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6059A - 제모 장치 - Google Patents

제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6059A
KR20100096059A KR1020107004249A KR20107004249A KR20100096059A KR 20100096059 A KR20100096059 A KR 20100096059A KR 1020107004249 A KR1020107004249 A KR 1020107004249A KR 20107004249 A KR20107004249 A KR 20107004249A KR 20100096059 A KR20100096059 A KR 20100096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iers
thread
knot
hai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비 오스나트
Original Assignee
갈오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갈오프라 filed Critical 갈오프라
Publication of KR20100096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0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6/00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6/00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 A45D26/0042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with flexible members provided with slits opening and closing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6/00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 A45D26/0066Tweezers
    • A45D26/0071Tweezers the hair being extracted automatically, i.e. without manual traction by the user

Abstract

실 매듭 방법을 이용하여 대상의 털을 뽑는 장치이다. 상기 장치는 연결부재를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한 쌍의 펜치부; 및 적어도 하나의 실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펜치부 쌍은 회전부재 주위로 사용자에 의해 회전될 때 개폐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실은 교차지점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매듭을 형성하면서 휘감기는 방식으로 상기 펜치부에 의해 보유된다. 상기 펜치부가 상기 회전부재 주위로 뒤로 앞으로 반대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매듭이 이동경로를 따라서 움직이는데, 이때 상기 매듭은 체모 주위로 팽팽하게 함으로써 대상의 털을 포획하고, 팽팽해졌을 때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서 움직임으로써 털을 뽑을 수 있다.

Description

제모 장치{HAIR PLUCKING APPARATUS}
본 출원은 모든 점에서 본 출원의 일부로서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 2007년 7월 25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0/935,083호 “안면 제모 시스템(Facial Hair Removal System)”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제모 장치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모 뽑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체의 다양한 부위로부터 털을 제거하는 것은 역사를 통틀어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종교 및 문화에서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에 의해 실시되어 온 오래된 습관이다. 예를 들면 털은 안면부위 (예. 눈썹모 또는 얼굴의 다른 부위에서 자라는 털); 겨드랑이 부위; 팔, 다리, 서혜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인체의 다양한 부위에서 털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있다. 아마도 가장 일반적으로 원치 않는 털을 제거하는 방법은 피부 수준에서 원치 않는 털을 깎아 내는 레이저나 기타 칼날 형태를 이용하는 것이다.
스스로 깎는 것이 매우 쉬운 이 방법의 단점들 중에는 결과가 오래 가지 않는다는 것과, 적어도 매일 면도를 해줘야 한다는 것이며, 정교하게 개개의 털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실용적인 방법이 아니다.
또 다른 방법은 강력한 화학물질을 원치 않는 털이 있는 피부 부위에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화학물질은 털이 녹아서 타서 없어질 때까지 피부에 남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탈모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화학적 화상이나 알러지 반응 또는 둘 다를 야기할 수도 있다. 더욱이, 결과가 일정하지 않거나 오래 가지 않으면서, 추가적 또는 잦은 재 사용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이 방법은 안면 털을 제거하기에는 너무 강하거나 부적절할 수도 있다.
모낭으로부터 제모하는 것이 또 다른 방법이다. 다른 탈모 방법들이 사용되었던 경우보다, 털이 뿌리부터 제거된 부위는 더 이상 털이 나지 않게 된다. 핀셋으로 사용자는 각각의 털을 개별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지만, 특정 부위에서 모든 털을 제거하려면 시간이 오래 걸리고 부정확한 작업이다. 왁싱(Waxing)과 슈가링(sugaring)은 왁스나 당질 용액을 피부에 사용하여 제거시에 털과 함께 제거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들 방법은 안면 털을 제거하는 데에는 적합한 반면, 고통이 따르고 피부 상부층이 털과 함께 벗겨질 가능성이 있다.
실면도(threading)는 모낭으로부터 털을 제거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얼굴 털을 제거하는 데에 가장 빈번하게 이용된다. 이 방법은 고대 이집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아시아와 인도에 걸쳐서 매우 일반적이다.
실면도는 숙련자가 자신의 이와 손에 명주실의 꼰 교차지점을 쥐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 다음 상기 숙련자는 원치 않는 털을 잡아서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교차지점의 꼰 영역을 조작한다. 실면도의 이점은 많다. 이 정교하고, 섬세하고, 부드러운 안면 제모방법은 왁싱과 슈가링에 비해 덜 고통스럽고, 화학물질이나 특별한 도구가 필요하지 않으며, 숙련자가 제거대상 털에 대해 정확하게 통제권한을 갖는다.
