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3936A - 연료 절감 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절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3936A
KR20100093936A KR1020090013099A KR20090013099A KR20100093936A KR 20100093936 A KR20100093936 A KR 20100093936A KR 1020090013099 A KR1020090013099 A KR 1020090013099A KR 20090013099 A KR20090013099 A KR 20090013099A KR 20100093936 A KR20100093936 A KR 20100093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unit
saving device
fuel saving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성
Original Assignee
임윤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윤식 filed Critical 임윤식
Priority to KR1020090013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3936A/ko
Publication of KR20100093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9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7/00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 F02M27/04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by electric means, ionisation, polarisation or magnet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51/00Other methods of operating engines involving pretreating of, or adding substances to, combustion air, fuel, or fuel-air mixture of the engines
    • F02B51/04Other methods of operating engines involving pretreating of, or adding substances to, combustion air, fuel, or fuel-air mixture of the engines involving electricity or magnet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51/00Other methods of operating engines involving pretreating of, or adding substances to, combustion air, fuel, or fuel-air mixture of the engines
    • F02B51/06Other methods of operating engines involving pretreating of, or adding substances to, combustion air, fuel, or fuel-air mixture of the engines involving rays or sound 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7/00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 F02M27/06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by rays, e.g. infrared and ultraviol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연료 절감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절감 장치(100)는, 코일부(110); 코일부(11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도체부(120); 제1 도체부(120)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 도체부(122); 코일부(110) 또는 제1 도체부(120)에 대하여 조사되는 광을 발생시키는 광 발생부(130); 및 제1 도체부(120)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146)가 형성되는 보조 도체부(140)를 포함한다. 연료 절감 장치(100)는 자동차 등의 내연 기관에 설치되어 내연 기관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온화를 촉진시킴으로써 연소 효율을 향상시켜 연료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코일, 전자 방출, 광전 효과, 연소 효율, 자동차, 내연 기관

Description

연료 절감 장치{An Apparatus For Fuel Reduction}
본 발명은 연료 절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나 석유 스토브 등의 내연 기관 및 일반적인 연소 장치의 연소도를 증가시켜 연소 효율 향상, 토오크(torque) 향상, 배기 가스 저감 등의 제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해당 내연 기관에 유입되는 공기의 이온화를 촉진시키는 연료 절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엔진 등으로 대표되는 내연 기관의 연소 효율 향상이나 배기 가스 저감을 목적으로 하는 보조 장치에 대해서는 통상적으로 다음의 3개의 기술이 제안되어 왔다. 첫째, 연료 파이프에 촉매나 자석 등이 포함된 기기를 장착하는 것이다. 둘째, 연소의 원료 중 하나인 공기를 활성화하는 것이며, 그 방법은 첫째 방법과 동일하다. 셋째, 연소 후에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배출구에 귀금속계 촉매나 세라믹계 촉매, 자석 등을 필터 형태로 하여 작용시켜 배기 가스의 저감을 시도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세라믹계 촉매, 귀금속계 촉매 및 자석에 의한 내연 기관의 연소 효율 향상이나 배기 가스 저감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에서는 자동차 등의 내연 기관의 운전 가동에 의한 열 진동 때문에 그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필터 등은 막힘에 의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편차가 발생하고 목적하는 연소 효율 향상이나 배기 가스 저감 효과를 점차 얻을 수 없게 된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연 기관의 연소 효율 향상시키고 배기 가스를 저감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과 동시에, 그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료 절감 효과의 재현성을 높이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절감 장치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도체부; 상기 제1 도체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 도체부; 상기 코일부 또는 상기 제1 도체부에 대하여 조사되는 광을 발생시키는 광 발생부; 및 상기 제1 도체부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보조 도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도체부와 상기 제2 도체부 간에는 절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부, 상기 제1 도체부 및 상기 보조 도체부의 재질은 구리(Cu)일 수 있다.
상기 제2 도체부의 재질은 알루미늄(Al)일 수 있다.
