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6691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6691A
KR20100096691A KR1020090015702A KR20090015702A KR20100096691A KR 20100096691 A KR20100096691 A KR 20100096691A KR 1020090015702 A KR1020090015702 A KR 1020090015702A KR 20090015702 A KR20090015702 A KR 20090015702A KR 20100096691 A KR20100096691 A KR 20100096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bin
discharge
dischargin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9156B1 (ko
Inventor
정일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5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156B1/ko
Publication of KR20100096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5Ice bins therefor with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6Ice-crusher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8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for different type of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상기 냉장고는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빙 장치와, 상기 제빙 장치에서 제빙된 얼음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디스펜서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펜서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얼음이 배출될 수 있다.
냉장고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실시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의 상태로 보관하는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저장실을 개폐시키는 도어가 포함된다. 상기 저장실은 냉동실 또는 냉장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에는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빙 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에는 상기 제빙 장치에서 생성된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빙 유닛; 상기 제빙 유닛에서 생성된 얼음이 저장되며, 얼음을 분쇄하기 위한 얼음 분쇄기가 구비되는 아이스 빈; 및 상기 아이스 빈에 저장된 얼음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디스펜서가 포함되고, 상기 아이스 빈에는, 각 얼음 또는 조각 얼음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부가 포함되며, 상기 배출부에는 일정 크기 이하의 조각 얼음이 통과되도록 하기 위한 네트 부재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얼음을 형성하기 위한 제빙 유닛; 상기 제빙 유닛에서 생성된 얼음이 저장되며, 얼음을 분쇄하기 위한 얼음 분쇄기가 구비되는 아이스 빈; 및 상기 아이스 빈에 저장된 얼음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디스펜서가 포함되고, 상기 아이스 빈에는, 각 얼음이 배출되기 위한 제 1 배출구; 일정 크기 이하의 조각 얼음이 배출되기 위한 제 2 배출구; 및 상기 제 1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셔터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조각 얼음의 취출 선택 시, 네트 부재에 의해서 일정 크기 이하의 조각 얼음이 배출되므로, 조각 얼음이 입구가 좁은 병 등으로 용 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얼음을 취출한 후에 병 등의 입구 보다 작은 크기로 분쇄하고, 분쇄된 얼음을 직접 병에 삽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일 례로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로 배치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가 도시되나, 본 실시예의 사상은,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측에 배치되는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나,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측에 배치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의 냉장고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시키는 냉장고 도어가 포함된다.
상기 저장실에는, 냉동실(11)과 냉장실(12)이 포함된다. 상기 냉장고 도어에는 상기 냉동실(11)을 개폐시키는 냉동실 도어(20)와, 상기 냉장실(12)을 개폐시키는 냉장실 도어(21)가 포함된다.
상기 각 도어(20, 21)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22)이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 도어(20)에는, 상기 냉동실(11)의 냉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빙 장치(100)와, 상기 제빙 장치(100)에서 생성된 얼음을 취출하기 위 한 디스펜서(40)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펜서(40)에는, 상기 냉장고(1)의 작동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42)와, 상기 냉장고(1)의 작동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44)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입력부(42)에는, 냉동실 및 냉장실의 온도를 선택하기 위한 온도 버튼과,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취출 버튼과, 얼음의 종류, 예를 들면 각 얼음 또는 조각 얼음(분쇄된 얼음)을 선택하기 위한 종류 선택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4)에서는 냉동실 및 냉장실의 현재 온도 또는 희망 온도와, 배출될 얼음의 크기 등이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21)에는, 사용자가 상기 냉장실 도어를 열지 않고, 상기 냉장실 내부의 음식물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홈바(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빙 장치(100)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의 상면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의 하면도이며,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100)는, 상기 냉동실 도어(20)의 배면(냉동실을 향하는 면)에 장착된다.