하지만, 실면도는 숙련자를 요하는 기술로서, 자기 자신에게 실행하는 것이 곤란하거나 아예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서비스를 위해 시간을 별도로 잡거나 돈을 지불해야 한다. 더욱이, 실면도 기술이 거의 기술이 없는 실무자에 의해 행해지고 있으며, 제모가 유행하는 다수 국가들에서는 이 분야 및 기술을 실행할 수 있는 사람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모를 위해서 실면도 방법을 이용하는 체모 뽑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한 쌍의 펜치부; 및 적어도 하나의 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실이 그것의 부분들이 교차하는 교차지점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매듭을 형성하면서 휘감기는 방식으로 상기 펜치부에 의해 실이 고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펜치부 쌍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 주위로 회전될 때 펜치처럼 개폐 가능한 만곡 구조를 형성하도록 만곡될 수 있는데, 상기 장치의 매듭들은 상기 펜치부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보유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회전부재 주위로 회전 반대방향으로 상기 펜치부를 앞뒤로 회전시킬 때, 상기 매듭들은 상기 펜치부가 보유하는 감긴 실의 구조에 의해 정해진 이동경로를 따라서 각각 앞뒤로 움직일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매듭들은 이동경로를 따라서 교대로 조이고 풀릴 수 있다. 상기 매듭들이 그것들의 이동경로에 대략 인접하는 신체 부위 (피부)의 체모를 잡을 수 있는데, 이때 털들이 각각의 매듭 내에 포획되고, 포획된 털 주위 매듭을 조이고,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서 상기 매듭을 움직이고 당기는 동작에 의해서 털 뽑기가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회전부재는 각각의 펜치부 쌍 사이에 위치한 스프링으로서, 핸들 역할을 하고, 서로에게 가까워 졌다가 멀어지는 식으로 되어 있는 상기 펜치부 쌍 가장자리를 움직여서,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매듭이 상기 이동경로의 일단에 놓여지는 열린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듭이 상기 이동경로의 다른 일단에 놓여지는 닫힌 위치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펜치부의 핸들을 움직일 수 있는데, 상기 사용자가 털이 뽑혀야 하는 신체 부위에 대해서 상기 장치를 잡음으로써, 상기 매듭의 이동경로가 그 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펜치부는 상기 실 부분을 수신하고 잡아서 상기 실에 장력을 형성하면서 실 구조에서 실을 팽팽하게 보유할 수 있기에 적합한 만곡 슬릿 등의 수신-개구부, 또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핸들은 상기 실 부분을 수신하게 할 수 있는 수신-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펜치부의 다른 가장자리 각각은 상기 실의 말단을 수신하고 보유하기에 적합한 수신-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핸들 맞은편에 있는 상기 펜치부 부분의 수신-개구부는 그 말단에 틈을 가진 만곡된 슬릿일 수 있는데, 상기 실의 각 말단은 상기 틈에 의해서 수신되고 보유되기에 적합한 스토퍼(stopper)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장치는 상기 실에 조일 수 있게 하고 상기 실의 스트레칭을 더욱 촉진하게 하는 조절식 스트레칭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칭 부재는 상기 실의 스트레칭 수준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실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조절식 스트레칭 부재는 스프링의 일단에 연결된 후크를 가진 코일 스프링일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크가 상기 실이 상기 스프링에 조일 수 있게 하고, 스트레치된 방식으로 상기 실을 보유할 수 있게 하는 동안, 상기 스프링은 스트레칭시켜서 상기 실에 도달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장치를 잡고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사용하는 상기 핸들 외부면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핸들 외부면의 거칠기를 증가시켜서 핸들을 잡을 때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해준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핸들을 자동적으로 회전시킬수 있는 모터 유닛과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는데, 이때 사용자가 털을 뽑아야 하는 신체 부위에 대하여 상기 장치를 잡으면, 상기 매듭의 이동경로가 상기 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펜치부의 회전축을 제한하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회전부재가 그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제1 잠금장치 및 제2 잠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제2 잠금장치는 신체 부위에 근접하는 상기 회전부재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 잠금장치는 상기 회전부재의 맞은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잠금장치는 상기 펜치부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움푹 들어가거나 그 속에 숨겨져 있을 수도 있다. 일단 상기 장치를 신체 부위에 접근시키면 상기 펜치부의 각각의 면이 상기 제2 잠금장치 보다 신체 부위에 더욱 가까울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의하면, 복수의 펜치부 쌍이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데, 각 쌍은 상이한 실을 잡아서, 털이 뽑히게 될 신체 부위를 확장시키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핸들 부 맞은 편의 각각의 펜치부의 정면부가 아치형일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아치형 정면부의 내면은 공동부를 포함해서 상기 아치형 구조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체모 뽑는 장치를 이용하여 체모를 뽑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뽑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대하여 상기 장치를 제1 위치, 특히 실 매듭의 이동경로에 위치시키고; 및 핸들 역할을 하고, 교대로 서로에게 가까워 졌다가 멀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는, 펜치부 쌍의 가장자리를 회전 가능하게 움직이는 것이 필요하다.
