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2444A -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2444A
KR20100092444A KR1020107010713A KR20107010713A KR20100092444A KR 20100092444 A KR20100092444 A KR 20100092444A KR 1020107010713 A KR1020107010713 A KR 1020107010713A KR 20107010713 A KR20107010713 A KR 20107010713A KR 20100092444 A KR20100092444 A KR 20100092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wire
gastrointestinal tract
gastrointestinal
introduction member
proximal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0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숌론 벤-호린
Original Assignee
텔 하쇼머 메디컬 리서치 인프라스트럭쳐 앤드 서비시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 하쇼머 메디컬 리서치 인프라스트럭쳐 앤드 서비시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텔 하쇼머 메디컬 리서치 인프라스트럭쳐 앤드 서비시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92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4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56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self propul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1Capsule endoscopes for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42Alimentary tr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42Alimentary tract
    • A61M2210/106Small intes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42Alimentary tract
    • A61M2210/1064Large intes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42Alimentary tract
    • A61M2210/1067An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27Magnetic means; Magnetic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doscop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위장관으로 도입 부재를 도입함으로써,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는 위장관을 통과하여 위치된다. 위장의 가이드와이어의 일 말단은 도입 부재에 부착되며, 위장의 가이드와이어의 다른 말단은 고정 부재에 부착되며, 상기 고정 부재는 위장관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와이어의 다른 말단을 고정시킨다. 위장관을 통한 도입 부재의 움직임은 가이드와이어가 위장관을 통과하여 위치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가이드와이어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스캐폴드로 사용되며, 상기 위장의 장치는 외부에서 조절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장치가 위장관을 통과하여 하강하는 동안에, 위장의 장치의 속도가 빨라지거나, 느려질 수 있고, 전환되거나 멈출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OF GASTROINTESTINAL DEVICE THROUGH THE GASTROINTESTINAL TRACT}
본 발명은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장의 가이드와이어(gastrointestinal guidewire)는 위장관을 통과하여 위치되고,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는 스캐폴드(scaffold)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위장관의 내강(lumen)에 대한 접근법은 다양한 질환(예를 들어, 감염, 암 및 위장의 출혈)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에 유용하다. 입을 통해 삽입되거나(예를 들어, 위내시경 또는 소장내시경) 또는 항문을 통해 삽입되는(예를 들어, 결장경) 다양하고 유연한 광섬유 내시경에 의해, 내강의 이미지를 수득할 수 있다. 이러한 시술들은, 특히 결장경 및 소장내시경은 조작자(일반적으로, 내과의사)에 의한 다양한 수동 조작을 요구하는데, 상기 내시경이 고리 모양으로 감기는 것(이에 의해 상기 내시경의 삽입을 기술적으로 어렵게 함)을 방지하면서 나아가도록 하기 위해 상기의 수동 조작을 요구한다. 또한, 이러한 시술을 겪는 대부분의 환자에 대해서, 이러한 조작 그리고 내시경이 고리 모양으로 감기는 것에 의한 환자의 불편함을 진정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 내시경을 십이지장에서 소장으로 접근시키는 것은, 소장의 길고 구불구불한 경로 및 과잉성(redundancy) 때문에 제한된다. 소장의 이러한 해부학적 특징 및 역학적인 특징은, 내시경을 앞으로 밀어넣었다가 일시적으로 뒤로 빼는 것을 번갈아 하는 일반적인 조작에 의해, 내시경 튜브에 의해 고리 모양으로 감기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해, 내시경이 소장으로 나아가는 것을 방해한다. 최근에는, 이중-풍선 내시경(double-balloon enteroscope, DBE)이 소장의 내시경 연구를 위해 분야에 도입되었다. 오버튜브(overtube) 및 내부의 내시경이 다르게 고정되고 장을 통과하여 나아갈 수 있도록, DBE는 조작자에 의해 연속적으로 팽창되고 수축되는 2개의 풍선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는 환자를 매우 진정시키는 것이 기술적으로 부담이 되고 긴 시술이고, 또한 단일의 오리피스(orifice)(즉, 입 또는 항문)로부터 한 번의 시술로 소장의 전체를 횡단함에 있어서는 거의 성공적이지 못했다.
이러한 어려운 점 때문에, 현재에는 캡슐 내시경(capsule endoscopy)이 소장의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주된 방법이며, 또한 이를 통해 상부 및 하부 위장관을 볼 수 있다. 이 방법은, 수득된 이미지를 외부의 녹화기에 전달하는 카메라가 장착된 캡슐을 피검자에게 구강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시간이 지난 후에 이미지는 조작자에 의해 스크린에서 보여진다. 그러한 캡슐은 미국 특허 제5,604,531호에 개시된다. 캡슐 내시경의 주된 한계는, 현재 조작자에 의해 캡슐의 움직임을 조절할 수 없고, 캡슐이 단지 소장의 운동력에 의해 위장관을 따라 수동적으로 나아가는 동안에 이미지가 수득된다는 점이다. 이는, 캡슐이 임의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관심의 특정 부분 및 관의 전체 길이의 시각화를 어렵게 한다. 게다가, 일부 캡슐은 소장의 전체를 횡단하기도 전에 배터리가 소모되며, 이와 유사하게, 빠른 연동운동으로 인해 캡슐이 병소(lesion)에 걸쳐서 빠르게 앞으로 지나가기 때문에 관심의 부분을 간과하거나 놓칠 수 있다. 캡슐의 움직임이 임의적이고 조절될 수 없기 때문에, 출혈 또는 표적화된 약물 전달을 조절하는 조작인, 조작자에 의해 가이드되는 병소-특이적인 개입(예를 들어, 생체 조직 검사용 조직의 입수)이 불가능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캡슐이 위장관을 횡단하는 시간 동안에 진료소 밖에서(예를 들어, 집에서) 진행되고, 그 시간 동안에 위장관의 필름(film)이 생성된다. 환자가 진료소 밖에 있기 때문에, 생체 조직 검사를 할 수 없다. 또한, 상기 필름이 생성되는 시간이 일반적으로 길고(약 7시간), 의사로서는 검토하는 데에 더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생리적으로 결장에서의 통과 시간은 48시간 정도, 즉 소장에서의 통과 시간보다 더 길기 때문에, 캡슐의 수동적인 연동운동-의존적인 움직임은 결장의 시각화에 캡슐 내시경을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 주된 장애이다. 결장에서의 통과 시간은 강력한 하제(purgative) 및 프로-키네틱 양생법(pro-kinetic regimen)에 의해 단축되는 반면에, 그러한 시술은 환자를 불쾌하게 하며 환자의 승낙 없이는 할 수 없다. 또한, 그 때 조차도, 시술의 마지막에 캡슐의 배터리가 고갈되기 전에, 캡슐의 상당한 부분이 여전히 결장의 전체를 횡단하지 못하고 항문으로부터 방출되지 못하고, 이 때문에 인간의 결장 연구에 대한 캡슐의 진단상 유용성이 떨어지고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미국 특허 제7,226,410호는 신체의 내강(예를 들어, 위장관) 내에서 의료 시술을 수행하는 장치를 개시하며, 상기 장치는 케이블에 부착된 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의 원위 말단은 위장의 내강 내에서 펼쳐지는 루프 형태(loop)로 배열되고 관에 놓여지는데, 상기 관에서 캡슐이 추진 메커니즘에 의해 앞으로 또는 뒤로 조작된다. 상기 개시 내용에 따르면, 케이블을 위치시키는 것과 캡슐을 움직이는 것 둘 모두는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어야 하며, 즉 조작자가 장치를 통하여 미끄러지듯이 이동시킬 때 케이블이 펼쳐지고, 조작자가 작동 조절 유닛을 활성화시킬 때 캡슐은 케이블을 따라 나아간다. 다른 줄이 달린 캡슐(string capsule)(예를 들어, 왓슨-크로스비 캡슐 및 특정한 이미징의 줄이 달린 캡슐)은 상기 캡슐에 부착된 줄 또는 튜브와 함께 도입되도록 구성되며, 이들은 구강으로 다시 회수되므로, 소장의 상부 부분의 조사에만 한정된다.
미국 특허 제6,632,171호는 위장관 내에 내시경 캡슐을 수동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클램프(clamp) 장치를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6,884,213호는 위장관 내에 내시경 캡슐을 위치시키기 위해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주입 장치를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6,936,003호는, 신축성이 있는 코(proboscise)라는 용어의 하나 이상의 신축성이 있는 암, 및 생체 내(in vivo) 의료 기구(예를 들어, 내시경 캡슐)를 포함하는 장치를 개시하며, 상기 신축성이 있는 코는 장치를 이동 및 추진시키는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미국 특허 제6,986,738호는 튜브 및 생체 내 센싱 장치(sensing device)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개시하며, 상기 센싱 장치는, 예를 들어 탄성이 있는 코드(cord) 또는 와이어(wire)를 통해 상기 튜브에 변환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튜브에 대한 센싱 장치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6,939,290호는 센서를 포함하는 생체 내 센싱 장치(예를 들어, 내시경 캡슐), 및 돌출되지 않은 자기유체역학적인 추진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에서 언급된 모든 위치 시스템은 높은 수준의 기술을 가진 조작자에게 상당히 의존한다.
추출가능한 줄(종종 위(胃)의 줄이라 함)을 갖는 소화될 수 있는 진단상의 캡슐이 측정 또는 진단을 위해 위(胃)에 사용된다. 환자는 위(胃)의 줄에서 매듭이 없는 말단을 잡은 후 캡슐을 삼키며, 그 시간 동안에 줄은 캡슐을 내보내고, 상기 캡슐은 식도를 통해 이동하여 위(胃)로 들어간다. 그런 다음, 캡슐은 용해되거나 또는 환자의 소화 시스템을 통과하며, 위(胃) 내에 상기 줄을 남겨둔다. 특정 시간 기간 후에, 줄은 빼내어지고, 위(胃)에 있던 줄의 원위 말단은 이후에 다양한 지시자(예를 들어, 어떤 미생물의 존재)를 위해 테스트되고, 위(胃)에 있던 내용물의 pH를 측정하기 위해 테스트된다. 예를 들어, 그러한 장치가 미국 특허 제3,528,429호, 제3,683,890호 및 제5,738,110호에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들은 소장 및 대장과 같이 더 아래쪽에 있는 위장관을 횡단하도록 디자인되지는 않는다.
