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229B1 -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229B1
KR101782229B1 KR1020150188641A KR20150188641A KR101782229B1 KR 101782229 B1 KR101782229 B1 KR 101782229B1 KR 1020150188641 A KR1020150188641 A KR 1020150188641A KR 20150188641 A KR20150188641 A KR 20150188641A KR 101782229 B1 KR101782229 B1 KR 101782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communication network
terminal
transceiver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8281A (ko
Inventor
김성호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항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항공사 filed Critical 한국공항공사
Priority to KR1020150188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229B1/ko
Publication of KR20170078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8Trunked mobile radi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Abstract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상무선통신 시스템은 통신 단말의 외부 연결잭에 삽입되어, 상기 통신 단말과, 원격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 간에 제1 비상 통신망을 구축하는 원격제어 장치와, 상기 이동 단말의 외부 연결잭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 단말과, 무전기 간에 제2 비상 통신망을 구축하는 무전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전기 장치는 상기 제1 비상 통신망 및 상기 제2 비상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과 상기 무전기 사이를 연결한다.

Description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및 방법{EMERGENC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통신 단말에 물리적으로 삽입되는 원격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과, 원격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 간에 비상 통신망을 구축하고, 이 비상 통신망을 통해, 이동 단말을 매개로 하여 통신 단말과 무전기 사이를 연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다음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1) 공개번호: 10-2013-0121394(2013.11.06), "무전기를 이용한 원격 안내방송 시스템"
2) 등록번호: 10-0626839(2006.09.14), "무전기의 무선 송수신 시스템"
제1 무전기와 상기 제1 무전기의 전파통달거리를 벗어나, 원격지에 위치하는 제2 무전기 간의 무선통화는 유선중계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무전기는 무선통화에 필요한 송신음성, 송신기를 송신상태로 만들기 위한 송신용 PTT(Push To Talk) 신호를 유선으로 제2 무전기에 송신하고, 제2 무전기로부터 음성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유선중계방식에 기초하여, 무전기 간에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전용선 설치가 불가피 함에 따라, 전용선 설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비되고, 비상시 신속하게 무선 통신망을 구축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원격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예컨대, 유선 전화기, 휴대폰 등)과 원격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예컨대, 휴대폰) 간에 제1 비상 통신망을 구축하고, 무전기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과 무전기 간에 제2 비상 통신망을 구축하며, 제1, 2 비상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과 상기 무전기 사이를 연결시킴으로써, 통신 단말과 무전기 간의 통신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비상무선통신 시스템은 통신 단말의 외부 연결잭에 삽입되어, 상기 통신 단말과, 원격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 간에 제1 비상 통신망을 구축하는 원격제어 장치와, 상기 이동 단말의 외부 연결잭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 단말과, 무전기 간에 제2 비상 통신망을 구축하는 무전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전기 장치는 상기 제1 비상 통신망 및 상기 제2 비상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과 상기 무전기 사이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방법으로서, 비상무선통신 방법은 통신 단말의 외부 연결잭에 삽입되는 원격제어 장치에서, 상기 통신 단말과, 원격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 간에 제1 비상 통신망을 구축하는 단계와, 무전기 장치에서, 상기 이동 단말의 외부 연결잭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 단말과, 무전기 간에 제2 비상 통신망을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무전기 장치에서, 상기 제1 비상 통신망 및 상기 제2 비상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과 상기 무전기 사이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원격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예컨대, 유선 전화기, 휴대폰 등)과 원격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예컨대, 휴대폰) 간에 제1 비상 통신망을 구축하고, 무전기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과 무전기 간에 제2 비상 통신망을 구축하며, 제1, 2 비상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과 상기 무전기 사이를 연결시킴으로써, 통신 단말과 무전기 간의 통신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당한 이격 거리를 갖는 통신 단말과 무전기 간에, 통신을 위한 전용선 설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전용선 설치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단말(예컨대, 통신 단말, 이동 단말)과 연계하여, 기존 단말이 갖는 통신 인프라를 활용 함에 따라, 통신 단말과 원격지에 위치하는 무전기 간의 통신 확장을 용이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내 통신 단말이 유선 전화기일 경우의 시스템 구성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내 통신 단말이 휴대폰일 경우의 시스템 구성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내 원격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내 전화용 원격제어 장치의 인터페이스 구성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내 휴대폰용 원격제어 장치의 인터페이스 구성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내 무전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무선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무선통신 시스템(100)은 통신 단말(101), 원격제어 장치(103), 이동 단말(105), 무전기 장치(107) 및 무전기(109)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단말(101)은 예컨대, 유선 전화기, 휴대폰일 수 있으며, 기지국을 통해 이동 단말(105)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단말(101)은 외부 연결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연결잭에 원격제어 장치(103)가 삽입되면, 원격제어 장치(103)의 제어에 따라, 이동 단말(105)과 제1 비상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원격제어 장치(103)는 통신 단말(101)의 외부 연결잭에 삽입되어, 통신 단말(101)과, 원격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105) 간에 제1 비상 통신망을 구축할 수 있다.