추가로,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장치를 사용하기 전에 실을 펜치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방법은 상기 실의 각 말단을 각 펜치부의 정면 가장자리 (핸들 맞은편)에 위치한 수신-개구부에 놓는 단계; 상기 실을 휘감아서, 적어도 하나의 매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실을 스트레칭시키고 상기 핸들의 수신-개구부에 상기 실 부분을 놓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사용자는 상기 핸들 사이에 위치하는 실 부분을 조절부재의 후크에 고정해서, 상기 실을 스트레칭하고 실의 장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으로 간주되는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과, 예시, 및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만을 위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는 것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체모 뽑는 장치의 3차원 등각 정면도의 도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체모 뽑는 장치의 3차원 등각 배면도의 도시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체모 뽑는 장치의 각각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에서의 측면도의 도시이다.
도 4a, 4b 및 4c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장치에 실을 위치시켜서 상기 장치로하여금 지정된 구조로 실을 고정시키는 과정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모터 유닛을 갖는 체모 뽑는 장치의 모식도이다.
상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방법을 당업계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들에게 명확하게 한다.
본 발명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신체의 털들을 뽑아서 제거하기 위한 장치(100)을 제공한다.
상기 장치(100)는 안면부 털 (예. 눈썹, 콧수염 등), 서혜부 및 겨드랑이 부위 기타의 신체 부위의 털을 뽑는 데에 적합할 수 있다.
대상은 상기 장치(100)에 의해서 털이 뽑히는 사람일 수 있다.
대상 그 자신을 포함한 임의의 사용자는 상기 장치(100)를 이용해서 대상의 털을 뽑을 수도 있다.
상기 장치(100)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고안되어, 신체의 다양한 부위의 털을 뽑는 데에 적절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면부 털을 뽑기 위한 장치(100)는 서혜부 및 겨드랑이 털을 뽑는 장치(100)에 비해 작을 수도 있다.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다수의 사양을 포함하고 있는 반면,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바람직한 구현예들의 예시로서 의도되어야 한다.
하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 또는 구현이다. "일 실시예", "실시예", "일부 실시예들"의 다양한 표현들이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들을 가르키는 것은 아니다. 비록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이 하나의 실시예에 대한 내용으로 기재될 수도 있더라도, 상기 특징들은 또한 별도로 또는 적절한 조합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역으로, 비록 본 발명이 여기서 명확화를 위해 별도의 실시예들에 대한 내용으로 기재될 수도 있더라도, 본 발명은 또한 하나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에서 "일 실시예", "실시예", "일부 실시예들" 또는 "기타 실시예들"은 특별한 특성, 구조, 또는 상기 실시예들과 연관되어 기재된 특징이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아니지만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 속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채택된 표현 및 용어는 한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은 아니며, 단지 설명을 위해 사용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교시들에 대한 원리 및 이용은 첨부된 설명, 도면들, 예시들을 참조하면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언급된 세부사항들은 본 발명의 적용예를 한정하기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이 다양한 방식으로 실행 또는 실시될 수 있고, 본 발명이 하기 상세한 설명에 개시된 것들 이상의 실시예들로 적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용어 "포함하는", "가지는”, “이루어지는" 및 그들의 문법적 변형예들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특징, 단계, 또는 정수 또는 그들의 그룹의 부가를 배제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구성요소, 특징, 단계 또는 정수들을 특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어구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및 그 문법적 변형예들은 여기서 사용될 때 부가 구성요소, 단계, 특징, 정수 또는 그들의 그룹을 제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선 안 되고, 오히려 상기 부가 특징, 정수, 단계, 구성요소 또는 그들의 그룹이 청구항 성분, 장치 또는 방법의 기본적이고 신규한 특성들을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또는 청구항들이 "부가적" 요소를 가리킨다면, 그것은 상기 부가적 요소가 하나 이상 있을 수 있음을 배제하지 않는다. 청구항들이나 명세서에서 "일" 또는 "하나의" 성분을 가리킨다면 그것은 상기 성분이 단 하나임으로 해석되어선 안 된다. 명세서에서 성분,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포함 "될 수도", "되었을 수도", "할 수" 또는 "하였을 수" 있다 라고 언급하는 경우에는, 특별한 성분,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적용 가능한 경우에, 상태도, 흐름도 또는 양자 모두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이 그러한 도면들이나 관련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흐름이 각각의 삽입된 박스나 상태를 따라 이동하거나, 삽입되고 설명된 바와 정확히 동일한 순서대로 이동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방법들은 선택된 단계들 또는 임무들을 수동, 자동, 또는 그들의 조합 형태로 수행하거나 완성함으로써 실행될 수도 있다. 