라미레즈 등은, 식도의 위 및 아래로의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줄에 부착된 와이어가 없는 캡슐 내시경 장치를 개시한다. 도입 후에, 캡슐은 식도 및 위의 이미지를 수득한 후, 반복된 다음의 사용을 위해 조작자에 의해 입을 통해 빼내어진다(문헌[Ramirez FC 등, Gastrointestinal Endoscopy 2005; 61(6) 741-6]).
미국 특허 제7,037,275호는 위장의 샘플링 장치(gastrointestinal sampling device)를 개시하며, 상기 장치는 가단성이 있는 드래그 물질(drag material), 그 중에서도(inter alia) 흡수성 줄, 면, 샘플링 천, 울(wool), 아크릴, 나일론, 플라스틱, 체인 링크(chain link) 또는 미세한 직물 금속, 및 상기 장치를 빼낼 때 드래그 물질 주위에 구성되는 보호용 외피(sheath)를 포함하는 캡슐이다. 상기 개시물에 따라, 외부 자기력을 적용하여 위치를 조작하기 위해 드래그 물질의 일 말단에 추(weight)가 부착된다.
내시경, 내시경 캡슐 뿐만 아니라 다른 진단상의 캡슐(예를 들어, pH 기록 캡슐, 화학적 샘플링 캡슐 등) 또는 위장의 장치의 움직임을 조절할 수 없다는 것은, 상기 캡슐들의 진단상의 유용성 및 치료상의 유용성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또한, 소장의 구불구불하고 과잉성으로 인해, 내시경이 상기 소장을 통해 수동적으로 앞으로 나아가는 데에 있어서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진단용 및 치료용 위장의 장치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수단에 대한 많은 요구가 있다.
미국 특허 제5,879,325호는, 위장관을 따른 위치에 물질을 도입하기 위해 위장관을 통과하는 튜브의 도입을 개시한다. 그러나, 튜브는 위장의 시스템 외부의 위치로부터 상기 위장의 시스템을 통과하도록 잡아 당겨지는데, 이는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고 튜브의 도입에 대한 선택을 제한한다.
따라서, 위장관 전체에 걸쳐서, 특히 소장 및 대장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시스템은, 도입 부재 원위 말단(distal end), 도입 부재 근위 말단(proximal end), 외부 영역 및 내부 영역을 갖는 도입 부재, 도입 부재에 있는 가이드와이어 부착 돌기부(attachment point), 도입 부재의 외부에 있는 고정 부재, 및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 및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으로부터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까지 연장되는 가이드와이어 몸체를 갖는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와이어 몸체는 적어도 위장관의 결장 입구까지 이르도록 위치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은 고정 부재에 부착되고, 일부 실시예에서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은 도입 부재의 내부 영역 내에 위치되며 가이드와이어 부착 돌기부에 부착된다. 도입 부재가 위장관을 통과하는 경우에, 가이드와이어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내부 영역으로부터 위장관으로 방출되도록 구성된다.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는,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스캐폴드(scaffold)로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입 부재는 삼킬 수 있는 부재(예를 들어, 삼킬 수 있는 캡슐)이다. 도입 부재 원위 말단은 도입 부재 근위 말단보다 더 가볍거나 및/또는 좁을 수 있다. 도입 부재는 소화성(digestible), 생분해성(biodegradable) 또는 용해성이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다르게는, 도입 부재는 소화가 안 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는 손상되지 않은 형태로 신체로부터 배설될 수 있다. 도입 부재는 외부의 검출 방법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지시자(indicator)(예를 들어, 하나 또는 다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marker), RFID 태그, 또는 자력계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금속 성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부착 돌기부는 상기 도입 부재의 내부 벽에 존재하며, 상기 도입 부재는 상기 도입 부재 근위 말단에서 가이드와이어 출구를 더 포함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가이드와이어 출구는 한쪽-방향의 밸브를 더 포함한다. 다르게는, 상기 가이드와이어 부착 돌기부는 도입 부재의 외부 벽에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회전가능한 스풀(spool)이 도입 부재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와이어 부착 돌기부는 회전가능한 스풀 상에 존재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이드와이어 부착 돌기부는 도입 부재의 내부 벽에 존재한다. 도입 부재는 구형, 반구형, 끝이 점점 가늘어지는 형태(tapered), 원뿔 형태, 실린더 형태 또는 타원형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입 부재는 각각이 별개의 형태(예를 들어, 구형, 반구형, 끝이 점점 가늘어지는 형태, 원뿔 형태, 실린더 형태, 직육면체, 날개 형태, 팔 형태 및 타원형)를 갖는 복수의 부재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는, 생분해성 물질, 비-생분해성 물질, 방사선 불투과성의 물질, 속이 비어 있는 튜브, 및 슬릿(slit)을 갖는 속이 비어 있는 튜브,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장의 장치는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외부에서 조작되도록 변경된 진단용 캡슐일 수 있다. 다르게 또는 추가적으로, 위장의 장치는, 이미징 장치, 내시경, 생체 조직 검사 장치, 또는 내강의 내용물 샘플링 장치(luminal content sampling device), 전기 소작 장치(electrocautery device), 약물 전달 장치, 외과 수술용 장치 또는 기구,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위장의 장치는, 자석, 모터 또는 외부에서 조절가능한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도입 부재 원위 말단, 도입 부재 근위 말단, 외부 영역 및 내부 영역을 갖는 도입 부재를 포함한다. 가이드와이어 출구는 도입 부재 근위 말단에서 제공되며, 가이드와이어 부착 돌기부는 도입 부재의 내부 영역에서 제공되며, 그리고 고정 부재는 도입 부재의 외부에서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 및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으로부터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까지 연장되는 가이드와이어 몸체를 갖는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를 포함하며, 가이드와이어 몸체는 위장관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위치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은 고정 부재에 부착된다.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은 내부 영역 내에 위치되며 가이드와이어 부착 돌기부에 부착된다. 도입 부재가 위장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횡단하는 경우에, 가이드와이어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가이드와이어 출구를 통해 내부 영역으로부터 위장관으로 방출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는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시스템은, 도입 부재 원위 말단, 도입 부재 근위 말단, 외부 영역 및 내부 영역을 갖는 도입 부재; 도입 부재 근위 말단에 있는 가이드와이어 출구; 도입 부재의 내부 영역에 있는 가이드와이어 부착 돌기부; 및 도입 부재의 외부에 있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 및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으로부터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까지 연장되는 가이드와이어 몸체를 갖는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와이어 몸체는 위장관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위치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은 고정 부재에 부착되며,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은 내부 영역 내에 위치되며 가이드와이어 부착 돌기부에 부착된다. 도입 부재가 위장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횡단하는 경우에, 가이드와이어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가이드와이어 출구를 통해 내부 영역으로부터 위장관으로 방출되도록 구성된다.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는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스캐폴드로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는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시스템은, 도입 부재 원위 말단, 도입 부재 근위 말단, 외부 영역 및 내부 영역을 갖는 도입 부재; 도입 부재에 있는 가이드와이어 부착 돌기부; 및 도입 부재의 외부에 있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 및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으로부터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까지 연장되는 가이드와이어 몸체를 갖는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와이어 몸체는 위장관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위치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은 고정 부재에 부착되며,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은 가이드와이어 부착 돌기부에 부착되며, 그리고 도입 부재가 위장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횡단하는 경우에, 가이드와이어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고정 부재로부터 위장관으로 잡아 당겨지도록 구성된다.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는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스캐폴드로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는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시스템은, 도입 부재 원위 말단, 도입 부재 근위 말단, 외부 영역 및 내부 영역을 갖는 도입 부재; 도입 부재 근위 말단에 있는 가이드와이어 출구; 및 도입 부재의 외부에 있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 및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으로부터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까지 연장되는 가이드와이어 몸체를 갖는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와이어 몸체는 위장관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위치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지며,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은 고정 부재에 부착되며,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은 내부 영역 내에 위치되며, 그리고 도입 부재가 위장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횡단하는 경우에, 가이드와이어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은 가이드와이어 출구를 통해 내부 영역으로부터 위장관으로 방출되도록 구성된다.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는,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스캐폴드로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개별의 위장관 내에서 위장의 장치를 조절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위장관을 통해 나아가도록 구성된 도입 부재, 고정 부재, 및 상기 도입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에 부착된 가이드와이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고정 부재를 위장관의 외부의 위치 또는 피검자의 입에 고정하는 단계, 도입 부재를 위장관으로 도입하는 단계, 그리고 도입 부재가 위장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횡단(예를 들어, 자연스런 연동운동에 의함)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도입 부재가 횡단하는 동안에 가이드와이어는 위장관의 상기 횡단된 부분을 따라 위치되며, 이후에 가이드와이어에 의해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 하며, 상기 가이드하는 단계는 위장의 장치의 움직임을 외부에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초기에 가이드와이어는 도입 부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도입 부재에 의해 횡단하는 동안에, 가이드와이어는 도입 부재의 안쪽으로부터 방출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를 구강, 비강, 또는 개별 신체의 외부 위치에 부착함으로써 고정시킬 수 있다. 도입 부재의 도입은 상기 도입 부재를 삼키거나 또는 다른 수단(예를 들어, 내시경의 사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입 부재는 전체 위장관을 횡단할 수 있다. 도입 부재는 상기 도입 부재를 제거하거나 항문으로부터 배출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으며, 또는 내시경을 통해 위장관을 따른 다른 지점으로부터 배출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입 부재는 피검자의 신체 내에서 분해된다. 위장의 가이드와이어가 놓여진 경우에, 위장의 장치가 가이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위장의 장치에 부착되며 원격으로 조절할 수 있는 모터를 원격으로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위장의 장치에 부착된 부수적인 와이어를 조절함으로써 위장의 장치가 가이드될 수 있다. 위장의 장치는 속도가 빨라지거나, 느려질 수 있고, 전환되거나 멈출 수 있으며, 위장의 장치의 각도는 위장관의 세로방향의 축(longitudinal axis)에 대해 조정되거나 또는 달리 말하면 조절될 수 있다.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이고 과학적인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공통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개시된 것과 유사하거나 균등한 방법 및 물질이 본 발명을 실시하거나 테스트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하더라도, 적당한 방법 및 물질이 하기에서 설명된다. 상충되는 경우에, 정의를 포함하는 본 특허 명세서가 지배할 것이다. 또한, 상기 물질, 방법 및 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함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장점 및 추가적인 장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함으로써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를 위치시키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를 위치시키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를 위치시키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장관 전체에 걸쳐서 위치되는 위장의 가이드와이어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를 위치시키는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속이 비어 있는 튜브 형태를 갖는 위장의 가이드와이어의 도면이다.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와이어를 따른 움직임에 대한 바퀴가 달린(wheeled) 위장의 장치의 도면이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를 위장관에 위치시키는 방법의 단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a 내지 6c의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날개 형태를 갖는 도입 부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도입 부재 및 가이드와이어의 2개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0은 동물 모델로 사용한 돼지에서의 예시적인 실험 결과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10a는, 돼지의 항문으로부터 도입 부재를 방출한 후에, 돼지의 항문 안쪽으로부터 연장되고 조사자가 손으로 도입 부재를 잡고 있는 와이어를 도시한다. 도 10b는 복부의 벽에 대한 와이어의 부착 그리고 그 이후에 위의 벽에 대한 부착을 도시한다. 도 10c는 위를 따라 연장되는 고정된 와이어를 도시한다. 도 10d는 위로부터 십이지장까지 통과하는 와이어를 도시한다. 도 10e는 소장을 따라 통과하는 와이어를 도시한다. 도 10f는 회장(ileum)으로부터 맹장(cecum)까지 통과하는 와이어를 도시한다. 도 10g는 대장을 따라 통과하는 와이어를 도시한다.