상기 광 발생부는 발광 다이오드(LED)일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제1 발광 다이오드 및 제2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이고 제2 발광 다이오드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상기 보조 도체부는 도선에 연결되는 양단을 잇는 연장선 상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의 형상이 원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는 상기 보조 도체부의 중심으로부터 가까울수록 직경이 클 수 있다.
상기 보조 도체부는 안테나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의 양극이 상기 제1 도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의 음극이 상기 보조 도체부 및 접지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체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 간에는 퓨즈 또는 저항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 절감 장치는 자동차 등의 내연 기관에 설치되어 내연 기관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온화를 촉진시킴으로써 연소 효율을 향상시켜 연료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 절감 장치는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전기 회로의 구성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그 성능을 안정적으로 발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 절감 장치는 전자가 보다 원활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하여 내연 기관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온화를 더욱 촉진시킴으로써 연료 절감 효과의 재현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 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등의 내연 기관은 탄화 수소류의 연료와 정화된 공기(예를 들어, 산소, 질소 등) 사이에 발생하는 연소 반응에 의해 동작하고 있으며, 단위 시간 동안 탄화 수소류의 연료와 공기의 반응이 얼마나 많이 이루어지는가에 따라 내연 기관의 효율이 좌우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연소 반응의 원료가 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산소, 질소 분자의 이온화를 촉진시킴으로써, 내연 기관 내에서 발생되는 연소 반응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된 것이다.
연료 절감 장치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절감 장치(100)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1의 연료 절감 장치(100)는 각 구성요소가 모두 직렬로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각 구성요소의 연결 관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절감 장치(100)는 코일부(110), 코일부(11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도체부(120), 제1 도체부(120)에 대하여 광(光)을 발생시키는 광 발생부(130) 및 보조 도체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기회로의 통상적인 구성요소인 저항(150), 퓨즈(160), 전원 공급부(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도체부(120), 제2 도체부(122) 및 절연부(124)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코일부(110)는 후술할 제1 도체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코일부(110)를 구성하는 도체선의 양단에 각각 제1 도체부(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코일부(110)는 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코일부(110)의 재질은 구리(Cu)일 수 있다. 다만, 코일부(110)의 재질, 크 기, 감는 수 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다음으로, 코일부(110)의 일단에 연결된 제1 도체부(120)는 전선을 통하여 후술할 보조 도체부(140)에 연결되고, 코일부(110)의 다른 일단에 연결된 제1 도체부(120)는 전선을 통하여 전원 공급부(170)의 양극(+극)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도체부(120)의 하부에는 제2 도체부(122)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도체부(120)와 상기 제2 도체부(122) 간에는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절연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도체부(120)와 제2 도체부(122)는 서로 표준전극전위(標準電極電位) 값이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제1 도체부(120)의 표준전극전위 값이 제2 도체부(122)의 표준전극전위 값보다 높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도체부(120)의 재질은 구리(Cu; 표준전극전위: 0.342V)일 수 있고, 제2 도체부(122)의 재질은 알루미늄(Al; 표준전극전위: -1.662V)일 수 있다. 다만, 제1 도체부(120), 제2 도체부(122) 및 절연부(124)의 재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다음으로, 광 발생부(130)는 제1 도체부(120)와 연결되어 코일부(110) 및/또는 제1 도체부(120)에 대하여 광을 방출시킬 수 있도록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광 발생부(130)가 제1 도체부(12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광 발생부(130)의 위치 및 연결 관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료 절감 장치(100)를 구성하는 회로에 포함되어 코일부(110) 및 제1 도체 부(120)에 대하여 광을 방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 발생부(130)는 광을 이용하여 코일부(110) 및/또는 제1 도체부(120)로부터 전자가 방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구체적으로는, 광 발생부(130)는 코일부(110) 및/또는 제1 도체부(120)에 대하여 소정 진동수 이상의 광을 방출시킴으로써, 광전 효과(photoelectric effect)에 의하여 코일부(110) 및/또는 제1 도체부(120)로부터 