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7937A - 모노-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모노-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7937A
KR20100097937A KR1020090016835A KR20090016835A KR20100097937A KR 20100097937 A KR20100097937 A KR 20100097937A KR 1020090016835 A KR1020090016835 A KR 1020090016835A KR 20090016835 A KR20090016835 A KR 20090016835A KR 20100097937 A KR20100097937 A KR 20100097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ycerol
reaction
butyl ether
ether
mo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4570B1 (ko
Inventor
정광섭
이수정
이고르 필리모노프
조정희
Original Assignee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6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570B1/ko
Publication of KR20100097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7/00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 F24D17/02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using 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6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mounted on, or adjacent to, a ceiling, wall or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소수성 용매 하에서 글리세롤(glycerol) 또는 글리세롤 함유 조성물을 에테르화 반응용 촉매를 이용하여 액상의 이소부텐(iso-butene)과 반응시켜 모노-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글리세롤 또는 글리세롤 함유 조성물은 바이오 디젤의 제조시 발생되는 부산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Description

모노-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glycerol mono-t-butyl ether}
본 발명은 글리세롤 에테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 선택도(selectivity) 및 고 수율(yield)을 확보 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모노-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친환경 에너지 사업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바이오디젤에 대한 연구가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바이오디젤의 생산량은 해마다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처럼, 바이오디젤의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바이오디젤의 생산에 따라 발생하는 부산물들의 공급량도 과잉공급 추세에 있다. 상기 바이오디젤의 부산물로서 대표적인 것이 글리세롤이다. 상기 글리세롤은 다양한 글리세롤 유도체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글리세롤 카보네이트, 글리세롤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세롤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발명자는 상기 글리세롤 유도체 중 글리세롤 에테르의 유용성을 감안하여, 상기 글리세롤 에테르 계열의 화합물 중 일 예로 모노-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를 선택적 및 고효율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글리세롤 에테르의 유용성을 감안한 것으로서, 글리세롤 또는 글리세롤 함유 조성물로부터 효율적으로 모노-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mono-gylcerol tertiary butyl ether, mono-GTBE)를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모노-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의 제조 방법은 소수성 용매 하에서 글리세롤(glycerol) 또는 글리세롤 함유 조성물을 에테르화 반응용 촉매를 이용하여 액상의 이소부텐(iso-butene)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소수성 용매로서는 에테르계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사슬(short-chain)의 에테르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이옥산(dioxane) 등의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글리세롤 또는 글리세롤 함유 조성물로서는 바이오디젤 생성 반응의 부산물로부터 수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수성 용매는 상기 글리세롤 1몰 또는 글리세롤 함유 조성물 내의 글리세롤 1몰에 대하여 1 내지 5몰의 몰 비율이 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반응은 50 내지 150℃의 온도 하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이소부텐은 상기 글리세롤 1몰 또는 상기 글리세롤 함유 조성물 내의 글리세롤 1몰에 대하여 1 내지 5몰의 몰 비율이 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은 회분 식 반응(batch reaction)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상기 반응기로서는 연속적 교반이 가능하도록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테르화 반응용 촉매는 브뢴스테드 산 또는 루이스 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에테르화 반응용 촉매로서는 예를 들어, 리튬(Li), 나트륨(Na), 바륨(Ba), 마그네슘(Mg), 세슘(Cs), 알루미늄(Al), 란탄늄(La), 은(Ag)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에테르화 반응용 촉매로서는 금속이 배위되어 있는 헤테로 폴리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노-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글리세롤로부터 높은 선택도로 모노-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를 합성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공정 효율 면에서도 매우 뛰어나다.
또한, 반응 종료 시각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모노-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 합성 반응의 글리세롤 전환률(conversion)과 mono-GTBE의 선택도(selectivity)를 극대화 함으로써, 모노-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의 수율(yield)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노-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의 제조는, 소수성 용매 하에서 글리세롤(glycerol) 또는 글리세롤 함유 조성물을 에테르화 반응용 촉매를 이용하여 액상의 이소부텐(iso-butene)과 반응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글리세롤이란 정제된 글리세롤을 의미하며, 글리세롤 함유 조성물은 크루드(crude) 글리세롤 등과 같이 비정제되어 글리세롤 외의 성분도 포함하는 글리세롤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글리세롤 함유 조성물은 반응 중에 글리세롤이 생성될 수 있는 글리세롤 전구체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글리세롤 또는 글리세롤 함유 조성물로서는 상업적으로 유통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바이오 디젤의 제조 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글리세롤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글리세롤 또는 글리세린은 하기 화학식(1)으로 표시된다.
