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352B1 - 스마트폰과 도킹 장치를 결합한 무전기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과 도킹 장치를 결합한 무전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352B1
KR101390352B1 KR1020120157406A KR20120157406A KR101390352B1 KR 101390352 B1 KR101390352 B1 KR 101390352B1 KR 1020120157406 A KR1020120157406 A KR 1020120157406A KR 20120157406 A KR20120157406 A KR 20120157406A KR 101390352 B1 KR101390352 B1 KR 101390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smartphone
signal
docking device
pt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알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알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알피시스템
Priority to KR1020120157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3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전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전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이 탈착되는 도킹장치를 포함하는 무전기 장치로서, 기존의 스마트폰에 무전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도킹장치를 결합하여 기존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무전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무전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스마트폰을 도킹 장치와 결합시킴으로써, 따로 무전기를 구입하지 않아도 자신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무전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과 도킹 장치를 결합한 무전기 장치{Walkytalky Comprising Smart Phone and Docking Cradle}
본 발명은 무전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전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이 탈착되는 도킹장치를 포함하는 무전기 장치로서, 기존의 스마트폰에 무전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도킹장치를 결합하여 기존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무전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과 도킹 장치를 결합한 무전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국의 모토롤라 사가 2012년 한국에서 발표한 세계최초의 스마트폰 무전기인 모델명 더블비(Double V)라는 상용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기존의 스마트폰과 무전기의 하드웨어를 하나의 하드웨어로 결합하였으며, 스마트폰에 무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앱(소프트웨어, ‘어플’이라고 함)를 탑재하였다. 이 제품은 스마트폰의 여타의 앱을 사용하며 동시에 무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이 제품은 전통적인 산업 현장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무전기의 기능을 스마트폰에 부가한 제품이다. 이 기술에서 스마트폰은 3세대(3G) 및 WCDMA 통신망에 연결되어 사용하고, 무전기는 아이덴(Iden) 통신방식을 채용하여 TRS(Trunked Radio System, 주파수 공용통신)망을 사용한다.
무전기가 스마트폰과 다른 가장 큰 차이점은, 일대다(一對多) 통신이 가능하다는 점과 푸쉬투토크(Push-To-Talk) 방식의 사용법이다. 이 기술은 무전기를 사용할 때 지정된 사용자끼리 일대다 통신을 하며, 전국 무전통화로 통신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무전기의 소프트웨어를 업무용 앱과 연동시킬 경우, 기존의 무전기와는 달리 업무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더블비라는 상용기술에 포함된 스마트폰은, 카메라의 성능과 사진의 품질이 낮아서 사용자의 불만을 야기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품에 적용된 CPU(퀄컴 MSM8655, 1.2GHz), 플래시 메모리(4G), 램 메모리(1G), 액정화면(4.3인치, 960X540픽셀) 등의 하드웨어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조차도 여타 제조사(미국 애플, 한국 삼성전자, 엘지전자 등)의 첨단 스마트폰과 비교할 경우, 부족한 점이 많다.
이에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무전기의 기능을 추가로 제공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의 스마트폰에 무전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도킹장치를 결합하여 기존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무전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무전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무전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이 탈착되는 도킹장치를 포함하는 무전기 장치로서, 상기 도킹장치는, PTT(push to talk) 버튼과, 상기 도킹장치를 제어하되 상기 PTT 버튼이 눌리는 동안 PTT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PTT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수신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도킹장치로부터 상기 PTT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도킹장치로 상기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PTT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마이크로 입력된 소리로부터 무전기 발신신호를 생성하고 외부로부터 수신한 무전기 수신신호로부터 상기 음성신호를 추출하는 무전기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무전기 발신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고 상기 무전기 수신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이동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킹장치 및 상기 스마트폰의 근거리 통신부는, 블루투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출력부는, 95 데시벨 이상으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킹장치는, 상기 스마트폰의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와 연결되는 USB 인터페이스; 및 상기 도킹장치 및 상기 스마트폰에 전원을 공급하는 대용량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스마트폰을 도킹 장치와 결합시킴으로써, 따로 무전기를 구입하지 않아도 자신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무전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 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무전기 장치에서의 각종 신호의 흐름도.
도 4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도킹 장치 및 스마트폰의 구현 모델을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 장치는 무전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110) 및 도킹장치(120)를 포함한다.
