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7373A - 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중 사용자 서비스들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중 사용자 서비스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7373A
KR20100087373A KR1020107012832A KR20107012832A KR20100087373A KR 20100087373 A KR20100087373 A KR 20100087373A KR 1020107012832 A KR1020107012832 A KR 1020107012832A KR 20107012832 A KR20107012832 A KR 20107012832A KR 20100087373 A KR20100087373 A KR 20100087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ser terminal
blacklist
session
man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2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자리 무티카이넨
아다무 하루나
아르토 렙피사아리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87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3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통신 시스템에서 채트 서비스(chat services)를 관리하는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이 세션 관리기와의 채트 세션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제2 사용자 단말을 채트 세션에 참가하도록 초대하는 단계로서, 제2 사용자 단말은 제2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것으로부터 차단되는 피차단 사용자들의 차단목록에 연관되는 단계;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채트 세션에 참가하도록 초대된 제3 사용자 단말이 차단목록에 올라 있는지를 점검하는 단계; 및 제3 사용자 단말이 차단목록에 있는 경우에, 피차단 사용자가 채트 세션에 참가하고 있다는 것을 제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중 사용자 서비스들{Multi-user services in a communications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중 사용자 서비스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SIP에 기초한 인스턴스 메시징에 관한 것이지만 그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인스턴트 메시징(IM)은 거의 실시간 방식으로 사용자들에게 전달되는 메시지들을 사용하여 사용자들이 서로 통신하는 것을 허용하는 통신 서비스이다. 사용자가 단말에서 메시지를 작성할 때 그것은 인스턴트 메시징 세션에 참가중인 다른 사용자들에게 즉시 전달되어, 그들이 이어서 대답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것과 같은 인스턴트 메시징 세션은 또한 채트 세션(chat session)으로서 알려져 있다.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들은 예를 들면 데스크탑 PC들과 인스턴트 메시징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인터넷과 같은 고정회선 네트워크들에서 꽤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것들은 또한 이동 통신 시스템들에서의 사용을 위한 점점 인기가 있는 서비스가 될 것이 예상된다.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들은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에 의해 개발된 것과 같은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세션 개시 프로토콜은 한 명 이상의 참가자들(종점들)과의 세션들을 생성하고, 변경하고 종료하기 위한 응용층 제어 프로토콜이다. SIP는 일반적으로는 인터넷에서 둘 이상의 종점들 사이에서의 세션의 시작을 이 종점들을 세션 의미론을 알고 있게 하는 것에 의해 허용하도록 개발되었다. SIP 기반 통신 시스템에 연결된 사용자는 표준화된 SIP 메시지들에 기초하여 통신 시스템의 각종 엔티티들과 통신할 수 있다. IETF는, 인스턴트 메시징 및 참석 레버리징 확장을 위한 SIP(SIP for instant messaging and presence leveraging extensions)"(SIMPLE)이란 제목 하에서, SIP에 기초한 IM 및 참석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것에 관해 현재 작업하고 있다. 또한 오픈 모바일 얼라이언스(OMA; Open Mobile Alliance)는 SIP/SIMPLE IM 및 SIP/SIMPLE 프레전스에 대해 작업하고 있다.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들은 사용자들에게 어떤 다른 사용자들이 그들과 통신하는 것을 방지하는 규정을 제공해야 한다. 특히, 어떤 사용자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성가신 사람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들은 사용자가 특정한 다른 사용자들을 그와 접촉하는 것으로부터 차단하는 것을 허용한다. 각각의 사용자는 차단되는 사용자들의 목록을 가지고 이것은 그들의 차단목록(blocklist)이라고 불린다.
그러나, 다수의 참가자들이 인스턴트 메시징 세션(대화방으로서 알려짐)에 있는 시나리오들에서, 다른 사용자들이 제3자에 의해 대화방(chat room)에 초대되었지만 초대된 사용자들은 서로 통신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는 상황들을 관리함에 있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 상황을 예로써 설명하기 위해, 다음 예를 고려한다. 사용자 C라고 불리는 사용자가 대화방을 만들고, 사용자 A 및 사용자 B를 대화방에 입장(join)하라고 초대한다. 그러나, 사용자 A는 사용자 B를 그와 통신하는 것을 차단하고 있다(즉, 사용자 B는 사용자 A의 개인적인 차단 목록에 있다).
인스턴트 메시징 시스템은 사용자 B가 사용자 A와 통신하는 것을 방해(사용자 B는 사용자 A의 차단목록에 있으므로)하지만, 사용자 A의 개인적인 차단목록의 내용들을 제3자(이를테면 대화방의 개설자, 즉 사용자 C)에게 개시하지 않는다는 문제에 직면한다. 부가하여, 차단된(피차단) 사용자는 그가 다른 사용자의 차단목록에 있고, 그러므로 그들 간에 통신하는 것이 차단되고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할 수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한 가능한 하나의 해결책은 사용자 C(대화방 개설자)가 피초대자의 차단목록 선호정보들(preferences) 중의 어느 것도 알지 못하면서도 그가 원하는 사용자들을 초대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만일 다른 사용자의 차단목록에서 보이는 사용자가 초대된다면(예컨대 사용자 B가 사용자 A의 차단목록에서 보인다), 시스템은 피차단 사용자에 대한 초대를 버려야만 한다. 그러므로 초대는 이 예에서 사용자 B에 결코 도달하지 않는다. 사용자 C에게는 그의 초대가 버려졌다는 사실이 통지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해결책은 대화방의 참가자들의 관점에서 사용자 B가 초대를 무시하거나, 또는 IM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 결함이 있고, 초대는 사용자 B에 도달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는 불리한 점을 가진다. 부가하여, 사용자 B가 하나의 특정 사용자(이 경우 사용자 A)와 통신하는 것만이 차단될 수 있지만, 그것은 사용자 B가 채팅에서 다른 어느 사용자와도 통신하는 것을 방해한다.