간단하고 명백하게 예시하기 위해, 도면에서 도시된 부재들이 본질적으로 정확하거나 또는 스케일(scale)이 유사하게 도시되지는 않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부재들의 치수(dimension)는 명백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른 부재들에 비해 과장될 수 있거나, 또는 몇몇 물리적인 구성요소는 1개의 기능적인 블럭(block) 또는 부재에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적절하게 고찰하는 경우에, 대응되거나 유사한 부재를 나타내기 위해 참조 번호가 도면 사이에서 반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일부의 블럭은 단일 기능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 많은 부분을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이고 상세한 설명이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이 복잡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잘-알려진 방법, 시술, 구성요소 및 구조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조절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의 원리 및 조작 방법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참고하면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이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거나 도면에서 예시되는 구성요소의 상세한 구조체 및 배열에 대한 적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어구 및 용어는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고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의 실시예에 따라 명백히 설명되는 본 발명의 어떤 특성은 단일의 실시예에서 조합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고 이해된다. 반대로, 단일의 실시예에 따라 간단히 설명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특성이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당한 하위-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정의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위장의 가이드와이어(gastrointestinal guidewire)"는, 위장의 장치에 설치되거나 삽입되기에 적당하며, 위장관의 길이를 따라 위치될 수 있는, 연속적인 길이의 케이블, 와이어, 줄(string), 실(thread), 필라멘트(filament), 튜브 또는 다른 물질 또는 구조체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위장의 가이드와이어가 횡단하는 위장관의 길이는 구강 내지 항문까지의 위장관의 전체 길이이지만, 그의 일부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는, 상기 가이드와이어가 횡단하는 위장관의 부분의 경로를 실질적으로 따르는 구성으로 위치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위장의 연동운동(gastrointestinal peristalsis)"은, 위장의 시스템의 다양한 기관(예를 들어, 구강, 목구멍, 식도, 위장, 소장, 대장 및 직장을 포함함)을 통해 음식물 및 배설물이 나아가도록 정상적으로 기능을 하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공동으로 작용할 수 있거나 또는 공동으로 작용할 수 없는 수축작용(contract)을 의미한다. 따라서, 위장의 연동운동은 삼키도록-유도된(swallow-induced) 연동운동(1차 연동운동이라 함); 식도의 연동운동(2차 연동운동이라 함); 위의 연동운동(1차, 2차 또는 3차), 및 장의 연동운동(1차, 2차 또는 3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도입 부재(introducing element)"는, 위장관을 통과하도록 맞춰지고, 연동운동성 수축작용에 대응하여 위장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횡단하도록 구성된 물체를 의미한다.
도 1a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를 위치시키는 시스템(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시스템(10)은 도입 부재 원위 말단(14) 및 도입 부재 근위 말단(16)을 갖는 도입 부재(12)를 포함한다. 도입 부재(12)는, 상기 도입 부재(12)가 위장관으로 도입(예를 들어, 삼킴 또는 내시경의 사용에 의함)할 때 위장관에 노출된 외부 영역(18)을 포함한다. 도입 부재(12)는 내부 영역(20)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내부 영역(20)은 속이 비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이드와이어 출구(22)는 도입 부재 근위 말단(16)에 위치된다. 가이드와이어 출구(22)는 가이드와이어가 미끄러지듯이 통과할 수 있도록 충분한 직경을 갖는 개구부이다.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입 부재(12)의 내부 영역(20)은, 내부 영역(20)에서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유하기 위해 가이드와이어 리테이너(24)를 포함한다.
도입 부재(12) 그리고 더 특히 도입 부재(12)의 외부 영역(18)은, 임의의 적당한 불활성 물질 또는 혼합물, 예를 들어 플라스틱 코팅으로 둘러 싸여진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입 부재(12)는, 임의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이 개별의 형태(예를 들어, 끝이 점점 가늘어지는 형태(tapered), 원뿔 형태, 실린더 형태 또는 타원형을 포함함)를 갖는 복수의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삼킬 수 있는 부재(예를 들어, 삼킬 수 있는 캡슐)일 수 있다. 도입 부재(12)는 임의의 적당한 크기일 수 있고, 일부 실시예에서는 최대 36×18 mm 범위의 삼킬 수 있는 크기의 캡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3 cm의 치수를 갖는 삼킬 수 있는 캡슐이 진단상 시술에 대해 현재 사용된다. 본 출원의 도입 부재(12)는 상기 삼킬 수 있는 캡슐과 크기 및 구조에서 유사할 수 있으나, 상기 디자인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입 부재 원위 말단(14)은 도입 부재 근위 말단(16)보다 중량이 더 작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도입 부재(12)는 하강하는 동안에 실질적으로 방향성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입 부재 원위 말단(14)은 도입 부재 근위 말단(16)보다 더 좁을 수 있어서, 도입 부재가 소장을 빠져나가고 대장으로 들어가자마자, 도입 부재(12)가 소장으로 후진하려는 움직임을 막을 수 있다. 이 방법에서, 도입 부재(12)가 대장에서 보유된다면, 상기 소장으로 의료 장치가 추가적으로 도입되도록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는 소장을 따라 최소한의 위치를 차지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입 부재(12)는 압력, pH, 연동운동성 수축작용, 내강의 직경 또는 다른 물리적인 파라미터(상기 파라미터는, 도입 부재(12)가 위장관의 일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이동할 경우에 표시될 수 있음)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부분(17)은 도입 부재 근위 말단(16) 상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확장 부분은 센서가 소장을 횡단하는 것이 감지되자마자 자동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 부재(17)는 도입 부재(12)에 대해 각(angle)을 형성하여 부착된 각진 날개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날개 형태는 근위 말단(16)에서 외부로 연장될 수 있어서 도입 부재(12)가 소장으로 후진하여 드래그(drag)되는 것을 역학적으로 방지한다. 확장 부재(17)는 임의의 적당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입 부재(12)는 소화성, 용해성, 또는 생분해성이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예를 들어, 도입 부재(12)는 용해성 젤라틴(gelatin)을 포함할 수 있다. 소화성 도입 부재(12)를 사용하면 환자가 용이하게 승낙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도입 부재(12)는 비-용해성 도입 부재이거나, 또는 다르게는 비-용해성 물질로 코팅된 용해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입 부재(12)는 소화관을 쉽게 통과하는 무독성의 물질(예를 들어, 에나멜(enamel), 자기(porcelain), 중합체(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중합체, 다당류 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 합성 고무 또는 고무 유액)로 코팅된 젤라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은 딥 코팅(dipping coating) 또는 브러시 코팅(brush coating)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입 부재(12)는 탄성 또는 반-탄성 물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입 부재(12)는 이미지 검출 수단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입 부재(12)는 외부의 검출 방법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지시자(예를 들어, 하나 또는 다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marker), RFID 태그, 또는 자력계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금속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로 표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입 부재(12)는, 도입 부재 또는 위장의 장치의 움직임을 증가시키기 위해 전기를 전도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물질(그 위에 절연층을 갖음)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0)은 도입 부재(12)의 외부에 있는 고정 부재(26)를 더 포함한다. 고정 부재는 다양한 구성일 수 있으며, 피검자의 얼굴에 부착된 접착 테이프, 피검자의 머리 또는 목의 주변을 묶고 동여맨 밴드, 또는 피검자의 구개(palate) 또는 이빨에 부착된 몰드(mold)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는, 고정 부재(26)에 부착된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30), 그리고 근위의 가이드와이어 부착 돌기부(38)에서 도입 부재(12) 내의 가이드와이어 리테이너(24)에(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입 부재(12) 그 자체에) 부착된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32)을 포함한다.
부착 돌기부(38)는 도입 부재(12)의 내부 벽에 존재할 수 있다. 다르게는, 부착 돌기부(38)는 도입 부재(12)의 외부 벽 상에 존재할 수 있다.