상세히, 상기 냉동실 도어(20)에는, 상기 냉동실 도어(2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201)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201)와 결합되며, 상기 냉동실 도어(20)의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20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201)와 상기 도어 라이너(202)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도시되지 않은 단열재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202)에는 상기 제빙 장치(100)가 안착되는 안착부(203)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부(203)에는, 상기 제빙 장치(100)에서 생성되는 얼음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유로(204)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빙 장치(100)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유닛(110)과, 상기 제빙 유닛(110)에서 생성된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 빈(120)과, 상기 제빙 유닛(110) 및 상기 아이스 빈(120)을 지지하는 서포터(150)와, 상기 서포터(150)에 결합되며, 상기 제빙 유닛(110)을 커버하는 커버(17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빙 유닛(110)은 물을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하는 물품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빙 유닛(110)의 구조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아이스 빈(120)은 상기 제빙 유닛(110)의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빙 유닛(110)에 의해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한다.
상기 아이스 빈(120)에는, 얼음이 저장되는 저장 챔버(121)와, 저장된 얼음을 아이스 빈(120)에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챔버(122)가 포함된다. 상기 저장 챔버(121)와 상기 배출 챔버(122)는 구획벽(123)에 의해서 구획된다. 상기 구획벽(123)에는 상기 저장 챔버(121)의 얼음이 상기 배출 챔버(122)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개구부(123a)가 형성된다.
상기 저장 챔버(121)에는 저장된 얼음을 상기 배출 챔버(122)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유닛(141)이 포함된다. 상기 이송 유닛(141)는 나선형상의 오거(auger)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 유닛(141)은 회전축(142)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42)은 후술할 제 1 구동 유닛에 의해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구동 유닛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저장 챔버(121)의 얼음은 상기 이송 유닛(141)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개구부(123a)를 통하여 상기 배출 챔버(122)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배출 챔버(122)에는, 이송된 얼음을 분쇄하기 위한 얼음 분쇄기가 구비된다. 상기 얼음 분쇄기는, 상기 배출 챔버(122)에 위치가 고정되는 고정 블레이드(144)와, 상기 고정 블레이드(144)에 대하여 회전되는 회전 블레이드(143)가 포함된다. 상기 회전 블레이드(143)는 상기 회전축(142)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블레이드(143)는 상기 이송 유닛(141)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아이스 빈(120)의 하측에는 상기 배출 챔버(122)와 연통되는 배출부(124)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부(124)에는, 일정 크기 이하의 조각 얼음을 배출시키기 위한 네트 부재(127)가 위치된다.
상기 네트 부재(127)에 의해서 상기 배출부(124)는 각 얼음이 배출되기 위한 제 1 배출구(124a: 도 8참조)와, 상기 네트 부재(127)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 2 배출구(128)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다수의 제 2 배출구(128)의 크기는 병 등의 입구부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120)에는, 상기 제 1 배출구(124a)와 상기 배출 챔버(122)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셔터(125)가 포함된다.
상기 네트 부재(127)는 상기 아이스 빈(120)에 고정되고, 상기 셔터(125)는 상기 아이스 빈(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셔터(125)에는 후술할 제 2 구동 유닛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26)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126)는 상기 아이스 빈(120)의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구동 유닛에 의해서 상기 동력전달부(126)가 움직이면, 상기 셔터(125)가 회전되어, 상기 배출 챔버(122)와 상기 제 1 배출구(124a)가 연통된다. 상기 셔터(125)에는 상기 동력전달부(126)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25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아이스 빈(120)에는, 후술할 제 1 구동 유닛과 선택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130)가 구비된다. 상기 제 2 커넥터(130)는, 샤프트(131)에 의해서 상기 아이스 빈(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샤프트(131)는 상기 회전축(142)과 결합된다.
상기 제 2 커넥터(13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커넥터(130)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리브(132)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리브(132)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한편, 상기 서포터(150)는 상기 안착부(203)에 결합된다. 상기 서포터(150)는 상기 도어 라이너(202)에 결합되는 수직 플레이트(153)와 상기 수직 플레이트(153)에서 절곡되며 상기 안착부(203)의 상측에 결합되는 바텀 플레이트(151)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바텀 플레이트(151)에는, 상기 안내 덕트(204)과 연통되는 홀(15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서포터(150)에는 상기 제 1 구동 유닛과 상기 제 2 구동 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제 1 구동 유닛에는 제 1 구동 모터(155)와, 상기 제 1 구동 모터(155)의 축(155a)과 결합되는 제 1 커넥터(157)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커넥터(157)에는 복수의 돌출부(158)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158)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빈(120)이 상기 서포터(150)에 장착되면, 상기 복수의 돌출부(158)는 제 2 커넥터(130)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구동 모터(155)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복수의 돌출부(158)는 상기 복수의 리브(132)에 각각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된다.