용어 "방법"은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계 실무자들에게 알려졌거나, 그들에 의해 공지의 방식들, 수단들, 기술들 및 공정들로부터 쉽게 개발된 방식들, 수단들, 기술들 및 공정들을 포함한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방식들, 수단들, 기술들 및 공정들을 의미한다. 상기 상세한 설명, 예시들, 청구항에 기재된 방법들 및 성분들 및 명세서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선 안 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서 사용된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의 의미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계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것들과 동질하거나 유사한 방법들과 성분들로 시험 또는 실시하여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거나 언급되어 있는 등록특허, 특허출원 및 논문을 포함한 어떠한 간행물들이라도, 각 간행물이 특정적이고 개별적으로 여기에 병합되도록 지적된 것과 동일한 범위에 이르도록 여기서 그 전문이 병합 참조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인용되거나 인지된 참조문헌들은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 활용 가능하다는 뜻으로 해석되어선 안 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체모 뽑는 장치(100)의 각각 3차원 등각 정면도 및 배면도에 해당하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장치(100)는 하기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적어도 한 쌍의 펜치부(110)
·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121)를 포함하는 연결부재(120)
· 적어도 하나의 실(10); 및
· 조절부재(125).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각 펜치부(110) 중 하나의 가장자리가 핸들(111) 역할을 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손가락으로 상기 가장자리를 잡아서, 교대로 서로에게 가까워 졌다가 멀어지는 방식으로 되어 있는 상기 핸들(111) 가장자리를 움직임으로써 수동으로 상기 펜치부(110)를 지정된 회전 축(99)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펜치부(110)의 다른 가장자리에는 실(10)이 고정될 수 있는 펜치 유사 공간이 형성되고, 여기서 상기 장치(100)의 일 측면을 고정된 실(10)과 근접시키고, 원하는 신체 부위 (상기 부위의 피부 근처)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서 체모 뽑기가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핸들(111)은 서로에 대해서 핸들(111)을 교대로 눌렀다 (핸들(111)을 클러칭함) 풀었다 하여 열린 위치로 후진할 수 있도록, 수동으로 상기 장치(100)를 작동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핸들(111)을 누를 때, 사용자는 핸들(111)을 클러칭하기 위해 자신의 손가락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펜치부(110)는 연결부재(120)를 통해서 서로에게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펜치부(110) 쌍은 상기 회전부재(121) 주위로 사용자에 의해 회전될 때 개폐 가능한 구조 (예. 핀체 모양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20)는 회전부재(121)로서 각각 돌출하여 펜치부(110) 내면을 지지하는 두 개의 가장자리를 갖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여기서 상기 스프링은 관통해서 삽입되는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게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20)는 상기 중심축과 스프링(121)이 그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제1 잠금장치(122A) 및 제2 잠금장치(122B)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펜치부(110)는 상기 실(10) 부분을 수신하고 잡아서 실(10) 구조에 실(10)이 팽팽하게 보유될 수 있기에 적합한 만곡 슬릿 등의 수신-개구부(115) 또는 홀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핸들(111)은 상기 실(10)의 중간 부분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수신-개구부(115) 슬릿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펜치부(110)의 다른 가장자리에 위치한 상기 수신-개구부 슬릿은 상기 실(10)의 말단을 수신하기에 적합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10) 말단은 스토퍼(11)에 연결될 수도 있는데, 상기 스토퍼(11)는 상기 실(10)의 단면 길이보다 직경이 더 큰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토퍼(11)는 플라스틱, 고무, 상기 실(10) 재료 등 당 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재료로 된 것일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펜치부(110)의 정면 가장자리의 슬릿 수신-개구부(115)는 상기 스토퍼(11)를 수신하고 고정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큰 틈(116)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수신-개구부(115)는 실(10)의 장력을 이용해서 탈모를 가능하게 하는 팽팽한 구조 상에 상기 실(10)을 보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재(125)는 코일 스프링(126) 및 후크(127)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여기서 상기 후크(127)는 상기 코일 스프링(126)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126)의 타단은 상기 연결부재(120)에 연결되어 있다.
