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6498A -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6498A
KR20100096498A KR1020090015400A KR20090015400A KR20100096498A KR 20100096498 A KR20100096498 A KR 20100096498A KR 1020090015400 A KR1020090015400 A KR 1020090015400A KR 20090015400 A KR20090015400 A KR 20090015400A KR 20100096498 A KR20100096498 A KR 20100096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 portion
unit
detachab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윤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5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6498A/ko
Publication of KR20100096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4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렌즈와 결합되며, 상기 렌즈를 통하여 입사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학 유닛을 구비하는 제1 블럭부와, 셔터-릴리스 버튼을 가지며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블럭부와,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3 블럭부와,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제4 블럭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내지 4 블럭부 중 적어도 두 개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블럭부들 사이에는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블럭부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부를 더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Digital picturing image apparatus}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DSLR(digital single lens reflex)과 같은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디자인이나 기능은 제조업체에 의해 결정되어 완성된 제품으로 판매된다. DSLR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디자인이나 기능에 있어서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사항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제조업체는 다양한 기능과 여러가지 디자인을 갖은 많은 기종의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를 출시하고 있다.
다양한 디자인과 기능을 갖는 여러 기종의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가 출시되어도, 이미 제품으로 출시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는 정형화된 바디(body)에 미러 어셈블리(mirror assembly), 셔터 어셈블리(shutter assembly), 배터리 어셈블리(battery assembly) 등과 같은 각각의 기능을 갖는 어셈블리가 세팅되므로 완제품의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디자인이나 기능상 다른 변화를 가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새로운 기능을 갖는 어셈블리를 추가하는데 한계가 있다.
다만,사용자는 스트로보(strobo), 배터리 그립(battery grip)등과 같은 추가 적인 액세서리(accessary)를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바디에 부착할 수 있을 뿐이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일부를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렌즈와 결합되며, 상기 렌즈를 통하여 입사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학 유닛을 구비하는 제1 블럭부와, 셔터-릴리스 버튼을 가지며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블럭부와,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3 블럭부와,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제4 블럭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내지 4 블럭부 중 적어도 두 개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블럭부들 사이에는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블럭부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블럭부들 사이를 탈착시키거나 부착시킬 수 있는 결속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일 블럭부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체결수단과, 상기 체결수단에 체결되는 타 블럭부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체결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그 외주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킬 수 있는 휠을 가지며, 상기 체결홈은 그 내주면에 상기 체결수단의 나사산과 체결이 가능한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일 블럭부의 일측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에 수용하도록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타 블럭부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지지홈을 더 구비하며, 상기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홈이 결합하여 상기 부착된 블럭부들을 지지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 연결부는,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일 블럭부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전기 접속부와,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타 블럭부의 일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기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단자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4 블럭부가 모두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럭부는 상기 제1 블럭부의 일측부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블럭부와 부착 결합된 경우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3 블럭부는 상기 제1 블럭부의 타측부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블럭부와 부착 결합된 경우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4 블럭부는 상기 제1 블럭부의 배면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블럭부와 부착 결합된 경우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따르면,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를 기능별로 블럭화하여 각각의 블럭부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사용자는 기능이 향상된 블럭부로 교체하여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전체를 교 환할 필요없이 사용자 원하는 기능을 갖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디자인을 갖는 각각의 블럭부를 조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의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는 제1 블럭부(110), 제2 블럭부(120), 제3 블럭부(130), 및 제4 블럭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내지 4 블럭부들(110, 120, 130, 140)은 적어도 두 개이상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또한 다시 결합될 수 있다.