다른 해결책은 사용자 C가 어떤 사용자들이라도 대화방에 초대하는 것을 허용하고, 이 초대된 사용자들이 대화방의 어느 참가자들의 차단목록들에서 보이는지에 무관하게 입장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시스템은 다른 사용자와 통신하는 것이 차단되는 사용자로부터의 어떠한 메시지들이라도 필터링할 수 있어서, 피차단 사용자로부터의 어떠한 메시지들이라도 차단을 행한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이 예에서, 사용자 B는 채트 세션에 참가(입장)할 수는 있지만, 사용자 B가 송신하는 어떠한 메시지들이라도 사용자 A에게 보이지 않을 것이다.
이 해결책이 가지는 문제는 세션에 대한 모든 참가자들이 서로 볼 수 있다는, 즉, 사용자 A는 사용자 B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그 반대로도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사용자 B의 관점에서, 그의 메시지들이 사용자 A에 의해 무시되거나 또는 IM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 결함이 있다고 여겨질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 B(또는 실제로 대화방 안에 있는 다른 사용자)가 사용자 A의 차단목록에 사용자 B가 있다고 결론 짓기가 아주 쉬울 수 있다. 그러므로 피차단 사용자들을 다루는 방법에 관한 결정은 사용자들이 대화방에 입장하는 과정 동안에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사용자들은 만일 그들이 차단된다면 서로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므로 언급된 문제를 다루어서 사용자의 개인적인 차단목록이 대화방의 다른 어느 참가자들에게도 공개되지 않도록 하는 것에 대한 더 유연한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개인적인 차단목록이 대화방의 다른 어느 참가자들에게도 공개되지 않도록 하는 것에 대한 더 유연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채트 서비스(chat services)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이 세션 관리기와의 채트 세션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제2 사용자 단말을 채트 세션에 참가하도록 초대하는 단계로서, 제2 사용자 단말은 제2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것으로부터 차단되는 피차단 사용자들의 차단목록에 연관되는 단계;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채트 세션에 참가하도록 초대된 제3 사용자 단말이 차단목록에 올라 있는지를 점검하는 단계; 및 제3 사용자 단말이 차단목록에 있는 경우에는, 피차단 사용자가 채트 세션에 참가하고 있다는 것을 제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세션 관리기에 의해 행하여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목록은 세션 관리기에 저장되고 세션 관리기는 점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지 메시지는 세션 관리기부터 제2 사용자 단말에 송신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목록은 세션 관리기의 네트워크와는 별개인 네트워크에 있는 차단목록 관리자에 저장되고 차단목록 관리자는 점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목록은 세션 관리기와는 동일한 네트워크에 있는 차단목록 관리자에 저장되고 차단목록 관리자는 점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지 메시지는 차단목록 관리자에 의해 변경되고 차단목록 관리자부터 제2 사용자 단말에 송신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목록은 제2 사용자 단말에 위치된 차단목록 관리자에 저장되고 차단목록 관리자는 점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지 메시지는 차단목록 관리자에 의해 변경되고 차단목록 관리자부터 제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송신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사용자 단말은 제2 차단목록에 연관되어 있고, 상기 방법은, 제2 사용자 단말이 제2 차단목록에 올라 있는지를 점검하는 단계; 및 제2 사용자 단말이 제2 차단목록에 있는 경우에는, 피차단 사용자가 채트 세션에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제3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채트 서비스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이 세션 제어기와의 채트 세션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제2 사용자 단말을 채트 세션에 참가하도록 초대하는 단계로서, 제2 사용자 단말은 제2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것으로부터 차단되는 피차단 사용자들의 차단목록에 연관되고 상기 차단목록은 세션 제어기에 저장되어 있는 단계;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채트 세션에 참가하도록 초대된 제3 사용자 단말이 차단목록에 올라 있는지를 세션 제어기에서 점검하는 단계; 및 제3 사용자 단말이 차단목록에 있는 경우에, 피차단 사용자가 채트 세션에 참가하고 있다는 것을 제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메시지를 세션 제어기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에 디스패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에서 채트 서비스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이 세션 제어기와의 채트 세션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제2 사용자 단말을 채트 세션에 참가하도록 초대하는 단계로서, 제2 사용자 단말은 제2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것으로부터 차단되는 피차단 사용자들의 차단목록에 연관되고 상기 차단목록은 제2 사용자 단말의 차단목록 관리기에 저장되어 있는 단계;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채트 세션에 참가하도록 초대된 제3 사용자 단말이 차단목록에 올라 있는지를 차단목록 관리기에서 점검하는 단계; 및 제3 사용자 단말이 차단목록에 있는 경우에, 피차단 사용자가 채트 세션에 참가하고 있다는 것을 제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메시지를 차단목록 관리기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디스패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채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세션 관리기와의 채트 세션을 시작하기 위한 제1 사용자 단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채트 세션에 참가하도록 초대되는 제2 사용자 단말로서, 제2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것으로부터 차단되는 피차단 사용자들의 차단목록에 연관되는 제2 사용자 단말;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채트 세션에 참가하도록 초대되는 제3 사용자 단말; 제3 사용자 단말이 차단목록에 올라 있는지를 점검하기 위한 수단; 및 제3 사용자 단말이 차단목록에 있는 경우에, 피차단 사용자가 채트 세션에 참가하고 있다는 것을 제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와 그것이 어떻게 실행에 옮겨질 수 있는지를 보이기 위해, 다음의 도면들에 대해서만 예로써 참조가 이루어질 것이며, 도면들 중에서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위한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위해 교환되는 시그널링 메시지를 보이며;
도 4는 알려진 SIP NOTIFY 메시지의 구조를 도시하며;
도 5는 변경된 SIP NOTIFY 메시지의 구조를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위한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위해 교환되는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도시하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위한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하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위해 교환되는 시그널링 메시지를 도시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그 도면에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이 도시된다.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102)를 포함하는데, 그것은 채트 세션에 참가중인 이동 엔티티들(사용자 단말들인 106)을 접속시킨다. 네트워크(102)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일 수 있거나, 또는 원격통신 코어 네트워크 또는 이더넷 네트워크와 같은 사설 네트워크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102)에 연결되는 것들은 복수 개의 기지국(104)이다. 기지국들은 사용자 단말들(106) 및 네트워크(102) 사이에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이 기지국들은 어떤 알려진 무선 표준으로라도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것들은 GSM/GPRS 기지국들(BS), UMTS 노드-B들 또는 WLAN 액세스 포인트들일 수 있다. 대체 실시예들에서, 기지국들(104)은 네트워크에 대한 유선 접속을 허용하는 엔티티들, 예를 들면 모뎀 또는 라우터로 교체될 수 있다.