무전기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11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무전기 애플리케이션은 실행된 후 스마트폰(110) 및 도킹장치(120)에 내장된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이용하여 무전기 기능 및 그외에 부가적인 바코드 리딩, RF(radio frequency) 인식, 신용카드 리딩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킹장치(120)는 스마트폰(110)이 탈착식으로 장착되는 장치로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존의 스마트폰(110)과 결합하여 PPT(push to talk) 기능 및 수신한 음성의 고출력 기능 등 무전기 기능을 효과적으로 제공한다.
스마트폰(110) 및 도킹 장치(120)가 결합된 무전기 장치(100)는 다른 무전기 장치(100_1~100_n)들과 서로 무전기 신호를 교환한다. 무전기 장치(100)는 PTT 버튼이 눌린 상태에서만 다른 무전기 장치(100_1~100_n)들로 무전기 발신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무전기 장치(100)는 다른 무전기 장치(100_1~100_n)로부터 무전기 발신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도킹장치(120)에 내장된 고출력 스피커를 통해 약 95dB 이상으로 크게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도 1에서는 무전기 장치(100)가 동일한 무전기그룹에 속하는 다른 무전기 장치(100_1~100_n)들과 직접 무전기 신호를 교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도면과는 달리 무전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경유하여 다른 무전기 장치(130)들과 무전기 신호를 교환할 수도 있다.
기존의 스마트폰의 스피커 출력은 최대치가 약 75dB 정도로서, 소음이 심한 장소에서는 잘 들리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고출력 스피커를 통해 약 95dB 이상의 소리를 출력함으로써, 소음이 심한 곳에서도 무전기 장치(100)에서 출력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한편, 기존의 무전기들은 대부분 TRS(Trunked Radio System, 주파수 공용통신)망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 장치(100)는 TRS 망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무전기 장치(100)에 포함된 스마트폰(110)이 이용하는 3G, 4G, WCDMA, 및 WiFi 등의 무선통신망을 이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 장치(100)는 스마트폰(110) 및 도킹 장치(120)를 포함한다.
스마트폰(110)이란 인터넷 통신과 정보 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이 추가된 지능형 휴대전화를 의미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폰(110)에는 무전기 기능 및 그외의 부가 기능 수행을 위해 무전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스마트폰(110)은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11), 근거리 통신부(112), 이동통신부(113), 마이크(114), 배터리(115), 및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116)를 포함한다.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11)은 무전기 기능 및 그외의 다양한 부가 기능들, 예를 들어 바코드 인식, RF(radio frequency) 인식, 및 신용카드 인식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들로 구성되며, 스마트폰(110)의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11)이 실행되면, 스마트폰(110)은 근거리 통신부(112)를 통해 도킹 장치(120)와 통신하며 무전기 기능 및 그외의 부가 기능을 수행한다.
근거리 통신부(112)는 스마트폰(110)과 도킹 장치(120)가 서로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시켜주는 구성요소이다. 후술하겠지만, 근거리 통신부(112)는 도킹 장치(120)로부터 PTT(push to talk) 신호를 수신하고, 도킹 장치(120)로 음성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폰(110)의 근거리 통신부(112)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도킹 장치(12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근거리 통신부(112)는 소정의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 예를 들어 적외선(Infrared Ray)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및 지그비(Zigbee)를 포함하는 현행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 및/또는 향후 스마트폰(110)에 구비되는 모든 종류의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도킹 장치(120)의 근거리 통신부(122)와 통신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부(112)가 도킹 장치(120)의 근거리 통신부(122)와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페어링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러한 페어링은 도킹 장치(120)에 있는 페어링 버튼(1221)을 누름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동통신부(113)는 다른 무전기 장치(130)들과 통신하는 구성요소로서, 3G, 4G, WCDMA, 및 WiFi 중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다른 무전기 장치들과 무전기 신호를 교환한다. 전술한 것처럼, 무전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경유하여 다른 무전기 장치(130)들과 무전기 신호를 교환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이동통신부(113)는 서버와 무전기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무전기 신호란 무전기 발신신호 및 무전기 수신신호를 포함한다. 무전기 발신신호란 하나의 무전기 장치(100)에서 다른 무전기 장치(130)나 서버로 전송되는 신호로서 음성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무전기 발신신호에는 음성신호가 포함되는데, 도킹 장치(120)에서 PTT 버튼(1231)이 눌리는 동안에만 스마트폰(110)의 마이크(114)를 통해 입력된 음성만이 무전기 발신신호에 실린다.
