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1989A - 새우류 유생의 인공 사육 방법 및 사육 장치 - Google Patents

새우류 유생의 인공 사육 방법 및 사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1989A
KR20100091989A KR1020107011400A KR20107011400A KR20100091989A KR 20100091989 A KR20100091989 A KR 20100091989A KR 1020107011400 A KR1020107011400 A KR 1020107011400A KR 20107011400 A KR20107011400 A KR 20107011400A KR 20100091989 A KR20100091989 A KR 20100091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rvae
jellyfish
breeding
shrimp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1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 다나카
요시오키 오오제키
Original Assignee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우징 도쿄 가이요우 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우징 도쿄 가이요우 다이가쿠 filed Critical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우징 도쿄 가이요우 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100091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9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crustaceans, e.g. lobsters or shri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7Hatching, e.g. incub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A01K61/85Feeding devices for use with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90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새우류 유생의 사육 방법은, 유생을 기생하는 해파리와 함께 사육조에 넣고, 해파리에 부착한 상태에서 유생을 육성한다. 새우류 유생의 사육 장치는, 유생을 해파리에 부착한 상태에서 사육하는 공생 사육조 (1) 와, 해파리를 사육하는 해파리 사육조 (2) 를, 해파리 사육조 (2) 로부터 공생 사육조 (1) 에 해파리와 함께 물을 보내는 파이프 (3) 로 연결하고, 파이프 (3) 에 개폐 밸브 (7) 를 형성하고 있다.

Description

새우류 유생의 인공 사육 방법 및 사육 장치{METHOD OF ARTIFICIALLY FEEDING SHRIMP LARVAE AND FEED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닭새우과, 매미새우과에 속하는 새우류 유생의 인공 사육 방법 및 사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새우류는 알에서 부화한 후에는, 유생으로서 일정 기간을 보낸다.
예를 들어, 닭새우류는, 필로소마 유생으로서 약 1 년간을 보내고, 그 후 푸에룰루스·니스토 유생으로 변태하고, 다시 치새우로 변태한다.
그런데, 새우류는 비교적 고가이고, 수요도 많아, 중요한 수산 자원이기 때문에, 대량의 종묘를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높다.
그러나, 필로소마 유생을 인공적으로 육성 사육하기는 곤란하여, 현재, 수산 시험 연구 분야에 있어서, 소규모의 수조에서 몇 개체 단위로의 사육이 행해지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
필로소마 유생의 인공 사육이 곤란한 원인으로는, (가) 적당한 사료가 적은 것, (나) 유생이 침강하기 쉽고, 수조 바닥의 대변이나 잔사 (殘飼) 에서 기인되는 미생물 오염을 받기 쉬운 것, (다) 특이한 형태이기 때문에, 개체 간섭에 의한 결손을 받기 쉬운 것을 들 수 있다.
종래, 닭새우류의 필로소마 유생에, 제 1 기에는 알테미아 노플리우스를 주고, 제 2 기 이후에는 알테미아 노플리우스와 홍합의 육편, 특히 지중해 담치의 생식선을 주는 닭새우류 유생의 사육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일본특허 제2525609호, 및 마츠다 코우이치, 「닭새우속 유생의 생리 생태에 기초하는 사육 기술 개발」, 일본 수산학회지, 사단법인 일본 수산학회, 2006년, 제72권, 제5호, p.827 ∼ 830 참조).
그러나, 신선한 지중해 담치의 생식선을 대량으로, 또한 정기적으로 확보하기는 어려워, 대량의 유생을 인공 사육하는 경우에, 이 방법을 채용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또한, 유생이 침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갑각류의 유생을 완속 회전하는 수조 내에서 사육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62702호, 및 일본특허 제3955947호 참조).
그러나, 이들 방법에는, 복잡하고 고가의 장치가 필요하므로, 사육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개체끼리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개체간의 거리를 일정 이상으로 유지하는 기술은 여전히 개발되어 있지 않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새우류 유생에게 적절한 사료를 줄 수 있고, 유생이 수조 바닥에 침강하는 것을 막고, 개체간의 간섭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여, 유생을 간단하게 고밀도로 사육할 수 있는 새우류 유생의 인공 사육 방법 및 사육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자연계에서는, 닭새우과, 매미새우과에 속하는 새우류의 필로소마 유생이 해파리류의 우산 위에, 통상적으로는 1 대 1 로 올라 탄 상태로 발견되는 경우가 있어, 필로소마 유생이 해파리에 기생하고 있는 것이 관찰된다.
