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275A -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275A
KR20160109275A KR1020150033382A KR20150033382A KR20160109275A KR 20160109275 A KR20160109275 A KR 20160109275A KR 1020150033382 A KR1020150033382 A KR 1020150033382A KR 20150033382 A KR20150033382 A KR 20150033382A KR 20160109275 A KR20160109275 A KR 20160109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facility
graphic object
poi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9038B1 (ko
Inventor
한종현
윤상원
전덕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3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038B1/ko
Publication of KR20160109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기술의 한계를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여, 기설정된 관제점 세트를 이용하여 설비의 관제점 설정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설정된 관제점이 설비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에 반영됨으로써, 관제점 설정 및 설비 화면 구성이 쉽고,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사용자가 설비제어시스템의 엔지니어링에 소모하는 시간 및 비용 등이 감소하게 되어, 설비 제어를 위한 엔지니어링 방법이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FACILITIES CONTROL APPARATUS AND FACILITIES CONTROL METHOD OF THE FACILITIES CONTROL APPARATUS}
본 명세서는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설정된 관제점 세트를 이용하여 설비의 관제점이 일괄적으로 설정됨과 동시에, 설정된 관제점이 설비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에 반영되는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Building Management System은 빌딩 내 다양한 설비들을 제어 및 감시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System 이다. Building Management System에서는 빌딩 내 다양한 설비들을 Point(관제점)라는 단위로 구분을 수행한다. Point(관제점)들의 예로는 On/Off 조명, Dimming 조명, On/Off Fan, Damper, Valve,온도센서로써, 빌딩 내 설비들의 최소 단위를 나타낸다.
Building Management System은 사용자나 관제점의 이력,예약이나 경보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 중, 이력은 관제점, 사용자 액션, 예약 제어, 경보 등의 이력으로 구분되는데, 빌딩 운용에 있어 문제 발생 시, 운용자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간 감시와 이력 조회를 통하여 원인을 파악한다. Building Management System은 다양한 이력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며, 문제 발생 혹은 빌딩의 효율적 운용 등을 위하여 운용자들은 이러한 이력 및 실시간 감시 기능을 이용한다.
종래의 Building Management System 기술은 설비의 관제점을 설비관리시스템에 등록하고, 등록된 관제점으로 설비 화면을 구성하여, 설비 화면을 통해 설비를 제어하게 되었다. 즉, 설비의 관제점을 설비관리시스템에 등록한 후, 등록된 관제점으로 설비 화면을 구성하는 엔지니어링을 수행하여, 설비관리시스템을 운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Building Management System 기술은, 화면을 구성하는 엔지니어링 수행 시, 많은 관제점을 구분한 후 설비를 구성하게 되어, 엔지니어링 시 소요되는 시간이 크고 불편한 작업이 수반되었다. 이에 따라, 엔지니어링에 소모되는 비용이 컸으며, 엔지니어링의 숙련도에 따라 화면 구성에 소요되는 시간 및 화면 구성의 완성도 수준에 차이가 나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Building Management System 기술은, 동일 타입의 다수 설비의 관제점을 설정하는데에 반복적인 작업을 사용자가 수행해야 했으므로, 반복적인 작업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었으며, 또한 설비에 대응되는 정보가 표시되는 그래픽 오브젝트 각각에 설비의 관제점을 매핑하는 작업이 수반되어, 관제점을 찾아 매핑하는데에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종래기술의 한계를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여, 설비의 관제점 설정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설정된 관제점이 설비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에 반영될 수 있는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설비를 제어한다.