제1 블럭부(110)는 렌즈(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으며, 내부에 광학 유닛(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학 유닛은 상기 렌즈를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광학 유닛은 입사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 입사된 광을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뷰파인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블럭부(120)는 셔터-릴리스 버튼(150)을 구비할 수 있다. 셔터-릴리스 버튼(150)은 촬영자 입력에 의해 제1 및 제2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한다. 반셔터 신호로서의 제1 셔터-릴리스 신호가 입력되면,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는 초점 을 잡고 광량을 조절하며, 이때 초점이 맞은 경우 디스플레이부(147)에 녹색 불이 켜지게 될 수 있다. 제1 셔터-릴리스 신호의 입력으로 초점이 잡고 빛의 양이 조절되면, 비로소 완전셔터 신호로서의 제2 셔터-릴리스 신호를 입력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2 블럭부(120)는 내부에 배터리(미도시)를 수납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2 블럭부(120)가 배터리를 수납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배터리 수납부는 별도의 블럭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수납부를 갖는 블럭부는 제1 블럭부(110)와 탈부착이 가능하고 제1 블럭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결속부(122, 126, 128, 132) 및 전기 연결부를 가질 수 있다.
제3 블럭부(130)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를 제어하는 각종 신호를 생성하며, 다른 블럭부들(110, 120, 140)에서 발생된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제3 블럭부(130)는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3 블럭부(130)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내부 메모리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을 총괄적으로 제어하게 되며, 각종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드라이버를 개재하여 상기 광학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고, 타이밍 생성기를 통하여 촬상 소자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정지영상/동영상의 인코더/디코 더의 가동 여부 및 그 처리대상에 대한 제어하게 된다.
제4 블럭부(140)는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7),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48, 149)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촬영모드와 이어찍기 촬영모드 간의 모드 전환 등을 위한 모드 설정 버튼(148), 표시된 메뉴 화면에서 활성화된 커서를 특정 선택지로 이동시키기 위한 4 방향 이동 버튼(149), 활성화된 커서가 지시하는 메뉴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확인 버튼(미도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촬영 동작과 관련하여 광학 줌 버튼(미도시), 망원 줌 버튼(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48, 149)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소정의 명령을 생성하여 제3 블럭부(130)의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로 전달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47)는 드라이버를 개재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와 연결되며,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전송받아 화면상에 표시해준다. 디스플레이부(147)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을 이용하여 재생화면을 표시하며, 각종 메뉴 화면을 표시하여 OSD(On Screen Display)를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4 블럭부들(110, 120, 130, 140) 각각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다. 즉, 제1 내지 4 블럭부들(110, 120, 130, 140)은 분리될 수 있으며 또한 다시 결합할 수 있다. 제1 내지 4 블럭부들(110, 120, 130, 140)은 결속부(122, 126, 128, 132)에 의해 부착되거나 탈착되며, 전기 연결부(115a, 115b, 125, 135, 116, 146)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블럭부(110)의 일측부에는 제2 블럭부(120)가 탈부착이 가능하며, 제1 블럭부(110)의 타측부에는 제3 블럭부(130)가 탈부착이 가능하다. 또한, 제4 블럭부(140)는 제1 내지 3 블럭부(110, 120, 130)가 결합된 것과 탈부착이 가능하다.
도 3은 제1 블럭부(110)의 일측부를 나타내며, 도 4는 제1 블럭부(110)와 결합되는 제3 블럭부(1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제3 블럭부(130)와 결합되는 제1 블럭부(110)의 일측부에는 체결홈(111a), 지지홈(113a, 114a), 및 전기 접속부(115a)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블럭부(110)의 일측부에 결합되는 제3 블럭부(130)의 일측부에는 상기 체결홈(111a), 지지홈(114, 115a), 및 전기 접속부(115a)에 대응하여 체결수단(131, 132), 지지수단(133, 134), 및 전기 단자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111a)은 제1 블럭부(110)의 일측부에서 함몰된 홈 구조를 가지며, 제3 블럭부(130)의 체결수단(131, 132)과 맞물리게 된다. 체결수단(131, 132)은 외주면에 숫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된 스크류(131)와 상기 스크류(131)의 일단부에 배치된 휠(132)을 구비할 수 있다. 휠(132)은 그 일부가 제3 블럭부(130) 외부로 돌출되며, 사용자는 휠(132)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류(1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체결홈(111a)은 그 내측면에 암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111a)은 상기 스크류(131)와 맞물리면서 제1 블럭부(110)와 제3 블럭부(130)를 고정 부착시킨다. 즉, 체결홈(111a)의 암나사산과 스크류(131)의 숫나사산이 서로 체결되면서 제1 블럭부(110)와 제3 블럭부(130)는 고정 부착된다.
