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6612A -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 - Google Patents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6612A
KR20100086612A KR1020090005926A KR20090005926A KR20100086612A KR 20100086612 A KR20100086612 A KR 20100086612A KR 1020090005926 A KR1020090005926 A KR 1020090005926A KR 20090005926 A KR20090005926 A KR 20090005926A KR 20100086612 A KR20100086612 A KR 20100086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upport
triple
longitudinal direction
tubul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2427B1 (ko
Inventor
김다솔
김민수
박현호
김천균
Original Assignee
김천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천균 filed Critical 김천균
Priority to KR1020090005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427B1/ko
Publication of KR20100086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21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with three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4Compound tubes, i.e. made of material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Abstract

본 발명은 삼층으로 된 벽체를 구비한 관체에 관한 것으로, 관 형상의 제1 벽체와, 상기 제1 벽체보다 작은 둘레를 가진 관 형상이고 상기 제1 벽체의 내부에 삽입된 제2 벽체와, 상기 제1 벽체 및 제2 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평판 형상이고,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벽체와 제2 벽체에 결합된 제1 지지체와, 상기 제2 벽체보다 작은 둘레를 가진 관 형상이고 상기 제2 벽체의 내부에 삽입된 제3 벽체와, 상기 제2 벽체 및 제3 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평판 형상이고, 양단이 각각 상기 제2 벽체와 제3 벽체에 결합된 제2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조과정이 간단하고 생산성이 뛰어나며 강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삼중관, 복층관, 합성수지관, 중공.

Description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 {PIPE WITH TRIPLE-LAYER WALL}
본 발명은 관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삼층으로 된 벽체를 구비한 관체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는 가공이 용이하고 다양한 형태로 성형할 수 있으며 경제적이므로 광범위한 산업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상하수도 분야에서는, 수도관, 하수관 또는 우수관으로 사용될 관체를 합성수지로 제조하여 사용하고 있다. 수도관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은 내부의 수압을 견딜 수 있는 내압성이 필요하며, 하수관이나 우수관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은 지중에 매설되는 것이 보통이므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도가 필요하다. 그런데 합성수지관은 재질 자체의 한계로 인해 금속제 관에 비해 강도가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히 지중 매설용 합성수지관은 관벽이 2층 이상 복층으로 형성되는데, 각 층 사이에 중공부가 마련되면 동일한 양의 재질로 보다 높은 구조적 강성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복층으로 된 벽체를 구비하되, 각 측 사이에 중공부가 구비된 관, 이른바 중공부 복층관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 개발되고 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중공부 복층관으로는 이중관과 삼중관이 있는데, 이중관은 이중으로 된 벽을 가진 복층관이며, 삼중관은 삼중으 로 벽을 가진 복층관을 가리킨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삼중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삼중관은 공개특허 제10-2004-52942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이러한 삼중관을 제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직사각형 단면의 내부에 십자형의 보강부로서 힘살(120)이 구비관 벽체관(100)을 따로 제조한다. 이 벽체관(100)은 그 자체로 유체를 수송하기 위한 관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며, 삼중관을 제조하기 위한 중간가공물에 지나지 않는다. 삼중관은 벽체관(100)을 나선상으로 권회하되, 나선상으로 권회된 벽체관(100) 사이의 틈에 접합제(110)를 충전하여 접합, 밀봉시킨다. 그러면 최종적으로 완성된 삼중관은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3개 층의 벽체, 즉 삼중벽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삼중관은 벽체 내부에 중공부(140)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상 특징에 따라 동일한 재료로 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벽체관(100)을 먼저 생산한 다음, 이를 촘촘히 권회하고, 또한 권회에 의해 벽체관(100) 끼리 접하는 부분에 별도의 접합제(110)를 투입하여야 하므로, 제조과정이 복잡하며 생산성도 떨어진다. 또한 접합제(110)에 의해 접합된 부분에 불량이 있을 경우 누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크랙이 발생할 경우 접합된 부분을 따라 크랙이 성장할 가능성도 있다. 