기지국들(104)은 네트워크(102)에 직접 접속될 수 있거나, 별개의 네트워크들에 연결될 수 있고, 그것들은 중간 엔티티들을 경유하여 네트워크(102)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지국들은 모두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고 동일한 무선 표준을 운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다른 기지국들은 서로 별개인 네트워크들에 연결될 수 있고, 기지국들은 다른 무선 표준들을 운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들(106)은 무선 링크를 경유하여 기지국들에 접속한다. 무선 링크는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유형에 의존하여 어떤 알려진 표준이라도 따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일 기지국들(104)과 사용자 단말들(106)이 GSM/GPRS 표준을 준수하면, 무선 링크는 시분할 다중 접속(TDMA) 체계를 사용한다. 대신에, 만일 기지국들(104)과 사용자 단말들(106)이 UMTS 표준을 준수하면, 무선 링크는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 체계를 사용한다. 다른 가능한 무선 링크들은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CSMA)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FDM)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들(106)은 사용자가 채트 세션들에 참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다중 사용자 단말들은 각각의 기지국에 연결될 수 있다. 채트 세션에 참가중인 사용자들(이후로는 참가자들이라고 함)은 동일한 기지국에 연결될 수 있거나, 별도 기지국들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6)은 이동 전화기, 개인휴대 정보단말(PDA) 또는 랩톱 컴퓨터와 같은 무선 이동국(MS)일 수 있다. 대체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단말들(106)은 개인용 컴퓨터(PC)와 같은 유선 단말일 수 있다.
네트워크(102) 내에 있는 것은 회의 서버(108)이다. 사용자 단말들(106)은, 이후에 기술될 것처럼, 채트 세션에 참가하기 위해 기지국들(104)을 경유하여 회의 서버(108)에 접속한다.
이제 도 2가 참조될 것인데, 그것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네트워크 구조(200)를 도시하고 있다. 예시적인 시나리오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된다. 이 시나리오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3명의 사용자인 사용자 A(202), 사용자 B(204) 및 사용자 C(206)가 있다. 이 사용자들의 각각은 채트 세션들에 참가할 수 있고, 도 1에 관해서 약술된 바와 같이 회의 서버(108)에 연결될 수 있다. 국소 IM 서버들은 사용자들의 네트워크들에 존재할 수도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 사용자 C는 대화방을 만든다. 사용자 C는 그 다음 대화방에 사용자 A와 사용자 B를 초대한다. 그러나, 사용자 A는 사용자 A와의 채트 세션들에 사용자 B가 참가하는 것을 차단하고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 B는 사용자 A의 차단목록으로 알려진 사용자 A의 개인적인 피차단 사용자 목록에 있다. 네트워크 구조는 사용자 A가 사용자 B와는 이야기를 나누지 않지만 그의 개인적인 차단목록을 대화방의 개설자인 사용자 C에게 누설하지도 않도록 이 상황을 관리해야만 한다.
도 3은 현재의 실시예가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관해 위에서 기술된 엔티티들 사이의 시그널링 메시지들의 교환을 도시한다. 현재의 실시예는 SIP/SIMPLE 기술에 기초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사용자 C(206)는 대화방을 만들고, 이것은 단계 S1에서 사용자 C가 SIP INVITE 메시지를 회의 서버(108)에 보내는 것에 의해 시작된다. 그 다음 회의 서버는 302에서 포커스 인스턴스(focus instance)를 만들고 믹서 자원들을 확보한다. 그 다음 사용자 C는 회의 상태 통지들에 서명동의(subscribe)한다. 이 프로세스는 회의 서버와 사용자 C 사이에 단계 S2에서의 통신을 포함한다.
사용자 C는 그 다음 SIP REFER 메시지를 회의 서버에 송신하여, 사용자 A와 사용자 B가 대화방에 초대되어야만 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회의 서버는 그 다음 SIP INVITE 메시지를 사용자 A와 사용자 B에 단계 S4와 S5에서 각각 송신한다. SIP INVITE 메시지들의 성공적인 수신 하에, 사용자 A와 사용자 B는 단계 S6과 S8에서 200 OK 메시지로 응답한다. 한편, 회의 서버는 대화방에 대해 피초대자들의 각각의 개인적인 차단목록을 알고 있을 필요가 있고, 회의 서버는 이것을 사용자 A에 대한 국소 IM 서버(306) 및 사용자 B에 대한 국소 IM 서버(308)로부터 SIP SUBSCRIBE 메시지로써 단계 S7 및 S9에서 (사용자 A 및 B 각각에) 요구한다. 이 메시지들은 사용자 A 및 사용자 B에 대한 국소 IM 서버(306과 308)에 의해 단계 S10 및 S11에서 각각 200 OK 메시지들로 응답된다. 차단목록들을 얻고자 하는 회의 서버를 위한 메시지 교환은 도 3에서 파선들로 보이고 있다. 회의 서버는 피초대 사용자의 이름 하에 각각의 피초대 사용자의 차단목록을 유지한다.
회의 서버가 가입 메시지로써 피초대자들로부터 차단목록을 요구(위의 단계 S7 및 S9)할 때, 회의 서버는 1회성 가입 또는 지속성 가입을 행할 수 있다. 1회성 가입은 차단목록의 현재의 내용만을 검색하는 반면에, 지속성 가입은 어떤 추가적인 차단목록 변경들이라도 회의 서버에 통지되는 것을 허용한다. 지속성 가입의 경우, 만일 피초대자가 그의 차단목록을 변경하면, 회의 서버는 통지를 받고 따라서 그 차단목록을 업데이트한다. 차단목록을 페치하기 위한 다른 대체예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XML) 구성 관리 프로토콜(XCAP)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차단목록을 만들고, 관리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에 의해 사용되는 IETF 표준화된 프로토콜이다. OMA SIP/SIMPLE IM 서비스도 동일한 목적을 위해 XCAP를 사용한다.