원격제어 장치(103)는 통신 단말(101)과 이동 단말(105) 간의 통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푸시투토크(PTT: Push To Talk)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원격제어 장치(103)는 상기 푸시투토크 명령이 입력되는 동안에는, 원격제어 장치(103) 내 송신부를 상기 제1 비상 통신망에 접속하는 반면, 푸시투토크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동안에는, 원격제어 장치(103) 내 수신부를 제1 비상 통신망에 접속시킬 수 있다. 즉, 원격제어 장치(103)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이동 단말(105)로 송출하는 송신 모드일 경우, 송신부를 제1 비상 통신망에 접속하고, 원격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105)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모드일 경우, 수신부를 제1 비상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원격제어 장치(103)는 송신 모드 또는 수신 모드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여, 신호가 발송되는 상태인지 또는 수신되는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원격제어 장치(103)는 통신 단말(101)과 이동 단말(105) 간의 통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푸시투토크 명령이 입력되면, PTT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원격제어 장치(103)는 상기 발생한 PTT 신호 및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된 무전기향 음성 신호, 사용자로부터 입력되어 무전기(109)를 목표로 전송되어지는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신호는 상기 제1 비상 통신망을 통해 이동 단말(105)에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 장치(103)는 통신 단말(101)의 외부 연결잭과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부는 예컨대, 유선 전화기의 외부 연결잭에 삽입되는 제1 인터페이스 단자와, 휴대폰의 외부 연결잭에 삽입되는 제2 인터페이스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105)은 예컨대, 휴대폰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비상 통신망을 통해 통신 단말(101) 또는 원격제어 장치(103)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105)은 외부 연결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연결잭에 무전기 장치(107)가 삽입되면, 무전기 장치(107)의 제어에 따라, 무전기(109)와 제2 비상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무전기 장치(107)는 이동 단말(105)의 외부 연결잭에 삽입되어, 이동 단말(105)과, 무전기(109) 간에 제2 비상 통신망을 구축하고, 상기 제1 비상 통신망 및 상기 제2 비상 통신망을 통해, 통신 단말(101)과 무전기(109)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무전기 장치(107)는 원격제어 장치(103)에서 생성한 송신 신호가, 이동 단말(105)에 수신되면, 상기 송신 신호를 무전기(109)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무전기 장치(107)는 상기 PTT 신호 및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무전기향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송신 신호를, 상기 제1 비상 통신망과 상기 제2 비상 통신망을 경유하여, 무전기(109)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무전기 장치(107)는 상기 송신 신호로부터 상기 PTT 신호를 필터링하여, 상기 무전기향 음성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무전기향 음성 신호를 출력하여, 무전기(109)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전기(109)로부터 이동 단말(105)로 단말향 음성 신호, 즉 무전기(109)에 입력되어 통신 단말(101)을 목표로 전송되어지는 음성 신호가, 상기 제2 비상 통신망을 통해, 전달되는 경우, 무전기 장치(107)는 상기 제1 비상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향 음성 신호를 통신 단말(101)(또는, 원격제어 장치(103))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향 음성 신호는 원격제어 장치(103)에 전달될 수 있으며, 원격제어 장치(103)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무전기(109)가 이동 단말(105)을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무전기 장치(107)는 상기 제2 비상 통신망으로서, 이동 단말(105)에 의해 설정된 근거리 통신망을 구축하고, 상기 제1 비상 통신망 및 상기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 단말(101)과 무전기(109)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내 통신 단말이 유선 전화기일 경우의 시스템 구성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비상무선통신 시스템(200)은 유선 전화기(201), 전화용 원격제어 장치(203), 휴대폰(205), 무전기 장치(207) 및 무전기(209)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전화기(201)는 공중통신망 및 휴대폰 기지국을 통해, 원격지에 있는 휴대폰(205)으로 전화를 걸어서, 휴대폰(205)과 통화망을 구성할 수 있다.
