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4949A - 꼬임 방지 및 후퇴 방지 특성을 갖는 물수건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꼬임 방지 및 후퇴 방지 특성을 갖는 물수건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4949A
KR20100094949A KR1020100014490A KR20100014490A KR20100094949A KR 20100094949 A KR20100094949 A KR 20100094949A KR 1020100014490 A KR1020100014490 A KR 1020100014490A KR 20100014490 A KR20100014490 A KR 20100014490A KR 20100094949 A KR20100094949 A KR 20100094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l
wipe
container
wipes
w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진 더블유. 레이
키스 에이. 펠프리
Original Assignee
고조 인더스트리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조 인더스트리즈, 인크 filed Critical 고조 인더스트리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100094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47K10/3809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with roll spindles which are not directly supported
    • A47K10/381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with roll spindles which are not directly supported with a distribution opening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06Coreless paper 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Carton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물수건 디스펜서는 복수의 물수건을 담고 있는 내부를 가지는 용기를 포함한다. 그립 오리피스는 용기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연통을 제공하며, 그립 오리피스는 내부 내로 물수건이 후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디스펜서는 립 펜스를 포함하며, 용기 내의 복수의 젖은 물수건 중 선행 물수건의 선행 단부는 그립 오리피스를 통하여 연장된 후 립 펜스를 통하여 연장되어, 립 펜스에 대항하여 선행 물수건을 잡아당기기 위해 선행 단부를 잡아당기는 것이 선행 물수건의 나머지를 용기로부터 제거시키고 복수의 물수건 중 나머지 물수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선행 단부가 립 펜스에 대항하여 잡아당겨짐에 따라, 복수의 물수건 중 후행 물수건은 용기 내부의 밖으로 그 선행 단부를 제공하기 위해 그립 오리피스를 통하여 잡아당겨지며, 그립 오리피스는 후행 물수건의 이 선행 단부가 용기 내부 내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꼬임 방지 및 후퇴 방지 특성을 갖는 물수건 디스펜서{WIPES DISPENSER WITH ANTI-ROPING AND ANTI-FALLBACK FEATURES}
본 발명은 물수건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후퇴 방지 및 꼬임 방지 특성을 가지는 물수건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또한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디스펜서 내에 수용된 젖은 물수건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한 덮개 특성을 갖는 물수건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물수건 디스펜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물수건을 한 장씩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전형적으로 물수건 디스펜서는 용기 내의 개구를 통하여 제공되는 복수의 물수건을 담고 있는 용기를 포함한다. 이 용기는, 단단한 플라스틱 용기 또는 예를 들어 박막 재료로 만들어지는 가요성 용기일 수 있다. 복수의 물수건은, 페이퍼 타월의 두루마리와 매우 유사하게, 각각의 물수건이 두루마리 내에서 구멍들 사이에서 한정되는 상태로, 두루마리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물수건은 일반적인 박스 휴지와 매우 유사하게 각각의 물수건이 함께 끼워져서 제공될 수도 있다. 천공된 두루마리 및 끼워진 구조는, 용기 내의 배출 구멍을 통하여 선행 물수건(lead wipe)을 잡아당기는 것이 후행하는 다른 물수건을 끌어당기게 하여, 일단 선행 물수건이 후행 물수건(following wipe)으로부터 제거되어 분리된 후에 후행 물수건은 용기의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게 유지되어 필요시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이것은 모두 매우 잘 알려져 있다.
선행 물수건을 후행 물수건으로부터 분리해 내기 위해서, 선행 물수건이 그 구멍들에서 나머지로부터 뜯겨지거나(천공된 물수건 두루마리의 경우에) 또는 후행 물수건과의 끼워진 상태가 분리되도록(끼워져 포개진 물수건의 경우에) 후행 물수건이 어떠한 형태의 저항력을 받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용기로부터 물수건의 제거를 위한 저항력을 제공하기 위해 많은 수의 상이한 배출 오리피스(dispensing orifice)가 종래 존재하고 있다. 몇몇 종래 기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별모양 또는 다른 특수한 형상의 개구가 제공되어, 선행 물수건이 특히 수직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개구를 통해 잡아당겨질 때, 이 특수한 형상의 개구는 후행 물수건에 저항력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이 저항력은 후행 물수건으로부터 선행 물수건을 분리시키기에 충분하도록 의도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구는 탄성중합체 요소 내의 슬릿으로서 제공되며, 여기에서 이 슬릿은 용기의 외부로 물수건을 잡아당기는 것에 대한 저항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채용되어 있거나 지금까지 개발된 어떠한 형태의 그립 오리피스(grip orifices)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적절할 것이다.