적어도 하나의 설비를 제어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는, 설비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근거로 상기 설비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되, 기설정된 관제점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의 관제점이 일괄 설정되도록 하고, 상기 설정된 관제점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반영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는, 대응되는 설비를 나타내는 아이콘 및 상기 설비의 관제점에 따른 제어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관제점 세트는, 상기 설비마다 각각 설정되되, 해당하는 설비의 하나 이상의 관제점이 임의의 순서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제어 대상에 해당하는 설비를 검색하여, 검색된 설비로부터 설비 정보 및 관제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제어 대상 설비를 관제하는 중앙 서버로부터 설비 정보 및 관제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설비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관제점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설비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제점 세트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표시되는 제어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제점 세트 중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설비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시켜, 상기 대응된 관제점 세트에 따라 상기 설비의 관제점이 일괄 설정되도록 하고, 상기 설정된 관제점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응된 관제점 세트에 설정된 관제점에 따라 상기 설비의 관제점이 설정되도록 하고, 상기 대응된 관제점 세트에 설정된 관제점 순서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표시되는 제어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화면상에서 이루어진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설비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방법은, 제어 대상 설비의 설비 정보 및 관제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비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사용자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기설정된 관제점 세트 중 상기 설비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시키는 단계, 상기 대응된 관제점 세트에 따라 상기 설비의 관제점이 일괄 설정되고, 상기 설정된 관제점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반영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근거로 상기 설비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설비 정보 및 관제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어 대상에 해당하는 설비를 검색하여, 검색된 설비로부터 상기 설비 정보 및 상기 관제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설비 정보 및 관제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어 대상 설비를 관제하는 중앙 서버로부터 설비 정보 및 관제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설비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관제점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설비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관제점 세트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표시되는 제어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기설정된 관제점 세트 중 상기 설비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시키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화면상에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설비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관제점 세트를 상기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대응된 관제점 세트에 따라 상기 설비의 관제점이 일괄 설정되고, 상기 설정된 관제점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반영되는 단계는, 상기 설비의 관제점이 상기 대응된 관제점 세트에 설정된 관제점에 따라 설정되도록 하고,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표시되는 제어 정보가 상기 대응된 관제점 세트에 설정된 관제점 순서에 따라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은, 기설정된 관제점 세트를 설비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시킴으로써, 설비의 관제점이 일괄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은, 기설정된 관제점 세트를 설비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시킴으로써, 설정된 관제점이 설비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에 쉽게 반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은, 기설정된 관제점 세트를 설비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시킴으로써, 설비의 관제점이 일괄적으로 설정됨과 동시에, 설정된 관제점이 설비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에 반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은, 설비의 관제점이 일괄적으로 설정됨과 동시에, 설정된 관제점이 설비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에 반영됨으로써, 관제점 설정 및 설비 화면 구성이 쉽고,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은 아울러, 관제점 설정 및 설비 화면 구성이 쉽고,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설비제어시스템의 엔지니어링에 소모하는 시간 및 비용 등이 감소하게 되어, 설비 제어를 위한 엔지니어링 방법이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 또는 설비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중앙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설비의 제어 속성의 개념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설비의 관제점 세트의 개념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른 관제점 설정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설비의 관제점 설정의 개념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1.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2.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기존의 모든 설비 제어 장치, 설비 제어 시스템 및 설비 제어 방법, 설비 제어 장치 및 시스템을 통합 제어하는 중앙 제어 장치 및 중앙 제어 시스템, 중앙 제어를 위한 중앙 제어 방법, 기기 통합 제어 장치 및 시스템, 플랜트 제어 장치 및 시스템, 건물 이력 관리 장치 및 시스템, 통합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와 같은 장치 및 시스템에 적용되는 인터페이스(사용자 화면)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등에도 유용하게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여기서 설비 제어 시스템(또는 설비 관제 시스템)은 건물 또는 빌딩에 배치된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빌딩 자동화 시스템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설비 제어 시스템은 빌딩종합관리시스템(BMS; Building Management System)일 수 있다. 즉, 상기 빌딩 자동화 시스템은 자동화 시스템에서 적용 대상을 한정하지 않고, 공장 자동화 시스템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나 특히, 본 명세서에서는 빌딩에 설치된 설비들을 제어하기 위한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비 제어 시스템은 건물 내에 설치된 설비들과 관련된 에너지를 관리하여 건물 내의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면서 에너지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BEM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건물 내에 설치된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설비 제어 방법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설비를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설비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특정 장비 또는 장치, 예를 들어, 중앙 제어 장치(또는 중앙 관제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 또는 설비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중앙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오브젝트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설비의 제어 속성의 개념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설비의 관제점 세트의 개념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른 관제점 설정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설비의 관제점 설정의 개념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설비 제어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설비 제어 장치(이하, 제어 장치라 칭한다)는, 적어도 하나의 설비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비(10)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0) 및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근거로 상기 설비(10)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장치(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 및 상기 제어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120)는, 기설정된 관제점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10)의 관제점이 일괄 설정되도록 하고, 상기 설정된 관제점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반영되도록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10)는, 공조설비, 실내기, 조명설비, 전력설비, 통신설비, 급수설비 및 동력설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100)는, 건물 내부에 설치된 제어 장치일 수 있거나, 또는 건물 내부에 설치된 제어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100)는 또한, 건물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장치일 수 있거나, 또는 건물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100)는, 건물을 관제하는 중앙제어소 또는 관제소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100)는, 건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건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10)를 제어하는 장치에 포함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10)를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100)는, 설비 제어 시스템의 제어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앙 제어 시스템(500)에 포함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10) 또는 장비(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 시스템(500)은, 상기 제어 장치(100) 및 이를 포함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을 중앙 제어하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 및 상기 제어부(120)를 포함하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30), 통신부(140), 설비 검색부(150) 및 저장부(1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130)는, 상기 제어 장치(100)의 조작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고,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처리하는 수단일 수 있다.