무전기 수신신호란 다른 무전기 장치(130)나 서버로부터 수신된 무전기 신호를 의미하며, 무전기 수신신호에도 음성신호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무전기 발신신호에는 무전기그룹의 목록이나 무전기그룹의 아이디가 포함될 수 있으며, 무전기 수신신호에는 무전기그룹의 목록이나 무전기그룹의 아이디가 포함될 수 있다. 무전기그룹의 목록이란 서로 무전기 신호를 교환해야 하는 동일한 무전기그룹에 속하는 각 무전기 장치들의 목록을 의미하며, 무전기그룹의 목록에는 무전기그룹에 속하는 각 무전기 장치의 고유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무전기 장치의 고유번호는 무전기 장치에 포함된 스마트폰의 전화번호 및/또는 시리얼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무전기그룹의 아이디는 각각의 무전기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정보로서, 각각의 무전기그룹은 고유한 아이디를 가진다.
이러한 무전기그룹의 목록이나 무전기그룹의 아이디는 스마트폰(110)의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11)에 저장되며, 서버를 경유하여 무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서버는 모든 무전기그룹의 목록과 무전기그룹의 아이디들을 무전기그룹별로 저장함으로써 각각의 무전기그룹을 구별할 수 있다.
스마트폰(110)의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11)은 무전기그룹의 목록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폰(110)의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11)을 이용하여 스마트폰(110)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목록 중에서 무전기그룹에 포함시킬 연락처를 각각 선택함으로써, 무전기그룹의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무전기그룹의 목록이 생성되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은 생성된 무전기그룹의 목록을 그 목록에 포함된 스마트폰들로 전송한다. 무전기그룹의 목록을 수신한 각 스마트폰들은 무전기 애플리케이션에서 무전기그룹의 목록을 저장하거나 무전기그룹에 편입되는 것을 허락함으로써, 무전기 신호를 교환하는 무전기그룹에 편입될 수 있다.
무전기 발신신호, 무전기 수신신호, 또는 무전기 애플리케이션에는 무전기그룹의 목록 및 무전기그룹의 아이디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발신 측의 무전기 장치(110)와 동일한 무전기그룹에 속하는 수신 측의 무전기 장치(110)들은 서로 무전기 발신신호와 무전기 수신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도킹 장치(120)로부터 PTT 신호가 수신되면,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11)은 PTT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마이크로 입력된 소리로부터 무전기 발신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동통신부(113)로부터 무전기 수신신호가 수신되면,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11)은 무전기 수신신호로부터 음성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음성신호를 근거리 통신부(112)를 통해 도킹 장치(120)로 전달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11)은 근거리 통신부(112)를 통해 PTT 신호가 수신되는 것과 이동통신부(113)로부터 무전기 수신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항상 모니터링하고, 해당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마이크(114)는 음성을 포함한 각종 소리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술한 것처럼,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11)은 도킹 장치(120)로부터 PTT 신호가 수신되면, PTT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마이크로 입력된 소리로부터 무전기 발신신호를 생성한다.
배터리(115)는 스마트폰(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USB 단자(116)는 도킹 장치(120)의 USB 인터페이스(127)와 서로 연결되며, 도킹 장치(120)의 대용량 배터리(12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무전기 장치(120)의 장시간 사용을 위해 스마트폰(110)은 자신의 배터리(115) 외에 도킹 장치(120)의 배터리(12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한편, 도킹 장치(120)는 제어부(121), 근거리 통신부(122), 버튼부(123), 음성출력부(124), 배터리(125), 충전단자(126), USB 인터페이스(127), 및 확장모듈(128)을 포함한다.
제어부(121)는 도킹 장치(120)의 모든 디지털 및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고 다양한 제어 로직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로 구현된다.
제어부(121)는 후술할 PTT 버튼(1231)이 눌리는 것을 감지하여 PTT 버튼(1231)이 눌리는 동안에만 PTT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PTT 신호를 근거리 통신부(122)를 통해 스마트폰(110)으로 전송한다.
근거리 통신부(122)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110)의 근거리 통신부(112)와 통신하는 구성요소이다. 근거리 통신부(122)는 스마트폰(110)으로 PTT 신호를 전송하고 스마트폰(110)으로부터는 무전기 수신신호에서 추출된 음성신호를 수신한다.
버튼부(123)는 PTT 버튼(1231) 및 부가 버튼(1232)을 포함한다.
