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1434A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1434A
KR20100091434A KR1020090010620A KR20090010620A KR20100091434A KR 20100091434 A KR20100091434 A KR 20100091434A KR 1020090010620 A KR1020090010620 A KR 1020090010620A KR 20090010620 A KR20090010620 A KR 20090010620A KR 20100091434 A KR20100091434 A KR 20100091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sture
gestures
image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digit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호
김혜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0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1434A/ko
Priority to US12/492,447 priority patent/US20100201616A1/en
Publication of KR20100091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4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92Other manual input means, e.g. digitisers or writing tabl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있어서, 불연속적인 복수의 제스쳐들이 감지될 때, 상기 제스쳐들 사이의 시간 간격이 기준치보다 작으면 상기 인가된 제스쳐들을 하나의 제스쳐로 인식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실행시키려는 특정 기능이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사용자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체에 구비된 버튼들을 조작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에서 촬영한 사진이 마음에 들지 않아서 삭제하고 싶을 때, 사용자는 먼저 삭제 버튼을 누르고 다시 최종적으로 삭제 여부를 확인하는 창에서 다시 버튼을 눌러서 삭제 기능을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처럼 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하여는 버튼을 여러번 눌러야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간편하게 실행시킬 수 있는 수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실행시키려는 특정 기능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있어서, 불연속적인 복수의 제스쳐들이 감지될 때, 상기 제스쳐들 사이의 시간 간격이 기준치보다 작으면 상기 인가된 제스쳐들을 하나의 제스쳐로 인식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외부로부터의 터치를 상기 사용자의 제스쳐로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감지부는 상기 외부로부터의 터치를 입력받는 터치 패널 및 상기 터치 패널에 입력된 터치 동작을 인식하는 터치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움직임을 상기 사용자의 제스쳐로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감지부는 가속도 센서 및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분석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움직임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한 복수의 제스쳐들 사이의 시간 간격을 판단하는 시간 판단부, 상기 시간 판단부에서 판단한 시간 간격을 기준치와 비교하는 시간 비교부, 및 상기 시간이 간격이 기준치보다 작을 때에 상기 복수의 제스쳐들을 하나의 제스쳐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하나의 제스쳐에 해당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제스쳐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인식한 하나의 제스쳐에 해당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주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하는 단계, (b) 불연속적인 복수의 제스쳐들이 감지될 때, 상기 제스쳐들 사이의 시간 간격이 기준치보다 작으면 상기 인가된 제스쳐들을 하나의 제스쳐로 인식하는 단계, 및 (c) 상기 인식한 하나의 제스쳐에 해당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a) 단계는 외부로부터의 터치를 상기 사용자의 제스쳐로서 인식하 것일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a) 단계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움직임을 상기 사용자의 제스쳐로서 인식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b) 단계는 (b1) 복수의 제스쳐들이 감지될 때, 상기 감지한 제스쳐들 사이의 시간 간격을 판단하는 단계, (b2) 상기 판단한 시간 간격을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b3) 상기 시간 간격이 기준치보다 작을 때에 상기 복수의 제스쳐들을 하나의 제스쳐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하나의 제스쳐에 해당하는 특정 기능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실행시키려는 특정 기능을 버튼 조작의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는 촬영부, 디지털 신호 처리부(50), 메모리(60), 저장/판독 제어부(70), 저장매체(71), 디스플레이 제어부(80), 디스플레이부(81), 조작부(90) 및 주 제어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의 전체 동작은 주 제어기(100)에 의해 통괄된다. 그리고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90)가 구비된다. 이 조작부(9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는 상기 주 제어기(100)에 전달되어, 상기 주 제어기(100)가 전기적 신호에 따라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촬영부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가 촬영 모드일 때, 피사체의 영상을 촬상한다. 상기 촬영부는 렌즈(10), 렌즈 구동부(11), 조리개(20), 조리개 구동부(21), 촬상소자(30), 촬상소자 제어부(31), A/D 변환부(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10)는 피사체의 영상과을 통과시켜, 촬상소자(30)로 영상광을 결상시키기 위한 부분이며, 렌즈 구동부(11)는 주 제어기(1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렌즈(10)의 위치를 조절하여 초점 등을 조절한다.
조리개(20)는 상기 조리개 구동부(21)의 제어에 의하여 개방 정도를 조절하며, 그로 인하여 상기 렌즈(10)로부터 상기 촬상소자(30)에 인가되는 빛의 양을 조절한다.