전화용 원격제어장치(203)는 유선 전화기(201)와 휴대폰(205) 간에 통화망이 구성된 후, 전환 스위치가 유선 전화기(201)에서 전화용 원격제어장치(203)로 전환되면, 상기 통화망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통화망을 통해, 휴대폰(205)과 통신할 수 있다.
원격지에 위치하는 휴대폰(205)은 외부 연결잭(예컨대, 외부 마이크/이어폰 잭)에 무전기 장치(207)가 삽입(또는, 연결)되면, 무전기 장치(207) 내 RCU(Remote Control Unit) 카드를 통하여, 무전기 장치(207)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폰(205)은 자동수신모드로 되어있고, 외부 연결잭에 무전기 장치(207)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선 전화기(201)로부터의 전화가 수신되면, 무전기 장치(207)와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화용 원격제어장치(203)는 상기 통화망을 통해, 휴대폰(205)과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마이크의 PTT(Push To Talk) 스위치를 누르면, PTT 신호(예컨대, 2895Hz 사인파의 PTT 톤)를 발진하고, 상기 발진된 PTT 신호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또는, 증폭된 음성 신호)를 혼합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한 후, 휴대폰(205)으로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신호는 휴대폰(205)의 수화기(예컨대, 스피커, 이어폰)를 통해, 무전기 장치(207) 내 RCU 카드로 입력될 수 있다.
무전기 장치(207)는 휴대폰(205)의 외부 연결잭에 삽입되어, 휴대폰(205)과 연결될 수 있으며, 휴대폰(205)과 무전기(209) 간에 통신망을 구축할 수 있다.
무전기 장치(207)는 휴대폰(205)으로부터 상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RCU 카드를 통해, 상기 송신 신호로부터 PTT 신호(루프신호)를 추출하여 송신부로 전달 함으로써, 무전기 장치(207)를 송신상태로 만들고, PTT 신호 저지필터를 통과한 순수한 음성 신호도 송신부로 전달하여, 송신부를 통해 원격지에 위치하는 무전기(209)로 송신할 수 있다.
무전기(운용 무전기)(209)는 무전기 장치(207)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무전기(209)는 상기 출력되는 음성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마이크를 통해 음성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음성 신호를 무전기 장치(207)로 송신할 수 있다.
무전기 장치(207)는 내부 수신부의 음성출력과 휴대폰(205)의 송화기가 직접 연결 됨에 따라, 무전기(209)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를, 휴대폰(205)의 송화기로 전달하고, 휴대폰(205)을 통해 전화용 원격제어장치(203)로 전송할 수 있다.