이들 종래 기술의 그립 오리피스는 (a) 천공된 두루마리 또는 끼워져 적층된 물수건들로부터 각각의 물수건을 분리하기 위해, 그리고 (b) 필요시 제공되기 위하여 용이하게 접근 가능한 방식으로 선행 물수건을 유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그립 오리피스는 후행 물수건으로부터 선행 물수건을 분리시키기 위해서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선행 물수건이 용기 내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기도 하는 것이며, 여기에서 그 후 사용자는 물수건에 접근하기 위해서 용기의 내부에 접근하는 단계를 밟아야만 한다. 그렇지만, 종래 기술의 배출 오리피스는 종종 후행 물수건으로부터 선행 물수건을 분리시키기에 실패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이것은 복수의 물수건의 "꼬임(roping)" 이라고 본 명세서에서 칭해지는 것을 허용하게 된다. 꼬임은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복수의 물수건이 용기로부터 연속적인 끈 또는 로프와 같이 잡아당겨질 때 발생한다. 이것은 낭비를 초래하며 소비자에게 쉽게 용인될 수 없는 것이다. 배출 오리피스가 후행 물수건으로부터 선행 물수건을 성공적으로 분리할 때 배출 오리피스는 "꼬임 방지(anti-roping)" 기능이라고 본 명세서에서 칭해지는 기능을 수행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배출 오리피스는 종종, 후행 물수건의 선행 단부가 용기 내부의 밖으로 배출 오리피스를 통하여 빠져나오기 전에, 너무 일찍 후행 물수건으로부터 선행 물수건을 분리시켜, 후행 물수건이 용기의 내부로 후퇴하도록 허용한다는 것도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일이 발생하면, 후행 물수건은 용기 내측에 잔류하여, 그 후 물수건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용기를 개방시켜야만 한다. 그에 따라 배출 오리피스는 "후퇴 방지(anti-fallback)" 기능이라고 본 명세서에서 칭해지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실패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익숙한 이들은 그립 오리피스가 항상 후퇴 방지 및 꼬임 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쉽게 인정할 것이다. 게다가, 그립 오리피스가 천공된 선이나 심지어는 끼워져 있는 연결조차 분리시키는 것에 실패하기 때문에 용기의 내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물수건이 빠져나오는 것은 평균적인 사용자에게 꽤 일반적이다. 후행 물수건이 그립 오리피스 아래에 잔류하여 용기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방식으로 그립 오리피스가 물수건을 분리시켜, 물수건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자가 용기의 내부에 접근할 것을 요구한다는 것 역시 일반적이다. 간단히 말해서, 종래 기술의 그립 오리피스는, 그립 오리피스로 인해 기대되는 꼬임 방지 및 후퇴 방지 특성 양쪽 모두를 적절하게 수행하는 것에 실패하고 있다.
본 발명은 꼬임 방지 및 후퇴 방지 기능 양쪽 모두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구조를 가지는 물수건 디스펜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복수의 물수건을 담고 있는 내부를 가지는 용기를 포함하는 물수건 디스펜서(wipes dispenser)를 제공한다. 디스펜서는 용기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연통을 제공하는 그립 오리피스(grip orifice)를 포함하며, 그립 오리피스는 물수건이 내부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디스펜서는 립 펜스(rip fence)를 포함하며, 용기 내의 젖은 복수의 물수건 중 선행 물수건의 선행 단부는 그립 오리피스를 통하여 연장된 후에 립 펜스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이 립 펜스에 대항하여 선행 물수건을 잡아당기기 위해 선행 단부를 잡아당기는 것이 용기로부터 선행 물수건의 나머지가 제거되도록 하고 복수의 물수건 중 나머지 물수건과 분리되도록 한다. 선행 단부가 립 펜스에 대항하여 잡아당겨짐에 따라, 복수의 물수건 중 선행 물수건은 그립 오리피스를 통하여 잡아당겨져 용기 내부의 밖으로 그 선행 단부를 제공하며, 그립 오리피스는 용기 내부의 안으로 후행 물수건의 선행 단부가 후퇴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꼬임 방지 및 후퇴 방지 기능을 위한 별개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당해 기술을 진보시킨다. 그립 오리피스는 후퇴 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립 펜스는 꼬임 방지 기능을 수행한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그립 오리피스 및 립 펜스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덮개가 구비된다. 물수건이 어떠한 타입의 유체로 적셔진 젖은 물수건인 경우에, 덮개는 밀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어, 이 덮개가 그립 오리피스를 폐쇄할 때, 용기 내부의 밖에서 그립 오리피스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물수건의 선행 단부는 건조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대기로부터 밀봉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꼬임 방지 및 후퇴 방지 기능 양쪽 모두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구조를 가지는 물수건 디스펜서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2는 선행 물수건이 제거/공급되고 있는 상태가 도시된, 도 1의 물수건 디스펜서의 사시도;
도 3은 선회 립 펜스를 구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4는 제2 실시형태의 립 펜스의 전방 입면도;
도 5는 도 3의 제2 실시형태의 그립 오리피스, 립 펜스 및 덮개 요소의 측면도;
도 6은 가요성 골무 부재를 포함하는 립 펜스를 가지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7은 물수건을 용이하게 꿰기 위하여 립 펜스를 선회시킨 상태가 도시된, 도 5의 제3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8은 그립 오리피스 및 립 펜스를 가요성 벽부를 가지는 파우치-타입 용기의 일부로서 사용한 상태가 도시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측면도; 그리고