사용자 A 및 사용자 B는 회의 변경 통지들(예컨대, 새로운 사용자가 입장한 것)에 서명동의하기 위해 SIP SUBSCRIBE 메시지를 회의 서버에 S12 및 S13에서 송신하고, 이것들은 회의 서버로부터의 200 OK 메시지들로써 단계 S14 및 S15에서 수신확인응답된다. 회의 서버는 SIP NOTIFY 메시지를 사용자 C에게 단계 S16 및 S17에서 송신하여 사용자 C에게 사용자 A 및 사용자 B가 대화방에 입장하였음을 알린다.
회의 서버는 대화방에 입장하는 사용자들의 각각에 관해서 참가중인 사용자들의 차단목록들 중의 어느 것에 그들이 포함되어있는지를 알기 위해 304에서 점검을 수행한다. 이 예에서 사용자 A의 경우에, 사용자 B는 사용자 A의 차단목록에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 B가 사용자 A 바로 뒤에 대화방에 입장할 때, 회의 서버는 사용자 B가 기존 참가자들의 차단목록에 보이는지를 알기 위해 점검을 수행하고, 회의 서버는 사용자 A 차단목록에서 일치하는 것을 찾는다. 차단목록에서 일치하는 것을 찾은 결과로서, 회의 서버는 사용자 A에게 변경된 SIP NOTIFY 메시지를 단계 S18에서 송신하는데, 그것은 이후에 더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대화방의 다른 어떤 참가자들, 즉, 입장하려는 어느 사용자들도 그들의 차단목록들과 일치하지 않는 다른 어떤 대화방 참가자들에게는 정상적인, 비변경의, SIP NOTIFY 메시지가 송신될 것이다.
비변경 통지 메시지의 기본 구조는 도 4에서 도시되고 있다. 이것은 도 5에서 도시되어 있는 앞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변경된 통지 메시지의 기본 구조와 비교될 수 있다. 도 4의 비변경 메시지는 "사용자"(402), "디스플레이-텍스트(display-text)"(404), "associated-aors"(406), "역할들(roles)"(408) 및 "언어(language)"(410)를 위한 필드들을 담고 있다. 도 5의 변경된 통지 메시지는 여분의 필드인 "in-your-blocklist(당신 차단목록에 있음)"(502)를 담고 있는데, 그것은 데이터 "에"를 담고 있는 것에 의해, 대화방에 있는 지정된 사용자가 사용자의 차단목록에 올라 있는 사람과 일치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를테면 단계 S18에서 송신되는 변경된 통지 메시지의 더 상세한 표현은 아래에서 이해될 수 있다. 현재의 실시예의 부분으로서 추가된 새로운 "in-your-blocklist" 필드는 볼드체로 보이고 있다.
<user entity="sip:UserB@example.com" state="full">
<display-text>UserB</display-text>
< in - your - blocklist > yes </ in - your - blocklist >
<associated-aors>
<entry>
<uri>mailto:UserB@example.com</uri>
<label>email</label>
</entry>
</associated-aors>
<roles>
<entry>
<label>participant</label>
</entry>
</roles>
<language>en</language>
<!--
다시 도 3으로 돌아가면, 변경된 NOTIFY 메시지의 수신에 의거하여, 사용자 A에게는 차단목록에 있는 사용자 B가 입장하였거나, 초대되었거나, 또는 대화방에 이미 존재한다는 것이 통지된다. 그러면 사용자 A는 대화방에 머무르지만 사용자 B로부터의 어떠한 텍스트도 보지 않거나, 그의 차단목록을 갱신하여 사용자 B의 텍스트가 일시적으로 보이는 것을 허용하거나, 또는 사용자 A는 입장하지 않고 대화방을 떠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들을 가진다.
만일 사용자 A가 대화방에 머무르지만 사용자 B로부터의 어떠한 텍스트도 보지 않는 것을 선택하면, 서버는 사용자 B의 텍스트의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대신에, 사용자 단말은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대화방의 모든 다른 참가자들은 사용자 B의 텍스트를 볼 수 있다. 다른 어떠한 참가자들도 사용자 A가 필터링된 사용자 B의 메시지들을 가진다는 사실을 알지 못할 것이다.
피차단 사용자의 통지는 단지 한 번만 일어나고, 그 후 메시지들은 모든 참가자들에게 송신된다. 그러나, 회의 서버는,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메시지들의 추가적인 필터링을 옵션으로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새로 입장하는 사용자로서의 사용자 B가 이미 참가중인 사용자들 중의 누구인가를 그의 차단목록에 가지고 있다면(예컨대, 만일 사용자 B가 사용자 A를 자신의 차단목록에 가지고 있다면), 사용자 B에게는 앞에서처럼 NOTIFY 메시지가 송신될 것이고, 사용자 B는 앞서 약술된 사용자 A와 동일한 3가지 옵션들을 가질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 보인 예에서, 사용자 B는 다른 참가자들 중의 누구도 그의 차단목록에 가지지 않고, 그러므로 비변경 NOTIFY 메시지를 s19에서 송신한다.
이제 도 6이 참조될 것인데, 그것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네트워크 구조(600)를 도시한다. 이 시나리오에서는 제1실시예에서 보인 것처럼 동일한 3명의 사용자인 사용자 A(202), 사용자 B(204) 및 사용자 C(206)가 있다.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사용자 C는 대화방을 만들고, 사용자 A와 사용자 B를 초대한다. 그러나, 사용자 B는 사용자 A의 차단목록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회의 서버(602) 아키텍처는 2개의 논리 요소인 참가용 IM 서버(604)(또는 차단목록 관리기)와 제어용 IM 서버(606)(또는 세션 관리기)를 포함한다.