상기 입력부(130)는, 상기 제어 장치(100)의 입력 수단, 이를 테면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0)는, 상기 제어 장치(100)와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수단일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0)는, 상기 설비(10), 외부의 제어 장치 및 상기 제어 장치(100)를 중앙 제어하는 중앙 제어 장치(2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설비 검색부(150)는, 제어 대상에 해당하는 설비(10)를 검색하는 수단일 수 있다.
상기 설비 검색부(150)는, 상기 제어 장치(100)의 제어 대상에 추가된 설비(10) 또는 제어 대상에서 제어된 설비(10)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가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60)는, 상기 제어 장치(100)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단일 수 있다.
상기 저장부(160)는, 상기 제어 장치(100)의 제어 대상에 해당하는 설비(10)의 설비 정보, 상기 설비(10)의 제어 정보, 상기 제어 장치(100)의 펌웨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이를 비롯한 소프트웨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100)는, 상기 입력부(130), 상기 통신부(140), 상기 설비 검색부(150) 및 상기 저장부(16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상기 구성들을 통해 상기 설비(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추가로 참조하여, 상기 제어 장치(100)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모니터를 비롯한 표시장치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제어 장치(100)의 인터페이스 화면인 상기 사용자 화면을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화면을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는, 상기 설비(10)에 대응되는 정보가 그래픽 이미지 형태로 표시되는 아이콘, 또는 배너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는, 상기 설비(10) 각각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되는 설비(10)를 나타내는 아이콘(ICON) 및 설비의 관제점에 따른 제어 정보(MI)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아이콘(ICON)은, 상기 설비(10)를 나타내는 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설비(10)가 실외기인 경우, 실외기를 나타내는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설비(10)가 실내기인 경우, 실내기를 나타내는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MI)는, 상기 설비(10)의 모니터링 및 제어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정보(MI)는, 상기 설비(10)에 대해 상기 제어부(120)가 제어하고자 하는 상기 설비(10)의 제어 속성이 표시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설비(10)가 설치된 위치의 현재 온도, 설정 온도 및 제어 현황 등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MI)는, 상기 설비(10)의 관제점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는, 상기 설비(10)의 설정된 관제점에 따른 제어 정보(MI)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설비(10)가 실내기이고, 상기 설비(10)의 관제점이 [동작], [운전 모드], [설정 온도] 및 [현재 온도]인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상에 [동작], [운전 모드], [설정 온도] 및 [현재 온도]의 제어 정보(MI)가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는, 상기 설비(10)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상기 설비(10)의 종류, 상기 설비(10)의 위치 및 상기 설비(10)의 속성에 따라 다르게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는,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어 장치(100)의 중앙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어 장치(100)의 중앙 처리를 수행하는 CPU 또는 MCU 등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설비(10)에 대응되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를 상기 설비(10)에 따라 생성하고,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를 근거로 상기 설비(10)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가 상기 사용자 화면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외부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설비(10)의 관제점을 통해 상기 설비(10)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관제점은, 상기 설비(10)의 모니터링 또는 제어를 위한 감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설비(10)의 동작, 운전 모드, 설정 온도 및 현재 온도에 대한 감시점일 수 있다.