상기 제 2 구동 유닛에는, 제 2 구동 모터(159)와 상기 제 2 구동 모터(159)에 결합되는 레버(159a)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구동 모터(159)가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되면, 상기 레버(159a)가 상기 동력전달부(126)를 들어올리게 되어 상기 셔터(125)가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170)에는, 상기 냉동실(11)의 냉기가 통과하기 위한 냉기홀(170)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아이스 빈(120)에서 얼음이 배출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아이스 빈에서 조각 얼음이 배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아이스 빈에서 각 얼음이 배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종류 선택 버튼에 의해서 조각 얼음이 선택되면, 상기 제 1 배출구(124a)와 상기 배출 챔버(122)는 상기 셔터(125)에 의해서 연통이 차단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 구동 모터(155)에 의해서 상기 회전축(142)이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저장 챔버(121)에는 상기 제빙 유닛(110)에서 제빙되어 이송된 각 얼음이 저장된다.
상기 회전축(142)이 회전되면, 상기 이송 유닛(141) 및 회전 블레이드(143)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저장 챔버(121)에 저장된 각 얼음은 상기 이송 유닛(141)에 의해서 상기 배출 챔버(122)로 이송된다. 상기 배출 챔버(122)로 이송된 각 얼음은 상기 회전 블레이드(143)와 상기 고정 블레이드(144)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분쇄된다. 이와 같이 분쇄된 얼음은 상기 제 2 배출구(128)를 통하여 상기 아이스 빈(12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분쇄된 얼음의 크기가 상기 제 2 배출구(128)의 크기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 2 배출구(128)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상기 배출 챔버(122) 내에서 분쇄 과정을 더 거치게 된다. 그 후에 재차 분쇄된 얼음이 상기 제 2 배출구(128)의 크기 보다 작게 되는 경우 상기 제 2 배출구(128)를 통하여 상기 아이스 빈(120)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종류 선택 버튼에 의해서 각 얼음이 선택 되면, 상기 제 2 구동 모터(159)에 의해서 상기 셔터(125)가 회전되어, 상기 제 1 배출구(124a)와 상기 배출 챔버(122)가 연통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 구동 모터(155)에 의해서 상기 회전축(142)이 회전된다. 상기 회전축(142)이 회전되면, 상기 이송 유닛(141) 및 회전 블레이드(143)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저장 챔버(121)에 저장된 각 얼음은 상기 이송 유닛(141)에 의해서 상기 배출 챔버(122)로 이송된다. 상기 배출 챔버(122)로 이송된 각 얼음은 분쇄되지 않고 상기 제 1 배출구(124a)를 통하여 상기 아이스 빈(120)의 외부로 배출된다. 물론, 상기 배출 챔버(122)로 이송된 각 얼음은 상기 회전 블레이트(144)와의 충격에 의해서 일부 분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배출구(128)를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의 얼음을 통칭하여 "각 얼음"이라고 정의한다.
이하에서는 얼음의 종류에 따른 디스펜서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취출 유닛의 작동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각 얼음이 배출될 때의 디스펜서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조각 얼음이 배출될 때의 디스펜서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펜서(40)에는, 얼음이 배출되기 위한 취출 유닛(410)과, 상기 취출 유닛(41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 3 구동 유닛이 포함된다.
상기 취출 유닛(410)은, 상기 디스펜서(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취출 유닛(410)에는, 각 얼음이 배출되기 위한 제 1 배출 유로(412)와, 조각 얼음이 배출되기 위한 제 2 배출 유로(414)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배출 유로(412)는 각 얼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배출 유로(412)의 입구(412a)와 출구(412b)는 각 얼음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배출 유로(414)의 출구(414b)는 조각 얼음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배출 유로(414)의 유로 단면적은, 입구(414a)에서 출구(414b)로 갈수록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각 얼음이 병 등의 입구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취출 유닛(410)의 둘레면 일부에는 다수의 기어 이(416)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3 구동 유닛에는, 제 3 구동 모터(420)와, 상기 제 3 구동 모터(420)와 결합되며, 상기 기어 이(416)와 맞물리는 구동 기어(422)가 포함된다.