Figure 112009012325736-PAT00001
반응 생성물인 글리세롤 에테르는 글리세롤과 이소부텐 또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류를 에테르화반응(Etherification)시켜 수득될 수 있다.
글리세롤을 반응물질로 이용할 경우 생성될 수 있는 글리세롤 에테르는 하기 화학식(2)의 R1, R2, R3의 위치에 하기 표 1의 다양한 알킬그룹이 치환됨으로써,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Figure 112009012325736-PAT00002
Figure 112009012325736-PAT00003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생성되는 글리세롤 에테르는 치환된 개수에 따라 모노-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mono-glycerol tertiary butyl ether, mono-GTBE), 다이-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di-glycerol tertiary butyl ether, di-GTBE) 및 트리-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tri-glycerol tertiary butyl ether, tri-GTBE)로 구분될 수 있다. 물론,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기하학적 구조나 위치적 관점에서 다양한 이성질체가 존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글리세롤 에테르의 생성은 하기 반응식(1)으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112009012325736-PAT00004
본 발명에 따르면, 글리세롤 에테르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반응식(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응용기 내에 글리세롤과 이소부텐(iso-butene, i-butene)을 첨가하고, 촉매 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정제된 글리세롤을 사용하지 않고, 크루드(crude) 글리세롤과 같은 글리세롤 함유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에도, 글리세롤 성분만이 선택적으로 상기 반응식(1)에 따른 반응에 참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글리세롤 에테르 중에, 특히 mono-GTBE의 효율적 생성을 위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즉, 상기 mono-GTBE의 선택도 및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수성 용매의 사용을 통하여, 상기 mono-GTBE의 선택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mono-GTBE만을 선택적으로 고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용매로서는, 에테르계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 직하게는 단사슬(short-chain) 또는 저 분자량의 에테르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테르계 화합물의 예로서는, 다이-에틸에테르, 메틸 부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수성 용매로서 다이옥산(dioxa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용매의 사용을 통하여 반응 완료 후, 생성물의 상 분리를 유도하여 유효 생성물의 효율적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반응 후, 반응기 내에는 상 분리된 두 개의 액상 층이 발생하며, 상층은 주로 유효 생성물 및 소수성 용매를 포함하도록 분리되며 하층은 미 반응의 글리세롤 및 촉매를 포함한다. 상기 유효 생성물은, mono-GTBE, di-GTBE 및 tri-GTBE를 포함한다.
상기 이소부텐(iso-butene)은 액상(liquid phase)으로 반응에 참여한다. 이소부텐은 통상 상압 하에서 기상(gas phase)으로 존재하나, 상기 반응에서는 반응기 내의 압력 조건에 의하여 액상으로 반응에 참여한다. 따라서 상기 반응기는 압력 조절 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반응기 내에 질소 가스 등을 주입함으로써 반응기 내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반응 도중, 상기 반응기 내의 압력은 300 내지 400 psi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반응기는 연속적으로 교반 가능한 교반기를 포함할 수 있다.