부착 돌기부(38)는 핀(pin), 클립(clip), 접착제,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부착 수단을 포함하거나, 도입 부재(12)와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입 부재(12)가 위장관을 통과하고 하강하여 항문으로부터 회수된 후에, 도입 부재(12)가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부착 돌기부(38)가 구성된다.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는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30)으로부터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32)까지 연장되는 가이드와이어 몸체(34)를 갖는다. 가이드와이어 몸체(34)는 적어도 위장관의 결장 입구까지 연장될 정도로 충분히 길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이드와이어 몸체(34)의 길이는 결장 내의 위치로 연장될 정도, 예를 들어 직장 입구까지 연장될 정도로 충분히 길다. 다르게는, 가이드와이어 몸체(34)는 위장관의 전체 길이를 통과하여 연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항문에서의 위치 또는 항문을 벗어난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와이어의 직경이 거기에 맞는 크기(예를 들어, 0.03 mm)라면, 약 22 미터의 길이를 갖는 가이드와이어는 삼킬 수 있는 캡슐에 맞춰질 수 있다. 도 1a, 1b 및 2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초기에 대부분의 가이드와이어 몸체(34)는 도입 부재(12)의 내부 영역(20) 내에 위치된다. 도입 부재(12)가 화살표(42)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위장관을 통과하여 하강하는 경우에, 더 많은 가이드와이어 몸체(34)가 도입 부재(12) 밖으로 점차적으로 이동하며, 화살표(40)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가이드와이어 출구(22)를 통해 위장관으로 이동한다. 도 1a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입 부재(12)가 하강하는 동안에,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의 원위 말단(30)은 가이드와이어 리테이너(24)에 부착된 채로 유지되고,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의 근위 말단은 고정 부재(26)에 부착된 채로 유지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가이드와이어 몸체(34)는 위장관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고정 부재(26)를 통해 제자리에서 유지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입 부재(12)가 하강하는 동안에,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의 원위 말단(30)은 원위의 가이드와이어 부착 돌기부(38)에서 도입 부재(12)에 부착된 채로 유지되며,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의 근위 말단은 고정 부재(26)에 부착된 채로 유지된다. 그러나, 도 1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가능한 스풀(spool)에 걸쳐서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감기어져 있지는 않으며, 오히려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으로 감기어져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이드와이어 출구(22)는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가 배출될 수 있는 한쪽-방향의 밸브를 더 포함하며, 이로 인해 위장관으로부터 도입 부재(12)로 유체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도입 부재(12)는 위장관 전체를 통과하여 나아갈 수 있고, 직장/항문을 통과하여 방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는 위장관을 통해 완전히 제자리에 있으며, 위장의 시스템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는 스캐폴드로 사용될 수 있다.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는 임의의 생체적합성 물질 또는 불활성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피검자에게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물질이어야 한다. 적당한 물질은 와이어, 탄성체, 줄, 면, 울(wool), 아크릴, 나일론, 플라스틱, 폴리에스테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가 소장 및 대장의 구불구불한 경로 주위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물질이 충분히 유연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는 비-용해성 코팅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나멜, 자기(porcelain), 중합체(예를 들어, 폴리카본 중합체, 다당류 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 합성 고무 또는 고무 유액,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은 딥 코팅, 스프레이 코팅(spraying coating) 또는 브러시 코팅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는 도 1a, 1b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라인(line)을 포함한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는 도 5a 내지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 비어 있는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는 외부의 검출 방법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지시자와 함께 길이에 따라 표시된다. 상기 지시자는, 예를 들어 수축(traction)을 더 촉진할 수 있는 주기적인 및/또는 비-주기적인 패턴(예를 들어, 톱니(teeth), 홀(hole), 또는 홈(groove))의 특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의 이미징 기술에 의해 검출할 수 있는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는 적당한 플라스틱, 금속 또는 금속 합금(예를 들어, 강철, 니티놀(nitinol), 알루미늄, 티타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와이어이다.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의 직경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라인, 케이블, 와이어 및 유사한 기구의 직경에 따를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가이드와이어의 직경은 0.01 mm 내지 10 mm의 범위이거나 또는 0.01 내지 0.5 mm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는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와이어 리테이너(24)는 도입 부재(12)의 내부 영역(20)에서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32)을 보유하는 임의의 적당한 리테이너일 수 있으며, 가이드와이어 몸체(34)는 내부 영역(20)으로부터 방출된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와이어 리테이너는 주위에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가 감겨지는 회전가능한 스풀(36)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회전가능한 스풀(36)은 풀리(pulle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가능한 스풀(36)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회전가능한 스풀(36)은 상기 회전가능한 스풀(36)을 구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전기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 모터에 의해 제공되는 힘은 토크의 회전력(torque force), 미는 힘, 연속적인 힘, 교대로 간헐적인 힘,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도입 부재(12)가 바람직한 지점에 도달하거나 항문을 통과하여 방출되자마자, 회전가능한 스풀(36)은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의 추가적인 언스풀링(unspooling)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잠금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와이어 리테이너(24)는 고체 물질 또는 스프링-같은 물체일 수 있으며,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는 임의의 적당한 구성(예를 들어, 지그-재그 또는 다른 패턴)으로 내부 영역(20)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와이어가 얽히는 것을 방지한다.
도입 부재(12)는 위장의 연동운동에 의해 위장관의 길이를 따라 나아간다.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가 결국에는 위장관의 길이를 따라 위치될 때까지, 도입 부재(12)를 점진적으로 움직여서 상기 도입 부재에 부착된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를 잡아당기고 드래그할 수 있고, 상기 도입 부재로부터 방출시킬 수 있다.
고정 부재(26)는 다양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는 피검자의 입 밖에 그리고 입 주변에(예를 들어, 입 근처의 얼굴 상에 또는 입의 근위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설치 돌기부(mounting point)는 피검자의 구강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볼의 내부 또는 이빨, 또는 비강 근처 또는 비강 주위에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설치 돌기부는 피검자의 상체 상의 어느 부분에 존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목, 가슴 또는 등에 존재할 수 있다. 내시경을 통해 도입 부재를 삽입한 후에, 설치 돌기부는 위장관의 상부의 안쪽에 존재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위 또는 십이지장에 존재할 수 있다.
도입 부재(12)가 위장관으로부터 나온 후에, 제자리에 있는 시스템(10)을 예시하는 도 3을 참고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26)는 볼의 외부 표면 상에 위치된다. 도입 부재(12)는, 위(102), 소장(104), 및 대장(106)을 포함하는 위장관 전체를 통과하여 이동하며, 항문(108)을 통해 배출된다.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는 위장관 전체를 통과하여 위치되도록 도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50)을 예시하는 도 4를 참고한다. 시스템(50)은 도입 부재 원위 말단(54) 및 도입 부재 근위 말단(56)을 갖는 도입 부재(52)를 포함한다. 도입 부재 근위 말단(56)은 가이드와이어 부착 돌기부(78)의 말단에 있는 위장의 가이드와이어(68)에 부착된다. 시스템(50)은 외부 영역(58) 및 내부 영역(60)을 갖는 고정 부재(66)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내부 영역(6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속이 비어 있다. 가이드와이어 출구(62)는 고정 부재(66)의 일 말단에 위치된다. 가이드와이어 출구(62)는 가이드와이어가 상기 출구를 통과하여 미끄러질 수 있도록 충분한 직경의 개구부를 갖는다.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고정 부재(66)의 내부 영역(60)은, 상기 내부 영역(60)에 위장의 가이드와이어(68)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유하는 가이드와이어 리테이너(64)를 포함한다.