촬상소자(30)는 상기 렌즈(10) 및 조리개(20)를 통과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촬상소자로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나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촬상소자 제어부(31)는 상기 주 제어기(100)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촬상소자(30)의 감도 등을 조절한다.
A/D 변환부(40)는 상기 촬상소자(10)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 호로 변환한다.
상기 촬상소자(30)로부터의 데이터는 메모리(60)를 거쳐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고, 메모리(60)를 거치지 않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주 제어기(100)에도 입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60)는 ROM 또는 RAM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필요에 따라 감마(gamma) 보정, 화이트 밸런스 변경,노이즈 제거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제어부(51), 시간 판단부(52), 시간 비교부(53), 제스쳐 인식부(54) 등과 같은 구성요소를 구비할 수도 있다. 물론 이들 구성요소들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50) 내의 구성요소가 아닌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가 제어부(51), 시간 판단부(52), 시간 비교부(53), 제스쳐 인식부(54)를 구비하면 족하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저장/판독 제어부(70)에 입력되는데, 이 저장/판독 제어부(70)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71)에 저장한다. 물론 저장/판독 제어부(70)는 저장매체(71)에 저장된 영상 파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60)를 통해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부(80)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매체(71)는 착탈가능한 것일 수도 있고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 영구 장착된 것일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디스플레이 제어부(80)에 전달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81)는 디스플레이부(8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80)는 터치 패널(82) 및 터치 인식부(8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8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감지부로서 동작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로부터의 터치 동작을 사용자의 제스쳐로 인식한다. 상기 터치 패널(82)은 외부로부터의 터치를 입력받으며, 상기 터치 인식부(83)는 상기 터치 패널(82)에 입력된 터치 동작을 인식한다.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펜 등을 상기 터치 패널(82)의 표면에 접촉시키면, 상기 터치 인식부(83)에서 상기 접촉된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펜 등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로부터 어떠한 제스쳐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의 기능을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상기 터치 패널(82) 및 터치 인식부(83)를 포함하는 감지부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제스쳐를 사용하여 감지되는 복수의 제스쳐들이 하나의 입력 신호를 위한 제스쳐인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제어부(51), 시간 판단부(52), 시간 비교부(53) 및 제스쳐 인식부(54)를 포함한다.
제어부(51)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의 각 부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시간 판단부(52)는 상기 터치 인식부(83)에서 사용자로부터의 복수의 제스쳐들을 감지하였을 때, 상기 감지한 복수의 제스쳐들 사이의 시간 간격을 판단한다. 예를 들면, 첫 번째 터치가 종료한 시점과 두 번째 터치가 시작된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을 판단한다. 이러한 시간 간격의 판단을 위하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의 내부에 타이머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주 제어기 등에서 신호 동기를 위하여 사용되는 시스템 클럭 등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시간 비교부(53)는 상기 시간 판단부(52)에서 판단한 복수의 제스쳐들 사이의 시간 간격을 기준치와 비교한다. 상기 기준치는 복수의 제스쳐들을 하나의 입력 신호를 위한 연속적인 동작으로 보기위한 조건이다. 즉, 예를 들어 상기 기준치가 0.5 초이고 상기 시간 판단부(52)에서 판단한 시간 간격이 0.3초이면, 감지된 복수의 제스쳐들은 하나의 제스쳐로서 인식된다. 반면에 상기 시간 판단부(52)에서 판단한 시간 간격이 1초이면, 감지된 복수의 제스쳐들은 각각이 하나의 입력 신호를 위한 제스쳐로 판단될 것이다.
제스쳐 인식부(54)는 상기 시간 비교부(53)에서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감지부에서 감지한 제스쳐들에 해당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한 제스쳐들에 해당하는 신호란, 예를 들어, 감지한 제스쳐가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고자 하는 동작이었을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스쳐가 이미지 파일의 삭제를 위한 동작임을 알리는 신호를 말한다.
