변비개선수치 2 0 명
변비개선수치 3 6 명 변비개선수치 3 1 명
변비개선수치 4 8 명 변비개선수치 4 3 명
변비개선수치 5 4 명 변비개선수치 5 16 명
<실시예 15> 변비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조 예-13
차전자피분말 35 중량%, 양배추분말 41 중량%, 사과분말 20 중량%, 민들레분말 4 중량%로 구성된 분말혼합물을 제조하여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변비개선 효과를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4와 같다.
위과체질인이 복용한 경우 방광과체질인이 복용한 경우
변비개선수치 0 0 명 변비개선수치 0 0 명
변비개선수치 1 0 명 변비개선수치 1 0 명
변비개선수치 2 0 명 변비개선수치 2 2 명
변비개선수치 3 0 명 변비개선수치 3 4 명
변비개선수치 4 2 명 변비개선수치 4 6 명
변비개선수치 5 18 명 변비개선수치 5 8 명
실시예 3 내지 15를 참조하면, 분말혼합물의 조성비에 따라 방광과체질인 및 위과체질인에게 작용하는 변비개선 효과는 현격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방광과체질인에게는 실시예 14와 같은 혼합물일 때 표13과 같이 가장 효과가 컸고, 위과체질인에게는 실시예 15와 같은 혼합물일 때 표14와 같이 가장 효과가 컸다.

Claims (2)

  1. 위장의 기능에 비하여 방광과 대장의 기능이 상대적으로 약한 체질인들 (이하 방광과체질인이라고 한다)의 변비개선을 위한 것으로서, 차전자피분말 4~56 중량%, 양배추분말 15~35 중량%, 사과분말 7~13 중량%, 보리분말 7~13 중량%, 배 분말 15~35 중량%를 혼합한 분말 또는 그 과립임을 특징으로 하는 변비개선용 천연식품 조성물.
  2. 방광과 대장의 기능에 비하여 위장의 기능이 상대적으로 약한 체질인들 (이하 위과체질인이라고 한다)의 변비개선을 위한 것으로서, 차전자피분말 18~54 중량%, 양배추분말 30~50 중량%, 사과분말 15~25 중량%, 민들레분말 1~7 중량%를 혼합한 분말 또는 그 과립임을 특징으로 하는 변비개선용 천연식품 조성물.
KR1020090073751A 2009-02-27 2009-08-11 방광과체질인의 변비개선용 천연식품 조성물 KR201000982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632 2009-02-27
KR20090016632 2009-02-2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3117A Division KR20100098353A (ko) 2009-02-27 2010-03-16 체질에 따라 다른 변비개선용 천연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269A true KR20100098269A (ko) 2010-09-06

Family

ID=430052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751A KR20100098269A (ko) 2009-02-27 2009-08-11 방광과체질인의 변비개선용 천연식품 조성물
KR1020100023117A KR20100098353A (ko) 2009-02-27 2010-03-16 체질에 따라 다른 변비개선용 천연식품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3117A KR20100098353A (ko) 2009-02-27 2010-03-16 체질에 따라 다른 변비개선용 천연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0009826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2489A1 (ko) * 2010-05-12 2011-11-17 Sim Bo Mi 체질에 따라 다른 변비개선용 천연식품 조성물
KR101230756B1 (ko) * 2010-09-09 2013-02-06 심보미 위과체질의 변비개선용 천연식품 조성물
KR101230718B1 (ko) * 2010-09-09 2013-02-07 심보미 방광과 체질의 변비개선용 천연식품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2489A1 (ko) * 2010-05-12 2011-11-17 Sim Bo Mi 체질에 따라 다른 변비개선용 천연식품 조성물
KR101230756B1 (ko) * 2010-09-09 2013-02-06 심보미 위과체질의 변비개선용 천연식품 조성물
KR101230718B1 (ko) * 2010-09-09 2013-02-07 심보미 방광과 체질의 변비개선용 천연식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353A (ko) 2010-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rlett et al. Position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health implications of dietary fiber
CN102805266A (zh) 用于提高雏鸡消化和免疫能力的饲料
CN107183705A (zh) 一种润肠通便改善便秘的功能性食品
KR101539382B1 (ko) 장 기능 개선 및 배변 촉진용 식품 조성물
CN107467462A (zh) 一种有助于减肥的代餐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CN106723087A (zh) 一种含海带膳食纤维的片剂及其制备方法
CN103829140A (zh) 一种具有减肥及降血糖功能的谷物粉
CN105341921A (zh) 一种具有健康减肥作用的保健食品
CN105361125A (zh) 一种具有健康和保健功能的零食
KR19990084077A (ko) 비만개선을 위한 저당식 기능성 식품
CN109892555A (zh) 一种阻碍脂肪合成加速排油减脂的减肥食品及其制备方法
KR20100098269A (ko) 방광과체질인의 변비개선용 천연식품 조성물
Tabrizi et al. Functional laxative foods: Concepts, trends and health benefits
Awulachew The role of wheat in human nutrition and its medicinal value
CN101171026A (zh) 软骨代谢异常疾病改善用健康食品及药品组合物
KR20130092545A (ko) 체질에 따라 다른 변비개선용 천연식품 조성물
KR101031696B1 (ko) 방광과 체질의 변비개선용 천연식품 조성물
CN108245531A (zh) 一种改善胃肠道功能、防治便秘的组合物
KR20210067990A (ko) 장 건강을 위한 조성물과 제조 방법
KR101230756B1 (ko) 위과체질의 변비개선용 천연식품 조성물
KR101031664B1 (ko) 위과체질의 변비개선용 천연식품 조성물
KR101230718B1 (ko) 방광과 체질의 변비개선용 천연식품 조성물
CN108402388A (zh) 一种营养多谷粉
TWM539792U (zh) 含有藜麥和阿拉伯糖的麵體
Singh et al. Development of fiber rich powder and effect of supplementation on constip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