도 9 내지 도 11은 도시된 오리피스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고 예시로서 도시된, 다양한 그립 오리피스의 사시도 및 상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젖은 물수건 디스펜서(wipes dispenser)의 제1 실시형태는 부재번호 10으로 표시되어 도시된다. 물수건 디스펜서(10)는 물수건 두루마리(14)를 담고 있는 용기(12)를 포함한다. 용기(12)는 양동이-타입 용기로 도시되어 있긴 하지만, 사실상 어떠한 형태라도 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도 7의 실시형태로 입증되는 바와 같이, 심지어 가요성 용기일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물수건 두루마리(14)는 사실상 어떠한 복수의 물수건으로도 교체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각각의 물수건은 용기로부터 제거될 때 후행 물수건이 선행 물수건을 쫓아가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물수건 두루마리(1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측벽부(13) 및 이 측벽부(13)에 대해 제거 가능하게 연결된 덮개(15)에 의해 구획형성되는 용기(12)의 내부(16)에 담겨 있다. 덮개(15) 내의 그립 오리피스(18)는 용기(12)의 내부(16)와 외부 사이의 연통(communication)을 제공한다. 그립 오리피스(18)는 사실상 어떠한 공지의 그립 오리피스나 이하에 개시된 그립 오리피스일 수 있으며, 당해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라면 본 발명에 적합한 다수의 그립 오리피스 타입이 존재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그립 오리피스(18)는 방출시 물수건을 유지하여 용기 내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물수건의 움직임에 대해 충분한 저항력을 부여하여야 한다. 또한 그립 오리피스(18)는 그것이 가지는 저항력이 물수건을 찢거나 물수건 두루마리(14) 상의 나머지 물수건(또는, 포개진 물수건이 채용되어 있다면, 끼워져 포개진 상태의 나머지 물수건)과 분리되지는 않을 정도가 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특히 바람직한 그립 오리피스(18)가 도 9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십자 슬릿(cross slit)(22)을 가지는 탄성중합체 몸체(elastomeric body)(20)를 갖는다. 탄성중합체 몸체(20) 용의 적절한 재료로서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s) 및 실리콘을 들 수 있으나, 이것만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그러한 몸체의 탄성 특성은 십자 슬릿에 의해 한정되는 좁은 통로에서 물수건을 파지하도록 작용한다. 이러한 그립 오리피스(18)는, 물수건이 유체로 적셔져 있는 젖은 물수건일 때, 탄성중합체 그립 오리피스가 용기(12)의 내부(18) 내의 젖은 물수건 두루마리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특정 몸체 구조물(20' 및 20")이 슬릿(22' 및 22")을 갖는, 부재번호 18' 및 18" 가 부여된 또 다른 그립 오리피스가 채용될 수도 있음을 볼 수 있으며, 이것은 지금까지 공지되어 있거나 이하에서 개시되는 사실상 어떠한 그립 오리피스라도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을 다시 강조하는 것이다. 도 9 및 도 10의 실시형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다른 폴리올레핀과 같은 보다 단단한 재료로 형성되며, 단단하지만 슬릿(22', 22")에서는 구부러지고 휘어질 수 있도록 슬릿 부근을 매우 얇게 형성한다. 몸체 구조물(20' 및 20")은,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슬릿(22' 및 22") 부근의 두께를 0.008 인치보다 얇게 하고,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두께를 0.006 인치보다 얇게 하고,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두께를 0.004 인치보다 얇게 한다.
도 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립 펜스(rip fence)(24)는 그립 오리피스(18) 가까이에 위치된다. 립 펜스(24)는, 사용을 위해 선행 물수건(lead wipe)이 용기(12)로부터 잡아당겨질 때, 후행 물수건(following wipe)으로부터 선행 물수건을 분리시킬 목적으로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 물수건(28)의 선행 단부(lead end)(26)는 그립 오리피스(18)를 통하여 연장되고 난 후 립 펜스(24)를 통하여 연장된다. 선행 물수건(28)이 립 펜스(24) 구조에 대항하여 잡아당겨지는 방식으로 선행 단부(26)를 잡아당기는 것은, 선행 물수건(28)의 나머지가 용기(12)로부터 제거되도록 하며 후행 물수건(30)으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선행 물수건(28)과 후행 물수건(30) 사이의 연결 영역이 립 펜스(24)에 대항하여 잡아당겨질 때, 이 연결 영역은 파손되어 선행 물수건(28)을 후행 물수건(30)으로부터 분리시킬 것이다. 이러한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결 영역은 물수건의 두루마리 내의 구멍(32)을 특징으로 하며, 이들 구멍이 립 펜스(24)에 대항하여 잡아당겨질 때, 선행 물수건(28)은 구멍들의 선을 따라 후행 물수건(30)으로부터 제거된다. 그렇지만, 연결 영역은, 끼워져 포개진 상태로 끼워진 물수건 사이의 중첩 영역으로서 존재하거나, 끼워져 포개진 상태로 연결된 물수건 사이의 구멍으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립 펜스(24)가 그립 오리피스(18)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또한 그립 오리피스(18)가 후행 물수건(30)으로부터 선행 물수건을 분리하기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적절한 길이의 후행 물수건(30)이 사용자에 의한 접근을 위하여 뒤에 남겨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단 이전의 선행 물수건(28)이 물수건 두루마리(14)에 의해 제공되는 복수의 물수건으로부터 분리되면, 후행 물수건(30)은 새로운 선행 물수건이 된다.
특히, 선행 물수건(28)의 선행 단부(26)는 립 펜스(24)의 구조를 훑으면서 잡아당겨진다. 구멍 또는 끼워진 연결이 립 펜스(24)에 대항하여 잡아당겨질 때, 충분한 저항력이 후행 물수건으로부터 선행 물수건을 분리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여기에서, 립 펜스(24)는 좁은 파열 구조부(tear geometry)(52)에 선행하는 슬롯 피드(slot feed)(56)를 가지는 몸체 부재(48)를 포함한다. 용기(12)로부터 선행 물수건(28)을 제거하기 위해서 그리고 물수건 두루마리(14)로부터 선행 물수건을 분리하기 위해서, 선행 물수건(28)은, 선행 물수건(28) 및 후행 물수건(30)이 파열 구조부(52)에 대항하여 잡아당겨지는 방향을 따라서 잡아당겨질 수 있다. 슬롯 피드(56)에서 개방 상단을 갖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파열 구조부에 의해, 선행 물수건(28)은 수평방향으로 또는 심지어 약간 아래쪽으로 잡아당겨지게 된다. 선행 물수건(28)의 선행 단부(26)가 상이한 방향으로 잡아당겨지면, 선행 물수건(28) 및 후행 물수건(30)이 파열 구조부(52)에 대항하여 보다 덜 훑어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것은 립 펜스(24)가 후행 물수건(30)으로부터 선행 물수건(28)을 분리시키기에 충분한 저항력을 제공할 것으로 보다 덜 예상되게 된다. 