상기 관제점은, 상기 설비(10)마다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관제점은, 상기 설비(10)마다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설비(10)의 관제점을 상기 설비(10)의 제어 속성으로 설정하여, 상기 설비(10)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속성은, 상기 설비(10)에 대해 상기 제어부(120)가 모니터링 및 제어하고자 하는 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관제점이 상기 제어 속성으로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20)가 설정된 관제점에 따라 상기 설비(10)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속성의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비(10)가 실내기인 경우, 상기 실내기의 동작 제어에 대한 동작(OPER) 속성, 상기 실내기의 운전 모드 제어에 대한 운전모드(MODE) 속성, 상기 실내기의 설정 온도 제어에 대한 설정 온도(SET_TEMP) 속성 및 상기 실내기의 현재 온도 결과에 대한 현재 온도(ROOM_TEMP) 속성을 포함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기설정된 관제점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10)의 관제점이 일괄 설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설정된 관제점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기설정된 관제점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10)의 관제점이 상기 제어 속성으로 설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설정된 관제점에 따른 상기 제어 정보(MI)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표시되도록 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설비(10)의 관제점이 상기 제어 속성으로 설정되어, 상기 관제점에 따른 상기 설비(10)의 모니터링 및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상기 설정된 관제점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반영되어, 상기 설정된 관제점에 따른 상기 제어 정보(MI)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설비(10)에 상기 관제점 세트를 일괄 설정함으로써, 상기 설비(10)의 관제점이 상기 제어 속성으로 일괄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제점 세트는, 해당하는 설비(10)의 하나 이상의 관제점에 대한 리스트일 수 있다.
상기 관제점 세트는, 상기 제어 속성에 즉시 설정될 수 있도록 설정된 리스트일 수 있다.
상기 관제점 세트는, 상기 설비(10)마다 각각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관제점 세트는, 해당하는 설비(10)의 하나 이상의 관제점이 임의의 순서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관제점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10)에 관제점을 설정하게 되는 경우, 상기 관제점 세트에 설정된 관제점의 순서로 상기 설비(10)의 관제점이 설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관제점 세트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비(10)의 관제점이 임의의 순서로 리스트화되고, 상기 설비(10)의 종류에 따라 관제점이 구분되어(설비 1, 설비 2), 상기 설비(10) 각각 마다 관제점 세트가 설정(설비 1, 설비 2)될 수 있다.
상기 관제점 세트는,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제어 대상에 해당하는 설비(10)를 검색하여, 검색된 설비(10)로부터 설비 정보 및 관제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제어 대상에 해당하는 설비(10)를 직접 검색하여, 검색된 설비(10)의 상기 설비 정보 및 상기 관제점 정보를 수신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제어 대상 설비(10)를 관제하는 중앙 서버로부터 설비 정보 및 관제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제어 대상에 해당하는 설비(10)를 상기 중앙 서버(중앙 제어 장치)를 비롯한 상위 서버, 또는 상위 제어 장치로부터 지정받아,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상기 설비 정보 및 상기 관제점 정보를 수신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설비 정보는, 상기 설비(10)의 종류, 상기 설비(10)의 제어 속성 종류, 상기 설비(10)의 설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설비 정보는, 상기 설비(10)의 자체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관제점 정보는, 상기 설비(10)의 하나 이상의 관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설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설비(10)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GO)를 생성하고, 상기 관제점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설비(10)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설비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설비(10)에 대응하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설비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설비(10)의 종류, 상기 설비(10)의 제어 속성 종류, 상기 설비(10)의 형태 및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설비(10)가 실내기인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실내기에 대한 형태인 제1 형태로 생성되고, 상기 설비(10)가 실외기인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실외기에 대한 형태인 제2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설비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문서 파일 형태로 저장하고, 상기 문서 파일을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한 데이터에 포함되도록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문서 파일은, 상기 설비 정보가 항목별로 저장될 수 있는 파일 형식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엑셀(EXCEL) 파일 형식일 수 있다.
즉, 상기 설비(10)에 대응되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는, 상기 설비 정보가 저장된 상기 문서 파일을 근거로 생성되고, 상기 문서 파일을 포함하게 되어, 상기 문서 파일에 저장된 상기 설비 정보에 따른 표시가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관제점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설비(10)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관제점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설비(10)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관제점을 임의의 순서로 리스트화하여 상기 관제점 세트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관제점 세트를 설정하여, 설정된 관제점 세트를 문서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문서 파일은, 바람직하게는 엑셀(EXCEL) 파일 형식일 수 있다.