상기 제스쳐 인식부(54)는 상기 시간 비교부(53)에서의 비교 결과, 복수의 제스쳐들 사이의 시간 간격이 기준치보다 작을 때에는 상기 복수의 제스쳐들을 조합한 것을 하나의 제스쳐로 인식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터치 패널(82)에 사용자가 펜(91)을 좌측 상단으로부터 우측 하단으로 긋고, 기준 시간 이내에 다시 펜(91)을 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으로 그으면, 상기 제스쳐 인식부(54)는 상기 일련의 제스쳐들을 하나의 제스쳐로 인식한다. 예를 들면, 상기 도 3(a) 및 도 3(b)에서 설명한 사용자의 제스쳐들은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는 제스쳐로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스쳐 인식부(54)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스쳐가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스쳐라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신호는 주 제어기(100)로 인가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스쳐 인식부(54)는 감지부에서 감지한 복수의 제스쳐들이 하나의 제스쳐라고 판단된 경우,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제스쳐들을 하나의 제스쳐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한 가지 방법으로, 입력된 복수의 제스쳐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제스쳐들을 하나의 제스쳐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82) 및 터치 인식부(83)를 포함하는 감지부의 경우, 입력되는 복수의 제스쳐들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복수의 제스쳐들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사용하여 하나의 제스쳐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도 3(a) 및 도 3(b)에서 설명한 제스쳐의 경우, 첫 번째 제스쳐와 두 번째 제스쳐 사이에는 교점이 존재한다. 이처럼 교점이 발생한 것을 인식하여 x 형태로 제스쳐 가 인가된 것으로 인식하고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다른 방법으로, 상대적인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각각의 제스쳐의 움직임만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111) 및 움직임 인식부(112)를 포함하는 감지부의 경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도 5(a) 및 도 5(b)와 같이 흔들어도 교점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기 어렵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가 흔들리는 방향만을 고려하여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 인가되는 복수의 제스쳐들의 조합 뿐만 아니라 상기 제스쳐들이 인가되는 순서 또한 고려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좌측으로 이동하는(펜 터치 또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자체) 제스쳐 이후 우측으로 이동하는 제스쳐가 인가되는 경우와 반대로 우측으로 이동하는 제스쳐 이후 좌측으로 이동하는 제스쳐가 인가되는 경우를 서로 다른 제스쳐로 인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복수의 제스쳐들을 하나의 제스쳐로 인식하는 방법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다양한 제스쳐들이 어떠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스쳐인지를 메모리(60) 또는 저장매체(71)에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주 제어기(100)는 상기 제스쳐 인식부(54)에서 생성된 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기능을 실행시키는 부분으로 인가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는 제스쳐를 인가한 경우, 주 제어기(100)는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나 저장/판독 제어부(70) 등에 인가하여 저장매체(71)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이 삭제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는 터치 패널을 이용한 사용자로부터의 복수의 제스쳐를 하나의 입력 신호로서 인식하여 특정 기능을 간편하게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는 촬영부, 디지털 신호 처리부(50), 메모리(60), 저장/판독 제어부(70), 저장매체(71), 디스플레이 제어부(80), 디스플레이부(81), 조작부(90) 및 주 제어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감지부(110)를 별도의 구성으로서 더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는 도 1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감지부는 가속도 센서(111) 및 움직임 인식부(11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 자체의 움직임을 사용자의 제스쳐로 인식한다. 따라서 상기 가속도 센서(111) 및 움직임 인식부(112)는 도 1에서의 터치 패널(82) 및 터치 인식부(83)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가속도 센서(111)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사용자에 의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가 물리적으로 흔들리면, 상기 흔들림을 상기 가속도 센서(111)가 감지하고, 상기 흔들림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한다.
움직임 인식부(112)는 상기 가속도 센서(111)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의 움직임을 인식한다. 움직임 인식부(112)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가 우측으로 움직였는지 좌측으로 움직였는지, 또는 위로 움직였는지 아래로 움직였는지 등을 판단하게 되며, 상기 판단한 결과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여 주 제어기(100)로 인가한다. 도 4에서는 상기 움직임 인식부(112)가 생성한 신호를 주 제어기(100)로 인가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직접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 인가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가속도 센서(111) 및 움직임 감지부(112)의 동작에 대하여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를 좌측 상단으로부터 우측 하단으로 흔들고, 다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를 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으로 흔든다. 가속도 센서(111)는 상기 복수의 제스쳐들을 감지하여 각각에 대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움직임 인식부(112)에 인가한다. 상기 움직임 인식부(112)는 상기 인가된 전기적 신호들을 분석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가 어떻게 움직였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에 해당하는 신호는 시간 판단부(51) 및 시간 비교부(52)를 통하여 복수의 제스쳐가 하나의 입력 신호를 위한 제스쳐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복수의 제스쳐들이 기준 시간 이내에 인가된 경우, 제스쳐 인식부(54)는 상기 일련의 제스쳐들을 하나의 제스쳐로 인식한다. 예를 들면, 상기 도 5(a) 및 도 5(b)에서 설명한 사용자의 제스쳐들은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는 제스쳐로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스쳐 인식부(54)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스쳐가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스쳐라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신호는 주 제어기(100)로 인가될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상기 움직임 인식부(112)로부터 직접 또는 주 제어기(100)를 통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를 인가받게 되며, 상기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제스쳐를 분석한다. 상기 제스쳐의 분석은 도 2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로부터의 복수의 제스쳐를 하나의 입력 신호로서 인식하여 특정 기능을 간편하게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임의의 제스쳐를 취하면 감지부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한다(610).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제스쳐가 2번 이상 감지되는지 판단하고(620), 제스쳐가 1번만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제스쳐에 해당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한다(671).