PTT 버튼(1231)은 무전기에서의 PTT(push to talk) 기능을 위한 버튼이다. PTT 기능이란 무전기에 구현되는 기능으로서, 전화와는 달리 사용자가 PTT 버튼을 누르는 동안에만 다른 무전기 장치(130)로 소리를 전송하는 기능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도킹 장치(120)에 구비된 PTT 버튼(1231)은, PTT 버튼(1231)을 누른 상태에서 음성을 송신하고, PTT 버튼(1231)을 놓으면 음성을 수신만 하는 종래의 무전기 PTT 버튼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는 통신망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송신할 필요가 없는 음성조차도 항상 송신되는 휴대폰과 상이한 점이다. 상기의 PTT 버튼(1231)은 본 발명의 도킹 장치(120)의 좌측 모서리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도킹 장치(120)를 왼손으로 들었을 때는 엄지(첫번째 손가락)를 이용해서 조작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이는 오른손으로 필기를 할 수 있는 자유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다만, 왼손잡이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도킹 장치(120)를 오른손으로 들고 검지(2번째 손가락)나 중지(세번째 손가락) 등을 이용해서 PTT 버튼(1231)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부가 버튼(1232)은 후술할 확장모듈(128)의 동작을 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부가 버튼(1232)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면, 제어부(121)는 부가 버튼(1232)의 눌림을 감지하여 확장모듈(128)에 장착된 모듈의 동작을 개시시킨다.
음성출력부(124)는 스마트폰(110)로부터 수신한 음성신호를 고출력으로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1241) 및 고출력으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242)를 포함한다.
음성출력부(124)는 주변이 시끄러운 곳에서도 소리가 잘 들릴 수 있도록, 약 95dB 이상으로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기존의 휴대전화는 스피커의 출력의 최대값이 약 75 dB 정도로서, 소음이 심한 곳에서는 스피커를 통한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무전기 장치(100)는 소음이 심한 산업현장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95dB 이상의 고출력을 제공한다.
배터리(125)는 도킹 장치(120)에 전원을 공급하며, 전술한 것처럼 스마트폰(110)에도 USB 인터페이스(127)를 통해 전원을 공급한다. 스마트폰(110)의 배터리(115)가 소진될 경우, 도킹 장치(120)의 대용량 배터리(125)에서 출력되는 전원은 승압회로(미도시)를 거쳐 스마트폰에서 요구하는 전압(DC 5V)으로 변환된 후 스마트폰(110)에 전원을 공급한다.
충전단자(126)는 도킹 장치(12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단자이다.
확장모듈(128)은 무전기 기능 외에 바코드 리더기, RF(radio frequency) 인식기, 및 신용카드 리더기 중의 적어도 하나가 탈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모듈로서,장착된 모듈에 따라 바코드 리딩 정보, RF 인식 정보, 신용카드 리딩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독출한다.
확장모듈(128)에 바코드 리더기, RF(radio frequency) 인식기, 및 신용카드 리더기 중의 적어도 하나가 장착됨으로써,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이용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무전기 장치(100)에서의 각종 신호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우선 도킹 장치(120)에서 PTT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면(S10), 도킹 장치(120)의 제어부(121)는 PTT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PTT 신호는 근거리 통신부(122)를 통해 스마트폰(110)으로 전송된다(S20).
PTT 신호가 수신되면, 스마트폰(110)의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11)은 PTT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마이크(114)로부터 입력되는 소리를 검출하여 음성신호로 변환한다(S30).
그리고 나서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11)은 마이크(114)에서 변환된 음성신호를 포함한 무전기 발신신호를 생성한다(S40).
스마트폰(110)의 이동통신부(113)는 다른 무전기 장치(130)로 무전기 발신신호를 전송한다(S50).
한편, 스마트폰(110)은 이동통신부(113)를 통해 다른 무전기 장치(130)로부터 음성신호가 포함된 무전기 수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60).
무전기 수신신호가 수신되면,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11)은 무전기 수신신호로부터 음성신호를 추출하고(S70), 추출된 음성신호를 근거리 통신부(112)를 통해 도킹 장치(120)로 전송한다(S80).
도킹 장치(120)의 음성출력부(124)는 수신한 음성신호를 고출력으로 증폭하여 스피커를 통해 고출력으로 출력한다(S90).
도 4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도킹 장치 및 스마트폰의 구현 모델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도킹 장치(120)와 스마트폰(110)의 전면부를 예시하고, 도 5는 도킹 장치(120)와 스마트폰(110)의 후면부를 예시한다.
도킹 장치(120)의 측면에는 스마트폰(110)을 안착하여 제대로 지지하기 위해 스마트폰(110)을 지지하는 지지다리(1201)가 배치되며, 전면에는 탈착식의 배터리(125), 스마트폰의 USB 단자와 연결되는 USB 인터페이스(127), 및 스피커(1242)가 배치된다.