또한, 2005년도 일본 수산학회 대회 강연 요지집 (2005년 4월 1일, 독립 행정 법인 수산 종합 연구 센터 중앙 수산 연구소 발행) 에 의해, 닭새우의 필로소마 유생의 소화 기관 내용물에 해파리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필로소마 유생과 해파리류 사이에는, 포식-피식 관계를 포함하는 공생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출원인은 이 점에 주목하여, 새우류 유생을 고밀도로 인공 사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알아내었다.
본 발명의 새우류 유생의 인공 사육 방법은, 닭새우과, 매미새우과에 속하는 새우류의 유생을 해파리를 향해 유도하여 기생시키고, 해파리에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유생을 육성한다.
일정 기간 경과할 때마다, 상기 새우류 유생이 부착된 해파리를, 상기 유생의 성장 단계에 따라 적절한 크기를 갖고, 또한 활력이 있는 새로운 해파리로 교환하면 된다.
백색광을 조사하여 상기 새우류 유생을 해파리를 향해 유도하면 된다.
상기 새우류의 유생이 필로소마 유생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새우류의 인공 사육 장치는, 유생을 해파리에 부착한 상태에서 사육하는 공생 사육조, 및 해파리를 사육하는 해파리 사육조를 구비하고, 이들 두 개의 사육조를, 상기 해파리 사육조로부터 공생 사육조에 해파리와 함께 물을 보내는 파이프로 연결하고, 그 파이프에 개폐 밸브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공생 사육조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로부터의 수류 입구 근방에 백색광을 조사할 수 있게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숙주인 해파리는 부유성으로, 개개의 해파리는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일정한 거리를 두고 부유하므로, 해파리에 기생한 유생은, 해파리를 먹이로 삼으면서, 사육조의 바닥에 침강하지 않고, 개체끼리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채로 해파리와 함께 부유하고, 이 때문에, 유생에게 먹이를 줄 필요도 없고, 유생이 미생물에 감염되거나 개체끼리 접촉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높은 생존률로 대량의 새우류 유생을 인공 사육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공생화한 필로소마 유생 및 보름달물 해파리를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2 는 공생화한 필로소마 유생 및 보름달물 해파리를 경사진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육 장치의 사시도이다.
(실험예)
이즈 오세자키 연안에서, 보름달물 해파리에 기생하고 있는 필로소마 유생을 채취하였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로소마 유생은, 부속지 (付屬肢) 선단을 찌르는 것처럼 하여 보름달물 해파리의 우산에 매달려 있었다.
채취한 필로소마 유생 및 보름달물 해파리를, 내경 30 ㎝, 높이 80 ㎝ 의 원통형의 투명 아크릴제 공생 사육조 내에 넣었다. 공생 사육조는, 염분 34.5 의 여과 해수로 채우고, 수온을 20 ℃ 로 유지하였다.
천연 수역에서 필로소마 유생과 함께 채취된 보름달물 해파리는, 활성을 유지하면서도 서서히 열화되어 갔다. 그래서, 열화된 보름달물 해파리에서 신선한 보름달물 해파리로 갈아타게 하는 것을 시도하였다.
메탈할라이드 콜드라이트로부터 광섬유에서 백색광을 이끌어, 공생 사육조의 상면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광속을 투과시킨 결과, 해파리에 올라 탄 필로소마 유생은 해파리를 잡은 채로 조사원을 향해 완속 상승하였다.
필로소마 유생이 수면 부근에 도달했을 무렵, 새로운 보름달물 해파리를 해파리 배양조로부터 공생 사육조의 상층에 정적으로 전송한 결과, 필로소마 유생은, 열화된 보름달물 해파리로부터 자발적으로 이탈하여, 신선한 보름달물 해파리로 갈아탔다.
필로소마 유생에게 버려진 열화된 보름달물 해파리는, 공생 사육조 속을 점차 침강하여 저면에 도달했으므로, 사이폰에 의해 제거하였다.