더불어 최종적으로 완성된 삼중관의 외주면은 물론 내주면 또한 평탄하지 않으므로 삼중관의 강도가 균일하지 않을 뿐더러, 이물질이 침적되기 쉽고,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유동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조과정이 간단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킨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체로 제조됨으로써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는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는, 관 형상의 제1 벽체와, 상기 제1 벽체보다 작은 둘레를 가진 관 형상이고 상기 제1 벽체의 내부에 삽입된 제2 벽체와, 상기 제1 벽체 및 제2 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 상으로 연장된 평판 형상이고,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벽체와 제2 벽체에 결합된 제1 지지체와, 상기 제2 벽체보다 작은 둘레를 가진 관 형상이고 상기 제2 벽체의 내부에 삽입된 제3 벽체와, 상기 제2 벽체 및 제3 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 상으로 연장된 평판 형상이고, 양단이 각각 상기 제2 벽체와 제3 벽체에 결합된 제2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는, 관 형상의 제1 벽체와, 상기 제1 벽체보다 작은 둘레를 가진 관 형상이고 상기 제1 벽체의 내부에 삽입된 제2 벽체와, 상기 제1 벽체 및 제2 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상으로 연장된 평판 형상이고,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벽체와 제2 벽체에 결합된 제1 지지체와, 상기 제2 벽체보다 작은 둘레를 가진 관 형상이고 상기 제2 벽체의 내부에 삽입된 제3 벽체와, 상기 제2 벽체 및 제3 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상으로 연장된 평판 형상이고, 양단이 각각 상기 제2 벽체와 제3 벽체에 결합된 제2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지지체가 이루는 나선은 상기 제1 벽체의 길이방향에 대해 0도보다 크고 45도 이하인 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에 있어서, 상기 제1 벽체와, 제2 벽체와, 제3 벽체와,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는 압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 또는 제2 지지체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벽체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방사상으로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지체 또는 제2 지지체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가 구비된 지지체 중 인접한 한 쌍의 지지체는 각각의 일단이 상기 제1 벽체와 만나는 지점 또는 상기 제2 벽체와 만나는 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서 서로 접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에 있어서, 상기 제1 벽체 및 제3 벽체는 서로 다른 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공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므로 압출과 같은 방식에 의해 삼중관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과정이 간단하며 생산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한 삼중관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접합부가 생략되며 구조적인 강도가 향상된다. 접합부가 없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관체는 내주면과 외주면이 모두 평탄하며, 유체의 유속이 향상되고 이물질이 침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른 관체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에 변화가 없으므로 길이방향에 따른 강도가 균일한 관체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제1 벽체(10)는 관 형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의 최외곽을 형성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제1 벽체(10)는 원형 단면을 가진 관 형상인 것으로 예시하고는 있으나, 사각형 단면 등 필요에 따라 그 형상은 변형이 가능하다.
제2 벽체(20) 또한 제1 벽체(10)와 같은 관 형상으로서, 제1 벽체(10)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제2 벽체(20)의 외주면이 제1 벽체(10)의 내주면과 접하지 않도록 제2 벽체(20)는 둘레의 크기가 제1 벽체(10)의 둘레의 크기보다 작아야 한다. 예를 들어 제2 벽체(20)와 제1 벽체(10)가 모두 원형 단면을 가진 관 형상일 경우, 제2 벽체(20)의 외경은 제1 벽체(10)의 내경보다 작아야 한다.
제1 벽체(10)와 제2 벽체(20) 사이에는 제1 지지체(40)가 배치되는데, 제1 지지체(40)는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된 평판형 부재이며, 제1 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양단이 각각 제1 벽체(10)와 제2 벽체(20)에 결합된다. 즉, 제2 벽체(20)는 제1 지지체(40)에 의해 제1 벽체(10)와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된다. 따라서 강도향상을 위해 제1 지지체(4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지지체(40)는, 제1 벽체(10)는 물론 제2 벽체(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1 벽체(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복수 개가 각각 방사상으로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1 지지체(40)는 관체 내외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작용하는 압력에 따른 하중을 담당하게 된다. 한 쌍의 제1 지지체(40)와 제1 벽체(10) 및 제2 벽체(20)에 의해 하나의 중공부, 즉 제1 중공부(H1)가 형성되는데 이 제1 중공부(H1)는 제1 벽체(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일직선상으로 형성된다.