참가용 IM 서버는 메시지들의 수신자인 사용자의 홈 네트워크에 상주하고, 수신용 서버이고 개개의 수신자의 메시지 전달 요구사항들을 실행한다. 참가용 IM 서버는 그것이 연관되는 사용자들의 차단목록들을 유지하고 차단목록 일치여부(match)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담당한다. 제어용 서버는 그룹 대화를 호스팅/소유하는 네트워크에 위치된다.
도 7은 도 6에 관해 위에서 기술된 엔티티들 사이의 시그널링 메시지들의 교환을 도시한다. 제1실시예와 같게, 사용자 C는 제어용 IM 서버(606)에 단계 S20에서 SIP INVITE 메시지를 보내는 것에 의해 채트 세션을 시작한다. 그 다음 702에서 제어용 IM 서버는 포커스 인스턴스를 만들고 믹서 자원들을 확보한다. 그 다음 사용자 C는 회의 상태 통지들을 서명 동의한다. 이 프로세스는 단계 S21에서의 제어용 IM 서버 및 사용자 C 사이의 통신을 포함한다.
사용자 C는 그 다음 단계 S22에 SIP REFER 메시지를 제어용 IM 서버에 송신하여, 사용자 A와 사용자 B가 대화방에 초대받아야만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면 제어용 IM 서버는 단계 S23에 SIP INVITE 메시지를 사용자 A를 위해 참가용 IM 서버에 송신한다. SIP INVITE 메시지는 그 다음 단계 S24에 참가용 IM 서버로부터 사용자 A에 추가로 송신된다. SIP INVITE 메시지들은 또한 단계 S25 및 단계 S26에 참가용 IM 서버를 경유하여 사용자 B에 송신된다. SIP INVITE 메시지들의 성공적인 수신에 의거하여, 사용자 A와 사용자 B는 단계 S27과 단계 S29에 200 OK 메시지로 응답하고, 그메시지들은 단계 S28과 단계 S30에 참가용 IM 서버를 경유하여 제어용 IM 서버로 송신된다.
발명의 제1실시예와 대조적으로, 현재의 실시예의 참가용 IM 서버는 사용자들의 차단목록들을 미리 유지하고, 그러므로, 제어용 IM 서버가 차단목록 정보에 기입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사용자들인 A 및 B는 S31 및 S33에 SIP SUBSCRIBE 메시지를 참가용 IM 서버에 송신하여 회의 변경 통지들을 서명 동의하고, 이 메시지들은 단계들인 S32 및 S34에 제어용 IM 서버에 송달된다. 이 메시지들은 제어용 IM 서버로부터의 200 OK 메시지들로 수신확인응답되는데, 200 OK 메시지들은 참가용 IM 서버를 경유하여 단계들인 S35 및 S36에 사용자 A에 건네지고 단계들인 S38 및 S39에 사용자 B에 건네진다. 제어용 IM 서버는 단계들인 S37 및 S40에 SIP NOTIFY 메시지를 사용자 C에 송신하여 사용자 C에게 사용자 A 및 사용자 B가 대화방에 입장하였음을 알려준다.
제어용 IM 서버는 새 사용자가 대화방에 입장한 참가용 IM 서버에 단계 S41에 SIP NOTIFY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 메시지는 OMA '셀룰러 상에서 누르고 말하기(push-to-talk over cellular; PoC)'의 "poc-tag"와 유사한 "im-tag"를 담고 있는데, 그것은 메시지를 참가용 IM 서버에 라우팅하는데 사용된다. "im-tag" 특징 태그는 SIP 메시지에서 연락처(contact) 또는 수락 연락처(Accept-Contact) 헤더에 추가된다.
참가용 IM 서버는 704에서, 대화방에 입장하는 사용자들의 각각의 점검을 수행하여 참가중인 사용자들의 차단목록들 중의 어느 것에 그들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알게 된다. 이 예에서 사용자 A의 경우에, 사용자 B는 사용자 A의 차단목록에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 B가 사용자 A 바로 뒤에 대화방에 입장할 때, 참가용 IM 서버는 사용자 B가 기존 참가자들의 차단목록들에서 보이는지를 알기 위해 점검을 수행하고, 참가용 IM 서버는 사용자 A의 차단목록에서 일치하는 것을 찾는다. 차단목록에서 일치하는 것을 찾은 결과로서, 참가용 IM 서버는 제어용 IM 서버로부터의 SIP NOTIFY 메시지를 변경하여 사용자 B가 차단목록에 있다는 것을 표시하고 변경된 SIP NOTIFY 메시지를 단계 S42에 사용자 A에게 송신한다. 변경된 SIP NOTIFY 메시지는 단계 S42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위해 위에서 기술된 것과 동일한 것이 될 수 있다. 대화방의 다른 어떤 참가자들, 즉, 입장하려는 어느 사용자들도 그들의 차단목록들과 일치하지 않는 다른 어떤 대화방 참가자들에게는 정상적인, 비변경의, SIP NOTIFY 메시지가 송신될 것이다.