한편,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제스쳐가 2번 이상 감지된 경우, 상기 복수의 제스쳐들에 대하여 감지된 제스쳐들 사이의 시간 간격을 판단한다(630). 상기 시간 간격은 먼저 감지된 제스쳐가 종료된 시점부터 다음으로 감지된 제스쳐가 시작된 시점일 수 있다. 상기 판단한 시간 간격은 기준치와 비교된다(640, 650).
상기 비교결과 시간 간격이 기준치보다 작지 않은 경우에는 복수의 제스쳐가 각각이 별도의 입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감지된 각각의 제스쳐에 해당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신호들을 각각 생성한다(671). 그러나 상기 시간 간격이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복수의 제스쳐들을 하나의 제스쳐로 인식한다(660). 예를 들어, 재생 모드에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좌측으로 흔드는 제스쳐는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이미지 파일을 다음 이미지 파일로 변경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두번 흔들고 상기 각각의 흔드는 제스쳐가 기준치보다 큰 시간 간격을 가지고 이루어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이미지 파일을 다음 파일로 바꾸는 동작을 두번 실행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두 번의 흔드는 제스쳐가 기준치보다 작은 시간 간격을 가지고 이루어진 경우에는 슬라이드 쇼를 실행시키거나 재생되는 폴더를 변경하는 등 전혀 다른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스쳐들을 하나의 제스쳐로 인식하는 경우에는 상기 인식한 하나의 제스쳐에 해당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한다(670). 즉, 제스쳐의 조합에 의하여 실행하고자 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 신호는 주 제어기 등에 인가되어 제스쳐 각각에 대하여 또는 제스쳐들의 조합에 의하여 발생한 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며(680),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각각의 기능이 실행된다(69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실행시키려는 특정 기능을 버튼 조작의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언급된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 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라 함은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메모리(60) 또는 저장매체(71)일 수도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컨대,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물론 예컨대 도 1 또는 도 4에서의 주 제어기(100)일 수도 있고 그 일부일 수도 있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제스쳐를 인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제스쳐를 인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13)

  1.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있어서,
    불연속적인 복수의 제스쳐들이 감지될 때, 상기 제스쳐들 사이의 시간 간격이 기준치보다 작으면 상기 인가된 제스쳐들을 하나의 제스쳐로 인식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터치를 상기 사용자의 제스쳐로서 인식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외부로부터의 터치를 입력받는 터치 패널; 및
    상기 터치 패널에 입력된 터치 동작을 인식하는 터치 인식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움직임을 상기 사용자의 제스쳐로서 인식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가속도 센서; 및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분석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움직임 인식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한 복수의 제스쳐들 사이의 시간 간격을 판단하는 시간 판단부;
    상기 시간 판단부에서 판단한 시간 간격을 기준치와 비교하는 시간 비교부; 및
    상기 시간이 간격이 기준치보다 작을 때에 상기 복수의 제스쳐들을 하나의 제스쳐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하나의 제스쳐에 해당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제스쳐 인식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인식한 하나의 제스쳐에 해당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주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9.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하는 단계;
    (b) 불연속적인 복수의 제스쳐들이 감지될 때, 상기 제스쳐들 사이의 시간 간격이 기준치보다 작으면 상기 인가된 제스쳐들을 하나의 제스쳐로 인식하는 단계; 및
    (c) 상기 인식한 하나의 제스쳐에 해당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외부로부터의 터치를 상기 사용자의 제스쳐로서 인식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움직임을 상기 사용자의 제스쳐로서 인식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복수의 제스쳐들이 감지될 때, 상기 감지한 제스쳐들 사이의 시간 간격을 판단하는 단계;
    (b2) 상기 판단한 시간 간격을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b3) 상기 시간 간격이 기준치보다 작을 때에 상기 복수의 제스쳐들을 하나의 제스쳐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하나의 제스쳐에 해당하는 특정 기능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20090010620A 2009-02-10 2009-02-10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9143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620A KR20100091434A (ko) 2009-02-10 2009-02-10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2/492,447 US20100201616A1 (en) 2009-02-10 2009-06-26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620A KR20100091434A (ko) 2009-02-10 2009-02-10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434A true KR20100091434A (ko) 2010-08-19

Family

ID=42540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620A KR20100091434A (ko) 2009-02-10 2009-02-10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201616A1 (ko)
KR (1) KR2010009143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942A (ko) * 2015-01-20 2016-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의 터치 인식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190142290A (ko) * 2019-12-12 2019-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상기 카메라 장치
US11119577B2 (en) 2013-02-01 202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camera apparatus and a camera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5009738D1 (de) * 2004-12-07 2008-10-23 Applied Nanosystems Bv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sekretion modifizierter peptide
