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1503A -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1503A
KR20100091503A KR1020090010721A KR20090010721A KR20100091503A KR 20100091503 A KR20100091503 A KR 20100091503A KR 1020090010721 A KR1020090010721 A KR 1020090010721A KR 20090010721 A KR20090010721 A KR 20090010721A KR 20100091503 A KR20100091503 A KR 20100091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gital
module
call
communication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민
박경두
양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0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1503A/ko
Priority to US12/701,883 priority patent/US20100203878A1/en
Priority to CN201010114025A priority patent/CN101800565A/zh
Publication of KR20100091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5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무선주파수부와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무선주파수부 지원을 위하여 배치된 신호 처리 유닛으로 신호 처리하며, 디지털 무전기 모듈과 디지털 신호 송수신을 위하여 직렬 통신 방식을 채택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무전기 모듈, 디지털 무전기, 휴대 단말기

Description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Portable Device including a digital walkie-talkie modu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무전기를 포함하고, 무전기를 기반으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의 용이성과 이동의 편리함 등의 기능에 힘입어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전자기기 제품 중 하나이다.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휴대 단말기는 휴대 및 이동뿐만 아니라,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의 저장 및 재생이 가능한 다양한 옵션 예를 들면, MP3 기능, DMB 기능, 동화상 재생 기능, 카메라 기능 등이 추가되어 그 이용영역이 더 없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 기능과 결합되면서 타 휴대 단말기 사용자와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 기능 중 이동통신 기능은 이동통신 네트웍을 이용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이동통신 네트웍을 구축한 서비스 사업자에게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에 따른 일정량의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이러한 일정량의 비용은 많은 가입자 수로 인하여 그 가격이 점차 줄어들고 있으나, 최근에 이동통신 서비스 비용은 이미 고착화되어 가고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이동의 편리함과 함께 사용의 공간적 제약이 거의 없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하고 있고, 그 이용 범위와 시간은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서비스 비용의 부담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비용의 부담을 줄이면서도 적절한 통신 채널을 유지할 수 있도록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무선주파수부; 공용 주파수 대역을 기반으로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 상기 무선주파수부 및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상기 무선주파수부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 및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이 수신한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며, 송화자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여 상기 무선주파수부 및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 중 어느 하나에 전달하는 오디오 처리부;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디지털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오디오 처리부에 출력하거나, 상기 송화자 오디오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에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무선주파수부 및 공용 주파수 대역을 기반으로 통신 채널을 형성 하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주파수부 기반의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통화 채널 형성 중에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 기반의 통신 채널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한 주파수 세팅을 수행하여 상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무선주파수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유닛으로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신호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무선주파수부 및 공용 주파수 대역을 기반으로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 기반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무선주파수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유닛으로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신호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무전기 통신이 가능한 지역에서는 별도의 이동통신 서비스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작하기 위한 제작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주파수부(Radio Frequency)(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표시부(150),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 저장부(17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무 선주파수부(110)를 기반으로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을 운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을 기반으로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100)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을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무선주파수부(110) 지원을 위하여 마련된 신호 처리 모듈을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음성 통화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휴대전화 통신,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 등과 관련한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또한 무선주파수부(110)는 음성/음향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 등을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고,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음향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 등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주파수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무선주파수부(110)는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 활성화 시점에 따라 활성화 시점에 결정될 수 도 있다. 