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9655A - 빌딩설비 시스템 - Google Patents

빌딩설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9655A
KR20100089655A KR1020090008996A KR20090008996A KR20100089655A KR 20100089655 A KR20100089655 A KR 20100089655A KR 1020090008996 A KR1020090008996 A KR 1020090008996A KR 20090008996 A KR20090008996 A KR 20090008996A KR 20100089655 A KR20100089655 A KR 20100089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building equipment
control
control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1811B1 (ko
Inventor
차병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8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811B1/ko
Priority to US12/699,424 priority patent/US20100256787A1/en
Priority to EP10001110.5A priority patent/EP2237484B1/en
Publication of KR20100089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 빌딩설비 시스템은 빌딩설비 접속시, 빌딩설비에 대한 관제점 설정 및 등록이 용이하도록, 본 발명은 빌딩설비의 관제점 정보를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유닛, 상기 게이트웨이 유닛과 상기 빌딩설비를 제어하며, 상기 빌딩설비에 대한 관제점 기본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빌딩설비의 제어 화면을 구현하는 중앙제어유닛; 및 상기 관제점 정보 및 상기 관제점 기본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어 화면이 구현되도록 상기 빌딩설비에 대한 관제점 설정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제어유닛으로 전달하는 관제점 설정유닛을 포함하는 빌딩설비 시스템을 제공한다.
빌딩설비, 관제점 설정유닛, 관제점

Description

빌딩설비 시스템{Building equipment system}
본 발명은 빌딩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빌딩설비 접속시, 빌딩설비에 대한 관제점 설정 및 등록이 용이한 빌딩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설비 시스템은 빌딩 내의 사무실 및 룸(room)으로 이루어져, 조명 장치, 난방 장치 및 냉방 장치 등과 같은 복수 개의 설비들이 설치되고 있다.
여기서, 빌딩설비 시스템은 복수 개의 설비들을 중앙제어유닛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관리 제어가 가능하다.
그리고, 중앙제어유닛은 복수 개의 설비 접속시, 각각의 설비에 대한 관제점 등록 및 설정을 한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멀티형 공기조화기에 대한 실내기 및 실외기에 대한 관제점 등록 및 설정을 하는 경우, 엔지니어가 중앙제어유닛에 접속되는 실내기 및 실외기 각각에 대한 관제점 정보를 일일이 설정 및 등록해야 한다.
따라서, 중앙제어유닛은 엔지니어로부터 각각의 관제점 정보를 입력받아 실내기 및 실외기를 설정 및 등록한다.
이와같이, 빌딩설비 시스템은 엔지니어가 복수 개의 설비에 대한 각각의 관제점 정보를 일일이 입력함과 동시에 중앙제어유닛으로 설정 및 등록함으로써, 작업시간이 증가하고, 효율이 낮아지게된다.
따라서, 빌딩설비 시스템은 엔지니어에 의해 관제점 정보 입력 및 설정을 간소화시키는 연구가 진행중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빌딩설비 접속시, 빌딩설비에 대한 관제점 설정 및 등록이 용이한 빌딩설비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빌딩설비 시스템은, 빌딩설비의 관제점 정보를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유닛, 상기 게이트웨이 유닛과 상기 빌딩설비를 제어하며, 상기 빌딩설비에 대한 관제점 기본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빌딩설비의 제어 화면을 구현하는 중앙제어유닛 및 상기 관제점 정보 및 상기 관제점 기본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어 화면이 구현되도록 상기 빌딩설비에 대한 관제점 설정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제어유닛으로 전달하는 관제점 설정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빌딩설비 시스템은 접속되는 빌딩설비의 관제점 정보를 제공하는게이트웨이 유닛과 빌딩설비에 대한 관제점 기본정보를 제공받아, 엔지니어가 관제점 설정유닛에서 빌딩설비의 관제점 설정정보를 입력하여 중앙제어유닛에 빌딩설비를 설정 및 등록하도록 함으로써, 관제점 설정 작업의 시간을 줄일수 있으며, 제어 화면의 편집 과저에서 빌딩설비의 설비이미지를 자동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설치 업무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빌딩설비 시스템에 관하여 상 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빌딩설비 시스템을 나타내는 시스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빌딩설비 시스템은 빌딩설비(1), 빌딩설비(1)와 접속되는 게이트웨이 유닛(10), 빌딩설비(1)를 중앙제어하는 중앙제어유닛(20) 및 게이트웨이 유닛(10)과 중앙제어유닛(20) 사이에 접속되는 관제점 설정유닛(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빌딩설비(1)는 빌딩 내에 구성되는 실내기, 실외기, 조명장치, 복수 개의 센서 등이며, 이에 한정을 두지않는다.