보름달물 해파리는, 토쿄만에서 신선한 개체를 항상 채취하여, 해파리 사육조에 신선한 개체를 수시로 비축하였다. 그리고, 필로소마 유생을 3 일 ∼ 7 일마다 신선한 보름달물 해파리로 갈아타게 하였다.
이 결과, 보름달물 해파리에 공생한 필로소마 유생은, 보름달물 해파리만을 쪼아 먹으며 섭식하면서, 3 주일 후에 탈피 변태하여, 이른바 유리 새우 (니스토 유생) 로서 착저 (着底) 하였다.
또한, 이 필로소마 유생은, 아홉니부채새우 (Ibacus novemdentatus) 로 동정되었다.
또한, 산업적으로 대량의 필로소마 유생 및 해파리를 사육하는 경우에는, 먼저, 부화 직후의 필로소마 유생을, 해수가 완속 대류하는 해파리 배양조에 정적으로 삽입하여, 필로소마 유생이 해파리에 탑승하는 것을 기다린다. 이 작업에서는, 해파리의 개체수와 동일한 정도의 수의 유생을 삽입한다.
필로소마 유생에 탑승된 해파리의 열화, 혹은 유생의 탈피 성장에 수반하여, 유생을, 그 성장 단계에 따른 적절한 크기를 갖고, 또한 활력이 있는 새로운 해파리로 갈아타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공생화한 필로소마 유생 및 해파리의 사육에는, 도 3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사육 장치를 사용한다.
이 사육 장치는, 공생 사육조 (1) 와, 이것에 병렬하여 설치한 해파리 사육조 (2) 를 구비한다. 공생 사육조 (1) 및 해파리 사육조 (2) 의 상층부는, 내경 80 ㎜ 정도의 제 1 파이프 (3) 와 제 2 파이프 (4) 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1 파이프 (3) 에는 개폐 밸브 (7) 를 형성하고, 제 2 파이프 (4) 에는 펌프 (8) 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공생 사육조 (1) 의 상부에 있어서 제 1 파이프 (3) 와의 접속 부분의 근방으로, 메탈할라이드 콜드라이트 (5) 등의 광원으로부터 광섬유 (6) 에서 백색광을 이끌어, 수면으로부터 아래를 향하여 광속을 조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해파리에 탑승한 필로소마 유생을 공생 사육조 (1) 에 넣고, 이것보다 약간 큰 해파리를 해파리 사육조 (2) 에 넣어 둔다.
이어서, 개폐 밸브 (7) 를 닫은 상태에서 펌프 (8) 를 운전하여, 공생 사육조 (1) 의 해수를 제 2 파이프 (4) 를 통해 해파리 사육조 (2) 에 보내고, 공생 사육조 (1) 의 수위를 해파리 사육조 (2) 의 수위보다 낮춘다.
여기서 제 1 파이프 (3) 의 개폐 밸브 (7) 를 열면, 해파리 사육조 (2) 로부터 공생 사육조 (1) 에, 제 1 파이프 (3) 를 통해 해수와 함께 신선한 해파리를 1 개체씩 보낼 수 있다.
이 때, 광섬유 (6) 에 의해 공생 사육조 (1) 에 백색광을 조사하면, 필로소마 유생은 정 (正) 의 주광성을 가지므로, 조사되는 백색광으로 유도되어, 필로소마 유생이 제 1 파이프 (3) 로부터의 해수 유입구에 접근한다.
이로 인해, 필로소마 유생이 열화된 해파리로부터 신선한 해파리로 갈아타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다.
유생에 기생되어 열화된 오래된 해파리는 공생 사육조 (1) 의 저면에 침강해 버리므로, 사이폰에 의해 빨아 들여, 공생 사육조 (1) 로부터 제거한다.
닭새우의 경우, 필로소마 부화 유생의 크기는 1.5 ㎜ 정도이고, 30 ㎜ 전후까지 성장한다. 보름달물 해파리의 우산 직경은 5 ∼ 50 ㎜ 정도이다. 보름달물 해파리는, 통상적으로 해수 1 리터당 50 개체 (우산 직경 5 ㎜) ∼ 5 개체 (우산 직경 50 ㎜) 의 밀도로 사육할 수 있으므로, 필로소마 유생도 해수 1 리터당 5 ∼ 50 개체의 고밀도로 사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로소마 유생은, 새우류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적어도 1 개월에 1 회 정도는 새로운 해파리로 갈아타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물맞이게과, 은행게과에 속하는 게류의 유생도, 해파리와 공생 관계에 있으므로, 새우류 유생과 동일한 사육 장치를 사용하여, 동일한 사육 방법에 의해 인공 사육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해파리에게 먹이를 줌으로써, 해파리의 활력을 유지하면서 사육할 수도 있다.