물수건은 구비된 파열 구조부에 대항하여 훑여지도록 잡아당겨져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소망하는 꼬임 방지 기능과는 반대로 복수의 물수건이 용기(12)의 내부(16)로부터 잡아당겨질 수 있다. 특히, 그립 오리피스(18)는 용기(12)로부터의 물수건의 인출(withdrawal)을 위한 고정 위치를 한정하며, 선행 단부(26)가 잡아당겨지는 방향과 립 펜스(24)를 통한 선행 물수건(28)의 꿰어짐과 이 고정 지점 사이의 관계는 선행 물수건(28) 및 후행 물수건(30)이 립 펜스(24)에 대항하여 잡아당겨지도록 한다. 부재번호 36으로 표시된 가압 지점은 물수건과 립 펜스(24) 사이의 접촉에 의해 발생한다.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덮개 캡(38)은 그립 오리피스(18)를 덮어 폐쇄하도록 용기(12)의 덮개(15)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물수건이 유체로 적셔져 있는 젖은 물수건일 때 특히 바람직하다. 덮개 캡(38)은, 그립 오리피스(18)와 이 그립 오리피스(18)에 의해 유지되는 소정 길이의 물수건을 덮어 폐쇄할 때, 젖은 물수건이 빠르게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덮개 캡(38)은 물수건 두루마리(14)의 나머지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덮개 캡(38)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방 위치와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회할 수 있도록 힌지(40) 상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비록 용기(12)의 내부(16)와 대기 사이의 연통을 폐쇄하도록 그립 오리피스(18)를 폐쇄하는 것이 덮개 캡(38)에 가장 중요한 것이며, 이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덮개 캡(38)은 립 펜스를 덮어 폐쇄하기도 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덮개 캡(38)은, 덮개 캡(38)에 대한 통상의 휴지 위치(resting position)가 폐쇄 위치일 수 있도록 스프링(42) 또는 다른 가압 요소에 의해 가압된다. 그러한 가압 메카니즘에 의해, 사용후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용기(12)를 폐쇄시키기 위한 단계를 더 이상 사용자가 실시할 필요는 없다. 건조가 걱정될 때 덮개 캡(38)은 용기(12)에 대해 밀봉되도록 시일(43)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디스펜서의 제2 실시형태는 부재번호 110으로 표시되어 도시된다. 물수건 디스펜서(110)는 측벽부(113) 및 제거 가능한 덮개(115)에 의해 구획형성되는 용기(112)를 포함한다. 물수건 두루마리(114)는 용기(112)의 내부(116) 내에 유지되어 있다. 그립 오리피스(118)는 내부(116)와 대기 사이의 연통을 제공하기 위해서 구비된다. 덮개 캡(138)은 도 1의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구비되며, 립 펜스(124)는 덮개 캡(138)과 그립 오리피스(118)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립 펜스(124)는 힌지(144)에서 용기(112)에 선회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물수건 디스펜서(110)가 그러한 구조 없이도 충분히 기능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지만, 립 펜스(124)가 그립 오리피스(118)를 지나 연장되도록 선회될 수 있는 위치에서 립 펜스(124)는 힌지(144)에서 용기(112)에 선회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로 이동하도록 립 펜스(124) 상에 가해지는 압력이 없을 때, 립 펜스(124)는 도 2에 도시된 각도로 유지되도록 스프링(예컨대, 비틀림 스프링, 도시하진 않았지만, 도 1 및 도 2의 스프링(42)으로 도시된 것과 유사) 또는 유사한 가압 메카니즘에 의해 가압되어 있다. 예를 들어, 힌지(140)에서 용기(112)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체결된 덮개(138)는, 립 펜스(124) 및 그립 오리피스(118)를 덮어 폐쇄하도록 아래쪽으로 가압될 수 있으며, 덮개가 립 펜스(124)에 접촉될 때, 덮개는 스프링(144)의 가압에 대항하여 립 펜스(124)를 누른다. 도 1 및 도 2의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이미 도시하고 설명한 바와 같이, 힌지(140)도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선행 물수건(128)의 선행 단부(126)는 그립 오리피스(118) 및 립 펜스(124)를 통하여 꿰어져 있으며, 물수건 디스펜서(110)는 실질적으로 도 1의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기능한다. 그렇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립 펜스(124)는 선회한다. 그립 오리피스(118)는 여전히 용기(112)로부터의 물수건의 인출을 위한 고정된 위치를 가지지만, 립 펜스(124)의 파열 구조부는 힌지(144)에 의해 한정되는 선회 지점 주위의 원호를 따른 어느 곳에서든 그 고정 위치에 대한 뜯어냄 방향을 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를 참조하면, 립 펜스(124)는 개구(150)를 가지는 몸체 부재(148)를 포함한다. 이 개구(150)는 부재번호 152에 의해 표시된 파열 구조부를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파열 구조부(152)는 좁은 물수건 슬롯(154)을 가지며, 슬롯 피드(156)는 물수건 슬롯(154)에 선행하는 개구(150)의 경사진 측부(158)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개구(150) 내로 꿰어진 물수건은 슬롯 피드(156)에 대항하여 물수건을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당겨질 때 자동적으로 물수건 슬롯(154) 내로 몰리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선행 물수건(128)의 선행 단부(126)는 원호 A를 따른 어떠한 방향으로도 잡아당겨질 수 있으며 그래도 여전히 슬롯 피드(156)에 대항하여 잡아당겨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물수건이 이 원호를 벗어난 방향으로 잡아당겨진다면, 물수건은 물수건 슬롯(154) 내로 공급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립 펜스(124)는 덮개 캡(138)의 힌지(140)와 그립 오리피스(118) 사이에 위치된 힌지(144)에서 선회하며, 덮개 캡(138)은 수평면으로부터 135도보다 작은 최대 각도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90도보다 작은 최대 각도로;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80도보다 작은 최대 각도로, 그리고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70도보다 작은 최대 각도로 개방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덮개 캡(138)이 그러한 각도로 개방되도록 제한될 때, 덮개 캡(138)의 존재와 간섭으로 인하여 또 다른 방향으로 물수건을 잡아당기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호 A를 따른 방향으로 물수건을 잡아당기도록 강제될 수 있다. 