일단 상기 실(10)이 이미 상기 수신-개구부(115)에 의해서 고정되면, 조절식 스트레칭 부재(125)가 상기 실(10)에 조일 수 있고 상기 실(10)의 스트레칭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127)가 상기 실(10)에 조일 수 있게 하고, 더욱 스트레치된 방식으로 상기 실(10)을 고정할 수 있게 하는 동안, 상기 코일 스프링(126)을 스트레칭 시켜서 상기 실(10)에 도달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펜치부(110)의 정면부(상기 핸들(111) 부 맞은 편)가 아치형일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아치형 정면부의 내면이 공동부(113)(cavity)를 포함해서 구조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데, 상기 펜치부(110)를 형성하는 사이즈, 구조 및 재료에 따라서 상기 핸들(111)의 회전이 상기 부분들을 해체할 수 있는 압력을 인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111) 외측부는 거친 재료로 이루어지거나, 돌출부(112)를 포함함으로써 핸들(111) 외부면의 거칠기를 증대시키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핸들(111)을 잡고 회전시키는 것을 촉진할 수도 있는데, 부드러운 표면은 사용자의 손이 핸들(111)에서 미끄러지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10)이 그것의 부분들이 교차하는 교차지점(15)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매듭(17)을 형성하면서 휘감기는 방식으로 상기 펜치부(110)에 의해 실(10)이 지지될 수도 있다. 상기 매듭(17)은 상기 펜치부(110) 및 조절부재(12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매듭(17)은 실(10)의 일부분을 다른 부분에 휘감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 형 매듭(17)일 수도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100)의 펜치부(110)가 완전히 닫힌 위치에 있게 되면, 상기 실(10)의 매듭(17)이 지정된 첫번째 말단 위치에 도달할 수 있고, 이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펜치부(110)가 완전히 열린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매듭(17)이 다른 두번째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상기 매듭(17)이 상기 열린 위치에서 닫힌 위치로 움직이거나 그 역에 의해서 이동경로 A가 결정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열린 위치 및 닫힌 위치)가 교대로 변함으로써 이에 대응하여 각 매듭(17)의 장력이 변하게 되는데, 상기 핸들(111)이 번갈아 열리고 닫히는 동작으로 인해, 일단 상기 한쪽으로 이동하고 나서 다른 쪽으로 이동할 때 뒤로 팽팽해지면, 상기 이동경로 A 중의 한쪽이 다른 쪽보다 더 작은 장력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매듭(17)으로 하여금 약간 열리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듭(17)이 상기 이동경로 A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움직일 때, 상기 실(10)이 매듭(17)에 인가된 장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펜치부(110)는 만곡될 수도 있다.
상기 펜치부(110)가 열리고 닫히는 것은 상기 핸들(111)을 반대 회전 방향 - 교대로 서로에게 가까워 졌다가 멀어지는 방식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펜치부(110) 핸들(111)이 상기 회전부재(121) 주위로 뒤로 앞으로 반대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실(10)에 있는 매듭(17)은 상기 이동경로 A를 따라서 후진 및 전진하는데, 이때 상기 매듭(17)은 상기 이동경로 A를 따라서 상기 이동경로 A 말단 중 하나 쪽으로 움직이는 동안 팽팽해지고, 상기 이동경로 A의 다른 말단 쪽으로 움직일 때에는 다소 헐거워 질 수도 있다.
상기 매듭(17)이 그 안에 있는 이동경로 A에 근접한 체모를 잡고, 상기 이동경로 A의 일단에 도달했을 때 잡힌 털 주위를 팽팽하게 하여, 상기 이동경로 A를 따라서 그 경로의 타단 쪽으로 매듭(17)을 움직여서 당김으로써 털을 뽑을 수 있게 한다. 상기 핸들(111)을 충분한 회전 속도와 토크로 뒤로 앞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실(10)의 매듭(17)이 교대로 팽팽해지고 헐거워져서, 이에 따라 상기 매듭(17)이 이동경로 A를 따라서 움직이면서 붙잡는 것을 뽑을 수 있으며, 그리고 나서 상기 경로 A의 말단 중 하나 등으로 되돌아갈 때 보다 헐거워진 위치로 돌아간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10)은 상기 매듭(17)이 상기 장치(100)의 측면 중 하나로 약간 돌출하는 방식으로 지지될 수도 있다. 상기 측면은 신체 피부 및 몸 부위에 근접하거나 접촉되어서 상기 탈모 과정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도 3a,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잠금장치(122B)는 신체 부위에 인접하는 상기 회전부재(121)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 잠금장치(122A)는 상기 회전부재(121)의 맞은편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잠금장치(122B)는 상기 펜치부(110)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움푹 들어가거나 그 속에 숨겨져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가 상기 매듭(17)이 신체 부위에 근접되었을 때 체모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하지 못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원하는 신체 부위로부터 체모를 뽑기 위해서, 사용자는 선택한 신체 부위에 대하여 상기 장치(100)를 제1 위치, 특히 상기 매듭(17)과 이동경로 A의 돌출 부위에 위치시키고; 및 교대로 서로에게 가까워 졌다가 멀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는, 펜치부(110) 쌍의 가장자리를 회전 가능하게 움직이는 것 (예. 핸들(111) 사용)이 필요하다.