효율적인 반응을 위하여 반응에 참여하는 반응물질의 양적 관계 또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소수성 용매의 사용량은 글리세롤(또는 글리세롤 함유 조성물 내 글리세롤) 1몰에 대하여 1 내지 5몰의 몰 비율을 갖도록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소부텐의 사용량도 상기 글리세롤 (또는 글리세롤 함유 조성물 내 글리세롤) 1몰에 대하여 1 내지 5몰의 몰 비율을 갖도록 조절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은 5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의 온도 범위 하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온도 범위를 이탈한 온도 조건 하에서 반응할 경우, 반응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생성되는 mono-GTBE의 선택도가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전체적으로, 회분식 반응 (batch reactio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 생성 반응에 사용되는 에스테르화 반응용 촉매로는 브뢴스테드 산(Bronsted) 또는 루이스(Lewis) 산인 촉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헤테로폴리산(heteropoly acid) 또는 헤테로폴리산염(heteropoly acid sal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촉매로는 금속 함유의 이온교환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온교환수지로는 술폰산 기능기를 갖는 구형의 다공성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폴리머로는 폴리스티렌 다이비닐벤젠 코폴리머(Polystyrene-Divinylbenzene Copolymer)를 사용할 수 있다. 실제로 상기 이온교환수지는 좁쌀 크기의 작은 구슬 형상을 갖는다. 상기 금속은 상기 이온교환 수지 내의 산점에 일부 치환되어짐으로써, 상기 이온 교환 수지 내에 함유된다. 상기 금속 함유 이온교환 수지 내에 치환될 수 있는 금속으로서는, 리튬(Li), 나트륨(Na), 바륨(Ba), 마그네슘(Mg), 세슘(Cs), 알루미늄(Al), 란탄늄(La), 은(Ag)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금속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치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촉매로서의 금속함유 이온교환 수지를 분말화하여 사용함으로써, 반응 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반응 촉매로는 금속과 산소가 마치 포도송이처럼 결합된 형태의 금속 함유 인산 등의 금속 함유 헤테로폴리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텅스토인산(phosphotungstic acid)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상에서 제조된 mono-GTBE는 석유 연료에 혼합되어 자동차용 연료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 조성물은 휘발유, 경유 등의 석유 연료 외에, 전술한 바에 의하여 생성되고 선택된 mono-GTBE를 포함한다.
[실시예]
[실시예 1]
13.9g의 글리세롤을 0.8g의 텅스토인산(phosphotungstic acid) 및 16g의 디에틸에테르가 미리 첨가된 80 ml의 고압 에테르화 반응기(pressure etherification reactor) 내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기 내에 이소부텐 25.5g을 첨가하고 질소를 이용하여 반응기 내 압력을 350 psi로 유지하였다. 상기 반응물질들의 온도가 60℃가 되도록 반응기를 가열하고 12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agitated) 상기 반응물질들을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기 내의 생성물들은 두 개의 층으로 상 분리가 이루어졌다. 분리된 두 개의 층 중에서 상층을 분리하여 포함된 디에틸에테르 성분을 휘발시킨 후 생성물을 분석하였다. 상기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글리세롤의 전환률(G) 및 각각의 선택도(S)를 평가하여 수율(Y)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하기 표 2에는 반응시간에 따른 데이터 변화를 각각 표시하였 다.
시간
(h)
G, wt% MTBG, wt% DTBG, wt% TTBG, wt% DIB, wt% G conver-sion, % S MTBG,
%
S DTBG,
%
S TTBG,
%
Y MTBG,
%
Y DTBG,
%
Y TTBG,
%
0.50 7.8% 79.6% 11.7% 0.0% 0.0% 0% 90% 10% 0% 0% 0% 0%
0.75 4.1% 83.4% 10.0% 0.0% 0.0% 3% 92% 8% 0% 3% 0% 0%
1.25 4.2% 83.8% 11.0% 0.0% 0.1% 4% 91% 9% 0% 4% 0% 0%
2.00 5.2% 76.5% 15.0% 0.0% 0.2% 11% 88% 12% 0% 10% 1% 0%
3.00 6.2% 70.6% 19.6% 0.1% 0.5% 23% 83% 17% 0% 20% 3% 0%
5.92 9.8% 60.2% 26.0% 0.3% 1.6% 45% 76% 24% 0% 37% 7% 0%
8.75 9.9% 60.9% 26.3% 0.5% 1.2% 70% 76% 24% 0% 53% 17% 0%
22.08 2.6% 25.0% 54.7% 12.5% 3.9% 70% 35% 55% 10% 53% 17% 0%
G-glycerol; MTBG- mono-t-butyl ether of glycerol; DTBG- di-t-butyl ether of glycerol; TTBG- tri-t-butyl ether of glycerol; DIB-di-isobutene; S-selectivity; Y-yield
[실시예 2]
15.9g의 글리세롤을 0.8g의 텅스토인산(phosphotungstic acid) 및 18g의 디에틸에테르가 미리 첨가된 80 ml의 고압 에테르화 반응기(pressure etherification reactor) 내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기 내에 이소부텐 21.3g을 첨가하고 질소를 이용하여 반응기 내 압력을 350 psi로 유지하였다. 상기 반응물질들의 온도가 60℃가 되도록 반응기를 가열하고 12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agitated) 상기 반응물질들을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기 내의 생성물들은 두 개의 층으로 상 분리가 이루어졌다. 분리된 두 개의 층 중에서 상층을 분리하여 포함된 디에틸에테르 성분을 휘발시킨 후 생성물을 분석하였다. 상기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글리세롤의 전환률(G) 및 각각의 선택도(S)를 평가하여 수율(Y)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하기 표 3에는 반응시간에 따른 데이터 변화를 각각 표시하였다.