도킹 장치(120)의 후면에는 탈착식의 확장모듈(128),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주변의 스마트폰을 검색하고 페어링하기 위한 페어링 버튼(1221)이 배치되며, 측면에는 PTT 기능을 위한 PTT 버튼(1231)과 확장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부가버튼(1232)이 배치된다.
도킹 장치(120)에는 스마트폰(110)이 탈착식으로 장착되기 때문에, 도킹 장치(120)는 스마트폰(110)의 종류에 따라 크기 및 외양 형태가 상이해질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110)의 다양한 운영체제를 지원하기 위해, 스마트폰(110)의 무전기 애플리케이션(111)은 각 운영체제별로 준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킹 장치는, 스마트폰과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의 일종인 블루투스 통신을 하기 때문에 하드웨어적인 연결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다양한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도킹 장치에 구비된 증폭기와 스피커는, 매우 소란한 산업현장에서 스마트폰을 무전기로 활용하고자 할 때 스마트폰이 제공하는 음량(75데시벨)이 사용자가 요구하는 수준에 미흡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음량을 증폭하여 크게(95데시벨) 들려주기 위한 용도이다. 예를 들어서 비행장 근처의 운송화물 허브에서는 비행기의 이착륙 시에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하여 스마트폰의 스피커가 제공하는 음량으로는 매우 미흡함을 느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스마트폰보다 높은 음량을 제공하는 오디오앰프와 스피커를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도킹 장치의 전자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대용량 베터리는, 스마트폰의 USB 단자에 연결되어 스마트폰에도 전력을 공급한다. 스마트폰의 배터리가 소진될 경우, 상기 도킹 장치의 대용량 배터리 전원이 스마트폰에서 요구하는 전압(DC 5V 승압회로)으로 변환된 다음 스마트폰에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도킹 장치에는, 산업현장에서 매우 활용도가 높은 바코드리더기, RF리더기, 신용카드리더기 등을 확장모듈로 용이하게 추가함으로써, 산업현장에서 스마트폰의 기능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이상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 및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무전기 장치 110, 스마트폰
120, 도킹 장치 121, 제어부
122, 근거리 통신부 123, 버튼부
124, 음성출력부 125, 배터리
126, 충전단자 127, USB 인터페이스
128, 확장모듈

Claims (5)

  1. 무전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이 탈착되는 도킹장치를 포함하는 무전기 장치로서,
    상기 도킹장치는, PTT(push to talk) 버튼과, 상기 도킹장치를 제어하되 상기 PTT 버튼이 눌리는 동안 PTT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PTT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수신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도킹장치로부터 상기 PTT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도킹장치로 상기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PTT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마이크로 입력된 소리로부터 무전기 발신신호를 생성하고 외부로부터 수신한 무전기 수신신호로부터 상기 음성신호를 추출하는 무전기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무전기 발신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고 상기 무전기 수신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이동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도킹장치는,
    바코드 리더기, RF(radio frequency) 인식기, 및 신용카드 리더기 중의 적어도 하나가 탈착식으로 장착되어 부가정보를 독출하는 확장모듈; 및
    상기 확장모듈의 동작 제어를 위한 부가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도킹 장치를 결합한 무전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장치 및 상기 스마트폰의 근거리 통신부는,
    블루투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도킹 장치를 결합한 무전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출력부는,
    95 데시벨 이상으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도킹 장치를 결합한 무전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장치는,
    상기 스마트폰의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와 연결되는 USB 인터페이스; 및
    상기 도킹장치 및 상기 스마트폰에 전원을 공급하는 대용량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도킹 장치를 결합한 무전기 장치.