전화용 원격제어장치(203)는 휴대폰(205)에서 송출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내 통신 단말이 휴대폰일 경우의 시스템 구성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비상무선통신 시스템(300)은 휴대폰용 원격제어 장치(301), 제1 휴대폰(303), 제2 휴대폰(305), 휴대폰용 원격제어 장치(307) 및 무전기(30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휴대폰(303)은 원격지에 위치하는 제2 휴대폰(305)으로 전화를 걸어서, 원격지에 위치하는 제2 휴대폰(305)과 통화망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휴대폰(303)은 외부 연결잭(예컨대, 외부 마이크/이어폰 잭)에, 삽입(또는, 연결)된 휴대폰용 원격제어 장치(301)의 제어에 따라, 제2 휴대폰(305)과 통신할 수 있으며, 제2 휴대폰(305)에 삽입된 무전기 장치(307)를 통해, 원격지에 위치하는 무전기(309)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화망을 통해, 제1 휴대폰(303)과 제2 휴대폰(305)이 연결된 후, 비상무선통신 시스템(300) 내 각 구성의 동작은 도 2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내 원격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내 원격제어 장치(400)는 수신 음성 매칭부(401), 수신 음성 감지부(403), 수신 음성 증폭부(405), 수신릴레이 제어부(407), 제어부(409), 변환부(411), 송신릴레이 제어부(413), 송신 음성 증폭부(415) 및 송신 음성 매칭부(417)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음성 매칭부(401)는 원격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수신 음성을 두 개의 음성 신호로 분리하여, 수신 음성 감지부(403)와 수신 음성 증폭부(405)에 각각 전달할 수 있다.
수신 음성 감지부(403)는 수신 음성 매칭부(401)로부터 분리된 하나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CPU)(409)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9)는 수신 음성 감지부(403)로부터 음성 신호의 존재를 감지하면, 수신 모드에 대한 알림을 출력(예컨대, RX LED(Light Emitting Diode)를 깜박거림)할 수 있다.
수신 음성 증폭부(405)는 수신 음성 매칭부(401)로부터 분리된 다른 하나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수신 음성 증폭부(405)는 수신 음성이 수신되는 경우에만, 수신릴레이 제어부(407)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게 되므로, 스피커는 수신 음성이 수신될 때에만 해당 수신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수신 음성 증폭부(405)는 수신 음성이 수신될 경우에, 스피커의 출력을 허용하는 반면, 수신 음성이 수신되지 않을 때에는, 스피커의 출력을 제한 함에 따라, 수신 음성이 없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백색잡음 등의 신호(노이즈)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불필요한 소음에 노출되지 않게 한다.
수신릴레이 제어부(407)는 수신 음성이 감지될 경우에, 제어부(409)의 명령에 따라 동작하여, 수신 음성 증폭부(405)의 동작 유무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9)는 수신 음성 감지부(403)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 모드에 대한 알림을 출력(예컨대, RX LED를 깜박거림)하고, 수신릴레이 제어부(407)에 제어신호에 대한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9)는 마이크(MIC)의 PTT 스위치가 눌러지면, 송신 모드에 대한 알림을 출력(예컨대, TX LED를 깜박거림)하고, PTT 신호(예컨대, 2895Hz 펄스파)를 발진할 수 있다. 제어부(409)는 PTT 신호를 변환부(411)를 통해, 송신 음성 매칭부(417)로 전달할 수 있다.
변환부(411)는 제어부(409)로부터 수신한 PTT 신호를 변환(예컨대, 2895Hz 펄스파를 2895Hz 사인파로 변환, 신호 증폭)하여, 송신 음성 매칭부(417)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변환부(411)는 제어부(409)에서 펄스파의 PTT 신호(2895Hz 펄스파)가 생성되면, 저항과 콘덴서로 구성된 톤변환부를 통해, 사인파의 PTT 신호(2895Hz 사인파)로 변환하고, 변환된 PTT 신호를 증폭부를 통해,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송신릴레이 제어부(413)는 마이크(MIC)의 PTT 스위치가 눌러지는 경우, 제어부(409)의 명령에 따라 동작할 수 있으며, 변환부(411)를 제어할 수 있다.
송신 음성 증폭부(415)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송신 음성 매칭부(417)에 전달할 수 있다.
송신 음성 매칭부(417)는 변환부(411)에서 생성된 PTT 신호와 송신 음성 증폭부(415)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를 조합하여 송신 신호(PTT 신호+음성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송신 신호(송신 음성)를, 원격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로 송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내 전화용 원격제어 장치의 인터페이스 구성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내 전화용 원격제어 장치(500)는 일반 유선전화선로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송신/수신 절체 릴레이부(501), 임피던스 매칭부(503) 및 일반전화/원격제어장치 선택스위치(505)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수신 절체 릴레이부(501)는 송신 음성(송신부) 및 수신 음성(수신부)과 연결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전화선로가 수신 음성에 연결되도록 하고, 송신을 위하여 PTT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에만 송신 음성이 전화선로에 연결되도록 한다.