제3 벽체(30) 또한 제1 벽체(10) 및 제2 벽체(20)와 같은 관 형상이며, 제2 벽체(20)의 내부에 삽입된다. 제3 벽체(30) 또한 제2 벽체(20)와 접하지 않도록 그 둘레의 크기는 제2 벽체(20)의 둘레의 크기보다 작아야 한다. 도 1 내지 도 3 에서는 제1 벽체(10), 제2 벽체(20), 제3 벽체(30)가 모두 원형 단면을 가진 관 형상인 것으로 예시하고는 있으나, 모두 같은 형태의 단면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벽체(10)는 원형 단면, 제2 벽체(20)는 사각형 단면, 제3 벽체(30)는 육각형 단면을 가진 관 형상을 각각 가지는 등 선택적으로 그 형상을 바꿀 수 있다.
제2 벽체(20)와 제3 벽체(30) 사이에는 제2 지지체(50)가 배치된다. 제2 지지체(50)는 위치 이외의 특성이 앞서 설명한 제1 지지체(40)와 같다. 즉, 제2 지지체(50) 또한 직사각형 형상의 평판형 부재로서 양단이 각각 제2 벽체(20)와 제3 벽체(30)에 결합되며, 강도 보강을 위해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접한 한 쌍의 제2 지지체(50)는 제2 벽체(20) 및 제3 벽체(30)와 함께 하나의 제2 중공부(H2)를 형성하며, 제2 중공부(H2) 또한 제1 중공부(H1)와 마찬가지로 제1 벽체(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이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삼중관과는 완전히 달라지게 된다. 즉, 제1 벽체(10), 제2 벽체(20) 및 제3 벽체(30)는 물론 제1 지지체(40)와 제2 지지체(50)까지 모두 일직선 상으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특성은 압출성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를 일체로 성형하여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제1 벽체(10)와 제3 벽체(30)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압출성형시 두 종류의 원재료를 공급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예컨 대 제3 벽체(30)는 수송될 유체와 직접 접하므로 유속의 증대를 위해, 압출성형 장치에서 제3 벽체(30)가 성형될 부분에는 정상적인 폴리 에틸렌 수지를 투입하고, 제1 벽체(10)가 성형될 부분에는 보다 값싼 재생 폴리 에틸렌 수지를 투입하면서 한번에 압출함으로써,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의 제2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앞선 제1 실시예와의 차이는 제1 지지체(40') 및 제2 지지체의 형상에 있으며, 이하에서 따로 설명하지 않는 특징은 앞선 실시예의 대응되는 구성이 가지는 특징과 동일하다.
제1 지지체(40') 및 제2 지지체는 각각, 도 4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나선형을 이루며, 그 결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벽체(10)의 길이방향(일점쇄선으로 표시됨)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배치된 것이 아니라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이때 제1 벽체(10)의 길이방향과 제1 지지체(40')가 이루는 각도(α)는 0도보다 크고 45도 이하인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지지체(40')가 제1 벽체(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이루는 각도(α)에 제한을 두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를 압출에 의해 제조할 경우의 생산성을 고려한 결과이다. 압출시 압출금형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 지지체(40')가 나선형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데, 만일 제1 지지체(40')가 제1 벽체(10)의 길이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45도보다 크게 되면 압출금형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거나, 압출속도를 늦추어야 하는데, 어느 쪽이든 현실적이지 못하다. 제2 지지체 또한 제1 지지체(40')와 같이 나선형을 이루게 되며 제1 벽체(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이루는 각도 또한 동일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공통성은 본 발명에 따른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를 압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해내는 점을 고려하면 당연한 것이다.
한편, 제1 지지체(40')와 제2 지지체가 모두 나선형으로 배치되면 그 결과로 제1 중공부 및 제2 중공부 또한 나선형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각 지지체가 나선형이 되면, 제1 벽체(10)의 길이방향을 따른 크랙의 성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조적 강성도 향상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5의 C-C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D-D선에서 바라본 단면이다.