위장의 가이드와이어(68)는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70),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72) 및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70)으로부터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72)까지 연장되는 가이드와이어 몸체(74)를 갖는다. 가이드와이어 몸체(74)는 위장관의 전체 길이를 통과하여 연장될 정도로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초기에, 대부분의 가이드와이어 몸체(74)는 고정 부재(66)의 내부 영역(60) 내에 위치된다. 도입 부재(52)가 위장관을 통과하여 하강하는 경우에, 상기 도입 부재는, 더 많은 가이드와이어 몸체(74)가 가이드와이어 출구(62)를 통해 고정 부재(66)의 밖으로 그리고 위장관으로 이동하도록, 위장관을 따라 위장의 가이드와이어(68)를 잡아당긴다. 도입 부재(52)가 하강하는 동안에,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70)은 가이드와이어 리테이너(64)에 부착된 채로 유지되고,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72)은 도입 부재(52)에 부착된 채로 유지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가이드와이어 몸체(74)는 위장관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고정 부재(66)를 통해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다. 도입 부재(52)는 위장관 전체를 통과하여 하강할 수 있고, 항문에서 방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위장의 가이드와이어(68)는 위장관을 통과하여 완전히 제자리에 있으며, 위장의 시스템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는 스캐폴드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 68)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 비어 있는 튜브이다. 추가적인 와이어(90)가 속이 비어 있는 튜브를 통과하여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 비어 있는 튜브는 슬릿(9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와이어(90)는 위장의 장치(300)에 대한 스캐폴드로 사용될 수 있다. 위장의 장치(300)는 진단용 또는 치료용 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장치는 캡슐, 이미징 장치(예를 들어, 스틸 카메라(still camera), 비디오 카메라, 및/또는 조명 유닛), 내시경, 생체 조직 검사 장치, 또는 내강의 내용물 샘플링 장치(luminal content sampling device), 전기 소작 장치(electrocautery device), 약물 전달 장치, 외과 수술용 장치 또는 기구,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미징 장치는 캡슐에 또는 캡슐 내에 포함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위장의 장치(300)의 각도는 위장관의 세로방향의 축에 대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장의 장치(300)는 슬릿(92)으로 삽입되는 돌출부(94)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돌출부(94)는 T-형태일 수 있으며, 수평 부분(96) 및 수직 부분(98)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 부분(96)은 슬릿(92)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수직 부분(98)은 튜브 밖에 그리고 튜브 근처에 위치된 이미지 검출 수단(300)(예를 들어, 카메라)에 부착될 수 있다. 돌출부(94)는 조절 와이어(90)에 추가적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조절 와이어(90)를 조작하여 돌출부(94)를 앞으로 그리고 뒤로 움직이게 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이미지 검출 수단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속이 비어 있는 튜브에 걸쳐서 미끄러진다. 가이드와이어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는 위장의 장치(300)는 일반적으로 자율적인 이미징 시스템일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은 이미징 시스템, 광학 시스템, 이미징 카메라(예를 들어, CMOS 카메라, CCD 카메라, 또는 다른 적당한 이미징 장치), 및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이미징 장치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604,531호 및 국제 공개 특허 제WO 01/65995호에 개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눈에 보이는 데이터를 최대로 캡쳐(capture)하여 최적화하기 위해, 위장의 장치(300)는 장의 내강의 세로방향의 축과 관련된 이미지-캡쳐 각도(즉, 카메라의 각도, 또는 전체 캡슐의 각도)를 변경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다르게는, 위장의 장치(300)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고 사용되는 임의의 위장의 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장치는 와이어, 내시경, 진단용 또는 치료용 장치, 튜브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이러한 많은 장치들이 축(shaft)을 따라 속이 비어 있는 채널(channel)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속이 비어 있는 채널을 통과하여 삽입되는 가이드와이어(28)에 걸쳐서 미끄러지도록 상기 장치들이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으며, 이는 미리-위치된 가이드와이어에 걸쳐서 신체의 기관으로 의료용 튜브를 도입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예에서, 위장의 장치는, 고정 돌기부(anchoring point)에 가이드와이어(28)의 말단 각각을 고정함으로써 야기되는 가이드와이어(28)에서의 장력(tension)에 의해, 와이어를 따라 자기-추진(self-propelled)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와이어(28)의 근위 말단은 피검자의 얼굴에 있는 고정 부재(26)를 통해 고정될 수 있으며, 가이드와이어(28)의 원위 말단은 피검자의 항문 주위의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르게는, 캡슐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캡슐의 앞면과 뒷면 상에 와이어를 잡아두는 2개의 팔에 의해, 가이드와이어(28) 상에 국소적인 장력을 생성하는 메커니즘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위장의 장치(300)는 자성을 띤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자에 의해 조작되는 피검자의 신체의 외부에 걸쳐서 부수적인 자석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장치를 라인에 따라 움직이는 데에 상기 자성을 띤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장의 장치(300)는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를 따라 자기-추진하는 모터 및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위장의 장치(300)는 모터 유닛(304) 및 바퀴(305)를 포함한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305)는 위장의 장치(300) 외부에 있는 메커니즘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바퀴(305)는 장치(300)의 내부 영역 내에 포함될 수 있고, 가이드와이어(28)는 2개의 말단에 있는 출구를 통해 장치(300)를 들어가고 나오며, 위장의 장치(300) 안에서 바퀴(305)와 접촉한다. 바퀴(305)는 쌍으로 된 바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트랙(track)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쌍으로 된 바퀴 사이에서 가이드와이어(28)에 부착될 수 있다. 바퀴(305)는 가이드와이어(28)를 따라 바퀴를 회전시키는 모터(304)에 의해 추진될 수 있으며, 가이드와이어(28)를 트랙 라인으로 사용하여 위장관에서 가이드와이어(28)를 따라 위장의 장치(300)를 추진시킬 수 있다. 모터 유닛(304)은 장치가 움직이는 속도 및 방향을 결정하는 다양한 신호를 통해 외부의 조작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는, 예를 들어, 트랙, 유연한 레일(rail), 체인(chain), 슬라이드(slide) 또는 벨트(belt)로서 라인 이외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바퀴의 메커니즘을 용이하게 붙잡을 수 있도록 주기적인 톱니(톱니-바퀴와 같은 구성일 수 있음)를 가질 수 있다. 스풀된 와이어(spooled wire), 또는 상기 와이어를 따라 이후에 도입된 튜브 또는 와이어는, 모터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전기를 전도시킬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위장의 장치가 조절되면서 나아가는 것에 대한 흐름도 및 방법(200)을 각각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 6a 내지 6c, 및 도 7을 참고한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26)가 피검자의 신체상에 또는 상기 신체의 외부 위치에 설치된다(단계 202). 피검자는 대부분 인간이나, 임의의 다른 포유류일 수도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접착 테이프를 포함하는 적당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설치된다. 다른 수단은 아교(glue), 테이프, 젤, 흡입 컵(suction cup), 몸에 맞는 나일론 랩(close-fitting nylon wrap), 밴드, 몰드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르게는,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장치가 바람직한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피검자의 머리 주위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26)에 부착된 그립 패스너(grip fastener)를 사용함으로써 설치될 수 있다. 봉합 또는 스테이플(staple)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이들을 교체 또는 제거할 때 수반되는 고통 때문에 덜 바람직하다. 피검자의 신체상의 설치 돌기부는 위장관의 외부에 존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입 근처의 얼굴 또는 입 주위에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설치 돌기부는 피검자의 구강 내에 존재하거나, 또는 비강 근처 또는 비강 주위에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설치 돌기부는 피검자의 상체 상의 어느 부분에 존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목, 가슴 또는 등에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설치 돌기부는, 내시경 시술을 통해 설치될 수 있는 위치인 피검자의 위 또는 십이지장에 존재할 수 있다.
다음에,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입 부재(12)는 위장관으로 도입되며(단계 204), 가이드와이어(28)가 위장관의 외형을 따라 유연하게 구불어진 것을 도시한 도 6c에서 매우 개략적인 방법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입 부재(12)는 위장관의 전체 길이를 통과하도록 추진되어서,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를 위장관(미도시) 내에 위치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도입 단계는 도입 부재(12)를 피검자에게 구강 투여하는 단계(예를 들어, 삼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입 단계는 비강을 통해 구강으로 가이드와이어(28)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단계, 상기 도입 부재(12)를 고정하기 위해 입 밖으로 가이드와이어를 잡아당기는 단계, 그런 다음 삼킴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도입 부재에 부착된 가이드와이어(28)를 갖는 도입 부재(12)를 피검자의 식도, 위 및/또는 십이지장으로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가이드와이어가 입 이외에 비강을 통해 위장관으로부터 신체 밖의 고정 돌기부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하여, 피검자의 불편함을 감소시킨다. 다르게는, 도입 단계는 도입 부재(12)를 피검자의 위 또는 십이지장으로 위치시키는 내시경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위 벽의 내부 표면에 고정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법(예를 들어, 내시경 봉합술 또는 클립술(clipping))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입 부재(12)가 피검자의 위장관으로 도입되자마자, 본 발명의 방법은, 위장관(GI track)을 통과하는 도입 부재(12)의 움직임에 대한 위장의 연동운동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하며, 이후에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를 위장관 내에 위치시킨다. 위장의 연동운동은 촉진되지 않을 수 있으며, 또는 피검자에서 연동운동성 수축작용의 빈도 및/또는 세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운동성 강화제(motility enhancers)로 작용하는 약학적 제제를 투여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본 발명의 방법이 개시되기 전에 투여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가이드와이어를 분배하는 과정 동안에 투여될 수 있다. 적당한 제제 또는 제제들의 선택 및 투여량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힘을 증가시키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요구된 힘은 시스템(10)에 관련된 전기 모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적당한 전기 모터는, 위장관에서 측정된 메커니즘의 움직임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유형의 역학적인 힘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적당한 역학적인 힘은 토크의 회전력, 미는 힘, 연속적인 힘, 간헐적인 힘,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입 부재가 위장관을 통해 이동하는 경우에, 도입 부재(12)를 미는 힘은 부착된 가이드와이어를 드래그하는 기능을 하며, 예를 들어 스풀(36)로부터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를 언스풀링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와이어 리테이너(24)로부터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를 점차적으로 방출하는 기능을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스템(10)은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를 방출하도록 힘을 제공하는 전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의 점차적인 방출은, 예를 들어 외부의 검출 방법에 의해 모니터링(monitoring)될 수 있으며, 도입 부재(12) 및/또는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는 외부의 검출 방법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지시자를 포함한다.
그런 다음, 도 7에서 파선(dashed line)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입 부재가 항문을 통과하자마자, 상기 도입 부재(12)는 위장관의 원위 말단에서 선택적으로 회수된다(단계 206). 도입 부재(12)는 피검자의 항문을 통해 밀어냄으로써 회수되거나, 또는 다르게는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에 여전히 부착된 경우에는 도입 부재(12)를 항문을 통해 밖으로 빼내도록 조작하는 내시경을 사용하여 회수될 수 있다. 상기 회수 단계를 완료하기 위해, 도입 부재(12)는 전용의 잠금 수단(dedicated fastening means)이라는 수단(예를 들어, 클립, 핀, 또는 다른 잠금 수단)에 의해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측정 장치의 회수에 대해,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가 위장관의 길이 전체에 걸쳐서 위치된 채로 유지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는, 도입 부재(12)가 피검자의 신체 내에서 분해될 수 있다.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가 제자리에 있는 경우에, 진단용 또는 치료용 장치에 대한 스캐폴드로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를 사용하여 진단 또는 치료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단계 208). 진단 또는 치료 방법이 시작된 시간부터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가 위치된 시간 사이의 시간은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시술이 이후의 일부 시간에 걸쳐서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도입 부재(12)가 위장관을 통과하여 하강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개인마다 변경될 수 있음)은 전혀 의미가 없다. 상기 시술은 이후에 즉시 발생하거나, 수 시간 또는 며칠 후에 발생할 수도 있다. 위장관을 진단하는 방법은 상부 위장관의 위십이지장내시경 검사, 대장의 결장경 검사, 소장의 내시경 검사, 전체 위장관의 팬-내시경(pan-endoscopy), 위장관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캡슐 내시경(위장관의 눈에 보이는 이미지를 수득하거나 또는 위장관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다양한 파라미터를 평가하기 위한 캡슐 연구를 포함함)을 포함한다. 상기 파라미터는 pH, 온도, 압력 및 다양한 생화학적 분석물질과 식별자의 농도를 포함한다. 나아가, 진단 및 치료 방법은, 위장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생체 조직 검사하는 단계, 위장관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내강의 내용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샘플링하는 단계, 위장관의 적어도 일부분에 치료 수단의 전달(예를 들어, 약물 전달, 전기 소작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 위장관의 적어도 일부분에 외과적 시술을 수행하는 단계 또는 위장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위장의 진단 및 치료 방법은 위장관으로 다양한 기구(예를 들어, 그래스퍼(grasper), 블레이드(blade), 클램프(clamp), 조직 수집 바스켓(tissue collecting basket), 외과용 메스(scalpel), 스텐트(stent), 카테터(catheter), 봉합 장치, 포셉(forcep), 확장 풍선(dillation balloon), 주사기(injector), 포셉(forcep), 고정 장치(anchor), 약물 도포용 도구(drug applicator), 샘플러(sampler), 생체 조직 검사 샘플러(biopsy sampler), 전극, 흡입 튜브(suction tube), 온도 센서, 광학 센서, 전기 임피던스 센서, pH 미터, 전기 소작 장치, 아르곤 플라즈마 도포용 도구 및 다른 것들을 포함함)를 삽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위장의 진단 및 치료 방법은, 조직 절단, 조직 웰딩(tissue welding), 봉합, 뜸(cauterizing), 어블레이팅(ablating), 클램핑(clamping), 생체 조직 검사 및 조직 샘플링, 광학 센싱, 화학적 센싱, 물질 또는 물질들의 도포, 물질 또는 물질들의 주입, 이미징, 및 온도 센싱을 포함하는, 다양한 조작 및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위장의 장치(300)는 몇몇 방법 중 하나로 외부에서 조작(즉, 신체 밖에서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위장의 장치(300)는 원격으로 조절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제자리에서 잠길 수 있는 바퀴를 포함한다. 다르게는, 부수적인 와이어가 위장의 장치(300)에 부착될 수 있고, 위장의 가이드와이어(28)에 걸쳐서 위장의 장치를 밀거나 잡아당기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위장의 장치(300)는, 특정 위치에서 제자리에 유지되도록 조작될 수 있고, 위장관의 초기 부분을 보거나 샘플링하기 위해 뒤로 잡아 당겨지도록 조작될 수 있고, 배터리가 작동가능한 동안에 대장에 도달할 수 있도록 밀어 넣어지거나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조작으로 조작될 수 있다.