즉, 상기 설비(10)에 해당하는 상기 관제점 세트는, 상기 문서 파일 형태로 저장되어, 상기 설비 정보가 저장된 문서 파일과의 호환이 가능해지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관제점 세트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표시되는 제어 정보(MI)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MI)의 설정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의 데이터에 대한 문서 파일을 편집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관제점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10)의 관제점을 설정하기 전,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표시되는 제어 정보(MI)의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관제점 세트에 설정된 관제점의 순서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표시되는 제어 정보(MI)의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설비(10)의 관제점을 상기 설비(10)에 대한 제어 속성으로 설정하기 전,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표시되는 제어 정보(MI)가 상기 관제점 세트에 설정된 관제점 및 관제점의 순서에 일치하도록 상기 제어 정보(MI)를 설정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 화면을 통해, 상기 관제점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10)의 관제점이 일괄 설정되도록 하고, 상기 설정된 관제점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20)가 상기 사용자 화면상에 상기 관제점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10)의 관제점이 일괄 설정되도록 하고, 상기 설정된 관제점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반영되도록 하는 화면을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 화면상에서 이루어진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설비(10)의 관제점 설정 및 상기 설정된 관제점의 그래픽 오브젝트(GO) 반영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 화면상에, 상기 관제점 설정 대상 설비(10)에 대응하는 그래픽 오브젝트(GO)를 선택하는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 화면상에, 상기 관제점 설정 대상 설비(10)에 대응하는 그래픽 오브젝트(GO)를 선택하는 화면상에서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GO)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선택하는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 화면상에, 상기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GO)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선택하는 화면상에서 선택된 관제점 세트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시키는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설비(10)의 관제점 설정 및 상기 설정된 관제점의 그래픽 오브젝트(GO) 반영은, 상기 사용자 화면상에서 상기 관제점 세트 중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되는 설비(10)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시킴으로써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관제점 세트 중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되는 설비(10)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시켜, 상기 대응된 관제점 세트에 따라 상기 설비(10)의 관제점이 일괄 설정되도록 하고, 상기 설정된 관제점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 화면상에서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관제점 세트 중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되는 설비(10)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시킬 수 있다.
상기 사용자 화면상에서의 조작은, 상기 제어 장치(100)의 입력수단의 입력에 의해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상기 입력수단의 예를 들면,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 화면상에서 상기 관제점 세트 중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되는 설비(10)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되도록 조작된 경우, 상기 관제점 세트 중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되는 설비(10)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화면상에서 상기 관제점 세트 중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되는 설비(10)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되도록 조작되면, 상기 제어부(120)가 상기 대응된 관제점 세트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시켜, 상기 대응된 관제점 세트에 따라 상기 설비(10)의 관제점이 일괄 설정되도록 하고, 상기 설정된 관제점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반영되도록 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화면상에서 상기 관제점 세트 중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되는 설비(10)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되도록 조작된 경우, 상기 제어부(120)가 상기 설비(10)의 하나 이상의 관제점이 설정된 상기 관제점 세트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시켜, 상기 대응된 관제점 세트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관제점이 상기 설비(10)에 대한 제어 속성으로 일괄 설정되도록 하고, 상기 설정된 관제점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입력수단이 마우스인 경우, 상기 마우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화면상에서 상기 관제점 세트를 클릭(Click)하여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로 드래그(Drag)하고, 클릭된 상기 관제점 세트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드롭(Drop)함으로써, 상기 관제점 세트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되도록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대응된 관제점 세트에 설정된 관제점에 따라 상기 설비(10)의 관제점이 설정되도록 하고, 상기 대응된 관제점 세트에 설정된 관제점 순서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표시되는 제어 정보(MI)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응된 관제점 세트에 설정된 관제점이 상기 설비(10)의 제어 속성으로 설정되도록 하고, 상기 설정된 관제점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반영되도록 하여,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표시되는 제어 정보(MI)가 상기 대응된 관제점 세트에 설정된 순서에 따라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관제점 세트에 설정된 관제점이 [동작], [운전모드], [설정 온도] 및 [현재 온도] 순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설비(10)의 제어 속성으로 [동작], [운전모드], [설정 온도] 및 [현재 온도] 관제점이 설정되고,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표시되는 제어 정보(MI)가 [동작], [운전모드], [설정 온도] 및 [현재 온도] 순으로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관제점 세트는, 상기 설비(10)의 관제점 설정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상기 관제점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표시되는 제어 정보(MI)의 표시 설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 화면상에서 이루어진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설비(10)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 화면상에서 이루어진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설비(10)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관제점 세트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시켜 상기 설비(10)의 관제점 설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의 제어 정보(MI) 표시 설정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를 통한 상기 설비(10)의 모니터링 및 제어가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1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2이다.