게이트웨이 유닛(10)은 빌딩설비(1)와 하드웨어 결선을 통하여 접속되며, DDC(Direct Digital Controller) 및 PLC(Progammable Logic Controller) 등이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PLC(Progammable Logic Controller)는 제어점접의 연결로 빌딩설비(1)를 제어하는 형태이며, 상기 DDC(Direct Digital Controller)는 상기 PLC처럼 Open Protocol이 아니라 대부분 RS 485 기반, 이더넷 기반으로 연결된 빌딩설비(1)를 제어하는 형태이다.
게이트웨이 유닛(10)은 접속되는 빌딩설비(1)의 관제점 정보를 관제점 설정유닛(30)으로 제공한다.
중앙제어유닛(20)는 게이트웨이 유닛(10)에 접속되는 빌딩설비(1) 및 기타 빌딩설비에 대한 관제점 기본정보를 저장하며, 관제점 설정유닛(30)으로 관제점 기 본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중앙제어유닛(20)은 사용자에게 빌딩설비(1)의 제어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빌딩설비(1)를 제어한다.
관제점 설정유닛(30)은 빌딩설비(1)가 게이트웨이 유닛(10)에 접속되는 경우, 게이트웨이 유닛(10)과 중앙제어유닛(20)에 접속되어 상기 관제점 정보 및 상기 관제점 기본정보를 제공받는다.
이때, 관제점 설정유닛(30)은 상기 관제점 정보 및 상기 관제점 기본정보를 기초로, 중앙제어유닛(20)에 빌딩설비(1)의 제어 화면이 구현되도록 관제점 설정정보를 생성하여 중앙제어유닛(20)으로 전달한다.
즉, 관제점 설정유닛(30)은 상기 관제점 정보와 상기 관제점 기본정보에서 상기 관제점 정보에 맵핑되는 관제점 기본정보를 통하여 상기 관제점 설정정보 즉, 빌딩유닛(1)에 대응하는 객체 정보를 자동생성하여 중앙제어유닛(20)으로 전달한다.
이때, 관제점 설정유닛(30)은 엔지니어에 의해 빌딩유닛(1)의 관제점 설정정보를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빌딩설비 시스템은 빌딩설비(1), 게이트웨이 유닛(10), 중앙제어유닛(20) 및 관제점 설비유닛(30) 간에는 RS 485 통신 및 기타 프로토콜 통신이 가능할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빌딩설비 시스템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빌딩설비 시스템은 빌딩설비(1)의 관제점 정보를 제공 하는 게이트웨이 유닛(10), 게이트웨이 유닛(10)과 빌딩설비(1)를 제어하며, 빌딩설비(1)에 대한 관제점 기본정보를 저장하며 빌딩설비(1)의 제어 화면을 구현하는 중앙제어유닛(20) 및 상기 관제점 정보 및 상기 관제점 기본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어 화면이 구현되도록 빌딩설비(10)에 대한 관제점 설정정보를 생성하여 중앙제어유닛(20)으로 전달하는 관제점 설정유닛(30)을 포함한다.