앞선 실시예들과의 차이점은 제1 지지체(41) 및 제2 지지체(51)이다. 이들 이외에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특성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며, 이하에서 따로 설명하지 않는 특징은 앞선 실시예들의 각 대응되는 구성이 가지는 특징과 동일하다.
제1 지지체(41)는 역시 제1 벽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직사각형 평판으로서, 양단이 각각 제1 벽체(10)와 제2 벽체(20)에 결합되어 있으며, 복수 개가 마련된다. 복수 개의 제1 지지체(41) 중 어느 하나의 제1 지지체(41a)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제1 지지체(41b)는, 각각의 일단이 제1 벽체(10) 또는 제2 벽 체(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예컨대 제1 벽체(10)와 만나는 지점에서 서로 접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면 서로 접해진 한 쌍의 제1 지지체(41a,41b)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벽체(10)의 중심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연장되는 가상의 선에 대해 기울어진 형태가 된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인접한 한 쌍의 제1 지지체(41a,41b)가 모두 기울어져, 결과적으로 이들 인접한 한 쌍의 제1 지지체(41a,41b)와 제1 벽체(10), 그리고 제2 벽체(20) 사이에 하나의 중공부, 즉 제1 중공부(H3)가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제1 중공부(H3)는 한 모서리가 원의 일부인 점 이외에는 대체로 삼각형과 비슷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제1 벽체(10)는 물론 제2 벽체(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일직선 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이 상태에서 당해 제1 지지체(41a)와 반대편에서 이웃하는 또다른 제1 지지체는, 각각의 타단이 제1 벽체(10) 또는 제2 벽체(20) 중 다른 하나, 예컨대 제2 벽체(20)와 만나는 지점에서 서로 접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 도 6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한 쌍의 제1 지지체(41)는 번갈아 가면서 일단이 제1 벽체(10)와 만나는 지점에서 서로 접하고, 타단이 제2 벽체(20)와 만나는 지점에서 서로 접하여, 복수의 제1 지지체(41)가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며, 그 결과 복수의 제1 중공부(H3)는 대체로 삼각형인 복수 개의 형상이 연속적으로 맞물려 있도록 배치된 형상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제2 지지체(51) 또한 제2 벽체(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직사각형 평판이며, 양단이 각각 제2 벽체(20)와 제3 벽체(30)에 결합되어 있다. 제2 지지체(51)는 위치 이외의 특성은 제1 지지체(41)와 동일하며, 복수의 제2 지지체(51) 중 인접한 한 쌍의 제2 지지체(51a,51b)는 제2 벽체(20) 및 제3 벽체(30)와의 사이에서 복수의 제2 중공부(H4)를 형성하게 된다. 이 제2 중공부(H4) 역시 제1 중공부(H3)과 마찬가지로 대략적으로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벽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일직선상으로 배치된다. 또한 일단이 서로 접한 한 쌍의 제2 지지체(51a,51b)중 어느 하나의 제2 지지체(51a)의 타단을 반대편에서 이웃하는 또다른 제2 지지체와 일직선 상에서 접하도록 하면, 복수의 제2 중공부(H4) 또한 대체로 삼각형인 복수 개의 형상이 연속적으로 맞물려 있도록 배치된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의 제3 실시예 또한 압출성형에 의해 한번에 일체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압출 과정에서 압출금형을 회전시키면,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가 제2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나선형이 되며, 역시 크랙 성장 방지와 강도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의 제2 실시예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도 4의 C-C선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7은 도 4의 D-D선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삼중관의 일례를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Claims (7)

  1. 관 형상의 제1 벽체와,
    상기 제1 벽체보다 작은 둘레를 가진 관 형상이고 상기 제1 벽체의 내부에 삽입된 제2 벽체와,
    상기 제1 벽체 및 제2 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 상으로 연장된 평판 형상이고,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벽체와 제2 벽체에 결합된 제1 지지체와,
    상기 제2 벽체보다 작은 둘레를 가진 관 형상이고 상기 제2 벽체의 내부에 삽입된 제3 벽체와,
    상기 제2 벽체 및 제3 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 상으로 연장된 평판 형상이고, 양단이 각각 상기 제2 벽체와 제3 벽체에 결합된 제2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