위장의 장치(300)는, 위장의 장치(300)의 속도가 빨라지거나, 느려질 수 있고, 전환되거나 멈출 수 있으며, 또는 위장관의 세로방향의 축에 대해 위장의 장치(300)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위장관을 통해 가이드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도입 부재 및 가이드와이어의 2개의 도면을 도시한다. 화살표 및 문자 "A"로 표시된 상부 도면에서, 도입 부재(900)는 개방되어 도시되고; 코일 형태의 가이드와이어(902)는 도입 부재(900)로부터 나와서 도시된다. 도입 부재(900)가 닫힌 경우에, 가이드와이어(902)는 도입 부재(900) 내에 포함될 것이며, 출구(미도시)로부터 나온 부분(904)을 제외하고는 눈으로 보이지 않는다.
화살표 및 문자 "B"로 표시된 하부 도면에서, 도입 부재 내에 포함된 대부분의 가이드와이어(902) 및 출구(미도시)로부터 나온 부분(904)과 함께, 도입 부재(900)는 닫혀져서 도시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입 부재(900)는 캡슐로서 도시되나, 이는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이고 어떠한 방식으로 제한하고자 함은 아니다.
예들
상기의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을 제한되지 않은 양식으로 예시하는 하기의 예들을 참고한다.
예 1 : 돼지의 장 부분에 대한 시험관 테스트
가이드와이어가 장 벽을 찢는 데에 필요한 최대의 힘을 결정하기 위해, 0.034 cm 직경의 와이어를 사용하였다. 세로방향을 축으로 하여 장 부분을 절단하였고, 단단한 표면상에 개방된 채로 놓아두고 고정시켰다. 그런 다음, 최대의 힘이 가해질 때까지, 적용된 수동 압력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와이어를 손으로 누르고 수 시간에 걸쳐 장 부분의 내강의 (점막) 측면을 잡아당겼다. 장 벽에서 육안으로 보이는 찢김은 관찰되지 않았다.
예 2 : 돼지의 생체 내 테스트
직경이 0.034 cm이고 길이가 22 m인 와이어를 감았고, 크기가 30×11 mm인 타원형의 도입 부재에 삽입하였다. 와이어는 폴리아미드(polyamide)로 구성되었고, 도입 부재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구성되었다. 와이어는 감겨져 있으며, 상기 와이어의 근위 말단 상에서 잡아당김으로써 안쪽으로부터-바깥쪽으로 풀리었다. 상기 근위 말단을 도입 부재의 안쪽 벽에 고정하였다. 30 cm 와이어가 관통할 수 있고 도입 부재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도입 부재의 세로방향 축의 한쪽 면 상에 출구를 제공하였다.
24시간 동안 먹이를 주지 않은(food fast)(물만 먹임(water ad libitum)) 후에, 60 kg의 암돼지를 연구하였다.
돼지를 하기와 같이 마취시켰다:
미리-약물 처리함: 케타민(ketamine) HCl 10 mg/kg + 자일라진(xylazine) 1-2 mg/kg IM
무익한 캐뉼라(cannula) 삽입 후 - 다이아제팜 10 mg/돼지 - IV
유도: 이소플로란 5% 마스크(isoflorane 5% mask)
유지: 튜브를 삽입(intubation)한 후에, 100% 산소(2L/분)를 사용하여 정(+)의 압력 환기법(IPPV)을 통해 전달된 이소플로란 1-3%.
상기 시술 이전의 15분에 암피실린(Ampicillin) HCl 1gr IV를 동물에 투여하였다
위내시경을 수행하였고, 복부에 광선을 투과시켰다. 타원형의 도입 부재를 붙잡는 로스-네트(Roth-net)로 위내시경을 재-도입하였다. 위(胃)의 경피적 천자(percutaneous puncture)를 13g의 속이 비어 있는 바늘로 수행하였고, 앨리게이터 바이옵터(alligator biopter)는 상기 바늘을 통해 삽입하였다. 도입 부재 와이어의 유리된(free) 근위 말단은 앨리게이터 바이옵터에 의해 붙잡아지고, 와이어는 바늘을 통해 잡아 당겨진다. 와이어는, 위체(gastric body)의 앞쪽 외관에 인접한 피하의 복부 조직에 대해 묶어진다. 도입 부재는 로스-네트로부터 위의 내강으로 유리되었고, 내시경은 빼내어지며; 그러나, 상기 내시경이 빼내어지기 전에, 도입 부재 및 와이어는 내시경을 통해 위의 내강에서 명백히 눈으로 볼 수 있었다(미도시). 마취를 중단시킨 후에 튜브를 제거하였다. 돼지를 동물 시설로 보냈으며, 3일 동안 정상적인 식단을 제공하였고 상세하게 관찰하였다. 정상적인 행동 및 음식을 먹는 패턴이 관찰되었다.
시술을 진행한 후 3일째 되는 날에, 부착된 와이어를 갖는 도입 부재는, 장이 정상적으로 움직이는 동안에 돼지의 항문으로부터 방출되었다. 와이어를 항문으로부터 절단하였고, 컨테이너(container)에서 캡슐과 함께 보존하였다. 돼지는 개복 수술(안락사 및 시체 해부)을 위해 이스라엘 쉐바 병원에 보내졌다. 약간 넓어진 복부를 제외하고, 돼지의 외관은 정상적이었다. 돼지의 몸체 온도는 정상적이었다(39.2℃).
Pental 5cc + KCL 15% 20 ml로 안락사시킨 이후에, 복부를 개방하였다. 일반적인 양보다 적은 양의 유리된 복막 유체가 약간 흐릿한 외관과 함께 관찰되었다. 상기 복막 유체를 무균으로 수집하였고, 혐기성 및 호기성 박테리아에서 배양하기 위해 보냈다.
와이어가 2개의 간엽을 통해 위 벽으로 향하면서(위루 형성술(gastrostomy) 동안에 경피적 바늘 천자(percutaneous needle puncture)를 야기함), 복부의 벽에 여전히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실제적인 출혈은 나타나지 않았다. 장간막이 약간 충혈된 채로 나타났으나, 장의 천공은 보이지 않았다. 삽입 지점 주위에서 나타나는 장막의 점착성으로 인해, 와이어가 앞쪽의 위 벽으로 들어가는 것이 관찰되었다.
장막의 분리 후에, 위는 유문에서 절단되었고, 와이어가 위로부터 십이지장까지 향하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런 다음, 더 작은 만곡부를 따라 개방된 채로 위를 잘라내었고, 내용물이 쏟아져 나왔으며 신선한 수돗물(tap water)로 세척하였다. 와이어는 위체에 부착된 상태로 관찰되었고 유문을 향하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점막은 정상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에, 소장을 회맹판(ileo-cecal valve)에서 잘라내었고, 와이어는 회장으로부터 맹장까지 향하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런 다음, 소장을 10 cm 간격으로 세로방향의 축을 따라 개방된 채로 잘라 내었고, 와이어는 소장의 전체 길이를 따라 향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정상적으로-보이는 점막과 함께 관찰되었다. 대장도 절단되어 관찰된 바와 같이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4개의 장(腸) 시료를 장(腸)으로부터 수득하였고, 4%의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e)에 침지하였고 병리학 실험실로 보냈다. 돼지의 시체를 매장하기 위해 보냈다. 복막 유체의 배양은 호기성 및 혐기성 박테리아에 대해 음성으로 판정되었다.
도 10a는 돼지의 항문(화살표)으로부터 연장되고 방출된 도입 부재를 따라 조사자가 손으로 잡고 있는 와이어를 도시한다. 도 10b는 위체의 앞쪽 벽에 인접한 복부의 벽에 대한 와이어의 부착을 도시한다. 고정된 와이어는 위를 따라 연장되고(도 10c), 그런 다음 위로부터 십이지장까지 통과하며(도 10d), 소장을 따라 통과하며, 회장으로부터 맹장까지 통과하고(도 10e 및 10f), 그리고 대장을 따라 통과한다(도 10g).