빌딩설비(1)는 난방설비(2), 냉방설비(3), 조명설비(4), 난방장치(5), 냉방장치(6), 조명장치(7) 및 복수 개의 센서(8)를 포함한다.
게이트웨이 유닛(10)는 제1, 2 DDC(12, 14) 및 제1, 2 PLC(16, 18)를 포함한다.
즉, 제1 DDC(12)는 난방설비(2) 및 난방 장치(5)가 접속되고, 제2 DDC(14)는 냉방설비(3) 및 냉방장치(6)이 접속되고, 제1 PLC(16)는 조명설비(4) 및 조명장치(7)가 접속되고, 제2 PLC(18)는 복수 개이 센서(8)가 접속된다.
여기서, 제1 DDC(12)는 관제점 설정유닛(30)으로 난방설비(2) 및 난방 장치(5) 각각에 대한 제1, 2 관제점 정보를 제공하고, 제2 DDC(14)는 냉방설비(3) 및 냉방장치(6) 각각에 대한 제3, 4 관제점 정보를 제공하고, 제1 PLC(16)는 조명설비(4) 및 조명장치(7) 각각에 대한 제5, 6 관제점 정보를 제공하고, 제2 PLC(18)는 복수 개이 센서(8) 각각에 대한 복수 개의 관제점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관제점 정보는 빌딩설비(1)의 속성정보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관제점 정보에는 난방설비(2)의 설비명, 특성, 관제점, 게이트웨이 유닛 정보, 용도 등과 같은 정보가 상기 속성정보를 포함한다.
중앙제어유닛(20)은 게이트웨이 유닛(10)과 빌딩설비(1)의 동작에 대한 동작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22), 빌딩설비(1)에 대한 상기 관제점 기본정보가 저장된 저장부(24), 빌딩설비(1)에 대한 제어 화면을 구현하는 표시부(26) 및 상기 동작명령에 따라 빌딩설비(1)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화면을 구현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부(28)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관제점 기본정보는 빌딩설비(1)의 설비타입정보가 포함되며, 즉 빌딩설비(1)의 용도별 특성정보이다.
즉, 컨트롤부(28)는 관제점 설정유닛(30)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관제점 설정정보에 따라 빌딩설비(1)에 대응하는 객체가 생성된 상기 제어 화면을 구현하도록 한다.
또한, 컨트롤부(28)는 상기 관제점 설정정보를 등록 및 설정함으로써, 상기 객체에 상기 관제점 설정정보가 포함되도록 한다.
따라서, 컨트롤부(28)는 입력부(22)에서 상기 객체에 대한 동작명령 입력시, 빌딩설비(1)를 제어하게된다.
관제점 설정유닛(30)은 상기 관제점 정보 및 상기 관제점 기본정보를 맵핑하는 맵핑부(32) 및 상기 맵핑 결과에 따라 상기 관제점 설정정보를 자동생성는 제어부(34)를 포함한다.
여기서, 맵핑부(32)는 제1 DDC(12)에서 상기 제1, 2 관제점 정보, 제2 DDC(14)에서 상기 제3, 4 관제점 정보, 제1 PLC(16)에서 상기 제5, 6 관제점 정보 및 제2 PLC(18)에서 상기 복수 개의 관제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아 상기 관제점 기본정보와 맵핑되는 관제점 기본정보를 선택한다.
즉, 맵핑부(32)는 상기 제1 내지 제6 관제점 정보 및 상기 복수 개의 관제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빌딩설비(1)의 속성정보와 상기 관제점 기본정보에 포함된 설비타입정보를 통하여 맵핑을 실행한다.
그리고, 제어부(34)는 상기 맵핑 결과에 따라 상기 관제점 설정정보를 자동생성할수 있으며, 또는 엔지니어가 수동으로 상기 관제점 설정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제점 설정정보는 빌딩설비(1)에 대응하는 객체 정보이다.