  5. 삭제
KR1020120157406A 2012-12-28 2012-12-28 스마트폰과 도킹 장치를 결합한 무전기 장치 KR101390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406A KR101390352B1 (ko) 2012-12-28 2012-12-28 스마트폰과 도킹 장치를 결합한 무전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406A KR101390352B1 (ko) 2012-12-28 2012-12-28 스마트폰과 도킹 장치를 결합한 무전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352B1 true KR101390352B1 (ko) 2014-04-30

Family

ID=50658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406A KR101390352B1 (ko) 2012-12-28 2012-12-28 스마트폰과 도킹 장치를 결합한 무전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35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6705A1 (ko) * 2014-10-08 2016-04-14 (주)엔알피시스템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무전기 키트로 구성되는 무전기 장치
KR101702054B1 (ko) * 2015-10-30 2017-02-13 최원석 다기능 스마트폰 블록케이스
KR101782229B1 (ko) 2015-12-29 2017-09-27 한국공항공사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및 방법
WO2017217831A1 (ko) * 2016-06-17 2017-12-21 박세진 무전기 모듈을 이용한 스마트폰 채팅 제공 방법
US9892628B2 (en) 2014-10-14 2018-02-13 Logitech Europe S.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WO2021157764A1 (ko) * 2020-02-07 2021-08-12 ㈜알고코리아 휴대 단말 일체형 무전기 및 이를 이용하는 무전 시스템 및 방법
US11949442B2 (en) 2021-06-09 2024-04-02 Siyata Mobile Inc. Mobile conversion apparatus for docking cellular data devi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799A (ko) * 2008-04-16 2009-10-21 국제통신 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핸즈프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10013557A (ko) * 2011-01-19 2011-02-09 이영종 스마트폰을 무전기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외부 부착형 에프알에스 통신 모듈
KR20110092340A (ko) * 2008-12-03 2011-08-17 모토로라 솔루션즈, 인크. 그룹 ptt 서비스를 위한 이중/다중 감시 방법 및 장치
KR20120040289A (ko) * 2010-10-19 2012-04-27 김기원 호스트 기기 결합형 무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799A (ko) * 2008-04-16 2009-10-21 국제통신 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핸즈프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10092340A (ko) * 2008-12-03 2011-08-17 모토로라 솔루션즈, 인크. 그룹 ptt 서비스를 위한 이중/다중 감시 방법 및 장치
KR20120040289A (ko) * 2010-10-19 2012-04-27 김기원 호스트 기기 결합형 무전기
KR20110013557A (ko) * 2011-01-19 2011-02-09 이영종 스마트폰을 무전기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외부 부착형 에프알에스 통신 모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6705A1 (ko) * 2014-10-08 2016-04-14 (주)엔알피시스템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무전기 키트로 구성되는 무전기 장치
US9892628B2 (en) 2014-10-14 2018-02-13 Logitech Europe S.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KR101702054B1 (ko) * 2015-10-30 2017-02-13 최원석 다기능 스마트폰 블록케이스
KR101782229B1 (ko) 2015-12-29 2017-09-27 한국공항공사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및 방법
WO2017217831A1 (ko) * 2016-06-17 2017-12-21 박세진 무전기 모듈을 이용한 스마트폰 채팅 제공 방법
WO2021157764A1 (ko) * 2020-02-07 2021-08-12 ㈜알고코리아 휴대 단말 일체형 무전기 및 이를 이용하는 무전 시스템 및 방법
US11949442B2 (en) 2021-06-09 2024-04-02 Siyata Mobile Inc. Mobile conversion apparatus for docking cellular data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352B1 (ko) 스마트폰과 도킹 장치를 결합한 무전기 장치
US20130337859A1 (en) Ruggedized case or sleeve for providing push-to-talk (ptt) functions
CN105007543B (zh) 对讲方法、装置、设备及系统
CN103781187A (zh) 一种控制文件传输的方法及终端
US10820374B2 (en) Gateway device for wireless networks
CN103297603A (zh) 具有移动通讯功能的对讲机装置
CN204180064U (zh) 高噪音环境用对讲机
CN107484143A (zh) 一种基于无线网络的对讲设备及其对讲通讯方法
US20140221039A1 (en) Smart Radio System
KR101415638B1 (ko)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1629738U (zh) 一种车载通信终端及车载通信系统
CN203445874U (zh) 蓝牙对讲机
CN114257261A (zh) 射频架构及终端设备
CN202907146U (zh) 一种基于nfc技术的蓝牙音箱
CN201336735Y (zh) 具有对讲功能的手机
US8406684B1 (en) Two-way radio device with combined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KR101375566B1 (ko) 푸시 투 토크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CN202602899U (zh) 通话控制装置、ptt终端及ptt通话系统
CN102624963B (zh) 具有全双工无线对讲功能的手机及其实现方法
CN209659561U (zh) 支持语音通话的音箱及系统
KR20160042338A (ko)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무전기 키트로 구성되는 무전기 장치
CN106681437B (zh) 承载设备及电子设备附件
US20150195687A1 (en) Push to talk virtual key
CN113382338A (zh) 一种支持双模切换的智能蓝牙耳机充电仓终端
CN105245243A (zh) 具有定位导航功能的无线接收机及进行无线接收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