상기 핸들(111)을 움직임으로써 상기 매듭(17)이 이동경로 A를 따라서 후진 및 전진하고, 이에 따라 털을 뽑는 것을 달성할 수 있는데, 상기 이동경로 A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체모가 상기 매듭(17) 내로 붙잡히고, 상기 이동경로 A를 따라서 매듭(17)을 움직임으로써 매듭(17)을 체모 주위로 조여서, 이동경로를 따라서 매듭(17)을 더욱 당겨서 뽑는 것이 가능해진다.
수신-개구부(115)와 조절부재(125)에 실(10)을 놓는 방법에 대한 모식도인, 도 4a,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한다.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10)의 각 말단을 각 펜치부(1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수신-개구부(115)에 놓는 단계 (가능하게는 틈(116) 안에 스토퍼(11)를 위치시키는 것에 의함);
·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10)을 휘감아서 적어도 하나의 매듭(17)을 형성하는 단계; 및
·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10)을 스트레칭시키고, 상기 실(10) 부분을 상기 핸들(111)의 수신-개구부(115)에 놓는 것 뿐만 아니라, 상기 스트레칭 수준을 조절하고 이에 따라 상기 수신-개구부(115)에 걸려 있는 실(10)의 장력을 조절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은 코일 스프링(126)을 핸들(111) 사이에 걸려 있는 실(10) 쪽으로 스트레칭시키고, 후크(127)에 의해 실(10)을 팽팽하게 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100)는 회전부재(121) (예. 스프링)와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는 모터 유닛(500)을 더욱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모터 유닛(500)은 펜치부(110)를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는데, 사용자가 털이 뽑혀야 하는 신체 부위에 대하여 상기 장치(100)를 쥐고 있는 동안 상기 스프링(121)을 자동으로 회전시켜서, 교차지점(15)의 이동경로 A가 상기 부위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이다. 상기 모터 유닛(500)은 모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샤프트, 및 예를 들어 회전부재(121)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토크를 인가시킬 수 있는, 모터를 작동시키는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유닛(500)은 장치(100)를 작동시키는 데에 있어서 사용자 (사용 대상일 수도 있음)로 하여금 수고를 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펜치부(110) 쌍이 회전부재(1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는데, 털이 뽑여야 하는 신체 부위를 확장시키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서 각 쌍은 상이한 실(10)을 잡을 수도 있다. 상기 실(10)은 상이한 길이, 종류 또는 두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펜치부(110)는 플라스틱, 나무, 폴리머 고체, 금속 등과 같이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고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실(10)은 실(10)과 체모 사이에 높은 마찰을 줄 수 있기 위해서, 매우 거친 것으로서 예를 들면 목화 또는 낮은 평활도를 지닌 기타 직물 등과 같이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10)은 진정 물질을 도포 및/또는 함유하여, 매듭(17)이 체모를 뽑는 도중 또는 이후에 신체 피부를 진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 진정 물질은 피부를 진정시킬 수 있는, 실(10)을 코팅하는 알로에 베라 겔, 상기 실(10)에 흡수된 카모카일 분말 또는 액체, 흡수되고 실(10)을 코팅하는 진정 물질 등의 혼합물 등과 같이,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액체, 젤 또는 고체 물질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제한된 수의 실시예들에 의해서 설명되었지만,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서 의도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예시로서 의도되어야 한다. 당업계 기술자라면 역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들 수 있는 다른 가능한 변형예, 변경, 및 적용예들을 상상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설명된 것에 의해서만 제한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들의 법률적 균등물들에 의해 한정되어야 한다.