즉, 무선주파수부(110)는 형성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중에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이 활성화되면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통신 채널을 유지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상술한 무선주파수부(110)는 GSM 망을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GSM 모뎀이 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숫자, 문자 및/또는 기능키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음성 통화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입력 신호, 무선주파수부(110) 기반의 음성 통화 채널을 해제하기 위한 입력 신호,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을 활성화하기 위한 입력 신호,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에 의해 형성된 통신 채널을 해제하기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생성한 후,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제어부(160)로부터 전달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어부(16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음성/음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상응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화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 신호는 무선주파수부(110)로부터 수신되어 복조 및 복호된 신호 및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로부터 수신되어 복조 및 복호된 신호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이 탈착 타입으로 제작된 경우, 접속되거나, 분리될 때, 이를 알리기 위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은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밴드를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전기 모듈로서, 별도의 주파수 이용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ISM 밴드는 공업용, 과학용, 의료용 등으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으로서, ISM 설비는 발사되는 기본파와 스퓨리 어스 방사의 전계 강도의 허용치만이 규정되어 있다. 사용 주파수에 관한 제한은 없지만, 국제 전기 통신 협약 부속 전파 규칙(RR)에 의한 ISM 주파수대가 지정되어 있고, 이 주파수대의 누설 전계 강도는 제한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표시부(150)는 상기 제어부(16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사용자 데이터 및 부가기능 화면 등을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15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는 LCD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는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및 이에 대한 응용 물질에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50)는 무선주파수부(110)를 기반으로 타 휴대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화면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번호 입력 화면 및 입력된 번호를 기반으로 통화 콜 전송 화면, 또는 통화 콜 수신 화면, 통화 형성에 따라 통화 중 화면, 무선주파수부(110) 기반의 통화 채널 해제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50)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 구동을 위하여 주파수 스캔 화면, 통신 가능한 선택 주파수에 따른 통화 채널 형성화면,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 기반 통화 중 무선주파수부(110) 기반 통화 콜 수신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표시부(150)는 무선주파수부(110) 기반 통화 운용 화면과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 기반의 통화 운용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70)는 휴대 단말기의 부팅을 위한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 OS), 휴대 단말기의 각 기능 예를 들면, 파일 재생 기능, 카메라 기능, 방송 시청 기능 등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70)는 휴대 단말기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 통신 채널을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저장부(170)는 프로그램 영역 및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 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상술한 각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한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이용하여 각 기능들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프로그램 영역은 무선주파수부(110) 기반의 통신 채널을 형성 및 이를 지원하는 응용 프로그램,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 기반의 통신 채널 형성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응용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데이터 영역은 무선주파수부(110) 기반으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전화번호를 저장한 폰북 데이터,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을 기반으로 스캔이 가능한 주파수 테이블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무선주파수부(160), 입력부(120), 저장부(170),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 오디오 처리부(130), 표시부(150) 및 이어폰(200) 등의 각 구성 간 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제어부(160)는 무선주파수부(110) 기반의 통화 채널 형성 및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 기반 통화 채널 형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덱(161), 믹서(162), 신호 처리 유닛(Digital Signal Processing : DSP)(163), UART 인터페이스(165), DAC(Digital Analog Converter)(167), ADC(Analog Digital Converter)(168) 및 필터/증폭기(16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덱(161)은 무선주파수부(110)를 통하여 타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복호화하고 이를 믹서(162)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덱(161)은 믹서(162)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암호화하여 무선주파수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믹서(162)는 코덱(161) 및 UART 인터페이스(165)로부터 각각 전달되는 신호를 신호 처리 유닛(163)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믹서(162)는 신호 처리 유닛(163)이 처리한 신호를 UART 인터페이스(165) 및 코덱(161)에 각각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믹서(162)는 무선주파수부(110)와 디지털 무전기 모듈이 동시에 활성화되어 코덱(161) 및 UART 인터페이스(165)로부터 동시에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각 신호를 믹싱하여 동시에 또는 믹싱하지 않고 교번적으로 신호 처리 유닛(163)에 전달할 수 도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 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무선주파수부(110)로부터 통화 요청에 해당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표시부에 통화 요청 수신을 나타내는 팝업창을 출력하거나 진동알람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타 휴대 단말기와 무선주파수부(110)를 이용하여 통화 채널이 형성된 이후 상기 통화 채널을 통하여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믹서(162)가 상기 신호를 디지털 무전기 모듈에서 전송하여 UART 인터페이스(165)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와 함께 신호 처리 유닛(163)에 전달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믹서(162)는 상기 무선주파수부(110)가 전달한 신호와 상기 UART 인터페이스(165)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서로 교번적으로 