또한, 체결홈(111a)의 암나사산과 스크류(131)의 숫나사산의 체결이 풀리게 되면 제1 블럭부(110)와 제3 블럭부(130)는 분리된다. 스크류(131)는 휠(131)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체결수단의 휠(132)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류(131)를 체결홈(111a)과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는 제1 블럭부(110)와 제3 블럭부(130) 사이에 하나의 체결수단(131. 132)과 하나의 체결홈(111a)을 구비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체결수단과 체결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블럭부(110)에 체결수단이 형성되고 제3 블럭부(130)에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블럭부(110)의 일측부에는 지지홈(113a, 114a)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흠(113a, 114a)은 제3 블럭부(130)에 형성된 지지수단(133, 134)과 결합된다. 지지홈(113a, 114a)의 내주면은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으며 평활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지지수단(133, 134)의 외주면 역시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 지지수단(133, 134)은 제3 블럭부(130)의 일측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지지홈(113a, 114a)과 지지수단(133, 134)은 서로 결합하여 제1 블럭부(110)와 제3 블럭부(130)가 고정된 상태를 지지하고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의 제1 블럭부(110)와 제3 블럭부(130)에는 지지홈(113a, 114a)과 지지수단(133, 134)이 각각 두 개씩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지지홈(113a, 114a)과 지지수단(133, 13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블럭부(110)와 제3 블럭부(130)는 전기 연결부(115a, 135)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기 연결부(115a, 135)는 전기 접속부(115a)와 전기 단자부(135)를 구비한다. 전기 접속부(115a)는 제1 블럭부(110)의 일측부에 형성되며, 전기 단자부(135)는 전기 접속부(115a)에 대응하여 제3 블럭부(130)의 일측부에 형성된다. 제1 블럭부(110)와 제3 블럭부(130)가 결속부(111a, 113a, 114a, 131, 133, 134)에 의해 결합되면 전기 단자부(135)는 전기 접속부(115a)에 연결되어 제1 블럭부(110)와 제3 블럭부(13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접속부(135)는 핀 블럭(pin block)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기 단자부(113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 블럭의 핀들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기 접속부(135)가 제1 블럭부(110)에 형성되며, 전기 단자부(115a)가 제3 블럭부(13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전기 접속부(135)와 전기 단자부(115a)가 제1 블럭부(110)와 제3 블럭부(13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제1 블럭부(110)의 타측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제1 블럭부(110)와 결합되는 제2 블럭부(12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제2 블럭부(120)와 결합되는 제1 블럭부(110)의 타측부에는 일측부에서와 같이 체결홈(111b), 지지홈(113b, 114b), 및 전기 접속부(115b)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블럭부(110)의 타측부에 결합되는 제2 블럭부(120) 의 일측부에는 제3 블럭부(130)의 일측부에서와 같이 상기 체결홈(111b), 지지홈(113b, 114b), 및 전기 접속부(115b)에 대응하여 체결수단(121, 122), 지지수단(123, 124), 및 전기 단자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111b)은 제1 블럭부(110)의 타측부에서 함몰된 홈 구조를 가지며, 제2 블럭부(120)의 체결수단(121, 122)과 맞물리게 된다. 체결수단(121, 122)은 외주면에 숫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된 스크류(121)와 상기 스크류(121)의 일단부에 배치된 휠(122)을 구비할 수 있다. 휠(122)은 그 일부가 제2 블럭부(120) 외부로 돌출되며, 사용자는 휠(122)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류(1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체결홈(111b)은 그 내측면에 암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111b)은 상기 스크류(121)와 맞물리면서 제1 블럭부(110)와 제2 블럭부(120)를 고정 부착시킨다. 