전자가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광 발생부(130)에 의하여 발생되는 광의 진동수는 소정의 임계치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코일부(110) 및/또는 제1 도체부(120)에 대하여 광전 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광을 발생시킬 수 있는 수단이라면 모두 본 발명에 따른 광 발생부(130)로서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 발생부(130)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Emitting Diode)일 수 있는데, 특히, 광 발생부(130)는 코일부(110) 및/또는 제1 도체부(120)로부터의 방출되는 전자의 운동 에너지 및/또는 그 방출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 발생부(130)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함으로써, 서로 다른 진동수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조 도체부(140)는 제1 도체부(120)에 연결되어 제1 도체부(120)로부터의 전자 방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도체부(140)의 일단(142)은 전원 공급부(170)의 음 극에 연결될 수 있고, 보조 도체부(140)의 타단(144)은 제1 도체부(120) 또는 광 발생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도체부(14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조 도체부(140)는 판상(板狀)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재질은 구리(Cu)일 수 있으며, 도선이 연결되는 양단(142 및 144)을 잇는 연장선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개구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개구부(146)는 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보조 도체부(140)의 중심으로부터의 가까운 개구부일수록 그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도체부(140)는 보조 도체부(14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소정의 안테나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구조물은 제1 도체부(120)로 유입되는 전자의 양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제1 도체부(120)에서의 전자 방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보조 도체부(140)의 구성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조 도체부(140)의 재질, 개구부의 개수, 배치 및 크기, 다른 구성요소와의 연결 관계 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앞에서 언급한 코일부(110), 제1 도체부(120) 및 광 발생부(130)는 전선에 의하여 서로 직렬 또는 병렬로서 연결되어 소정의 전기 회로를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소정의 전기 회로에는 추가적으로 저항(150), 퓨즈(160) 및 전원 공급부(170) 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공급부(170)의 양극은 제1 도체부에 연결될 수 있고, 음극(-극)은 보조 도체부(140)에 연결되는 동시에 내연 기관의 외곽 구조체(예를 들어, 자동차 몸체)에 접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절감 장치(100)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표준전극전위 값이 서로 다른 제1 도체부(120)와 제2 도체부(122) 사이에는 전위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전원 공급부(170)에 연결된 전선을 통하여 연료 절감 장치(100)의 제1 도체부(120)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1 도체부(120)를 이루고 있는 물질이 이온화되면서 제1 도체부(120)로부터 전자가 방출된다. 또한, 광 발생부(130)에 의하여 발생된 광이 코일부(110) 및/또는 제1 도체부(120)에 작용하게 되면, 광전 효과가 발생함으로써 제1 도체부(120)로부터 전자가 방출된다.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방출된 전자는 공기와 충돌함으로써 공기 중의 산소, 질소 등의 분자의 이온화를 촉진시키게 된다. 또한, 전원 공급부(170)로부터 제1 도체부(120)로 유입되는 전자는 보조 도체부(140)를 통과함으로 인하여 제1 도체부(120)로부터 원활하게 방출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이온화가 촉진된 공기와 탄화 수소류의 연료 사이의 연소 반응의 반응성이 높아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내연 기관의 연소 효율이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절감 장치(100)는 안정적인 동작을 위하여 전체적으로 퓨즈(160) 등을 포함하는 전기 회로의 구성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일정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주행 실험 결과)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제 자동차의 엔진에 연료 절감 장치(100)를 적용시킨 실례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로, 본 주행 실험에 사용된 연료 절감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코일부(110)의 내경은 30~40mm, 코일의 굵기는 0.5~2.0mm, 코일의 감는 수는 10~20회이며, 코일을 이루는 도체선은 수지 등으로 피복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도체부(120), 제2 도체부(122) 및 절연부(124)의 총 두께는 0.1~2.0mm이고, 면적은 대략 50mm X 50mm이다. 또한, 보조 도체부(140)는 가로, 세로 및 두께가 각각 145mm, 95mm 및 1mm인 구리판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을 잇는 연장선 상에 위치하는 3개의 개구부(146)를 포함하며, 보조 도체부(140)의 중심에 위치한 개구부(146) 및 양단 측에 위치한 개구부(146)의 직경은 각각 40mm 및 20mm이다. 또한, 보조 도체부(140)의 일단에 형성되는 안테나 구조물로는 길이가 300mm이고 직경이 1.5mm인 구리선이 채용된다. 한편, 접지에는 Y형 단자를 사용하고, 저항(150)은 200~500Ω, 퓨즈(160)는 5A의 값을 갖는다. 위와 같은 사양의 연료 절감 장치(100)를 각각 가솔린 엔진, 디젤 엔진, LPG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자동차의 엔진의 공기 유입 통로에 설치하고 주행 실험을 실시하였다.