시간
(h)
G, wt% MTBG, wt% DTBG, wt% TTBG, wt% DIB, wt% G conver-sion, % S MTBG,
%
S DTBG,
%
S TTBG,
%
Y MTBG,
%
Y DTBG,
%
Y TTBG,
%
0.50 6% 75% 17% 1% 0% 3% 86% 14% 1% 3% 0% 0%
1.50 4% 69% 19% 7% 0% 11% 80% 16% 5% 9% 2% 1%
3.00 6% 73% 19% 1% 0% 45% 84% 16% 0% 38% 7% 0%
4.33 7% 66% 23% 0% 1% 73% 80% 20% 0% 58% 15% 0%
8.17 11% 61% 27% 0% 0% 68% 75% 25% 0% 51% 17% 0%
22.00 5% 33% 51% 9% 1% 91% 44% 49% 7% 40% 45% 6%
G-glycerol; MTBG- mono-t-butyl ether of glycerol; DTBG- di-t-butyl ether of glycerol; TTBG- tri-t-butyl ether of glycerol; DIB-di-isobutene; S-selectivity; Y-yield
[비교예 1]
14g의 글리세롤을 0.8g의 텅스토인산(phosphotungstic acid)이 미리 첨가된 80 ml의 고압 에테르화 반응기(pressure etherification reactor) 내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기 내에 이소부텐 25.5g을 첨가하고 질소를 이용하여 반응기 내 압력을 350 psi로 유지하였다. 상기 반응물질들의 온도가 60℃가 되도록 반응기를 가열하고 12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agitated) 상기 반응물질들을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기 내의 생성물들은 두 개의 층으로 상 분리가 이루어졌다. 분리된 두 개의 층 중에서 상층을 분리하여 포함된 디에틸에테르 성분을 휘발시킨 후 생성물을 분석하였다. 상기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글리세롤의 전환률(G) 및 각각의 선택도(S)를 평가하여 수율(Y)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또한, 하기 표 4에는 반응시간에 따른 데이터 변화를 각각 표시하였다.
시간
(h)
G, wt% MTBG, wt% DTBG, wt% TTBG, wt% DIB, wt% G conver-sion, % S MTBG,
%
S DTBG,
%
S TTBG,
%
Y MTBG,
%
Y DTBG,
%
Y TTBG,
%
2 6% 98% 1% 0% 0% 1% 90% 0% 0% 1% 0% 0%
6 7% 0% 6% 49% 7% 100% 10% 58% 32% 10% 57% 32%
21 11% 0% 10% 47% 17% 100% 18% 60% 22% 18% 60% 22%
31 5% 0% 12% 47% 19% 100% 21% 60% 19% 21% 60% 19%
G-glycerol; MTBG- mono-t-butyl ether of glycerol; DTBG- di-t-butyl ether of glycerol; TTBG- tri-t-butyl ether of glycerol; DIB-di-isobutene; S-selectivity; Y-yield
[비교예 2]
14g의 글리세롤을 0.8g의 비드 형태의 반응촉매(제품명:Amberlyst 15)가 미리 첨가된 80 ml의 고압 에테르화 반응기(pressure etherification reactor) 내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기 내에 이소부텐 25.5g을 첨가하고 질소를 이용하여 반응기 내 압력을 350 psi로 유지하였다. 상기 반응물질들의 온도가 60℃가 되도록 반응기를 가열하고 12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agitated) 상기 반응물질들을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기 내의 생성물들은 두 개의 층으로 상 분리가 이루어졌다. 분리된 두 개의 층 중에서 상층을 분리하여 포함된 디에틸에테르 성분을 휘발시킨 후 생성물을 분석하였다. 상기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글리세롤의 전환률(G) 및 각각의 선택도(S)를 평가하여 수율(Y)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또한, 하기 표 5에는 반응시간에 따른 데이터 변화를 각각 표시하였다.