즉, 체결홈(111b)의 암나사산과 스크류(121)의 숫나사산이 서로 체결되면서 제1 블럭부(110)와 제2 블럭부(120)는 부착되어 고정된다. 또한, 체결홈(111b)의 암나사산과 스크류(121)의 숫나사산의 체결이 풀리게 되면 제1 블럭부(110)와 제2 블럭부(120)는 분리된다. 스크류(121)는 휠(122)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체결수단의 휠(122)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류(121)를 체결홈(111b)과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는 제1 블럭부(110)와 제2 블럭부(120) 사이에 하나의 체결수단(121, 122)과 하나의 체결홈(111b)을 구비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체결수단과 체결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블럭부(110)에 체결수 단이 형성되고 제2 블럭부(120)에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블럭부(110)의 타측부에는 지지홈(113b, 114b)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홈(113b, 114b)은 제2 블럭부(120)에 형성된 지지수단(123, 124)과 결합된다. 지지홈(113b, 114b)의 내주면은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으며 평활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지지수단(123, 124)의 외주면 역시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 지지수단(123, 124)은 제2 블럭부(120)의 일측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지지홈(113b, 114b)과 지지수단(123, 124)은 서로 결합하여 제1 블럭부(110)와 제2 블럭부(120)가 고정된 상태를 지지하고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5 및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의 제1 블럭부(110)와 제2 블럭부(120)에는 지지홈(113b, 114b)과 지지수단(123, 124)이 각각 두 개씩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지지홈(113b, 114b)과 지지수단(123, 12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블럭부(110)와 제2 블럭부(120)는 전기 연결부(115b, 125)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기 연결부(115b, 125)는 전기 접속부(115b)와 전기 단자부(125)를 구비한다. 전기 접속부(115b)는 제1 블럭부(110)의 타측부에 형성되며, 전기 단자부(125)는 전기 접속부(115b)에 대응하여 제2 블럭부(120)의 일측부에 형성된다. 제1 블럭부(110)와 제2 블럭부(120)가 결속부(111b, 113b, 114b, 121, 123, 124)에 의해 결합되면 전기 단자부(125)는 전기 접속부(115b)에 연결되어 제1 블럭부(110)와 제2 블럭부(1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접속부(125)는 핀 블럭(pin block)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기 단자부(115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 블럭의 핀들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기 접속부(125)가 제1 블럭부(110)에 형성되며, 전기 단자부(115b)가 제2 블럭부(12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전기 접속부(125)와 전기 단자부(115b)가 제1 블럭부(110)와 제2 블럭부(12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제4 블럭부(140)가 다른 블럭부(110, 120, 130)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7의 (a)는 제1 내지 3 블럭부(110, 120, 13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의 (b)는 제4 블럭부(14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블럭부(110, 120, 130)와 같이 제4 블럭부(140)도 탈부착이 가능하다. 다른 블럭부들(110, 120, 130)과 접하게 되는 제4 블럭부(140)의 면에는 체결홈(141, 142, 144, 145)가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전기 접속부(146)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141, 142, 144, 145)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블럭부(120)에 배치된 체결수단(127, 129)와, 제3 블럭부(130)에 배치된 체결수단(137, 139)과 각각 체결되어 다른 블럭부들(110, 120, 130)과 제4 블럭부(140)은 부착되어 고정된다. 각각의 체결수단(126, 127, 128, 129, 136, 137, 138, 139)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127, 129 137, 139)와 제2 블럭부(120)와 제3 블럭부(13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 휠(126, 129, 136, 138)을 구비한다.