따라서, 그 개방 위치에 있어서, 덮개 캡(138)은, 파열 구조부(152)가 효과적이지 않은 방향으로 물수건을 잡아당기를 것을 불가능하게 하도록 작용한다. 이전 실시형태와 같이, 건조가 염려될 때 덮개 캡(138)은 시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선행 물수건(128)이 립 펜스(124)의 파열 구조부(152) 내로 몰려 이 파열 구조부에 대항하여 잡아당겨지는 방식으로 선행 단부(126)를 잡아당기는 것은 선행 물수건(128)의 나머지가 용기(112)로부터 제거되도록 하고 후행 물수건(13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선행 물수건(128)과 후행 물수건(130) 사이의 연결 영역이 파열 구조부(152)에 대항하여 잡아당겨질 때, 그 연결 영역은 파열되어, 선행 물수건(128)이 후행 물수건(130)으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본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결 영역은 물수건 두루마리 내의 구멍(132)들을 특징으로 하며, 이들 구멍이 파열 구조부(152)에 대항하여 잡아당겨질 때 선행 물수건(128)은 구멍들의 선을 따라 후행 물수건(130)으로부터 제거된다. 그렇지만, 이 연결 영역은, 끼워져 포개진 상태로 끼워진 물수건들 사이의 중첩 영역으로서, 또는 끼워져 포개진 상태로 결합된 물수건들 사이의 구멍으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립 펜스(124)가 그립 오리피스(118)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또한 그립 오리피스(118)가 후행 물수건(130)으로부터 선행 물수건(128)을 분리시키기에 적절하지 않기 때문에, 적절한 길이의 후행 물수건(130)은 사용자에 의한 접근을 위하여 뒤에 남겨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일단 이전의 선행 물수건(128)이 물수건 두루마리(114)에 의해 제공되는 복수의 물수건과 분리되면, 후행 물수건(130)은 새로운 선행 물수건이 된다.
특히, 도 5를 참조하면, 그립 오리피스(118)는 용기(112)로부터의 물수건의 인출을 위한 고정 위치를 한정하며, 선행 단부가 잡아당겨지는 방향과 립 펜스(124)를 통한 선행 물수건(128)의 꿰어짐과 이 고정 지점 사이의 관계는 선행 물수건(128) 및 후행 물수건(130)이 파열 구조부(152) 내로 또한 파열 구조부에 대항하여 잡아당겨지도록 한다. 따라서, 파열 구조부(152)는, 선회 지점(144) 주위의 원호 A를 따른 그립 오리피스(118)에 의해 설정되는, 고정 위치에 대한 훑어냄 방향(ripping orientation)을 취할 수 있다. 도 5에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선행 물수건(128)의 선행 단부(126)를 잡아당기는 것은 가압 지점(136)을 설정하는 훑어냄 방향으로 파열 구조부(152)를 위치시키는 위치로 립 펜스(124)가 선회되도록 하는 한편, 화살표 C의 방향으로 선행 물수건(128)의 선행 단부(126)를 잡아당기는 것은 가압 지점(136')을 설정하는 훑어냄 방향으로 파열 구조부(152)를 위치시키는 위치로 립 펜스(124)가 선회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디스펜서의 또 다른 실시형태가 부재번호 210으로 표시되어 도시된다. 물수건 디스펜서(210)는 용기(212)의 내부(216) 내에 물수건 두루마리(214)를 담고 있는 용기(212)를 포함한다. 그립 오리피스(218)는 내부(216)와 대기 사이의 연통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다. 립 펜스(224)는 선행 물수건(228)의 선행 단부(226)가 꿰어질 수 있는 복수의 가요성 핑거부(flexible fingers)(262)로 형성된 골무(260)를 포함한다. 이전 실시형태들과 같이, 그립 오리피스(218)는, 용기(212)의 내부(216) 내로 물수건이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수건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반면, 연결 영역, 여기에서는 구멍(232)들의 선을 따라서 후행 물수건(230)으로부터 선행 물수건(228)을 분리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립 펜스(224), 더욱 상세하게는 가요성 핑거부(262)의 골무(260)는 후행 물수건(230)으로부터 선행 물수건(228)을 분리시키도록 작용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골무(260)를 그립 오리피스(218)로부터 이격시켜 필요시 선행 물수건(228)의 선행 단부(226)가 립 펜스(224)를 통하여 꿰어질 수 있도록, 립 펜스(224)는 힌지(244)에서 선회한다. 복수의 가요성 핑거부(262)가 후행 물수건으로부터 선행 물수건을 분리시키기에 충분한 제한된 개구를 제공하기 때문에, 또한 이들 핑거부(262)가 이 제한된 개구를 잡아당기는 물수건을 둘러싸기 때문에, 립 펜스(224)는 물수건이 잡아당겨지는 방향과 관계 없이 후행 물수건으로부터 선행 물수건을 분리시키기에 충분하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가 부재번호 310으로 표시되어 도시된다. 물수건 디스펜서(310)는 용기(312)의 내부(316) 내에 끼워져 포개진 물수건(314)를 담고 있는 용기(312)를 포함한다. 용기(312)는 주변부(319)를 따라서 함께 밀봉된 가요선 벽부(flexible walls)(317)를 가지는 박막 패키지이다. 융기부(raised portion)(321)는 립 펜스(324)를 구비하며, 립 펜스(32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것들과 같은 다양한 형태 중 어느 하나를 취할 수 있다. 융기부(321)는 그립 오리피스(318)를 구비할 수도 있고, 혹은 그립 오리피스(318)는 융기부(321)의 아래 영역에서 벽부(317) 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상기에 설명된 다양한 변형예들 모두는 도 8의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도 8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내용이 어떻게 물수건의 가요성 타입 용기로 제공될 수 있는지를 예시하여 보여준다. 물수건이 젖은 물수건일 때, 가요성 용기는 박막 패키지와 같은 기술분야에서 전형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된 바에 비추어 본 발명이 별개의 그립 오리피스 및 립 펜스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물수건 디스펜서의 기술을 상당히 진보시켰다는 것은 명백하다. 이들 요소는 종래기술에서 제공된 배출 오리피스와 관련하여 종래기술에서 경험했던 후퇴 및 꼬임의 사례들을 크게 감소시킬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서 비록 특정 실시형태들이 여기에 보여지고 있지만, 본 발명은 그것만으로 또는 그것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대신에,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할 것이다.