시간
(h)
G, wt% MTBG, wt% DTBG, wt% TTBG, wt% DIB, wt% G conver-sion, % S MTBG,
%
S DTBG,
%
S TTBG,
%
Y MTBG,
%
Y DTBG,
%
Y TTBG,
%
1 93% 6% 1% 0% 0% 4% 93% 6% 1% 4% 0% 0%
2 84% 16% 0% 0% 0% 11% 98% 2% 0% 11% 0% 0%
4.7 66% 29% 3% 1% 2% 23% 92% 6% 1% 21% 1% 0%
8.0 5% 35% 45% 11% 4% 91% 48% 44% 8% 43% 40% 8%
12.5 1% 6% 44% 32% 16% 98% 14% 58% 32% 10% 57% 32%
21.0 1% 14% 46% 17% 17% 98% 24% 59% 17% 24% 58% 16%
G-glycerol; MTBG- mono-t-butyl ether of glycerol; DTBG- di-t-butyl ether of glycerol; TTBG- tri-t-butyl ether of glycerol; DIB-di-isobutene; S-selectivity; Y-yield
글리세롤 전환률 평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서 수득된 상층 용액 내의 유효 성분들을 분석한 결과인 표 2, 표 3 및 표 4의 결과를 토대로 글리세롤 전환률을 평가하였다.
도 1은 시간 및 에테르 용매 유무, 이소부텐/글리세롤 함량 비율에 따른 글리세롤 전환률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반응의 경우 비교예 1에 따른 반응에 비하여 초기(5 시간 이내) 글리세롤 전환률이 급격히 증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mono - GTBE 선택도 평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서 수득된 상층 용액 내의 유효 성분들을 분석한 결과인 표 2, 표 3 및 표 4의 결과를 토대로 모노-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mono-GTBE)의 선택도를 평가하였다.
도 2는 시간 및 에테르 용매 유무, 이소부텐/글리세롤 함량 비율에 따른 모노-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의 선택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반응의 경우 비교예 1에 따른 반응에 비하여 시종 일과 높은 mono-GTBE(MTBG) 선택도를 나타냈으며 특히, 초기(5 시간 이내) mono-GTBE 선택도가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mono - GTBE 수율 평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서 수득된 상층 용액 내의 유효 성분들을 분석한 결과인 표 2, 표 3 및 표 4의 결과를 토대로 모노-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mono-GTBE)의 수율을 평가하였다.
도 3은 시간 및 에테르 용매 유무, 이소부텐/글리세롤 함량 비율에 따른 모노-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의 수율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반응의 경우 비교예 1에 따른 반응에 비하여 시종 일관 높은 mono-GTBE(MTBG) 수율을 나타냈으며 특히, 초기(5 시간 이내) mono-GTBE 수율이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di - GTBE tri - GTBE 의 수율 평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서 수득된 상층 용액 내의 유효 성분들을 분석한 결과인 표 2, 표 3 및 표 4의 결과를 토대로 다이-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di-GTBE) 및 트리-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tri-GTBE)의 수율을 평가하였다.
도 4는 시간 및 에테르 용매 유무, 이소부텐/글리세롤 함량 비율에 따른 다이-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 및 트리-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 의 수율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반응의 경우 비교예 1에 따른 반응에 비하여 시종 일관 제한된 di-GTBE (도 4의 A) 및 tri-GTBE(도 4의 B) 의 수율을 나타냈으며, 특히 초기(10 시간 이내)에는 상기 di-GTBE(DTBG) 및 tri-GTBE(TTBG)의 수율이 현저히 제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반응 종료 시각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mono-GTBE(MTBG)의 선택도 및 수율을 극대화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시간 및 에테르 용매 유무, 이소부텐/글리세롤 함량 비율에 따른 글리세롤 전환률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시간 및 에테르 용매 유무, 이소부텐/글리세롤 함량 비율에 따른 모노-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의 선택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시간 및 에테르 용매 유무, 이소부텐/글리세롤 함량 비율에 따른 모노-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의 수율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시간 및 에테르 용매 유무, 이소부텐/글리세롤 함량 비율에 따른 다이-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 및 트리-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 의 수율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14)

  1. 소수성 용매 하에서 글리세롤(glycerol) 또는 글리세롤 함유 조성물을 에테르화 반응용 촉매를 이용하여 액상의 이소부텐(iso-butene)과 반응시켜 모노-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를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용매는 에테르계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테르계 용매는 단사슬(short-chain)의 에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용매는 다이-에틸 에테르, 메틸 부틸에테르 및 다이옥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롤 또는 글리세롤 함유 조성물은 바이오디젤 생성 반응의 부산물로부터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용매는 상기 글리세롤 1몰 또는 글리세롤 함유 조성물 내의 글리세롤 1몰에 대하여 1 내지 5몰의 몰 비율이 되도록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50 내지 150℃의 온도 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부텐은 상기 글리세롤 1몰 또는 상기 글리세롤 함유 조성물 내의 글리세롤 1몰에 대하여 1 내지 5몰의 몰 비율이 되도록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회분식 