그리고, 얼음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 3 구동 모터(420)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제 1 배출 유로(412) 또는 상기 제 2 배출 유로(414)가 상기 안내 유로(204)와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종류 선택 버튼에 의하여 각 얼음이 선택되면, 상기 취출 유닛(21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 1 배출 유로(412)가 상기 안내 유로(204)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빈(120)에서 각 얼음이 배출된다. 그러면, 상기 아이스 빈(120)에서 배출된 얼음은 상기 안내 유로(204)를 따라 이동된 후에 상기 제 1 배출 유로(412)를 통하여 상기 냉장고의 외부로 배출된다. 물론, 각 얼음이 취출될 때에는 각 얼음 보다 큰 크기의 입구를 가지는 용기 또는 컵(C)이 상기 디스펜 서(40)에 놓여야 할 것이다.
반면, 도 11을 참조하면, 종류 선택 버튼에 의해서 조각 얼음이 선택되면, 상기 취출 유닛(41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 2 배출 유로(414)가 상기 안내 유로(204)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빈(120)에서는 분쇄된 조각 얼음이 배출된다. 그러면, 상기 아이스 빈(120)에서 배출된 얼음은 상기 안내 유로(204)를 따라 이동된 후에 상기 제 2 배출 유로(414)를 통하여 상기 냉장고의 외부로 배출된다. 물론, 각 얼음이 취출될 때에는 각 얼음 보다 큰 크기의 입구를 가지는 병(B) 등이 상기 디스펜서에 놓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조각 얼음의 취출 선택 시, 네트 부재에 의해서 일정 크기 이하의 조각 얼음이 배출되고, 취출 유닛의 선택적 회전에 의해서 상기 조각 얼음이 배출되는 배출 유로가 선택되므로, 조각 얼음이 입구가 좁은 병 등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얼음을 취출한 후에 병 등의 입구 보다 작은 크기로 분쇄하고, 분쇄된 얼음을 직접 병에 삽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빈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아이스 빈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아이스 빈(120)에는 얼음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부(224)가 포함된다. 상기 배출부(224)에는 얼음이 통과하기 위한 제 1 배출 구(224a)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빈(120)에는 상기 저장 챔버(121)의 각 얼음이 상기 제 1 배출구(224a)로 이동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셔터(225)가 포함된다. 상기 셔터(225)는 상기 아이스 빈(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셔터(225)에는 일정 크기 이하의 조각 얼음이 통과하기 위한 다수의 제 2 배출구(225a)가 형성된다.
따라서, 종류 선택 버튼에 의해서 각 얼음이 선택되면, 상기 셔터(225)가 회전되어 상기 제 1 배출구(224a)를 통하여 상기 각 얼음이 배출된다. 반면, 종류 선택 버튼에 의해서 조각 얼음이 선택되면, 일정 크기 이하의 조각 얼음이 상기 제 2 배출구(225a)를 통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셔터는 이전 실시예의 네트 부재 역할을 더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사상은 상기되는 설명에 제한되지 않으며, 하기의 내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빙 유닛, 상기 아이스 빈 및 상기 디스펜서의 위치는 제한적이지 않아서, 냉장고 본체 또는 냉동실 도어 또는 냉장실 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 일 례로, 상기 제빙 유닛 및 상기 아이스 빈은 상기 냉장고 본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냉동실 도어 또는 냉장실 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 유닛에 제 1 및 제 2 배출 유로가 구비되나, 이와 달리 단일의 배출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 유로의 크기가 얼음의 종류에 따라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례로, 얼음의 종류에 따라 상기 배출 유로의 출구 크기 가 조절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디스펜서에서 얼음이 취출되는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추가적으로 상기 냉장고에는, 물이 취출되기 위한 구조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의 상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의 하면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7은 아이스 빈에서 조각 얼음이 배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아이스 빈에서 각 얼음이 배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취출 유닛의 작동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0은 각 얼음이 배출될 때의 디스펜서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조각 얼음이 배출될 때의 디스펜서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빈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Claims (11)

  1.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빙 유닛;
    상기 제빙 유닛에서 생성된 얼음이 저장되며, 얼음을 분쇄하기 위한 얼음 분쇄기가 구비되는 아이스 빈; 및
    상기 아이스 빈에 저장된 얼음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디스펜서가 포함되고,