(1) 제1 실시예(연료 절감)
<표 1>
Figure 112009009840510-PAT00001
<표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절감 장치(100)를 배기량 3000cc의 가솔린 엔진에 의하여 구동되는 자동차(연식: 1993년, 총 주행거리: 217874km)에 장착하여 주행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표 1>을 참조하면, 연료 절감 장치를 장착한 경우에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소비 연료량이 약 19.6%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연비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연료 절감 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경우의 연비는 약 9.43km/L이고, 연료 절감 장치를 장착한 경우의 연비는 약 11.72km/L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절감 장치(100)에 의하여 약 24.3%의 연비 향상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표 2>
Figure 112009009840510-PAT00002
<표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절감 장치(100)를 배기량 2900cc의 디젤 엔진에 의하여 구동되는 자동차(연식: 2004년, 총 주행거리: 110240km)에 장착하여 주행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표 2>를 참조하면, 연료 절감 장치를 장착한 경우에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소비 연료량이 약 24.8%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연비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연료 절감 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경우의 연비는 약 10.34km/L이고, 연료 절감 장치를 장착한 경우의 연비는 약 13.75km/L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절감 장치(100)에 의하여 약 33.0%의 연비 향상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표 3>
Figure 112009009840510-PAT00003
<표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절감 장치(100)를 배기량 2000cc의 LPG 엔진에 의하여 구동되는 자동차(연식: 2003년, 총 주행거리: 99230km)에 장착하여 주행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표 3>을 참조하면, 연료 절감 장치를 장착한 경우에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소비 연료량이 약 18.8%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연비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연료 절감 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경우의 연비는 약 5.75km/L이고, 연료 절감 장치를 장착한 경우의 연비는 약 7.08km/L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절감 장치(100)에 의하여 약 23.1%의 연비 향상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2) 제2 실시예(재현성)
<표 4>
Figure 112009009840510-PAT00004
<표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절감 장치(100)를 배기량 2900cc의 디젤 엔진에 의하여 구동되는 자동차(연식: 2004년, 총 주행거리: 110240km)에 장착하고, 연료 절감 장치(100)를 교체하지 않은 채 4회에 걸쳐 반복적으로 주행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표 4>를 참조하면, 연료 절감 장치를 장착한 경우에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약 35% 내지 약 40%의 연비 향상 효과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반복적으로 실시된 4회의 실험에서 이와 같은 연비 향상 효과가 모두 동일 또는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절감 장치(100)로 인한 연 료 절감 효과의 재현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표 5>
Figure 112009009840510-PAT00005
<표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절감 장치(100)를 배기량 2000cc의 LPG 엔진에 의하여 구동되는 자동차(연식: 2003년, 총 주행거리: 99230km)에 장착하고, 연료 절감 장치(100)를 교체하지 않은 채 4회에 걸쳐 반복적으로 주행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표 5>를 참조하면, 연료 절감 장치를 장착한 경우에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약 22% 내지 약 25%의 연비 향상 효과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디젤 엔진의 장착한 자동차에 대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반복적으로 실시된 4회의 실험에서 연비 향상 효과가 모두 동일 또는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절감 장치(100)로 인한 연료 절감 효과의 재현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절감 장치에 의하면, 자동차 엔진 등의 내연 기관의 연소실로 유입되는 산소, 질소 등의 공기 분자의 이온화가 촉진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와 연료 사이의 연소 반응이 촉진되고, 이에 따라, 연료의 연소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내연 기관의 연비가 향상되어 연료 소비량이 감소되는 동시에, 연료의 불연소로 인하여 발생하는 배기 가스가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절감 장치에 의하면, 연료 절감 효과의 재현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앞에서 언급한 긍정적인 효과를 지속적으로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절감 장치(100)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도체부(120), 제2 도체부(122) 및 절연부(124)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도체부(14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연료 절감 장치
110: 코일부
120: 제1 도체부
122: 제2 도체부
124: 절연부
130: 광 발생부
132: 제1 발광 다이오드
134: 제2 발광 다이오드
140: 보조 도체부
142, 144: 도선에 연결되는 양단
146: 개구부
150: 저항
160: 퓨즈
170: 전원 공급부

Claims (13)

  1. 코일부;
    상기 코일부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도체부;
    상기 제1 도체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 도체부;