US7636645B1 (en) 2007-06-18 2009-12-22 Ailive Inc. Self-contained inertial navigation system for interactive control using movable controllers
US9405372B2 (en) * 2006-07-14 2016-08-02 Ailive, Inc. Self-contained inertial navigation system for interactive control using movable controllers
US7702608B1 (en) 2006-07-14 2010-04-20 Ailive, Inc. Generating motion recognizers for arbitrary motions for video games and tuning the motion recognizers to the end user
US7636697B1 (en) 2007-01-29 2009-12-22 Ailive Inc. Method and system for rapid evaluation of logical expressions
US20090221368A1 (en) * 2007-11-28 2009-09-03 Ailive Inc.,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shared game space for a networked game
US8655622B2 (en) * 2008-07-05 2014-02-18 Ailiv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preting orientation invariant motion
JP5401962B2 (ja) * 2008-12-15 2014-01-29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489572B2 (ja) * 2009-07-29 2014-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加速度検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381945B2 (ja) 2010-09-21 2014-01-08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式操作装置、タッチパネルの操作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20040970A (ko) * 2010-10-20 2012-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에서 제스쳐를 인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TWI517992B (zh) * 2012-11-13 2016-01-21 義晶科技股份有限公司 車用影像系統及其影像之顯示控制方法
US9063575B2 (en) * 2012-12-20 2015-06-23 Synaptics Incorporated Detecting a gesture
WO2015039325A1 (zh) * 2013-09-21 2015-03-26 宫鹤 一种手势识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0411A (en) * 1992-06-08 1999-03-09 Synaptics, Incorporated Object position detector with edge motion feature and gesture recognition
US6573883B1 (en) * 1998-06-24 2003-06-03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omputing device with gestures
US7411575B2 (en) * 2003-09-16 2008-08-12 Smart Technologies Ulc Gesture recognition method and touch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US7884805B2 (en) * 2007-04-17 2011-02-0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Using touches to transfer information between devic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9577B2 (en) 2013-02-01 202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camera apparatus and a camera apparatus
KR20160089942A (ko) * 2015-01-20 2016-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의 터치 인식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190142290A (ko) * 2019-12-12 2019-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상기 카메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01616A1 (en)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1434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14168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585488B1 (ko) 촬상 장치 및 그 촬상 방법, 컴퓨터에 의해 처리 가능한 추종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억 매체
JP557323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法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077831A1 (en) Motion recognition apparatus, motion recognition method, operation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program
US20110035665A1 (en) Digital imaging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execute the method
WO2012011263A1 (ja) ジェスチャ入力装置およびジェスチャ入力方法
US20150146079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image thereof
US9535604B2 (en) Display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nd recording medium
KR101514170B1 (ko) 입력 장치, 입력 방법 및 기록 매체
US1029184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camera function and producing guide display to capture character recognizable image,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CN103024265A (zh) 摄像装置和摄像装置的摄像方法
RU268397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давления
KR20100101375A (ko)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및 피사체 움직임 판단방법
JP2012113666A (ja) 表示サイズ切換タッチパネル
US8866934B2 (en) Image pickup apparatus capable of deleting video effect superimposed on moving image,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and moving image-recording apparatus, as well as storage medium
US964175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sets moving image area, image pickup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1417808B1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294212B1 (ko) 로봇에서 입력 장치 기능을 위한 움직임 검출 시스템 및 그방법
JP6315443B2 (ja) 入力装置、マルチタッチ操作の入力検出方法及び入力検出プログラム
US10212382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2018006961A (ja) 画像処理装置、動画像選択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85876B2 (ja) ジェスチャー認識装置におけるスイッチ押下判定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11762504B2 (en) Automatic control of image capture device display operation underwater
JP5879730B2 (ja) 遠隔操作装置、遠隔操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