    상기 아이스 빈에는, 각 얼음 또는 조각 얼음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부가 포함되며, 상기 배출부에는 일정 크기 이하의 조각 얼음이 통과되도록 하기 위한 네트 부재가 위치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에는, 각 얼음이 배출되기 위한 제 1 배출구와, 상기 네트 부재에 형성되어 조각 얼음이 배출되기 위한 제 2 배출부가 포함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빈에는, 상기 제 1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셔터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 부재는 상기 아이스 빈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에는, 얼음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며, 얼음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가변되는 배출 유로를 가지는 취출 유닛이 포함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얼음의 크기에 따라 상기 취출 유닛을 선택적으로 움직이게 하기 위한 구동 유닛이 더 포함되는 냉장고.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로에는, 각 얼음이 배출되기 위한 제 1 배출 유로와, 조각 얼음이 배출되기 위한 제 2 배출 유로가 포함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출 유로의 출구는 입구 보다 작게 형성되는 냉장고.
  9. 얼음을 형성하기 위한 제빙 유닛;
    상기 제빙 유닛에서 생성된 얼음이 저장되며, 얼음을 분쇄하기 위한 얼음 분쇄기가 구비되는 아이스 빈; 및
    상기 아이스 빈에 저장된 얼음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디스펜서가 포함되고,
    상기 아이스 빈에는,
    각 얼음이 배출되기 위한 제 1 배출구;
    일정 크기 이하의 조각 얼음이 배출되기 위한 제 2 배출구; 및
    상기 제 1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셔터가 포함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출구를 정의하는 네트 부재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에는 상기 제 2 배출구가 형성되는 냉장고.
KR1020090015702A 2009-02-25 2009-02-25 냉장고 KR101519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702A KR101519156B1 (ko) 2009-02-25 2009-02-25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702A KR101519156B1 (ko) 2009-02-25 2009-02-25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691A true KR20100096691A (ko) 2010-09-02
KR101519156B1 KR101519156B1 (ko) 2015-05-11

Family

ID=43004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702A KR101519156B1 (ko) 2009-02-25 2009-02-25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1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2841B2 (en) 2012-01-06 2015-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9016B2 (ja) * 2003-02-04 2009-07-22 グラコ・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折畳式乳母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2841B2 (en) 2012-01-06 2015-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EP2613108A3 (en) * 2012-01-06 2017-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9156B1 (ko) 201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5606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EP2292991B1 (en) Refrigerator with icemaker and ice-dispenser
KR100845859B1 (ko) 얼음배출장치
US7571619B2 (en) Refrigerator
EP2584293B1 (en) Ice bucket for unlaying ice curdling
KR20060027146A (ko) 가루얼음공급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
EP2541173B1 (en) Ice bank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KR20080052503A (ko) 냉장고
KR20110072367A (ko) 냉장고
KR101555755B1 (ko) 아이스 빈 및 이를 이용한 얼음 분쇄 방법
EP2808627B1 (en) Refrigerator
KR101776297B1 (ko) 냉장고
KR20080104645A (ko) 얼음 취출 장치
KR20080020126A (ko) 냉장고
KR101555756B1 (ko) 아이스 빈 및 이를 이용한 얼음 이송 방법
EP2021706B1 (en) Refrigerator
CN113825963B (zh) 具有可拆卸储冰盒的制冷电器
KR100539562B1 (ko) 냉장실의 도어구조
KR101519156B1 (ko) 냉장고
KR20070059507A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20050028227A (ko) 상향식 얼음 취출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20080000128A (ko) 냉장고
KR20080000127A (ko) 냉장고
KR100587326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KR20100113205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