유선 전화기의 송화기와 수화기에, 전화용 원격제어 장치(500) 내 송신 음성과 수신 음성이 연결되면, 유선 전화기에서 음성송신 시, 송신 음성의 일부가 수화기로 되돌아오는 측음기능에 의해, 송신 음성 품질이 급격히 나빠지기 때문에 송신 및 수신 음성신호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송신 음성 및 수신 음성은 직접 전화선로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화선로는 1P(2 Wire)로 송신과 수신 음성을 동시에 전송할 수 없음에 따라, 송신/수신 절체릴레이부(501)는 송신 신호가 감지(PTT 신호가 있는 경우)된 경우에는 송신모드로 절체되고, 그 외에는 수신모드로 연결되도록 하여, 반이중 통신방식으로 음성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임피던스 매칭부(503)는 송신/수신 절체릴레이부(501)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에 대해, 통신선로와 임피던스 매칭을 하고, 필터를 이용한 노이즈 제거를 통해 음성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전화/원격제어장치 선택스위치(505)는 전화용 원격제어 장치(500)를 원격지에 위치하는 휴대폰과 통화망을 구성하기 위해, 유선 전화기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때 전화선로가 유선 전화기에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이 완료된 후에는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전화용 원격제어 장치(500)가 전화선로에 연결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내 휴대폰용 원격제어 장치의 인터페이스 구성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내 휴대폰용 원격제어 장치(600)는 연결부(도시하지 않음) 및 휴대폰 마이크 인터페이스부(60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는 휴대폰 수화기에서 수신되는 신호(원격지의 휴대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수신 음성(수신부)과 직접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는 송신 음성(원격지의 휴대폰으로 송신되는 음성 신호+PTT 신호)을 휴대폰 마이크 인터페이스(저항으로 구성)로 연결하여, 송신 음성의 신호가 저항에 의하여 감쇄된 후 휴대폰의 송화기(마이크)로 입력되도록 한다.
여기서, 휴대폰 마이크 인터페이스부(601)는 휴대폰에 마이크가 연결된 것과 동일하게 루프저항 값(예컨대, 1.2㏀)을 가짐으로써, 휴대폰용 원격제어 장치(600)가 휴대폰의 외부 연결잭(예컨대, 외부 마이크/이어폰 잭)에 삽입(또는, 연결)될 때, 휴대폰에서 상기 루프저항 값을 인지하여, 휴대폰용 원격제어 장치(600)의 연결을 감지할 수 있게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내 무전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내 무전기 장치(700)는 RCU 카드(701) 및 인터페이스부(703)를 포함할 수 있다.
RCU 카드(701)는 원격지에 위치하는 휴대폰으로부터, 원격제어 장치에서 송신한 송신 신호(PTT 신호+ 송신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송신 신호를 증폭한 후, 증폭된 송신 신호로부터 PTT 신호를 감지하여 PTT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RCU 카드(701)는 추출한 PTT 신호를 인터페이스부(703) 내 송수신절체 릴레이에 제공하여, 송수신절체 릴레이를 제어 함으로써, 무전기 장치(700) 내 송신부를 송신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RCU 카드(701)는 상기 감지된 PTT 신호가, PTT 신호 저지필터를 통과한 후 남게 되는 순수한 음성 신호를 인터페이스부(703) 내 송신기용 음성필터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기용 음성필터를 통과한 음성 신호는 무전기 장치(700) 내 송신부에 송신음성으로 입력되어, 출력 됨으로써, 원격지에 위치하는 무전기로 송출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03)는 무전기 장치(700) 내 수신부에서 수신된 음성 신호를 수신기용 음성필터에 통과시키고, 상기 수신기용 음성필터를 통과한 음성 신호를 휴대폰 마이크(MIC) 매칭부를 거쳐, 임피던스를 매칭시킨 후, 휴대폰의 송화기로 바로 전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무선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비상무선통신 방법은 원격제어 장치 및 무전기 장치를 포함하는 비상무선통신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801에서, 통신 단말의 외부 연결잭에 삽입되는, 상기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내 원격제어 장치는, 상기 통신 단말과, 원격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 간에 제1 비상 통신망을 구축할 수 있다.