본 발명의 어떤 특성이 본원에서 예시되고 설명되는 반면에, 많은 변형, 치환, 변경 및 균등물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은 본 발명의 진실된 사상 내에 속하는 바와 같은 모든 변형 및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73)

  1.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도입 부재 원위 말단(distal end), 도입 부재 근위 말단(proximal end), 외부 영역 및 내부 영역을 갖는 도입 부재;
    상기 도입 부재에 있는 가이드와이어 부착 돌기부;
    상기 도입 부재의 외부에 있는 고정 부재; 및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 및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으로부터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까지 연장되는 가이드와이어 몸체를 갖는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와이어 몸체는 적어도 위장관의 결장 입구까지 이르도록 위치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은 상기 고정 부재에 부착되며,
    상기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은 상기 내부 영역 내에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와이어 부착 돌기부에 부착되며, 그리고
    상기 도입 부재가 위장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횡단하는 경우에, 상기 가이드와이어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내부 영역으로부터 위장관으로 방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는,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스캐폴드(scaffold)로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와이어 몸체의 상기 길이는, 결장 내의 위치에 위치되기에 충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와이어 몸체의 상기 길이는, 직장의 입구 지점에 위치되기에 충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와이어 몸체의 상기 길이는, 항문 또는 항문를 벗어난 위치에 위치되기에 충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부재는 삼킬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삼킬 수 있는 부재는 캡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부재는 내시경에 의해 도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부재 원위 말단은 상기 도입 부재 근위 말단보다 더 가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부재 원위 말단은 상기 도입 부재 근위 말단보다 더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부재는, 소화성 물질, 용해성 물질 및 생분해성 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부재는 젤라틴(gelati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부재는, 소화가 안 되는 물질 및 비-용해성 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부재는 비-용해성 코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는 비-용해성 코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에나멜(enamel), 자기(porcelain), 중합체, 합성 고무 및 고무 유액,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는, 폴리카보네이트 중합체(polycarbonate polymer), 다당류 중합체(polysaccharide polymer),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부재는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이미지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9.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부재는 외부에서 검출될 수 있는 지시자(indicato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에서 검출될 수 있는 지시자는, 하나 또는 다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marker), RFID 태그, 또는 자력계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금속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는 전기적으로 전도성이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부재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pH, 압력, 내강의 직경(luminal diameter), 또는 연동운동성 수축작용(peristaltic contraction)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파라미터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부재의 상기 내부 영역에서 상기 가이드와이어의 적어도 일부분을 보유하기 위해, 가이드와이어 리테이너(retain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와이어 리테이너는 회전가능한 스풀(spoo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와이어 부착 돌기부는 상기 회전가능한 스풀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7.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능한 스풀은 풀리(pulley)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8.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능한 스풀은 전기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9. 제 25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한 스풀은 잠금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0.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와이어 리테이너는 스프링-같은 물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1. 제 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와이어 부착 돌기부는 상기 도입 부재의 내부 벽에 존재하고,
    상기 도입 부재는 상기 도입 부재 근위 말단에 가이드와이어 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2. 제 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와이어 부착 돌기부는 상기 도입 부재의 외부 벽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3. 제 1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와이어 부착 돌기부는, 핀, 클립, 접착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상기 도입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4. 제 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와이어 부착 돌기부는, 상기 도입 부재로부터 상기 가이드와이어가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5. 제 1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는, 생분해성 물질, 비-생분해성 물질 및 방사선 불투과성의 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6. 제 1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는, 플라스틱, 금속 또는 금속 합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은, 강철, 니티놀(nitinol), 알루미늄, 티타늄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8. 제 1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는 속이 비어 있는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속이 비어 있는 튜브는 슬릿(slit)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0. 제 1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와이어의 직경은 약 0.01 mm 내지 약 10 mm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1. 제 31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와이어 출구는 한쪽-방향의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2. 제 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의 장치는, 상기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외부에서 조작되도록 변경된 진단용 또는 치료용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의 장치는, 캡슐, 이미징 장치, 내시경, 생체 조직 검사 장치, 또는 내강의 내용물 샘플링 장치(luminal content sampling device), 전기 소작 장치(electrocautery device), 약물 전달 장치, 외과 수술용 장치 또는 기구,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징 장치는 스틸 카메라(still camera), 비디오 카메라, 및/또는 조명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징 장치는 상기 캡슐 상에 또는 상기 캡슐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6. 제 42 항 내지 제 4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의 장치의 각도는 상기 위장관의 세로방향의 축에 대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7. 제 1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의 장치는, 자석 또는 자성을 띤 물질, 외부에서 조절가능한 와이어, 그리고 외부에서 조절가능한 모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재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8. 제 1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부재는, 구형, 반구형, 끝이 점점 가늘어지는 형태(tapered), 원뿔형, 실린더형 및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9. 제 1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부재는, 각각이 개별의 형태를 갖는 복수의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의 형태는, 구형, 반구형, 끝이 점점 가늘어지는 형태(tapered), 원뿔형, 실린더형, 직육면체, 날개 형태(wing), 팔 형태(arm) 및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1. 제 1 항 내지 제 5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부재의 상기 근위 말단 및/또는 상기 개별의 부재들 중 하나는 확장될 수 있는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될 수 있는 부분은, 밖으로 연장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날개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될 수 있는 부분은, 상기 도입 부재에 의해 피검자의 소장을 횡단한 후에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4. 개별의 위장관 내에서 위장의 장치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위장관을 통해 나아가도록 구성된 도입 부재, 고정 부재, 및 상기 도입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에 부착된 가이드와이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고정 부재를 상기 위장관의 근위 말단에 고정하거나, 또는 근위 말단의 외부의 위치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도입 부재를 위장관으로 도입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도입 부재가 연동운동성 수축작용에 의해 위장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횡단하도록 하는 단계(상기 도입 부재가 횡단하는 동안에, 상기 가이드와이어는 위장관의 상기 횡단된 부분을 따라 위치됨); 및
    상기 가이드와이어에 의해,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는 단계(상기 가이드하는 단계는 상기 위장의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외부에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와이어는 초기에 상기 도입 부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며, 상기 도입 부재에 의해 횡단하는 동안에, 상기 가이드와이어는 상기 도입 부재로부터 방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6. 제 54 항 또는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하는 단계는, 구강, 비강, 위, 십이지장강(duodenal cavity), 상체, 및 개별 신체의 외부 위치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 부재를 부착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7. 제 54 항 내지 제 5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하는 단계는, 삼키는 것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8. 제 54 항 내지 제 5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부재가 위장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횡단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도입 부재가 위장관 전체를 횡단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9. 제 54 항 내지 제 5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는 단계는,
    상기 위장의 장치에 원격으로 조절가능한 모터를 제공하며, 원격으로 조절가능한 동일한 모터를 통해 상기 위장의 장치의 움직임을 외부에서 조절하는 단계, 또는
    상기 위장의 장치에 조절가능한 와이어를 제공하며, 상기 조절가능한 와이어를 통해 상기 위장의 장치의 움직임을 외부에서 조절하는 단계, 또는
    상기 가이드와이어에 걸쳐서 자성을 띤 위장의 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외부의 자석을 적용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0. 제 54 항 내지 제 5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하는 단계는,
    상기 위장의 장치의 속도가 빨라지거나, 느려질 수 있고, 전환되거나 멈추는 단계, 또는
    상기 위장의 장치의 각도가 상기 위장관의 세로방향의 축에 대해 변경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1. 제 54 항 내지 제 6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관으로부터 상기 도입 부재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하는 단계는, 항문을 통해 또는 항문으로부터 배출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3.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도입 부재가 분해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4. 제 54 항 내지 제 6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관의 횡단된 부분에 위치한 상기 가이드와이어를 남겨 두면서, 상기 도입 부재를 상기 위장관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하는 단계는 내시경을 삽입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6.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하는 단계는 내시경을 사용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7. 위장을 진단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위한, 제 1 항 내지 제 6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스템 또는 방법의 용도.