변경된 NOTIFY 메시지의 수신에 의거하여, 사용자 A는 대화방에 머무르지만 사용자 B의 어떠한 텍스트도 보지 않거나, 그의 차단목록을 갱신하여 사용자 B의 텍스트가 일시적으로 보이게 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또는 사용자 A가 대화방에 입장하지 않고 떠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들을 가진다. 만일 사용자 A가 대화방에 남아 있지만 사용자 B로부터의 어떠한 텍스트도 보지 않는 것을 선택하면, 참가용 IM 서버는 사용자 B의 텍스트의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대화방의 모든 다른 참가자들은 사용자 B의 텍스트를 볼 수 있다. 다른 어떠한 참가자도 사용자 A가 필터링된 사용자 B의 메시지를 가진다는 것을 알지 못할 것이다. 피차단 사용자의 통지는 한번만 일어나고, 그 후 메시지들은 모든 참가자들에게 송신된다. 그러나, 참가용 IM 서버는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메시지들의 추가적인 필터링을 옵션으로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새로 입장한 사용자로서의 사용자 B가 이미 참석중인 사용자들 중의 누구인가를 그의 차단목록에 가지고 있다면(예컨대, 만일 사용자 B가 그 차단목록에 사용자 A를 가지고 있다면), 사용자 B는 위에서처럼 변경된 NOTIFY 메시지를 송신할 것이고, 앞서 약술한 사용자 A와 동일한 3가지 옵션들을 가질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 보인 예에서, 사용자 B는 그의 차단목록에 다른 참가자들 중의 누구도 가지지 않고, 그러므로 비변경 NOTIFY 메시지를 S43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가 도 8에 관해서 보일 수 있는데, 그 도면에는 이 실시예의 네트워크 구조(800)가 도시되고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는, 제1 및 제2 실시예들에 보인 것처럼 동일한 3명의 사용자인 사용자 A(202), 사용자 B(204) 및 사용자 C(206)가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사용자 C는 대화방을 만들고, 사용자 A와 사용자 B를 초대한다. 그러나, 사용자 B는 사용자 A의 차단목록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IM 클라이언트(804)와 사용자가 인터페이스(UI)(806)를 포함한다(이 경우에는 사용자 A에 대해서만 도시됨). 네트워크 구조는 회의 서버(802)를 포함하지만, 이것은 제1 및 제2 실시예들에서와 동일한 기능들의 모두를 수행하지 않는다. 특히, 참가자들의 차단목록들은 IM 클라이언트에 국소적으로 저장된다. IM 클라이언트는 그 다음 대화방에 입장하는 사용자들 또는 참가자들과 차단목록 사이의 비교를 수행한다.
도 9는 도 8에 관해서 위에서 기술된 엔티티들 사이에서 시그널링 메시지들의 교환을 도시한다. 이전의 실시예들과 같게, 사용자 C는 SIP INVITE 메시지를 회의 서버(802)에 단계 S44에 송신하는 것에 의해 채트 세션을 시작한다. 902에서 회의 서버는 그 다음 포커스 인스턴스를 만들고, 믹서 자원을 확보한다. 그 다음 사용자 C는 회의 상태 통지들을 서명 승인한다. 이 처리는 회의 서버 및 사용자 C 사이의 단계 S45에서의 통신을 포함한다.
사용자 C는 그 다음 단계 S46에 SIP REFER 메시지를 회의 서버에 송신하여, 사용자 A와 사용자 B가 대화방에 초대받아야만 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회의 서버는 단계 S47과 S48에 사용자 A와 사용자 B에 각각 SIP INVITE 메시지들을 송신하고, 이것들은 사용자 A와 사용자 B로부터의 200 OK 메시지들로써 단계들인 S49 및 S50에 수신확인응답된다. 사용자 A와 사용자 B는 단계 S51과 S52에 회의 서버에 송신된 SIP SUBSCRIBE 메시지들로써 대화방에 가입한다. 회의 서버는 단계들인 S53 및 S55에 사용자 A 및 사용자 B에 200 OK 메시지들로써 수신확인응답한다. 한편, 회의 서버는 사용자 A가 대화방에 입장하였음을 단계 S54에 사용자 C에 통지하고, S56에 사용자 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동작을 행한다.
본 발명의 현재의 실시예에서, 대화방에 입장하는 사용자들 및 참가자의 차단목록에 올라 있는 사용자들 사이의 비교는 회의 서버에서 수행되지 않는다. 대신에, 새로운 사용자가 대화방을 입장할 때 SIP NOTIFY 메시지가 참가자들에게 송신된다. 도 9의 예의 경우에, 사용자 A에는 단계 S57에 SIP NOTIFY 메시지가 송신된다. 사용자 단말의 IM 클라이언트(804)는 그 다음 대화방에 입장하는 사용자를 IM 클라이언트에 국소적으로 저장된 차단목록과 904에서 비교한다. 사용자 A의 경우, IM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B가 대화방에 입장할 때 차단목록에서 일치하는 것을 찾을 것이다. 일치하는 것을 찾음에 의거하여, IM 클라이언트는 단계 S58에 UI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사용자 A는 IM 클라이언트로부터 통지를 수신하는 것에 의거하는 이전의 실시예들에서와 동일한 옵션들을 가진다. 사용자 A는 대화방에 머무르지만 사용자 B로부터의 어떠한 텍스트도 보지 않거나, 그의 차단목록을 갱신하여 사용자 B의 텍스트가 일시적으로 보이는 것을 허용하거나, 또는 사용자 A는 입장하지 않고 대화방을 떠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들을 가진다. 만일 사용자 A가 대화방에 남아 있지만 사용자 B로부터의 어떠한 텍스트도 보지 않는 것을 선택하면, IM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B의 텍스트의 필터링을 수행한다. 대화방의 모든 다른 참가자들은 사용자 B의 텍스트를 볼 수 있다. 다른 어떠한 참가자도 사용자 A가 사용자 B의 메시지를 필터링하고 있다는 것을 모르고 있을 것이다.