Claims (22)

  1.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한 쌍의 펜치부; 및 적어도 하나의 실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펜치부 쌍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 주위로 회전될 때 개폐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실은 그것의 부분들이 교차하는 교차지점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매듭을 형성하면서 휘감기는 방식으로 상기 펜치부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듭은 상기 펜치부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보유되고, 여기서, 상기 펜치부가 상기 회전부재 주위로 회전 반대방향으로 앞뒤로 회전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듭은 상기 펜치부가 보유하는 실의 구조에 의해 정해진 이동경로를 따라서 각각 앞뒤로 움직일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듭은 이동경로를 따라서 교대로 조이고 풀릴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매듭은 그 내부에 이동경로에 인접하는 체모를 잡고, 잡힌 털 주위를 조이고,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서 상기 매듭을 움직여서 당기는 것에 의해서 털을 뽑을 수 있는, 털 뽑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각각의 펜치부 쌍 사이에 위치한 스프링이며, 핸들 역할을 하고, 서로에게 가까워 졌다가 멀어지는 식으로 되어 있는 상기 펜치부 쌍 가장자리를 수동으로 움직임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매듭이 상기 이동경로의 일단에 놓여지는 열린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듭이 상기 이동경로의 다른 일단에 놓여지는 닫힌 위치로 상기 장치를 움직이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털이 뽑혀야 하는 신체 부위에 대해서 상기 장치를 잡아서, 상기 매듭의 이동경로가 그 부위에 위치하게 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가 상기 펜치부의 핸들을 움직이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펜치부는 상기 실 부분을 수신하고 잡아서 상기 실 구조에서 실을 팽팽하게 보유할 수 있기에 적합한 수신-개구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각각의 핸들은 상기 실 부분을 수신할 수 있는 수신-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펜치부의 다른 가장자리 각각은 상기 실의 말단을 수신하고 보유하기에 적합한 수신-개구부를 포함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개구부는 만곡된 슬릿이며, 상기 실의 각 말단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슬릿에 의해서 수신되고 보유되기에 적합한 스토퍼(stopper)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펜치부의 하나의 가장자리에 있는 슬릿은 상기 스토퍼를 수신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펜치부의 다른 가장자리에 있는 슬릿은 상기 실 부분을 수신하고 보유하기에 적합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에 조일 수 있게 하고 상기 실의 스트레칭을 더욱 촉진하게 하는 조절식 스트레칭 부재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스트레칭 부재는 상기 실의 스트레칭 수준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실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인,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식 스트레칭 부재는 후크를 가진 코일 스프링이며, 여기서 상기 후크는 상기 스프링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고, 여기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실에 도달하도록 스트레칭할 수 있고, 상기 후크는 상기 실이 상기 스프링에 조일 수 있게 하고, 스트레치된 방식으로 상기 실을 보유할 수 있게 하는,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를 잡고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핸들의 외부면은, 상기 핸들의 외부면의 거칠기를 증가시켜서 핸들을 잡을 때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해주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핸들을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 유닛과 연결되어 작동하고, 상기 사용자가 털을 뽑아야 하는 신체 부위에 대하여 상기 장치를 잡으면, 상기 교차지점의 이동경로가 상기 부위에 위치하게 되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펜치부의 회전축을 한정하면서, 상기 회전부재가 그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제1 잠금장치 및 제2 잠금장치를 더 포함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은 그것의 교차지점을 갖는 구조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매듭을 털을 뽑을 신체 부위에 최대한 근접시키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제2 잠금장치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2 잠금장치는 상기 회전부재의 측면에 연결되어 있고, 신체 부위에 근접해 있고, 상기 제1 잠금장치는 상기 회전부재의 반대측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잠금장치는 상기 펜치부 사이에 위치하고 움푹 들어가 있고, 상기 장치가 신체부위에 근접되었을 때, 상기 펜치부 측면이 상기 제2 잠금장치보다 신체부위에 더 근접하는,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펜치부(110) 쌍은 상기 회전부재(1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털이 뽑여야 하는 신체 부위를 확장시키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서 각 쌍은 실(10)을 고정하는,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펜치부(110)는 플라스틱, 나무, 폴리머 고체 및 금속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고체 물질로 이루어지는,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10)은 체모에 높은 마찰력을 주도록 매우 거친 재료로 이루어지는,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목화로 이루어지는,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111) 부 맞은 편에 있는 각 펜치부(110)의 정면부는 아치형이며, 여기서 상기 아치형 정면부의 내면이 공동부(113)(cavity)를 포함해서 상기 아치형 구조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10)은 매듭(17)이 체모를 뽑는 도중에 신체 피부를 진정시킬 수 있는 진정 물질을 포함하는, 장치.
  18. 연결부재를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한 쌍의 펜치부; 및 상기 펜치부에 의해 장력이 걸린 교차지점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매듭을 형성하면서 휘감기고 상기 펜치부에 의해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실을 포함하는 털 뽑는 장치를 사용하여 체모를 뽑는 방법으로서,
    - 신체 부위에 대하여 상기 장치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 핸들 역할을 하고, 교대로 서로에게 가까워 졌다가 멀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는, 상기 펜치부 쌍의 가장자리를 회전 가능하게 움직이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핸들(111)을 움직이는 단계에 의해서 적어도 하나의 매듭(17)이 상기 실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듭(17)의 움직임에 의해 결정된 이동경로 A를 따라서 후진 및 전진하며,
    여기서, 상기 이동경로 A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체모가 상기 매듭에 잡히고, 상기 이동경로 A를 따라서 상기 매듭을 움직이는 것에 의해서 상기 체모 부근의 매듭을 팽팽하게 하여 상기 체모를 뽑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를 사용하기 전에 상기 실을 상기 펜치부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으로서, 여기서, 상기 펜치부는 상기 실 부분을 수신하고 보유해서 상기 실 구조에서 실을 팽팽하게 보유할 수 있도록 수신-개구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각각의 상기 핸들은 상기 실 부분을 수신하고 보유하는 수신-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펜치부의 다른 가장자리 각각은 상기 실의 말단을 수신하고 보유하기에 적합한 수신-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 상기 실(10)의 각 말단을 각 펜치부(110)의 상기 다른 가장자리에 위치한 수신-개구부(115)에 놓는 단계;
    - 상기 실(10)을 휘감아서 적어도 하나의 매듭(17)을 형성하는 단계; 및
    - 상기 실(10)을 스트레칭시키고, 상기 실(10) 부분을 상기 핸들(111)의 수신-개구부(115)에 놓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개구부에 놓인 실의 스트레칭 수준을 조절하고, 실의 장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으로서, 여기서 상기 장치는 상기 핸들 사이에 위치하고, 서로 연결되어 있는 후크 및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트레칭 부재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조절은 상기 코일 스프링을 상기 핸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실 부분 쪽으로 스트레칭시키고, 상기 후크에 의해서 상기 실을 조이는 것에 의해 실시되는,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핸들(111)을 서로에 대해서 수동으로 교대로 클러칭하여, 상기 펜치부를 회전시키고, 상기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00)는 회전 가능한 연결부재(120)와 연결되어 작동가능한 모터 유닛(500)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모터 유닛(500)은 자동으로 상기 펜치부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인, 방법.