즉, 상기 객체 정보는 중앙제어유닛(20)에서 빌딩설비(1) 각각에 대한 도형과 같은 특징적인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화면을 구성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34)는 중앙제어유닛(20)의 상기 제어 화면 구성시, 빌딩설비(1)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 및 상기 제어 화면이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빌딩설비(1)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를 중앙제어유닛(20)에서 자동적으로 설정 및 생성하게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빌딩설비 시스템은 접속되는 빌딩설비에 대한 관제점 정보를 게이트웨이 유닛에서 제공받고, 중앙제어유닛에 저장된 관제점 기본정보를 제공받아, 관제점 설정유닛에서 관제점 설정정보를 생성하여 중앙제어유닛으로 전달함으로써, 빌딩설비에 대응하는 객체 생성 및 설정이 자동 실행하도록 하고 제어 화면을 구성하기 용이함으로써,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 는 이점이 있다.
도 3는 도 2에 나타낸 빌딩설비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빌딩설비 시스템은 빌딩설비(1)가 게이트웨이 유닛(10)에 접속되고(S100), 게이트웨이 유닛(10)으로부터 접속된 빌딩설비(1)의 관제점 정보와 중앙제어유닛(20)으로부터 관제점 기본정보를 전달받는다(S102).
즉, 관제점 설정유닛(30)은 게이트웨이 유닛(10)에 빌딩설비(1)가 접속되는 경우, 게이트웨이 유닛(10)으로부터 빌딩설비(1)의 관제점 정보와 중앙제어유닛(20)으로부터 관제점 기본정보를 전달받는다.
상기 관제점 정보와 상기 관제점 기본정보를 맵핑시키고, 관제점 설정정보를 자동생성한다(S104).
즉, 관제점 설정유닛(30)은 상기 관제점 정보와 대응하는 상기 관제점 기본정보 중 하나의 관제점 기본정보와 맵핑시켜, 관제점 설정정보를 자동생성한다.
상기 관제점 설정정보를 기초하여, 중앙제어유닛(20)에서 빌딩설비(1)의 제어 화면을 구현한다(S106).
즉, 중앙제어유닛(20)은 관제점 설정유닛(30)으로부터 상기 관제점 설정정보를 전달받아, 빌딩설비(1)에 대응하는 객체를 생성 및 등록, 설정하고, 상기 제어 화면을 구현하여, 빌딩설비(1)의 동작에 대한 동작명령을 입력받아 제어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빌딩설비 시스템을 나타내는 시스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빌딩설비 시스템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는 도 2에 나타낸 빌딩설비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Claims (9)

  1. 빌딩설비의 관제점 정보를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유닛;
    상기 게이트웨이 유닛과 상기 빌딩설비를 제어하며, 상기 빌딩설비에 대한 관제점 기본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빌딩설비의 제어 화면을 구현하는 중앙제어유닛; 및
    상기 관제점 정보 및 상기 관제점 기본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어 화면이 구현되도록 상기 빌딩설비에 대한 관제점 설정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제어유닛으로 전달하는 관제점 설정유닛을 포함하는 빌딩설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유닛은,
    상기 제어 화면을 구현하는 표시부;
    상기 게이트웨이 유닛 및 상기 빌딩설비의 동작에 대한 동작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관제점 기본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관제점 설정정보를 기초로, 상기 관제점 기본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제어 화면을 구현시키고 상기 동작명령에 따라 상기 게이트웨이 유닛 및 상기 빌딩설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빌딩설비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점 정보는,
    상기 빌딩설비의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빌딩설비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점 기본정보는,
    상기 빌딩설비의 설비타입정보를 포함하는 빌딩설비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점 설정유닛은,
    상기 관제점 정보 및 상기 관제점 기본정보를 맵핑하는 맵핑부; 및
    상기 맵핑 결과에 따라 상기 관제점 설정정보를 자동생성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빌딩설비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점 정보는 상기 빌딩설비의 속성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제점 기본정보는 상기 빌딩설비의 설비타입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맵핑부는,
    상기 속성정보에 포함된 설비명을 기초로, 상기 설비타입정보 중 상기 설비명과 맵핑되는 타입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설비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입정보 및 상기 속성정보를 기초로, 상기 관제점 설정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제어유닛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설비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점 설정정보는,
    상기 빌딩설비에 대응하는 객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설비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화면은,
    상기 객체 정보에 기초된, 상기 빌딩설비에 대응하는 객체 이미지 및 상기 객체 이미지에 대한 동작 메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설비 시스템.