신호 처리 유닛(165)에 전달하거나, 상기 신호들을 믹싱하여 신호 처리 유닛(165)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통화 채널 형성에 따른 신호 수신은 휴대 단말기가 타 휴대 단말기에게 통화 요청을 수행하고 그에 따라 통화 채널이 형성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는 무선주파수부(110)를 기반으로 통화 서비스에 따른 신호 전달을 하는 중에 디지털 무전기 모듈로부터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한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디지털 무전기 모듈 기반의 통신 채널 형성을 확인하는 팝업창이나 진동 알람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믹서(162)는 무선주파수부(110)를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와 디지털 무전기 모듈이 수신한 신호에 대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믹싱하여 신호 처리 유닛(165)에 전달하거나, 교번되게 전달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믹서(162)는 무선주파수부(110) 또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 중 어느 하나만 활성화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구성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신호 처리 유닛(163)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믹서(162)는 두 개의 통신 모듈이 동시에 활성화되려고 하는 경우, 기 활성화되고 있는 통신 모듈의 신호를 신호 처리 유닛(165)에 전달하는 한편, 다른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통신 채널 형성 여부를 확인 하는 위한 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두개의 통신 모듈이 동시에 활성화되어 동시에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믹서(162)는 각 통신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믹싱하여 신호 처리 유닛(163)에 전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오디오 처리부는 두 개의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되어 신호 처리된 신호를 스피커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믹서(162)는 신호 처리 유닛(165)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통신 모듈 즉, 무선주파수부(110) 또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로 연결되는 경로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믹서(162)는 무선주파수부(110)와 디지털 무전기 모듈이 동시에 활성화되고 있는 경우, 상기 신호를 각 구성에 연결된 경로 예를 들면 코덱(161)과 UART 인터페이스(163)에 각각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 유닛(163)은 믹서(162)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한 후 DAC(167)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 처리 유닛(163)은 ADC(168)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한 후 믹서(162)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디지털 무전기 모듈로부터 전달된 신호도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신호 처리 유닛(163)으로 신호 처리함으로써 오디오 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 유닛(163)는 오디오 신호 출력면에서 믹서(162)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 하기 때문에, 상기 믹서(162)가 코덱(161) 및 UART 인터페이스(165)로부터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여 전달하는 경우, 이를 함께 처리할 수 있다.
상기 UART 인터페이스(165)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 방식인 URA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방식을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상술한 UART 인터페이스(165)는 직렬 통신 방식의 하나의 예로서 따른 통신 방식 예를 들면, USB 통신 방식, RS-232 통신 방식, IPC(Inter Process Communication) 통신 방식을 지원한 인터페이스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UART 인터페이스(165)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로부터 전달되는 디지털 신호를 믹서(162)에 전달할 수 있는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DAC(167)는 신호 처리 유닛(163)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DAC(167)는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필터/증폭기(169)에 전달한다. 한편, ADC(168)는 필터/증폭기(169)로부터 전달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ADC(168)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신호 처리 유닛(163)에 전달한다.
상기 필터/증폭기(169)는 DAC(167)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는 한편 기 설정된 이득값을 기준으로 증폭하여 증폭 신호를 오디오 처리부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증폭기(169)는 오디오 처리부가 수집한 오디오 신호를 필터링 및 증폭하여 ADC(168)에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휴대 단말기에 마련된 신호 처리 유닛 및 마이크와 스피커 등을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보다 고품질의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기반으로 통신 채널이 형 성된 경우,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부에 마련된 마이크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수집 및 신호 처리하여 디지털 무전기 모듈이 형성한 통신 채널을 통하여 타 디지털 무전기 모듈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이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휴대 단말기에 마련된 신호 처리 유닛을 기반으로 신호 처리한 후,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부에 마련된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보다 안정되고 깨끗한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사용자 요청 또는 통화 호 수신 여부에 따라 무선주파수부(110) 기반 통화 채널 형성 및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 기반 통화 채널 형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전화번호 또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폰북 데이터를 기반으로 타 휴대 단말기와 통화 채널 형성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타 휴대 단말기에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타 휴대 단말기의 통화 호 연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어부(160)는 무선주파수부(110)와 이동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통화 채널을 기반으로 음성 통화, 메시지 송신 서비스 등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 기반의 통화 채널을 운용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주파수 테이블을 기반으로 주파수 스캔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100) 및 타 휴대 단말기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여야 하며, 타 휴대 단말기는 특정 주파수 값으로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무선주파수 부(110) 기반의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중에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을 운용하기 위한 키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타 휴대 단말기에게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 기반의 통화 채널 형성을 위한 초기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초기화 메시지는 주파수 값 정보를 포함한다.