  2. 관 형상의 제1 벽체와,
    상기 제1 벽체보다 작은 둘레를 가진 관 형상이고 상기 제1 벽체의 내부에 삽입된 제2 벽체와,
    상기 제1 벽체 및 제2 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상으로 연장된 평판 형상이고,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벽체와 제2 벽체에 결합된 제1 지지체와,
    상기 제2 벽체보다 작은 둘레를 가진 관 형상이고 상기 제2 벽체의 내부에 삽입된 제3 벽체와,
    상기 제2 벽체 및 제3 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상으로 연장된 평판 형상이고, 양단이 각각 상기 제2 벽체와 제3 벽체에 결합된 제2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가 이루는 나선은 상기 제1 벽체의 길이방향에 대해 0도보다 크고 45도 이하인 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체와, 제2 벽체와, 제3 벽체와,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는 압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 또는 제2 지지체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벽체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방사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 또는 제2 지지체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가 구비된 지지체 중 인접한 한 쌍의 지지 체는 각각의 일단이 상기 제1 벽체와 만나는 지점 또는 상기 제2 벽체와 만나는 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서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체 및 제3 벽체는 서로 다른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
KR1020090005926A 2009-01-23 2009-01-23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 KR101072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926A KR101072427B1 (ko) 2009-01-23 2009-01-23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926A KR101072427B1 (ko) 2009-01-23 2009-01-23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612A true KR20100086612A (ko) 2010-08-02
KR101072427B1 KR101072427B1 (ko) 2011-10-11

Family

ID=42753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926A KR101072427B1 (ko) 2009-01-23 2009-01-23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4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1620A (zh) * 2021-11-08 2022-03-08 镇江市神龙电器管件有限公司 一种高抗冲击的pe管材构件
CN114370535A (zh) * 2021-11-28 2022-04-19 大连中远海运重工有限公司 用于危险介质传输的三壁管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4872U (ko) 1979-04-23 1980-11-07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1620A (zh) * 2021-11-08 2022-03-08 镇江市神龙电器管件有限公司 一种高抗冲击的pe管材构件
CN114370535A (zh) * 2021-11-28 2022-04-19 大连中远海运重工有限公司 用于危险介质传输的三壁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2427B1 (ko) 2011-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66731B2 (ja) 暗渠管
CN103712000A (zh) 一种多层缠绕复合管
KR100540816B1 (ko) 수지제파형관
KR101072427B1 (ko)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
CN101573552B (zh) 具有双重结构的波纹钢管
CN2457423Y (zh) 管壁螺旋缠绕成形的塑料管
KR100926328B1 (ko) 프로파일 합성수지관
AU2011208600B2 (en) Hollow profile used in the manufacture of a pipe
KR101160647B1 (ko)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CN202674796U (zh) 用于内肋增强缠绕波纹管的异型材及内肋增强缠绕波纹管
CN107842652B (zh) 双平壁塑钢缠绕管
CN110630828A (zh) 一种中空壁多孔加筋缠绕波纹管
CN215215130U (zh) 一种内外双承压多孔骨架复合增强管
CN203309383U (zh) 加强型克拉管
CN204083549U (zh) 一种钢塑复合带材及缠绕管
KR101797386B1 (ko) 다중 격벽 구조의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JP4498350B2 (ja) 管製造用の中空プロファイル
CN219866694U (zh) 一种多肋缠绕管
CN214947032U (zh) 埋地用聚乙烯pe复合结构壁管
CN220470873U (zh) 一种双壁孔网钢带增强pe螺旋波纹管
CN109237147B (zh) 一种缠绕结构壁管及其专用异形带材
KR101749463B1 (ko)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CN216242752U (zh) 一种双孔双层hdpe高筋缠绕增强管
CN217634325U (zh) 一种双壁螺旋中空玄塑复合管
CN104295813A (zh) 一种内壁加厚支撑增强梯形螺旋波纹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