KR1020090008996A 2009-02-04 2009-02-04 빌딩설비 시스템 KR101521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996A KR101521811B1 (ko) 2009-02-04 2009-02-04 빌딩설비 시스템
US12/699,424 US20100256787A1 (en) 2009-02-04 2010-02-03 Building equip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0001110.5A EP2237484B1 (en) 2009-02-04 2010-02-03 Building equip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996A KR101521811B1 (ko) 2009-02-04 2009-02-04 빌딩설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655A true KR20100089655A (ko) 2010-08-12
KR101521811B1 KR101521811B1 (ko) 2015-05-20

Family

ID=42755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996A KR101521811B1 (ko) 2009-02-04 2009-02-04 빌딩설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18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6601A (ko) * 2012-02-22 2013-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KR20140126632A (ko) * 2013-04-23 2014-10-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그래픽 위젯에서 관제점을 자동으로 매핑하는 장치
KR20160109275A (ko) * 2015-03-10 2016-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7963A (ko) * 1997-02-14 1998-10-15 권태웅 통신서버를 이용한 통합 빌딩 자동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JP4160818B2 (ja) * 2001-11-29 2008-10-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移動通信端末を用いた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ホームゲートウエイ
ATE345520T1 (de) * 2002-03-14 2006-12-15 Siemens Schweiz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generierung einer bediensicht zu einem gebäudeleitsystem
US20100256787A1 (en) * 2009-02-04 2010-10-07 Lg Electronics Inc. Building equip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6601A (ko) * 2012-02-22 2013-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KR20140126632A (ko) * 2013-04-23 2014-10-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그래픽 위젯에서 관제점을 자동으로 매핑하는 장치
KR20160109275A (ko) * 2015-03-10 2016-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1811B1 (ko)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53926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компоненты и мобильное серви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hvac-системы
KR102527186B1 (ko) 가상화 시뮬레이터 및 이를 구비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
US7953419B2 (en) Method for integration of network nodes
EP1698833A2 (en) Multi-air conditioner central control system
US201400486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ing-relay configuration in digital thermostats
JP2005274118A (ja) エアコンの中央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方法
EP3783951B1 (en)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a device network
KR101937203B1 (ko)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KR20100089655A (ko) 빌딩설비 시스템
US20100256787A1 (en) Building equip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201541895A (zh) 主從式控制系統及其定址方法
KR101348593B1 (ko) 공조시스템에서의 실외기와 실내기간 통신시스템
JP7485792B2 (ja) クラウドベースの建物管理システム
JP5675250B2 (ja) マルチ型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その集中制御方法
EP2053318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WO2015162754A1 (ja) 制御システム、マスタ局、およびリモート局
KR101895696B1 (ko) Li-Fi/RF(WiFi/ZigBee/Bluetooth) Hybrid 기술
KR101990399B1 (ko) 빌딩 자동화 시스템, 그에 포함된 게이트웨이 및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
JP7100916B2 (ja) 照明システム
JP2008176767A (ja) ビルディング管理システム
KR101990400B1 (ko) 빌딩 자동화 시스템, 그에 포함된 게이트웨이 및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
JP2002031391A (ja) 集中制御システムの異機種間通信装置
KR102159944B1 (ko) 멀티 확장기능을 구비한 항온항습 컨트롤러
KR20100091005A (ko) 빌딩설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70278B1 (ko) 빌딩 자동화 시스템, 그에 포함된 게이트웨이 및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