  68.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을 진단 또는 치료하는 방법은,
    상부 위장관의 위십이지장내시경 검사, 대장의 결장경 검사, 소장의 내시경 검사, 전체 위장관의 팬-내시경(pan-endoscopy), 위장관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캡슐 내시경, 위장관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파라미터의 평가, 위장관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생체 조직 검사, 위장관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내강의 내용물의 적어도 일부분의 샘플링, 위장관의 적어도 일부분에 치료 수단의 전달, 위장관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외과적 시술의 수행 또는 위장관의 적어도 일부분의 세척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69. 제 68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수단은 약물 전달, 전기 소작,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70.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도입 부재 원위 말단, 도입 부재 근위 말단, 외부 영역 및 내부 영역을 갖는 도입 부재;
    상기 도입 부재 근위 말단에 있는 가이드와이어 출구;
    상기 도입 부재의 상기 내부 영역에 있는 가이드와이어 부착 돌기부;
    상기 도입 부재의 외부에 있는 고정 부재; 및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 및 상기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으로부터 상기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까지 연장되는 가이드와이어 몸체를 갖는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와이어 몸체는 위장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위치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은 상기 고정 부재에 부착되며,
    상기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은 상기 내부 영역 내에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와이어 부착 돌기부에 부착되며, 그리고
    상기 도입 부재가 위장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횡단하는 경우에, 상기 가이드와이어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가이드와이어 출구를 통해 상기 내부 영역으로부터 위장관으로 방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1.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도입 부재 원위 말단, 도입 부재 근위 말단, 외부 영역 및 내부 영역을 갖는 도입 부재;
    상기 도입 부재 근위 말단에 있는 가이드와이어 출구;
    상기 도입 부재의 상기 내부 영역에 있는 가이드와이어 부착 돌기부;
    상기 도입 부재의 외부에 있는 고정 부재; 및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 및 상기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으로부터 상기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까지 연장되는 가이드와이어 몸체를 갖는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와이어 몸체는 위장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위치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은 상기 고정 부재에 부착되며,
    상기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은 상기 내부 영역 내에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와이어 부착 돌기부에 부착되며, 그리고
    상기 도입 부재가 위장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횡단하는 경우에, 상기 가이드와이어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가이드와이어 출구를 통해 상기 내부 영역으로부터 위장관으로 방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는,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스캐폴드로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2.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도입 부재 원위 말단, 도입 부재 근위 말단, 외부 영역 및 내부 영역을 갖는 도입 부재;
    상기 도입 부재에 있는 가이드와이어 부착 돌기부;
    상기 도입 부재의 외부에 있는 고정 부재; 및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 및 상기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으로부터 상기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까지 연장되는 가이드와이어 몸체를 갖는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와이어 몸체는 위장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위치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은 상기 고정 부재에 부착되며,
    상기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은 상기 가이드와이어 부착 돌기부에 부착되며, 그리고
    상기 도입 부재가 위장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횡단하는 경우에, 상기 가이드와이어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위장관으로 잡아 당겨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는,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스캐폴드로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3.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도입 부재 원위 말단, 도입 부재 근위 말단, 외부 영역 및 내부 영역을 갖는 도입 부재;
    상기 도입 부재 근위 말단에 있는 가이드와이어 출구;
    상기 도입 부재의 외부에 있는 고정 부재; 및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 및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으로부터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까지 연장되는 가이드와이어 몸체를 갖는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와이어 몸체는 위장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위치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와이어 근위 말단은 상기 고정 부재에 부착되며,
    상기 가이드와이어 원위 말단은 상기 내부 영역 내에 위치되며, 그리고
    상기 도입 부재가 위장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횡단하는 경우에, 상기 가이드와이어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가이드와이어 출구를 통해 상기 내부 영역으로부터 위장관으로 방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위장의 가이드와이어는,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스캐폴드로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07010713A 2007-10-17 2008-10-07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924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8047407P 2007-10-17 2007-10-17
US60/980,474 2007-10-17
US5789008P 2008-06-02 2008-06-02
US61/057,890 2008-06-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444A true KR20100092444A (ko) 2010-08-20

Family

ID=40567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0713A KR20100092444A (ko) 2007-10-17 2008-10-07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10208011A1 (ko)
EP (1) EP2219724A4 (ko)
JP (1) JP2011500197A (ko)
KR (1) KR20100092444A (ko)
CN (1) CN101888872A (ko)
AU (1) AU2008313280A1 (ko)
CA (1) CA2704766A1 (ko)
WO (1) WO2009050697A2 (ko)
ZA (1) ZA201003280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1703A1 (ko) * 2016-07-25 2018-02-01 (의료)길의료재단 환부 위치 파악을 위한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90054237A (ko) * 2017-11-13 2019-05-22 재단법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위치 확인을 위한 부착식 rfid 클립 모듈
KR101965576B1 (ko) * 2017-11-10 2019-08-1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내시경용 클립장치
WO2022034971A1 (ko) * 2020-08-13 2022-02-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소화기 진단용 유·무선 복합 내시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9174B2 (en) * 2007-07-18 2016-05-17 Given Imaging Ltd Device and method for viewing a body lumen
JP5054718B2 (ja) * 2009-03-03 2012-10-24 日立Geニュークリア・エナジー株式会社 水中移動体の位置検知装置及び位置検知方法
GB201202706D0 (en) * 2012-02-16 2012-04-04 Vibrant Ltd gastrointestinal capsule
EP2852315A4 (en) 2012-05-21 2016-06-08 Gen Hospital Corp DE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CAPSULE MICROSCOPY
CN103239784B (zh) * 2013-04-25 2015-11-25 中国人民解放军成都军区总医院 气动口鼻交换器
CN103815993B (zh) * 2014-01-28 2016-02-24 西安交通大学 一种消化道内旷置装置
CN105853237A (zh) * 2016-04-20 2016-08-17 韩锋 线绳引导式鼻空肠营养管
CN106073689A (zh) * 2016-06-02 2016-11-09 李红艳 可温度探测的吞服式医疗检测器
US11122971B2 (en) 2016-08-18 2021-09-21 Neptune Medical Inc. Device and method for enhanced visualization of the small intestine
US11504024B2 (en) 2018-03-30 2022-11-22 Vibrant Ltd. Gastrointestinal treatment system including a vibrating capsule, and method of use thereof
WO2018075616A1 (en) 2016-10-18 2018-04-26 University Of Pittsburgh - 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Esophageal temporary occlusion device and method for endotracheal intubation and orogastric tube insertion
AU2018269045B2 (en) * 2017-05-19 2023-08-31 Envivo Bio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llecting gastrointestinal samples
US11950869B2 (en) * 2017-08-30 2024-04-09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demand functionality during a medical procedure
US11638678B1 (en) 2018-04-09 2023-05-02 Vibrant Ltd. Vibrating capsule system and treatment method
CN108815680B (zh) * 2018-04-17 2022-03-29 杨延辉 一种腹腔镜直视下引导胃管/空肠营养管放置位置的装置
US11510590B1 (en) 2018-05-07 2022-11-29 Vibrant Ltd.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gastrointestinal disorders
CN112512396A (zh) * 2018-05-31 2021-03-16 海王星医疗公司 用于小肠的增强可视化的装置和方法
CN109009120A (zh) * 2018-06-27 2018-12-18 荆门市第二人民医院 一种用于引导胃肠设备通过胃肠道的系统和方法
CN109528241A (zh) * 2018-11-07 2019-03-29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二附属医院 一种消化道肿瘤细胞采集器
CN109770826A (zh) * 2019-03-06 2019-05-21 南充市中医医院 一种结肠镜辅助进镜装置
CN110081220B (zh) * 2019-04-11 2020-09-15 天津大学 基于长距离丝传动原理的旋转开合微型阀
CN115279455A (zh) * 2020-01-31 2022-11-01 宇宙美学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治疗胃炎的可摄入治疗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1787A (en) * 1994-10-13 1997-03-18 Methodist Hospital Of Indiana, Inc. Method and device for gastric line insertion
SE508372C2 (sv) * 1995-02-13 1998-09-28 Kjell Lindstroem Metod och utrustning för tillförsel eller aspiration av substanser inom gastrointestinalkanalen, avsedd för mätning av farmakokinetiska och fysikalisk-kemiska parametrar
US6240312B1 (en) * 1997-10-23 2001-05-29 Robert R. Alfano Remote-controllable, micro-scale device for use in in vivo medical diagnosis and/or treatment
US5984860A (en) * 1998-03-25 1999-11-16 Shan; Yansong Pass-through duodenal enteroscopic device
US7351202B2 (en) * 2002-12-05 2008-04-01 Ethicon Endo-Surgery, Inc. Medical device with track and method of use
US8048169B2 (en) * 2003-07-28 2011-11-01 Baronova, Inc. Pyloric valve obstructing devices and methods
WO2006072928A2 (en) * 2005-01-06 2006-07-13 G.I. View Ltd. Gastrointestinal tool over guiding element
JP4512597B2 (ja) * 2003-12-09 2010-07-28 ジーアイ・ダイナミッ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胃腸管内に固定される装置および固定方法
US9044264B2 (en) * 2004-01-08 2015-06-0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Endoluminal access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7338478B2 (en) * 2004-04-08 2008-03-04 Leiboff Arnold R Tubular apparatus for drainage of the colon and method and guidewire for colonic intubation
WO2007015240A2 (en) * 2005-08-01 2007-02-08 G.I. View Ltd. Tools for use in small intestine
CA2618366C (en) * 2005-08-11 2014-05-27 Technion Research And Development Foundation Ltd. Tip propelled device for motion through a passage
DE102007000230A1 (de) * 2007-04-16 2008-10-30 Hothan, Thorsten, Dr. Endoskop mit kugel-/käfigförmigem Führungselem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1703A1 (ko) * 2016-07-25 2018-02-01 (의료)길의료재단 환부 위치 파악을 위한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965576B1 (ko) * 2017-11-10 2019-08-1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내시경용 클립장치
KR20190054237A (ko) * 2017-11-13 2019-05-22 재단법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위치 확인을 위한 부착식 rfid 클립 모듈
WO2022034971A1 (ko) * 2020-08-13 2022-02-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소화기 진단용 유·무선 복합 내시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00197A (ja) 2011-01-06
CA2704766A1 (en) 2009-04-23
US20110208011A1 (en) 2011-08-25
WO2009050697A3 (en) 2010-03-04
CN101888872A (zh) 2010-11-17
AU2008313280A1 (en) 2009-04-23
ZA201003280B (en) 2011-04-28
EP2219724A4 (en) 2012-03-07
WO2009050697A2 (en) 2009-04-23
EP2219724A2 (en) 201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2444A (ko) 위장관을 통과하는 위장의 장치를 가이드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7288074B2 (en) Guide wire structure for insertion into an internal space
US5571114A (en) Mechanism to advance or withdraw objects in lumens or cavities of mammals
EP1954339B1 (en) Short wire peg and peg-j tube
US20140228641A1 (en) Diagnostic capsules, delivery / retrieval systems, kits and methods
US20110118546A1 (en) Balloon catheter with detachable hub, and methods for same
US20050038318A1 (en) Gastrointestinal tool over guidewire
KR20130109937A (ko) 의료 검사 장치를 위한 커버링
JP2008067725A (ja) 内視鏡の外部鉗子チャンネル装置
WO2007097393A1 (ja) カプセル内視鏡システム
JPH10211259A (ja) 空腸用供給チューブ
WO2019201095A1 (zh) 中消化道植入管道器械及其快速植入方法
CN102895021A (zh) 内窥镜下取异物工具
JP2007268268A (ja) 結腸減圧用の挿管装置
CN110403567A (zh) 一种磁体与“麦芒”仿生联合动力下行逆向结肠检查的装置
CN205795641U (zh) 基于超细内镜的胆道探查装置
JP4601943B2 (ja) 内視鏡
CA2521242C (en) Guide wire structure for insertion into an internal space
WO2011092707A1 (en) A spooled guidewire deployment device, a method for guiding the same through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857441B2 (en) Biological tissue transfer method and biological tissue treatment method
RU2405583C2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дуоденального декомпрессионно-питательного зонда
Mackenzie Sonde enteroscopy
RU2354417C1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дуоденального декомпрессионно-питательного зонда
CN104771129A (zh) 放射线下能够显影的小肠镜引导装置
RU226733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едения лекарственных веществ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