Claims (6)

  1. 닭새우과, 매미새우과에 속하는 새우류의 유생을 해파리를 향해 유도하여 기생시키고, 해파리에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유생을 육성하는 새우류 유생의 인공 사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일정 기간 경과할 때마다, 상기 새우류 유생이 부착된 해파리를, 상기 유생의 성장 단계에 따라 적절한 크기를 갖고, 또한 활력이 있는 새로운 해파리로 교환하는 새우류 유생의 인공 사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백색광을 조사하여 상기 새우류 유생을 해파리를 향해 유도하는 새우류 유생의 인공 사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새우류의 유생이 필로소마 유생인 새우류 유생의 인공 사육 방법.
  5. 제 1 항에 기재한 새우류 유생의 사육 방법에 사용하는 사육 장치로서,
    상기 유생을 해파리에 부착한 상태에서 사육하는 공생 사육조, 및 해파리를 사육하는 해파리 사육조를 구비하고,
    이들 두 개의 사육조를, 상기 해파리 사육조로부터 공생 사육조에 해파리와 함께 물을 보내는 파이프로 연결하고, 그 파이프에 개폐 밸브를 형성한 새우류 유생의 사육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생 사육조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로부터의 수류 입구 근방에 백색광을 조사할 수 있게 한 새우류 유생의 사육 장치.
KR1020107011400A 2007-11-01 2008-10-20 새우류 유생의 인공 사육 방법 및 사육 장치 KR201000919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85222 2007-11-01
JP2007285222 2007-11-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989A true KR20100091989A (ko) 2010-08-19

Family

ID=40590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1400A KR20100091989A (ko) 2007-11-01 2008-10-20 새우류 유생의 인공 사육 방법 및 사육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10124B2 (ko)
JP (1) JP5150809B2 (ko)
KR (1) KR20100091989A (ko)
CN (1) CN101842005B (ko)
AU (1) AU2008320070B2 (ko)
NZ (1) NZ585479A (ko)
WO (1) WO200905747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80108A (zh) * 2020-04-03 2020-06-16 成都好创星科技有限公司 一种龙虾养殖自动喂食装置
CN111771779A (zh) * 2020-07-27 2020-10-16 南通大学 一种倒立水母水螅体刺激横裂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22294B2 (ja) * 2009-08-03 2013-10-23 学校法人東京電機大学 行動制御装置及び行動制御方法
CN101874475B (zh) * 2009-11-06 2016-01-20 中国海洋大学 一种海蜇短期低温诱导苗种培育方法
CN103548738B (zh) * 2013-11-04 2016-01-13 天津海友佳音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连续虾养殖系统及养殖方法
CN104823905A (zh) * 2014-02-11 2015-08-12 远东科技大学 养殖池单元、组合式养殖池及水生动物养殖环境建构方法
CN105075945A (zh) * 2015-08-21 2015-11-25 邱文娟 一种南美对虾多茬分级养殖方法
CN107155999B (zh) * 2017-06-30 2022-06-07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黄海水产研究所 一种弱光诱导绿鳍马面鲀幼鱼集群投喂与倒池装置及方法
CN110547233A (zh) * 2018-06-04 2019-12-10 成都硕谷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稻田养虾用隔离系统
KR102164339B1 (ko) * 2019-07-02 2020-10-12 정윤수 스파이니 랍스터 유생용 사료 조성물
CN112956434B (zh) * 2021-03-26 2022-09-02 青岛海洋科技馆(青岛海产博物馆、青岛水族馆) 一种水母种质淡化养殖方法
CN113692998B (zh) * 2021-09-29 2022-09-02 山东大学 一种仿生栉水母结构的浮游动物养殖循环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6788A (en) * 1970-12-08 1972-10-10 Ocean Protein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hatching crustacea
JP2525609B2 (ja) 1987-06-26 1996-08-21 二郎 橘高 イセエビ類幼生の飼育方法
JPH0391429A (ja) 1989-09-05 1991-04-17 Nkk Corp 魚介類の養殖用水槽
JP2002262702A (ja) 2001-03-13 2002-09-17 Japan Sea-Farming Association 甲殻類の幼生飼育方法及び装置
JP3955947B2 (ja) 2002-09-09 2007-08-08 独立行政法人水産総合研究センター 甲殻類の幼生飼育方法及び装置
US7174850B2 (en) * 2004-08-30 2007-02-13 Shyh-Min Tom Hsiao Multi-layered aquaculture system