상기 설비 제어 방법(이하, 제어 방법이라 칭한다)은, 앞서 설명한 상기 제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 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100)는, 상기 제어 방법에 따라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 장치(100)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 등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 장치(100)를 조작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 장치(100)에 포함된 제어부(120)가 수행하게 되는 제어 방법일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어 장치(100)의 입력수단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 방법을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되, 앞서 설명한 상기 제어 장치(100)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상기 제어 장치(100)의 설명에서 사용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어 방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대상 설비(10)의 설비 정보 및 관제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0), 상기 설비(10)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GO)를 생성하는 단계(S110),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를 사용자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S120), 기설정된 관제점 세트 중 상기 설비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시키는 단계(S130), 상기 대응된 관제점 세트에 따라 상기 설비(10)의 관제점이 일괄 설정되고, 상기 설정된 관제점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반영되는 단계(S140) 및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를 근거로 상기 설비(10)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S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대상 설비(10)의 설비 정보 및 관제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0)는, 제어 대상에 해당하는 설비(10)를 검색하여, 검색된 설비(10)로부터 상기 설비 정보 및 상기 관제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제어 대상에 해당하는 설비(10)를 직접 검색하여, 검색된 설비(10)의 상기 설비 정보 및 상기 관제점 정보를 수신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대상 설비(10)의 설비 정보 및 관제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0)는, 제어 대상 설비(10)를 관제하는 중앙 서버로부터 설비 정보 및 관제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제어 대상에 해당하는 설비(10)를 상기 중앙 서버(중앙 제어 장치)를 비롯한 상위 서버, 또는 상위 제어 장치로부터 지정받아,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상기 설비 정보 및 상기 관제점 정보를 수신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설비(10)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GO)를 생성하는 단계(S110)는, 상기 제어 대상 설비(10)의 설비 정보 및 관제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0)에서 수신한 상기 설비 정보 및 상기 관제점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설비(10)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GO)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설비(10)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S1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제점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설비(10)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설정하는 단계(S111) 및 상기 관제점 세트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표시되는 제어 정보(MI)를 설정하는 단계(S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제점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설비(10)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설정하는 단계(S111)는, 상기 관제점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설비(10)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관제점을 임의의 순서로 리스트화하여 상기 관제점 세트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관제점 세트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표시되는 제어 정보(MI)를 설정하는 단계(S112)는, 상기 관제점 세트에 설정된 관제점의 순서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표시되는 제어 정보(MI)의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설비(10)의 관제점을 상기 설비(10)에 대한 제어 속성으로 설정하기 전, 상기 제어 속성의 설정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표시되는 제어 정보(MI)가 상기 관제점 세트에 설정된 관제점 및 관제점의 순서에 일치하도록 상기 제어 정보(MI)를 설정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를 사용자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S120)는, 상기 설비(10)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GO)를 생성하는 단계(S110)에서 생성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를, 상기 기설정된 관제점 세트를 대응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관제점 세트 중 상기 설비(10)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시키는 단계(S130)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를 사용자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S120)에서 상기 사용자 화면상에 표시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상기 기설정된 관제점 세트 중 상기 설비(10)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대응시킬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관제점 세트 중 상기 설비(10)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시키는 단계(S1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화면상에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를 선택하는 단계(S131),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되는 설비(10)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S132) 및 선택된 관제점 세트를 상기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시키는 단계(S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화면상에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를 선택하는 단계(S131)는, 상기 관제점을 설정하게 될 설비(10)에 해당하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되는 설비(10)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S132)는, 상기 사용자 화면상에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를 선택하는 단계(S131)에서 선택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되는 설비(10)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관제점 세트의 선택은, 상기 제어 장치(100)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되는 설비(10)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지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 