KR1020107004249A 2007-07-25 2008-07-24 제모 장치 KR201000960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3508307P 2007-07-25 2007-07-25
US60/935,083 2007-07-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059A true KR20100096059A (ko) 2010-09-01

Family

ID=40281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249A KR20100096059A (ko) 2007-07-25 2008-07-24 제모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030430A1 (ko)
EP (1) EP2170187A2 (ko)
KR (1) KR20100096059A (ko)
CN (1) CN101801291A (ko)
AU (1) AU2008278652A1 (ko)
WO (1) WO200901374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170B1 (ko) * 2020-01-23 2020-04-20 이순 솜털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69971A1 (en) * 2009-06-22 2010-12-22 Sivashanthan Sivapala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threading
US8192446B2 (en) * 2010-06-01 2012-06-05 Michael Mueller Hair removal apparatus and method
US20120089156A1 (en) * 2010-10-11 2012-04-12 Creative Propertie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hair removal
US8608757B2 (en) * 2010-12-03 2013-12-17 Natasha Iwegbu Apparatus and method for hair removal
US9320334B2 (en) * 2011-06-16 2016-04-26 Sweet Tea Innovations, Llc Hair removal apparatus
GB2518123B (en) * 2013-04-23 2020-03-25 Khan Iram A thread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8425A (en) * 1997-09-22 1999-06-01 Adam; Helen Depilatory device and method of use
US5951573A (en) * 1998-05-15 1999-09-14 Yashar; Parviz Manual depilatory device
US20040249390A1 (en) * 2003-06-03 2004-12-09 Guita Dovas Manual depilatory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6925689B2 (en) * 2003-07-15 2005-08-09 Jan Folkmar Spring clip
US7235085B1 (en) * 2004-09-27 2007-06-26 Tahir Shaheen F Hair removal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170B1 (ko) * 2020-01-23 2020-04-20 이순 솜털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13748A3 (en) 2010-01-07
EP2170187A2 (en) 2010-04-07
US20090030430A1 (en) 2009-01-29
WO2009013748A2 (en) 2009-01-29
AU2008278652A1 (en) 2009-01-29
CN101801291A (zh) 201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6059A (ko) 제모 장치
JP2011074554A (ja) 人工まつげとそれを装着する方法
JP2009500100A (ja) 毛髪の房を被覆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6113987B2 (ja) 増毛方法
US5908425A (en) Depilatory device and method of use
AU2016202232A1 (en) Hair removal apparatus and method
US62959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lighting hair
US20110295274A1 (en) Hair removal apparatus and method
JP2006152486A (ja) 増毛用治具及び増毛方法
KR100864866B1 (ko) 실을 이용한 솜털 제모기
US2012008915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ir removal
US20110106103A1 (en) Hair removal apparatus and clip
US11369379B2 (en) Hair grasping device
US201200106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Hair Removal
CA2752832A1 (en) Hair removal apparatus and clip
KR102102170B1 (ko) 솜털 제거장치
FR2800584A1 (fr) Accessoire d'exfoliation pour un appareil a epiler
US20180289373A1 (en) Hair Grasping Device
US20040249390A1 (en) Manual depilatory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9113738B2 (en) Device and system for assisting hosiery donning
GB2502352A (en) A manual hair removing device
KR101444255B1 (ko) 한 손으로 머리카락을 묶는 이지타이
US8506579B1 (en) Hair threading clips
US20140276960A1 (en) Finger Grips For Direct Depilation Of Body Hair
JP2004269373A (ja) 熱による頭髪のカール形成具及び頭髪のカール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