10, 110, 210, 310 : 물수건 디스펜서, 12, 112, 212, 312 : 용기, 18, 118, 218, 318 : 그립 오리피스, 24, 124, 224, 324 : 립 펜스, 26, 126, 226 : 선행 단부, 28, 128, 228 : 선행 물수건, 30, 130, 230 : 후행 물수건

Claims (19)

  1. 물수건 디스펜서로서,
    복수의 물수건을 담고 있는 내부를 가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외부와 상기 내부 사이의 연통을 제공하는 그립 오리피스와;
    립 펜스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복수의 물수건 중 선행 물수건의 선행 단부는 상기 그립 오리피스를 통하여 연장된 후 상기 립 펜스를 통하여 연장되어, 상기 립 펜스에 대항하여 상기 선행 물수건을 잡아당기기 위해 상기 선행 단부를 잡아당기는 것이 상기 선행 물수건의 나머지를 상기 용기로부터 제거시키고 상기 복수의 물수건 중 나머지 물수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복수의 물수건 중 후행 물수건은 상기 용기의 상기 내부의 밖으로 선행 단부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그립 오리피스를 통하여 잡아당겨지며, 상기 그립 오리피스는 상기 후행 물수건의 상기 선행 단부가 상기 내부 내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디스펜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행 물수건의 상기 선행 단부는 상기 립 펜스에 구비되는 개구를 통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디스펜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그립 오리피스를 통하여 연장되는 물수건의 선행 단부가 상기 립 펜스의 상기 개구를 통하여 꿰어지기 위하여 개별 핑거부에 의해 접근될 수 있도록 상기 립 펜스는 상기 그립 오리피스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디스펜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립 펜스는 파열 구조부를 구비하며, 상기 립 펜스에 대항하여 상기 선행 물수건을 잡아당겨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선행 물수건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선행 물수건의 상기 선행 단부를 잡아당기는 것은 상기 파열 구조부를 통하여 상기 선행 물수건을 잡아당기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디스펜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물수건 디스펜서는 덮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그립 오리피스는 상기 용기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연통을 제공하도록 상기 덮개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디스펜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물수건 디스펜서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회하는 덮개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 캡은 상기 용기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연통을 밀봉하도록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그립 오리피스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디스펜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덮개 캡은,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파열 구조물이 상기 후행 물수건으로부터 상기 선행 물수건을 분리시키기 못하는 방향으로 상기 선행 물수건을 잡아당기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디스펜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덮개 캡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립 펜스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디스펜서.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립 펜스는 상기 그립 오리피스의 일측에 위치되는 선회 지점에서 상기 그립 오리피스에 대하여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디스펜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그립 오리피스는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선행 물수건의 상기 나머지의 인출을 위한 고정 위치를 제공하며, 상기 파열 구조부는 상기 선회 지점 주위에서 원호를 따라 상기 고정 위치에 대한 훑여냄 방향을 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디스펜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파열 구조부를 통하여 상기 선행 물수건의 상기 선행 단부를 잡아당기는 것은 상기 선행 물수건이 잡아당겨지는 방향 및 파열 구조부와 선행 물수건 사이의 접촉에 의해 생성되는 가압 지점에 따른 위치로 상기 립 펜스를 선회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디스펜서.
  12.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파열 구조부는 가요성 골무를 포함하며, 상기 립 펜스의 상기 개구는 상기 가요성 핑거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디스펜서.
  13.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파열 구조부는 상기 립 펜스의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물수건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디스펜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파열 구조부는 상기 물수건 슬롯과 결합되도록 기울어지는 경사 측부를 가지는 공급 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디스펜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단단한 용기 및 가요성 용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디스펜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가요성 벽부를 가지는 가요성 용기이며, 물수건 디스펜서는 상기 가요성 벽부에 체결되는 융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디스펜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그립 오리피스 및 상기 립 펜스는 상기 융기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디스펜서.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물수건은 물수건 두루마리의 부분으로서 제공되며, 이때 상기 복수의 물수건의 개별 물수건은 상기 물수건 두루마리 내의 구멍들 사이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디스펜서.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물수건은 끼워진 물수건으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디스펜서.