만일 새로 입장하는 사용자로서의 사용자 B가 그의 차단목록에 이미 참가중인 사용자들 중의 누구인가를 가지고 있다면(예컨대 만일 사용자 B가 그 차단목록에 사용자 A를 가지고 있다면), 사용자 B의 단말의 IM 클라이언트는 위에서처럼 사용자 B에 통지할 것이고 사용자 B는 앞서 약술된 사용자 A와 동일한 3가지 옵션을 가질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 보인 예에서, 사용자 B는 그의 차단목록에 다른 참가자들 중의 누구도 가지지 않고, 그러므로, S43에 SIP NOTIFY 메시지가 송신된 후, IM 클라이언트는 일치하는 것을 찾지 않고, 사용자 B에 통지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이전의 2가지 실시예들의 경우에서 그랬던 것처럼 변경된 SIP NOTIFY 메시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것은 통지가 참가자에 대해 국소적인 IM 클라이언트로부터 오고 송신되는 통지는 사용되는 UI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위에 기술된 3가지 실시예들은 대화방의 개설자가 피초대자의 선호정보의 어떠한 세부사항들이라도 알고 있지 않아도 참가할 누구라도 초대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대신, 대화방의 피초대자(예컨대 사용자 A)에게는 피차단 사용자의 존재를 다루는 방법의 옵션이 주어진다. 그러므로, 대화방의 개설자에게는 피초대자의 사유의 차단목록 정보의 어떠한 세부 사항도 제공될 필요가 없다. 더욱이, 다른 알려진 해결책들과는 달리, IM 시스템에 결함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Claims (13)

  1. 통신 시스템에서 채트 서비스(chat services)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이 세션 관리기와의 채트 세션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제2 사용자 단말을 채트 세션에 참가하도록 초대하는 단계로서, 제2 사용자 단말은 제2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것으로부터 차단되는 피차단 사용자들의 차단목록에 연관되는 단계;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채트 세션에 참가하도록 초대된 제3 사용자 단말이 차단목록에 올라 있는지를 점검하는 단계; 및
    제3 사용자 단말이 차단목록에 있는 경우에는, 피차단 사용자가 채트 세션에 참가하고 있다는 것을 제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세션 관리기에 의해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차단목록은 세션 관리기에 저장되고 세션 관리기는 점검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통지 메시지는 세션 관리기부터 제2 사용자 단말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차단목록은 세션 관리기의 네트워크와는 별개인 네트워크에 있는 차단목록 관리자에 저장되고 차단목록 관리자는 점검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차단목록은 세션 관리기와는 동일한 네트워크에 있는 차단목록 관리자에 저장되고 차단목록 관리자는 점검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통지 메시지는 차단목록 관리자에 의해 변경되고 차단목록 관리자부터 제2 사용자 단말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차단목록은 제2 사용자 단말에 위치된 차단목록 관리자에 저장되고 차단목록 관리자는 점검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통지 메시지는 차단목록 관리자에 의해 변경되고 차단목록 관리자부터 제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제3 사용자 단말은 제2 차단목록에 연관되어 있고, 상기 방법은,
    제2 사용자 단말이 제2 차단목록에 올라 있는지를 점검하는 단계; 및
    제2 사용자 단말이 제2 차단목록에 있는 경우에는, 피차단 사용자가 채트 세션에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제3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통신 시스템에서 채트 서비스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이 세션 제어기와의 채트 세션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제2 사용자 단말을 채트 세션에 참가하도록 초대하는 단계로서, 제2 사용자 단말은 제2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것으로부터 차단되는 피차단 사용자들의 차단목록에 연관되고 상기 차단목록은 세션 제어기에 저장되어 있는 단계;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채트 세션에 참가하도록 초대된 제3 사용자 단말이 차단목록에 올라 있는지를 세션 제어기에서 점검하는 단계; 및
    제3 사용자 단말이 차단목록에 있는 경우에는, 피차단 사용자가 채트 세션에 참가하고 있다는 것을 제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메시지를 세션 제어기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에 디스패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통신 네트워크에서 채트 서비스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이 세션 관리기와의 채트 세션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제2 사용자 단말을 채트 세션에 참가하도록 초대하는 단계로서, 제2 사용자 단말은 제2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것으로부터 차단되는 피차단 사용자들의 차단목록에 연관되고 상기 차단목록은 제2 사용자 단말의 차단목록 관리기에 저장되어 있는 단계;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채트 세션에 참가하도록 초대된 제3 사용자 단말이 차단목록에 올라 있는지를 차단목록 관리기에서 점검하는 단계; 및
    제3 사용자 단말이 차단목록에 있는 경우에, 피차단 사용자가 채트 세션에 참가하고 있다는 것을 제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메시지를 차단목록 관리기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디스패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채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세션 관리기와의 채트 세션을 시작하기 위한 제1 사용자 단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채트 세션에 참가하도록 초대되는 제2 사용자 단말로서, 제2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것으로부터 차단되는 피차단 사용자들의 차단목록에 연관되는 제2 사용자 단말;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채트 세션에 참가하도록 초대되는 제3 사용자 단말;
    제3 사용자 단말이 차단목록에 올라 있는지를 점검하기 위한 수단; 및
    제3 사용자 단말이 차단목록에 있는 경우에, 피차단 사용자가 채트 세션에 참가하고 있다는 것을 제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107012832A 2005-07-08 2006-07-05 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중 사용자 서비스들 KR201000873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514031.4 2005-07-08
GBGB0514031.4A GB0514031D0 (en) 2005-07-08 2005-07-08 Multi-user services in a communications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2938A Division KR20080027922A (ko) 2005-07-08 2006-07-05 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중 사용자 서비스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373A true KR20100087373A (ko) 2010-08-04

Family

ID=348969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2832A KR20100087373A (ko) 2005-07-08 2006-07-05 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중 사용자 서비스들
KR1020087002938A KR20080027922A (ko) 2005-07-08 2006-07-05 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중 사용자 서비스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2938A KR20080027922A (ko) 2005-07-08 2006-07-05 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중 사용자 서비스들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8433752B2 (ko)
EP (2) EP2913962B1 (ko)
JP (1) JP2009500934A (ko)
KR (2) KR20100087373A (ko)
CN (1) CN101243657B (ko)
BR (1) BRPI0614218B1 (ko)
ES (1) ES2538035T3 (ko)
GB (1) GB0514031D0 (ko)
HK (1) HK1121604A1 (ko)
MX (1) MX2008000156A (ko)
PL (1) PL1902556T3 (ko)
SG (1) SG169357A1 (ko)
WO (1) WO2007007174A1 (ko)
ZA (1) ZA2008012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04059A (zh) * 2006-01-11 2008-06-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即时通信阻塞信息通知的方法和系统
US8175241B2 (en) * 2006-01-20 2012-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dding conference participants
JP4693641B2 (ja) * 2006-01-27 2011-06-01 京セラ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及び表示制御方法
US7577711B2 (en) * 2006-02-07 2009-08-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hat room communication network implementation enabling senders to restrict the display of messages to the chat room chronological displays of only designated recipients
US8015247B1 (en) * 2006-05-24 2011-09-06 Aol Inc. Joint communication sessions
US8542802B2 (en) 2007-02-15 2013-09-24 Global Tel*Link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ree-way call detection