타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는 초기화 메시지를 수신하면,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자동으로 턴-온시키고, 초기화 메시지에 포함된 주파수 값에 기초하여 주파수대기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타 휴대 단말기 제어부는 초기화 메시지를 전송한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더미 신호가 전달되면, 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휴대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타 휴대 단말기 제어부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 기반의 통화 채널이 형성되었음을 알람할 수 있다.
한편, 초기화 메시지를 송신한 휴대 단말기(100)는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초기화 메시지에 포함된 주파수 값에 기초하여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의 주파수 값을 설정하고, 해당 주파수 값으로 기 설정된 더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타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무전기 모듈로부터 더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기반의 통화 채널 형성을 알람하는 메시지를 표시부(150)나 오디오 처리부(130)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더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없는 경우, 제어부(160)는 기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적인 더미 신호 전송을 더 수행할 수 있으며, 이후, 통화 채널 형성 불가 메시지를 표시부(150)나 오디오 처리부(13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도, 제어부(160)는 무선주파수부(110) 기반의 통화 채널을 기반으로 하는 통화는 수행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을 기반으로 통화 채널이 형성되었을 경우, 제어부(160)는 무선주파수부(110)를 대기 상태로 변경하여 다른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통화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160)는 오디오 처리부(130)를 통하여 수집되던 오디오 신호를 신호 처리 유닛(163)과 믹서(162), 코덱(161) 및 무선주파수부(110)를 거쳐서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던 경로를 신호 처리 유닛(163)과 UART 인터페이스(165) 및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을 포함하는 경로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60)는 수집된 오디오 신호를 무선주파수부(110) 및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 양쪽에 모두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UART 인터페이스(165), 믹서(162) 및 신호 처리 유닛(163)을 거쳐 오디오 처리부(130)의 스피커(SPK)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 기반으로 통화 채널을 형성하고, 해당 통화 채널을 기반으로 신호 처리 및 송수신을 제어하는 과정 중에, 다른 휴대 단말기로부터 무선주파수부(110) 기반의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에 대한 알람을 표시부(150) 및 오디오 처리부(13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 기반의 통화 운용 시, 다른 휴대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통화 대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즉, 다른 휴대 단말기(100)에게 "통화중"을 알리는 비프음이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은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 PA)(143), 무전기 안테나(141), 주파수 발진기(145) 및 무전기 패키지(147)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 증폭기(143)는 무전기 패키지(147)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증폭한다. 무전기 패키지(147)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는 그 신호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일정 거리 이상 전송시키기 위해서는 전력 증폭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전력 증폭기(143)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무전기 패키지(147)에서 송출하는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무전기 안테나(141)는 무전기 패키지(147)로부터 전달되어 전력 증폭기(143)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공중으로 방사한다. 그리고 무전기 안테나(141)는 공중에 방사되어 있는 신호를 수집하여 무전기 패키지(147)에 전달한다. 이러한 무전기 안테나(141)는 무전기 패키지(147)에 의해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무전기 안테나(141)는 무전기 패키지(147)에 의해 발생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발진기(145)는 무전기 패키지(147)에서 생성하는 신호의 기준 신호 값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신호 송신 및 신호 수신 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해서는 기준 신호 값이 필요한데, 상기 주파수 발진기(145)는 이러한 기준 신호 값을 생성하여 무전기 패키지(147)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전기 패키지(147)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무전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하여 무전기 패키지(147)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 플래쉬 메모리, 램 SOP(Small Outline Packag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전기 패키지(147)는 디지털 무전기 운용을 위한 주파수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무전기 패키지(147)는 제어부(160)로부터 전달받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전력 증폭기(143)를 거쳐 증폭 시킨 후, 무전기 안테나(141)를 거쳐 공중으로 방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전기 패키지(147)는 무전기 안테나(141)가 수집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이후, 제어부(160)에 직렬 통신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은 신호 송수신을 위한 구성만을 포함하며, 별도의 신호처리 모듈을 포함하지 않는다. 