KR1020100014490A 2009-02-19 2010-02-18 꼬임 방지 및 후퇴 방지 특성을 갖는 물수건 디스펜서 KR201000949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388,777 2009-02-19
US12/388,777 US9113759B2 (en) 2009-02-19 2009-02-19 Wipes dispenser with anti-roping and anti-fallback featur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949A true KR20100094949A (ko) 2010-08-27

Family

ID=42111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490A KR20100094949A (ko) 2009-02-19 2010-02-18 꼬임 방지 및 후퇴 방지 특성을 갖는 물수건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9113759B2 (ko)
EP (1) EP2220984B1 (ko)
JP (1) JP5490561B2 (ko)
KR (1) KR20100094949A (ko)
CN (1) CN101811603B (ko)
AU (1) AU2010200585B2 (ko)
BR (1) BRPI1000387A2 (ko)
CA (1) CA2692474C (ko)
DK (1) DK2220984T3 (ko)
ES (1) ES2569557T3 (ko)
PT (1) PT2220984E (ko)
TW (1) TWI46522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146B1 (ko) * 2011-12-14 2014-06-17 이승현 티슈용 포장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914877D0 (en) * 2009-08-26 2009-09-30 Gordon Michael J Lid for soft pack dispensing container of wipes
GB2481032A (en) * 2010-06-09 2011-12-14 Anker Internat Plc A container for storing and dispensing sequentially separable articles
US9549646B2 (en) * 2010-12-08 2017-01-24 Gojo Industries, Inc. Wipes dispenser
RU2562049C1 (ru) * 2011-08-31 2015-09-10 Ска Хайджин Продактс Аб Выда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D713266S1 (en) * 2012-03-06 2014-09-16 Barbara Diaz Laflin Wet or dry wipe dispenser and container
CN103385667A (zh) * 2012-05-09 2013-11-13 南京博创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夹子原理抽纸筒
US20150208880A1 (en) * 2012-08-24 2015-07-30 Sca Hygiene Products Ab Wipe dispenser
NO335609B1 (no) * 2012-10-08 2015-01-12 Lilleborg As Dispensersystem
US20140190983A1 (en) * 2013-01-09 2014-07-10 Berlin Packaging, Llc Towelette Dispenser
US20140291343A1 (en) 2013-04-01 2014-10-02 Rockline Industries, Inc. Dispensing aperture for wipes
CN203815368U (zh) * 2013-04-17 2014-09-10 惠美世界有限公司 卷筒型湿纸巾分配器
CN105452127A (zh) * 2013-06-19 2016-03-30 山田菊夫 湿纸巾包装体
US10220997B2 (en) * 2013-07-25 2019-03-05 Gpcp Ip Holdings Llc Cutlery dispenser and related methods
US9986875B2 (en) * 2013-10-24 2018-06-05 Sharmin MEHDIZADEH Container and cap for dispensing wipes
US20150114867A1 (en) * 2013-10-24 2015-04-30 Sharmin MEHDIZADEH Container and cap for dispensing wipes
US20150114868A1 (en) * 2013-10-24 2015-04-30 Sharmin MEHDIZADEH Container and cap for dispensing wipes
US10231582B2 (en) * 2013-10-24 2019-03-19 Sharmin MEHDIZADEH Container and cap for dispensing wipes
EP2865308B1 (en) * 2013-10-28 2018-01-03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Wet wipe dispenser system
US9788694B2 (en) 2014-03-31 2017-10-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ensing container having flexible dispensing partition
US9974419B2 (en) * 2014-04-23 2018-05-22 The Clorox Company Disinfecting wipes dispenser
USD773930S1 (en) 2015-04-13 2016-12-13 The Clorox Company Lid with an orifice
US10327602B2 (en) 2014-04-23 2019-06-25 The Clorox Company Disinfecting wipes dispenser
US10039425B2 (en) 2014-04-23 2018-08-07 The Clorox Company Disinfecting wipes dispenser
WO2016018202A1 (en) * 2014-07-28 2016-02-04 Bemis Company, Inc. Bottom dispensing wet wipe container
US9730561B2 (en) * 2015-02-19 2017-08-15 Dandy Innovation Llc Multipurpose rolled tissue dispenser stand
JP6574094B2 (ja) * 2015-03-20 2019-09-11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USD771489S1 (en) 2015-04-13 2016-11-15 The Clorox Company Wipes dispenser container lid
GB2538235B (en) * 2015-05-10 2017-05-10 John Gordon Michael Container of wipes with 'Fallback Prevent'dispensing nozzle
JP2016216116A (ja) * 2015-05-26 2016-12-22 株式会社フクヨー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収納容器
US20170245699A1 (en) * 2015-06-15 2017-08-31 Dispensing Dynamics International Wet wipe wall mount dispenser
JP6478839B2 (ja) * 2015-06-30 2019-03-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構造体
CN105581718A (zh) * 2016-03-03 2016-05-18 苏州奥通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新型抽纸盒
CN105640410A (zh) * 2016-03-03 2016-06-08 苏州奥通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抽纸装置
USD819456S1 (en) * 2016-04-12 2018-06-05 Mario Alberto Gómez Martín Container
US10292545B2 (en) * 2016-11-18 2019-05-21 RD Textiles, LLC Center-pull dispenser system
US10278552B2 (en) * 2016-12-08 2019-05-07 The Clorox Company Disinfecting wipes flex pack closure
US10542854B2 (en) * 2017-04-27 2020-01-28 Gojo Industries, Inc. Self-orienting wipes dispensing nozzles and wipes dispensers having the same
US10806310B2 (en) * 2017-04-27 2020-10-20 Gojo Industries, Inc. Self-orientating wipes dispensing nozzles and wipes dispensers having the same
USD878078S1 (en) 2017-07-13 2020-03-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per product dispenser
USD902715S1 (en) * 2018-03-28 2020-11-24 Jiangxi Sencen Hygienic Products Co., Ltd. Wipes bottle cap
US11584584B2 (en) * 2018-10-14 2023-02-21 Naturs Design, Inc. Container for storing and dispensing respiratory mask liners
US11627845B2 (en) 2019-04-18 2023-04-18 Gojo Industries, Inc. Wipes dispensers having multiple wipe contact points
US11224314B2 (en) 2019-05-31 2022-01-18 San Jamar, Inc. Web material center-pull dispenser assembly