TW200919203A (en) * 2007-07-11 2009-05-01 Ibm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assigning a responder to a requester in a collaborative environment
CN101453483B (zh) * 2007-11-29 2012-05-02 华为技术有限公司 会话历史记录的存储处理和查询方法、系统和装置
US8856003B2 (en) * 2008-04-30 2014-10-07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for dual channel monitoring on a radio device
US9225838B2 (en) 2009-02-12 2015-12-29 Value-Added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ree-way call circumvention attempts
WO2012039530A1 (en) * 2010-09-21 2012-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ference messaging between universal plug and play enabled telephony devices and wan devices
KR101136525B1 (ko) * 2010-11-02 2012-04-17 플러스기술주식회사 휴대용 단말장치의 보안 방법
US8712391B2 (en) * 2010-12-08 2014-04-29 Qualcomm Incorporated Client-managed group communication sessions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9113032B1 (en) * 2011-05-31 2015-08-18 Google Inc. Selecting participants in a video conference
US9031829B2 (en) 2013-02-08 2015-05-12 Machine Zon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user multi-lingual communications
US8996352B2 (en) 2013-02-08 2015-03-31 Machine Zon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rrecting translations in multi-user multi-lingual communications
US9231898B2 (en) * 2013-02-08 2016-01-05 Machine Zon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user multi-lingual communications
US9600473B2 (en) 2013-02-08 2017-03-21 Machine Zon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user multi-lingual communications
US10650103B2 (en) 2013-02-08 2020-05-12 Mz Ip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centivizing user feedback for translation processing
US20140229557A1 (en) * 2013-02-12 2014-08-14 Infinite Convergence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arrier Chat Message Blacklist and Whitelist
US9113336B2 (en) * 2013-02-19 2015-08-18 Luis NIEVES Software application for intercepting phone call and text messages from specific contacts
JP6194191B2 (ja) 2013-06-07 2017-09-0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
JP6255776B2 (ja) * 2013-07-31 2018-01-10 株式会社リコー 会議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10162811B2 (en) 2014-10-17 2018-12-25 Mz Ip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language detection
US10765956B2 (en) 2016-01-07 2020-09-08 Machine Zone Inc. Named entity recognition on chat data
US9614974B1 (en) * 2016-11-23 2017-04-04 Global Tel*Link Corp. Utilizing sip messages to determine the status of a remote terminal in VoIP communication systems
CN107124349B (zh) * 2017-04-25 2020-07-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及装置
US10406012B2 (en) * 2017-04-26 2019-09-10 Medtronic Vascular, Inc. Mechanical delivery systems for an endovascular device
US9930088B1 (en) 2017-06-22 2018-03-27 Global Tel*Link Corporation Utilizing VoIP codec negotiation during a controlled environment call
US10769387B2 (en) 2017-09-21 2020-09-08 Mz Ip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translating chat messag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4618A (ja) 1996-02-02 1997-08-15 Canon Inc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WO2001052072A1 (en) * 2000-01-14 2001-07-19 Multitud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moderated forums
JP2003091494A (ja) * 2001-09-17 2003-03-28 Sanyo Electric Co Ltd チャットシステム
US20030191762A1 (en) * 2002-04-08 2003-10-09 Juha Kalliokulju Group management
US7437409B2 (en) * 2003-06-13 2008-10-14 Microsoft Corporation Limiting interaction between parties in a networked session
US20050055405A1 (en) * 2003-09-04 2005-03-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status information for instant messaging users
US7257564B2 (en) * 2003-10-03 2007-08-14 Tumbleweed Communications Corp. Dynamic message filtering
US20060168009A1 (en) * 2004-11-19 2006-07-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locking unsolicited instant messages
US7747685B2 (en) * 2005-01-20 2010-06-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automatic detection of display sharing and alert generation in instant messaging
US20060195532A1 (en) * 2005-02-28 2006-08-31 Microsoft Corporation Client-side presence documen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43657B (zh) 2011-09-14
PL1902556T3 (pl) 2015-08-31
EP2913962B1 (en) 2021-04-07
EP2913962A1 (en) 2015-09-02
KR20080027922A (ko) 2008-03-28
US20070011235A1 (en) 2007-01-11
GB0514031D0 (en) 2005-08-17
MX2008000156A (es) 2008-04-04
EP1902556B1 (en) 2015-04-29
CN101243657A (zh) 2008-08-13
BRPI0614218A2 (pt) 2011-03-22
BRPI0614218B1 (pt) 2019-06-25
WO2007007174A1 (en) 2007-01-18
SG169357A1 (en) 2011-03-30
HK1121604A1 (en) 2009-04-24
JP2009500934A (ja) 2009-01-08
US8433752B2 (en) 2013-04-30
ES2538035T3 (es) 2015-06-16
EP1902556A1 (en) 2008-03-26
ZA200801273B (en)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13962B1 (en) Multi-user services in a communications system
EP1751965B1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conference calls using user lists
US7774010B2 (en) Peer-to-peer group management framework and methodology
EP2342883B1 (en) File transfer in conference services
CN101257395B (zh) 支持多媒体会议预约的系统及方法
US20090204673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ulti-party communications and method for publishing event state
US20060235981A1 (en) Providing a second service to a group of users using a first service
US20050265318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rejecting a session establishment request
US20050259803A1 (en) Managing a conference session
US20050267969A1 (en) Providing information on a resource in a communication system
US10462195B2 (en) Methods, apparatus and/or system for using email to schedule and/or launch group communications sessions
MX2007002723A (es) Detalles de grupo de servicios de grupo.
EP2132879A1 (en) Terminal unit for handling session on the basis of session initiation protocol,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reof
US8391908B2 (en) Communication systems
RU2428807C2 (ru) Сеансовая связь
TWI255116B (en) Integrated real-time message system with gateway function,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
KR101322990B1 (ko) Pt 서비스의 자동 응답 모드에서의 프라이버시 확보 방법
WO2008071847A1 (en) Managing presence service information in communication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323

Effective date: 2013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