    상기 코일부 또는 상기 제1 도체부에 대하여 조사되는 광을 발생시키는 광 발생부; 및
    상기 제1 도체부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보조 도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절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체부와 상기 제2 도체부 간에는 절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절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 상기 제1 도체부 및 상기 보조 도체부의 재질은 구리(C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절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체부의 재질은 알루미늄(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절감 장 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발생부는 발광 다이오드(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절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제1 발광 다이오드 및 제2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절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이고 제2 발광 다이오드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절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도체부는 도선에 연결되는 양단을 잇는 연장선 상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절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의 형상이 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절감 장 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는 상기 보조 도체부의 중심으로부터 가까울수록 직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절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도체부는 안테나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절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전원 공급부의 양극이 상기 제1 도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의 음극이 상기 보조 도체부 및 접지부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절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체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 간에는 퓨즈 또는 저항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절감 장치.
KR1020090013099A 2009-02-17 2009-02-17 연료 절감 장치 KR201000939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099A KR20100093936A (ko) 2009-02-17 2009-02-17 연료 절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099A KR20100093936A (ko) 2009-02-17 2009-02-17 연료 절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936A true KR20100093936A (ko) 2010-08-26

Family

ID=42758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099A KR20100093936A (ko) 2009-02-17 2009-02-17 연료 절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39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2354A1 (ko) 2013-07-05 2015-01-08 Lim Yunsik 내연기관의 연료 연소 강화장치
KR20170081565A (ko) 2016-01-04 2017-07-12 임윤식 출력파를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비절감 및 출력증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2354A1 (ko) 2013-07-05 2015-01-08 Lim Yunsik 내연기관의 연료 연소 강화장치
KR20170081565A (ko) 2016-01-04 2017-07-12 임윤식 출력파를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비절감 및 출력증가 장치
US10487783B2 (en) 2016-01-04 2019-11-26 Yun Sik LIM System for reducing fuel consumption and increasing output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ing output-wa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1049B2 (en) Apparatus for improving efficiency and emissions of combustion
US9391431B2 (en) Barrier discharge ignition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9605645B2 (en) Plasma ignition plug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485163B2 (en) Apparatus for improving efficiency and emissions of combustion
US20080173270A1 (en) Fuel injection device including plasma-inducing electrode arrays
KR20100093936A (ko) 연료 절감 장치
JP2009170324A (ja) プラズマ式点火装置
KR20100028158A (ko) 연료 절감 장치
US20060033411A1 (en) Spark plug
CN206041202U (zh) 一种单电极火花塞
US7902733B2 (en) Uniquely design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spark plug that will produce two independent ignition sparks between the spark plug electrodes for each single electrical ignition coil discharge
TR201808291T4 (tr) İçten yanmalı motor için yakıt yakımını artırıcı aparat.
CN2688916Y (zh) 一种在侧电极设有黄金体的火花塞
CN213878721U (zh) 穿孔式电极火花塞
CN1049041C (zh) 发动机高能点火器
US9825433B2 (en) Programmable plasma ignition plug
CN202333443U (zh) 增强火花塞电击穿能量电容器
CN112688171A (zh) 穿孔式电极火花塞
CN2849208Y (zh) 节油跳火器
KR20160150541A (ko) 점화 플러그
CN103166127A (zh) 一种耐腐蚀耐高温火花塞
JP2020515754A (ja) プログラム可能なプラズマ点火プラグ
JP2008069764A (ja) アース電線の接続方法
CN2850074Y (zh) 节油火花塞
CN103178445A (zh) 一种隔热电极涂层能效利用火花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