장치(100)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관제점 세트를 상기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시키는 단계(S133)는, 상기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되는 설비(10)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S132)에서 선택된 관제점 세트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관제점 세트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의 대응은, 상기 제어 장치(100)의 입력수단이 마우스인 경우, 상기 마우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화면상에서 상기 관제점 세트를 클릭(Click)하여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로 드래그(Drag)하고, 클릭된 상기 관제점 세트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드롭(Drop)하여 상기 관제점 세트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되도록 조작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상기 대응된 관제점 세트에 따라 상기 설비(10)의 관제점이 일괄 설정되고, 상기 설정된 관제점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반영되는 단계(S140)는, 상기 설비(10)의 관제점이 상기 대응된 관제점 세트에 설정된 관제점에 따라 설정되도록 하고,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표시되는 제어 정보(MI)가 상기 대응된 관제점 세트에 설정된 관제점 순서에 따라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관제점 세트에 설정된 관제점이 [동작], [운전모드], [설정 온도] 및 [현재 온도] 순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설비(10)의 제어 속성으로 [동작], [운전모드], [설정 온도] 및 [현재 온도] 관제점이 설정되고,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표시되는 제어 정보(MI)가 [동작], [운전모드], [설정 온도] 및 [현재 온도] 순으로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관제점 세트는, 상기 설비(10)의 관제점 설정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상기 관제점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표시되는 제어 정보(MI)의 표시 설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를 근거로 상기 설비(10)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화면상에서 이루어진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설비(10)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관제점 세트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에 대응시켜 상기 설비(10)의 관제점 설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관제점이 상기 제어 속성으로 설정되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의 제어 정보(MI) 표시 설정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GO)를 통한 상기 설비(10)의 모니터링 및 제어가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의 실시 예들은, 빌딩에 설치된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설비 제어 시스템 또는 설비 관제 시스템, 상기 설비 제어 시스템 등에 포함된 설비 제어 장치 및 중앙 제어 장치(또는 중앙 관제 서버)에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의 실시 예들은, 복수의 설비가 설치된 공장 자동화 시스템, 플랜트 시스템, 에너지 관리 시스템, 전력 관리 시스템, 이들에 포함된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도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기존의 모든 설비 제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설비 제어 장치 및 시스템을 통합 제어하는 중앙 제어 장치 및 중앙 제어 시스템, 중앙 제어를 위한 중앙 제어 방법, 기기 통합 제어 장치 및 시스템, 플랜트 제어 장치 및 시스템, 건물 이력 관리 장치 및 시스템, 통합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와 같은 장치 및 시스템에 적용되는 인터페이스(사용자 화면)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등에도 유용하게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은, 기설정된 관제점 세트를 설비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시킴으로써, 설비의 관제점이 일괄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은, 기설정된 관제점 세트를 설비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시킴으로써, 설정된 관제점이 설비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에 쉽게 반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은, 기설정된 관제점 세트를 설비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시킴으로써, 설비의 관제점이 일괄적으로 설정됨과 동시에, 설정된 관제점이 설비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에 반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은, 설비의 관제점이 일괄적으로 설정됨과 동시에, 설정된 관제점이 설비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에 반영됨으로써, 관제점 설정 및 설비 화면 구성이 쉽고,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은 아울러, 관제점 설정 및 설비 화면 구성이 쉽고,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설비제어시스템의 엔지니어링에 소모하는 시간 및 비용 등이 감소하게 되어, 설비 제어를 위한 엔지니어링 방법이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설비 10': 장비
100: 설비 제어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제어부 130: 입력부
140: 통신부 150: 설비 검색부
160: 저장부 200: 중앙 제어 장치
500: 중앙 제어 시스템 GO: 그래픽 오브젝트
ICON: 아이콘 MI: 제어 정보

Claims (16)

  1. 적어도 하나의 설비를 제어하는 설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설비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근거로 상기 설비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되,
    기설정된 관제점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의 관제점이 일괄 설정되도록 하고, 상기 설정된 관제점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반영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는,
    대응되는 설비를 나타내는 아이콘 및 상기 설비의 관제점에 따른 제어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점 세트는,
    상기 설비마다 각각 설정되되, 해당하는 설비의 하나 이상의 관제점이 임의의 순서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어 대상에 해당하는 설비를 검색하여, 검색된 설비로부터 설비 정보 및 관제점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어 대상 설비를 관제하는 중앙 서버로부터 설비 정보 및 관제점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
  6. 제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설비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관제점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설비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제점 세트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표시되는 제어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제점 세트 중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설비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시켜, 상기 대응된 관제점 세트에 따라 상기 설비의 관제점이 일괄 설정되도록 하고, 상기 설정된 관제점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반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응된 관제점 세트에 설정된 관제점에 따라 상기 설비의 관제점이 설정되도록 하고, 상기 대응된 관제점 세트에 설정된 관제점 순서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표시되는 제어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화면상에서 이루어진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설비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