즉,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는 공용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환경 특성과 주파수 잡음 특성 등으로 인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신호 처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은 이러한 신호 처리를 휴대 단말기(100) 제어부에 포함되어 있으며, 무선주파수부(110) 지원을 위해 장착된 신호 처리 유닛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 및 각 구성의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 시 예에 따른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은 먼저, 제어부가 S101 단계에서 입력부의 입력 신호에 따라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및 저장부에 저장된 운용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부팅 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부팅 과정이 완료되면, 기 설정된 대기 화면 이미지를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한편, S103 단계에서 무선주파수부를 초기화하고 무선주파수부 기반의 통화 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고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초기화하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S105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의 사용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 종료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가 전달되면, 전원부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105 단계에서 별도의 사용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제어부는 S107 단계에서 무전기 서비스 활성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기반으로 통화 채널을 형성하도록 지시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한다. S107 단계에서 별도의 무전기 활성화 를 위한 입력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제어부는 S109 단계로 분기하여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는 해당 기능 예를 들면, 파일 재생 기능, 무선주파수부 기반의 통화 채널 기능, 메시지 서비스 기능 등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107 단계에서 무전기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는 S111 단계로 분기하여 무전기 서비스 활성화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에 전원을 공급하여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고, 기 설정된 주파수 테이블을 이용하여 주파수 세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세팅된 주파수 값을 기초하여 더미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현재 무전기 통신대기를 수행하고 있는 타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특정 주파수 값을 설정하는 경우, 제어부는 설정된 특정 주파수 값에 기초하여 무전기 통신 채널이 형성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무전기 모듈 기반의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제어부는 해당 통신 채널 기반의 통화 수행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는 오디오 처리부의 마이크 유닛으로부터 수집되는 오디오 신호를 신호 처리하고,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디지털 무전기 모듈에 신호 처리된 데이터를 전달하고, 디지털 무전기 모듈에 기초하여 해당 데이터를 공중으로 방사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이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데이터를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수신하고, 신호 처리 유닛을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를 신호 처리한 후, 오디오 처리부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S113 단계에서 무선주파수부 기반의 통화 호가 수신되면, S115 단계에서, 통화 호 수신을 선택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 여 제어부는 S113 단계에서 통화 호가 수신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람하기 위하여 표시부에 일정 메시지 또는 팝업창을 출력하거나, 진동 또는 신호음을 오디오 처리부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15 단계에서 통화 수신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즉, 사용자가 통화 호 수신을 거부한 경우, 제어부는 S111 단계로 복귀하여 무전기 서비스 활성화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는 타 휴대 단말기에게 "통화중"임을 알리는 신호음이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타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S115 단계에서 통화 호 수신이 선택되면, 제어부는 S117 단계로 분기하여 통화 서비스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한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는 이미 실행중인 디지털 무전기 모듈(140)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거나,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상기 통화 호 수신 선택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과 타 휴대 단말기 간의 이동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이를 통하여 수집된 오디오 신호를 타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타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S119 단계에서 무선주파수부 기반의 통화 서비스 종료 여부를 확인하고, 계속 유지할 경우, S117 단계로 분기하여 통화 서비스 지원을 위한 기능 수행을 제어한다.