단계 803에서, 상기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내 무전기 장치에서, 상기 이동 단말의 외부 연결잭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 단말과, 무전기 간에 제2 비상 통신망을 구축할 수 있다.
단계 805에서, 상기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내 무전기 장치에서, 상기 제1 비상 통신망 및 상기 제2 비상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과 상기 무전기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 장치는, 상기 통신 단말과 상기 이동 단말 간의 통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푸시투토크 명령이 입력되면, PTT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전기 장치는 상기 PTT 신호 및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무전기향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상기 제1 비상 통신망과 상기 제2 비상 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무전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전기 장치는 상기 송신 신호로부터 상기 PTT 신호를 필터링 함으로써, 상기 무전기향 음성 신호만을 추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비상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전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로 단말향 음성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단계 808에서, 상기 무전기 장치는, 상기 제1 비상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향 음성 신호를 상기 통신 단말(또는, 원격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향 음성 신호는 원격제어 장치에 전달될 수 있으며, 원격제어 장치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 장치는 상기 통신 단말과 상기 이동 단말 간의 통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푸시투토크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동안에는, 상기 원격제어 장치 내 수신부를 상기 제1 비상 통신망에 접속하고, 상기 푸시투토크 명령이 입력되는 동안에는, 상기 원격제어 장치 내 송신부를 상기 제1 비상 통신망에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전기가 상기 이동 단말을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무전기 장치는 상기 제2 비상 통신망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해 설정된 근거리 통신망을 구축하고, 상기 제1 비상 통신망 및 상기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 단말과 무전기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원격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예컨대, 유선 전화기, 휴대폰 등)과 원격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예컨대, 휴대폰) 간에 제1 비상 통신망을 구축하고, 무전기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과 무전기 간에 제2 비상 통신망을 구축하며, 제1, 2 비상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과 상기 무전기 사이를 연결시킴으로써, 통신 단말과 무전기 간의 통신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당한 이격 거리를 갖는 통신 단말과 무전기 간에, 통신을 위한 전용선 설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전용선 설치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단말(예컨대, 통신 단말, 이동 단말)과 연계하여, 기존 단말이 갖는 통신 인프라를 활용 함에 따라, 통신 단말과 원격지에 위치하는 무전기 간의 통신 확장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101 : 통신 단말
103 : 원격제어 장치 105 : 이동 단말
107 : 무전기 장치 109 : 무전기

Claims (12)

  1. 통신 단말과 이동 단말 간의 통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푸시투토크 명령(PTT: Push To Talk)이 입력되지 않는 동안에는, 상기 통신 단말과 상기 이동 단말 간에 구축되는 제1 비상 통신망에 접속하는 원격제어 장치; 및
    상기 이동 단말의 외부 연결잭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 단말과, 무전기 간에 제2 비상 통신망을 구축하고, 상기 제1 비상 통신망 및 상기 제2 비상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과 상기 무전기 사이를 연결하는 무전기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투토크 명령이 입력되는 동안에는,
    상기 원격제어 장치는,
    송신부를 상기 제1 비상 통신망에 접속하고, 상기 푸시투토크 명령이 입력 됨에 따라 발생하는 PTT 신호 및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무전기향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상기 제1 비상 통신망과 상기 제2 비상 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무전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비상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전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로 단말향 음성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무전기 장치는,
    상기 제1 비상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향 음성 신호를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통신 단말의 외부 연결잭에 삽입되는, 상기 원격제어 장치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상기 단말향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전기 장치는,
    상기 송신 신호로부터 상기 PTT 신호를 필터링하여, 상기 무전기향 음성 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전기가 상기 이동 단말을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무전기 장치는,
    상기 제2 비상 통신망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해 설정된 근거리 통신망을 구축하는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7. 원격제어 장치에서, 통신 단말과 이동 단말 간의 통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푸시투토크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동안에는, 상기 통신 단말과 상기 이동 단말 간에 구축되는 제1 비상 통신망에 접속하는 단계;
    무전기 장치에서, 상기 이동 단말의 외부 연결잭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 단말과, 무전기 간에 제2 비상 통신망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무전기 장치에서, 상기 제1 비상 통신망 및 상기 제2 비상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과 상기 무전기 사이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원격제어 장치에서, 상기 푸시투토크 명령이 입력되는 동안에는, 송신부를 상기 제1 비상 통신망에 접속하고, 상기 푸시투토크 명령이 입력 됨에 따라 발생하는 PTT 신호 및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무전기향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상기 제1 비상 통신망과 상기 제2 비상 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무전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비상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전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로 단말향 음성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제1 비상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향 음성 신호를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통신 단말의 외부 연결잭에 삽입되는, 상기 원격제어 장치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상기 단말향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상무선통신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전기 장치에서,
    상기 송신 신호로부터 상기 PTT 신호를 필터링하여, 상기 무전기향 음성 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비상무선통신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전기가 상기 이동 단말을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무전기 장치에서, 상기 제2 비상 통신망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해 설정된 근거리 통신망을 구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비상무선통신 방법.