USD984824S1 (en) 2019-05-31 2023-05-02 San Jamar, Inc. Center pull-through dispenser
USD915211S1 (en) 2019-08-06 2021-04-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leaning product dispenser
PL3818918T3 (pl) * 2019-11-08 2024-05-13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Dozownik na rolkę chłonnego papierowego materiału wstęgowego
WO2021113469A1 (en) * 2019-12-05 2021-06-10 Gojo Industries, Inc. Long-lasting wipes dispensing nozzles and wipes dispensers having the same
WO2021226299A1 (en) * 2020-05-08 2021-11-11 Professional Disposables International, Inc. Closure assembly, system and method of use
JP7429606B2 (ja) 2020-05-29 2024-02-08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ウェ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JP7021310B1 (ja) 2020-08-28 2022-02-16 ダグラス シンクレア グラント 拭き取りシート取出部材および拭き取りシート収納容器
USD953887S1 (en) * 2021-01-11 2022-06-07 Biom Innovations Inc. Wipe dispenser with cover
KR102376033B1 (ko) * 2021-03-18 2022-03-18 스티븐 준 한 접촉 없이 세정 티슈의 인출이 가능한 티슈 케이스 및 그 밀폐방법
USD1011880S1 (en) 2021-04-15 2024-01-23 Professional Disposables International Inc. Wipes container lid
USD1000921S1 (en) 2021-12-14 2023-10-10 Ecolab Usa Inc. Roll threader tool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5355A (en) * 1973-01-19 1974-03-05 D Gerstein Dispenser for individually dispensing the endmost sheet of a continuous web of connected sheets
US4221304A (en) * 1978-10-16 1980-09-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arter means and method for a pop-up type dispensing packaging for interleaved pre-moistened sheets
US4219129A (en) 1979-04-05 1980-08-26 Sedgwick Henry D Moist tissue dispenser
US4462507A (en) 1979-04-26 1984-07-31 Sterling Drug Inc. Dispensing closure for closing a canister containing dispensable articles
US4337876A (en) * 1979-08-23 1982-07-06 Sterling Drug Inc. Apparatus for dispensing articles
EP0117074A3 (en) * 1983-01-26 1984-12-19 Niske, Gerd Erdwin A dispenser
JPS63272666A (ja) * 1987-04-30 1988-11-10 Yoshikazu Yano ロ−ル袋切取り装置
JPH024650A (ja) * 1988-06-23 1990-01-09 Asahi Chem Ind Co Ltd 連続チユーブの引出し容器
ES2050201T3 (es) * 1988-10-15 1994-05-16 Kenji Nakamura Recipiente distribuidor de toallitas humedas y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on y aparato correspondiente.
IL93267A0 (en) * 1990-02-04 1990-11-29 Product Dev Z G S Ltd Wet tissue dispenser
FR2668694B1 (fr) * 1990-11-06 1993-01-22 Maurice Granger Distributeur de materiau d'essuyage a devidage central.
US5141171A (en) * 1991-06-26 1992-08-25 U-Maek Industry Co., Ltd. Structure of dispensing hopper for paper roll holder
US5211308A (en) * 1992-02-27 1993-05-18 Nyco International, Inc. Universal funnel for a paper dispenser
US6220435B1 (en) * 1998-06-26 2001-04-24 Contec, Inc. Presaturated wiper system
US6182858B1 (en) * 1999-07-22 2001-02-06 Lawrence Den Hartog Wet towel dispenser
US6364101B1 (en) 2000-10-19 2002-04-02 S. C. Johnson & Son, Inc. Easily opened wipes canister
US6412656B1 (en) * 2000-11-14 2002-07-02 Lora Placik Moistened wipe dispenser
US6554156B1 (en) 2001-05-17 2003-04-29 The Clorox Company Dispenser for cleaning wipes
US7216775B2 (en) * 2003-03-12 2007-05-15 Union Street Brand Packaging Moist towelette packaging
US20050061826A1 (en) 2003-09-22 2005-03-24 Long John N. Wipe dispenser and threader for wipe dispenser
US7275655B2 (en) 2003-09-30 2007-10-02 Durolla Products (Nz) Limited Center pull tissue dispenser and related mechanism
US7028945B2 (en) * 2004-05-07 2006-04-18 Sca Tissue North America Llc Towel dispenser with tear bar
JP4791111B2 (ja) * 2004-09-22 2011-10-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ティッシュ繰り出し容器
US7806292B2 (en) * 2006-02-28 2010-10-05 Joseph S Kanfer Towelette dispenser
US7556175B2 (en) * 2006-02-28 2009-07-07 Joseph S. Kanfer Towelette dispenser
GB2439538B (en) 2006-06-13 2008-11-12 Brightwell Dispensers Ltd Sheets dispenser
JP5236997B2 (ja) * 2008-05-29 2013-07-17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146B1 (ko) * 2011-12-14 2014-06-17 이승현 티슈용 포장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31372A (en) 2010-09-01
BRPI1000387A2 (pt) 2011-03-22
PT2220984E (pt) 2016-06-02
AU2010200585A1 (en) 2010-09-02
US20110139807A1 (en) 2011-06-16
US9113759B2 (en) 2015-08-25
CN101811603A (zh) 2010-08-25
US20100206896A1 (en) 2010-08-19
JP2010195488A (ja) 2010-09-09
DK2220984T3 (en) 2016-06-13
EP2220984B1 (en) 2016-04-20
TWI465221B (zh) 2014-12-21
ES2569557T3 (es) 2016-05-11
CN101811603B (zh) 2014-03-12
CA2692474C (en) 2017-08-01
AU2010200585B2 (en) 2012-05-24
EP2220984A2 (en) 2010-08-25
CA2692474A1 (en) 2010-08-19
JP5490561B2 (ja) 2014-05-14
US9095243B2 (en) 2015-08-04
EP2220984A3 (en) 201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4949A (ko) 꼬임 방지 및 후퇴 방지 특성을 갖는 물수건 디스펜서
EP2648588B1 (en) Wipes dispenser
EP2186460B1 (en) Towelette dispenser
EP2027042B1 (en) Sheets dispenser
EP1483171B1 (en) Wet tissues dispenser
US20150048105A1 (en) Container of wipes with dispensing nozzle
WO2016181373A2 (en) Container of wipes with 'fallback prevent' dispensing nozzle
WO2011024002A1 (en) A lid for a soft packdispensing container of wipes
AU2011203043B2 (en) Towelette dispenser
JPWO2020214991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