반응(batch reaction)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이 이루어지는 반응기는 연속적 교반이 가능한 교반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테르화 반응용 촉매는 브뢴스테드 산 또는 루이스 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테르화 반응용 촉매는 리튬(Li), 나트륨(Na), 바륨(Ba), 마그네 슘(Mg), 세슘(Cs), 알루미늄(Al), 란탄늄(La) 및 은(Ag)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함유하는 이온교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테르화 반응용 촉매는 금속 함유 헤테로폴리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함유 헤테로폴리산은 금속이 배위되어 형성되고 중심 원소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90016835A 2009-02-27 2009-02-27 모노-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의 제조방법 KR101104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835A KR101104570B1 (ko) 2009-02-27 2009-02-27 모노-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835A KR101104570B1 (ko) 2009-02-27 2009-02-27 모노-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937A true KR20100097937A (ko) 2010-09-06
KR101104570B1 KR101104570B1 (ko) 2012-01-11

Family

ID=43004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835A KR101104570B1 (ko) 2009-02-27 2009-02-27 모노-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5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5422A2 (ko) * 2011-02-22 2012-08-30 대림산업 주식회사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0830A1 (en) 2015-01-30 2016-08-04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Methods for preparing glycerol tert-butyl ether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4501B1 (en) * 1997-10-31 2001-01-16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Nebraska System and process for producing biodiesel fuel with reduced viscosity and a cloud point below thirty-two (32) degrees fahrenheit
KR100982632B1 (ko) * 2007-11-19 2010-09-15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글리세롤 에테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5422A2 (ko) * 2011-02-22 2012-08-30 대림산업 주식회사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
WO2012115422A3 (ko) * 2011-02-22 2012-10-18 대림산업 주식회사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
US8766015B2 (en) 2011-02-22 2014-07-01 Daelim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preparing a glycol mono-tertiary-butylether comp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4570B1 (ko)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Catalytic conversion of cellulose-based biomass and glycerol to lactic acid
Melero et al. Acid-catalyzed etherification of bio-glycerol and isobutylene over sulfonic mesostructured silicas
KR100982632B1 (ko) 글리세롤 에테르의 제조방법
KR102073830B1 (ko) 카보네이트 및 디올 생성물의 제조 방법
US9868712B2 (en) Synthesis of alkylfurans
Wang et al. Efficient one-pot valorization of ethanol to 1-butanol over an earth-abundant Ni–MgO catalyst under mild conditions
CN107674195B (zh) 一种聚氧化乙烯类聚合物的合成催化剂及其合成方法
US20180016217A1 (en) Methods for preparing glycerol tert-butyl ethers
KR101104570B1 (ko) 모노-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의 제조방법
KR101104504B1 (ko) 다이-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의 제조방법
KR100644246B1 (ko) 동·식물유로부터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
US20100251609A1 (en) Process for Making a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Two Different Dialkyl Ethers
EP3015446B1 (en) Method for producing allyl alcohol and allyl alcohol produced thereby
CN110128273B (zh) 一种二(缩乙二醇碳酸甲酯)碳酸酯的合成方法
KR101307559B1 (ko) 고활성 촉매를 이용한 글리세롤 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US9856194B2 (en) Catalysts for the production of methanol from carbon dioxide
CN102059147B (zh) 一种催化氧化羰化合成碳酸二乙酯的制备方法
KR101293818B1 (ko) C9-알데히드의 생성이 극대화된 α, β-불포화 알데히드의 제조방법
KR101152907B1 (ko) 칼슘 알콕사이드 촉매를 이용한 글리세롤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KR100921944B1 (ko)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제조방법
KR20200043648A (ko) 이온성 액체와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2,5-퓨란디카르복시산의 제조방법
EP3221285B1 (en) Process for making biobased propylene glycol from lactic acid esters
JPS6133180A (ja) エポキシ化合物の製造方法
JP2007126450A (ja) マイクロ波によるetbeの合成方法
JPS632609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