KR1020150188641A 2015-12-29 2015-12-29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782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641A KR101782229B1 (ko) 2015-12-29 2015-12-29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641A KR101782229B1 (ko) 2015-12-29 2015-12-29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281A KR20170078281A (ko) 2017-07-07
KR101782229B1 true KR101782229B1 (ko) 2017-09-27

Family

ID=59353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641A KR101782229B1 (ko) 2015-12-29 2015-12-29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2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977B1 (ko) * 2021-12-22 2022-07-1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무전기, 비화 장비 및 인터컴 연동을 위한 비화 처리 장비 및 이를 활용한 연동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352B1 (ko) 2012-12-28 2014-04-30 주식회사 엔알피시스템 스마트폰과 도킹 장치를 결합한 무전기 장치
KR101415638B1 (ko) 2013-01-07 2014-07-04 주식회사 엔알피시스템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352B1 (ko) 2012-12-28 2014-04-30 주식회사 엔알피시스템 스마트폰과 도킹 장치를 결합한 무전기 장치
KR101415638B1 (ko) 2013-01-07 2014-07-04 주식회사 엔알피시스템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281A (ko) 201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342798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phone and a hearing aid
US20130237154A1 (en) Hearing Assistive System With Low Power Interface
CN101252377A (zh) 耳机设备和通信终端使用其实现语音对讲业务的方法
JP573928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CN102448149B (zh) 通过广播信道进行双工无线音频链接的系统和方法
US11128746B2 (en) Smart phone and Bluetooth earset having digital two-way radio function
KR101782229B1 (ko) 비상무선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7725075B2 (en) Control element for simplex HF to VHF/UHF cross-band system with transmission breakthrough
KR101415638B1 (ko)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980083B2 (en) Management of a combined smart-mic and radio system
JP2016139952A (ja) ハイブリッド端末
JP2005538653A (ja) 加入者回線用コードレス型無線電話
KR100858016B1 (ko) 생활무전기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방송하는 무선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
US9042861B2 (en) Emergency wireless connection system and emergency wireless connection method
KR100870640B1 (ko) 생활무전기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방송하는 무선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3165493A (ja) 携帯電話と補聴器との間で近接場通信(nfc)を確立する方法,nfc利用可能補聴器およびnfc利用可能携帯電話
JP2005303436A (ja) ハンズフリーシステム、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ハンズフリー制御方法
JP3930721B2 (ja) 無線中継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423092Y1 (ko) 티알에스 알에프 모뎀이 내장된 투웨이 무선 단말기
PT1558013E (pt) Processo e terminais comunicantes para a emissão e recepção à distância de sinais de telefonia audio e/ou video
JP6319377B2 (ja) 通信システム
AU2007203522B2 (en) Control element for simplex HF to VHF/UHF cross-band system with transmission breakthrough
KR20160042338A (ko)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무전기 키트로 구성되는 무전기 장치
JP2023036388A (ja) 無線中継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70123937A (ko) 착신정보 중계 시스템 및 중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