  11. 설비 제어 장치의 설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어 대상 설비의 설비 정보 및 관제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비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사용자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기설정된 관제점 세트 중 상기 설비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시키는 단계;
    상기 대응된 관제점 세트에 따라 상기 설비의 관제점이 일괄 설정되고, 상기 설정된 관제점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반영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근거로 상기 설비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설비 정보 및 관제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어 대상에 해당하는 설비를 검색하여, 검색된 설비로부터 상기 설비 정보 및 상기 관제점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설비 정보 및 관제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어 대상 설비를 관제하는 중앙 서버로부터 설비 정보 및 관제점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관제점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설비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관제점 세트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표시되는 제어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방법.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관제점 세트 중 상기 설비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시키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화면상에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설비에 해당하는 관제점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관제점 세트를 상기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방법.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된 관제점 세트에 따라 상기 설비의 관제점이 일괄 설정되고, 상기 설정된 관제점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반영되는 단계는,
    상기 설비의 관제점이 상기 대응된 관제점 세트에 설정된 관제점에 따라 설정되도록 하고,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표시되는 제어 정보가 상기 대응된 관제점 세트에 설정된 관제점 순서에 따라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방법.
KR1020150033382A 2015-03-10 2015-03-10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 KR101659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382A KR101659038B1 (ko) 2015-03-10 2015-03-10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382A KR101659038B1 (ko) 2015-03-10 2015-03-10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275A true KR20160109275A (ko) 2016-09-21
KR101659038B1 KR101659038B1 (ko) 2016-09-23

Family

ID=57047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382A KR101659038B1 (ko) 2015-03-10 2015-03-10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0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9798A (ja) * 2006-01-24 2007-08-09 Yamatake Corp 監視システム及びそのデータ管理方法
KR20100089655A (ko) * 2009-02-04 2010-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딩설비 시스템
KR20110087640A (ko) * 2010-01-26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설비 관제 시스템, 이의 운전 방법, 이의 관제점을 저장한 저장 매체
KR20130096601A (ko) * 2012-02-22 2013-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9798A (ja) * 2006-01-24 2007-08-09 Yamatake Corp 監視システム及びそのデータ管理方法
KR20100089655A (ko) * 2009-02-04 2010-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딩설비 시스템
KR20110087640A (ko) * 2010-01-26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설비 관제 시스템, 이의 운전 방법, 이의 관제점을 저장한 저장 매체
KR20130096601A (ko) * 2012-02-22 2013-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9038B1 (ko) 2016-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1574B2 (en) Building alarm management system with mobile device notifications
US10982868B2 (en) HVAC equipment having locating systems and methods
US9274684B2 (en) Hierarchical navigation with related objects
US9846531B2 (en) Integration of building automation systems in a logical graphics display without scale and a geographic display with scale
US917057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9262371B2 (en) System for monitoring multiple building automation systems
US20110087988A1 (en) Graphical control elements for building management systems
KR101912795B1 (ko) 3차원 정보제공장치
EP2947529B1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11639807B2 (en) Air conditioning management system
JP6692457B2 (ja) 空調装置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US20160266556A1 (en) System and Method of Locating Installed Devices
KR101786660B1 (ko) 관제 맵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42668A (ko)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 및 그것의 운전 방법
KR101659038B1 (ko)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
KR102547071B1 (ko) 관제 맵 가중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16016A (ko) 중앙 제어 장치 및 중앙 제어 시스템
KR102530364B1 (ko) 노드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1646144B1 (ko) 설비 제어 장치, 설비 제어 시스템 및 설비 제어 방법
CA2863186C (en) Methods and systems in an automation system for viewing a current value of a point identified in code of a corresponding point control process
JP6435352B2 (ja) 空調管理装置およびその表示制御方法
JP6917750B2 (ja) 施設管理装置、および、施設管理方法
AU2020200205A1 (en) Interfaces for resolving maintenance activities
KR102338489B1 (ko) 관제 문제 통보 방법 및 그 장치
JP2017194823A (ja) 施設管理装置、施設管理システム、および、施設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