JP2007037481A (ja) * 2005-08-04 2007-02-15 Shizuoka Prefecture 甲殻類を飼育、養殖又は蓄養する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飼育、養殖又は蓄養された甲殻類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80108A (zh) * 2020-04-03 2020-06-16 成都好创星科技有限公司 一种龙虾养殖自动喂食装置
CN111771779A (zh) * 2020-07-27 2020-10-16 南通大学 一种倒立水母水螅体刺激横裂的方法
CN111771779B (zh) * 2020-07-27 2022-04-22 南通大学 一种倒立水母水螅体刺激横裂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10124B2 (en) 2012-07-03
CN101842005A (zh) 2010-09-22
US20100282176A1 (en) 2010-11-11
CN101842005B (zh) 2015-05-06
WO2009057472A1 (ja) 2009-05-07
NZ585479A (en) 2011-11-25
JPWO2009057472A1 (ja) 2011-03-10
AU2008320070A1 (en) 2009-05-07
AU2008320070B2 (en) 2013-03-21
JP5150809B2 (ja)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1989A (ko) 새우류 유생의 인공 사육 방법 및 사육 장치
Hussain et al. Larval rearing and development of the brown spotted grouper, Epinephelus tauvina (Forskål)
Moser et al. Lamprey reproduction and early life history: insights from artificial propagation
Kelemec et al. Induced ovarian development and spawning of Penaeus plebejus in a recirculating laboratory tank after unilateral eyestalk enucleation
Ferrando et al. A demonstration of nesting in two Antarctic icefish (genus Chionodraco) using a fin dimorphism analysis and ex situ videos
US20130340683A1 (en) Method of Establishing Clam Bed Colonies and Mobile Floating Hatchery for Implementing Same
Kemp Rearing of embryos and larvae of the Australian lungfish, Neoceratodus forsteri, under laboratory conditions
Pronker et al. Hatchery cultivation of the common cockle (Cerastoderma edule L.): from conditioning to grow‐out
Fernández-Álvarez et al. Towards the identification of the ommastrephid squid paralarvae (Mollusca: Cephalopoda): morphological description of three species and a key to the north-east Atlantic species
Spreitzenbarth et al. Egg survival and morphometric development of a merobenthic octopus, Octopus tetricus, embryos in an artificial octopus egg rearing system
Jolly et al. Lifecycle, culture, and maintenance of the emerging cephalopod models Euprymna berryi and Euprymna morsei
Whittington et al. Migration, site-specificity and development of Benedenia lutjani (Monogenea: Capsalidae) on the surface of its host, Lutjanus carponotatus (Pisces: Lutjanidae)
Vidal et al. Cephalopod ontogeny and life cycle patterns
Nabhitabhata et al. Sepioteuthis lessoniana
Carvalho et al. Keeping amphioxus in the laboratory: an update on available husbandry methods
Chen et al. Sea cucumber aquaculture in China
Ramon-Mateu et al. Studying ctenophora WBR using Mnemiopsis leidyi
Heasman et al. Manual for intensive hatchery production of abalone
Serebiah Culture of marine polychaetes
JP7174062B2 (ja) マダコ(octopus vulgaris)の幼生の培養方法
Nabhitabhata et al. Euprymna hyllebergi and Euprymna tasmanica
Sahavacharin et al. Hatchery techniques for tropical bivalve molluscs
Bernardo et al. Mass-rearing of plethodontid salamander eggs
RU2541459C1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гигантской устрицы crassostrea gigas в черном море
Bradley Some observations of Octopus joubini reared in an inland aquar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