제4 블럭부(140)의 배면부에는 전기 접속부(146)가 배치되며, 제1 블럭부(110)의 배면부에는 전기 단자부(116)가 형성되며, 상기 전지 접속부(146)와 전기 단자부(116)는 제1 블럭부(110)와 제4 블럭부(140)가 부착되면 서로 연결되어 제1 블럭부(110)와 제4 블럭부(1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를 기능별로 블럭화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블럭부를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장이 있는 블럭부만을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보다 향상된 기능을 갖는 블럭부만을 교체할 수 있다. 다양한 디자인을 갖는 블럭부를 서로 조합하여 개성있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를 사용자가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블럭부의 일측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3 블럭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제1 블럭부의 타측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제2 블럭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내지 3 블럭부가 부착되어 있으며 제4 블럭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110: 제1 블럭부
120: 제2 블럭부 130: 제3 블럭부
140: 제4 블럭부

Claims (8)

  1.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렌즈와 결합되며, 상기 렌즈를 통하여 입사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학 유닛을 구비하는 제1 블럭부;
    셔터-릴리스 버튼을 가지며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블럭부;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3 블럭부; 및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제4 블럭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내지 4 블럭부 중 적어도 두 개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블럭부들 사이에는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블럭부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부를 더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블럭부들 사이를 탈착시키거나 부착시킬 수 있는 결속부를 더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일 블럭부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체결수단; 및
    상기 체결수단에 체결되는 타 블럭부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체결홈;을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그 외주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킬 수 있는 휠을 가지며,
    상기 체결홈은 그 내주면에 상기 체결수단의 나사산과 체결이 가능한 암나사산이 형성된 디지털 영상 촬영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일 블럭부의 일측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수단; 및
    상기 지지수단에 수용하도록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타 블럭부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지지홈;을 더 구비하며,
    상기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홈이 결합하여 상기 부착된 블럭부들을 지지 고정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연결부는,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일 블럭부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전기 접속부; 및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타 블럭부의 일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기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단자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4 블럭부가 모두 분리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럭부는 상기 제1 블럭부의 일측부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블럭부와 부착 결합된 경우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3 블럭부는 상기 제1 블럭부의 타측부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블럭부와 부착 결합된 경우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4 블럭부는 상기 제1 블럭부의 배면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블럭부와 부착 결합된 경우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KR1020090015400A 2009-02-24 2009-02-24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KR201000964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400A KR20100096498A (ko) 2009-02-24 2009-02-24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400A KR20100096498A (ko) 2009-02-24 2009-02-24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498A true KR20100096498A (ko) 2010-09-02

Family

ID=43004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400A KR20100096498A (ko) 2009-02-24 2009-02-24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64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0292B2 (ja) 撮像装置とカメラグリップおよび撮像システム
US7726890B2 (en) Camera
JP2007078827A (ja) 撮像装置
JP4146984B2 (ja) 撮像装置
US8934039B2 (en) External equipment storing manipulation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and camera system using such information
US10397492B2 (en) Imaging device
KR200482153Y1 (ko) 카메라 슈 연장장치
WO2019017020A1 (ja) 電子機器及び電子システム
JP7262007B2 (ja) 撮像装置
JP6381328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494359B2 (en) Imaging apparatus
JP2012208475A (ja) 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本体およびレンズユニット
JP5868038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9635281B2 (en) Imag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8754981B2 (en) Imaging apparatus with supporting device having improved heat dissipation
US11550207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ccessory, camera system including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accessory
KR20100096498A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JP6758843B2 (ja) 撮影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WO2015114933A1 (ja) カメラおよびアダプタ
US20210243359A1 (en) Imaging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selecting detected subject and method for the same
JP2010038981A (ja) カメラ
JP2010136446A (ja) 携帯型撮像機器
JP4421729B2 (ja) 撮像装置
JP4930272B2 (ja) 撮像装置、補助機器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2005321722A (ja) 三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