한편, S119 단계에서 통화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거나, 통화 채널이 해제된 경우, 제어부는 S103 단계로 분기하여 무선주파수부 기반의 통화 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무선주파수부 통화 대기 상태에서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활성화하고, 무선주파수부 기반의 통화 호 연결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무선주파수부 기반의 통화 연결 상태에서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활성화하고, 그에 따른 무전기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제어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초기화 메시지를 타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여 대기해야 할 무전기 주파수 값을 미리 알려주고, 해당 주파수 값에 기초하여 무전기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초기화 메시지를 송신하여 주파수 값을 세팅하는 방법 이외에, 사용자가 직접 세팅할 주파수 값을 음성을 전송하거나, 별도의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알려줄 수 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디지털 무전기 모듈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은 휴대 단말기에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탈착 가능 형태로 디지털 무전기 모듈이 제작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이 접속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더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디지털 무전기 모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Claims (21)

  1. 이동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무선주파수부;
    공용 주파수 대역을 기반으로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
    상기 무선주파수부 및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상기 무선주파수부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 및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이 수신한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며, 송화자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여 상기 무선주파수부 및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 중 어느 하나에 전달하는 오디오 처리부;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디지털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오디오 처리부에 출력하거나, 상기 송화자 오디오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에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과의 신호 송수신을 위한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무선주파수부로부터 송수신되는 신호를 코딩 및 디코딩 하는 코덱;
    상기 코덱에 송수신되는 신호 및 상기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송수 신되는 신호를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은
    상기 제어부와 오디오 신호를 주고 받는 무전기 패키지;
    상기 무전기 패키지로부터의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
    상기 증폭된 신호를 상기 공용 주파수 대역으로 방사하고, 상기 공용 주파수 대역에 방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전기 패키지에 전달하는 무전기 안테나;
    상기 무전기 패키지의 신호 발생을 위한 주파수 발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 활성화 중에 상기 무선주파수부 기반의 통화 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통화 호 수신을 알람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 활성화 중에 상기 무선주파수부 기반의 통화 호가 수신되고, 상기 통화 호 거부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통화중"알림을 상기 통화 호를 전송한 타 휴대 단말기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 기반의 통신 채널 형성 중에 상기 무선주파수부 기반의 통화 채널을 형성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 기반의 통신 채널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주파수부 기반의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중에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활성화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기 설정된 주파수 값을 포함하는 초기화 메시지를 상기 통화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타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타 휴대 단말기로부터 초기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초기화 메시지에 포함된 주파수 값에 기초하여 디지털 무전기 모듈의 주파수 세팅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9. 이동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무선주파수부 및 공용 주파수 대역을 기반으로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주파수부 기반의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통화 채널 형성 중에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 기반의 통신 채널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한 주파수 세팅을 수행하여 상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무선주파수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유닛으로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신호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하는 과정은
    상기 신호 처리된 데이터를 오디오 처리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과정;
    상기 오디오 처리부가 수집한 오디오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디지털 무 전기 모듈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주파수부 기반의 통화 채널을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 활성화 중에 상기 무선주파수부 기반의 통화 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통화 호 수신을 알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 기반의 통신 채널 형성 중에 상기 무선주파수부 기반의 통화 채널을 형성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과정;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 기반의 통신 채널을 해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 활성화 중에 상기 무선주파수부 기반의 통화 호가 수신되는 과정;
    상기 통화 호 거부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과정;
    "통화중"알림을 상기 통화 호를 전송한 타 휴대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은
    기 설정된 주파수 값을 포함하는 초기화 메시지를 작성하는 과정;
    상기 초기화 메시지를 상기 통화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타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은
    타 휴대 단말기로부터 초기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초기화 메시지에 포함된 주파수 값에 기초하여 디지털 무전기 모듈의 주파수 세팅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17. 이동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무선주파수부 및 공용 주파수 대역을 기반으로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 기반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무선주파수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유닛으로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신호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하는 과정은
    상기 신호 처리된 데이터를 오디오 처리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과정;
    상기 오디오 처리부가 수집한 오디오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 활성화 중에 상기 무선주파수부 기반의 통화 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통화 호 수신을 알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 기반의 통신 채널 형성 중에 상기 무선주파수부 기반의 통화 채널을 형성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과정;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 기반의 통신 채널을 해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무전기 모듈 활성화 중에 상기 무선주파수부 기반의 통화 호가 수신되는 과정;
    상기 통화 호 거부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과정;
    "통화중"알림을 상기 통화 호를 전송한 타 휴대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090010721A 2009-02-10 2009-02-10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0009150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721A KR20100091503A (ko) 2009-02-10 2009-02-10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12/701,883 US20100203878A1 (en) 2009-02-10 2010-02-08 Portable device including a digital walkie-talkie module
CN201010114025A CN101800565A (zh) 2009-02-10 2010-02-09 包括数字对讲机模块的便携式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721A KR20100091503A (ko) 2009-02-10 2009-02-10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503A true KR20100091503A (ko) 2010-08-19

Family

ID=42756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721A KR20100091503A (ko) 2009-02-10 2009-02-10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150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539B1 (ko) * 2015-11-18 2016-10-07 주식회사 한스웰 안드로이드 및 무전기 rf 기반의 듀얼폰에서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메인 제어부를 이용한 이기종 간의 통화 서비스 장치
WO2017111309A1 (ko) * 2015-12-24 2017-06-29 주식회사 원소프트다임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음성송수신장치 및 방법
KR101866419B1 (ko) * 2016-09-22 2018-06-11 주식회사 현대제이콤 오디오 통신용 무전장비를 이용한 디지털 데이터의 무전 시스템
CN114465636A (zh) * 2022-03-08 2022-05-10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四研究所 一种c波段背负式无线通信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539B1 (ko) * 2015-11-18 2016-10-07 주식회사 한스웰 안드로이드 및 무전기 rf 기반의 듀얼폰에서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메인 제어부를 이용한 이기종 간의 통화 서비스 장치
WO2017111309A1 (ko) * 2015-12-24 2017-06-29 주식회사 원소프트다임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음성송수신장치 및 방법
KR101866419B1 (ko) * 2016-09-22 2018-06-11 주식회사 현대제이콤 오디오 통신용 무전장비를 이용한 디지털 데이터의 무전 시스템
CN114465636A (zh) * 2022-03-08 2022-05-10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四研究所 一种c波段背负式无线通信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03878A1 (en) Portable device including a digital walkie-talkie module
CN108668041B (zh) 无线用户设备装置及用于无线用户设备装置的方法
RU2280961C2 (ru) Сотовый телефон с одновременной радио- и сотовой связью
KR20050056218A (ko) 두 개의 무선 모뎀과 하나의 모뎀 처리기를 포함하는다중모드 전화기
JP4834161B2 (ja) アラートをブロードキャストにより送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90170436A1 (en) Wireless headset with fm transmitter
CN101808276A (zh) 一种车载通信终端及车载通信系统
KR100819882B1 (ko) 듀얼 모드 듀얼 밴드 단말기의 대기 통화 방사 전력 제어방법 및 장치
TWI501607B (zh) 用於在使用蜂巢式作業系統之裝置上重要功能之快速可用性之系統及方法
CN101170774A (zh) 具有对讲及手机功能的集成通讯装置
US9654938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obile and portable two-way radio collaboration
KR101390352B1 (ko) 스마트폰과 도킹 장치를 결합한 무전기 장치
KR20100091503A (ko)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N201629738U (zh) 一种车载通信终端及车载通信系统
KR20090079379A (ko) 컨퍼런스 콜 멀티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및 방법
JP2000151455A (ja) 移動電話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
JP2001145163A (ja) 無線接続装置及び記録媒体
KR20100091504A (ko) 디지털 무전기 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의 제공 방법
KR10117015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종망 부가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CN113728723B (zh) 辅助配置方法及其装置
KR10069524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을 이용하여라디오 방송을 청취하는 방법
JP4812711B2 (ja) 第1及び第2の無線中継機を備えた装置
JP4152219B2 (ja) 携帯電話システム
JP5392392B2 (ja) 携帯電話機及びその機能設定方法
KR100792838B1 (ko) 착신 대기 상태 알림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